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세계유산 강화 고인돌의 현황과 보존·활용 방안 : 시지정 문화재를 중심으로

        이화종(Lee, Hwajong),이정철(Lee, Jungchul) 호서고고학회 2022 호서고고학 Vol.- No.51

        청동기시대의 거석 기념물이자 대표적인 묘제로 알려져 있는 고인돌은 우리나라 전역에 분포하고 있으며, 다양한 형식과 밀집된 분포를 기반으로 세계적으로 가치를 인정받아 고창·화순·강화의 고인돌이 2000년 12월 2일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다. 특히 강화 고인돌은 섬이라는 제한적인 공간에 분포하고 있지만, 한반도의 청동기시대 문화연구에 있어 중요한 연구를 제공하고 있다. 강화의 고인돌은 일제 강점기의 조사와 연구를 시작으로 최근까지 지속되고 있다. 특히 최근 고인돌과 관련된 연구는 문화자원으로서의 보존과 활용을 위한 연구로 확장되고 있지만, 강화도의 고인돌에 대한 보존과 활용 현황에 대한 연구는 충분이 이루어졌다고 말하기 어렵다. 따라서 이번 연구에서는 강화도 고인돌의 보존관리 현황을 기반으로 관리를 위한 방안과 함께 사회적 자원으로서의 활용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강화도의 고인돌은 2000년 세계유산으로 등재와 함께 보호 및 보존되고 있어 대체적으로 양호한 보존관리 상태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양호한 보존관리에 비해 사회적 자원으로 적극적으로 활용되지는 못하고 있다. 강화 고인돌을 사회적 자원으로 보존 및 활용하기 위해서는 명확한 목적과 목표를 가진 조사와 연구를 통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고 이를 기반으로 보존 및 활용의 전략이 필요하다. 관리의 측면에서는 부분적인 보수 및 수리와 함께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유적 주변의 역사문화경관의 회복 측면에서 지장물의 철거가 필요하다. 제도적 측면에서는 이른바“빗금 1구역”을 문화재보호구역을 설정하여 보존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보존 및 관리와 함께 적극적인 역사문화자원으로서의 활용을 통해 사회적 가치의 증진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지역 중심의 활용프로그램과 함께 세계문화유산 축전, 고인돌 축제 등을 추진하여 강화 고인돌 유적의 가치를 증진하여야 할 것이다. Dolmens, which are known as megalithic monuments and representative tombs in the Bronze Age, are distributed throughout Korean peninsula. Based on the values formed by their diversity and dense of the distribution, it was nominated as World Heritage Site with Dolmen in Gochang and Hwasun in 2000. In particular, the Ganghwa Dolmen are distributed within an island, and they provide important information to study the Bronze Age in the Korean Peninsula. The dolmens of Ganghwa have been continuously investigated and studied until recent time since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Research related to dolmen in recent years is expanded to preservation and use as cultural resources. It is hard to say, however, that the studies on the management and use of dolmens in Ganghwa Island have been sufficiently conducted. This study, therefore, intends to present a plan for management and utilization of the dolmens as a social resource, based on the current status of dolmens in Ganghwa Island. The dolmens of Ganghwa Island were nominated as a World Heritage Site in 2000 and are protected and preserved, so they are generally in good condition of conservation and management. However, compared to such good conservation management, it is not actively used as a social resource. In order to preserve and use the dolmens as a social resource, a strategy of preservation and utilization is needed to create new values produced by academic investigation and studies with clear research objectives and goals. In terms of management, continuous monitoring should be carried out along with partial repairs, and in terms of restoration of the historical and cultural landscapes around the sites, it is necessary to remove possible the threat. In the administrative aspect, there is a need for a plan to preserve the so-called Bitgeum 1 Zone by establishing a cultural property protection zone. In addition for preservation and management, it is necessary to promote social values through active use as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To this end, it is necessary to promote the value of the relics of Ganghwa Dolmen by promoting a world cultural heritage festival and a dolmen festival along with a regional application program.

