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복합상업시설 내 어트랙션을 위한 엔터테인먼트 요소 연출 연구

        이영주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0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5 No.5

        (Background and Purpose) With the expansion of commercial multi-complexes in Korea, there is a need for a new strategy to increase competitiveness in terms of marketing. Therefore, it is time to find a new way to direct visitor attraction for an intermediate space among commercial multi-complexes, as its role expands to an urban center facility. In recent times, the definition of commercial multi-complexes has been expanding to imply a place for enjoying cultural activities. In particular, with the emergence of the entertainment marketing as a key element in the cultural industry, and focusing on the advanced cases in the United States, the significance of a new direction strategy has been increasing.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intermediate space in commercial multi-complexes from the perspective of visitor attraction and analyze best practices emphasizing on entertainment elements, as part of efforts to use it as a basic material in the planning stage of space-direction. (Method) This study derived attraction-direction methods proposed by C. Mikunda, an internationally-acclaimed dramaturgical specialist, for commercial multi-complexes through literature analysis. An analysis model was constructed by dividing the intermediate space in the commercial multi-complexes into “access,” “connection,” and “core” areas. A correlation study utilizing dramaturgy for the attractions which was conducted by selecting and analyzing advanced cases, with emphasis on an impulse entertainment element to enhance attraction. (Results) As a result, the analysis found that impulsive entertainment was variously directed by the area of the intermediate space for attractions in all cases. Furthermore, it was found that there are many spaces of entertainment elements in the entry and core areas, compared to the connected areas. In addition, seven spaces dramaturgy (“simulation,” “eye-stop,” “conceptual line,” “show effect,” “stress and relaxation,” “virtual communication,” and “hands-on”) extracted from prior studies were all found to be appropriate dramaturgy concepts for attractions of the intermediate space in commercial multi-complexes. (Conclusions) In this study, it found that impulse entertainment elements were a major attraction for visitors to the intermediate space in the commercial multi-complexes by appealing to their emotions, which could strengthen market competitiveness as a new cultural space. Specifically, when the intermediate space in commercial multi-complexes is planned with attraction dramaturgy, it can increase accessibility to the interior space, and enhance the connection with, and the attraction of each functional facility. Conclusively, it was verified that it could be a significant strategy to enhance market competitiveness through marketing differentiation. (연구 배경 및 목적) 국내 복합상업시설 확산으로 마케팅적 측면에서의 시장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새로운 전략이 요구되고 있다. 복합상업시설 중 매개공간은 도시중심 기능 시설로 그 역할이 확대되어짐에 따라 이용객 어트랙션을 위한 새로운 연출방식의 모색이 필요한 시점이다. 최근 복합상업시설은 문화생활을 즐길 수 있는 장소로서 문화산업적 측면으로 그 의미가 확장되고 있으며, 특히 미국의 선진사례를 중심으로 엔터테인먼트 마케팅이 문화산업의 핵심요소로 부각되면서 이를 활용한 새로운 연출전략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복합상업시설 내 매개공간을 이용객의 어트랙션 관점에서 바라보고 엔터테인먼트 요소 연출을 중심으로 우수사례를 분석하여 공간 연출 기획 단계에서 기초자료로 활용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복합상업시설의 세계적인 전략적 연출 전문가인 크리스티안 미쿤다(C. Mikunda)가 제시한 어트랙션 연출기법을 문헌분석을 통해 도출하였다. 그리고 복합상업시설 내 매개공간을 진입영역, 연결영역, 코어영역으로 나누어 분석모형을 구축하고, 집객력 향상에 능동적인 성격을 가진 충동 엔터테인먼트 요소를 중심으로 선진사례를 선정 및 분석하여 어트랙션 연출기법과의 상관성 연구를 진행하였다. (결과) 분석결과 사례들은 모두 매개공간 영역별로 충동 엔터테인먼트 요소가 다양하게 연출되어 어트랙션이 이루어짐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연결영역에 비해 진입영역과 코어영역에 공간 엔터테인먼트 요소가 다수 분포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와 함께 선행연구를 통해 추출된 7가지 공간 어트랙션 연출기법인‘모사방식’,‘아이스톱’,‘컨셉트라인’,‘쇼 이펙트’,‘긴장과 이완’,‘가상 커뮤니케이션’,‘핸즈온’기법은 모두 복합상업시설 매개공간 어트랙션 연출기법으로 적합함을 알 수 있었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복합상업시설 매개공간에서 충동 엔터테인먼트 요소 연출은 이용객들에게 정서적 만족도를 향상시켜 새로운 문화공간으로서 시장 경쟁력을 강화시킬 수 있는 주요 어트랙션으로 작용함을 알 수 있었다. 특히, 복합상업시설 내 매개공간이 어트랙션 연출기법을 활용하여 계획되어질 때 내부공간으로의 접근성을 높일 수 있으며, 각 기능시설들과의 연계성 강화 및 집객력을 높이게 되어 궁극적으로는 마케팅적 차별성을 가지는 또 하나의 새로운 전략이자 시장경쟁력을 가지게 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복합상업시설 이용자의 소비문화 변화에 따른 공간 특성 연구 - 매개공간을 중심으로 -

