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고려 전기 금석문과 法相宗

        남동신(Nam, Dong Sin) 한국불교연구원 2009 불교연구 Vol.30 No.-

        본고는 고려 전기에 2,30년의 간격을 두고 찬술된 법상종 관련 비문 8점을 비교 분석한 것이다. 그 결과 앞으로 고려 전기 법상종을 연구하는 데서 해결해야 할 몇 가지 과제를 제기할 수 있었다. 첫째는 법상종 교단의 구성 문제이다. 경주 중심의 太賢系 교학 전통과 지방의 眞表系 실천 수행 전통이 나말여초에 합쳐져서 고려 전기 법상종단을 형성하였다는 견해가 근래 통용되고 있지만, 진표계의 존재를 위의 고려 전기의 법상종 계통 금석문 자료에서는 전혀 확인할 수 없다. 따라서 앞으로는 법상종과 합류하기 이전과 이후를 나누어서 진표계 점찰법의 특징과 그 변화를 단계별로 이해할 필요가 있다. 둘째는 법상종의 법통설 문제이다. 무엇보다도 금산사비에서는 基(632~682)가 강조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고에서는 현재 학계에서 관행적으로 사용하는 ‘窺基’라는 호칭이 부정적 의미를 띤다는 점을 지적하고, 앞으로는 ‘基’라고 부를 것을 제안하였다. 또한 금산사비에서 뚜렷하게 드러나듯이, 중국적 전통(玄奘과 基)과 신라적 전통(海東六祖)을 내세우고 있는바, 지금까지는 해동육조에 元曉가 으레 포함된다고 이해하여 왔다. 그런데 금산사비(법상종)만이 아니라, 같은 시기의 靈通寺碑(화엄종)와 僊鳳寺碑(천태종)에서도 원효를 종조로 추앙하였다. 공교롭게도 이들 세 비에 보이는 원효 중시의 불교사인식은 義天의 원효 인식을 일정하게 반영한다. 원효 중시가 고려 중기 전체 불교교단의 공통된 인식이었는지, 아니면 의천의 불교사 인식이 일시적으로 반영된 것인지는 추후의 연구 과제로 남겨 두고자 한다. 셋째, 금석문에서 고려 전기 법상종의 소의 경전 가운데 가장 빈번하게 등장하는 경전이 『金光明經』이다. 기왕에는 금광명경을 호국경전으로 간주하였기 때문에, 금광명경을 중시하는 고려 법상종 역시 호국불교적 성격이 있다고 이해하여왔다. 그런데 본고에서 새로 밝혔듯이, 금광명경은 자비행의 소의경전으로도 법상종 승려들에 의하여 중시되었다. 이와 관련하여 고려 전기 󰡔金光明經󰡕의 유통과 그 내용에 대한 구체적인 검토가 있어야 할 것이다. In this article, 8 pieces of inscription, which have been created over the course of 20 to 30 years, in the early half period of the Goryeo dynasty, are compared to each other and analyzed in details. As a result, several issues, which would have to be addressed and resolved in future studies, in terms clarifying some things regarding the history of Beobsang-jong in the early Goryeo period, suggested themselves. First, there is the issue of the composition of the Beobsang-jong order. It is usually believed that the scripture studies tradition of the Taehyeon line(‘太賢系’) members of the Gyeongju area, and the tradition of character building exercises of the Jinpyo line(‘眞表系’) members in the local regions, were ‘merged’ to form the Beobsang-jong order, during the transitional period between Shilla and Goryeo. Yet the existence or presence of the Jinpyo line is nowhere to be found from the epigraphic materials mentioned above, which were all affiliated with the Beobsang-jong order in the early Goryeo period. So in the futu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Jinpyo-line’s ‘Jeomchalbeob’ technique should be examined not as a whole but ‘separately’ in multiple periods, such as ‘before’ its joining with the Beobsang-jong order, and ‘after’ of such joining. Second, there is the issue of the ‘theory of legitimacy’ that would have been shared inside the Beobsang-jong order. Most of all figures, ‘JI’(基: 632~682) is emphasized in the Geumsan-sa temple monument’s inscription. In this article, the problem that the term ‘Gyugi/窺基’(which is currently used by scholars) seems to bear a somewhat negative nuance and meaning, is pointed out, and at the same time a suggestion is made to refer to it as simply ‘Ji/基’ in the future. Also, as we can see clearly from the Geumsan-sa inscription,the Chinese tradition(from Hyeon- jang /玄奘 and Ji/基) and the Shilla tradition (from the Six ancestral figures of the East side of the sea: 海東六祖) are presented, and it was a general presumption that Weonhyo/元曉 was definitely counted in those ‘6 figures’. Yet not only in the Geumsan-sa inscription(from the Beobsang-jong order), but also in the inscriptions of the Yeongtong-sa temple’s monument(靈通寺碑: from the Hwa- eom-jong order) and the Cheonbong-sa temple’s monu- ment(僊鳳寺碑: from the Cheontae-jong order), we can see that Weonhyo was worshipped and honored as the ultimate founding ancestor(by all those orders in that particular point). So all three inscriptions were harboring the sentiment of the time that considered Weonhyo to be very important, and it also accidently reveals how Euicheon /義天 perceived Weonhwo. So, whether this kind of perception was shared by most of the members of the mid-Goryeo Buddhist society, or was a temporary reflection of the personal opinion of Euicheon, should be determined in the future. Third, the fact that the most frequently commented scripture in the Soeui scripture inscriptions of the Beob sang-jong order in the early Goryeo period is the 『Geum gwangmyeong-gyeong/金光明經』, should be noted. The scripture was previously believed as a scripture that contributed to state defense, and scholars naturally presumed that the Beobsang-jong of Goryeo, which considered this script very importantly, also shared a sentimentality considering the issue very critically. Yet, as newly revealed in this article, this Geumgwang myeong-gyeong scripture was also valued by the Beobsang-jong priests as a Soeui scripture for the ‘Jabi-haeng’ practice. So, the actual circulation process of this scripture in the early Goryeo period, and the exact contents of it, should be further explored in the future.