      • KCI등재

        전북지역 보존유적의 현황조사를 통한 활용성 및 개선방안 연구

        위광철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2023 보존과학회지 Vol.39 No.4

        매장문화재의 보존조치 결정은 학술적, 역사적 가치에 따라 문화재청장이 결정하지만, 이전복원 후 체계적인 보존관리와 접근성 및 활용적 측면에서는 재검토할 필요가 있는 부분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라북도 지역에 보존조치된 29건의 보존유적에 대한 현황조사와 실사를 통해 보존 및 활용방안, 개선해야 할 부분을 제시해 보고자 하였다. 조사 결과 이전복원 방법의 기술적 문제점과 접근성 및 활용성의 문제, 체계적인 관리 시스템의 부재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점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이전복원에 사용되는 재료와 보호각의 공학적 연구 등이 새롭게 이루어져야 하고, 다양하게 분포되어 있는 보존유적을 도심지 유적 전시관 또는 박물관 등으로 다시 이전해 접근성과 활용성을 증대시킬 필요가 있다. 또한 국가 중심의 보존 관리 체계가 구축되어야하며, 지정 및 등록 문화재에 준하는 제도적 개선을 통해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보존관리 시스템이 기반이 되어야 한다. 이를 통해 보존유적의 가치와 역사 인식을 높일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다. The decision on conservation measures for buried cultural properties is made by the Administrator of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based on academic and historical value, but there are areas that need to be reexamined in terms of systematic preservation management, accessibility, and utilization after relocation and restoration. Accordingly, this study attempted to suggest ways to preserve and utilize, and areas that need to be improved, through a survey and inspection of the current status of 29 preserved ruins in the Jeollabuk-do region. As a result of the investiga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ere technical problems with the previous restoration method, problems with accessibility and usability, and the absence of a systematic management system. In order to improve this, new engineering studies on materials and protective angles used in restoration must be conducted, and accessibility and usability must be increased by relocating the variously distributed preserved remains to urban heritage exhibition halls or museums. There is. In addition, a country-centered conservation management system must be established, and a scientific and systematic conservation management system must be based on institutional improvements equivalent to designated and registered cultural properties. This can provide an opportunity to increase the value of preserved ruins and historical awareness.

      • 역사경관의 보존 및 활용 -사적 및 기념 건조물을 중심으로-

        ( Jong Hee Choi ),( Won Ho Lee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2010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 Vol.8 No.-

        사적의 조정은 유구의 보존을 최우선으로 하면서 그 유구를 일반인이 접근하기 쉽고 이해하기 쉽도록 활용하는 것으로, 첫째, 사적의 현 상태를 실측·기록하여 보존하는 것이 최우선이다. 둘째, 사적의 조정에는 그 상황과 성격에 따른 조정방법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셋째, 사적의 보존과 활용을 위한 기준으로서 동아시아 사적 보존활용을 위한 원칙과 지침이 필요하다. 넷째, 역사경관에서의 사적 및 기념건조물의 조정(Intervention) 유형은 다음과 같다. 1. 유구 노출정비는 유구들을 폐허 상태로 혹은 발굴조사된 상태대로 노출시키는 것을 말한다. 2. 유구 보호시설의 설치는 사적 내의 유구를 폐허의 상태 혹은 발굴조사 상태로 노출하고자 할 때 또는 수리, 보강만으로 그 훼손을 막을 수 없는 경우에 설치한다. 3. 복토정비는 사적 내의 유구를 보호하기 위하여 유구를 노출시키지 않고 토시 등으로 덮어 유구를 보호하는 방법이다. 4. 수복은 사적의 보존과 활용에 있어서 오랜 시간이 지나 사적 내의 건축물 등이 무너진 것들을 다시 세우는 것을 일컫는다. 5. 복원은 학술적 연구를 통한 고증을 전제로, 사적이 갖는 원형 혹은 역사적 가치가 상실된 경우에 있어서 원래의 모습 혹은 역사적 특정 시기의 모습으로 전체 또는 그 일부를 되찾는 행위라고 정의할 수 있다. 복원에는 1) 기단복원, 2) 일부복원 3) 전체복원이 있다. 6. 사적의 보존 활용에는 역사적 의미를 갖는 개별적인 사적 자체뿐만 아니라, 사적을 비롯한 그 주변의 환경을 보존대상에 포함시켜 보존, 활용함으로써 사적이 갖는 역사성과 의미를 보다 명확히 전달하기도 한다. 여기서 지구정비 개념이 필요하다. 7. 재현의 사전적 의미는 "다시 나타냄"이다. 따라서 사적의 보존과 활용에 있어서는 재현은 사적의 본래 모습을 현재에 다시 나타내는 것을 의미한다. Conservation of relics is the first priority in intervention of historical site, and the relics have need of promotion to approach and understand easily. The first, the most important things are survey, record and conservation of current condition of historical site. The second, grasp of intervention method that is followed by condition and character of historical site is important in intervention of historical site. The third, rules and guidelines for conservation and promotion of relics of East Asia are needed as a criterion for conservation and promotion of relics. The forth, the types of invention for the historic sites and the monuments in historic landscape are as follows. 1. The maintenance of exposed remains is a method to expose remains as ruins or the state of excavation survey. 2. When expose a remains as ruins or a state of the excavation survey or when we can`t prevent the remains against damages by reinforcements and repair, we might install the protective facility for the remains. 3. The earth-covered maintenance is the one of method that the remains is buried under the ground with earth not to be exposed so that to preserve the remains in the historic sites. 4. The rehabilitation is the one of method that after long time, the relics or monuments in the historic site is rebuilt. 5. On the premise of the scientific historical investigation, the restoration is a activity that the whole or parts of body is recovered a original state orstate in the particular moment if it already was damaged. The restora- tion is classified as follows 1) The restoration of a foundation, 2) The restoration of a part, 3) The restoration of entirety. 6. A historicity and a significance of historic sites can get across clearly as conservation not only a unit of the relics but also the environment surrounded the relics in the side of conservation and utilization of historic landscape, at this moment, the concept of District Maintenance is required. 7. A dictionary definition of a reconstruction is that "The reappearance of someone or something is their return after they have been away or out of sight for some time.". Therefore at the side of conservation and utilization of historic landscape, the reconstruction is recognized that a original from of the relics can be shown at the present day.

