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문학과 사회의 관계와 문학의 정치성에 대한 고찰 -동시대 현대문학을 매개로 한 사고와 토론 수업을 기반으로-

        이채원 한국사고와표현학회 2020 사고와표현 Vol.13 No.2

        This thesis discusses the relationship between literature and society and the political nature of literature based on the thinking and discussion class cases mediated by Korean modern literature in the interdisciplinary subject ‘Women and Literature’ class. The text of the class is Park Min-jung’s “Morgue Diorama”. This work crosses the exhibition of violence in the 21st century Korea’s digital sexual crime and the Morgue of the Paris Coroner’s Office at the end of the 19th century with apocalyptic imagination. This shows that digital sexual crimes brought about by the combination of high-tech technology and capital are virtually linked to old gender violence in human history. It also raises questions about the gaze of enjoying violence and the death of the (women) on display. This novel was read before class, submitted a book report, and introduced the case of the group presentation. In the process, the meaning of the contemporary writer’s reading was examined. This leads to the problem of the relationship between literature and society and the political nature of literature. It is empirically discussed what literary intervention is about the problems of the real society, and that more precise discussions and agreements are needed on the issues of literature and literariness. It also confirms the power of empathy and healing given by confessional and reflective writing and discussion. Students no longer want to read authoritative classics and refuse to interpret them in a one-way with fixed literary history. Then, it is necessary for the instructor to listen to what reading and writing students want in the curriculum and actual classes. This includes not only the question of which work they want to read, but also the question of which work they refuse to read. For open thinking and discussion classes, it is essential to communicate not only among students but also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이 논문은 학제적 과목 ‘여성과 문학’ 수업에서 한국현대문학을 매개로 한 사고와 토론 수업사례를 바탕으로 문학과 사회의 관계와 문학의 정치성에 대해 논한다. 해당 수업 텍스트는 박민정의 「모르그 디오라마」이다. 이 작품은 21세기 한국에서의 디지털성범죄와 19세기말 파리 시체 공시소 모르그에서 벌어진 폭력의 전시와 향유를 종말론적 상상력으로 교차시킨다. 이를 통해 첨단 테크놀로지와 자본의 결합이 가져온 디지털성범죄가 사실상 인류역사에서 오래된 젠더 폭력과 연결되어 있음을 보여주며 폭력을 향유하는 시선과 전시되는 (여성의) 죽음에 대해 문제제기 한다. 수강생들이 소설을 수업 전에 미리 읽고 독후감을 제출하고 수업 중 조별 발표와 토론을 이어갔던 사례를 소개하고 그 과정에서 수강생들에게 동시대 작가의 문학읽기가 주는 의미를 고찰한다. 이는 문학과 사회의 관계와 문학의 정치성에 대한 문제로 이어진다. 현실사회의 문제에 대한 문학적 개입이어떤 것인지, 문학의 자리와 문학성의 문제에 대한 보다 정밀한 토론과 합의가 필요함을 실증적으로 논한다. 특히 대학교육의 현장에서 고민해야 할 문학의 정치성 관련 난제들을 성찰한다. 변화하는 문학 장과 문학행위 속에서 학생들은 권위를 부여받은 정전이라고 해도 수동적으로 읽기를 원하지 않으며 고정된 문학사와 일방향적인 해석을 거부한다. 그렇다면 교수자가 커리큘럼을 짜고 실제 수업을 진행하는 데 있어서 수강생들이 원하는 읽기와 쓰기가 어떤 것인지를 귀 기울일 필요가 있다. 열린 사고와 토론 수업을 위해서 수강생들끼리의 소통뿐만 아니라 교수자와 수강생들 사이의 양방향 소통이 필수적으로 요청된다.

