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세형사범 사건과 실질과세원칙

        안경봉(Ahn Kyeongbong),이동식(Lee Dongsik) 한국세법학회 2012 조세법연구 Vol.18 No.3

        실질과세원칙은 조세법의 해석?적용원칙으로 인정되는 것으로 형식과 실질이 불일치하는 경우에 그 실질에 따라 세법을 해석?적용해야 한다는 원칙이다. 실질과세원칙은 세법 영역에서 매우 빈번하게 문제되며, 개별적 납세의무의 성립 여부를 판단함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이러한 실질과세원칙은 조세법률주의 원칙에 반하지 않는다는 것이 판례와 통설이다. 이처럼 실질과세원칙에 기초하여 납세의무의 성립을 인정해두었는데, 납세자가 그러한 납세의무를 악의적 방법으로 이행하지 않은 경우에 조세형사범으로 처벌할 수 있게된다. 조세형사범 처벌절차에는 죄형법정주의 원리가 적용된다. 이 원리에 따르면 형사법규는 명확하여야 하는데, 실질과세원칙에 따라 납세의무성립을 인정한 것이 형사법규의 명확성 원칙에 반하는 것이 아닌지 여부가 문제된다. 대법원과 헌법재판소는 형벌법규의 명확성을 조세법규의 명확성과 기본적으로 다르게 보지 않는다. 즉, 비록 문언 자체만을 보면 어느 정도 불명확한 부분이 있더라도 허용되는 합리적 해석방법을 통해 그 불명확성이 해소될 수 있다면 해당 형벌규정은 명확성 요청을 충족한 것이 된다는 입장이다. 형벌법규의 명확성을 위와 같이 이해하게 된다면, 실질과세원칙에 따라 납세의무성립을 인정하고, 그러한 납세의무를 납세자가 악의적인 방법으로 불이행하였다면 형사처벌 하여야 하며, 그러한 형사처벌이 형사법규의 명확성요청에 반하는 것이 아니라고 할 것이다. Substance over form principle is the principle that the tax law should be interpreted and applied depending on substance, if there is a mismatch in the form and substance. In the area of tax law, substance over form principle come into question very frequently, and it has an important role in determining whether each tax liability is established or not. It is precedent and received opinion that substance over form principle does not run counter to the principle of no taxation without law. The taxpayer can be punished as a tax criminal, if he/she did not implement tax liabilities in a malicious way. The principle of “nulla poena sine lege” is applied to the tax criminal punishment procedure. Being the criminal laws clear according to the principle, it come into question whether that each tax liability is established according to substance over form principle is contrary to the clarity of criminal law principle or not. It is the Supreme Court and the Constitutional Court’s position that the clarity of the criminal laws is not basically different from the clarity of tax laws. That is:If the ambiguity can be resolved through reasonable interpretation, relevant penalty provisions meet the request of clarity, although the wording itself looks unclear to some extent. In short, if we can understand the clarity of criminal laws as stated above, we can admit the establishment of tax liabilities in accordance with the substance over form principle;if a taxpayer did not implement tax liabilities in a malicious way, he/she can be punished. Such criminal punishment will not be contrary to the request of the clarity of criminal laws.

