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마르크스 유물론의 정체성에 관하여 - 『신성가족』을 중심으로 -

        이병태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022 시대와 철학 Vol.33 No.4

        This article intends to explore the identity of Marx's materialism hidden behind an excessively firm definition. This could be successfully accomplished by a) tracing the content of materialism that Marx really paid attention to beyond the veil of definitions that were firmly established after Marx’s death, such as ‘dialectical materialism’ and ‘historical materialism’, and by b) examining whether the new critiques of Marx can be responded to by reinterpreting Marx’s own materialism and whether it is still valid as a basis for theoretical and practical reflection and criticism on the present world. This article is limited to a) above, and mainly seeks to explore the identity of Marx’s materialism through the analysis of 『The Holy Family』, which is rich in Marx’s own thoughts. Marx’s critique of Bruno Bauer in 『The Holy Family』 and the reevaluation of French materialism clearly show where his ultimate interest lies. Marx was relatively indifferent to ‘dialectical materialism’ and ‘material’ as an object of natural science, and concentrated on finding a point in parallel with his own historical materilism in French materialism by preemptively projecting the conception of historical materialism that would be established later. This fact clearly shows that the core of Marx’s thought lies in historical materialism, and that he maintains a certain distance from dialectical materialism, contrary to what is commonly known. 이 글은 지나칠 정도로 확고부동한 사후규정에 가려진 마르크스 유물론의 정체성을 모색하고자 하는 의도를 지닌다. 이는 a) ‘변증법적 유물론’, ‘역사적 유물론’ 등 마르크스 사후에 강고하게 자리 잡은 규정의 외피 너머 마르크스가 진정 관심을 기울인 유물론의 내용이 무엇인지 추적하는 일, 그리고 b) 마르크스 고유의 유물론을 재해석함으로써 그에 대한 새로운 비판에 응답할 수 있는지, 그리하여 현재의 세계에 관한 이론적·실천적 성찰과 비판의 토대로 여전히 유효한지 살피는 작업을 통해 성공적으로 완수될 수 있을 것이다. 이 글은 이 가운데 a)에 국한되며, 마르크스 고유의 사유가 풍부하게 나타나는 『신성가족』 분석을 통해 마르크스 유물론의 정체성을 탐문하고자 한다. 『신성가족』에서 마르크스가 보여준 부르노 바우어에 대한 비판과 프랑스 유물론의 재평가는 그의 궁극적인 관심이 어디에 놓여 있는지 극명하게 보여준다. 마르크스는 ‘변증법적 유물론’, 자연과학의 대상으로서의 ‘물질’ 등에 상대적으로 무관심했으며, 나중에 정립하게 되는 사적 유물론의 구상을 선취하여 투영함으로써 프랑스 유물론에서 그와 상통하는 지점을 찾아 집중했다. 이러한 사실은 마르크스 사유의 핵심이 사적 유물론에 있음을, 아울러 일반적으로 알려진 것과 달리 변증법적 유물론에 대해 일정하게 거리를 유지하고 있음을 분명하게 보여준다.

      • KCI등재

        1920년대 식민지 조선에 수용된 변증법적 유물론의 계보와 맑스주의 철학의 정전화(正典化)

