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보육실습이 예비보육교사의 일반적 자기효능감과 보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박성미(Park Seong-Mee),김정신(Kim Jeung-Shin)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09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57

        본 연구는 예비보육교사의 개인변인과 실습관련변인에 따라 실습이 일반적 자기효능감과 보육효능감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고, 실습 후 일반적 자기효능감과 보육효능감에 영향을 주는 변인들을 확인함으로써 실습의 중요성을 재인식하고 효과적인 실습운영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예비보육교사의 연령이 높을수록, 기혼인 경우, 국?공립 어린이집에서 실습한 경우 일반적 자기효능감과 보육효능감이 높아진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실습 후 예비보육교사의 연령, 결혼여부, 실습기관의 유형과 일반적 자기효능감, 보육효능감이 유의한 상관을 보였으며, 일반적 자기효능감과 보육효능감에 영향을 주는 변인이 동일한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the preservice teachers' perceived General Self-Efficacy(GSE) and the Efficacy of Child Care and Teaching(ECCT) by student teaching. In this study, 119 preservice teachers in P Child Educare Teachers' Training Institute were participated.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t the preservice teachers' GSE by preservice teachers' age, preservice teachers' marital status, and the child care center type after student teaching.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t the preservice teachers' ECCT by preservice teachers' age, preservice teachers' marital status and the child care center type after student teaching. Third, There were significant relation between preservice teachers' age, preservice teachers' marital status, the child care center type, GSE and ECCT.

      • KCI등재

        보육교사 교사효능감 검사 개발 및 타당화

        김해리,이경화 한국보육학회 2019 한국보육학회지 Vol.19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을 신뢰롭고 타당하게 측정할 수 있는 검사를 개발하는데 있었다. 이를 위하여 선행연구 분석을 통하여 보육교사 교사효능감의 개념 및 구성요인을 도출하고 이들 요인을 측정할 수 있는 문항을 개발한 후 전문가의 내용타당도 확인 과정을 거쳤다. 그리고 1차 완성된 문항을 총 550명의 현직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하여 예비조사와 본조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한 후에 통계적 타당화 작업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보육교사 교사효능감의 구성요인을 개인효능감(자신감, 정서효능, 자기주도성), 교수효능감(수업지도, 과제난이도 선호), 양육효능감(돌봄, 영유아 상호작용)의 세 가지로 분류하여 총 35개의 예비문항을 개발하였다. 350명의 보육교사의 응답 자료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요인 수를 확정하였다. 그리고 200명의 자료를 사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구인타당도를 확인하였다. 이와 같이 요인분석과 문항분석 작업을 통해 최종 30문항으로 구성된 ‘보육교사 교사효능감 검사’가 완성되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보육교사 교사효능감 검사는 구인타당도와 수렴타당도, 판별타당도가 확보된 검사이다. 따라서 보육의 질적 제고가 논의되고 있는 보육현장에서 보육교사들의 교사효능감을 측정하여, 개인차에 근거한 보육교사 효능감 함양을 위한 교사교육프로그램 개발에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reliable and validated ‘teacher efficacy test’ for child care teacher. Methods: The concept and components of teacher efficacy of child care teachers were derived through the review of previous studies, and experts’ content validity analysis was confirmed after the development of the items. And the first completed questionnaire were applied to 550 in-service child care teachers as a preliminary survey and the main survey process, and the data were collected and the statistical validity was verified. The factor was confirmed by conducting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ith 350 child care teachers’ response data, and the construct validity was confirmed by conducting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using 200 data. Results: Final 30 items of the ‘teacher efficacy test of child care teacher’ were confirmed through factor analysis and item analysis. The teacher efficacy test developed in this study was a test that confirmed construct validity, convergent validity, and discrimination validity. Conclusion/Implications: Based on these results, we expected that the teacher efficacy of child care teacher will be measured in the field of child care where the qualitative improvement of child care is being discussed, and it will be used for education for cultivating the child care teacher efficacy based on individual differences.