      • KCI등재

        역사적 건축물의 보존⋅활용에 대한 민간비영리조직 (NPO)의 활동 분석 및 과제

        박철희(Park, Cheol-Hee) 한국도시설계학회 2012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13 No.6

        역사적 건축물의 보존은 일반적으로 공공역역에서 담당하여 왔으나, 보존이 필요한 역사적 건축물의 양적 증대와 다양화로 인하여 민간차원에서의 적극적인 참여가 필요한 시점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역사적 건축물 보존?활용과 근린공동체 활성화를 위해 활동 중인 미국의 히스토릭 보스턴사(HBI)의 사례연구를 통하여 국내에서도 역사적 건축물의 보존과 활용에 대한 NPO의 활동방향을 제안하는데 있다. 연구결과, HBI의 활동은 국내 NPO활동에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었다. 첫째, 보존과 정비가 필요한 역사적 건축물을 취득하여 정비, 복원한 후에 이를 다시 매각 또는 임대하여 활용하고, 매각된 대금을 다시 역사적인 건축물을 보존?활용하는데 사용하는 회전기금 사업방식을 도입할 필요가 있다. 둘째, 보존지역권 제도의 도입을 통해 보존사업의 효율성을 제고할 필요가 있다. 셋째, 역사적 건축물의 보존?활용을 근린공동체의 재생, 강화, 활성화와 연계시킬 필요가 있으며, 넷째, 역사적 건축물 보존과 활용에 있어 다양한 기관과 협력을 위한 전문성 확보 및 보존사업 효과의 극대화를 위해 지역의 리더들과 함께 해야 하며, 향후 국내에서도 HBI와 같은 역사 NPO의 활동이 활성화되길 기대한다. The preservation of historic buildings in Korea has been considered to be the responsibility of the public sector. Recently, however, due to the increasing number of buildings to be preserved as well as the diversification of historic buildings induced the private sector to take a part in the preservation activ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k the direction of NPO?s activity in Korea on the preservation by analyzing the cases of Historic Boston Incorporated(HBI) which has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preserving historic buildings and activating local community by utilizing those buildings. The activity of HBI provides following implications on domestic NPO activity. First, on-going stewardship, in which the profit from selling or leasing the preserved buildings is reinvested to preserve and reuse historic buildings, needs to be brought in. Secondly, the efficiency of preserving historic building business should be improved by adopting the preservation easement. Third, the preservation and reuse of historic buildings should be connected with the regeneration, reinforcement and revitalization of communities. Fourth, regional leaders must participate in preserving and reusing historic buildings in order to maximize the effects of preservation business.