        김희현,김용성,송석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2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7 No.8

        (연구배경 및 목적) 도시는 주변의 사회, 자연, 경제 등 영향을 받으면서 발전했고 사람들의 생활과 소비문화가 달라지면서 도시에 가장 많이 생겨나고 발전된 시설은 복합상업시설이다. 시대에 따라 일반적 판매방식에서 문화적 개념을 가지는 공간으로확대되었으며 개념이 변화하면서 시설 이용의 목적보다는 엔터테이먼트 요소를 가지고 있는 공간으로 구성되었고 중간 영역의매개공간도 상업시설의 변화에 따라 다양한 이벤트와 문화, 체험 활동 요소가 생겨나면서 매개공간 자체를 찾는 트렌드가 형성되었다. 매개공간은 중간 영역의 역할만이 아닌 문화생활의 공간으로 자리 잡았고 특성에 따라 이용자의 만족도와 체류 시간에도 영향을 미치며, 공간의 마케팅에 따라 재방문을 유도하는 공간으로 자리 잡고 있다. 시대 변화에 따라 이용자의 소비문화는변화하고 있고 그 변화에 따라 달라지고 있는 복합상업시설의 매개공간을 중심으로 국내 건축물 조사를 통해 매개공간이 어떻게활용되고 있는지 분석하고 결과를 도출해 복합상업시설 매개공간을 계획하는데 기초 자료로 제공하려는 목적을 가진다. (연구방법) 연구의 범위는 서울 지역의 복합상업시설을 중심으로 유통산업 발전법에 따른 연면적 100,000㎡이상인 2000년대 이후 상업시설 중 연구 목적에 맞는 매개공간 이용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건축물 더 현대서울, 잠실 롯데월드 몰, 스타시티 코엑스몰 3곳을 선정해 이용자의 소비문화와 연관되어 매개공간이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 기초 자료와 선행연구를 통해 분석하려고 한다. 분석방법은 기초 자료와 선행연구를 통한 기본정보와 매개공간의 특성을 도출해 각 사례를 분석하고 이를 종합하여 매개공간의 구성과 특징을 파악해 결과를 도출하려고 한다. (결과)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매개공간이 소비문화 변화에 따라어떻게 활용되는지 정확한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매개공간의 특성을 도출해 공간구성, 공간진입, 공간개방, 공간전략, 공간연계를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을 통해 매개공간은 접근성과 인지성을 높여 이용자에게 직접적인 동선의 방향성과 식별성을 높이고엔터테이먼트 요소를 활용해 시각적인 연결로 공간의 연속성을 강조하였다. 매개공간의 위치와 목적, 특성에 의해 이용자들의만족도와 체류 시간에 영향을 미치고 수직적 연결과 수평적 연결로 나뉘어 물리적 요소와 심리적 요소를 활용하는 매개공간은단순히 공간을 연결하는 기능을 가진 공간이 아닌 이용자들에게 하나의 문화 공간이자 작은 도시의 공간으로 이용자들에게 경험과 시간이 직접 연결된 장소로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결론) 복합상업시설은 소비의 목적이 크지만 동시에 문화생활과 체험 요소도 가진 공간으로 이용자를 고려해 매개공간의 활용은 다양한 기능과 성격의 중요성이 높고 매개공간의 구성요소는 단순히 공간을 이어주는 기능보다는 공간과 공간 사이에서 커뮤니티 장소와 문화적 장소로 새로운 기능을 하고 있고 이용자의 다양한 니즈와 경제, 시대적인 성향과 이용자의 소비문화가 반영된 공간으로 변화하는 만큼 매개공간의 활성화 방안에 대한 다양한시각에서 연구가 필요하고 제시되어야 한다.