        김영진 ( Kim Youngjin ) 역사문제연구소 2021 역사문제연구 Vol.25 No.1

        1920년대 후반 식민지 조선에서 변증법적 유물론을 둘러싸고 다양한 논쟁이 벌어졌다. 변증법적 유물론으로 이름 붙은 기존과 다른 맑스주의 철학이 수용된 결과였다. ‘새로운’ 맑스주의 철학은 1922년 소련에서 발간된 러시아판 『맑스주의 깃발 아래』를 통해서 발전했다. 1926년부터 이 잡지의 편집주필을 맡았던 데보린은 변증법적 유물론 학파를 이끌었고, 변증법적 유물론의 체계화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다. 『맑스주의 깃발 아래』의 글들이 일본으로 수용된 것은1925년부터 독일어판 『맑스주의 깃발 아래』가 발행된 이후였다. 이 과정에서 주요한 역할을 담당했던 인물이 데보린과 후쿠모토 가즈오였다. 이들은 변증법적 유물론을 ‘정통’ 맑스주의 철학으로 일본에 소개하는 첨병이었다. 식민지 조선의 사회주의자들은 변증법적 유물론을 대표하는 데보린과 후쿠모토 가즈오의 언어를 통해 변증법적 유물론을 ‘정통’ 맑스주의 철학으로 받아들였다. 이 과정에서 유물론에 대한 이해방식을 둘러싸고 식민지 조선에서는 다양한 논쟁이 벌어졌던 것이다. There was a wide-ranging debate on dialectical materialism in Korea under Japanese rule during the late 1920s. It resulted from the acceptance of dialectical materialism, a new Marxist theory that was different from the existing one. It was the most essential and an irrefutable principle of Marxism to understand the world. Through the law of dialectical materialism, Marxism ultimately elevated to a privileged principle that recognizes the world even including the natural sciences. In the late 1920s, acceptance of dialectical materialism became a criterion to determine if someone is an “orthodox” Marxists or not in East Asia. The new Marxism was developed through the Russian version of Under the Banner of Marxism published in the Soviet Union in 1922. It was not until the German version of Under the Banner of Marxism was published in 1925 then that the articles were interpreted into Japanese. Via this German journal, A. Deborin and Fukumoto Kazuo, a renowned Marxist theorist in Japan made a significant contribution to spreading the Soviet philosophical changes to Japan. Korean socialists under Japanese colonial rule accepted dialectical materialism as “orthodox” Marxism through Deborin and Fukumoto’s writings. Therefore, the debates occurred among Korean Marxists in the late 1920s should be understood as a part of the global philosophical change.

      • KCI등재

        『주역』「계사전」의 유물론적 성격과 교육적 시사점

        신창호(Shin, Chang-Ho),곽태진(Kwak, Tae-jin)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14 敎育思想硏究 Vol.28 No.1

        본고는 『주역』「계사전」에 나타난 유물론의 특성을 고찰하고 교육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시사점을 찾으려는 시도이다. 「계사전」은 서양철학에서 제시하는 유물론과 동일하지는 않지만, 역사적 유물론과 변증법적 유물론의 성격과 유사한 측면을 상당 부분 지니고 있다. 특히, 「계사전」하 2장에서는 인류 문명의 발전사를 제시하며 역사적 유물론의 특성을 구체적으로 보여주는데, 이런 유물론의 특성은 교육과 밀접한 연관성을 지닌다. 교육은 근본적으로 경제적이고 사회적이며, 생산력 발전에 조응하는 동시에 생산력 발전을 촉진한다. 이는 마르크스주의에서 강조하는 상부구조와 연관해 볼 때, 고대 동양의 교육이 지닌 위상과 구조를 발견할 수 있는 실마리 역할을 한다. 동시에 현대교육에 중대한 시사점을 줄 수 있다. 「계사전」에 나타난 생산력 발전을 촉진하는 교육의 특성을 고려한다면, 교육은 인간의 행위를 통해 생산력 발전에 조응할 수 있고, 교육이 생산력 발전의 촉매가 되도록 인간의 행위를 변화시킬 수도 있다. 「계사전」의 유물론적 가능성을 교육적으로 실현한다면, 우리는 주체적 행위를 통해 미래를 개척해 나가는 동시에 현대교육의 지평을 보다 확장할 수 있다고 판단한다. This study tried to consider the materialistic character and find out contemporary educational insight in I-Ching(『周易』) 'Xi-Ci-Zhuan(Copula Commentary, 「繫辭傳」)'. Overall, 'Xi-Ci-Zhuan' has dialectical-materialistic character. Especially, in the chapter 2 of the last volume of 'Xi-Ci-Zhuan', we can find historical-materialistic character through the history of civilization of humankind. The educational meaning of historical-materialistic character which was found in 'Xi-Ci-Zhuan' is related to the fundamental attribute of education. According to this study, education is fundamentally economical and social. Moreover, it is corresponded to productive forces and simultaneously accelerate the development of productive forces. These results, with the theory of Marx on 'basement-superstructure', offer significant insight to today's education. Thus, the root cause of 'the crisis in education' is that the education is not corresponded its basement, especially the productive forces. When we consider the attribute of education which can accelerate the development of productive forces, we can make the correspondence between education and productive forces. Moreover, there is a possibility that we make education be a catalyst for development of the productive forces. As a active existence which pioneer the future, we should try to realize these 'possibilities' of education.

