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강이슬,김민경 한국보육지원학회 2011 한국보육지원학회지 Vol.7 No.4
본 연구는 영아보육교사의 내적 교육신념인 교수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에 대해서 알아보고 영아보육교사의 교수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의 상관관계 및 교수효능감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력은 어떠한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경기지역 국공립, 민간, 가정 보육시설에서 근무하고 있는 36개월 미만의 영아반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결과처리를 위하여 ANOVA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로 첫째, 영아보육교사의 교수효능감은 보통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일반적 교수효능감이 개인적 교수효능감보다 높게 나타나 전반적으로 영아보육교사 자신의 교수효능감을 높게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영아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보통보다 낮게 나타났다. 하위 영역별로 보면 업무관련 스트레스가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영아들과의 활동 스트레스, 개인관련 스트레스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셋째, 교수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간의 관계는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교수효능감의 하위 요인 중에서 일반적 교수효능감은 직무스트레스와 상관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개인적 교수효능감 만이 유의미한 부적상관을 보였다. 영아보육교사의 교수효능감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력은 개인적 교수효능감 만이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개인적 교수효능감이 높을수록 직무스트레스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 특성 중에서는 교육수준, 월 급여, 근무시간이 직무스트레스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월 급여가 적을수록, 근무시간이 많을수록 영아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영아보육교사의 교수효능감을 향상시키고 직무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일반 및 통합 보육교사의 배경변인별 장애영유아 교육에 대한 교사효능감 연구
조은숙,노진아 한국특수아동학회 2011 특수아동교육연구 Vol.13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ildcare teachers' efficacy and find out what variables of factors are related to teachers' efficacy. To result the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180 of childcare teachers residing in South Chungcheong Province.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achers' efficacy in terms of teaching career, position, and special education teaching career. Howeve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achers' efficacy in terms of childcare's type and age of young children in their classes. Firstly, teachers of national·public childcare facilities, private childcare facilities showed higher whole efficacy than ones of social welfare corporations. In addition, teachers of private childcare facilities showed higher personal and general efficacy than ones of national·public childcare facilities, and teachers of national·public childcare facilities showed higher personal and general efficacy than ones of social welfare corporations. Secondly, teachers of general childcare facilities had highest whole efficacy, followed by teachers of inclusive childcare facilities, and ones of private childcare facilities, while showing no differences in personal efficacy and general efficacy. Lastly, teachers of 4-years-old children showed the highest efficacy and teachers of 3-years-old children showed the lowest efficacy. Based on these results, we discussed and explored implication for future studies on teachers efficacy. 이 연구는 일반 및 통합 보육교사의 장애아 교육에 대한 교사효능감 수준을 살펴보고, 이러한 교사효능감 수준이 교사의 개인변인과 환경변인에 따라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서, 180명의 일반 및 통합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그 결과 일반 및 통합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은 대체적으로 보통수준 이상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일반 및 통합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은 교사의 경력, 지위, 장애영유아 통합교육 경력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에 반해서, 일반 및 통합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은 설립 유형, 학급 유형, 담당 학급 아동의 연령에 따라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구체적으로 국공립 및 민간 보육시설의 교사는 사회복지 법인 보육시설의 교사보다 높은 전체 교사효능감을 보였다. 그리고 민간 보육시설 교사는 국공립 보육시설 교사보다, 국공립 보육시설 교사는 사회복지 법인 보육시설 교사보다 더 높은 개인적 효능감과 일반적 효능감을 나타냈다. 일반 보육시설 교사는 장애아 통합 보육시설 교사보다 더 높은 전체 교사효능감을 보였지만, 개인적 효능감과 일반적 효능감에서 커다란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만 4세를 담당하고 있는 교사의 효능감이 가장 높은 반면에, 만 3세를 담당하고 있는 교사의 효능감이 가장 낮음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결과를 중심으로 앞으로의 교사효능감에 대한 연구 방향성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보육교사의 교수창의성과 창의적 교수효능감이 놀이중심 교육과정 실행역량에 미치는 영향
박소연,김민정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5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5 No.2