      • KCI등재

        법률과 사실, 그리고 서사- 법문학비평의 관점에서 본 전근대 동아시아의 범죄소설

        박소현 한국중국어문학회 2019 中國文學 Vol.98 No.-

        Recently, the interdisciplinary interaction between law and literature has tended to appear more active in an attempt to subvert the authoritarian rule of law and restore the humanity of law. The recent movement of literary criticisms of law has provided new perspectives and theoretical approaches. The “law as literature” perspective in this movement seems to draw our particular attention in that it enlarges the role of literature far beyond the literary realm. More importantly, the narrative criticism of law or “law as narrative” perspective takes activist positions by challenging the institutional authority and restoring social equity through legal storytelling or the use of narratives. This article attempts to interpret the genre of crime fiction of premodern East Asia from the perspective of literary criticisms of law. In fact, this genre, including Chinese court case (gong’an) fiction and Korean court case (songsa) fiction, was developed in the cultural contexts, in which the close interrelationship between law and narrative was well acknowledged. Indeed, the role of legal storytelling was considered significant in managing the subtle balance of sentiment⋅principle⋅law in the Confucian legal tradition. In this article, a nineteenth-century Korean court case story, A Criminal Case Record of Frog and Snake, is also examined as a prominent literary example revealing how the techniques of legal storytelling reflect the idea of law and justice in the traditional legal system. 법과 문학의 학제적 상호영향은 법의 권위주의를 타파하고 인간성을 회복하려는 노력의일환으로 최근에 와서 활발해졌으며, 이러한 경향을 반영한 법문학비평은 법과 문학의 관계에 대한 새로운 관점과 담론을 제공하고 있다. 특히, ‘문학으로서의 법률’ 담론은 문학의 역할을 법의 실천적 영역으로 확대시켰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며, 이 중에서도 법에 대한 서사적 비평 혹은 ‘서사로서의 법률’ 담론은 법적 스토리텔링을 통해서 기존의 제도적 권위에도전하고 사회적 형평성을 회복하고자 한다는 점에서 그 실천적 의미를 높이 평가할 만하다. 본고에서는 명청대 중국의 공안소설과 조선 후기 송사소설 등 전근대 동아시아의 범죄소설장르가 법과 서사의 밀접한 연관성을 인정하는 문화적 맥락 속에서 발전한 사실에 주목하여이 장르를 법문학비평의 관점에서 분석하고자 시도했다. 정·리·법의 섬세한 균형을 유지하는것을 이상으로 삼았던 유교적 사법전통에서는 법적 스토리텔링의 역할은 억압되기는커녕 전통적으로 중시되었다. 본고에서는 또한 법적 스토리텔링의 한 이상적 사례로서 19세기에 창작된 우화적 송사소설인 《와사옥안》을 분석했다. 《와사옥안》은 법적 스토리텔링의 이상적 사례를 보여주는 이야기로 읽힐 수 있으며, 이런 점에서 최근 법적 스토리텔링의 분석에 주목하는 현대 법문화와 전근대 사법전통의 연결고리로도 해석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법의 문학적 수용과 법문학의 가능성 ― 공지영의 도가니를 중심으로

        김정숙 ( Jeong Sook Kim ) 현대문학이론학회 2012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50