      • KCI등재

        공간디자인 마케팅 관점에서의 복합상업공간 플랜테리어 연출 특성에 관한 연구

        양채원,김지현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3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8 No.5

        (연구배경 및 목적) 디지털 기술 발달에 의한 편의성 향상과 환경적 제약으로 실내에 머무르는 시간 증가와 환경에 대한 이슈가 높아지며 실내 환경의 쾌적성 강화와 관련된 식물을 활용한 공간디자인 스펙트럼이 확장되었다. 특히 이용객들이 집객 되는 복합상업공간에서 플랜테리어는 다양한 측면에서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목적에 부합되지 않는 식물 활용은 소비자들에게 역효과가 나타날 수 있어 차별화된 계획 수립이 필요하다. 이에 전략적 플랜테리어 계획이 가능하도록 복합상업공간에서 플랜테리어의 특성을 도출하고 소비자들의 욕구를 만족하는 공간 가치 창출을 위해 활용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공간디자인에서 식물이 주는 영향력은 공간가치를 배가시킨다. 이에 본 연구는 문헌고찰을 통하여 플랜테리어의 개념 파악과 선행연구에서 나타나는 연출요소를 공간디자인 마케팅 관점에서 도출 후 세 가지 플랜테리어 특성과 각 특성에 따른 세 가지 세부요소로 정의를 제시하였다. 이를 중심으로 복합화를 이루며 진화하는 국내 복합상업공간을 대상으로 사례분석을 거쳐 플랜테리어 특성을 고찰하였다. (결과) 플랜테리어의 기능적 특성은 세부적으로 쾌적성, 장소성, 매개성으로 감성적 특성은 감각성, 관용성, 연상성으로 환경적 특성은 친환경성, 연결성, 순환성으로 도출되었다. 사례분석 결과 기능적 특성은 시각적으로 여유로운 개방감과 쾌적한 공간 연출로 체류 시간 연장을 유도하며, 공간의 수평·수직적 연결로 매개성을 갖게 하여 이용객들의 유입을 유도하고 있었다. 감성적 특성은 플랜테리어의 연출로 소비자의 감각을 확장하고 심리적으로 안정적인 공간을 제공하며, 계절 변화를 나타내는 식물의 연출로 외부에서 활동하는 것 같은 간접적 체험을 제공하고 있었다. 환경적 특성은 도시환경 미관과 조화를 이루며, 자연소재의 사용과 살아있는 식물의 주기적인 교체로 분위기를 전환하고 있었다. (결론) 복합상업공간에서의 플랜테리어 특성은 소비자들에게 기능적, 감성적, 환경적 측면에서 전략적으로 차별화되어 나타나고 있다. 플랜테리어 연출 시 소비자 욕구에 기반하여 소비환경 변화에 따른 대응이 무엇보다 중요할 것이다. 앞으로 플랜테리어는 공간디자인의 주요한 요소로 활용도가 높아질 것으로 전망되는바, 복합상업공간에서의 플랜테리어 계획 시 본 연구가 전략적 접근에 있어서 유용한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복합상업시설(U.E.C)의 보행공간에 관한 유니버설 디자인 연구

