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통문화복합화 시설 설계 연구 - 전주 시외버스터미널 계획안을 중심으로-

        장혜민,신은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4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9 No.1

        (연구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거점문화시설을 구체화하는 방안으로 교통문화복합시설의 계획안을 제안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거점문화시설은 비수도권의 문화시설 활성화를 위한 방안 중 하나로 국토연구원에서 제시한 개념으로, 관련 프로그램의 복합화, 관 내 시설의 네트워킹을 통해 수요의 규모를 키우고, 부족한 인적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것이다. 하지만, 해당 개념의 거점문화시설이 작동하기 위한 구체적인 건축적 접근은 없었다. 더불어, 언급한 기능을 정확히 실현하기 위해서는 입지 조건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개발 압력이 낮은 비수도권 도시의 노후화된 교통터미널의 재개발 과정에서 지역의 특성에 맞는 효율적인 개발 방향이면서도, 위의 문화거점시설을 건축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입지로서 교통시설과 문화시설의 복합화 개념을 제안한다. (연구방법) 연구대상으로는 지역 내 문화시설 활용 현황, 교통 조건, 그리고 교통시설의 노후화 등을 고려하여 전라북도 전주 시외버스터미널을 선정하였다. 또한 선례 분석을 통해 문화시설 활성화를 위한 프로그램 및 공간적 전략을 도출하였으며, 최근 건축된 국내 교통시설과 문화시설 복합화 사례를 통해 복합화 과정에서 고려해야 할 계획 요소, 특히 유동 인구를 활용할 수 있는 전략들을 분석하였다. 선례를 통해 도출된 요소들을 설계 대상지인 전주 시외버스터미널에 적용하여 문화시설을 활성화할 수 있는 교통문화시설 복합화 계획안을 제안하였다. (결과) 교통 동선을 고려하여 터미널의 영역을 먼저 결정한 이후, 주변 접근 동선을 고려하여 유입 동선을 최대화할 수 있는 오픈플라자를 중심으로 문화 및 상업 시설을 배치하였다. 오픈플라자는 해외 선례에서 일반 방문객들을 유입시킬 수 있는 이벤트 공간으로 나타났으며, 국내 복합화 사례에서는 상업 및 터미널의 유동 인구를 상층부로 올려보내는 아트리움 형식으로 나타났다. 사례에서 나타난 오픈플라자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하여, 오픈플라자 주변으로 수직 동선 및 소규모 이벤트 공간이 결합된 산책로 공간과 목적성이 높은 전시 공간을 배치하였다. 또한 오픈플라자와 인접하여 다기능 공간을 두었는데, 이 다기능 공간은 기존 거점문화시설에서 제안한 복합화와 달리, 하나의 공간 안에 개방형, 참여형 프로그램과 전시 전문 기능을 수행하는 공간이 결합된 공간으로 방문객이 전시공간으로 쉽게 유입할 수 있는 장치가 된다. (결론) 본 연구는 비수도권 도시에서 노후화된 교통시설의 활용가치를 높이기 위한 방안 중 하나로 교통문화시설 복합화를 제안하며, 이를 통해 문화시설의 활성화 방향을 모색하였다. 문화시설과 교통시설의 복합화 과정에서 문화시설의 활성화를 위한 프로그램과 공간, 동선 등의 건축적 전략을 제안하였다는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 KCI등재

        공연시설 복합문화공간의 구성을 위한 기초적 연구

        정어진,고재민,김주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3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8 No.4