      • KCI등재후보

        코로나-19에 따른 행정명령에 관한 시론적 소고

        이기춘(Lee, Kee Chun) 한국국가법학회 2021 국가법연구 Vol.17 No.1

        2020년 초부터 시작된 코로나 위기는 현재 2021년 초까지 이어지고 있고, 백신의 도입문제, 효능문제로 인하여 금년 말까지 이 위기는 심각단계로 계속 이어질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2020년 코로나 바이러스에 의한 감염병 위험에 대처하기 위하여 많은 행정명령이 발령되었다. 이러한 행정명령은 우리 성문법질서와 공법학에서 정립된 법형식 혹은 행위형식이 아니다. 미국의 행정명령이란 형식을 우리 실정법 체계에 대한 큰 고민 없이 도입한 결과라고 생각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의 팬데믹 위험상황에서 수인되고 있고, 오히려 국민 대다수의 동의를 받고 있는 실정이다. 그런데 이 행정명령들로 인하여 많은 영업주, 종교인 등 국민들은 각종 기본권의 제한을 받고 있다. 이러한 기본권 제한을 위해서는 법률유보원칙에 따라 가능한 한 명확한 법률과 그 위임에 따른 법규명령 등 법적 근거에 따라 이루어져야 한다. 우리나라 감염병예방법 상 예방조치의 근거인 제49조 제1항이 문제이다. 이 조항의 요건과 효과는 매우 포괄적이며 불명확하게 구성되어 있다. 독일 감염병법 상 예방조치 근거규정인 제28조와 비교할 때 감염병법에 한정된 일반조항 혹은 개괄적 수권조항이라고 볼 수 있다. 하지만 독일은 새로 제28조a를 도입하여 필요한 예방조치의 근거를 매우 명확하게 구체화한 바 있다. 이러한 입법례를 고려할 때 명확성원칙 위반 우려를 제거하기 위하여 우리나라 국회도 법 개정을 고려하여야 한다. 코로나 대응을 위한 행정명령은 행정법학상 행위형식론에 따를 때 행정행위, 일반처분, 법규명령, 비공식적 행정작용으로서 권고 등 다양한 행위형식들을 내포한다. 특히 집합금지명령과 같은 행정명령은 일반처분으로 볼 수 있다. 이는 법규명령과의 구분이 문제된다. 또한 일반처분은 행정절차법상 일반적인 행정행위와는 달리 각종 통지, 이유제시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특성을 가진다. 이러한 절차원칙 규정들의 예외 인정은 행정절차의 법치국가원리, 민주성원리 측면에서의 기반으로 인하여 엄격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하지만, 시시각각 예고된 위험상황에 대응해야 하기 때문에, 지금의 코로나-19 긴급위기와 관련하여 위법하다고까지 볼 수는 없다. 물론 정상적으로 생활환경이 변화되면 이러한 절차원칙의 예외를 인정함에 소극적으로 전환되어야 한다. 그리고 행정명령의 한계로서 비례원칙은 기본권 침해의 강도, 조치상대방의 상황고려, 시간적 측면에서 가능한 한시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내용으로 구성되며, 이것은 코로나-19에 따른 행정명령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되어야 한다. 그 밖에 감염병예방법상 필요한 예방조치의 근거에 따른 일반조항에서도 흠결이 인정될 경우 일반경찰법의 적용은 가능한 차단되어야 한다. 다만 일시적이라는 한도에서, 보충적으로 경찰관직무집행법 제5조에 따라 최소한도의 필요한 경찰조치를 취하는 것은 허용된다고 본다. 마지막으로 행정의 행위형식론이라는 행정법상 제도는 행정활동의 합리화, 법에 적합한 결정촉진, 기본적 사실 및 평가문제를 신뢰할 수 있는 도그마틱적 구조로 조정하는 것, 행정활동에 관한 법적 통제를 유도하여 개관가능하게 만드는 과제를 가지며, 이에 따라 동 논의는 법적용과 법실현의 과정에서 큰 부담을 경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결론적으로 인간사회 공존의 조건은 안전과 자유의 긴장관계 속에서 균형을 추구하는 것이다. 이것을 실현하는 것이 법률유보원칙, 자유민주주의원리와 관련된 국회의 역할이다. Die Corona-Krise, die Anfang 2020 begann, dauert derzeit bis Anfang 2021 an, und es wird vorausgesagt, dass diese Krise aufgrund von Problemen bei der Einführung und Wirksamkeit von Impfstoffen bis Ende dieses Jahres ein ernstes Stadium erreichen wird. Es wurden zahlreiche Durchführungsverordnungen erlassen, um das Risiko von Infektionskrankheiten, die durch das Coronavirus verursacht werden, im Jahr 2020 zu bewältigen. Diese Ausführungsverordnungen sind nicht die Rechtsform oder Handlungsform, die in unserer gesetzlichen Verordnung und im öffentlichen Recht festgelegt ist. Ich denke, es ist das Ergebnis der Einführung der Form der US-Exekutivanordnung(‘executive order’), ohne sich große Sorgen um unser tatsächliches Rechtssystem zu machen. Trotzdem wird es in der gegenwärtigen Pandemiegefahrlage akzeptiert, und vielmehr erhält