      • KCI등재

        일반 및 통합 보육교사의 배경변인별 장애영유아 교육에 대한 교사효능감 연구

        조은숙 ( Eun Suk Jo ),노진아 ( Jin A Noh ) 한국특수아동학회 2011 특수아동교육연구 Vol.13 No.2

        이 연구는 일반 및 통합 보육교사의 장애아 교육에 대한 교사효능감 수준을 살펴보고, 이러한 교사효능감 수준이 교사의 개인변인과 환경변인에 따라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서, 180명의 일반 및 통합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그 결과 일반 및 통합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은 대체적으로 보통수준 이상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일반 및 통합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은 교사의 경력, 지위, 장애영유아 통합교육 경력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에 반해서, 일반 및 통합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은 설립 유형, 학급 유형, 담당 학급 아동의 연령에 따라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구체적으로 국공립 및 민간 보육시설의 교사는 사회복지 법인 보육시설의 교사보다 높은 전체 교사효능감을 보였다. 그리고 민간 보육시설 교사는 국공립 보육시설 교사보다, 국공립 보육시설 교사는 사회복지 법인 보육시설 교사보다 더 높은 개인적 효능감과 일반적 효능감을 나타냈다. 일반 보육시설 교사는 장애아 통합 보육시설 교사보다 더 높은 전체 교사효능감을 보였지만, 개인적 효능감과 일반적 효능감에서 커다란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만 4세를 담당하고 있는 교사의 효능감이 가장 높은 반면에, 만 3세를 담당하고 있는 교사의 효능감이 가장 낮음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결과를 중심으로 앞으로의 교사효능감에 대한 연구 방향성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ildcare teachers` efficacy and find out what variables of factors are related to teachers` efficacy. To result the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180 of childcare teachers residing in South Chungcheong Province.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achers` efficacy in terms of teaching career, position, and special education teaching career. Howeve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achers` efficacy in terms of childcare`s type and age of young children in their classes. Firstly, teachers of national·public childcare facilities, private childcare facilities showed higher whole efficacy than ones of social welfare corporations. In addition, teachers of private childcare facilities showed higher personal and general efficacy than ones of national·public childcare facilities, and teachers of national·public childcare facilities showed higher personal and general efficacy than ones of social welfare corporations. Secondly, teachers of general childcare facilities had highest whole efficacy, followed by teachers of inclusive childcare facilities, and ones of private childcare facilities, while showing no differences in personal efficacy and general efficacy. Lastly, teachers of 4-years-old children showed the highest efficacy and teachers of 3-years-old children showed the lowest efficacy. Based on these results, we discussed and explored implication for future studies on teachers efficacy.

      • KCI등재후보

        영아보육교사의 교수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강이슬,김민경 한국보육지원학회 2011 한국보육지원학회지 Vol.7 No.4

        본 연구는 영아보육교사의 내적 교육신념인 교수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에 대해서 알아보고 영아보육교사의 교수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의 상관관계 및 교수효능감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력은 어떠한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경기지역 국공립, 민간, 가정 보육시설에서 근무하고 있는 36개월 미만의 영아반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결과처리를 위하여 ANOVA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로 첫째, 영아보육교사의 교수효능감은 보통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일반적 교수효능감이 개인적 교수효능감보다 높게 나타나 전반적으로 영아보육교사 자신의 교수효능감을 높게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영아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보통보다 낮게 나타났다. 하위 영역별로 보면 업무관련 스트레스가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영아들과의 활동 스트레스, 개인관련 스트레스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셋째, 교수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간의 관계는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교수효능감의 하위 요인 중에서 일반적 교수효능감은 직무스트레스와 상관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개인적 교수효능감 만이 유의미한 부적상관을 보였다. 영아보육교사의 교수효능감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력은 개인적 교수효능감 만이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개인적 교수효능감이 높을수록 직무스트레스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 특성 중에서는 교육수준, 월 급여, 근무시간이 직무스트레스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월 급여가 적을수록, 근무시간이 많을수록 영아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영아보육교사의 교수효능감을 향상시키고 직무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후보