        (연구배경 및 목적) 현대 사회는 문화예술을 소비하고 향유하는 라이프스타일로 변화하면서 한 공간 내 문화·예술 모두 수용할 수 있는 복합문화공간의 수요가 증가했다. 이러한 수요를 담당하고 있는 공연시설은 복합화가 이루어진 공연시설로 변화하고 있으나 공연 상연 유무에 따라 시설의 이용도가 좌우되면서 공연이 없을 시 낮은 이용도를 보이고 있다. 공연상연 유무에 따라 이용되는 시설의 특성상 커뮤니티 역할 수행에 한계가 있고 복합된 시설간 연계성 확보에 어려움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으로 공연시설이 복합문화공간으로서 커뮤니티 역할수행 및 공간 활성화를 위해 어떻게 변화되어야 하는지 변화양상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문화시설 중 복합문화공간으로 운영되고 있는 선진 사례로서 국내·외의 다양한 사례를 통해 공간의 변화양상과 활용 현황을 분석하여 향후 국내 복합문화공간으로서 공연시설의 공간에 적용 가능한 공간 활성화 요소를 도출하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이론고찰을 통해 공연시설과 복합문화공간의 주요 개념 및 역할을 파악하고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복합문화공간으로서의 공간 활성화에 대한 방향성을 도출한다. 도출된 개념의 실질적 검증을 위해 국내외 사례대상관을 선정하여 분석한다. 사례로 선정한 기관은 복합문화공간으로서의 활성화 상태를 고려하여 공간현황을 중심으로 선정하였고, 문헌자료, 홈페이지 자료, 인터넷 조사, 현장방문 등의 방법을 통해 공간 활성화에 대한 방향성과 적합성 여부를 확인한다. (결과) 사례대상관의 공간현황을 분석한 결과 공간배치 특성에 관한 요소로 공간의 기능적 융합 및 공간 활성화를 도모할 수 있는 융합성, 시각적 특성에 관한 요소로 물리적 공간의 개방을 통한 개방성, 공간의 기능적 특성에 관한 요소로 공간 기능적 명확한 개념을 갖는 개념성이 도출되었다. (결론) 복합문화공간의 역할을 수행하는 공간으로 변화하기 위해서는 문화시설 간 단순 복합화가 아닌 문화예술의 향유를 더불어 일상 속 다양한 행위들이 가능한 공간으로서 공간의 기능이 통합되어야 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도출된 요소를 국내 공연시설에 적용하여 복합문화공간으로서 역할을 재정립하는 것을 더불어 공간의 변화가 일어나 소통을 중심으로 하는 공간을 대중에게 제공하여 공연시설의 위상 제고와 활성화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유휴산업시설을 활용한 복합문화공간의 지속운영 가능한 재생 방향 연구 -산업단지 및 폐산업시설 문화재생사업 대상지 중심으로-

        이상균,이금진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9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4 No.7

        (Background and Purpose) According to the paradigm shift in the industry existing industrial facilities are malfunctioning, and they are left idle industrial facilities emerged. The neglected idle industrial facilities have been reduced to local hate facilities that degrade the city's landscape and cause urban degradation. However, idle industrial facilities are of non-physical value, not only in physical form but also as assets that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economic and sociocultural era of the industrial age. In addition, with the increasing interest in modern people's experiential art culture education and the utilization of idle industrial facilities, the 'The Culture Regeneration Business in Industrial Complex and Abandoned Industrial Facilities' is being promoted. The Cultural Regeneration Business aims to recreate the idle space as a place of social value through communication between culture, art, and community, and to expand cultural enjoyment to residents, workers and local artists and revitalize the region. However, there are cases in which regeneration cases with industrial asset value return to idle facilities due to lack of professionalism in operation, lack of will of the operator, and diversity of programs. In this study, we will explore ways to successfully build a social platform centered on a sustainable creative culture that utilizes idle industrial facilities. Investigate the propulsion system and current status of regeneration project sites to derive