목적 본 연구에서는 보육교사의 교수창의성과 창의적 교수효능감 그리고 보육교사의 놀이중심 교육과정 실행역량 간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고, 보육교사의 교수창의성과 놀이중심 교육과정 실행역량 간 관계에서 창의적 교수효능감의 부분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방법 이를 위하여 충북 지역에 위치한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유아 학급 담임 경력이 있는 보육교사 215명을 대상으로 보육교사의 교수창의성, 창의적 교수효능감, 놀이중심 교육과정 실행역량 분석을 위해 설문 도구를 활용하였다. 결과분석을 위해 SPSS 21.0 및 AMOS 23.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빈도분석, 상관분석, 구조방정식을 활용한 모형 검증을 실시하였으며,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기법을 활용하여 교수창의성과 놀이중심 교육과정 실행역량의 관계에서 창의적 교수효능감이 가지는 부분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결과 연구결과는 첫째, 보육교사의 교수창의성과 창의적 교수효능감, 놀이중심 교육과정 실행역량 간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본 결과 보육교사의 교수창의성과 창의적 교수효능감이 놀이중심 교육과정 실행역량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의 교수창의성과 놀이중심 교육과정 실행역량 간의 관계에서 창의적 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보육교사의 교수창의성과 놀이중심 교육과정 실행역량의 관계에서 보육교사의 창의적 교수효능감은 매개효과를 지닌 유의미한 매개변인이며, 창의적 교수효능감의 부분 매개효과가 검증되어 놀이중심 교육과정 실행역량에 대한 교수창의성의 직접효과는 물론 창의적 교수효능감의 간접효과가 확인되었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유아⋅놀이중심 교육과정에 있어 교사의 자율적이고 창의적인 교육과정 운영이 강조되고 있는 시점에 있어 보육교사의 놀이중심 교육과정 실행역량 제고를 위해 보육교사의 교수창의성과 창의적 교수효능감이 선행되어야 하며, 보육교사의 놀이중심 교육과정 실행역량에 대한 증진 및 교사의 교수창의성과 창의적 교수효능감을 발휘할 수 있는 환경 모색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Objectives This study examines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childcare teachers’ instructional creativity, creative teaching efficacy, and their ability to implement a play-based curriculum. In addition, the research inves tigates the mediating role of creative teaching 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structional creativity and the application of a play-based curriculum. Methods A survey instrument was used to analyze childcare teachers' teaching creativity, creative teaching effi cacy, and ability to implement curriculum during play among 215 childcare teachers with experience teaching tod dler classes in daycare centers in Chungcheongbuk-do. The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 21.0 and AMOS 23.0, incorporating descriptive statistics, frequenc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Moreover, the mediating effect of creative teaching 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structional creativity and the implementation capacity of a play-based curriculum was examined through bootstrapping techniques. Results First, an analysis of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childcare teachers’ instructional creativity, creative teaching efficacy, and their competence in implementing a play-based curriculum showed that both instructional creativity and creative teaching efficacy positively influence the implementation capacity. Second, the examina tion of the mediating effect of creative teaching efficacy between instructional creativity and the implementation capacity of a play-based curriculum indicated that creative teaching efficacy functions as a significant mediator. This partial mediating effect established both the direct influence of instructional creativity on the implementation capacity and the indirect effect mediated by creative teaching efficacy. Conclusions This study suggests that childcare teachers’ instructional creativity and creative teaching efficacy must be preceded in order to their ability to implement a play-based curriculum execution capabilities, and that it is necessary to improve childcare teachers’ play-oriented curriculum execution capabilities and seek an envi ronment in which teachers can demonstrate instructional creativity and creative teaching efficacy.
보육실습이 예비보육교사의 일반적 자기효능감과 보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박성미(Park Seong-Mee),김정신(Kim Jeung-Shin)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09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57
본 연구는 예비보육교사의 개인변인과 실습관련변인에 따라 실습이 일반적 자기효능감과 보육효능감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고, 실습 후 일반적 자기효능감과 보육효능감에 영향을 주는 변인들을 확인함으로써 실습의 중요성을 재인식하고 효과적인 실습운영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예비보육교사의 연령이 높을수록, 기혼인 경우, 국?공립 어린이집에서 실습한 경우 일반적 자기효능감과 보육효능감이 높아진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실습 후 예비보육교사의 연령, 결혼여부, 실습기관의 유형과 일반적 자기효능감, 보육효능감이 유의한 상관을 보였으며, 일반적 자기효능감과 보육효능감에 영향을 주는 변인이 동일한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the preservice teachers' perceived General Self-Efficacy(GSE) and the Efficacy of Child Care and Teaching(ECCT) by student teaching. In this study, 119 preservice teachers in P Child Educare Teachers' Training Institute were participated.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t the preservice teachers' GSE by preservice teachers' age, preservice teachers' marital status, and the child care center type after student teaching.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t the preservice teachers' ECCT by preservice teachers' age, preservice teachers' marital status and the child care center type after student teaching. Third, There were significant relation between preservice teachers' age, preservice teachers' marital status, the child care center type, GSE and ECCT.