        최근 한국 소설에서 법과 관련된 서사들이 많이 생각되고 있다. 본 연구의 텍스트인 『도가니』는 정신지체아 학교에서 일어난 성폭행과 폭력을 다룬 작품으로, 실화를 바탕으로 전개된 만큼 사회적 파장을 불러온 작품이다. 문학과 법은 본질적으로 (1) 인간의 삶과 사회를 다루고, (2) 언어적 해석과 비평에 기초하는 특질을 공유한다. 본 논문은 이 접점을 바탕으로 시의성과 대표성을 띠는 텍스트의 안팎을 조명함으로써 공공의 상상력으로서 문학적 상상력, 특히 법의 문학적 수용을 검토함으로써 ``법문학``의 가능성을 탐색한다. 본 연구를 통해 각 소설 속에서 등장인물이 처한 상황에 법적인 판단을 형상화한 작가의 인식과 작품에 나타난 법감정 등을 해석해보는 과정은 법의 문학적 수용과 법과 관련된 문학적 인식의 궤적을 살피는 데 필요한 작업이다. 문학은 소외집단이 갖는 문제들을 감수성에 닿는 형태로 고발하여 감동과 공감, 더 나아가 법제(개)정의 추동력이나 법해석의 근거를 끌어낸다. 인권 담론이 인간의 소외와 상처, 치유와 회복을 다루는 것이라면, 특히 문학적 ``공감``은 인권을 가능하게 하는 힘으로 작용한다. 더 나아가 법문학에 대한 인식과 방법론을 확대하기 위해서 (1) 문학의 언어가 새로운 법인식을 가져다주는 방식으로서 내레이션의 특징과 역할, (2) 문학에서 자주 등장하는 사건에 대한 작가의 묘사기법과 법학 기술의 관련성, (3) 형식, 실체, 선판례 등의 관점에서 일정한 형식을 준수할 것을 요구하는 동시에 표현에 있어서의 창의성이 극도로 존중되는 특수한 문학적 장르로서의 판결문, (4) 도덕의 재구성을 위한 실질적인 인식방법의 훈련이자 새로운 윤리적인 입장을 배우기 위한 법학의 글쓰기 등의 연구가 요청된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law and literature, focusing on Doganiwhich presents to sexual violence of the child with the disability. The literature and the law essentially deal with the human life and society, and they share on the characteristic based on linguistic interpretation and criticism. It is necessary to expand to the consciousness and the method on law and literature. The topic runs as follows. (1) The distinctive feature and the role of narration as the way which brings the literary language to the new thought of the law, (2) The author`s representation on the event in literature and the relation to the description of the law, (3) The decision as the particular literary genre in terms of the substance and the judicial precedent which are demanded to a certain form and the creativity. (4) The law writing of the real thinking way for reconstruction of the new morality and the ethics. It`s important that this attempt show the new topic and more than that, the interdisciplinary possibility on the political, ethical, artistic implication and meaning. So I think I`m going to complement to the exact theory and the suitable for the case on this subject.

      • KCI등재

        법률과 사실, 그리고 서사 ―법문학비평의 관점에서 본 전근대 동아시아의 범죄소설

        박소현 ( Park Sohyeon ) 한국중국어문학회 2019 中國文學 Vol.98 No.-

        법과 문학의 학제적 상호영향은 법의 권위주의를 타파하고 인간성을 회복하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최근에 와서 활발해졌으며, 이러한 경향을 반영한 법문학비평은 법과 문학의 관계에 대한 새로운 관점과 담론을 제공하고 있다. 특히, ‘문학으로서의 법률’ 담론은 문학의 역할을 법의 실천적 영역으로 확대시켰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며, 이 중에서도 법에 대한 서사적 비평 혹은 ‘서사로서의 법률’ 담론은 법적 스토리텔링을 통해서 기존의 제도적 권위에 도전하고 사회적 형평성을 회복하고자 한다는 점에서 그 실천적 의미를 높이 평가할 만하다. 본고에서는 명청대 중국의 공안소설과 조선 후기 송사소설 등 전근대 동아시아의 범죄소설 장르가 법과 서사의 밀접한 연관성을 인정하는 문화적 맥락 속에서 발전한 사실에 주목하여 이 장르를 법문학비평의 관점에서 분석하고자 시도했다. 정·리·법의 섬세한 균형을 유지하는 것을 이상으로 삼았던 유교적 사법전통에서는 법적 스토리텔링의 역할은 억압되기는커녕 전통적으로 중시되었다. 본고에서는 또한 법적 스토리텔링의 한 이상적 사례로서 19세기에 창작된 우화적 송사소설인 《와사옥안》을 분석했다. 《와사옥안》은 법적 스토리텔링의 이상적 사례를 보여주는 이야기로 읽힐 수 있으며, 이런 점에서 최근 법적 스토리텔링의 분석에 주목하는 현대 법문화와 전근대 사법전통의 연결고리로도 해석될 수 있을 것이다. Recently, the interdisciplinary interaction between law and literature has tended to appear more active in an attempt to subvert the authoritarian rule of law and restore the humanity of law. The recent movement of literary criticisms of law has provided new perspectives and theoretical approaches. The “law as literature” perspective in this movement seems to draw our particular attention in that it enlarges the role of literature far beyond the literary realm. More importantly, the narrative criticism of law or “law as narrative” perspective takes activist positions by challenging the institutional authority and restoring social equity through legal storytelling or the use of narratives. This article attempts to interpret the genre of crime fiction of premodern East Asia from the perspective of literary criticisms of law. In fact, this genre, including Chinese court case (gong’an) fiction and Korean court case (songsa) fiction, was developed in the cultural contexts, in which the close interrelationship between law and narrative was well acknowledged. Indeed, the role of legal storytelling was considered significant in managing the subtle balance of sentiment·principle·law in the Confucian legal tradition. In this article, a nineteenth-century Korean court case story, A Criminal Case Record of Frog and Snake, is also examined as a prominent literary example revealing how the techniques of legal storytelling reflect the idea of law and justice in the traditional legal system.