uniqueness of programs and spaces between each case, and comprehensively analyze and suggest the direction of regeneration that can be operated even after project support. (Method) Through prior research, the concept of a complex cultural space utilizing idle industrial facilities and the value of regeneration are synthesized. Analyze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prior research and case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programs and spaces that affect the sustainability of complex cultural spaces. Cases are classified and analyzed by programs affecting sustainability at ‘The Culture Regeneration Business in Industrial Complex and Abandoned Industrial Facilities.’ (Results) A total of 10 sites were classified into three program characteristics (resident artist support program, commercial facilities, exhibition and education) that affect the sustainability of the complex cultural space. Cases involving both resident and commercial facilities have become stable operations even after the project is completed. (Conclusions) It is important that the renovation process is carried out in stages from the pilot operation program in order to enable the continuous operation of the complex cultural space utilizing idle industrial facilities. After the opening, the residency program will provide professional experiences and educational opportunities, and it should be reborn as a complex cultural space with self-sustainability as a commercial facility. (연구배경 및 목적) 산업발전에 패러다임 변화에 따라 기존 산업시설들이 기능을 상실하고 방치되어 유휴산업시설들이 생겨났다. 방치된 유휴산업시설들은 도시의 경관을 저하하고, 도시쇠퇴를 유발하는 지역혐오시설로 전락하였다. 하지만 유휴산업시설은 물리적 형태뿐만 아니라 산업화시대의 경제적사회문화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하던 자산으로 비물리적 가치가 있다. 이와 함께 현대인들의 체험형 예술문화교육과 유휴산업시설의 활용방안에 대한 관심의 증가로 지역 재활성화를 목표로 ‘산업단지 및 폐산업시설 문화재생 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문화재생사업은 유휴공간을 문화와 예술, 지역사회의 소통을 통해 사회적 가치를 가진 공간으로 재창조하고 주민, 근로자, 지역 예술인에 문화향유 확대 및 지역활성화를 목적으로 한다. 하지만 산업자산의 가치를 갖는 재생사례들이 사업지원이 이후 운영의 전문성 결여, 운영주체의 의지 부족, 프로그램 다양성 등의 문제로 다시 유휴시설로 되돌아가는 사례들이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유휴산업시설을 활용한 복합문화공간이 지속운영 가능한 창의문화 중심의 사회적 플랫폼 구축의 성공적인 결과를 이끌어내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재생사업대상지들의 추진체계 및 현황을 조사하여 각 사례 간 프로그램 및 공간의 특이점을 도출하고 종합 분석하여 사업지원 이후에도 지속운영 가능한 재생의 방향성을 제안하도록 한다. (연구방법) 선행연구를 통해 유휴산업시설을 활용한 복합문화공간의 개념과 재생가치를 종합한다. 선행연구 및 사례의 공간특성을 분석하여 복합문화공간의 지속운영 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프로그램과 공간의 특성을 분석한다. ‘산업단지 및 폐산업시설 문화재생사업’대상지를 지속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프로그램별로 사례를 분류하여 분석한다. (결과) 총 10곳의 대상지를 복합문화공간의 지속운영 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3가지 프로그램특성(입주작가 지원공간, 상업시설, 전시교육)으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입주작가 지원프로그램 및 상업시설을 겸비한 사례가 사업이 끝난 후에도 안정적 운영이 되고 있다. (결론) 유휴산업시설을 활용한 복합문화공간이 지속운영 가능하기 위해서는 시범운영 프로그램부터 리노베이션 과정이 단계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중요하다. 개관 후에는 입주작가 프로그램으로 전문적인 체험교육의 기회를 제공하고 상업시설로 자생력을 갖춘 복합문화공간으로 거듭나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유휴산업시설을 활용한 복합문화공간의 공간적 특성에 관한 연구