        이러닝 예비보육교사의 특성에 따른 교사효능감에 관한 연구

        이경선 한국보육학회 2010 한국보육학회지 Vol.10 No.3

        본 연구는 시간제 등록과정을 이러닝을 통해 수강하고 있는 예비보육교사의 배경변인과 보육실습여부에 따라 교사효능감 및 교사효능감의 하위영역(일반적 교사효능감, 개인적 교사효능감)에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보육교사자격증을 획득하기 위해 부산 T대학에서 개설한 사이버강의를 신청한 예비보육교사 351명을 최종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은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보육교사의 연령에 따라 교사효능감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교사효능감은 전반적으로 연령이 높을수록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둘째, 예비보육교사의 학력과 가정의 수입에 따라서는 교사효능감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현재 직업에 따라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관리직을 가진 예비보육교사는 판매직/서비스직을 가진 사람과 생산직을 가진 사람에 비해 교사효능감이 유의미하게 높았으며 교사효능감은 학력이나 수입보다는 자신이 현재 하고 있는 일의 특성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다. 셋째, 보육실습여부에 따른 교사효능감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교사효능감 및 하위영역인 일반적 교사효능감과 개인적 교사효능감의 평균은 실습을 한 집단이 하지 않은 집단보다 모두 높았으나, 통계적으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다양한 배경변인을 고려한 보육교사양성과정과 현장에서의 활용에 대한 체계적인 접근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factors influencing teaching efficacy of student teachers. Specifically, personal variables(age, monthly income, occupation, academic background) were utilized for the analysis. In addition, it was also examined whether teaching efficacy influenced by student teaching in child care centers The subject were 351 student teachers who were attended to e-learning at T university. The data was analysed by SPSS 10. program. Means, ratio, F-test , T-test were used of this study. The results of analysis were as followed. Firs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eaching efficacy between the age groups. The higher the age, the more positive teaching efficacy. Seco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cademic background, monthly income and student-teaching. Implications for teacher education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presented.