die Situation die Zustimmung der Mehrheit der Menschen. Aufgrund dieser behördlichen Anordnungen sind jedoch viele Geschäftsinhaber, religiöse Personen und andere Bürger durch verschiedene Grundrechte eingeschränkt. Um solche Grundrechte einzuschränken, muss dies in Übereinstimmung mit der Rechtsgrundlage erfolgen, beispielsweise dem Gesetz, das nach dem Grundsatz des Rechtsvorbehalts und der Rechtsordnung nach der Übertragung so klar wie möglich ist. Artikel 49 Absatz 1, der die Grundlage für vorbeugende Maßnahmen im koreanischen Gesetz zur Verhütung von Infektionskrankheiten bildet, ist ein Problem. Die Anforderungen und Auswirkungen dieses Artikels sind sehr umfassend und unklar. Im Deutschland gegenüber Artikel 28, der die Grundlage für vorbeugende Maßnahmen nach dem Bundesgesetz über Infektionskrankheiten bildet, kann dies als Generalklausel angesehen werden, die auf das Gesetz über Infektionskrankheiten oder eine allgemeine Zulassungsklausel beschränkt ist. Der deutsche Gesetzgeber hat jedoch einen neuen Artikel 28a eingeführt, in dem die Grundlage für die erforderlichen Vorsichtsmaßnahmen sehr klar festgelegt ist. Bei der Prüfung solcher Rechtsvorschriften sollte die koreanische Nationalversammlung auch eine Überarbeitung des Gesetzes in Betracht ziehen, um Bedenken hinsichtlich Verstößen gegen den Grundsatz der Klarheit auszuräumen. Die Verwaltungsanordnungen zur Reaktion auf das Coronavirus umfassen verschiedene Arten von Maßnahmen, wie z. B. Verwaltungsakte, allgemeine Verfügungen, Rechtsordnungen und Empfehlungen als informelle Verwaltungsmaßnahme, wenn sie der Form des Verwaltungsrechts folgt. Insbesondere sie wie kollektive Verbotsanordnungen können als allgemeine Verfügung angesehen werden. Dies ist ein Problem der Unterscheidung von Rechtsordnungen. Darüber hinaus zeichnet sich die allgemeine Disposition dadurch aus, dass sie im Gegensatz zu allgemeinen Verwaltungsakten nach dem Verwaltungsverfahrensgesetz keine verschiedenen Mitteilungen und Gründe erfordert. Die Anerkennung von Ausnahmen von dieser Geschäftsordnung muss streng auf den Grundsätzen der Rechtsstaatlichkeit und des Grundsatzes der Demokratie in Verwaltungsverfahren beruhen. Es kann jedoch nicht als illegal in Bezug auf die aktuelle Corona-19-Notfallkrise angesehen werden, da es auf die vorhergesagte Gefahrensituation reagieren muss. Wenn sich das Lebensumfeld normal ändert, muss es natürlich passiv konvertiert werden, um die Ausnahmen von diesen Verfahrensgrundsätzen zu erkennen. Und als Einschränkung der Verwaltungsanordnung besteht das Verhältnisgrundsatz aus der Stärke der Verletzung von Grundrechten, der Berücksichtigung der Situation der Gegenpartei und dem Inhalt, dass es zeitlich so vorübergehend wie möglich gemacht werden sollte, und dies sollte gleichermaßen auf die Verwaltungsanordnung gemäß COVID-19 angewendet werden. Wenn ein Mangel in der Generalklausel a