        왕람,정원준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19 조형미디어학 Vol.22 No.2

        In modern society, as people’s incomes and leisure time increase, they become more interested in leisure and entertainment consumption. To cope with such a market demand, commercial complexes are being developed constantly. In a broad sense, commercial complex, as an important part of modern social life, is a public facility and undesignated space that most people use. Therefore, everyone can use it simply and conveniently. Its general design provides an environment that meets various needs of users. In this thesis, general design of commercial complex is analyz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space composition of commercial complex, spaces in commercial complex can be divided into entertainment space, catering space and sales space; pedestrian spaces include footpath, corridor and lobby that connects space to space and elevators connecting floor to floor. On this basis, general design of pedestrian spaces in commercial complex is dissected according to seven general principles. 현대 사회에 들어서 소득 수준의 향상과 여가 시간의 확대는 레저, 엔터테인먼트의 소비에 대한 관심을 증가시키고 이러한 수요를 대응하기 위하여 복합상업시설의 개발도 이어지고 있다. 현대사회에서 생활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복합상업시설로서 넓은 의미에서 공공시설의 범위에 포함된다. 복합상업시설은 불특정 다수가 이용하는 공간이므로 누구나 편리하고 쉽게 이용 가능해야 하며 유니버설 디자인으로 이용자의 다양한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해야 할 것이다. 본 논문은 복합상업시설의 유니버설 디자인을 분석하기 위하여 한국 최대 규모인 신세계백화점 센텀시티점을 사례로 선정하였고 복합상업시설의 공간 구성을 특성에 따라 엔터테인먼트 공간, 식음 공간, 판매 공간으로 나누었고 보행공간은 공간과 공간 사이를 연결하는 보행로와 로비 및 홀로, 층과 층 사이를 연결하는 엘리베이터와 에스컬레이터로 나누었다. 이를 바탕으로 유니버설의 7가지 원리로 복합상업시설의 보행공간 유니버설 디자인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전반적으로 신세계백화점 본관과 신관 보행공간에 있어서 유니버설 디자인 원리를 잘 이행하고 있으나 기능이 단순하지 않는 공간에서 인지성이 부족하였고, 개별 엔터테인먼트 공간에 엘리베이터가 부재하여 다소 이용에 불편이 있었다. 이러한 사례 중심으로 분석은 복합상업시설의 보행공간 유니버설 디자인에 좋은 예시로 보여 줄 수 있으며 유니버설 디자인의 필요성과 중요성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하여 보다 효율적인 보행공간을 디자인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복합상업시설 실내 공간구조와 매장구성 성향간 상관성 분석 - 2000년대 건립사례 저층부의 유형학적 분석을 중심으로 -

        현창용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17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Vol.26 No.6

        This study has a purpose that definitize correlationship of spatial structure and sales strategies in mixed-use complexes which established in Korea since year 2000. For this purpose, this study tries to analysis spatial structure of mixed-use facilities through space syntax theory and makes an typological categorization based on their space composition. As a result of categorization, Korean mixed-use facilities can be classed as three types. First type is integrated stacking type. Second one is parallel connecting type. Third type is room to room type. According to differences between categories, their spatial structures show different meaning with different sales strategies. Integrated stacking type sales luxury brands and expensive stuffs and it also has deep and complicated structure. That means theses spaces usually make a strategy of exclusion. Parallel connecting type sales special categories and it also has shallow and easy spatial structure. That means these facilities want to make a smooth connection between apposed volumes. Room to room type sales cheap and fancy objects and it also has simple and shallow structure. That means simple spatial structure can be lead contact customer to stuffs. These results mean spatial structure have a effect on design of sales space. 본 연구는 현대 복합상업시설을 공간구성의 특성에 따라 유형화하고 공간구조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소비공간의 유형별 판매성향 및 전략이 공간구조와 맺는 관계성과 그것이 건축공간의 정량적 평가도구를 통해 어떤 형태로 드러나며 어떤 의미를 갖는지를 평가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2000년대 건립된 사례들은 공간구성의 특성에 따라 입체적 통합공간을 중심공간으로 두고 각 상업영역을 조닝(zoning)하여 배치하는 통합적층형, 매스분절을 통하여 횡적으로 연계시키고 각 매스 내부의 상업공간이 특정 업역에 전문성을 띄는 병렬연계형, 대공간 내에 개실형으로 상점을 분포시켜 가로를 중심으로 상행위가 일어나는 개실가로형으로 유형화 되었으며 각 유형별 판매 품목은 주 방문고객의 구매능력 및 의지, 성향에 따라 다르게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2)공간구문론을 적용한 공간조직의 유형별 분석 결과, 통합적층형의 경우 중심공간은 높은 위상도를 보이고 있으나 그를 둘러싼 매장의 경우 낮은 결과를 나타내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비교적 제한적인 고객을 위한 독립형 매장 계획에서 비롯된 소비공간의 계층화 결과로 해석될 수 있으며 소비공간의 배제적 전략이 공간적으로 적용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라 할 수 있다. 병렬연계형의 경우 상당히 높은 측정값이 도출됨으로서 전문관 내부의 개방형(island형) 매장구성이 공간 내부에서의 접근성과 이해도를 높이는 구성임을 증명해주는 데이터라고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개실가로형은 가로공간에서 매우 높은 위상도가 측정되고 공간조직 전반적으로 깊은 공간이 드문 분석결과를 보이고 있는데, 이는 통합적층형과 달리 배회를 통해 구매욕을 자극받고 물건 및 상점 내부와 직접 접촉을 통해 상품을 비교평가 함으로써 소비행위를 하는 고객, 즉 비교적 구매력과 의지가 낮은 고객을 대상으로 하는 매장구성에 유리한 공간조직으로 해석된다. 3)사례분석을 통해 도출된 정량적 분석데이터를 비교해 보았을 때, 소비자의 구매력과 의사, 그리고 판매품목의 경제적 수준과 전문성 등이 공간조직의 정량적 평가결과를 통해 읽혀질 수 있음이 드러났다. 이에 따라 적절한 배제, 폐쇄가 요구되는 공간조직 혹은 완전한 개방 또는 부분적인 개방이 주효하는 공간조직이 계획될 수 있으며 이러한 공간조직은 비가시적으로 상업공간의 환경을 만들어 내고 있음을 살펴볼 수 있었다.