      • KCI등재

        高麗中期 法相宗 사원의 불교조각

        최성은 국립중앙박물관 2018 미술자료 Vol.- No.94

        This paper investigates Buddhist sculptures of mid-Goryeo period at four Beobsang School(法相宗) monasteries – Hyeonhwasa(玄化寺), Samcheonsa(三川寺), Beobcheonsa(法泉寺) and Keumsansa(金山寺). Beobsang School of Buddhism flourished in the 11th century under the royal support, especially of King Hyeonjong(r.1009∼1031), who became a monk at a temple of Beopsang School before ascending the throne. King Hyeonjong constructed Hyeonhwasa in 1018 in Gaeseong, the capital of Goryeo, for the good karma of his past parents. Reliefs on the surfaces of the seven storied stone pagoda at Hyeonhwasa show high quality craftsmanship and aristocratic delicacy characteristic of mid Goryeo Buddhist art. Text engraved on the stele of Hyeonhwasa describe its sumptuous buildings and decorations, which can be compared to those of Maitreya’ palace on Tushita Heaven. The three other temples have monumental artifacts, including the delicately carved Rock-cut standing Buddha image at Samcheonsa, the exquisite Sarira Pagoda of Reverend Priest Jiguang(智光國師, 984∼1070) at Beobcheonsa, and the decorative Stone Lotus Pedestal at Keumsansa. Extant images and materials of Beobsang School demonstrate that the Taehyun line of the Unified Silla period was strongly succeeded by the Beobsang School in the 11thcentury. While the large Maitreya images of the late Unified Silla and early G oryeo period had been regarded as symbolic icons of Beobsang School, they have little to do with Beobsang School of the 11th century. Whereas, the iconography of Maireya Bodhisattva wearing a high cylindrical crown and a Kasaya robe like a Buddha image seems to have become very popular due to the spread of annual rituals of Maitreya of Beobsang School.Elegance and grace shown in the pagodas and images at the four Beobsang monasteries are not necessarily stylistic features and traits of Buddhist art of Beobsang School. Rather, they are the general trend of Buddhist art in the 11th century, most likely influenced by Buddhist art of the Five Dynasties and Northern Song, as well as the court art of Unified Silla, since a number of government officials among King Hyeonjong' close advisors were naturalized Chinese and King Hyeonjong’s father was the only descendant of the Unifed Silla royal family from his mother side. 고려중기에 융성했던 법상종의 주요 사찰로는 현종이 창건한 현화사를 비롯해서 삼천사, 법천사, 금산사 등을 꼽을 수 있으며, 현화사 칠층석탑이나 법천사 지광국사탑, 금산사 석조연화대좌에서 보이는 화려하고 귀족적인 조형성은 당시 법상종 불교미술의 높은 수준과 성격을 말해준다. 비문에 기록된 현화사의 면모는 ‘도솔천궁’에 비유될 정도로 장엄하였으며, 금산사는 章疏를 간행하는 광교원구를 비롯해서 봉천원구가 고려중기에 신축되었다. 오늘날 전해오는 이들 사찰의 불교조각 작품은 영세하고 단편적인 자료에 불과하나, 문헌기록과 새로 출토된 비문자료, 현존 유물들을 통해서 고려중기 법상종에서 미륵과 아미타를 모시고 교학에 중점을 둔 태현계 법상종의 전통이 강하게 이어져 내려오고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나말여초 후삼국기를 거쳐 고려초기에 이르는 시기에 유행하였던 거대 미륵의 표현이 흔히 법상종과 관련있는 것으로 생각되어 왔으나, 적어도 고려중기의 법상종 사찰과는 연관지을 개연성이 없다는 판단이 서게 되었다. 또한 당시 여러 법상종 사찰에서 설행되었던 아미타불회와 미륵회 등은 설법인을 결한 아미타불상과 통형의 보관을 쓰고 가사형태의 착의형식을 한 미륵보살의 도상이 전국적으로 확산되는 데 적지 않은 역할을 하였을 것으로 생각된다. 고려중기 법상종 사찰의 석조미술에서 나타나는 우아하고 귀족적인 양식이 법상종 사원 미술의 특징이라고 볼 수는 없겠으나 왕실의 전폭적인 후원으로 융성하였던 법상종 사찰이 당시 佛事의 주요 무대가 되었던 것은 분명하다. 아울러 고려초기 불교미술에서 볼 수 없던 우아한 북송풍의 귀족적인 요소는 현종의 측근에 머물던 채충순, 주저와 같은 오대, 북송 귀화인들의 활동과 함께, 고려의 적극적인 對宋 불교문화 교류의 결과로 나타났던 것으로 이해되며, 여기에 더하여 현종대 이래 부상한 신라 舊귀족 세력의 세련되고 귀족적인 취향이 반영된 것으로 보아도 무리가 없을 것이다.

      • KCI등재

        법상종에서 미륵정토와 아미타정토의 융합

        李慶禾(Lee kyunghwa) 한국고대사학회 2009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56