        박수린,이정교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8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3 No.6

        (Background and Purpose)As a result of the industrialization process, production facilities that were active in the structural changes of cities were left as idle industrial facilities. Public perception of these facilities is now changing; they are seen as valuable spaces that contain historical features. I would like to propose a direction to utilize diverse cultures through spatial characteristics by reproducing idle industrial facilities with useful value as a multicultural space. (Method) In this study, we draw spatial characteristics of complex cultural spaces utilizing idle industrial facilities through the nine characteristics of the regeneration of idle industrial facilities and the five characteristics of complex cultural space by making a theoretical consideration for the same as previous studies and summarizing the content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historical symbolism, spatial complexity, artistic expertise, participation of culture, and accessibility of place, we select idle industrial facilities in Korea actively operated through various programs on the basis of their being used as complex cultural spaces. We chose five places: Seongsu-dong Daelim Warehouse Gallery Column, Insa-dong Insadong 1 Gil Culture Space, Bucheon art bunker B39, Busan F1963, and Jeollado Wanju Samnye culture art village. Through the case study, we analyzed the current situation and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spaces and drew conclusions by diagramming the analysis contents. (Results) The diagram showed that historical symbolism was the most characteristic of the five characteristic factors, which could be regarded as a basis for a high evaluation of the periodic value of idle industrial facilities. The study suggests the feasibility of using such facilities as complex cultural spaces, as they can bring various contents together through their spatial complexity. As artistic expertise was backed up, participation of culture also increased naturally, there were limitations in accordance with location; the accessibility of places utilized existing idle industrial facilities. For these characteristics, Daelim Warehouse Gallery Column could be regarded as a case well-suited to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complex cultural space utilizing idle industrial facilities as it showed a high level in the multi-faceted area. (Conclusions) This study emphasizes the historical importance of the idle industry and the spatial necessity of the complex cultural space and concludes three points about spatial characteristics. First, it provides the experience of temporality through the value of time, and it becomes a sustainable space resource as educational material. Second, it can express various characteristics of the complex cultural space by utilizing flexible space. Third, users are encouraged to voluntarily participate, thereby enhancing the potential of local development by raising artistic and cultural activities. The complex cultural space utilizing idle industrial facilities is being utilized as a space in which users can participate voluntarily based on the value of the space’s original historical symbolism. (연구배경 및 목적) 탈산업화의 과정으로 도시 내 구조 변화와 함께 생산적 활동을 하던 다수의 생산시설들이 유휴산업시설로 남게 되었다. 이러한 목적성을 다한 유휴산업시설들이 현재는 시대적 역사성을 내포한 가치 있는 공간으로 인식이 바뀌어가고 있다. 활용적인 가치를 가진 유휴산업시설을 여러 가지 목적을 충족시킬 수 있는 복합문화공간으로 재생하여 자발적인 참여를 통해 다양한 예술·문화를 활용할 수 있는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유휴산업시설 재생과 복합문화공간에 관한 선행연구를 통해 이론적 고찰을 하고, 유휴산업시설 재생의 특성과 복합문화공간의 특성을 종합하여 유휴산업시설을 활용한 복합문화공간의 공간적 특성요소 다섯 가지를 도출한다. 그 결과로 역사적 상징성, 공간적 복합성, 예술적 전문성, 문화적 참여성, 장소적 접근성의 다섯가지 공간적 특성 요소를 도출하여 각 사례에 적용한다. 사례분석으로 국내 유휴산업시설이 복합문화공간으로 활용된 사례를 바탕으로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활발하게 운영 중인 곳으로 선정한다. 성수동 대림창고 갤러리 컬럼, 인사동의 인사1길 컬처 스페이스, 부천 아트벙커 B39, 부산 F1963, 전라도 완주 삼례문화예술촌의 다섯 장소를 선정하여 현 상황과 공간적 특성을 분석하여, 분석결과를 다이어그램 화하여 소결을 도출한다. (결과) 사례 분석 결과는 다섯가지 특성 요소 중 공통적으로 역사적 상징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유휴산업시설에 대한 시대적인 가치를 높게 평가한다고 볼 수 있다. 다음으로 높게 나타난 공간적 복합성은 다양한 컨텐츠를 한 공간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연계될 수 있는 점에서 복합문화공간의 특성에 부합하여, 적극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특성으로 볼 수 있다. 이어서 문화공간의 가치를 형성하는 예술적 전문성이 기반이 되어야하며 이는 사용자의 관심을 유도하여 자발적인 문화적 참여성을 높인다. (결론) 본 연구는 유휴산업의 역사적 중요성과 복합문화공간의 공간적 필요성을 강조하며, 공간적 특성에 대하여 세 가지로 결론을 내린다. 첫째, 시대적 가치를 통해 시간성의 경험을 제공하여 교육적인 자료로써 지속가능한 공간자원이 되고 둘째, 유동적인 공간의 활용으로 복합문화공간의 특성이 표현되어 다양한 목적을 수용할 수 있으며, 셋째, 작가들과 사용자의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하여 예술·문화 활동을 높여 지역발전의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이렇게 유휴산업시설을 활용하는 복합문화공간은 본래 가지고 있는 역사적 상징성에 대한 가치를 기반으로 사용자들이 자발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복합문화공간으로 활용되고 있다.