      • KCI등재

        복합 상업시설(U.E.C)의 보행공간에 관한 디자인 현황 연구 -베이징, 상하이, 광저우를 중심으로-

        왕람,정원준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19 조형미디어학 Vol.22 No.3

        The research focus on the Urban Entertainment Center, which refers to a comprehensive space encompassing a wide variety of industries, including shopping, entertainment, food, accommodation and housing, office and leisure. After China's reform and opening (1978), Beijing, Shanghai and Gwangju grew into 'super-large cities' in Chinese urban development. Many complex commercial facilities emerged in the process, while economic, social and environmental problems and limitations arose. Based on this research background,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focus on the walking space of the complex commercial facilities in China's mega-city,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several large complex business facilities and problems with walking space, and explore the future universal design to overcome the aforementioned problems. In particular, the analysis was done by subdividing and analyzing China's super-large city complex commercial facilities into three characteristics: monolithic, humanization and pluralization, and pointed out the limitations of existing facilities focusing only on the appearance splendor, emphasizing only the efficiency of management, customer convenience and the performance of economic growth in current walking space design.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se Walking-space designs and increase operational efficiency, it is necessary to reinforce the overall traffic-space design, to make various forms and designs of walkways, to distinguish them according to their purpose, to consider the three-dimensional connectivity in vertical directions, and to leave room for reconstruction to prepare for rapid development. The enhanced Walking space design will enhance the efficiency, eco-friendliness and convenience of management of complex commercial facilities, which will also contribute to easing traffic problems in cities and developing cities. 복합 상업시설(Urban Entertainment Center)이란 쇼핑, 엔터테이먼트, 음식, 숙박 및 주거, 사무, 레저 등 다양한 업종을 아우르는 종합적인 공간을 일컫는다. 중국 개혁개방(1978년) 이후 베이징, 상하이, 광주는 중국 도시발전에 있어서 ‘초대형도시’로 성장하였다. 그 과정 속에서 많은 복합 상업시설들이 출현하였고 동시에 경제적, 사회적, 환경적 문제와 한계점도 생겼다. 이러한 연구 배경을 토대로 본 연구는 중국 초대형도시의 복합 상업시설 보행공간에 주목하여 실제 사례들에 대한 분석을 통해 몇몇 대형복합 상업시설의 특징과 보행공간에 대한 문제점을 분석하고, 앞서 언급한 문제점을 극복할 미래형 디자인을 탐구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중국 초대형도시 복합 상업시설들을 일체화, 인간화와 다원화 세가지 특징으로 세분화하여 분석하였고, 기존 시설들이 현재 보행공간 디자인에 있어서 경영의 효율성, 소비자의 편리성과 활용성과 경제성장의 성과만을 강조하여, 외관상의 화려함에만 치중하였음에 집중하여 그 한계점을 지적하였다. 이러한 보행공간 디자인의 한계를 극복하고 운영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전체 교통 공간 설계를 보강하고, 보행 통로의 형태 및 디자인을 다양하게 구성하며 이를 목적에 따라 구분하고, 수직방향으로의 입체적인 연결성 고려하며, 재건축의 여지를 남겨두어 고속발전에 대비할 필요가 있다. 보행공간 디자인이 강화되면 복합 상업시설 운영의 효율성, 친환경성, 관리의 편리성이 제고될 것이고, 이는 도시의 교통문제 완화와 도시 발전에도 기여할 것이다.