        이 글은 법상종의 인식구조에 따라 아미타와 미륵의 시공간적 개념이 어떻게 예술로 재현되는가 하는 관점에서 살피고자 한다. 법상종에서의 淨土(佛性)는 眞如의 완전한 깨달음으로 특징지어지고 거기에 이르는 궁극적인 인식으로 이해된다. 법상종은 세계를 이루는 법의 독특한 상(특질)을 인간의 관념작용을 통해서, 현상계에 존재하는 사물들의 궁극적 실체인 佛性의 발견에 그 목적을 둔다. 불성은 완전히 깨달은 眞如에 의해서 특징지어지지만, 체계적이고 점진적인 統覺의 단계(보살도)에 의해 실현된다. 그것은 모든 정신활동의 기초인 내적 변화의 최종산물이다. 실제로 미륵정토와 아미타정토는 『법화경』과 같은 대승불교 초기 경전에 따라서 현상적인 대립경쟁 관계인데 반하여, 7세기 이후 法相宗의 관점에서는 두 정토가 융합되는 경향이 있었다. 미륵의 도솔천은 대승불교 세계관에서 윤회의 삼계(無色界, 色界 欲界)의 맨 아래층에 존재한다. 그는 석가에 이어 부처가 될 미래의 붓다이며 현재는 보살로 정의되어 있다. 아미타는 석가 성불 이전에 이미 부처가 된 과거불이며 三界를 초월한 완성된 정토를 가지고 있다. 두 정토는 7세기 대승불교의 정복과 함께 미륵의 정토가 결국 아미타정토로 흡수되었다. 경주 감산사 석조미륵보살입상과 석조아미타불입상은 대당외교관직을 역임한 신라 육두품 신분의 김지성에 의해 719년경 삼층석탑과 함께 만들어진 불상이다. 감산사의 두 정토를 대표하고 있는 미륵보살상과 아미타불상의 현상 이면에 있는 실상을 파악하기 위해서 두 불상은 법상의 범주에서 다루어져야 한다. 이에 따라 감산사 미륵보살상과 아미타불상은 정토의 실현인 불성(진여)의 깨달음을 통해 재현되었다. 왜냐하면 미륵상이 발아-미완-가능성의 이미지이고 아미타가 만개-완성-완전-정토-불성의 재현체계를 이루고 있기 때문이다. 우리는 정토를 가시적으로 증명할 수 없지만 현상으로 끌어내려 경험을 하도록 像을 만든다. 눈에 보이지 않는 것을 재현하였으므로 相 혹은 像의 진의를 찾아야 한다. 실상은 현상의 내부에 존재하며 우리는 그 실체, 본성을 정토로 보게 된다. 도솔천과 극락은 인간의 관점에서 가까움(近)과 먼 것(遠)의 대조이다. 욕계에 있는 도솔천은 보살지의 수행을 필요로 한다. 삼계를 벗어난 정토로 가기위해서이다. 법상의 범주에서 두 정토는 결국 보는 사람의 마음에서의 경쟁이지 분별과 집착을 떠나면 하나의 진여의 세계로 들어간다. 이와 같이 감산사 미륵보살과 아미타상은 8세기 신라사회 안에서 궁극적으로 불성에 이르는 길을 재현한 주목할 만한 법상종미술이다. In Buddhism, the Pure land is a state of mind. This study examined two different understandings of the Pure Land (byMaitreya and Amitabha) and how these were integrated into a coherent system in the Dharma-laksana. To this end, this study focused on 8th century Buddhist images found at Kamsan-sa, Kyungju, South Korea. Maitreya in the current time is a Bodhisattva, the Buddha before he attained supreme enlightenment. By contrast, Amitabha is the Buddhaof past, hence he presides over a Pure Land free from the Buddhist transmigrations. Amitabha was popular among the masses, whereas Maitreya was admired by the elite. These two Buddhist branches, therefore, were essentially in conflict with each other. After the 7th century, in the Dharma-laksana, these two branches tended to merge and Amitabha’s Pure Land became dominant. Stone-carved standing statues ofMaitreya and Amitabha at Kamsan-sa were built together with the three-story pagoda in 719 by the order of Kim Jisung. As these statues represent two different Pure Lands, each of them may be treated as separate Buddha images. The Maitreya statue conveys a Not-Yet possibility, whereas Amitabha expresses completeness. Nonetheless, they contain the same epigraph implying that people should seek the essence of Buddhism, not the appearances they are representing. The Pure Land cannot be demonstrated, but it can be imaged. The recognition of transmigration fromMaitreya to Amitabha was the main contribution of the Dharmalaksana to Buddhism. An enlightenment would be achieved byexperiencing their different appearances, while recognizing that they are the same (True Suchness, bhutatathata). Hence, the statues ofMaitreya and Amitabha at Kamsan-sa would suggest a path to Buddhahood in the form of Dharma-laksana art.

      • 고려 중기 법상종(法相宗)[자은종(慈恩宗)]과 해린(海麟)

        남동신 ( Nam Dongsin )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2019 韓國史論 Vol.65 No.-

        본고에서는 고려 중기에 부흥하는 法相宗[慈恩宗]의 사상사적 의의가 무엇인가 하는 문제를, 智光國師 海麟(984-1070)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먼저 고려 중기 법상종의 교학은 『瑜伽師地論』에서 『成唯識論』으로 그 무게 중심이 이동한 것으로 보았다. 이는 동시에 『成唯識論』의 編譯과 註釋을 주도한 慈恩大師 基(632-682)의 교학, 즉 慈恩學이 主流였음을 의미한다. 고려 법상종의 특색은 『金光明經』을 중시한 데에서 찾을 수 있다. 『金光明經』은 불교교단과 세속사회 사이의 이상적인 관계를 역설하는데, 고려 법상종단이 이 경전의 ‘護國’내지 ‘護世’ 사상에 크게 공감한 듯하다. 다만 기존에는 ‘護國’을 국왕의 관점에서 이해하였는데, 본고에서는 불교의 관점에서 ‘護世’의 중요성도 부각하였다. 고려 중기 법상종 승려들이 보여주는 放生, 慈善, 救濟 등의 활동상은 분명 『金光明經』에 경전적 근거를 둔 것이다. 법상종의 『金光明經』 중시가 나말여초 禪宗의 흥기에 대한 대응이라고 보기는 어렵다. 이는 경쟁 종단인 華嚴宗의 義天(1055-1101)이 渡宋遊學 때 강렬한 禪敎 충돌을 체험함으로써 귀국 이후 기왕의 華嚴學에 실천성을 강화하고 나아가 교종 중에서도 가장 실천수행을 강조한 天台宗을 개창한 것과 비교된다. 당시 법상종단의 중심 인물 중에서 義天 만큼 禪敎 간의 강렬한 충돌을 체험한 사례는 지금까지 알려진 바가 없다. 결국 고려 중기 법상종이 보여준 현실 중시의 주된 배경이 고려 사회 내부에 있었음을 강력하게 시사한다. This paper examines the significance of the revival of the Beopsang School of Buddhism(法相宗 or Jaeun-jong, 慈恩宗, Ch. Faxiang-zong), centered around National Preceptor Jigwang Haerin(智光國師 海麟, 984-1070). First it looks at the precepts of mid-Goryeo Beopsang and examines how its emphasis shifted from the Yugasajiron(瑜伽師地論, Discourse on the Stages of Concentration Practice) to the Seongyusikron(成唯識論, Discourse on the Theory of Consciousness Only). The special feature of Beopsang-jong in the Goryeo can be found in the importance it accorded the Geumgwangmyeong-gyeong(金光明經, Sutra of Golden Light), which stressed the idealistic relationship between the Buddhist clergy and secular society. The Beopsang-jong clergy of Goryeo greatly sympathized with the hoguk(護國, saving the nation) and hose(護 世, saving the world) thought of this religious text. However, prior scholarly understandings of hoguk have largely emphasized the perspective of the national monarch, but this paper stresses as well the importance of hose. The range of activities of Beopsang-jong monks in the mid-Goryeo period such as pangsaeng(放生, release of living creatures), jaseon(慈善, benevolent goodness), guje(救濟, relief of suffering) had a textual basis in the Geumgwangmyeong-gyeong. It is difficult interpret the importance accorded the Geumgwangmyeong-gyeong as a response to the rise of Seon(禪宗) Buddhism in the late Silla and early Goryeo period. This is in comparison to the case of Uicheon (義天, 1055-1101) of the Hwaeom School(華嚴宗) who when studying in Song China had a bout of fierce conflict with Chan(禪宗) Buddhism, an experience that after returning to Goryeo strengthened his practice of his earlier Hwaeom study, and to go further led to his founding of the Cheontae(天台宗, Ch. Tiantai) school, which among the various Buddhist groups was the most devoted to Buddhist practice. Down to the present, among the main members of the Beopsang clergy, there no contemporary instance known of someone who personally had such a fierce encounter with the Seon school. The Buddhism of Liao, with which at the time Goryeo had an active exchange, was led by the Gyo School(敎宗) and the Esoteric Buddhism(密敎). Among these, the Emperor Daozong(道宗), who had a deep attainment in Huayan(華嚴宗) study, was highly critical of Chan(禪宗). In the end, during the mid-Goryeo period the importance placed by the Beopsang-jong on reality hints strongly hints that it had found for itself a place within Goryeo society.