      • KCI등재

        손원평 『아몬드』(2017)의 일본 수용 고찰― 소년범죄를 중심으로 ―

        남상현 한국일본학회 2022 日本學報 Vol.- No.131

        Almond by Sohn Won-pyung won the unprecedented first place in the 17th Japanese Booksellers Award’s ‘Part of Translated novels’ in 2020. The K-Literature boom may be one of the external reasons for this award, In the present work, I tried to focus on the Juvenile delinquency described in Almond. Two boys named Yun-jae Sun and Gon are mentioned in Almond. Yun-jae Sun had difficulty in feeling emotions, and Gon had a dark scar to become a delinquent boy. Because these boys matched with what nowadays Japanese people are afraid of, such as Juvenile serial murders or Psychopath, Almond was able to trigger the interest of the Japanese readers. The important thing is that the boys did not commit any crime at the end. This leaves two impacts on the Japanese readers. First, Almond pointed out certain juvenile problems which are avoided in the name of psychopath. Second, Almond provided the comfort and healing from a positive perspective and happy ending, which is totally different from recent Japanese juvenile crime novels or Iyamisuv (eww mystery). This means that Almond pointed out and solved the problems which could not be solved by Japanese own novels. Focusing on juvenile delinquency might be unusual in K-literature studies. Keeping the current study as a base, I believe the K-literature study can expand its research field. 2020년, 일본에서 손원평의 『아몬드』가 한국소설로서는 이례적으로 제17회 서점대상 「번역소설부문」 1위를 수상하였다. K-문학의 붐이라는 외부적 현상을 무시할 수 없지만, 본고는 그 원인을 일본의 소년범죄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아몬드』에는 감정표현불능증을 앓고 있는 소년 선윤재와 비행 소년이 되어버린 소년 곤이가 등장한다. 이들은 소년의 비행과 범죄를 둘러싼 공포가 여전히 도사리고 있는 데다가 사이코패스라는 뇌 기능의 문제까지 지적되고 있는 일본 사회가 느끼는 불안에 딱 맞는 소재로 일본 독자의 흥미를 촉발하였다. 중요한 점은 우려와 달리 소년들은 범죄로 치닫지 않았다는 것이다. 소설의 전개에 따라 일본의 독자는 1. 소년들의 문제를 사이코패스와 같이 어려운 용어를 핑계로 해결을 미루는 사회적 풍조의 문제점을 자각하고, 공감이라는 해결 가능성과 위안을 얻을 수 있었을 것이다. 2. 최근 일본의 소년범죄소설에서 보이는 이야미스적인 양상 혹은 해결 불가능성을 지닌 결말과는 다른 긍정적인 시선에서 『아몬드』가 주는 위로와 치유를 받을 수 있었다고 본다. 『아몬드』는 소년범죄라는 유사한 사회적 문제를 한국이라는 낯선 공간에서 해결해나가는 이야기를 보였다. 즉, 자국의 소설로는 해결하지 못하였던 문제를 한국의 작품을 통해 지적하고 다시 생각할 수 있는 기회의 장으로 활용한 것이다. 『아몬드』에서 발견한 문학적 해결 가능성과 위로의 힘은 K-문학이 일본에서 수용되는 일환으로 연구될 가치가 있다. 이에 향후 K-문학 연구가 다양한 주제를 가지고 확장될 가능성에 본고가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1950년대 사회문화적 맥락에서 본 『올리버 트위스트』의 번역 양상