      • KCI등재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김동현(Kim, Dong-Hyun),이선미(Lee, Sun-Mi)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17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21 No.3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 조직몰입, 행복감의 관계를 살펴보고 교사효능감과 조직몰입의 관계에서 행복감의 매개효과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특별시와 경기도 지역의 어린이집에서 근무하는 보육교사 380명을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며, 연구도구는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 조직몰입, 행복감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상관관계분석과 Baron과 Kenny(1986)의 방법에 따라 회귀분석을 사용하였으며 통계적 검증을 위해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 조직몰입, 행복감의 일반적 경향을 알아보기 위해 기술통계를 실시한 결과, 보육교사들이 인식하고 있는 교사효능감, 조직몰입, 행복감은 평균 이상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 조직몰입, 행복감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한 결과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 조직몰입, 행복감은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났다. 셋째,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과 조직몰입의 관계에서 행복감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보육교사의 행복감은 교사효능감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부분매개변인으로서의 역할을 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teacher efficacy,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happiness of childcare teachers. and to find out the mediator effect of happiness between the relationship of the other two. The participants were 380 Childcare teachers working in Seoul and Gyeonggi-do Province, the research tool used were childcare teachers’ teacher efficacy,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happiness surveys, and for data analysis, Sobel Test was done for regression analysis and statistical verification, according to correlation analysis and Baron & Kenny method using a SPSS 21.0 program.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descriptive analysis done to find out the general tendency of teachers efficacy, oranizational commitment, and happiness, they were higher than the average. Second, correlation analysis indicated that they had a positive correlation. Lastly, childcare teachers’ happiness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efficacy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is research shows that happiness is an important mediator between the relationship of childcare teachers’ perceived teacher efficacy,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 KCI등재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 및 교사신념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이형민(Lee Hyung-Min)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09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56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배경 변인들에 따라서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과 교사신념 및 직무스트레스에 차이가 있는지와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과 교사신념 및 직무스트레스 사이에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살펴보고 마지막으로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과 교사신념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상대적인 영향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및 경기 지역의 어린이집 교사 9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t, F 검증을 실시하고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를 산출하였으며,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과 교사신념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상대적인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보육교사의 배경변인 중 근무기관유형에 따라서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 교사신념, 직무스트레스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 및 교사신념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상대적인 영향을 알아본 결과, 교사신념이 가장 큰 설명력을 보였고 그 다음으로 교사효능감의 순으로 설명력을 나타냈다. 즉, 교사효능감이 높고 아동 중심적인 교사신념이 높은 교사일수록 직무스트레스를 적게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child care teachers' sense of efficacy, belief and job stress. In this study, the subjects were 92 teachers of child care center in Seoul and Kyunggi-Do. Teachers were subjected to teacher-report questionnaires which included on topics of child care teachers' sense of efficacy, belief and job stress. The data were analyzed by the statistical methods of frequencies, Pearson's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is with SPSS program.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hild care teachers' sense of efficacy, belief and job stress according to the type of day care centers. Public child care centers' teachers showed higher scores in both sense of efficacy and belief to teachers in private ones. Also, Public child care centers' teachers exhibited less in job stress than private ones. Second, the child care teachers' sense of efficacy as well as belief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job stress. Specifically, the teachers who had higher sense of efficacy and child-centered belief showed significantly less in job stress. In terms of relative influences, child care teachers' belief was the most significant variable to explain teachers' overall job stress. In conclusion, child care teachers' sense of efficacy and belief was associated with job stress. Thus, it should be considered that child care teachers' sense of efficacy and child-centered belief are important factors in order to improve psychological well-being of child care teachers.

      • KCI등재후보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와 자기효능감

        조성연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육과학연구소 2005 교육과학연구 Vol.36 No.1

        본 연구는 충남지역의 보육교사들을 대상으로 이들의 직무만족도와 자기효능감과의 관계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보육교사들은 대체로 보육업무에 대한 직무만족도와 자기효능감이 평균이상인 것으로 나타낫으며, 직무만족도에 있어서는 지지자원 및 복지가 가장 낮고, 자기효능감에서는 자신감이 가장 낮게 나타낫다. 직무만족도와 자기효능감의 총점에 대한 사회인구론적 변인들에 따른 차이에서는 직무만족도는 시설유형, 교육수준, 월평균급여, 결혼유무 등이, 자기효능감은 결혼유무와 이직횟수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와 자기효능감과의 관계에서는 r=21의 정적상관관계가 있었고, 특히 자기효능감 중 자신감과 직무만족도의 총점 및 하위요인들에서 유의한 정적상관관계가 있었다. 이에 대한 설명력을 살펴본 결과, 자기효능감과 사회인구론적 변인들은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를 1% 정도 설명하였다. 직무만족도에 대한 자기효능감과 사회인구론적 변인들의 경로에 대한 모형을 살펴본 결과에서는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에 대해 자기효능감이 매개변인으로 작용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child care teachers' job satisfaction related with their self-efficacy and their demographic variables, Subjects were 170 child care teachers in Seoul and Chungnam province. The instruments were Teachers Job Satisfaction Scale' and 'General Self-Efficacy Scal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one-way ANOVA, Pearson's partial correlation, stepwise multiple regression(forward), path analysis, Sheffe´ test for a post hoc test, Cronbach's a for reliability, and factor analysis by SPSS(10.0 version) and AM0S(4.0 version) PC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child care teachers' total job satisfaction was high in university graduation, married status, high monthly salary, and employer of national child care center and their self-efficacy was high in married status and over twice in experience to take up other employment. Second, the partial correlation coefficient was .21 in relation of teachers' job satisfaction and self-efficacy. Third, teachers' self-efficacy and their demographic variables explained about 3~15%. Finally, teachers' self-efficacy was an intermediation variable for their job satisfaction.