      • KCI등재

        서명학파(西明學派)라는 창: 마음의 거울 또는 앎의 장애물 -원측 연구의 몇몇 경향들에 대한 비판적 성찰-

        장규언 ( Gyu Eon Jang ) 한국사상사학회 2015 韓國思想史學 Vol.0 No.50

        잘 알려진 대로 ‘서명학파(西明學派)’라는 개념은 오랫동안 원측(圓測, 613~696)과 흔히 그의 학설을 계승한 것으로 이해되어온 도증(道證), 태현(太賢) 등을 바라보는 창이었지만 필자는 그것이 원측과 신라 유식학자들을 비추는 맑고 투명한 거울이 될 수 없다고 본다. 이를증명하기 위해 필자는 우선 ‘서명학파’라는 개념이 누구에 의해 어떤이유에서 만들어졌으며 또 어떻게 발전하였는지를 추적하면서 그 이면의 전제들이 무엇인지 간략하게 살펴본 뒤, 이어서 그 전제들의 논리적 모순을 실증적으로 지적하였으며, 마지막으로 그것으로 인해 가려지게 되는 모습들에 대해 떠올려 보았다. 하다니 료타이(羽溪了諦)와 후카우라 세이분(深浦正文)에 의해 구축된 ‘서명학파’라는 개념틀은 몇 가지 해석학적 전제들을 포함하고있다. 첫째는 현장(玄奬, 600(또는 602)~664)과 규기(窺基, 632~682) 학설의 완전한 동일시이며, 둘째는 현장과 원측에 대한 대립적 인식이며, 셋째는 규기와 원측, 규기와 도증이 학설상 ‘근본적으로’ 대립했다는 인식이며, 넷째는 규기-혜소(慧沼, 650~714)-지주(智周, 668~723)의 ‘중원의’ 법상종(法相宗) 정통파 ‘자은학파’는 이설에 적대적인 반면 원측과 이른바 ‘신라계’ ‘서명학파’는 이설과의 조화적 정신을 추구하는 온건한 해석학적 경향을 가지고 있었을 것이라는, 모종의 민족성의 차이를 염두에 둔 듯한 양분법이다. 이러한 인식은 ‘법상종’의 창시 자로서 현장을 두고 규기-혜소-지주의 계보를 확정지은 훗날 일본 법상종의 ‘교파’ 관념을 ‘학파’ 시대에까지 소급해서 적용했다는 점에서 일본 불교의 종파주의적 고정관념과 관련되어 있어 보인다. 이에 대해 한국 연구자들의 연구 경향은 민족주의 배경 아래에서 하다니가 발견한 ‘자은학파’ 규기와 대립했던 ‘서명학파’ 원측을 위대한 민족의 불교 사상가로 재발견하고 찬양하는데 중점이 놓여 있었다. 일본 연구자들에게 이파라는 다소 부정적 인식이 전제되었던 ‘서명학파’라는 개념은 배타적인 ‘중국 유식학파’ ‘자은파’에 대적할 만한 뚜렷한 흐름을 가진, 종파의 차이를 극복하려는 열린 ‘한국 유식학파’로 재평가되고 원측은 단순한 유식사상가가 아니라 위대한 대승사상가로 찬양되기에 이르렀다. 여기에는 중국 불교에 대해 한국 불교의 독자성을 찾으려는 한국인들의 집단 무의식이 자리잡고 있는 듯하다. 하지만 ‘서명학파’를 구성하는 해석학적 전제들을 모두 지지되기 어렵다. 첫째 현장과 규기 학설의 완전한 동일시는 현장이 규기에게만 가르침을 전했다는 매우 단순한 발상이며 역사적 사실과 부합하지 않는다. 둘째 현장과 원측에 대한 대립적 인식 역시 원측이 자기 해석의 최종 권위로 현장과 호법을 들고 있는 사실과 상충된다. 셋째 규기와 원측, 규기와 도증이 학설상 ‘근본적으로’ 대립했다는 인식 역시 도증이 「성유식론(成唯識論)」 해석의 권위로 원측과 함께 규기를 매우 존중했다는 전승과 배치된다. 넷째 ‘중원의’ 법상종 정통파 ‘자은학파’와‘신라계’ ‘서명학파’의 양분법은 비(非)규기계 법상종 사상가들 중에 우연히 신라 출신이 많은 점을 확대 해석한 일반화의 오류에 불과하다. 더불어 이 ‘서명학파’의 창은 법상종 사상가 또는 신유식 사상가 원측, 법상종 내의 일군의 ‘비규기계’ 사상가들과 그 일원으로서의 원측, 동아시아 유식사상가 원측의 모습을 비추지 못하는 한계를 지니고있다. 이상을 통해 우리는 ‘서명학파’라는 창은 종파주의적 이분법의 그림자가 드리워져 있으며 또 식민지사관과 중화주의에 짓눌린 한국인들의 상처와 민족적 자존심을 비추는 거울이었으며, 동시에 바로 그 때문에 원측 및 신라 유식사상가들과의 진실된 대면을 막고 주저하게 만드는 앎의 장애물이기도 함을 알 수 있다. As is well known, the so-called “Seomyeong (Ximing) School” (西 明學派) has been for a long time believed to be a clear window into the realities of Woncheuk (圓測613-696, Ch. Yuance) as well as Dojeong (道證), Taehyeon (太賢), etc., who are reputed to be hisKorean successors. But I think this window can’t be “the clear and bright mirror” that reflects reality as is. To illuminate my opinion, first I trace this notion back to who had created it, why it was created, how it had been developed by both Japanese founders and its Korean continuers, and what the hermeneutical premises beneath it were. Second, I point out the logical contradictions of those premises. Finally, I list some real pictures on Woncheuk and the so-called “Faxiang Order (法相宗, the Yogacara School in East Asia)” covered by the traditional notion of “Seomyeong School.” Established by Hadani Lyotai (羽溪了諦) and Huka’ura Seibun (深 浦正文), the notion of “Seomyeong School” contains some hermeneuticalpremises as follow. The first is the complete identification of the views of Xuanzang (玄奬, 600 [or 602]~664) with that of Kuiji (632~682, 窺基), one of his disciples. The second is that Xuanzang and Woncheuk had been rivals. The third is that both Kuiji vs. Woncheuk and Kuiji vs. Dojeong were fundamentally hostile toward each other. The fourth is the dichotomy between the orthodoxy of Central China (中原) as represented by Kuiji, Huizhao (慧沼, 650~714), and Zhizhou (智周, 668~723) and the heterodox of Silla (新羅) based on the modern notion of nationalities, which the former takes a stronger stance than other opinions or schools while the latter shows a more moderate view. I believe this recognition might be effected by sectarian prejudices of Japanese “Faxiang Order” that had regarded Xuanzang as itsfounder and had made the orthodoxical lineage from Xuanzang to Zhizhou. Relative to the sectarian dichotomy of the founders of the Japanese “Seomyeong School,” Korean successors of the notion are more focused on rediscovering and appreciating Woncheuk, the founder of “Seomyeong School,” as a great Korean Buddhist thinker. Accordingly, the notion of “Seomyeong School” with a quite negative nuance in those two Japanese was reevaluated in such a positive way that it was the “Korean Yogacara School” featured by hermeneutical tendencies that made effort to overcome sectarian differentiations, contrary to “Chinese Ja’eun (Ci’en) School (慈恩學派)” with a closed attitude. I believe this kind of hermeneutical tendencies might be based on contemporary Koreans’ collective unconsciousness or sentiment of nationality. But I believe those hermeneutical premises which comprised the notion of “Seomyeong School” are difficult to be validated for thefollowing reasons. The first premise of identification of Xuanzang with Kuiji in the doctrinal respect is just based on the innocent belief that Xuanzang transmitted his doctrine exclusively to Kuiji, which definitely does not correspond to historical facts. The Second premise that Xuanzang and Woncheuk had been rivals also do not correspond tohistorical realities. The third premise of both Kuiji vs. Woncheuk and Kuiji vs. Dojeong being fundamentally hostile toward each other also contradicts the tradition that Dojeong also respected both Kuiji and Woncheuk as two of the most authoritative interpreters of Chengweishilun (成唯識論). The fourth premise of the dichotomy between the orthodoxy of Central China and the heterodoxy of Silla is just the fallacy of generalization in that it might come from overinterpretation of the frequent appearance of Silla monks belonging to non-Kuijian lineage thinkers. Additionally, I would point out thatthe window of “Seomyeong School” could not contain the multiple aspects of Woncheuk as one of the thinkers belonging to the “Faxiang Order,” one of the non-Kuijian lineage thinkers inside the Order, and one of East Asian Buddhist thinkers. Finally, from the abovementioned, we can conclude that the window of “Seomyeong School” is shadowed by the dichotomy based on sectarian prejudice of the founders of the Japanese “Seomyeong School,” a mirror which also reflects the minds of contemporary Koreans who has been oppressed by both Japanese colonists’ view of Korean history and the Chinese ego-centric view of her neighbouring countries. But for these very reasons, it also functioned as obstacles in facing the realities surrounding Woncheuk and his contemporary Korean thinkers in the Yogacara tradition.

