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베이비붐세대의 이중부양부담이 노후준비도에 미치는 영향

        조지민(Jo, Jimin),김문근(Kim, Moon Geun) 경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21 사회과학 담론과 정책 Vol.14 No.2

        본 연구는 베이비붐세대의 이중부양부담이 노후준비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고, 1차 베이비붐세대와 2차 베이이붐세대 사이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 비교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자료수집은 전국에서 자녀와 부모를 동시에 부양하는 1955년부터 1974년 사이에 태어난 베이비붐세대를 대상으로 이루어졌으며, 전문조사업체를 통하여 배포 및 수집된 설문지 총 340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5를 활용하여 평균비교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베이비붐세대의 부모부양부담과 자녀부양부담은 각각 노후준비도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자녀부양부담이 부모부양부담보다 노후준비도에 더욱 부정적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부모부양부담과 자녀부양부담의 상호작용효과 검정 결과 이중부양부담은 노후준비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대 간 비교분석 결과 1차 베이비붐세대는 부모부양부담이 노후준비도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데 반해 2차 베이비붐세대는 자녀부양부담이 노후준비도에 부정적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나 두 집단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부양부담 외에 1차 베이비붐세대는 소득수준, 본인의 경제활동, 부모돌봄 제공이, 2차 베이비붐세대는 배우자의 경제활동이 노후준비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근거해 이중부양부담의 조작적 정의에 관한 심층적 논의를 제안하였고, 베이비붐세대의 노후준비를 향상시키기 위해 1차 베이비붐세대의 부모부양부담을 완화하며, 2차 베이비붐 세대의 자녀부양부담을 완화할 수 있는 차별화된 정책적 개입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est the effects of double care burden of baby boomers on their preparation for old age. But also the study aims to test the differences in the effects of double care burden on the preparation for old age by generation(first and second baby boomers). For this purpose the authors analysed 340 questionnaires that were completed by baby boomers who were sampled by research company from all around the country. To answer research question this study used mean difference 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f SPSS 25. The results are as below. Firstly, parent care burden and children care burden have negative effects on preparation for old age. And child care burden has more negative effects on preparation for old age than parents care burden. But the interaction effect analysis does not support double care burden’s effects on the preparation for old age. Secondly, there are generational differences in the effects of the double care burdens on the preparation for old age. For the first baby boomers parents care burden has negative effects on the preparation for old age, on the other hand for the second baby boomers the child care burden has negative effects. Lastly, income, economic activity of themselves and spouses have positive effects. Based on these results the authors suggested theoretical discussion on how to operationalize double care burden and policies for supports for parents care burden for first baby boomers and supports for child care burden for second baby boomers.

      • KCI등재

        베이비붐 세대와 베이비붐 이전 세대의 소비지출구조 및 결정요인의 비교

        김민정(Kim Min Jeong),문정숙(Moon Chung Sook) 한국소비문화학회 2016 소비문화연구 Vol.19 No.3

        본 연구는 베이비붐 세대와 베이비붐 이전 세대의 소비지출구조가 다르게 유형화될 것이라는 가정 하에 베이비붐 세대와 베이비붐 이전 세대의 소비지출구조에 대한 비교와 소비지출구조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해 보았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2015년 배포된 제5차 국민노후보장패널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이중 베이비붐 세대 1,565가구와 베이비붐 이전 세대 3,151가구를 구분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소비지출규모와 소비지출 구조가 베이비붐 세대와 베이비붐 이전 세대 간에는 뚜렷하게 차이가 발견되었는데 우선 소비지출규모에 있어서는 베이비붐 세대가 베이비붐 이전 세대에 비해 2배 이상의 지출을 하고 있었다. 총소비지출액과 총비소비지출액 구조 역시 두 세대 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자녀교육 및 부모부양 관련 지출액이 베이비붐 세대에서 유의하게 높았고 교통통신비 및 기타소비 등 베이비붐 이전 세대에서 나타나지 않은 비목들의 소비지출액이 유의하게 높았다. 마지막으로 소비지출구조 결정요인에 있어서 두 세대는 유사점과 차이점을 보였는데 가구원수와 근로소득은 두 세대의 소비활동에 큰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그 외의 요인들은 소비활동별로 다르게 또는 요인의 영향력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베이비붐 세대의 현재 및 향후 사회경제적 특성을 이해하는데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compares the consumption expenditure patterns and the determinants of expenditure patterns for babyboomer and elderly households. The data are drawn from KReIS(Korean Retirement and Income Study) surveyed by National Pension Research Institute in 2013. Among total sample 6,405 households, 1,565 households are babyboomer households and 3,151 households are elderly households. The results show the differences in the consumption expenditure volumes and consumption expenditure patterns between babyboomer and elderly households. Babyboomer households consume more than twice than elderly households. Next, there are the differences in the expenditure levels of each consumption category and the shares of each consumption category of total expenditures between babyboomer and elderly households. Comsumption volume related to educating child and supporting parents of babyboomer households is significantly high. Also, transportation and other consumption expenditure of babyboomer households a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ransportation and other consumption expenditure of elderly households. Finally, the determinants of consumption expenditures patterns are investigated. Major determinants of consumption expenditures functions for both babyboomer and elderly households are commonly the number of household member and earned income. Other determinants of consumption expenditures functions are different according to consumption category for each household. The results of this study would be useful for understanding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of babyboomer households.