      • KCI등재

        “자연은 변증법의 시금석이다”: 엥겔스의 ‘자연변증법’과 신유물론

        서동진 경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20 마르크스주의 연구 Vol.17 No.1

        With the increasing rise of New Materialist discourses against anthropo- centrism everywhere, we are forced to ponder the identity of Marxist materialism. In this article, we re-visit Friedrich Engels’ Dialectics of Nature and its related texts, which have been underestimated and even dimissed over the past century. His thought about nature, being, subject and dialectics in major works have been criticised as being imbued with scientism, physicalism, dogmatic metaphysics, and naturalism. Against the grain, in this article, we assert to need to rethink Engels’s dialectics of nature in order to reconstruct Marxist materialism and combat the impact of New Materialist discourses. In particular, we suggest reconsidering the phrase “following Hegel’s mistaken lead” mentioned in Lukács’s text, and fearlessly approve of Hegel’s Naturphilosophie and its ontological thought. Hegel’s thought was an attempt to traverse between being (substance) and thought (phenomenon), retaining crucial lessons of critical philosophy since Kant’s Copernican turn. Therefore, reversing the insistence that Engels fabricated naturalist materialism by following Hegel’s mistaken lead, this article states that Engels’s dialectics of nature paved the way to overcome naïve materialism and idealism. 신유물론의 부상은 다시 한 번 마르크스주의의 유물론의 차이를 묻지 않을 수없도록 하고 있다. 마르크스주의 유물론은 생기적 유물론, 사변적 실재론, 객체지향존재론, 물이론 등 도처에서 출현하는 신유물론과 어떻게 다른가. 우리는 마르크스주의의 유물론의 정체성을 파악하는 데 중요한 참조점이지만 동시에 거의 금기에가깝게 무시되어 온 엥겔스의 자연변증법을 찾는다. 엥겔스가 자연변증법을 통해개진한 유물론은 과학주의나 물리주의, 자연주의 등의 숱한 비난에 시달려야 했다. 저 유명한 루카치의 엥겔스의 자연변증법 비판을 필두로 숱한 이들은 엥겔스를 마르크스주의의 역사유물론으로부터 분리시키고자 애써왔다. 이를 통해 자연은 생산과 노동이라는 매개를 통해 사회와 상호작용하는, 즉 실천과 노동 혹은 매개라는개념을 통해 주어지는 대상으로서 간주되어 왔다. 나아가 엥겔스의 자연변증법은사고 속에서만 가능한 것으로 간주되는 변증법을 자연 자체에 투사하는 잘못을 저질렀다는 비판을 받아왔다. 이는 마치 모순과 적대라는 사회적 실재에 고유한 변증법을 자연과 세계에 적용하는 부조리한 이론적 과대망상으로 치부되었다. 그러나이 글은 엥겔스의 자연변증법에 대한 이러한 독해를 재고할 필요가 있음을 주장한다. 특히 이 글에서는 “헤겔의 잘못된 예”에 따름으로써 비롯된 엥겔스의 과오라는루카치의 단언에 주목한다. 여기에서 말하는 헤겔의 잘못된 예, 즉 헤겔의 “자연철학”은 물 자체와 현상 사이의 구별을 극복하고자 한 독특한 시도로서 사변적 유물론의 윤곽을 제안하고 있다. 그리하여 우리는 헤겔의 잘못된 예를 따른 엥겔스의잘못이라는 주장을 전도하여 그것이 엥겔스로 하여금 소박한 유물론을 돌파할 수있는 가능성을 가져다주었음을 주장할 것이다.