김해리,이경화 한국보육학회 2019 한국보육학회지 Vol.19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을 신뢰롭고 타당하게 측정할 수 있는 검사를 개발하는데 있었다. 이를 위하여 선행연구 분석을 통하여 보육교사 교사효능감의 개념 및 구성요인을 도출하고 이들 요인을 측정할 수 있는 문항을 개발한 후 전문가의 내용타당도 확인 과정을 거쳤다. 그리고 1차 완성된 문항을 총 550명의 현직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하여 예비조사와 본조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한 후에 통계적 타당화 작업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보육교사 교사효능감의 구성요인을 개인효능감(자신감, 정서효능, 자기주도성), 교수효능감(수업지도, 과제난이도 선호), 양육효능감(돌봄, 영유아 상호작용)의 세 가지로 분류하여 총 35개의 예비문항을 개발하였다. 350명의 보육교사의 응답 자료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요인 수를 확정하였다. 그리고 200명의 자료를 사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구인타당도를 확인하였다. 이와 같이 요인분석과 문항분석 작업을 통해 최종 30문항으로 구성된 ‘보육교사 교사효능감 검사’가 완성되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보육교사 교사효능감 검사는 구인타당도와 수렴타당도, 판별타당도가 확보된 검사이다. 따라서 보육의 질적 제고가 논의되고 있는 보육현장에서 보육교사들의 교사효능감을 측정하여, 개인차에 근거한 보육교사 효능감 함양을 위한 교사교육프로그램 개발에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reliable and validated ‘teacher efficacy test’ for child care teacher. Methods: The concept and components of teacher efficacy of child care teachers were derived through the review of previous studies, and experts’ content validity analysis was confirmed after the development of the items. And the first completed questionnaire were applied to 550 in-service child care teachers as a preliminary survey and the main survey process, and the data were collected and the statistical validity was verified. The factor was confirmed by conducting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ith 350 child care teachers’ response data, and the construct validity was confirmed by conducting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using 200 data. Results: Final 30 items of the ‘teacher efficacy test of child care teacher’ were confirmed through factor analysis and item analysis. The teacher efficacy test developed in this study was a test that confirmed construct validity, convergent validity, and discrimination validity. Conclusion/Implications: Based on these results, we expected that the teacher efficacy of child care teacher will be measured in the field of child care where the qualitative improvement of child care is being discussed, and it will be used for education for cultivating the child care teacher efficacy based on individual differences.
이러닝 예비보육교사의 특성에 따른 교사효능감에 관한 연구
이경선 한국보육학회 2010 한국보육학회지 Vol.10 No.3
본 연구는 시간제 등록과정을 이러닝을 통해 수강하고 있는 예비보육교사의 배경변인과 보육실습여부에 따라 교사효능감 및 교사효능감의 하위영역(일반적 교사효능감, 개인적 교사효능감)에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보육교사자격증을 획득하기 위해 부산 T대학에서 개설한 사이버강의를 신청한 예비보육교사 351명을 최종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은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보육교사의 연령에 따라 교사효능감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교사효능감은 전반적으로 연령이 높을수록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둘째, 예비보육교사의 학력과 가정의 수입에 따라서는 교사효능감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현재 직업에 따라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관리직을 가진 예비보육교사는 판매직/서비스직을 가진 사람과 생산직을 가진 사람에 비해 교사효능감이 유의미하게 높았으며 교사효능감은 학력이나 수입보다는 자신이 현재 하고 있는 일의 특성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다. 셋째, 보육실습여부에 따른 교사효능감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교사효능감 및 하위영역인 일반적 교사효능감과 개인적 교사효능감의 평균은 실습을 한 집단이 하지 않은 집단보다 모두 높았으나, 통계적으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다양한 배경변인을 고려한 보육교사양성과정과 현장에서의 활용에 대한 체계적인 접근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factors influencing teaching efficacy of student teachers. Specifically, personal variables(age, monthly income, occupation, academic background) were utilized for the analysis. In addition, it was also examined whether teaching efficacy influenced by student teaching in child care centers The subject were 351 student teachers who were attended to e-learning at T university. The data was analysed by SPSS 10. program. Means, ratio, F-test , T-test were used of this study. The results of analysis were as followed. Firs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eaching efficacy between the age groups. The higher the age, the more positive teaching efficacy. Seco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cademic background, monthly income and student-teaching. Implications for teacher education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presented.