      • KCI등재

        강화 정족산성진지의 보존관리 및 활용 방안 연구

        김우웅 백산학회 2023 白山學報 Vol.- No.127

        Jeongjoksanseong Fortress Site is an important defense facility established after the mid-Joseon Dynasty for the purpose of protecting the Jungjoksan sago. Through the excavation survey in 2008~2009, most of the building sites such as Naesa, Jinsa, Sindang, Poryanggo, and Heincheong, as well as stonework, fence facilities, and drainage facilities, were identified on the map of 『Jeongjoksanseong Fortress Site』. In this paper, we analyzed the current status and conditions of the natural and geographical environment of the Jeongjoksanseong Fortress Site, the archaeological historical environment, the status of surrounding cultural properties, excavation survey, and maintenance of the ruins, and analyzed the preservation and utilization cases of domestic and foreign architectural ruins. Since the nature of the ruins is clear and the condition is good, the plan form according to the use of each building site is clearly identified. Therefore, we selected the restoration and maintenance target building site considering the utilization and proposed restoration, maintenance and utilization plan. First of all, in order to select the object of restoration and maintenance, the site for restoration and maintenance was selected by setting the selection criteria such as 1) whether the results of the excavation survey match the document record, 2) the planar shape is clear and the superstructure can be checked, 3) the usability is large, 4) the symbolism as the central building site, and 5) the surrounding landscape such as Jeondeungsa Temple is not damaged. The restoration targets are Jinsa, Eeast‧West Poryanggo, and the main gate, and the maintenance targets are building sites such as Naesa, North Poryanggo 1, North Poryanggo 2, Sindang, Haincheong, Building Site 8, Building Site 9, as well as fence facilities, drainage facilities, and surrounding maintenance. Jinsa, the object of restoration, is the central building of the Jeongjoksanseong Fortress Site, and was selected as the object of restoration because the excavation survey results and the document records are consistent, the flat form is clear, the symbolism is excellent, The main gate was selected as a restoration target because it has a clear plan shape as well as a coincidence between the excavation survey results and the document records, and because it is located in the main entrance and has symbolism. East‧West Poryanggo was selected for restoration because it has excellent usability as a patriotic history museum. Among the building sites subject to maintenance, the building site expressed on the map of 『Jeongjoksanseong Fortress Site』 is an important defense facility established after the mid-Joseon Dynasty for the purpose of protecting the Jungjoksan sago. Through the excavation survey in 2008~2009, most of the building sites such as Naesa, Jinsa, Sindang, Poryanggo, and Heincheong, as well as stonework, fence facilities, and drainage facilities, were identified on the map of 『Jeongjoksanseong Fortress Site』 has a clear planar shape and cornerstone Reorganized using the "Phenomena Preservation + Stone Exposure"’ method. Building site 9 (presumed to be a Jeongjoksan Seongjin before Jeongjoksan Seongjin) was intended to be differentiated from the Jeongjoksan Seongjin building site by restoring the overall soil and preserving the phenomenon, which was identified in the excavation survey and was not seen in the literature record. However, building site 8 (presumed to be a Jeongjoksan Seongjin before Jeongjoksan Seongjin) was reorganized with a "Phenomena Preservation + Stone Exposure" method, even though it was not seen in the literature record, to show the overlapping appearance with the east poryanggo, which is the target of restoration. The fence facility shall be maintained to the height at the time of the excavation survey so that the area of the JeongjoksanSeongjin site and the space within the site can be recognized. Restoration buildings such a... 정족산성진은 정족산사고를 수호할 목적으로 조선중기 이후 설치된 중요한 국방시설로, 2008~ 2009년 발굴조사를 통하여 19세기 후반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정족산성진」 지도에 표현된내사, 진사, 신당, 포량고, 하인청 등 대부분의 건물지와 석축, 담장시설, 배수시설 등을 확인하였다. 본고에서는 정족산성진지의 자연‧지리 환경, 고고 역사 환경, 주변 문화재 현황, 발굴조사 및 유구 정비 등 현황 및 여건 분석하고, 국‧내외 건축유적 보존 및 활용 사례를 분석하여 보존 및 활용의유형을 살펴보았으며, 유구의 성격도 명확하고 그 상태도 양호하여 각 건물지별 용도에 따른 평면형태가 명확하게 확인되고 있으므로 활용을 고려하여 복원과 정비 대상 건물지를 선정하고 복원‧정비 및 활용 방안을 제안하였다. 우선적으로 복원‧정비 대상을 선정하기 위하여 1) 발굴조사 결과와 문헌기록 일치 여부, 2) 평면형태가 명확하여 상부구조 고증이 가능한 것, 3) 활용성이 큰 것, 4) 중심 건물지로 상징성이 있는것, 5) 전등사 등 주변 경관을 해치지 않을 것 등 선정기준을 정하여 복원‧정비 대상 건물지를 선정하였다. 복원 대상은 진사, 동‧서 포량고, 대문이며, 정비 대상은 내사, 북 포량고1, 북 포량고2, 신당, 하인청, 건물지8, 건물지9 등 건물지와 담장시설, 배수시설, 주변 정비 등이다. 복원 대상인 진사는 정족산성진지의 중심건물로 발굴조사 결과와 문헌기록이 일치함은 물론 평면형태도 명확하고, 상징성, 호국역사관으로의 활용성 등이 뛰어나므로 복원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대문은 발굴조사 결과와 문헌기록이 일치함은 물론 평면형태도 명확하고 주진입부에 위치하여 상징성이 있으므로 복원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동‧서포량고는 호국역사관으로의 활용성이 뛰어나므로복원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정비 대상 건물지 중 「정족산성진」 지도에 표현된 건물지는 전체적으로 평면형태와 초석 자리가명확하므로 ‘현상보존+초석노출’ 방법으로 정비하며, 발굴조사에서 확인되었으나 문헌기록에 보이지 않는 건물지9(정족산성진 이전의 정족창으로 추정)는 전체적으로 복토하여 현상보존함으로써정족산성진 건물지와 차별화하고자 하였다. 하지만, 건물지8(정족산성진 이전의 정족창으로 추정) 은 문헌기록에 보이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현상보존+초석노출’ 방법으로 정비하여 복원 대상인 동포량고와 중첩된 모습을 보여주고자 하였다. 담장시설은 정족산성진지의 영역 및 진지 내의 공간을인지할 수 있도록 발굴조사 당시의 높이 정도로 정비한다. 진사, 동‧서 포량고 등 복원건축물은 호국역사관으로 활용한다. 호국역사관은 정족산성, 정족산사고, 정족산성진 및 전등사의 역사, 발굴조사 기록 및 유물 전시, 수장 공간 등으로 활용한다. 향후정족산사고에 ‘조선왕조실록 정족산사고본‘ 원본의 반환이나 영인본의 보관을 가정한다면, 현재 정족산사고에 보관 중인 ‘『묘법연화경』 목판’ 104매를 이전‧보관할 수 있을 것이다. 진사 앞마당은각종 문화행사 장소로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유적을 찾는 관람객을 위한 관람로 조성 및 안내판 설치로 유적으로의 접근성 강화, 휴게 및 화장실 등의 편의시설 설치, 각종 매체를 활용한 발굴성과 홍보 등 활용은 쉽고 작은 것부터 실천하는 것이 중요하다. 정족산성진지 발굴유구에 대한 고증 심화연구와 발굴조사 및 ...