      • KCI등재

        베이비붐 세대와 베이비붐 직전세대의사적 재무적 준비와 영향요인 비교

        박창제 한국노인복지학회 2016 노인복지연구 Vol.71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magnitude and determinants of private financial preparation for Aging of the babyboomers and those of the pre-babyboomers in Korea empirically, and then to discuss policy implications. Subjects used in this study were selected 2,004 pre-baby boomers in first wave(2006) and 1,698 baby boomers in fifth wave(2014) of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KLoSA) conducted by Korea Labor Institute are. The results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private financial preparation for aging of babyboomers is low but is higher than that of prebabyboomers. Second, the percent of babyboomers having private pensions is higher than the percent of pre-babyboomers having private pensions. Second, both babyboomers and prebabyboomers in the private financial preparation for aging decrease with aging. Third, the lower income is the lower private financial preparation for aging in both babyboomers and pre-babyboomers. Fourth, age has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effects on private financial preparations for aging of both babyboomers and pre-babyboomers together. Fifth, education h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private financial preparations for aging of pre- baby boomers only. Sixth, household income h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private financial preparations for aging of babyboomers only. Seventh, ownership of housing h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private financial preparations for aging of prebabyboomers only. Eighth, heritage h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private financial preparations for aging of babyboomers only. Ninth, any factor among need factors(number of children, health dissatisfaction, longevity possibility, region) has no effect on private financial preparations for aging of both babyboomers and pre-babyboomers together 본 연구는 노년기에 진입하고 있는 베이비붐 세대와 노년기에 진입한 베이비붐 직전세대의 저축성보험으로 대표되는 사적 재무적 노후준비 정도와 그 영향요인을 비교분석하고자한다. 연구대상자는 고령화패널의 1차년도(2006년) 베이비붐 직전세대 2,004명과 5차년도(2014 년) 베이비붐 세대 1,698명이었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베이비붐 세대의 사적 재무적 노후준비율이 낮았지만 베이비붐 직전세대보다는 약간 높았다. 둘째, 베이비붐 세대나 베이비붐 직전세대 모두 연령이 높아질수록 사적 재무적 노후준비율이 떨어졌다. 셋째, 소득이낮을수록 베이비붐 세대나 베이비붐 직전세대 모두 사적 재무적 노후준비율이 낮았다. 넷째, 연령은 베이비붐 직전세대의 사적 재무적 노후준비와 베이비붐 세대 사적 재무적 노후준비모두에 부정적 영향을 미쳤다. 다섯째, 교육수준은 베이비붐 직전세대에만 사적 재무적 노후준비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여섯째, 가계소득수준이 베이비붐 세대에만 사적 재무적 노후준비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일곱째, 주택보유는 베이비붐 직전세대에만 사적 재무적 노후준비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여덟째, 유산은 베이비붐 세대에만 사적 재무적 노후준비에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아홉째, 자녀수, 건강불만족, 장수가능성, 지역으로 구성된 필요요인들은 어느 요인도 베이비붐 직전세대와 베이비붐 세대 공히 사적 재무적 노후준비에 영향을주지 못하였다.