      • KCI등재

        고려 예종대 道生僧統 王竀의 ‘모반’과 법상종 세력의 변동

        채민석 전북사학회 2022 전북사학 Vol.- No.65

        Seungtong Dosaeng, Wang Taeng was a Buddhist monk from the royal family of Goryeo. Charged for conspiring a ‘rebellion’ in the 7th year(1112) of King Yejong’s reign, he eventually died a tragic death. Based on more investigations, however, Dosaeng’s ‘rebellion’ may be deemed as a manipulated charge that reflected King Yejong’s certain intention rather than a rebel. Dosaeng was taught by Wangsa Hyedeok(慧德王師), Sohyeon(韶顯) who belonged to Beopsang Buddhism of the Taehyeon line(太賢系). He was granted the authority to supervise both Songnisa Temple(俗離寺) and Geumsansa Temple(金山寺), both of which represented significance to Beopsang Buddhism of the Jinpyo line(眞表系). With this authority, he tried to absorb the Jinpyo line and promoted union within the Beopsang Buddhism. However, King Yejong judged that the existing Buddhist policy of merging various religious bodies into one would be difficult to realize in the reality. Therefore, he preferred a policy to keep in check with each other, while ensuring their coexistence as a religious body. Accordingly, in Beopsang Buddhism, by supporting the Jinpyo line, he tried to check the Taehyeon line. In response, Dosaeng led a grand project to commemorate his teacher Sohyeon, thereby irritating King Yejong by revealing his intention to prioritize the Taehyeon line in Beopsang Buddhism. In this period, King Yejong abrogated the policies of King Sukjong(肅宗), his father, such as the policy to conquer the north, weakened his supporting powers, and tried to seek a political operation that deviated from King Sukjong’s by appointing the Lee clan of Inju(仁州李氏) and new intellectual groups, represented by Lee Ja-gyeom(李資謙) and Han Ahn-in(韓安仁). In this process, King Yejong, feeling burdened with the existence of groups that adhered to his father’s political operation policy, chose to remove them along with Dosaeng, who, as he felt, was an obstacle to his own Buddhist policy with the charge of ‘rebellion’. Dosaeng’s ‘rebellion’ can be evaluated as the start of the long-term stream in which the Jinpyo line, which had been on the defensive, seized the hegemony within Beopsang Buddhism by beating out the Taehyeon line. 道生僧統 王竀은 高麗 왕족 출신의 승려로, 睿宗 7년(1112)에 ‘모반’을 했다는 죄목으로 비극적인 최후를 맞이한다. 하지만 도생의 ‘모반’은 여러 조건들을 점검하였을 때, 실제 있었다고 하기보다는 예종의 어떠한 의도가 반영되면서 조작된 사건이었을 가능성이 높다. 도생은 太賢系 法相宗에 소속된 慧德王師 韶顯의 가르침을 받았으며, 眞表系 법상종에게 의미가 있었던 俗離寺와 金山寺를 모두 관리할 권한을 인정받아, 그들을 흡수해 법상종을 통일하려는 작업을 추진해왔다. 그러나 예종은 여러 교단들을 하나로 융합해 나가려는 기존의 불교 정책 방침이 현실에서 구현되기 어렵다고 판단해, 각 교단들의 병립을 보장하며 상호 견제하는 방향을 선호하였다. 이에 따라 예종은 진표계 법상종을 지원해 태현계 법상종을 견제하도록 하였다. 여기에 대해 도생은 스승 소현의 현창 사업을 크게 전개해, 태현계 법상종의 우위를 지키겠다는 태도를 드러냄으로써 예종을 자극하였다. 이 시기 예종은 북벌 사업 등 부왕인 肅宗의 정책들을 폐기하고 그의 지지 세력들을 약화시켰으며, 李資謙과 韓安仁으로 대표되는 仁州李氏와 새로운 지식인 집단들을 기용해 숙종과는 다른 국정 운영을 모색하였다. 이 과정에서 숙종의 국가 경영 방침을 고수하려는 집단들의 존재가 부담스러웠던 예종은, 자신의 불교 정책에서 장애물로 인식되었던 도생과 그들을 ‘모반’ 죄로 묶어 함께 제거하는 선택을 하게 된다. 도생의 ‘모반’ 사건은 법상종 내부에서 수세에 몰렸던 진표계가 태현계를 제치고 교단의 주도권을 장악하는 장기적인 흐름의 첫 단추를 끼우는 역할을 했다고 평가되겠다.