      • 고창 칠암리 전방후원형 고분의 보존과 활용 방안

        신민철 전북연구원 전북학연구센터 2024 전북학연구 Vol.11 No.-

        본 글은 향토문화유산 고창 칠암리 고분의 보존과 활용 방안을 검토하기 위한 목적으로 작성되었다. 본격적 논의에 앞서 이 유적이 전북특별자치도의 유일한 ‘전 방후원형 고분’이자 한반도 서남부지역에 축조된 전방후원형 고분 분포의 북쪽 한 계를 명확하게 드러내는 곳임을 설명하면서 보존 현황과 문화재적 가치를 검토하 였다. 다음으로 전방후원형 고분의 보존과 활용례를 살펴보았다. 우리나라 13개, 일본 의 2개 사례를 토대로 보존, 정비, 홍보, 활용 등 다양한 방법을 유적에 적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무엇보다도 문화재 가치를 드러내기 위한 주변 정비, 관람객 접근 개선 등이 이루어지면 사적, 기념물 등 국가·시도 지정문화재 지정에도 도움 을 줄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마지막으로 고창 칠암리 고분의 보존과 활용에 필요한 전략을 제시하였다. 유적 발굴조사는 보존과 활용의 출발점이며, 조사 후 보존은 잔디식재와 외부 펜스 설치 를 포함한 주변 환경 정비가 최우선임을 설명하였다. 또 관광지로서의 유적 활용·방문은 누리집 검색과 내비게이션에 의존하는 상황이므로 관람객을 맞기 위한 준 비도 철저하여야 할 필요성을 언급하였다. 마지막으로 <문화재보호법>의 <국가유 산기본법> 개정에 따라 비지정문화재를 적극적으로 관리, 보호하는 문화재 활용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This article was written for the purpose of reviewing the preservation and utilization of the keyhole-shaped tomb in Chilam-ri, Gochang, a local cultural heritage. Prior to the full-scale discussion, the preservation status and cultural value of the tomb were reviewed, explaining that it is the only keyhole-shaped tomb in Jeollabuk-do and the sites clearly indicate the northern limit of the distribution of keyhole-shaped tombs built in the southwest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Next, cases of preservation and use of keyhole-shaped tombs were examined. Based on 13 cases in Korea and 2 cases in Japan, it was confirmed that various methods such as maintenance, utilization, promotion, and preservation can be applied to the sites. Above all, it was argued that if the surrounding maintenance and access to visitors are improved to reveal the value of cultural properties, it can help to designate national and municipal designated cultural properties such as historical sites and monuments. Finally, the strategy necessary for the preservation and utilization of the Gochang Chilam-ri tomb was suggested. It was explained that the excavation of remains is the starting point for preservation and utilization, and the maintenance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cluding the installation of grass planting and external fences, is important for conservation work. In addition, since the use of the sites as a tourist destination depends on Internet search and navigation, it was raised the need to thoroughly prepare for it. Finally, in the context of actively managing and protecting non-designated cultural properties in accordance with the revision of the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Act, a new possibility of using cultural properties based on this was also suggested.