      • KCI등재

        한국 베이비붐 세대의 자원봉사참여 및 참여의사의 영향요인

        이현기(Hyunkee Lee)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2013 한국지역사회복지학 Vol.0 No.47

        서구국가들은 베이비붐세대의 대규모 은퇴에 직면하여 그들의 자원봉사참여 양상의 변화에 대하여 큰 관심을 갖고 있고, 이와 같은 상황은 우리도 마찬가지이다. 본 논문은 이 같은 사회적 배경 하에서 베이비붐세대의 자원봉사 참여와 참여의사 실태를 파악하고 그 영향요인을 추정하여 베이비붐세대의 고유한 영향요인을 식별하고자 한다. 본 논문은 분석을 위해서 전국규모 사회의식조사 자료에서 분석대상으로 한국 베이비붐세대 표본 6,903명을 추출하여 사용했고, 영향요인 추정을 위해서는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과 순서형 다항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결과 베이비붐세대의 자원봉사 참여율은 18.2 퍼센트, 현 노인세대는 8.9 퍼센트로 나타났고, 참여의사는 베이비붐세대 81.6퍼센트, 노인세대는 49.6 퍼센트로 나타났다. 베이비붐세대의 높은 자원봉사 참여 및 참여의사를 설명하는 특징적 영향요인으로 높은 교육수준, 사무직, 사회참여, 사회적 연결망, 계층의식 변수 등이 중요한 것으로 밝혀졌다. 한편 노인세대의 참여 및 참여의사의 영향요인으로는 주관적 건강, 농어업 직, 참여단체수, 유배우, 종교 등의 변수가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고 이는 베이비붐세대와 크게 다른 것이다. 생활환경 변수는 베이비붐 세대보다 노인세대에게 상대적으로 더 큰 영향력을 미치고 있었다. 본 논문은 베이비붐세대의 높은 참여는 식별된 영향 변수에 의해 설명되는 것으로 간주하나 두 세대의 영향변수의 차이는 코호트 효과에 의한 것으로 해석하였다. 베이비붐세대의 은퇴 후 또는 현재 참여를 위하여 그들의 자원봉사 욕구를 반영하는 신축적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This paper aims to find out the current status of volunteering participation and volunteering intentions among Korean baby boomers, and estimate determinants of both volunteering and volunteer intentions. Based on the parameters, the study tries to predict volunteering participation for baby boomers in retirement years. The thesis uses cohorts perspective and integrated theory of resources as theoretical underpinnings, which explain how Korean baby boomers are different from the previous generations and what makes them engage in volunteering. For the purpose, the study used data of The Korean Social Survey by Statistics Korea and selected 6,903 samples of the baby boomers and did b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d ordered-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As results, education, white collars, urban-rural exchange experiences, stratification consciousness, culture/arts/sports viewing, residential satisfaction, environmental stress, traffic safety satisfaction, metropolitan areas, Dong area variables appeared to more important to baby boomers, comparative to current older adults. As for the volunteer intentions, education, household incomes, professional/managerial, social network size, having spouses, culture/arts/sports viewing variables came to be more influential to baby boomers, comparative to older people. The differences of determinants between two cohorts are believed to come from unequal distributions of resources across generations, which are caused by baby boomers cohort effects. The baby boomers had higher level of education, social resources, volunteer intentions. Accordingly the paper predicted that Korean baby boomers would have higher volunteering rate than current older adults in retirement years. Finally the study stressed that volunteer policy needed to transform in order to attract baby boomers.