      • KCI등재

        委任立法의 限界와 行政立法에 대한 司法審査

        성지용 한국행정판례연구회 2011 행정판례연구 Vol.16 No.1

        The increase of delegated legislation is inevitable in the modern states. So the judicial control over administrative rule-making is more important than ever. Unless delegated by the act, delegated order cannot provide modification, supplementation of people’s rights and obligations or new contents which are not stipulated by the act. In this Supreme Court case, above legal principle which is established by the Supreme Court is confirmed again. The Supreme Court issued a ruling that Article 30-2 of the former Public Officials Salary Rules, which is a Presidential Decree and limits additional salary for continuous service up to certain times, unfavorably limits the right to claim for salary given by Article 10 of the former Military Personnel Salary Act without delegation of the former Military Personnel Salary Act which is the mother act, and it is invalid as it goes beyond the scope allowed by the mother act. In the above case, the Supreme Court divided on the interpretation of the Article 10 of the former Military Personnel Salary Act and the issue was whether it applied to ordinary times(majority opinion) or it applied only in times of national emergency(dissenting opinion). The Majority opinion hold that Article 30-2 of the former Public Officials Salary Rules stipulated the contents concerning rights and obligations of citizens without specific delegation of the mother act, but the dissenting opinion said that the administrative agency can provide the right to claim for salary with discretion. In this regard, this case is different from other cases which ruled the limits of delegated order. This case is meaningful because it emphasizes that it is necessary that administrative agency should examine thoroughly every relevant mother acts and review carefully whether the provisions meet the regulatory purpose of each relevant mother act and whether they are within the scope delegated by the mother acts, when it enacts or modifies the provisions concerning people's rights and obligations in the process of integrating many enforcement decrees of the acts relating state officials in various positions such as Public Officials Salary Rules into one enforcement decree of the act. 위임입법의 증가는 현대행정국가의 불가피한 현상이므로 이에 대한 사법적 통제의 중요성도 점점 높아지고 있다. 위임명령은 법률의 구체적인 위임이 없는 한 국민의 권리의무에 관한 내용을 변경, 보충하거나 법률에 규정되지 않은 새로운 내용을 규정할 수 없다. 대상판결은 이러한 대법원의 기존 입장을 다시 확인한 판결이다. 즉, 대통령령인 구 공무원보수규정 제30조의2가 근속가봉의 가산횟수를 제한한 것이 모법인 군인보수법 제10조가 규정한 보수청구권의 내용을 법률의 위임 없이 제한하였고 이는 모법의 규율 범위를 벗어나 무효라고 판시하였다. 다만, 대상판결은 모법인 군인보수법 제10조의 해석 여하(국가비상시에 적용되는 조항인지 평시에 적용되는 조항인지 여부)에 따라 구 공무원보수규정 제30조의2가 모법의 구체적인 위임이 없이 국민의 권리와 의무와 관련된 입법사항을 규정한 것인지(다수의견) 아니면 독립적으로 재량의 범위 내에서 새로운 보수청구권의 내용을 규정한 것인지(소수의견)에 대한 결론이 달라졌다는 점에서 일반적으로 위임명령의 한계를 다룬 사건들과는 다른 점이 있다. 나아가 대상판결은 공무원보수규정과 같이 여러 영역의 다양한 국가공무원들과 관련된 법률의 시행령들을 통합적으로 정비하여 1개의 시행령을 제정 및 개정하는 과정에서 국민의 권리나 의무와 밀접한 관련을 가지는 법규사항을 신설, 개정하는 경우에는 모법이 되는 여러 관련 법률들과의 관련성을 일일이 따져보아 해당 법규사항의 내용이 각개 법률이 규정하고 있는 입법취지에 부합하는 것인지 여부 또는 해당 법률들이 위임한 범위 내에 포함되는 내용인지 등에 관하여 각별한 주의를 기울일 필요성이 있다는 것을 자각하게 해 주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는 판결이라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미국 FCC의 결정에 대한 미국 법원의 행정청의 해석 존중의 원칙의 적용

        조상희(Jo Sang Hee) 행정법이론실무학회 2007 행정법연구 Vol.- No.18

        One of the most venerable doctrines in administrative law is that a court will give great deference to an agency's interpretation of its own rules (In German administrative legal terms, Beurteilungsspielraum). This deference is even greater than that afforded an agency's interpretations of the statutes it enforces. However, courts have positively provided their own interpretations where they disagree with the agency. Although the doctrine requires deference, it does not require that courts give agency interpretations controlling effect; thus courts are free to substitute judgment if they strongly disagree with the agency's interpretation. However, in the Chevron case, U.S. Supreme Court established a new regime that significantly altered the judiciary's role in reviewing agency statutory interpretations by referring to political accountability of the incumbent administration and the Chief Executive and political branch. And in Brand X case, U.S. Supreme Court has invoked the Chevron doctrine in reviewing an FCC statutory interpretation that implements a significant communications policy direction. But It is desirable that a less deferential review standard should apply to independent regulatory agencies such as FCC, SEC and FTC. Because the ability of the President and Congress to influence the independent agencies in their own ways does not rise to the level of control that justifies ascribing political accountability of executive agencies.