        조윤정 구보학회 2023 구보학보 Vol.- No.35

        이 논문은 찰스 디킨스의 『올리버 트위스트』가 1950년대 한국에 아동문학으로 번역된 정치・문화적 배경을 살피고, 이호근과 김수영의 번역본이 지닌 특징을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둔다. 『올리버 트위스트』는 전후 서구문학 열풍 속에서 출판사들이 앞다투어 내놓은 세계명작소설전집이나 문고본 시리즈에 포함되어 번역되었다. 1955년 영문학자 이호근에 의해 한국에 처음 번역되었으며, 1959년에는 시인 김수영에 의해서도 번역되었다. 이호근은 원작에서 악인의 행동과 심리를 반영하려 노력했으며, 김수영은 공권력을 풍자하고 조력자의 역할을 강조한 경향이 있다. 다만, 디킨스의 소설이 아동문학으로 수용되는 과정에서 일어난 축약, 영국식 구빈제도가 낯설었던 한국 지식인의 상황 탓에 작품은 올리버가 당한 학대, 구원자의 등장, 범죄자 소탕, 올리버의 가족 찾기로 단순화되었다. 그 결과 독자는 서사에 쉽게 몰입할 수 있게 되었으나 산업화의 폐해, 영국의 구빈법과 사회적 부조리에 대한 작가의 비판의식은 많은 부분 생략되었다. 한국전쟁 이후 남한의 사회문화적 현실과 정치적 이데올로기는 영국의 범죄소설 『올리버 트위스트』가 권선징악의 교훈을 담은 아동문학으로 요약 번역되는 방향성에 영향을 미쳤다. 전쟁 이후 고아와 부랑아는 국가 재건을 방해하고 범죄자 집단으로 변질될 가능성이 높다고 간주되어, 사회적으로 관리하고 교화해야 할 대상이 되었다. 또한 1950년대 간행되었던 세계문학전집에는 모험소설과 범죄소설이 큰 비중을 차지했다. 그 같은 시대적 분위기 속에서 한국 번역가들은 『올리버 트위스트』를 번역하며 고아원 관리자의 범죄, 페이긴 일당의 복잡한 심리보다 올리버가 경험한 역경, 올리버의 순수함, 고아를 교화하고 가족을 찾아주는 조력자의 역할을 강조했다. 이러한 양상은 문교부의 출판 정책, 교훈주의와 순수주의를 표방했던 당대 아동문학의 한계, 남한사회에서 강조했던 정상 가족 이데올로기에 기반을 둔다. 1950년대 디킨스 소설의 번역상 특성은 당대 아동문학의 본원적 한계뿐 아니라 전후 고아 문제를 아동과 조력자의 심성 교화 차원에서 다루고자 했던 정치적 의도를 드러낸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reason why Oliver Twist was translated as children’s literature after the Korean War as well as the meaning of it, and to examine the aspects of how Lee Ho-geun and Kim Soo-young translated this novel. This novel was translated into Korean by English literature scholar Lee Ho-geun and poet Kim Soo-young in the mid- to late 1950s. Oliver Twist was translated as part of the collections of world classic novels or paperback series that publishers all rushed to publish in the midst of the Western literature craze. Lee Ho-geun tried to reflect the behavior and psychology of the villain, while Kim Soo-young tended to satirize public authorities and emphasize the role of helpers in the original. The translated version focuses on Oliver being abused at the workhouse, the misdeeds of Fagin’s gang, and the salvation narrative by Brownlow and Rose Maylie. As a result, readers can be absorbed in Oliver’s ordeals and the process of overcoming them in the simple narrative. However, Dickens’s criticism of the harmful effects of industrialization, the English Poor Laws, and social injustice in the novel is largely omitted. South Korea’s social conditions affected the direction of the abbreviation that occurred in the process of translating British crime fiction Oliver Twist into children’s literature. The South Korean government was facing difficulties in protecting juvenile vagrants due to foreign aid suspensions around the time this novel was translated and published. Accordingly, the government raised domestic relief funds to build a camp for juvenile vagrants. Under these circumstances, Oliver Twist could be read as a text that alerts readers to juvenile vagrants that would turn into criminals and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public authority to reform or control them. Furthermore, the appearance of a helper like Brownlow who welcomes Oliver into his family might have been accepted as an extremely convincing narrative in Korean society that is used to the normal family ideology. This implies the intention to frame the issue of juvenile vagrants in South Korea as a matter of the inner moral disposition of orphans or helpers, rather than a social problem.