      • KCI등재

        헤겔에서의 경험의 의미 : '자연적 의식'과 '감각적 확실성'을 통해서 본 감성의 의미와 그 한계

        이강화 새한철학회 2001 哲學論叢 Vol.24 No.2

        절대지의 확보를 위해 의식적 경험이 그 필연성에 따라 나아가는 과정이 하나의 학으로 성립되는 헤겔(Hegel)의 경우, 의식의 변증법적 경험이 어디에서 출발해야 하는가 라는 문제는 그의 학적 체계의 근본적인 단초를 형성하는 것이다. 이리하여 헤겔은 자기의 인식과정을 전개시키기 전에 전통적 인식이론의 비판부터 시작하며 그 대표적인 경우로 칸트(Kant)의 예를 든다. 헤겔이 보기에는 칸트는 인식행위를 인식도구를 사용하는 능동적 작업으로 여기거나 인식대상이 인식형식을 통해 수동적으로 받아들여지는 것으로 이해하였다. 그러나 그 어느 경우에도 인식은 인식되어야 할 본래적인 것과 순수하게 일치할 수 없다. 왜냐하면 이 때의 인식은 인식도구를 통해 변형된 대상이거나 인식매체를 통해 수동적으로 인식주관에 굴절된 대상만을 파악할 수 있을 뿐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인식과 물자체는 절대적으로 분리되며 동시에 절대적인 것과 인식주체 역시 분리된다. 이러한 딜레마를 해결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일체의 인식론적 전제를 제거하고 가장 직접적이고 확실한 인식에 착수하는 것이다. 헤겔은 여기에서 현상지를 참된 인식에로 전진해 가는 자연적 의식을 추적한다. 이어서 자연적 의식을 벗어난 지는 의식 장에서 다시 구체적 감각적 대상을 만나게 되고 헤겔은 이를 감성적 확신이라고 부른다. 여기에서 지는 다시 가장 구체적인 감각적 대상에서 출발하는 동시에 자연적 의식에서와 동일한 극복과정을 보여준다. 그러나 헤겔은 최초에 가장 순수한 존재와 가장 풍부한 인식 그리고 진리의 본질이라고 본 감성적 확실성을 곧 가장 추상적인 그리고 가장 빈곤한 진리로 파악한다. 그러나 헤겔의 이러한 시도는 결과적으로 가장 실재적인 대상의 현실성의 성급한 부정으로 귀결되었고, 이리하여 개인은 직접적-감성적 인식에서 벗어나 자신의 인식내용을 사유된 것으로 바꾸어 버린다. 이것은 헤겔 자신의 표현처럼 직접적인 현실성에 대한 의식의 파악을 절멸시켰을 뿐이다. 이것은 가장 구체적인 인식의 단계인 감성적 확신의 단계에서부터 사물의 객관성이나 현실성이 별 다른 의미를 가지지 못하는 것을 의미할 뿐이다. 이리하여 칸트 속에 잔존해 있던 최소한의 유물론적 경향은 언어로 대표되는 일반자 개념에 의해서 곧 사라져버렸고, 이처럼 사물의 객관성이나 현실성 대신 언어 속에서 개념의 진리가, 즉 보편적 본질이 반영된다고 주장함으로써 헤겔은 자신의 출발점과는 모순되게 자연적 의식과 감각적 확실성의 입장을 처음부터 거부하는 결과를 보여준다. 인식론의 초기 단계에서부터 나타나는 헤겔의 이와같은 감성에 대한 경시와 물질에 대한 몰이해가 시대적 상황과 유리된 사변적인 자연철학을 가능케 하였고 결국 포이엘바하(Feuerbach)와 마르크스(Marx)로 대표되는 유물론의 저항을 불러 온 것이다. In case of Hegel whose science is to establish the course of the conscious experience in accordance with inevitability in order to approach the absolute knowledge, the matter where the consciousness's dialectic experience to start is to form the fundamental beginning of his scientific system. Hegel had criticized the traditional epistemological theory before he developed his own epistemological process. The most representative epistemological theory that Hegel criticized was Kant's theory. Hegel thought Kant had considered epistemological behavior as an activity of using an epistemological instrument positively or believed that the epistemological objects are accepted passively through epistemological forms. But in any case cognition itself cannot be the same as the object itself recognized purely because cognition is the object that is transformed through epistemological instrument or can only figure out the objects reflected on the cognition subjectivity through an epistemological medium. Therefore cognition and thing-in-itself are absolutely divided and at the same time the absolute and the epistemological subjectivity are divided. The only way to solve this kind of dilemma is to eliminate the whole epistemological premise and to start hating the most direct and concrete cognition. And so Hegel traces the course of the phenomenological knowledge's developing into natural consciousness. The knowledge which get out of the natural consciousness meets the concrete and sensuous object which is named emotional confidence by Hegel. Knowledge starts from the most concrete and sensuous object and shows the process of overcoming which was performed on the natural consciousness. But Hegel thought that the emotional confidence which had been considered as the purest existence, the most abundant cognition, and the nature of the truth was the most abstract and the poorest truth. The minimum of material tendency remained in Kant's thought disappeared because of the concept of the average person which was representative of language. Like this, instead of the objectivity of things or reality, Hegel shows to refuse the point of view that emphasizes the natural consciousness and sensuous confidence which are contradictive to the starting point of his thought by arguing that the truth of the concept, the universal nature is reflected on the language. Hegel's ignoring human's emotion and the misunderstanding of material shown from the beginning stage of his epistemological theory makes it possible for him to develop his speculative natural philosophy and results in the resistance of the representative materialists, Feuerbach and Marx.