      • KCI등재

        헌법재판에서의 포괄적 위임입법금지 원칙의 적용

        정극원(Jeong, Kuk-Won) 한국헌법학회 2009 憲法學硏究 Vol.15 No.3

        헌법 제75조에는 “대통령은 법률에서 구체적으로 범위를 정하여 위임받은 사항과 법률을 집행하기 위하여 필요한 사항에 관하여 대통령령을 발할 수 있다”고 규정하여 대통령에게 위임입법의 권한을 부여하고 있다. 그러나 위임입법의 허용은 포괄적 위임입법에 해당하는지의 여부에 따라서 결정되는 것이다. 즉 헌법재판소는 포괄적 위임입법금지의 원칙을 법규범의 위헌여부를 판단하는 심사기준의 하나로서 적용하고 있다. 위임입법은 첫째, 모법에 근거가 있어야 하며(근거성), 둘째, 위임입법에 의한 규정은 명확하여야 하며(명확성), 셋째, 그 내용이 예측가능하여야 하며(예측가능성), 넷째, 특히 처벌법규의 경우에는 이러한 요소 외에도 엄격하여야(엄격성)만 허용되는 것이다. 헌법재판소는 위임입법의 위헌여부를 다투게 되는 경우에 있어서 이러한 네 가지의 단계의 순서에 따라서 위헌여부를 심사하고, 각각의 단계의 요소에 비추어 단 한 가지의 요소라도 그 요건을 충족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그것은 곧 포괄적 위임입법금지의 원칙에 위배되어 위헌으로 결정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은 판단요소를 구체적으로 마련하고 있다면 헌법재판의 신청 전단계에서 그 인용가능성의 여부를 사전에 판단할 수 있게 하여 헌법소송의 남발을 방지하게 될 뿐 아니라 궁극적으로 헌법의 보호와 기본권보장을 실현하게 된다. The Constitutional Court of Korea has applied the principle against unlawful delegation of broad legislative powers as one of its constitutionality review standards for legislations. Article 75 of the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stipulates that “[t]he President may issue presidential decrees concerning matters delegated to him by law with the scope specifically defined and also matters necessary to enforce laws,” and thus, grants the President the authority to delegate legislative powers. However, the determination of whether a certain delegated legislation is lawful depends on whether such delegation may be considered to be an unlawfully broad delegation of legislative powers. The determining factors are foundational basis, definiteness, foreseeability and strictness of the legislation authorizing delegating legislative powers. In order for a delegated legislation to be lawful, first, it must be based on a parent law (foundational basis); second, the resulting legislation must be clear and definite (definiteness); third, the subject of the resulting legislation must be foreseeable (foreseeability); and fourthly, especially with respect to penal provisions, the penal effect of the provisions must be strict (strictness). Where there is a challenge to the constitutionality of a certain delegated legislation, the Constitutional Court of Korea scrutinizes the constitutionality of such legislation by evaluating the four factors mentioned above in order, and if it determines that such legislation does not meet all four factors, it declares that the delegated legislation has infringed the principle against unlawfully broad delegation of legislative powers, and thus, unconstitutional. The provision of such comprehensive factors in testing the constitutionality of delegated legislation permits the predictability of the outcome of the constitutional challenge prior to filing a petition with the Court, allowing for the prevention of frivolous and meritless filings.