조지영(Jo, Ji Young),서현아(Seo, Hyun Ah)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17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강점과 직무수행 효능감의 인식을 알아보고, 보육교사 강점과 직무수행 효능감의 관계 및 영향력에 대해 살펴보는 것을 연구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부산, 경남지역에 근무하는 보육교사 284명을 대상으로 보육교사 강점 척도와 직무수행 효능감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첫째, 보육 교사 강점과 직무수행 효능감은 보통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보육교사에게 높게 나타난 강점은 사랑, 성실, 책임감, 관리력, 환경구성력, 낙관성, 친절성 순이었다. 둘째, 보육교사 강점과 직무수행 효능감의 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보육교사의 강점 중 보육신념, 학습력, 관리력, 책임감, 지도력이 직무수행 효능감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보육교사들이 직무를 수행할 때 보육교사 강점을 인식하고 활용하면 직무수행 효능감을 높일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직무수행 효능감 증진을 위해 지속적인 보육교사 강점 계발 교육이 필요함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child care teachers strengths and job performance efficacy,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 care teachers strengths and job performance efficacy and the effect of the child care teachers strengths on job performance efficacy. The research questios were as follows; First, what were child care teachers strengths? Second, what was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 care teachers strengths and job performance efficacy? Third, how child care teachers strengths affected job performance efficacy. The subject of study were 284 child care teachers in Busan and Gyeongsangnamdo Province. The tools of the study were a measure of child care teachers strengths and job performance efficacy. The procedures were in the literature study, preliminary investigation, and this survey, and the data collected were frequency analysis, technical statistical analysis, Pearson correlation, and phase-return using SPSS 18.0.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levels of child care teachers strengths and job performance efficacy were higher than normal, and the strong child care teachers strengths were in order of love, sincerity, responsibility, management, environmental structure, optimism, and kindness.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 care teachers strengths and job performance efficacy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static. Third, child care teachers strengths affected statistically significant on job performance efficacy.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과 심리적 소진이 영유아 권리존중보육 실행에 미치는 영향
고영윤,신현정 한국보육학회 2018 한국보육학회지 Vol.18 No.4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hildcare teachers’ teacher efficacy, psychological burnout and the practice of respecting rights for infants. Methods: For this study,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398 childcare teachers in the cities of I and 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 multiple regression and Cronbach's for reliability by SPSS-WIN computer program. Results: The results yielded some interesting results. First, childcare teachers were shown to have higher respecting rights for infants but just average teacher efficacy rates. Secondly, the study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practice of respecting rights for infants and childcare teachers’ teacher efficacy. However,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practice of respecting rights for infants and psychological burnout. There was also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practice of respecting rights for infants and childcare teachers’ teacher efficacy. Third, the higher the childcare teachers’ teacher efficacy of childcare teachers, the more positive influences existed in the practice of respecting rights for infants. It also showed that the lower the degree of psychological burnout, there was a negative impact on the practice of respecting rights for infants. Conclusion/Implica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a support plan is needed to boost childcare teachers’ teacher efficacy, and to lower the psychological burnout of childcare teachers with regards to the practice of respecting rights for infants.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과 심리적 소진이 영유아 권리존중보육 실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I시와 S시 지역의 보육교사 398명이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Win program을 사용하여 신뢰도분석, 기술통계,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은 보통 수준이었고, 심리적 소진은 보통보다 조금 낮은 수준이었으며 영유아 권리존중보육 실행은 보통보다 약간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과 영유아 권리존중보육 실행은 정적 관계가 있었으며, 교사효능감과 심리적 소진은 부적관계, 심리적 소진과 영유아 권리존중보육 실행도 부적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보육교사의 영유아 권리존중보육 실행에 대한 교사효능감과 심리적 소진의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교사효능감과 심리적 소진은 영유아 권리존중보육 전체와 하위변인인 하루일과 존중, 아동 최선의 이익에 영향력이 있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영유아 권리존중보육의 실행을 위해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과 심리적 소진을 관리하고 지원할 수 있는 방안이 제시되어야 함을 시사하였다.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와 영유아 권리 존중 실행 관계에서 전문성과 보육 효능감의 이중 매개효과