      • KCI등재

        베이비붐 세대의 스트레스, 우울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이연실(Yon-Sil Lee),서인균(In-Kyun Seo) 한국콘텐츠학회 2016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6 No.8

        본 연구는 1차 베이비 붐 세대(1955년-1964년)와 2차 베이비 붐 세대(1968년-1974년)가 경험하는 스트레스, 우울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살펴보자 하였다. 조사대상자는 수도권에 위치한 평생교육원 프로그램을 수강하는 학생들 중 1차 베이비붐 세대와 2차 베이비붐 세대에 해당하는 대상자를 편의모집(Convenient sampling)하여 369명에 대해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빈도분석, t-test, ANOVA, 상관분석, 평균중심화(mean centering) 처리된 변수와 상호작용항을 투입한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확인하였다.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차 베이비 붐 세대와 2차 베이비 붐 세대의 스트레스와 우울은 심리적 안녕감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1차 베이비 붐 세대와 2차 베이비 붐 세대의 사회적 지지는 심리적 안녕감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1차 베이비 붐 세대와 2차 베이비 붐 세대의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와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에 차이가 있는 지를 확인한 결과 1차 베이비 붐 세대의 경우는 경제수준이 나쁠수록, 스트레스와 우울이 높을수록 심리적 안녕감이 낮아지고 사회적 지지는 심리적 안녕감을 높이게 하지만 우울과의 관계에서만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2차 베이비 붐 세대의 경우는 스트레스와 우울이 높을수록 심리적 안녕감이 낮아지고 사회적 지지는 심리적 안녕감을 높이기는 하지만 스트레스와 우울과의 관계에서 조절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베이비 붐 세대의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실천적 및 정책적 개입방안에 대해 논의 하였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paper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tress and depression experienced by the first (1955-1964) and second (1968-1974) generations of baby boomers on their psychological well-being as well as the moderation effects of social supports for them. For this purpose, 369 who come under the category of the first- and second-generation baby boomers were selected by convenient sampling from among the participants in the programs of the life-long educational institutes in Seoul metropolitan area and questionnaires of self-administered type were distributed to them. Frequency analysis, t-test,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al regression analysis which used input of mean-centered variables and interaction term were conducted to determine the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s based on the replies to the questionnaires. The major outcomes of the analyses could be summed up as follows: first, the stress and depression suffered by the first and second generations of baby boomers turned out to have negative (-) influence upon their psychological well-being; second, the social supports for those two generations were found to exercise positive (+) effects upon their psychological well-being; and third, a survey of difference in the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s between the first- and second-generation baby boomers showed that, in case of the first generation, the worse their economic status and the higher their stress and depression were, the lower their psychological well-being tended to be and that social supports functioned to hike their psychological well-being but had moderating effects only in connection with stress. In case of the second generation, however, it was shown that the higher their stress and depression got, the lower their psychological well-being developed and that social supports might increase their psychological well-being but without any moderating effects on the part of relationship with their stress and depression. A practical and political method was discussed to improve baby boomers mental health.

      • KCI등재후보

        성공적 노화인식과 은퇴기대가 은퇴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 1, 2차 베이비붐 세대를 중심으로