      • KCI등재

        사무지원 파견근로자의 파견법 위반사례 방지를 위한 법정책적 방안

        이희성 ( Hee-soung Lee ),이세주 ( Se-joo Lee ) 한국법정책학회 2020 법과 정책연구 Vol.20 No.4

        파견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이하 “파견법”이라 한다)은 근로자파견대상 업무에 해당하지 아니하는 업무에 대해 파견근로자를 사용하는 경우 사용사업주로 하여금 해당 파견근로자를 직접 고용하도록 의무를 부과하고, 파견대상 업무에 해당하지 않는 업무에 대하여 근로자파견사업을 한 자와 그로부터 근로자파견의 역무(役務)를 제공받은 자 모두를 처벌하도록 벌칙규정을 두고 있다. 그런데 파견법은 어떤 업무가 근로자파견대상 업무인지를 파견법령에서 직접 규정하지 않고, 통계청에서 2000년도에 고시한 한국표준직업분류(통계청고시 제2000-2호)를 준용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는바, 위 한국표준직업분류(통계청고시 제2000-2호)에는 서로 다른 분류번호 사이 중첩되는 영역이 있어 기업의 인사담당자 입장에서 어떤 업무가 근로자파견대상 업무인지를 정확히 알아내기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한국표준직업분류(통계청고시 제2000-2호)상 ‘사무지원 종사자’의 업무에 종사하는 파견근로자는 근로자파견대상 업무에 종사하는 파견근로자 중 가장 그 수가 많은데, 파견대상 업무인 ‘사무지원 종사자’의 업무와 파견대상 업무가 아닌 ‘계수사무 종사자’의 업무 사이의 중첩적인 영역 문제로 기업에서 실제 파견법 위반으로 처벌된 사례가 있다. 그런데, ‘사무지원 종사자’의 업무와 ‘계수사무 종사자’의 업무 사이 존재하는 중첩적인 영역의 문제는 파견법이 최신 한국표준직업분류(통계청고시 제2017-191호)를 준용할 경우 어느 정도 해소가 된다. 최신 한국표준직업분류(통계청고시 제2017-191호)는 직업을 조금 더 세분화·구체화하여 분류하고, 서로 다른 분류번호 사이에 중첩되는 영역을 최소화하고자 노력하였기 때문에 2000년도의 한국표준직업분류(통계청고시 제2000-2호)를 준용할 때보다 어떤 업무가 근로자 파견대상 업무에 해당하는지 알아내기가 쉽게 되었다. 그리고 2000년도의 한국표준직업분류(통계청고시 제2000-2호) 보다 현재의 국내 노동시장 직업구조 특성을 더 잘 반영한다는 장점이 있다. 본고는 파견법령이 파견대상 업무와 관련하여 그 준용대상을 최신 한국표준직업분류(통계청고시 제2017-191호)로 변경하는 것을 사무지원 파견근로자의 업무범위 명확화 방안으로 제안한다. 또는 직접적으로 파견법(시행령) 자체에 어떤 업무가 근로자파견대상 업무에 해당하는지 좀 더 세분화·구체화하여 알아내기가 쉽게 개정·보완하는 방안도 제안한다. 그 밖에 추가적으로 보완해야 할 점이 무엇인지 살펴 현행 파견법이 사무지원 파견근로자의 업무범위를 보다 명확히 할 수 있도록 그 개선방안을 제시해보기로 한다. 이를 통해 파견법이 헌법상 ‘처벌법규의 명확성 원칙’을 충족하고, 실무에서도 파견대상 업무범위에 대해 명확한 판단을 내릴 수 있게 되어 결과적으로 파견법 위반 사례를 방지하는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해본다. Act on The Protection, Etc. of Temporary Agency Workers(hereinafter dispatched worker act) is to impose obligation of directly hiring dispatched workers on user company if the user company uses temporary placement of workers for jobs that do not involve Jobs permitted for temporary placement of workers, and to punish both those who did workers dispatch business and those who were provided with service of the business. Nevertheless, this dispatched worker act does not regulate what jobs are permitted for temporary placement of workers directly, but takes the method of observing Korean standard classification of occupations(National Statistical Office No. 2000-2), which has overlapped areas between different classification numbers, so it is difficult for human resources officers to find out jobs permitted for temporary placement of workers exactly. Under the Korean standard classification of occupations(National Statistical Office No. 2000-2), the number of dispatched workers engaged in the work of "office support workers" is the largest among dispatched workers, and there are cases in which companies have been punished for violating the dispatched worker act due to overlapping areas between the work of "office support workers" and the work of "counting office workers" who are not dispatched. However, the problem of overlapping areas between the work of 'office support workers' and the work of 'counting office workers' is somewhat resolved when the dispatched worker act applies to the latest Korean standard classification of occupations(National Statistical Office No. 2017-191). The latest Korean standard classification of occupations(National Statistical Office No. 2017-191) fragments and specifies jobs further and tries to minimize the overlapped areas between different classification numbers. Therefore, it is easier to find jobs that are permitted for temporary placement of workers. In addition, the latest Korean standard classification of occupations(National Statistical Office No. 2017-191)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current domestic labor market's job structure better. Thus, this study suggests the dispatched worker act should observe the latest Korean standard classification of occupations(National Statistical Office No. 2017-191) instead of the one in 2000. In addition, this paper will propose a plan to revise or supplement the Dispatched Workers Act(Enforcement Decree of the Dispatched Workers Act) so as to make it easier to know what the tasks are subject to dispatch workers. And this paper proposes further improvement plans to clarify the scope of work of the office support dispatched workers. By doing this, the dispatched worker act can satisfy the 'Clarification rule of punishment laws' and can make definite judgement on jobs permitted for temporary placement of workers, so it is expected to reduce cases of violating the dispatched worker ac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