      • KCI등재

        보육교사의 보육효능감에 대한 원장과 동료의 정서적 지지, 보육교사의 정서지능과 셀프리더십간의 구조적 관계

        서미정,이경님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17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21 No.2

        본 연구는 원장과 동료의 정서적 지지와 보육교사의 정서지능 및 셀프리더십이 보육효능감에 미치는 직·간접적 영향을 구조방정식모형(SEM) 분석을 통하여 살펴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보육교사 465명을 대상으로 원장과 동료의 정서적 지지, 정서지능, 셀프리더십, 보육효능감이 측정되었으며 수집된 자료는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과 구조방정식모형(SEM) 분석을 통하여 분석되었다. 그 결과 첫째, 보육교사의 보육효능감에 셀프리더십은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며 가장 큰 정적인 효과가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의 보육효능감에 원장과 동료의 정서적 지지는 정서지능과 셀프리더십을 매개로 하여 간접 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보육교사의 보육효능감에 정서지능은 셀프리더십을 매개로 하여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써 보육교사의 셀프리더십은 보육효능감을 직접적으로 강화하게 할 뿐만 아니라 가장 중요한 선행요인이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원장과 동료의 정서적 지지는 교사의 정서지능과 셀프리더십을 높여 보육효능감을 증진하게 하며 정서지능은 셀프리더십을 높여 보육효능감을 증진하게 하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보육교사의 보육효능감의 증진을 위하여 교사의 셀프리더십 강화가 매우 중요함을 의미하며 정서지능의 함양과 원장과 동료의 정서적 지지를 높일 수 있는 방안도 효과적임을 시사한다.

      • KCI등재

        보육교사 강점이 직무수행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조지영(Jo, Ji Young),서현아(Seo, Hyun Ah)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17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강점과 직무수행 효능감의 인식을 알아보고, 보육교사 강점과 직무수행 효능감의 관계 및 영향력에 대해 살펴보는 것을 연구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부산, 경남지역에 근무하는 보육교사 284명을 대상으로 보육교사 강점 척도와 직무수행 효능감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첫째, 보육 교사 강점과 직무수행 효능감은 보통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보육교사에게 높게 나타난 강점은 사랑, 성실, 책임감, 관리력, 환경구성력, 낙관성, 친절성 순이었다. 둘째, 보육교사 강점과 직무수행 효능감의 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보육교사의 강점 중 보육신념, 학습력, 관리력, 책임감, 지도력이 직무수행 효능감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보육교사들이 직무를 수행할 때 보육교사 강점을 인식하고 활용하면 직무수행 효능감을 높일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직무수행 효능감 증진을 위해 지속적인 보육교사 강점 계발 교육이 필요함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child care teachers strengths and job performance efficacy,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 care teachers strengths and job performance efficacy and the effect of the child care teachers strengths on job performance efficacy. The research questios were as follows; First, what were child care teachers strengths? Second, what was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 care teachers strengths and job performance efficacy? Third, how child care teachers strengths affected job performance efficacy. The subject of study were 284 child care teachers in Busan and Gyeongsangnamdo Province. The tools of the study were a measure of child care teachers strengths and job performance efficacy. The procedures were in the literature study, preliminary investigation, and this survey, and the data collected were frequency analysis, technical statistical analysis, Pearson correlation, and phase-return using SPSS 18.0.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levels of child care teachers strengths and job performance efficacy were higher than normal, and the strong child care teachers strengths were in order of love, sincerity, responsibility, management, environmental structure, optimism, and kindness.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 care teachers strengths and job performance efficacy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static. Third, child care teachers strengths affected statistically significant on job performance effica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