        최은영,최혜경 한국FP학회 2015 Financial Planning Review Vol.8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effects of the successful aging recognition and retirement expectation on retirement preparations of the first and the second baby-boom generations in Korea. This study examined how the successful aging recognition of the first and the second baby-boom generations affects their retirement preparation through a structural equation model with their retirement expectations as a parameter.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In both the first and the second baby-boom generation models,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successful aging recognition and retirement expectations were found. There also were the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retirement expectation and retirement preparations. The differences between the first and the second baby-boom generation are as follows. In the first baby-boom generation model, the higher the successful aging recognition, the lower alienation and loss of retirement expectations. This result indicates that positive perception on the aging process helps the boomers recognize retirement as a new opportunity to begin another job. However, the first baby-boom generation's successful aging recognition did not related to the retirement preparations. Also, the research showed that the second baby boomers who consider retirement as a new opportunity were more likely to prepare for their retirement.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1, 2차 베이비붐 세대의 성공적 노화인식과 은퇴기대가 은퇴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살펴보기 위하여 1955년에서 1963년 사이에 출생한1차 베이비붐 세대와 1969년에서 1974년 사이에 출생한 2차 베이비붐 세대 43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성공적인 노화인식이 은퇴기대를 매개로 하여 은퇴준비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며, 이 경로가 1차 베이비붐세대와 2차 베이비붐 세대 간에서로 다른지를 규명하기 위해 구조방정식 모델을 설정하고 통계적으로 검정하였다. 연구결과, 성공적인 노화에 대한 인식이 높을수록 은퇴에 대한 부정적인 기대는 낮고, 은퇴에 대한 긍정적인 기대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성공적인 노화에 대한 인식이 높을수록 은퇴준비행동을 더 많이 한다고 응답하였다. 은퇴에 대한 부정적인 기대, 즉 소외와 상실은 은퇴준비행동과 유의미한 관계를 보이지 않았으나. 은퇴에 대한 긍정적인 기대는 은퇴준비행동과 유의미한 관계를 보였다. 1, 2차 베이비붐 세대의 성공적인 노화인식이 은퇴기대를 매개로 한 은퇴준비행동에미치는 영향에서는 세대 간의 차이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1차 베이비붐 세대는 성공적인 노화 인식의 정도가 높을수록 은퇴기대를 소외 및 상실로 하는 정도가 낮았으며, 성공적 노화 인식의 정도가 높을수록 은퇴기대를 새로운 기회로 하는 정도가 높은 것으로나타났다. 그러나 1차 베이비붐 세대는 성공적인 노화인식이 은퇴준비 행동으로 연결되지는 않았다. 은퇴기대와 은퇴준비의 관계에서 1차 베이비붐 세대는 은퇴기대를 소외와상실로 여길수록 은퇴준비를 하는 정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 새로운 기대로 여길수록 은퇴준비를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2차 베이비붐 세대는 은퇴기대를소외와 상실로 여길수록 은퇴준비 정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2차 베이비붐 세대는 은퇴기대를 새로운 기회로 여기는 정도가 높은 경우에도 은퇴준비를 하는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났다. 1, 2차 베이비붐 세대 모두 은퇴기대는 은퇴준비행동을 하는데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함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A Study on the Housing Market Segmentation using STP Strategy : Focused on the Korean Baby Boomer

        조용경(Cho Yong kyung),이상엽(Lee Sang youb) 韓國不動産學會 2015 不動産學報 Vol.61 No.-

        1. 내용 (1) 연구목적 베이비붐 세대는 우리나라 부동산 시장에서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최근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 등 생애주기의 변화로 베이비붐 세대를 목표(target)로 한 주택의 개발이나 정부정책의 수립이 요구됨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베이비붐 세대가 새로운 주택 유형 개발의 대상이나 정책의 대상이 될 수 있도록 다른 세대의 주택시장과 구분되는 세분시장(submarket)이 될 수 있는지 정량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2) 연구방법 연구 방법은 마케팅 기법인 STP 전략기법 중 특히 시장세분화 기법을 활용하여 한국의 주택시장에서 베이비붐 세대가 다른 세대와 구분되는 세분시장이 될 수 있는지 정량적으로 검증하는 모델을 수립하였다. 분석을 위해서는 베이비붐 세대의 주택지불능력을 구성하는 변수를 추출하고 one-way ANOVA를 이용하여 세대별로 집단 간 구분이 되는지 검증하고 베이비붐 세대 집단이 타 집단과 다른 특성을 도출하여 정리하였다. (3) 연구결과 연구결과 베이비붐 세대를 중심으로 연령별 주택시장은 서로 집단 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즉, 베이비붐 세대의 주택시장은 소득, 자산, 부채 수준도 높고 자기비율, 집값, 보증금, 임대료 모두 높으며 더불어 가족 수, 지출도 가장 높은 우리 사회 및 경제의 가장 주거지불능력이 높은 세대의 특성을 가지는 타 세대의 시장과 구분되는 세분시장으로 나타났다. 2. 결과 베이비붐 세대는 다른 세대와 구분되는 주택세분시장으로서 이들의 주거지불능력은 다른 세대에 비해 가장 우수하다고 볼 수 있음에 따라, 향후 은퇴, 자녀의 결혼 등으로 이러한 특성에 변화가 생길 가능성이 있으나 타 세대에 비해 주거안정 정책과 같은 국가적 정책으로 배려할 필요가 있는 세대라고 보기는 어렵다. 그러나 주택시장에서 베이비붐 세대가 차지하는 역할이 크고 세분시장이 되는 만큼 본 연구결과는 베이비붐세대의 생애주기 변화 모니터링을 통해 적절한 주거 모델과 마케팅 기법의 개발이 요구되는데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As the Korean baby boomers are typical cohort group facing the retirement and aging problems, it could cause the problems such as increasing labor blank, welfare budget and other social problems. So, a hypothesis that the baby boomers are possible to be the submarket as a distinct target market for particular policy or commercial marketing about residential construction needs to be verified statistically. Analysis based on cohort effect on baby boomers found that baby boomers can be defined as distinct housing submarket for marketing strategy from housing demand. And the analysis using one-way ANOVA also found that there are existed the differences among generation groups, Accordingly, the baby boomers should be handled as independent submarket for establishing marketing strategy and public policy over housing.