      • KCI등재

        공간디자인 마케팅 전략으로써 공간가치 창출에 관한 연구

        김지현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9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4 No.1

        (Background and Purpose) Changes in the social environment, motivated by technological development, have created further changes not only in consumption patterns and behavior but also in the power of consumers. Thus, a new approach toward spatial design that is sensitive to these changes in consumer behavior is necessary, and this study seeks to identify the possible perspectives through which spatial design marketing strategies may be created. This study seeks to examine spatial design marketing strategies that can create value through space based on the changes in value consumption motivated by the greater change in social context. (Method) A review of the literature examines the changing concept of spatial design marketing, marketing strategy, and consumer preferences to identify the current direction of spatial design marketing. This review serves as the basis of the study’s definitions of the creation and formation of spatial value and its associated strategies, which are then used in case studies involving urban entertainment centers (UEC). (Results) First, in terms of form-based function value, a UEC creates an environment where consumers can spend time at their leisure, by realizing user accessibility, utility, and environmental amenities. Artistic and formal sights offer aesthetic satisfaction to consumers, whereas thematic expressions create interest and enjoyment: together, these two factors create emotional and hedonic values for customers. Second, for behavior-based relationship value, the UEC uses free movement within its space to create an interesting spatial experience for the customers; participatory contents to offer active, responsive, and utilitarian experience; and events, as well as other activities, to facilitate hedonic and emotional value formation. Third, for meaning-based objective value, the UEC seeks to create social and altruistic values through space-related contextual applications from environmental, cultural, and restorative perspectives; public space sharing and utility creation for the people of the community; and positive practice of society. (Conclusions) First, spatial value creation may be approached through the formal definition of values based on the contents of utility and satisfaction created by the spatial experience. Results from the case study suggest that such approaches are informed by multidimensional and concurrent selection of different forms. Second, a spatial design marketing strategy is based on a perspective that seeks to create values, progressing with a singular focus on the satisfaction of its consumers with various forms of value. This research is designed to serve as a point of convergence where a spatial design meets marketing measures to create new values that correspond with the ever-changing desires of consumers. (연구배경 및 목적) 기술발달에 의한 사회 환경의 변화는 소비패턴 및 소비행태를 변화시켰을 뿐만 아니라 소비자의 위상 또한 변화시키게 되었다. 변화된 소비자의 태도를 분석하여 공간디자인 접근이 필요한 실정이므로 본 연구에서는 공간디자인 마케팅 전략설정 시 어떠한 관점으로 전략설정이 가능한지를 모색하고자 한다. 이에 변화된 가치소비 중심의 소비 성향에 기반하여 공간을 통한 가치창출이 가능한 공간디자인 마케팅 전략을 연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선행연구로 공간디자인 마케팅의 개념과 전략, 소비자 변화를 고찰하여 공간디자인 마케팅의 지향성을 나타낸다. 이를 바탕으로 공간가치 창출 및 공간가치 유형별 특성과 전략내용을 제시한다. 이를 중심으로 복합상업시설을 대상으로 사례분석을 진행한다. (결과) 첫째, 형태기반 기능가치 부분에서는 이용자 입장에서의 접근의 편의성, 이용의 편의성, 환경의 쾌적성을 구현하여 고객이 충분히 여유로운 시간을 보낼 수 있도록 배려하고 있다. 또한 쇼핑 이외의 예술적, 조형적 볼거리로 심미적인 만족감의 제공, 테마적 표현으로써 흥미와 즐거움을 유발시켜 쾌락적·감정적 가치 형성을 유도하고 있다. 둘째, 행태기반 관계가치에서는 자유로운 이동을 통한 흥미로운 공간경험의 유도, 참여콘텐츠를 활용한 능동적·반응적·유용적인 경험의 제공, 즐거운 감정을 느낄 수 있는 이벤트 및 다채로운 볼거리로써 쾌락적·감정적 가치 형성을 도모하고 있다. 셋째, 의미기반 대상가치에서는 입지되는 장소와 관련된 환경적 ·문화적 ·재생 관점의 맥락적 반영, 공적공간의 공유, 지역주민 혜택 제공, 사회의 긍정적 실천을 통한 사회적·이타적 가치 형성을 도모하고 있다. (결론) 첫째, 공간가치 창출은 공간경험의 혜택과 만족의 내용을 바탕으로 가치를 유형화하여 접근 가능하며, 사례분석 결과 다른 유형들의 복수 선택으로 다차원적인 접근이 이루어지고 있다. 둘째, 공간디자인 마케팅 전략은 가치 창출의 관점에서 설정된 목표를 중심으로 철저히 고객중심으로 그들을 만족시키는 방향으로 나아가며, 다양한 유형별 가치 창출을 시도하고 있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앞으로 더욱 빠르게 변화하는 고객의 욕구에 대한 진정한 접근이 될 수 있도록 공간디자인이 마케팅 환경에서 가치를 창출 할 수 있는 접점으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복합상업시설 이용자의 점포선택 행태분석