      • KCI등재

        고려중기 법상종(法相宗)의 교육적 의미: 혜덕왕사(慧德王師) 소현(韶顯)의 행적을 중심으로

        이미종 ( Lee Mi-jong ) 한국교육사학회 2021 한국교육사학 Vol.43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혜덕왕사 소현의 행적을 중심으로 고려중기 법상종의 종파로서의 정체성 정립 과정을 고찰한 후 그것이 가지는 교육학적 의미를 고찰하는 데에 있다. 소현은 법상종 승려로서의 삶을 살기 위하여 사상적으로는 유식사상을 배웠으며, 신앙적으로는 미륵신앙을 몸에 익혔다. 유식사상은 ‘식’의 분석을 통하여 인간이 어째서 고로서의 삶을 살 수밖에 없는지, 인간이 고로서의 삶에서 벗어나 열반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하는지를 설명한다. 그러나 비록 유식사상이 인간의 노력에 의하여 고로서의 삶에서 벗어날 수 있다고 설명한다고 하더라도 그것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신앙의 도움이 필요하다. 법상종에서는 미륵 부처님에 대한 신앙으로 이 문제를 하결하고자 한다. 그리고 소현은 법상종의 종파로서의 정체성을 확립하기 위하여 크게 법상종 사찰을 정비하고, 유식 관련 해설서(장소)를 간행함으로써 교단의 체계를 확립하는 두 가지 일을 하였다. 소현은 당시의 지방 소재 법상종 사찰인 금산사에 주석하면서 진표에 의하여 미륵하생신앙의 전당으로 만들어진 금산사를 보다 온전한 미륵신앙의 전당으로 만들기 위하여 미륵상생신앙의 장소로 봉천원 영역을 새로 만들었다. 그리고 유식 관련 해설서를 간행하기 위하여 금산사에 광교원 영역도 새로 만들었다. 이 두 가지 일 중에서 전자는 ‘상징’이라는 매체를 통하여 문자를 모르는 백성들을 불법의 세계로 안내함으로써 심성의 변화를 꾀하며, 후자는 ‘개념’이라는 매체를 통하여 종교적 지도자나 정치적 지도자들을 불법의 세계로 안내함으로써 심성의 변화를 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rocess of establishing a religious sect of Beopsang-jong in the middle Goryeo-Dynasty, focusing on the activities of Hyedeok-wangsa Sohyeon, and to consider its educational meaning. Sohyeon learned Yogācāra Buddhism ideologically in order to live his life as a Buddhist monk, and learned Mireuk's faith in his body. Through the analysis of "consciousness," Yogācāra Buddhism explains why humans have no choice but to live their lives as pain, and how they should be able to get out of their lives as pain and reach nirvana. However, even if Yogācāra Buddhism explains that human efforts can lead to escape from life as pain, it requires the help of faith to achieve it. Beopsang-jong tries to solve this problem with his faith in Maitreya Buddha. In order to establish his identity as a sect of Beopsang-jong, he did two things to establish the system of teaching by reconstructing the temple of Beopsang-jong and to publish a description of Yogācāra Buddhism. Among these two tasks, the former seeks to change the mind by guiding the illiterate people to the Buddhist world through the media called 'symbol', and the latter by guiding religious and political leaders to the Buddhist world through the media called 'concept'.

      • KCI등재

        고려시대 占察法會의 설행과 의미

        라정숙(Ra Jeong Sook) 한국불교연구원 2017 불교연구 Vol.46 No.-

        신라시대 비교적 비중 있었던 점찰법회가 고려시대에는 중요한 의례로 주목받지 못했다. 본고는 점찰법회가 본격적으로 등장하는 고려 중기 이후의 기록들을 중심으로 점찰법의 위상과 의미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먼저 고려시대 점찰법는 신라 진표와의 연관성이 크다는 점과 고려시대에 진표계의 사찰이 법상종에 속해있다는 점을 통해 법상종교단에서 점찰법회를 어떻게 수용했는지를 보았다. 법상종 교단의 세력이 크게 확장되는 혜덕왕사 소현 단계에서 태현계로 사상적인 종통을 정립하고, 진표계를 적극적으로 흡수하여 진표는 別祖로 자리매김한 것으로 보인다. 이를 통해 진표계의 사찰이 대거 법상종의 중요한 사찰로 자리잡고, 진표와 점찰법 등이 고려 사회에 주목받기 시작한 단초가 되었다. 이후 법상종 승려인 진억이 주도하여 고려전기 최대의 결사체인 수정결사를 결행하는데 그 수행방법을 점찰법으로 하였다. 또 인종 대 이후 왕실 발원의 점찰회가 개설되었는데 원혼을 달래 천도하는 추선의례였다. 무주고혼들을 극락왕생시키기 위해 행해졌던 수륙재와 비슷하며, 모두 아미타정토신앙을 담고 있다는 점도 같다. 더불어 진표 자체에 대한 보살신앙과 같은 양상도 보이며, 미륵의 불골간자는 왕실의 사리신앙과 연결되는 등 다양한 신앙화가 전개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시대가 변하면서 불교 신앙과 의례의 성격도 변해가는 모습을 점찰법회를 통해 살펴볼 수 있었다. The Jeomchal Buddhist Mass(占察法會) was relative heavy in the Silla period, but it was not noticed a important rites in the Goryeo period. The Jeomchal Buddhist Mass of the Goryeo period was one of near relation with Jonpyo(眞表), and the Jinpyo line (眞表系) temple belonged the Beobasng-jong(法相宗) of the Goryeo period. It was accepted the Beobasng-jong Buddhist Order. Sohyeon(韶顯) - made large extension the Beobasng-jong Buddhist Order -, advanced original of the Taehyeon’(太賢) Yogacara thought, and he actively acceptcd the Jinpyo line, that seemed to have settled Jinpyo like another master. Because of this, Jinpyo line temple became an important temple of Beobasng-jong, and those were the beginning of getting attention in Goryeo society-Jinpyo and Jeomchal Buddhist Mass. After this Jin-eok(津億) of Beobasng-jong buddhist monk led and carried out the devotional society of Sujong (水精結社) that was the biggest in the early Goryeo period, its practice was the Jeomchal Buddhist Mass. Also it was the Jeomchal Buddhist Mass of the royal origin after Injong(仁宗), was a ritual to pray for the happiness of the soul. It is similar to the Water and Land maigre feast(水陸齋) that was reborn in pure land of a mujugohon(無主孤魂), It is also similar to the fact that they all contain the faith in Amitabha. In addition, there seems to be the same aspect a faith as the Bodhisattva in Jinpyo itself, the buddhist bone stick(佛骨簡子) of Maitreya is connected with the sari faith of the royal. We can see that various beliefs are developed like this. As the age changed, the nature of the Buddhist faith and the rituals could be seen through the Jeomchal Buddhist Mass.