      • KCI등재

        유휴산업시설을 재활용한 복합문화공간의 경험 디자인 특성 연구

        최병성,김성군,장청건 한국일러스트레이션학회 2024 일러스트레이션 포럼 Vol.25 No.78

        도시화 과정에서 많은 산업시설이 산업구조의 격변을 거치며 방치되거나 폐기되어 자원 낭비와 환경 파괴를 초래했다. 이와 동시에 경험경제 시대가 도래함에 따라 소비자의 소비관념과 생활방식도 크게 변화하였다. 그들의 공간에 대한 수요는 더이상 기본적인 기능에 만족하지 않고 공간의 품질과 경험을 더욱 중시하게 되었고, 문화예술을 주제로 전시, 판매, 공연, 경험 등의 기능을 갖춘 복합문화공간이 많이 생겨나기 시작하였으며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다. 따라서 현재 도시 혁신과 산업전환의 공통된 주제는 유휴산업시설을 활용하여 창의성과 특색을 가진 공간으로 개조하고, 소비자의 다원화된 수요를 만족시키는 동시에 도시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추진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유휴산업시설의 재생을 활용한 복합문화공간의 경험 디자인 특성을 연구하고, 복합문화공간의 공간경험 향상을 위한 유용한 참고 자료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연구 방법은 다음과 같다. 본 연구에서는 유휴산업시설의 재생가치와 특징, 복합문화공간과 경험 디자인의 개념 및 특성을 수집·분석하기 위해 문헌 조사, 사례분석, 전문가 인터뷰 등의 방법을 활용하고, 이를 바탕으로 유휴산업시설의 재생을 활용한 복합문화공간 경험 디자인의 6가지 핵심 특성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핵심 특성을 통해 국내의 유휴산업시설에서 재생되는 복합문화공간의 고전적 사례에 대한 경험 디자인을 조사하고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선행연구와 문헌 및 사례조사를 통해 유휴산업시설의 재생을 활용한 복합문화공간 경험 디자인의 6가지 주요 특성은 역사 보존성, 기능 복합성, 개방성, 연상성, 감각성, 상호작용성이라는 결론을 얻었다. 유휴산업시설을 복합문화공간으로 전환한 6가지 사례를 분석하고, 각 사례의 경험 디자인을 6가지 특성으로 평가하였다. 조사결과, F1963의 종합점수가 가장 높았고, 성수동 성수연방의 종합점수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나는 등 사례별로 장단점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복합문화공간의 경험 디자인 개선을 위한 제언으로는 주로 역사문화요소와 상호작용 디자인 수단을 추가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기반으로 하여 향후 연구에서는 복합문화공간의 차별화된 다양한 경험 디자인 요소의 활용방안을 보다 구체적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In the process of urbanization, many industrial facilities are idle or abandoned due to the adjustment of industrial structure, resulting in resource waste and environmental damage. At the same time, with the advent of the experience economy, consumers consumption concepts and lifestyles have changed. Their demand for space is no longer just to meet basic functions, but also to pay more attention to the quality and experience of space, under the theme of culture and art, many complex cultural spaces with functions such as exhibitions, sales, performances, and experiences have begun to be created, and the trend is increasing. Therefore, the common theme of current urban innovation and industrial transformation is how to utilize idle industrial facilities and transform them into creative and distinctive spaces, while meeting the diverse needs of consumers and promoting sustainable development of cities. The research method is as follows. In this study, methods such as literature review, case analysis, and expert interviews were used to collect and analyze the value and characteristics of regeneration of idle industrial facilities,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complex cultural spaces, and the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f experience design. Based on this, six key characteristics of the experience design of a complex cultural space utilizing the regeneration of idle industrial facilities were derived. Through these six key characteristics, we investigated and evaluated the experience design of a classic case of a complex cultural space regenerated in a domestic idle industrial facility.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Through prior research, literature, and case studies, it was concluded that the six main characteristics of experience design for complex cultural spaces utilizing the regeneration of idle industrial facilities are historical preservation, functional complexity, openness, association, sensory, and interactivity. Six cases of converting idle industrial facilities into complex cultural spaces were analyzed, and the spatial experience design of each case was evaluated in terms of six major characteristics. As a result of the investigation, it was found that each case had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with F1963 having the highest overall score and Seongsu-dong Seongsuryeonbo having the lowest. This article also made suggestions for improving the experience design of complex cultural spaces, mainly by adding historical and cultural elements and interactive design means. Based on this study, future research will specifically suggest the utilization of various differentiated experience design elements of complex cultural spaces.

      • KCI등재

        복합상업시설 이용자의 소비문화 변화에 따른 공간 특성 연구 - 매개공간을 중심으로 -

        김희현,김용성,송석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2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7 No.8