      • KCI등재

        충남지역 근현대 문화유산의 보존 및 활용방안

        정을경(鄭乙璟) 한국국학진흥원 2019 국학연구 Vol.0 No.40

        근현대 문화유산과 관련한 연구성과는 주로 현재까지 남아 있는 유적과 관련한 현황 파악과 활용방안에 대한 연구가 대부분이다. 이러한 한계는 근대 역사를 콘텐츠로서 활용하는 방안으로 진척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 연구도 근대라는 시기의 특정 사건에 대한 콘텐츠를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종합적인 근대 문화유산에 대한 현황 파악과 활용을 조망하지 못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연구성과가 가지고 있는 특정 사건이나 분야가 아닌 근현대 문화유산을 어떻게 정의할 것인가에 대한 고민을 시작으로 보존 및 활용방안에 대한 광범위한 제안을 하고자 한다. 근현대 문화유산은 공간적인 범위를 현재의 전국으로 설정하고, 부동산과 동산 등의 유형유산을 형태적인 범위로 한정한다. 시대적 범위는 1876년 개항을 기점으로 하되, 근대성을 지닌 유산을 포괄한다. 또한 보존과 수집, 활용대상의 큰 범위는 국가 또는 도시군 단위의 지정문화재, 문화재자료, 등록문화재로 지정되지 않은 것으로 한정하여야 한다. 여기서 가장 중요한 점은 해당 지역을 대표하는 사건, 인물, 장소, 양식, 건축 등과 관련하여 지역민이 공감할 수 있다는 점에 주안점을 두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더 나아가 각 지역의 명물로서 미래세대에 전승할만한 가치가 있다고 판단되는 유형의 것으로 설정해야 한다. 이러한 기준에 입각하여 충남의 근현대 문화유산을 대상으로 한 근현대문화유산의 보존방안은 예비문화재나 등록문화재로 포괄하는 제도 정비, 지속적인 보존과 활용을 염두에 둔 아카이브 및 콘텐츠 활용, 주민이나 주민단체가 스스로 진행할 수 있는 보존활동 등을 제안하였다. 또한 이들을 대상으로 한 근현대 문화유산의 활용방안으로는 문화상품개발, 지역 특산품을 관광화로 연계, 무형문화유산의 가치 제고, 매핑과 온라인서비스, 관광버스, 사진활용, 해상 관광 루트 연계를 통한 여행 및 관광으로의 활용, 상업공간, 여행자 숙소, 교육문화공간, 시민동호회 활동 지원을 통한 공간 활용, 스토리텔링 발굴, ‘주제’를 갖는 마을 조성, 웹툰 제작, 지역재생 등의 방안을 제안하였다. Research outcomes related to modern cultural heritages are almost about grasping and application of current situation related to relics that are remained at present. The limits were promoted as a measure utilizing modern history as contents. However the object of this research was contents related to particular accident of the modern times, so it did not investigate grasping and utilization of current situation for general modern cultural heritages. This research intends to give broad suggestion about preservation and application after the start of worries about the method to define modern cultural heritages, particular accident or field of existing research outcomes. Modern cultural heritages set spatial range as the whole country of the present and restrict tangible heritages such as real estates, movables, etc. as typical range. Periodical range should be on the base of port opening of 1876, but include heritages with modern periodicity. In addition, the big range of preservation, collection, and application objects should restrict what are not nominated as nominated cultural heritages, cultural heritage materials, and registered cultural heritages of country or city units. The most important thing is that residents may sympathize in relation to accidents, persons, places, styles, constructions, etc. representing the area. Furthermore, it should set the types judged to have the value of transferring to the future generation as famous one of each area. In consideration of the standard, preservation of modern cultural heritage for modern cultural heritage of Chungnam suggested arrangement of systems including preliminary cultural heritage and registered cultural heritage, archive and contents activity considering continual preservation and application, preservation residents or their groups can progress for themselves, etc. Also, as applications of modern cultural heritage for them, development of cultural products, relation between regional special products and tourism, improvements of the value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mapping and online service, application of tourism bus and photo, application of trips and sightseeing by relating to marine sightseeing route, commercial space, tourist lodging, space of educational culture, application of the space through supports of citizen community activity, excavation of storytelling, creation of the village with ‘subject’, production of webtoon, and regional reproduction, etc. were suggested.