      • KCI등재

        법천사(法泉寺) 지광국사현묘탑(智光國師玄妙塔)과 탑비(塔碑) 연구(硏究)

        홍대한 ( Dai Han Hong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구 한양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5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60 No.-

        法泉寺智光國師玄妙塔(이하 현묘탑)은 고려 중기 활동한 法相宗승려 智光國師海麟의 僧塔이다. 법천사가 위치한 원주시 부론면은 강원도와 경기도, 충주지역이 남한강 수계를 경계로 인접한 곳이다. 법천사의 초창 시기를 알 순 없지만 928년 釋超가 賢眷律師로부터 구족계를 받았다는 기록을 통해 통일신라 이전 창건을 추정할 수 있다. 법천사지는 1938년부터 최근까지 수차의 발굴을 통해 사지 최북단에 2층 기단을 축조하고 3동의 건물을 品자형태로 배치 후, 중앙부 공간에 동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인접하게 현묘탑과 탑비를 건립했음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배치구조는 고려 초 僧塔院을 구성하기 위한 특수한 평면계획으로 영통사와 삼천사에서도 사용되었다. 법천사 지광국사현묘탑은 팔각원당형 승탑의 구조를 탈피해 방형으로 건립됨으로써 석탑지향 의지를 보여준다. 현묘탑 건립 이전까지 승탑은 중국과 국내에서 제작되던 팔각형 사리구,그리고 당대부터 유행한 중국의 조사탑, 승탑을 참조해 제작되는 과정에서 팔각원당이라는 독특한 구조를 완성했다. 하지만 장례법식으로서 화장이 보편화되기 이전이었기 때문에 시신은 지하에 별도로 매장 후 지상에 승려의 묘주처를 상징하기 위한 의미로 승탑을 건립했다. 현묘탑 건립은 기존의 장례법을 탈피해 화장방식으로 전환되는 시점에 축조됐다. 기존의 승탑은 시신을 지하에 매장하기 때문에 승탑의 규모와 사리를 봉안하기 위한 내부 시설에 대한 고려가 없었다. 반면 현묘탑은 승탑 내부에 사리구를 처음 봉안하게 되면서 사리공을 마련하기 위한 목적으로 규모가 확대되었고, 사리존숭의 사례를 석탑에서 구하는 과정에서 기능은 승탑, 형식은 석탑이라는 이원적 구조체계가 완성된 것이다. 현묘탑은 현묘탑비와 함께 승탑원이라는 동일공간에 배치되었다. 사역공간은 부처의 영역이기 때문에 제자의 묘탑을 부처와 동일 영역에 설치하는 것은 위계에 부합하지 않는다. 그 결과 사역 중심에서 벗어난 지역에 고승의 승탑을 세우는 전통이 시작되는데 법천사 현묘탑은 화장방식의 채용과 함께 그 시원을 개척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법천사는 고려 초 불교계의 핵심종파였던 법상종 사찰로, 법상종의 본산인 개경 현화사를 중심으로 지방으로 법상종을 확산시키는데 중요 역할을 담당했다. 특히 현묘탑의 주인공 해린은 원주지역의 호족출신이었기 때문에, 중앙정부와 지방호족 세력의 중계자 역할을 담당했던 것으로 보인다. 해린이 법상종의 중심인물로 부각된 배경에는 당시 외척세력 이자연의 지원이 중요했다. 이자연이 그의 아들 소현을 해린에게 출가시킴으로써 정치적 기준으로 지방호족과 외척세력의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렇게 현묘탑은 법상종을 이용해 세력을 강화, 유지하려던 고려왕실과 인주 이씨 세력의 합작품으로 평가할 수 있으며, 기존 호족지원 아래 성장한 불교계를 통합하기 위한 목적으로 승탑의 구조와 장례법 역시 화장이라는 새로운 방식을 선택하였다. Stupa of State Preceptor Jigwang at Beopcheonsa(法泉寺) Temple Site is a monk tomb of Haerin(海麟) of East Asian Yogacara(法相宗) that activity in Koryo dynasty medium. Beopcheonsa Temple It is not possible to know the time that was created first. However, 928 years monk Seokcho has received from Gujokgae(Upasampada) monk Hyun-gwon. With this recording, it is considered a node is built in Unified Shilla previously. Beopcheonsa Temple Site conducted a multiple of excavations from 1938 until recently. As a result, Stupa of State Preceptor Jigwang and stele has been confirmed in the temple of the north. Then, three of the buildings are arranged in shape of 品. These arrangement was a special floor planning for configuring Koryo initial Tomb area of monk. These formats, Youngtongsa temple(靈通寺) and Samchunsa temple(三川寺) have also been used. Stupa of State Preceptor Jigwang at Beopcheonsa Temple Site was made by a square out of the structure of a typical priest’s tomb. This was intended to try to mimic the stone pagoda of Buddha. The Budo(stone funerary monument) to Stupa of State Preceptor Jigwang at Beopcheonsa Temple Site is made in the process of being made on the basis of the epidemic was Josa Stupa(monastery’s past teacher) and Monk Stupa(memorial stupa) from the time of China and Container octagonal Sari(relic) were made in Korea and China of Tang, was allowed to complete the unique structure of Octagonal hexagonal building. However, cremation was not common in the funeral of way. So body, made the Monk Stupa(memorial stupa) as monument to the ground and buried in the basement. Since the past of Monk Stupa(memorial stupa) ask the body in the basement, there was no advance preparation to contain the size and Sari(relic) of Monk Stupa(memorial stupa) inside. On the other hand, Stupa of State Preceptor Jigwang at Beopcheonsa Temple Site was larger size so as to place the first Container Sari(relic) inside the Monk Stupa. And function began to respect the Monk’s Sari(relic) is, Monk Stupa(memorial stupa) The format, two concepts that Buddha Stupa(memorial stupa) has been made. Stupa of State Preceptor Jigwang at Beopcheonsa Temple Site has been placed on the grave space of tombstone and monks. Temple area, but Buddha world. Therefore, be a space such as the tomb of Buddha disciples does not fit in manners. As a result, the tradition to make a Monk’s Stupa of high priest in the region away from the cathedral center began. Because Stupa of State Preceptor Jigwang at Beopcheonsa Temple Site was first used a method of cremation the body, it is very important. Beopcheonsa Temple was a temple of East Asian Yogacara was the heart of the Buddhist forces of Koryo dynasty. Stupa of State Preceptor Jigwang at Beopcheonsa Temple Site of hero Haerin was a powerful force of Wonju(原 州) region. So, I played a role in connecting the central government and local forces. Haerin is the background that became hero of Justice Minister breast, it was because of Leejayeon(李子淵) the support of Haerin of one’s mother’s parents’ home. The Stupa of State Preceptor Jigwang at Beopcheonsa Temple Site strengthen the power by using the East Asian Yogacara, and tried tokeep. It was a joint work of the royal family and the Lee family of Inju(仁州) regional force of Koryo dynasty. At the time of Buddhism, has grown into the auspices of the local forces. Was selected a new way of funeral for purposes for controlling the Buddhist forces.