        (연구배경 및 목적) 도시는 주변의 사회, 자연, 경제 등 영향을 받으면서 발전했고 사람들의 생활과 소비문화가 달라지면서 도시에 가장 많이 생겨나고 발전된 시설은 복합상업시설이다. 시대에 따라 일반적 판매방식에서 문화적 개념을 가지는 공간으로확대되었으며 개념이 변화하면서 시설 이용의 목적보다는 엔터테이먼트 요소를 가지고 있는 공간으로 구성되었고 중간 영역의매개공간도 상업시설의 변화에 따라 다양한 이벤트와 문화, 체험 활동 요소가 생겨나면서 매개공간 자체를 찾는 트렌드가 형성되었다. 매개공간은 중간 영역의 역할만이 아닌 문화생활의 공간으로 자리 잡았고 특성에 따라 이용자의 만족도와 체류 시간에도 영향을 미치며, 공간의 마케팅에 따라 재방문을 유도하는 공간으로 자리 잡고 있다. 시대 변화에 따라 이용자의 소비문화는변화하고 있고 그 변화에 따라 달라지고 있는 복합상업시설의 매개공간을 중심으로 국내 건축물 조사를 통해 매개공간이 어떻게활용되고 있는지 분석하고 결과를 도출해 복합상업시설 매개공간을 계획하는데 기초 자료로 제공하려는 목적을 가진다. (연구방법) 연구의 범위는 서울 지역의 복합상업시설을 중심으로 유통산업 발전법에 따른 연면적 100,000㎡이상인 2000년대 이후 상업시설 중 연구 목적에 맞는 매개공간 이용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건축물 더 현대서울, 잠실 롯데월드 몰, 스타시티 코엑스몰 3곳을 선정해 이용자의 소비문화와 연관되어 매개공간이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 기초 자료와 선행연구를 통해 분석하려고 한다. 분석방법은 기초 자료와 선행연구를 통한 기본정보와 매개공간의 특성을 도출해 각 사례를 분석하고 이를 종합하여 매개공간의 구성과 특징을 파악해 결과를 도출하려고 한다. (결과)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매개공간이 소비문화 변화에 따라어떻게 활용되는지 정확한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매개공간의 특성을 도출해 공간구성, 공간진입, 공간개방, 공간전략, 공간연계를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을 통해 매개공간은 접근성과 인지성을 높여 이용자에게 직접적인 동선의 방향성과 식별성을 높이고엔터테이먼트 요소를 활용해 시각적인 연결로 공간의 연속성을 강조하였다. 매개공간의 위치와 목적, 특성에 의해 이용자들의만족도와 체류 시간에 영향을 미치고 수직적 연결과 수평적 연결로 나뉘어 물리적 요소와 심리적 요소를 활용하는 매개공간은단순히 공간을 연결하는 기능을 가진 공간이 아닌 이용자들에게 하나의 문화 공간이자 작은 도시의 공간으로 이용자들에게 경험과 시간이 직접 연결된 장소로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결론) 복합상업시설은 소비의 목적이 크지만 동시에 문화생활과 체험 요소도 가진 공간으로 이용자를 고려해 매개공간의 활용은 다양한 기능과 성격의 중요성이 높고 매개공간의 구성요소는 단순히 공간을 이어주는 기능보다는 공간과 공간 사이에서 커뮤니티 장소와 문화적 장소로 새로운 기능을 하고 있고 이용자의 다양한 니즈와 경제, 시대적인 성향과 이용자의 소비문화가 반영된 공간으로 변화하는 만큼 매개공간의 활성화 방안에 대한 다양한시각에서 연구가 필요하고 제시되어야 한다.

      • KCI등재

        유휴산업시설을 재활용한 복합문화공간의 친환경성 특성 연구 -친환경적 실내 평가요소 중 재료 및 자원을 중심으로-

        고진우,하숙녕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2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7 No.1