      • KCI등재

        변증법적-유물론적 언어철학의 반양론

        홍승우 ( Sungwoo Hong ) 한국외국어대학교 언어연구소 2004 언어와 언어학 Vol.0 No.34

        Through the investigation on the dialectic-materialistic approach to linguistic philosophy and the concept of the reflection theory, we suggest that dialectic-materialistic linguistic philosophy should be acknowledged as one of the methods of study on linguistic philosophy apart from the transcendental-interpretational and technical-scientific linguistic philosophies, This approach was initiated by V. N. Volosinov and was also employed by A. Schaff. The academic position of the approach was influenced heavily by such as W. v. Humboldts`` linguistic theory and K. Marx``s dialectic-materialistic epistemology. Fundamental characteristics of the approach can be found on the basis of the concept of reflection theory. The people in favor of naive realism argue that things should be taken as they are and thus, sensitive qualities of them are also included in the things themselves. In other words, our cognition is independent from ourselves so that the reality, which is outside of ourselves, can be only recognised passively by way of reflecting it in the mirror. This viewpoint is absolutely denied by critical realism saying that our cognition is not only reflection of objective reality but also a result of subjective interference because language and thought cannot be divided but unified. The subjective factor is accepted not only by the dialectic-materialism but also by the objective realism admitting the objective reality. All individual languages can be understood in the place where the subjective interference meets the reflection of the reality. Therefore, on the process of the reflection, active factors can playa role as well as passive ones. Futhermore, the dialectic-materialistic approach suggests that all languages, seen from a different point of view, have their own worldviews and are intermediates of the subject and the object.