      • KCI등재

        願堂 사찰, 제천 덕주사의 마애여래입상

        임영애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019 한국고대사탐구 Vol.33 No.-

        고려시대 마애불은 전국적으로 대략 100여기가 알려져 있다. 이는 우리나라 마애불 200여기 가운데 절반에 해당하는 수량이다. 하지만, 고려시대 마애불 가운데 명문이나 관련 기록이 있어 정확한 제작 시기를 파악할 수 있는 예는 극히 적다. 이곳 제천 덕주사 마애불입상도 고려 전기 크게 유행했던 대형 마애불 가운데 하나이지만, 역시 정확한 제작 시기는 알 수 없다. 덕주사 마애불의 양식을 고려하면, 11세기 전-중반 무렵 조성한 것으로 판단된다. 덕주사 마애불입상의 얼굴 모습은 이전 시기에는 찾아볼 수 없던 새로운 미감이다. 이러한 모습은 불상의 크기가 크다는 점과 함께 중부지역 불상의 특징으로 알려졌지만, 최근 경남 고성 거류산에서 동일한 양식의 마애불이 알려지면서, 지역 구분없이 전국적으로 유행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덕주사 마애불이 위치한 월악산 인근은 영남에서 각 지역으로 이르는 길목에 있는데다가, 남한강 수로의 출발지였다. 덕주사 마애불입상과 유사한 양식의 마애불을 전국 곳곳에서 찾아볼 수 있는 것도 이런 이유일 것이다. 한편, 1158년 작성한 觀奧(1096~1158)의 묘지명을 통해 덕주사가 12세기 전반에는 법상종 사찰이며, 원당 사찰이었음도 알게 됐다. 관오는 그의 묘지명이 작성됐다는 사실만으로도, 그가 중앙 교단에서 활동했던 중요한 승려였음을 알려준다. 관오는 법상종 승려였다. 관오가 법상종 승려였음은 그가 출가한 승려 상지가 고려 최고의 법상종 사찰인 현화사의 승통이었으며, 관오 자신이 법상종 대표 사찰 가운데 하나인 법천사 주지를 지냈다는 사실을 통해 확인된다. 그런 그가 덕주사가 願堂이라고 밝혔다는 점, 그리고 덕주사의 승려를 불러 왕을 위한 축성도량을 열었다는 점에서 당시 덕주사의 사세를 짐작할 수 있게 한다. 이로써 덕주사 역시 법상종 사찰이었을 가능성이 매우 크며, 덕주사 마애불의 존명은 이 시기 법상종 승려와 미륵불의 관계, 13m에 이르는 덕주사 마애불의 크기로 미뤄 볼 때 미륵불로 볼 수 있다. 덕주사는 교통이 사방으로 열린 월악산에 거대한 마애불을 새기고, 나라의 안녕을 빌었던 고려 전기 대표 호국도량 가운데 하나였다. About 100 rock-carved Buddha statues of Goryeo era are known nationwide. This is about half of 200 rock-carved Buddha statues in Korea. However, there are very few examples of Goryeo era rock-carved Buddha statues that can be used to determine the exact time of production due to the inscription or related records. The rock-carved standing Buddha statue at Deokjusa temple in Jecheon is one of the large rock-carved Buddha statues that were very popular in the early Goryeo era, but the exact time of production is also unknown. The rock-carved Buddha statue at Deokjusa temple was considered to have been created in the first half of the 11th century, considering its style. The face of the rock-carved standing Buddha statue at Deokjusa temple is a new aesthetic not found in previous periods. This figure is known as a feature of the central region, mainly Chungcheong, along with the large sized Buddha statue, but recently, the same style of rock-carved Buddha statues are known at Mt. Georyu, Goseong, Gyeongnam, confirming that they were popular nationwide. In particular, the region around Mt. Worak where the Deokjusa temple rock-carved Buddha statue is located is on the way from Yeongnam to various regions, and was the starting point of the Namhan River channel. This is why the rock-carved Buddha statue, which is similar in style to the Deokjusa temple rock-carved standing Buddha statue, can be found all over the country. The grave name of Gwanoh (觀奧, 1096~1158), written in 1158, also revealed that the Deokjusa temple was one of the Fa-xiang (法相) temples, and the Memorial Temple as well in the first half of the 12th century. Just the fact that there is his grave name written tells us that Gwanoh was an important monk in the central Order. Gwanoh was a Fa-xiang School monk. The monk sanctuary he was in was Seungtong of Hyeonhwasa temple which is Koryo's best Fa-xiang temple, and This is confirmed by the fact that Gwanoh himself was the head of Beopcheonsa temple, one of the representative temples of Fa-xiang. In that sense that he said Deokjusa temple was a Memorial Temple (願堂), and in that the monks of the Deokjusa temple were called to open fortification Doryang for the king, it is possible to presume the status of the Deokjusa temple at that time. It is very likely that the Deokjusa temple was also one of Fa-xiang temples, and it is no exaggeration to say that the name of the Deokjusa temple rock-carved Buddha statue at this time is the Maitreya in the light of guessing the relationship between Fa-xiang monks and the Maitreya and the size of the Deokjusa temple rock-carved Buddha statue reaching 13m. Deokjusa temple was one of the representative nation-defending Doryang in the early Goryeo era who carved a giant rock-carved Buddha statue at Mt. Worak where traffic is open everywhere and wished the country tranqui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