      • KCI등재

        성공적 노화인식과 은퇴기대가 은퇴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최은영(Eunyoung Choi),최혜경(Hyekyung Choi) 한국FP학회 2015 Financial Planning Review Vol.8 No.3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1, 2차 베이비붐 세대의 성공적 노화인식과 은퇴기대가 은퇴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살펴보기 위하여 1955년에서 1963년 사이에 출생한 1차 베이비붐 세대와 1969년에서 1974년 사이에 출생한 2차 베이비붐 세대 43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성공적인 노화인식이 은퇴기대를 매개로 하여 은퇴준비 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며, 이 경로가 1차 베이비붐세대와 2차 베이비붐 세대 간에 서로 다른지를 규명하기 위해 구조방정식 모델을 설정하고 통계적으로 검정하였다. 연구결과, 성공적인 노화에 대한 인식이 높을수록 은퇴에 대한 부정적인 기대는 낮고, 은퇴에 대한 긍정적인 기대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성공적인 노화에 대한 인식이 높을수록 은퇴준비행동을 더 많이 한다고 응답하였다. 은퇴에 대한 부정적인 기대, 즉 소외와 상실은 은퇴준비행동과 유의미한 관계를 보이지 않았으나. 은퇴에 대한 긍정적인 기대는 은퇴준비행동과 유의미한 관계를 보였다. 1, 2차 베이비붐 세대의 성공적인 노화인식이 은퇴기대를 매개로 한 은퇴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세대 간의 차이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1차 베이비붐 세대는 성공적인 노화 인식의 정도가 높을수록 은퇴기대를 소외 및 상실로 하는 정도가 낮았으며, 성공적 노화 인식의 정도가 높을수록 은퇴기대를 새로운 기회로 하는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1차 베이비붐 세대는 성공적인 노화인식이 은퇴준비 행동으로 연결되 지는 않았다. 은퇴기대와 은퇴준비의 관계에서 1차 베이비붐 세대는 은퇴기대를 소외와 상실로 여길수록 은퇴준비를 하는 정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 새로운 기대로 여길수록 은퇴준비를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2차 베이비붐 세대는 은퇴기대를 소외와 상실로 여길수록 은퇴준비 정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2차 베이비붐 세대는 은퇴기대를 새로운 기회로 여기는 정도가 높은 경우에도 은퇴준비를 하는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났다. 1, 2차 베이비붐 세대 모두 은퇴기대는 은퇴준비행동을 하는데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함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effects of the successful aging recognition and retirement expectation on retirement preparations of the first and the second baby-boom generations in Korea. This study examined how the successful aging recognition of the first and the second baby-boom generations affects their retirement preparation through a structural equation model with their retirement expectations as a parameter.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In both the first and the second baby-boom generation models,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successful aging recognition and retirement expectations were found. There also were the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retirement expectation and retirement preparations. The differences between the first and the second baby-boom generation are as follows. In the first baby-boom generation model, the higher the successful aging recognition, the lower alienation and loss of retirement expectations. This result indicates that positive perception on the aging process helps the boomers recognize retirement as a new opportunity to begin another job. However, the first baby-boom generation"s successful aging recognition did not related to the retirement preparations. Also, the research showed that the second baby boomers who consider retirement as a new opportunity were more likely to prepare for their retirement.