배고은,채영란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24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9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 care teachers' job satisfaction, expertise, child care efficacy, and the practice of respect for infant rights. It also reveals the dual mediating effect of professionalism and childcare 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care teachers' job satisfaction and respect for infant righ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78 teachers in day-care-centers located in G Metropolitan Cit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echnical statistics and Pearson correlation using SPSS 25.0,; bootstrapping was conducted to verify the dual mediating effect of professionalism and childcare 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care teachers' job satisfaction and respect for infant rights through SPSS Process Macro. The results revealed a correlation between childcare teachers' job satisfaction, professionalism, childcare efficacy, and the practice of respecting infant rights. Second, when the job satisfaction of childcare teachers affect the practice of respect for infant rights, the addition of expertise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but the child care efficacy was found to have no effect. However, when the childcare teacher's job satisfaction affects the practice of respect for infant rights, it was found that the simultaneous insertion of professionalism and childcare efficacy has an effect. In other words, when childcare teachers’ job satisfaction affects respect for infant rights, professionalism and childcare efficacy play dual mediating role.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 전문성, 보육 효능감, 영유아 권리 존중 실행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와 영유아 권리 존중 실행 간의 관계에서 전문성과 보육 효능감의 이중 매개효과를 밝히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G시에 소재한 어린이집 보육교사 278명이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와 Pearson 상관분석을 하고, SPSS Process Macro를 통해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와 영유아 권리 존중 실행 관계에서 전문성과 보육 효능감의 이중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부트스트래핑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 전문성, 보육 효능감, 영유아 권리 존중 실행 간에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가 영유아 권리 존중 실행에 영향을 미칠 때 전문성이 추가되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보육 효능감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가 영유아 권리 존중 실행에 영향을 미칠 때 전문성과 보육 효능감이 동시에 투입할 때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가 영유아 권리 존중 실행에 영향을 미칠 때 전문성과 보육 효능감이 이중 매개역할을 하고 있다.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영유아 권리 존중 실행에 있어 직무만족과 전문성, 보육 효능감이 중요한 변인임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이는 보육교사의 직무만족과 전문성, 보육 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방안 모색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간의 경로 분석
심현애(Sim, Hyeon Ae),김경연(Kim, Kyung Yun)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14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18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간의 인과적 관계에 대한 가설적인 모형을 검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변인으로 근무시간, 직장내 사회적지지, 근무환경, 보육효능감, 소진 등 다섯 가지 변인을 도출하고, 변인들간의 가설적인 경로 모형을 설정하였다. 가설 모형에 대한 검증을 위하여 K시의 보육교사 133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AMOS를 활용하여 경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설적 모형에서 설정했던 경로상의 변인들 간에는 모두 유의미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적합도 검사 결과 가설적 모형이 최종 연구모형으로 채택되었다. 셋째, 근무환경, 보육효능감, 소진 그리고 직무만족도에 이르는 경로에는 각각 유의미한 효과와 설명량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근무환경과 보육효능감은 각각 사회적지지로부터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진은 근무시간과 보육효능감으로부터 직접적인 영향을 받고, 사회적지지로부터는 보육효능감을 매개로 한 간접적인 영향을 받았다. 직무만족도는 근무시간으로부터 간접적인 영향만 있었던 반면 근무환경과 소진으로부터는 직접적인 영향을 받았고, 보육효능감으로부터는 직접적인 영향과 함께 소진을 매개로 한 간접적인 영향도 있었다. 사회적지지는 직무만족도에 직접적으로 유의미한 긍정적 영향을 줌과 동시에, 근무환경을 매개로 한 간접효과, 보육효능감을 매개로 한 간접효과, 보육효능감과 소진을 차례로 매개로 한 간접효과 등 세 가지 간접경로를 통해서도 직무만족도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각 경로에 대한 보다 구체적 인 결과와 논의점 그리고 보육교사 지원 정책에 주는 시사점과 연구 제언을 추가로 기술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dentify the causal relationships among variables related to the childcare teachers’job satisfaction. Through the precedent literature review, five variables such as working hours, social support within the childcare center, work environment, childcare efficacy and burn-out were selected as variables that affect to the childcare teachers’ job satisfaction and a hypothetic path model among the variables was selected. Details of the hypothetic path model were as follows; Firstly, work environment, childcare efficacy and burn-out would directly affect to the job satisfaction. Secondly, working hours would indirectly affect to the job satisfaction mediated by burn-out. Thirdly, social support would directly affect to the job satisfaction as well as indirectly affect with the different three indirect paths mediated by childcare efficacy, work environment, childcare efficacy and burn-out in order. 133 samples of the childcare teachers’ data were analyzed using Amos version 22 and the main results of the path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ly, all variable except the working hours was correlated with the job satisfaction and each pair-variable of the path which was set in the hypothetic model was also correlated each other. Secondly, the hypothetic path model was adopted as a final research path model satisfactorily fulfilling the all fitness indices. Thirdly and the last, it was shown that there were significant effects and related power value on each path toward work environment, childcare efficacy, burn-out and childcare teachers’ job satisfaction. The study presented a number of discussions of these results and their implications on the related supporting policies and program development for the childcare teachers’ job satisfa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