      • KCI등재

        근래 문화재 관련 정책 동향과 ‘활용주의’ 대두 현상에 관한 고찰

        양옥경 한국민요학회 2016 한국민요학 Vol.47 No.-

        The philosophy of the “Cultural Properties Protection Law”, which is the highest ranked law among the original laws dealing with cultural heritage, is summarized as a ‘protection-preferential policy’ designed to ‘prevent the destruction of tangible and intangible cultural assets, which embody the identify of the Korean people, as well as protect and spread these assets’. This philosophy established with the Cultural Properties Protection Law, having continued without change for over half a century, has kept cultural asset policy hamstrung. Having been revised more than 40 times, it is nonetheless difficult to find a passage anywhere in the law in its current state that emphasizes its role or perception as a means for achieving overall growth, either culturally, economically, or politically. However, since 2000, there has been a clear change seen in the meaning and value of cultural assets than those from the past. To briefly summarize this phenomenon, it could be described as a move from ‘protection-centered to application-centered’. Likewise, this trend has been expanding as a discourse of cultural asset application under the leadership of public institutions. To be precise, ‘application’ is already included within the area of ‘transmission’. How would transmission over such a long period of time be possible without it being applied? Despite this, however, this recent scenario where only ‘application’ given any strength shows the current social perspective and perception of cultural assets. Therefore, this paper focused on examining the values and importance within which the legal, institutional and social perception surrounding cultural assets are developing, and particularly how this recent environment relates to the direction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n addition, I have found and suggest some positive case examples in order to find what form the desirable application of cultural heritage should take. 현행의 문화재 관련 여러 법률 및 법령들의 상위법이랄 수 있는 「문화재보호법」 의 철학과 이념은 ‘민족의 정체성을 담지한 유무형 문화재의 소멸을 막고 지켜서 전해야 한다’는 사명과 ‘보호 중점주의’로 요약된다. 그리고 이러한 법 제정 철학은 반세기 넘게 큰 변화없이 유지되어 오며 문화재 관련 정책의 대가닥을 짚어주었다. 40회를 훌쩍 넘기는 횟수의 개정을 거쳐 현행에 이르는 이 법 어디에서도 아직 문화재를 정치, 경제, 문화의 종합적 성장을 이루는 수단으로 인식하고 역할을 강조한 대목을 찾기 어렵다. 그런데, 2000년 이후로 문화재에 대한 가치와 의미 부여에 있어 이전까지의 흐름과는 분명 다른 국면이 펼쳐지고 있다고 본다. 현상을 한마디로 요약하면 ‘보호중심에서 활용중심으로’이다. 그리고 이러한 흐름은 공공기관의 주도아래 문화재 활용 담론으로 확산되고 있다. 따지고 보면 ‘활용’은 이미 ‘전승’의 의미 영역에 포괄되어 있다. 활용되지 않고서 어떻게 지속적인 전승이 가능했겠는가? 그럼에도 불구하고 유독 ‘활용’에 힘이 실린 근황은 문화재에 대한 현 사회적 경향성을 보여주는 문제이다. 이에 따라 본고는 문화재를 둘러싼 법제도적, 사회적 인식과 현상이 어떤 가치와 비중에서 전개되고 있으며, 특히 작금의 환경이 무형문화재의 향방과 어떤 점이 유관한지를 살펴보는데 집중하였다. 또 바람직한 문화재 활용이란 어떤 모습이어야 하는 지를 강구하기 위해 현 사회적 현상들속에서 긍정적인 사례들을 찾아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재 ‘활용’은 문화재보호법 제정 이후 오래도록 ‘보호정책의 외연 확대’로서 ‘보전(보존과 전승)’의 하위 실천 지침 혹은 전략으로 인식되어온 것으로 보인다. 그러다가 법제도 안에서의 해석 범주를 넘어서는 실제적, 역학적 변동이 온 것으로 보이는 시작한 것은 2000년대 들어서의 일이며 이것이 더욱 강력해 진 시기는 참여정부인 2003~2007년을 경과기로 해서 2008년 이후의 일로 보인다. 또 ‘시대의 흐름에 맞는 보호정책의 하나’로서, ‘지속가능을 위한 정책적 요소’로서의 과제로 인식하던 것에서 근래로 올수록 지역 정체성은 물론 경제성장과도 결부되면서 지역 관광사업의 블루오션처럼 인식되고 있는 추세이다. 문제는 ‘활용’의 내부를 ‘문화관광산업화’의 정책기조와 같은 이념이 관통한다는 점이다. 현재의 ‘문화재의 잠재적 가치’는 곧 ‘화폐가치’로 환산되고 있는 것이다. 둘째, 문화재 활용의 가시화/사업화의 주도는 국가 주 책임기관인 문화재청과 그 산하기구를 비롯해 지방자치단체라고 할 수 있다. 근자에 이들 기관에 의해 가시화 되어 온 문화재 활용사업들은 아직까지는 보존과 활용의 연계성이 많이 떨어지고, 지나치게 ‘부가가치’에 이념을 두는 면이 커서 관련법의 기반위에서 또 사회적인 공통 인식에서 보는 문화재의 가치와 의의와는 사뭇 거리가 있어 보인다. ‘보존’과 ’전승’과 ‘활용’이 상호 포괄적이지 못하고 분리될 때, 더 구체적으로는 활용이 최상위에 위치하게 될 때의 상황은 매우 위험하다. 왜냐하면 문화재 보전의 가치와 의의조차도 활용 가치, 즉 부가가치 창출의 수단으로서의 의의를 충족시키지 못할 때, 거꾸로 보전 대상으로서의 가치 조차도 상실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보전(보존과 전승)’ 안에 포괄되지 않은 ‘활용 ...

      • KCI등재

        고도보존지구의 빈집 변화추이와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 전라북도 금마고도보존지구 중심으로 -

        남해경 한국농촌건축학회 2017 농촌건축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Vol.19 No.2