      • KCI등재후보

        베이비붐 세대와 에코세대의 사회특성에 대응한 서울시 지역정책 연구

        여관현,박민진 대한지방자치학회 2014 한국지방자치연구 Vol.16 No.2

        본 연구는 서울시의 베이비붐세대와 에코세대의 사회특성을 비교분석하여, 서울시가세대별 사회특성에 대응할 수 있는 지역정책을 수립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한 세대별 사회특성은 주거특성, 직업특성, 문화·여가활동, 인구특성, 가치의식(가치관), 사회자본(신뢰), 삶의 질 등으로 구분하였다. 베이비붐 세대와 에코세대의 사회특성에 대응한 서울시의 지역정책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서울시는 에코세대의 주거점유형태를 반영함으로써, 경제적으로 여유롭지 못한 에코세대들이 자가 주택을 구입할 수있는 저렴한 소규모 주택을 공급하여야 한다. 둘째, 현실적으로 경제적인 여유가 부족한에코세대의 자가 구매 또는 임대 수요자에 대한 적극적인 주택자금 지원정책이 필요하다. 셋째, 서울시는 베이비붐세대에 대한 은퇴 이후의 생활을 보장할 수 있는 새로운 일자리 확보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넷째, 서울시는 마을공동체사업이나 협동조합 등을 통해 베이비붐세대가 활동할 수 있는 일자리 창출 지원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다섯째, 서울시는 베이비붐세대의 다양한 문화 및 여가활동 등을 지원해주는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여섯째, 서울시는 베이비붐세대가 은퇴 이후에도 적극적인 커뮤니티(공동체) 활동을유지하도록 봉사활동 등의 사회활동 프로그램을 기획해야 한다. 이상의 본 연구 결과는향후 서울시의 다양한 지역정책 수립 시에 두 세대 간의 사회특성을 반영한 지역정책을수립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베이비붐 세대 부모의 부양기대와 에코붐 세대 자녀의 부양의식

        김종남(Kim, Jong-Nam),한정란(Han , Jun gran) 한국노년교육학회 2017 노년교육연구 Vol.3 No.2

        본 연구에서는 베이비붐 세대 부모의 부양기대와 그들의 에코붐 세대 자녀의 부양 의식을 비교하고, 그들의 부양기대 및 부양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 인천, 충남 지역에 거주하는 베이비붐 세대 부모와 에코붐 세대 자녀 228쌍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을 통해 나타난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베이비붐 세대의 부양기대는 모두 중간 수준이었고, 정서적 부양기대, 신체적 부양기대, 경제적 부양기대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에코붐 세대의 부양의식은 전반적으로 높은 수준이었으며, 신체적 부양의식, 경제적 부양의식, 정서적 부양의식의 순이었다. 셋째, 경제적 부양, 정서적 부양, 신체적 부양 모두에서 에코붐 세대의 부양의식이 그들의 베이비붐 세대 부모의 부양기대보다 높았다. 넷째, 부양기대에 대한 다중회귀분석 결과, 경제적·정서적·신체적 부양기대에 공통적으로 가장 큰 영향력을 갖는 변인은 자녀와의 친밀감이었다. 다섯째, 부양의식에 대한 다중 회귀분석 결과, 에코붐 세대의 부양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요인 역시 부모 와의 친밀감이었다. 이러한 결과에 근거하여 향후 베이비붐 세대의 노화에 대비하여 노인부양 정책 마련과 부양 교육 프로그램 개발 등에 관련한 제언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덧붙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compare the support expectation of baby boomer parents with the support consciousness of echo-boomer children, and further, examine the effect of intimacy on both their support expectation and support consciousness. The survey was conducted for 228 pairs of baby boomer parents and their echo-boomer children living in Seoul, Incheon, and Chungcheong-Do.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① The baby boomers support expectation was midium level, and was high in the order of emotional, physical, and economic support expectation in detail. ② The echo-boomers’ support consciousness was high level, and was high in the order of physical, economic, and emotional support expectation in detail. ③ The echo-boomers’ support consciousness was higher than their baby boomer parents’support expectation in all of economic, physical, and emotional support. ④ As the result of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most effective factor on economic, physical and emotional support expectation of the baby boomers was the intimacy with their children. ⑤ As the result of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most effective factor on the support consciousness of the echo-boomers was the intimacy with their parents, as well. Some suggestions were made based on the results of research abov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