        (연구배경 및 목적) 오늘날 탈산업화 시대로 들어서면서 기존 시설들의 기능이 상실되어 버려진 시설들이 방치되기 시작하면서 수많은 유휴산업시설들이 생겨나기 시작하였고, 이로 인해 도시의 미관을 훼손할 뿐만 아니라 환경문제도 야기시키며 지역의 혐오시설로 전락하고 있다. 결국, 이를 해결하고자 유휴산업시설을 재활용한 공간사례가 계속 증가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대중들의 다양한 문화적인 활동이 활발해지면서 식음, 전시, 체험, 공연을 함께 즐길 수 있는 복합문화공간들이 많이 생겨나고 있다. 특히, 이와 같은 유휴산업시설을 재생한 공간에서의 친환경적 가치는 무엇보다도 에너지 절감을 위한 재료와 자원의 재사용에서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조사된 각국의 친환경적 인증제도들의 평가요소들 중 전 세계적으로 영향력이 큰 미국의 LEED와 한국의 G-SEED, 중국의 ESGB를 중심으로 친환경적 실내 평가요소 중‘재료 및 자원’의 항목별 비교분석을 통해 평가기준을 추출하여 분석함으로써 유휴산업시설을 재활용한 복합문화공간에 사용된 재료에 대한 친환경적 특성을 제시하는데 의의가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의 범위는 최근 10년간 산업구조의 변화로 방치된 유휴산업시설을 재활용하여 복합문화공간으로 재탄생된 한국와 중국의 사례들로 한정하였으며, 연구방법으로는 유휴산업시설의 개념 및 재활용 가치, 복합문화공간의 정의와 공간구성에 대한 문헌을 고찰하고 국내외 녹색건축 인증제도들을 분석을 통해 '재료 및 자원' 평가 기준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평가기준들을 각 사례들에 적용하여 재료 및 자원 부분의 친환경적 특성과 가치를 분석한다. (결과) 한ㆍ중 유휴산업시설을 재생한 복합문화공간들에 적용된 재료 및 자원의 친환경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 에너지 절감을 위한 기존 건물의 주요 구조부 재사용, 건물 내부의 비내력벽 요소들의 재사용, 재활용 및 재사용 자재 사용, 친환경 인증 자재 및 제품의 사용이 중요한 친환경 평가 항목으로 조사되었다. (결론) 본 연구는 유휴공간을 활용한 복합문화공간 사례들에 적용된 재료들의 친환경적 평가를 통해 특성을 파악함으로써 유휴공간을 다시 활용했음에도 불구하고 공간에 사용된 재료들의 친환경성을 재확인할 수 있었으며, 추후 유휴시설들을 재활용함에 있어 친환경 재료의 적극적인 사용으로 현시대가 요구하는 지속가능한 공간으로 거듭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폐산업시설을 활용한 일본의 복합문화공간 구성 요소-가나자와시민예술촌과 아카렌가소고를 중심으로

        송현지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4

        Components of Japan’s Complex Cultural SpaceUsing Abandoned Industrial Facilities- With Focus on the Kanazawa Citizen’s Art Centerand Aka-Renga Soko in JapanHyunji Song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complex cultural spaces using abandoned industrial facilities. The method of study is a case analysis using five elements: Path, Edge, District, Node, and Landmark to build Kevin Lynch’s urban image. The complex cultural space using abandoned industrial facilities identifie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pace, focusing on the cases of Kanazawa Citizen’s Art Center and Aka-Renga Soko in Japan. The types of five elements shown in each case are summarized. It was found that Kevin Lynch’s five elements exist in the complex cultural space using abandoned industrial facilities, and the time spacial sequence and spacial placeability are created through their combination. In addition,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can be a basis for planning a complex cultural space using abandoned industrial facilities. Key Words: Spatial Sequence, Abandoned Industrial Facilities, Complex Cultural Space, Kevin Lynch, Case Study 폐산업시설을 활용한 일본의 복합문화공간 구성 요소-가나자와시민예술촌과 아카렌가소고를 중심으로송 현 지* 연구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폐산업시설을 활용한 복합문화공간의 사례를 통해 특성을 살펴보았다. 연구 방법: 연구 방법은 케빈 린치의 도시 이미지를 구축하기 위한 5가지 요소[도로(path), 경계(edge), 지역(district), 집중점(node), 랜드마크(landmark)]를 활용하여 사례를 분석하였다. 연구 내용: 폐산업시설을 활용한 복합문화공간의 사례는 일본의 가나자와 시민예술촌(Kanazawa Citizen’s Art Center)과 아카렌가소고(Aka-Renga Soko)를 중심으로 공간별 특성을 파악하였다. 각 사례에서 보이는 5가지 요소의 유형을 정리하였다. 결론 및 제언: 폐산업시설을 활용한 복합문화공간에서 케빈 린치의 5요소가 존재하며 이들의 조합을 통해 공간의 시간적 연속성 및 장소성을 창출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본 논문은 폐산업시설을 활용한 복합문화공간계획을 위한 토대가 되었으면 한다. 핵심어: 공간 연속성, 폐산업시설, 복합문화공간, 케빈 린치, 사례 연구 □ 접수일: 2021년 11월 22일, 수정일: 2022년 8월 3일, 게재확정일: 2022년 8월 20일* 목원대학교 조교수(Assistant Professor, Mokwon Univ., Email: designerhjs@gmail.com)