        본 연구는 중소도시지역 농촌마을의 빈집현황을 알아보고 이에 대한 활용방안을 강구하는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특히특수한 조건이 주어졌을 때 빈집의 변화가 어떻게 일어나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고도보존지구이면서 중소도시인 익산시 금마면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를 진행하기 위하여 고도보존지구가 지정되기 이전인 2013년 1차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고도보존지구로 지정된 이후인 2017년 1월에 재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2013년 142동으로 나타났던 빈집은 현재 46동으로 감소하였고, 이는 정부의 지원이 있었기 때문으로 추정되며 계속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빈집의 용도나 노후도, 구조, 재료, 색채, 지붕, 담장과 같은 건축적 내용은 2013년과 2017년 거의 유사하게 나타나고 있다. 빈집의 용도는 주거시설, 창고, 상업시설순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빈집 발생 원인으로는 거주자의 이주, 사망, 관리의 어려움이 순차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빈집 소유주의 활용의사에 있어서 매매계획이 1순위로 나타났으며, 신축계획, 리모델링이 그 뒤를 이었다. 빈집의 활용방안을 제안한다면 임대, 마을커뮤니티시설로 활용, 빈집은행에서 관리하는 방안이 있을 것이다. 빈집은 농촌마을의 경관저해요소로 이러한 활용방안을 통해 농촌마을의 경관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find out the change trend of the existing vacant houses in the small and medium sized farming city. And the using method of those houses is proposed in this paper. Especially to find out the change trend ratio of vacant houses in the case, the historic conservation area - Keumma village is selected as the research target area. To carry out this study, it was surveyed in 2013 when they were not designated as the special area first. And it is reviewed in 2017 when it is designated. The contents of the survey were their use, old age, structure, materials, color, roof of the main building and wall. they were surveyed by direct and interview survey. And thew were analyzed and synthesized. It is concluded that the 142 vacant houses in 2013 were declined 46houses in 2017. It is caused by the government support. And they will be declined continuously. The architectural statues of vacant houses between in 2013 and in 2017 are almost same in it’s use, old age, structure, materials, color, roof of the main building and wall. In the use ratio of the vacant houses that of residence is most high, and that of warehouses, commerce are followed in turn. The reason of that statues is moving out is the first and the death of house holder, the difficulty of managing are followed. As the their re-use plan of owners, the selling is the first, constructing new buildings and the renovation them are followed. As the method of their use, re-use, community facilities, managing in the vacant houses bank are proposed. As the vacant houses are the reason of bad elements in the rural landscape in the farm village, the method of its improvement will be carried out.

      • KCI등재

        한옥건축자산의 보존과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 전라북도 전주 주거생활 한옥건축자산을 중심으로 -

        김소현,최진용,신병욱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23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25 No.3

        Hanok architectural assets have the main function of living, which are destroyed or disappeared due to time, urbanization, and development. Jeollabuk-do is no exception, so there are many hanok architectural assets with local identity, period, and historical characteristics, but they are not properly used for a long time. In particular, Jeollabuk-do is known to have more hanok architectural assets than other regions, and policies are needed to preserve and utilize them. So,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hanok architectural assets which are located in Jeollabuk-do, analyze, synthesize and try to re-use them. This study first identified the location and content of hanok architectural assets located in Jeollabuk-do by field survey. In addition, the history and contents of hanok architectural assets were studied by theoretical materials such as books and etc. In addition, policies, systems, laws, and cases related to hanok architectural assets carried out implemented by the central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in Korea were investigated, focusing on Jeollabuk-do. Then, these contents were analyzed and synthesized to derive contents on the preservation and utilization of hanok architectural assets. By synthesizing the above contents, it is concluded as followings: First, hanok architectural assets have potential values, so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 institutional system to recognize and manage and protect the value of cultural assets in the future, and to preserve them by database of them. Second, it was necessary to actively review the preservation and utilization measures in the concept of sharing with local residents according to the nature of modern society, architectural assets, and the surrounding environment. Third, the utilization plan should be subdivided while maintaining the characteristics and identity of hanok architectural assets. Fourth, although the Hanok Architecture Cultural Asset is a building with a residential function, it is necessary to maintain its original form as much as possible in preservation and utilization 한옥건축자산은 주생활 자산으로 시간이나 도시화, 개발로 인하여 훼손되거나 멸실이 진행되고 있다. 전라북도도 예외는 아니어서 지역의 정체성이나 시대성, 역사성을 지닌 한옥건축자산이 다수 존재하고 있으나 제대로 활용되지 못하고 장시간 방치에 따라 훼손과 소실이 심각한 실정이다. 특히 전라북도는 다른 지역에 비하여 한옥건축자산이 많은 지역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를 보존하고 활용하기 위한 정책 등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전라북도 내에 소재하고 있는 한옥건축자산을 조사한 다음 자산의 내용을 분석하고 종합하여 활용방안을 강구하고자 한다. 연구는 먼저 전라북도에 소재하고 있는 한옥건축자산의 위치, 수 내용 등을 현지조사를 통하여 파악하였다. 그리고 문헌조사 등 이론적 고찰을 통하여 한옥건축자산의 역사, 내용을 파악하였다. 아울러 전라북도를 중심으로 우리나라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에서 시행하고 있는 한옥건축자산과 관련한 정책, 제도, 법률, 사례 등을 조사하였다. 그런 다음 이러한 내용을 분석하고 종합하여 한옥건축자산의 보존과 활용에 관한 내용을 도출하였다. 이상의 내용을 종합하여 본 연구에서 아래와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한옥건축자산은 잠재적 가치를 가지고 있어 향후 문화재로서의 가치를 인정하고 이를 관리하고 보호할 제도적 체계 정립이 필요하며 그에 따른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통한 보존관리가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보존적 개념에 의한 건립 당시의 원형보존과 함께 현대 사회와 건축자산의 성격, 주변 환경에 따른 지역민과의 공유개념에서 적극적인 보존과 활용방안 검토가 필요하였다. 셋째, 한옥건축자산의 특성과 정체성을 유지하면서 활용방안을 세분화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넷째, 한옥건축문화자산은 주거기능의 건물이기는 하지만 보존과 활용에 있어서 원형을 최대한 유지하여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