        오윤석,장희순,김범수 한국주거환경학회 2022 주거환경(한국주거환경학회논문집) Vol.20 No.1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store selection of space users in complex commercial facilities using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and to analyze store selection behavior of space users in complex commercial facilities. For this purpose, the space of complex commercial facilities was divided into a public space providing programs and a exclusive space providing products, and the characteristics of stores in each space were reflected in the opinions of the first consumer group and the second expert group, and the location factors, management factors, and product factors were derived.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users of the public space in the complex commercial facility value the diversity of programs(product factor) most and select them in the order of Sports Monster, Megabox, Aquafield, and GDR Academy. On the other hand, users of the exclusive space in the complex commercial facility are most important in service(management factor), and they choose Restaurant& Cafe, Fashion Apparel Miscellaneous store, Electro Mart, and E-Mart Traders in order. Based on this,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are presented. 이 연구에서는 복합상업시설 내에서 공간이용자의 점포선택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AHP분석을 사용하여 규명하고, 복합상업시설 공간이용자의 점포선택행태를 분석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복합상업시설의 공간을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공용공간과 제품을 제공하는 전용공간으로 구분하고, 각 공간의 공간내 점포특성을 1차 소비자집단, 2차 전문가집단의 의견을 모두 반영하여 입지요소, 경영요소, 상품요소를 도출하였다. 분석결과 복합상업시설의 공용공간이용자들은 프로그램의 다양성을 가장 중요시하며 스포츠몬스터, 메가박스, 아쿠아필드, GDR아카데미의 순으로 많이 선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전용공간이용자들은 서비스를 가장 중요시하며 레스토랑&카페, 패션의류잡화매장, 일렉트로마트, 이마트 트레이더스 순으로 많이 선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토대로 학문적.실무적 시사점 및 함의가 제시된다.

      • 성별(性別) 차이에 따른 길찾기에 관한 연구 -코엑스 몰을 중심으로-

        김나연 ( Na Youn Kim ),이영화 ( Young Wha Lee ),이재원 ( Chae Won Lee ) 한국정보디자인학회 2011 정보디자인학연구 Vol.16 No.-