      • KCI등재

        글로벌 융합 시대의 문화시설 운영방안 연구

        오정심(Oh Jung-shim) 인문콘텐츠학회 2009 인문콘텐츠 Vol.0 No.15

        이 글은 글로벌화와 디지털 융합 현상의 확산에 따른 사회와 문화의 환경적 변화를 주목하고 변화하는 시대적 요구에 부합하는 문화시설 모습과 운영방안을 살펴본 연구이다. 문화시설은 인간의 문화예술 활동이 살아 숨 쉬는 공간이자 인간의 문화적 욕구를 충족시켜주는 공간으로 인간 삶의 질을 결정하는 중요 요소이다. 문화시설의 기능과 역할은 시대적 상황에 따라 변화와 발전을 거듭하였는데 이는 사회가 문화시설에 부여하는 요구와 사명이 시대마다 달랐기 때문이다. 최근 글로벌 융합 패러다임의 확산에 따른 사회와 문화의 환경적 변화는 과히 혁명적인 것으로 문화시설은 인쇄기술의 발달과 시민의식 등장 이후 또 한 번의 큰 전환기를 맞게 되었다. 따라서 글로벌 융합 패러다임 확산에 따른 사회와 문화의 변화 양상을 고찰하고 글로벌 융합 시대의 문화시설 모습과 운영방안을 살펴보는 것이 필요하다. 글로벌 융합 시대의 문화시설의 운영방안을 살펴보기 위해 이 글의 1장에서는 글로벌 융합 시대 도래에 따른 사회와 문화의 환경적 변화 양상을 고찰하고 2장에서는 문화시설의 기능과 시대적 변화를 이해하고 3장에서는 글로벌 융합 패러다임 확산에 따라 새롭게 등장하고 있는 융ㆍ복합 문화시설의 모습과 특징을 살펴본다. 4장에서는 3장에서 고찰한 내용을 바탕으로 글로벌 융합 시대의 문화시설의 운영방안을 제언, 계획해 본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hanges in the cultural environment resulted from globalization and digital convergence, and looks into a cultural facility trying to meet the demands of the changing social and cultural environment. A cultural facility is a place where human cultural artistic activities reside, and that fulfill cultural desire of the people. The functions and roles of the cultural facility went through several phases of changes and developments according to the circumstances of the times. The recent revolutionary change of the cultural environment caused by global convergence is imposing a significant assignment to renovate the cultural facility on it. Chapter 1 explains the changes of the cultural environment resulted from global convergence. Chapter 2 examines the developmental trend of the facility. Chapter 3 discusses features of the cultural facility complying with global convergence, and introduces foreign cases of establishing and managing futuristic cultural facility from an early time. Chapter 4, to substantiate the contents of Chapter 3, makes plan for managing a cultural facility in the age of global convergence and looks into the case of establishment and management of Asian Culture Information Agency within the Asian Culture Complex, whose establishment is under progress by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 KCI등재

        방과 후 활동을 위한 복합문화공간에 관한 연구

        강신천,정현용 한국방과후학교학회 2023 방과후학교연구 Vol.10 No.1

        이 연구는 태안의 교육공동체가 복합문화공간에서 국가 공인 기록의 측정과 방과 후 활동을 연계할 수 있는 수영장의 신설, 부대시설, 운영에 대한 인식과 요구를 도출하고, 방과 후 활동을 위한 복합문화공간의 신설과 운영에 대한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는 문헌연구와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조사 대상은 태안군 교육공동체의 구성원으로 학생 83명, 학부모 77명, 교사 84명, 학교 관리직 및 전문직 50명, 전체 294명으로 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로 첫째, 복합문화공간에 수영장 설치는 태안 교육공동체의 경우 방과 후 활동으로 수영에 관심(약 42%)이 있고, 배우고 하는 욕구(약 60%)가 있어 방과 후 활동을 연계할 수 있는 수영장이 필요하다고(약 76%) 인식하고 있다. 둘째, 복합문화공간 내 부대시설은 수영장 외에 공연 및 전시, 미디어 체험 등의 문화예술 활동 공간, 동아리와 커뮤니티 활동 공간, 생활 연계형 실습 및 강의 공간 등 부대 시설(약 90%)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다. 셋째, 복합문화공간의 운영은 평일 및 주말 상시에 시설 개방과 운영(약 80%), 예약 등은 온라인이나 앱(약 84%)으로 하고, 방과 후 활동뿐만 아니라 학교 교육활동 시간에 교육과정과 연계하여 운영(약 92%)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다. 태안의 교육공동체는 복합문화공간의 신설과 운영에서 고려할 문제로 첫째, 복합문화공간의 신설을 위한 마스터플랜 수립 연구, 둘째, 복합문화공간 부지의 면밀한 분석, 셋째, 민·관·학·연이 함께 참여하는 거버넌스, 넷째, 프로그램 운영 전략 등이 요구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