      • KCI등재

        지젝의 변증법적 유물론과 혁명 정치론 - 지젝의 바디우 비판 -

        김성우 ( Kim Seong-woo )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018 시대와 철학 Vol.29 No.1

        Zizek’s dialectical materialism and Badiou's materialistic dialectic are attempts to establish revolutionary politics. According to Badiou, he pointed out the limits of Deleuzian democratic materialism, and instead suggests materialistic dialectic rather than aristocratic idealism. If the democratic materialism literally symbolizes the conformity of the representative democracy, the materialistic dialectic symbolizes the revolution through the truth-event. But in Zizek’s view, Badiou's materialistic dialectic strategy still can not escape the Kantian trap trapped in the dichotomy of being and truth. In other words, without knowing that the plural emerged from the subtraction of the One, Badiou presupposes the plural as a formal logic of the mathematical, so that he does not reach Lacan 's true nonholist thought and Hegelian nonformalist speculation. Thus, the dialectic without object of Badiou falls into the extreme subjectivism that waits like a miracle for the truth-event, because he regards objects as the order of existence to be rejected . The problem with Badiou's practical philosophy is that it is a short-circuit of the resistance to the state and utopian dreams that are difficult to reach. Moreover, the notion of the state being ontologically excessively expanded to cover the economic and private spheres, the autonomy of civil society disappears, the need for class struggle disappears, and the universalization of the political struggle is brought about. In order to present the ontological foundation of revolutionary politics, it is necessary to switch from the Badiouan Kant to the Lacanian Hegel.

      • KCI등재

        지젝과 변증법적 유물론의 복권

        김성우 ( Kim Seong-woo )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016 시대와 철학 Vol.27 No.3

        The problematic of Leninist materialism are irrelevant to the theoretic level of contemporary sciences and cannot even consider of the failure of communism in the 20th century besides other breakthroughs such a Freudian psychoanalysis. In order to these crises in Marxism caused by the collapse of the actually existing socialism, Zizek asserts the necessity of rehabilitation of dialectical materialism as a philosophical basis. For, in these Marxist crises, there are not only politico-social setbacks, but also the tentative extinction of dialectical materialism. The difference between Adorno`s and Zizek`s strategy to overcome these political and philosophical crises is in their attitudes about the speculativity and the negation of negation of Hegelian dialectic. Criticizing Hegelian idealist dialectic and the ``negation of negation`` as a formula of the Stalinist Diamat, Adorno tries to deconstruct the positivity of its speculative identity by determining it as its problematic core. In the contrary, Zizek condemns his attempt on this negative dialectic reversely, and maintains that dialectical materialism is the very rightful heir to Hegelian ``speculative position of the thought of objectivity.`` And to conclude, it is Zizek`s rehabilitative strategy that interpreting newly the ``speculativity`` of Hegelian absolute dialectic and the ``negation of negation`` as its kernel, he posits them as the axioms of dialectical materialism.