        본 연구는 길찾기(wayfinding)에 있어서 성별이 미치는 영향에 대한 가설을 검증한 실험 연구이다. 특히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복합상업공간을 대상으로 실험함으로써 향후 복합상업공간의 보다 나은 길찾기 시스템 디자인의 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연구의 과정과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기존연구 고찰을 통하여 길찾기패턴에 따라 사용자를 두 부류로 분류하였는데 첫째는 공간전체구조를 인지하는``공간형``사용자와, 공간내의 식별성 있는 요인의 도움을 받는 ``랜드마크형``사용자이다. 전자는 남성성이 강하며 후자는 여성성이 강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를 토대로 코엑스 지하몰에서 남성 27명, 여성 30명 총 57명을 대상으로 하여 길찾기 실험을 행하였는데, 실험결과는 다음과 같다. 사전조사에 따른 공간형과 랜드마크형의 비율은 남성 27명 중 공간형 19명(70%) 랜드마크형 8명(30%)로 공간형이 랜드마크형 보다 2.3배 정도 높게 나타났다. 이에 반해 여성 30명 중 공간형은 8명(27%) 랜드마크형 22명(73%)으로 나타났다. 또한 현장설문조사에서도 성별에 따라 공간형과 랜드마크형의 비율 역시 남성[공간형:랜드마크형, 74%:26%]과 여성[공간형:랜드마크형, 17%:83%] 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러한 성향은 길찾기 인식요소 선택에 있어서도 영향을 주고 있었다. 이처럼 본 연구에서 알 수 있듯이 길찾기는 여러가지 인자들이 복합적으로 얽혀있을 뿐만 아니라 인지하는 과정에서 성별이나 성향이 크게 영향을 끼치기 때문에, 길찾기 디자인은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종합적이고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져 있어야 함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d wayfinding performance to verify a hypothesis which is about the effect of gender. Especially the present study aims to provide better information for wayfinding design system in a large scaled complex commercial environment. The process and finding of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following the literature reviewed, we assume that there are two main types of wayfinding behavior. One use more spatial properties (such as location and spatial relations); ``spatial type``, while the other use more objet properties (such as shape and colors); ``landmark type``. The former is a strong male inclination, the latter female inclination. On this hypothesis, we conduct a survey of 27 males and 30 females(approximately equal) in the Coexmall which is typical a large scaled indoor mall in Korea, they were requested to find a store. Result as follows: The proportion of ``spatial type`` to ``landmark type`` is 19(70% of the total males) : 8(30% of the total males); the ``spatial type`` is twice as higher as the ``landmark type`` followed by a prior survey. On the other hand, the proportion of ``spatial type`` to ``landmark type`` is 8(27% of the total females) : 22(73% of the total females). Moreover, a field survey reflects the gender differences appear to perform wayfinding task: males are found to be more ``spatial type`` and females are found to be more ``landmark type``. Also, these tendencies affect on wayfinding strategies based on the use of cognitive element. The experimental results indicate that wayfinding involves many complicated factors. Besides, the significant difference is due to gender or tendency through cognitive proces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design for wayfinding should consider gender differences and tendencies in synthetical and diverse ways.

      • 성별(性別) 차이에 따른 길찾기에 관한 연구 -코엑스 몰을 중심으로-

        김나연,이영화,이재원 한국정보디자인학회 2011 정보디자인학연구 Vol. No.

        본 연구는 길찾기(wayfinding)에 있어서 성별이 미치는 영향에 대한 가설을 검증한 실험 연구이다. 특히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복합상업공간을 대상으로 실험함으로써 향후 복합상업공간의 보다 나은 길찾기 시스템 디자인의 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연구의 과정과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기존연구 고찰을 통하여 길찾기패턴에 따라 사용자를 두 부류로 분류하였는데 첫째는 공간전체구조를 인지하는‘공간형’사용자와, 공간내의 식별성 있는 요인의 도움을 받는 ‘랜드마크형’사용자이다. 전자는 남성성이 강하며 후자는 여성성이 강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를 토대로 코엑스 지하몰에서 남성 27명, 여성 30명 총 57명을 대상으로 하여 길찾기 실험을 행하였는데, 실험결과는 다음과 같다. 사전조사에 따른 공간형과 랜드마크형의 비율은 남성 27명 중 공간형 19명(70%) 랜드마크형 8명(30%)로 공간형이 랜드마크형 보다 2.3배 정도 높게 나타났다. 이에 반해 여성 30명 중 공간형은 8명(27%) 랜드마크형 22명(73%)으로 나타났다. 또한 현장설문조사에서도 성별에 따라 공간형과 랜드마크형의 비율 역시 남성[공간형:랜드마크형, 74%:26%]과 여성[공간형:랜드마크형, 17%:83%] 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러한 성향은 길찾기 인식요소 선택에 있어서도 영향을 주고 있었다. 이처럼 본 연구에서 알 수 있듯이 길찾기는 여러가지 인자들이 복합적으로 얽혀있을 뿐만 아니라 인지하는 과정에서 성별이나 성향이 크게 영향을 끼치기 때문에, 길찾기 디자인은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종합적이고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져 있어야 함을 알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