      • KCI등재

        초현실주의 오브제에 반영된생산 개념에 관한 고찰

        이은주 서양미술사학회 2018 서양미술사학회논문집 Vol.48 No.-

        As materialists who criticized capitalist production, surrealists supported the proletarian revolution in the 1930s. Noting that surrealist objects were collectively created in this period, this paper investigates the meaning of production reflected in those objects to clarify how surrealists endeavored to effect change in the production structure of capitalism. Exploring surrealist concept of the human labor, the first part of this paper articulates the difference between the socialist productions of constructivists and those of the surrealist objects that inherited Art Nouveau’s acceptance of the vitality of nature. In the second part, I analyze how surrealists have transformed the bourgeoisie’s ordinary objects into mediators of the vital impulse which they accepted as the creative human power against the normative criterion of the bourgeoisie. Considering the social context of the surrealist objects, this paper ultimately argues that the surrealist revolution against the capitalist system aims not toward a communist society, but toward a universal human community based on the collective unconsciousness. It can be said that surrealist production is a form of revolutionary social practice to change the material of capitalist society into a channel of the spiritual world, materializing human impulses, which are the real source of the creative human community. 초현실주의자들은 자본주의 체제를 비판했던 유물론자들로서, 생산의 주체인 노동자들에 의해 현실 세계가 개혁되어야 한다고 보았다. 본 논문에서는 초현실주의자들이 노동자들에 의한 세계 혁명을본격적으로 지지했던 1930년대에 초현실주의 오브제 창작이 조직적으로 추진되었던 것에 주목하여, 초현실주의 오브제에 반영된 생산 개념을 고찰함으로써 초현실주의자들이 예술 작품을 통해 인간을소외시키는 자본주의의 생산 구조에 어떠한 변화를 일으키고자 했는지를 살펴보고자 했다. 초현실주의 오브제는 다다로부터 전래되는 기계적 생산물을 수용했지만 자연의 생명력을 반영한다는 점에서아르누보를 계승했다고 볼 수 있으며, 구축주의자들이 만들어낸 사회주의적 발명품과는 달리 원시 오브제와 같이 정신적 세계를 매개하는 상징적 기능을 했다. 또한 초현실주의자들은 부르주아의 일상오브제들을 활용하면서도 그것을 부르주아 사회가 통제한 원초적 리비도의 매개항으로 변화시킴으로써 자본주의의 지배 질서를 공격했다. 이러한 점에서 초현실주의자들이 변증법적 유물론자임을 자처했음에도 불구하고, 그들이 자본주의를 극복하기 위해 지향한 사회가 공산주의 사회와 일치할 수 없었음이 분명해진다. 초현실주의자들은 오브제를 통해서 인간의 보편적인 창조 충동을 표출하여 집단 무의식을 공유함으로써, 자본주의 사회의 계급주의를 넘어서는 만민 평등의 공동체를 이룰 수 있다고보았다. 이러한 맥락에서 볼 때, 초현실주의 오브제를 통해서 드러나는 초현실적 의미에서의 생산이란결국 자본주의 체제에 대항하여 노동을 통해 물질을 정신적 세계의 통로로 변화시키는 것이며, 초현실주의자들이 창조성의 원천이라고 보있던 인간의 내적 충동을 물질화함으로써 인본적 공동체를 이루려는 사회적이고 혁명적인 활동이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프랑크푸르트학파 비판이론에 대한 커뮤니케이션 현상학적 성찰

        이범수(Lee, Bum-Soo) 한국언론학회 2014 커뮤니케이션 이론 Vol.10 No.4

        커뮤니케이션 관련 비판이론은 커뮤니케이션 현상학 및 스피치 행위이론과 결부되어, 인간과 사회의 관계 분석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연구는 마르크스에 대한 통찰에 근거하는바, 인간과 도덕 가치에 대한 본질 개념 찾기가 그 목적이다. 사회제도 속에서 물상화된 소비주의 및 설득은,진정성 및 대인 합당화의 원천과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보편화용론의 터인 커뮤니케이션 현상학, 신마르크스주의자의 인식론인 역사적ㆍ변증법적 유물론, 경험주의 방법에 대한 성찰 등은 커뮤니케이션 왜곡을 막으면서 커뮤니케이션을 해방의 도구이자 대중의 발화수단으로 하는 데 필요불가결하다. 마르크스주의의 위대성은 사적 유물론에 있다기보다는 인류 역사라는 동일과정에서 문화 역사 및 경제 역사의 취급 방식에 있다. 통찰이라는 이론적 방법을 사용하여 커뮤니케이션 패러다임의 전환을 이끌어 인간해방을 실천하는 것이 그것이다. The critical theory approach to a communication theory of society, initiated in the development speech act theory and the phenomenology of communication, represents a starting point in the analysis of the fundamental relationship between persons and societies. From Marx we gain an insight based on the nature of person and moral value. The fundamental grounding of emancipation from consumerism and persuasion as reified in social institutions is linked inseparably to the discovery of the communication community as a source of authenticity and inter personal legitimation. Thus, the greatness of Marxism lies not in its having treated economics as the principal or unique cause of history but in its treating cultural history and economic history as two abstract aspects of the same proc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