      • KCI등재

        난민 문제와 문학 - 청소년 문학 텍스트를 통한 사회비판적 문제의식 형성

        명정 ( Myoung Jeong ) 한국독어독문학회 2020 獨逸文學 Vol.61 No.4

        거대한 무덤이 된 지 이미 오래인 지중해를 건너는 난민들 중 거의 반 정도가 18세 이하의 어린 청소년이다. 그러나 2015년 난민 사태를 겪은 이후 유럽은 빗장을 강화한다. 더욱이 난민들의 범죄로 인해 독일 시민들은 난민에 대해 반감 및 폭력적 대응을 보인다. 사회정치적으로 중요한 문제로 부각된 난민에 대한 증오감 내지 증오 범죄를 줄이기 위한 일환으로 청소년 문학 작품을 통해 어린 청소년 독자들에게 난민과 난민 수용에 관해 보다 근본적인 차원에서 인식할 수 있도록 비판적인 문제의식과 참여의식을 갖도록 하는 것은 무엇보다 중요하다. 작품 『사자의 외침』은 오늘날 아프리카 난민의 오디세이가 어떤 모습인지 구체적으로 설명해주고 있다. 작가는 동일한 시간의 흐름 속에 나이지리아에서 거리의 아이로 사는 소년 요바와 독일인 소년 율리안의 세계를 ‘평행적인 몽타주’ 기법으로 제시하며 극명한 대비를 이루게 한다. 이러한 서사 구조를 통해 독자들은 객관적 관점에서 난민 문제를 견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요바의 일기를 통해 난민이 될 수밖에 없는 사람들의 처지를 이해하게 되는 율리안의 인식의 변화 과정을 따라가며 청소년 독자들 또한 난민 문제에 대해 사회비판적 문제의식을 갖게 된다. 더욱이 작품 속 유럽이 난민들에게 보이는 태도를 통해 유럽은 결코 난민들에게 유토피아가 아님을 통찰하게 된다. Millionen von Menschen verlassen jedes Jahr ihre Heimat, um ein besseres Leben zu führen. Das Mittelmeer ist jedoch seit langem ein grosses Grab für Flüchtlinge. Besonders hervorzuheben ist die Tatsache, dass fast die Hälfte der Flüchtlinge Jugendliche unter 18 Jahren sind. Trotzdem hat Europa Abschottung nach der Flüchtlingswelle von 2015 verschärft. Insbesondere wird die Abneigung der deutschen Bürger gegen Flüchtlinge durch die angeblich ständigen Straftaten von Flüchtlingen nach der Flüchtlingskrise 2015 verstärkt. Die vorliegende Arbeit setzt sich mit Flüchtlingsprobleme in der Jugendliteratur auseinander. Im Fokus dieser Arbeit steht es, dass jugendliche Leserinnen und Leser die profundere Wahrnehmung von Flüchtlingen oder der Aufnahme von Füchtlingen mit Hilfe von jugendliterarischen Texten bilden können. Zu diesem Zweck wurde Ramadans Werk Der Schrei des Löwen analysiert. In diesem Werk schildert der Autor detailreich, wie eine Odyssee afrikanischer Flüchtlinge heute aussieht. Im untersuchten Text wird zuerst Parallelmontage-Technik ins Auge gefasst. Damit bringt der Autor den jugendlichen Leserinnen und Lesern die Welt von Yoba, der als Straßenkind in Nigeria lebt, und Julian, der in Hamburg lebt, vor Augen. Durch diese Erzählstruktur ist es möglich, dass die Leserschsft Flüchtlingsprobleme aus einer objektiven Perspektive kritisch erkennt. Darüber hinaus wird Haltung der EU-Staaten gegenüber Flüchtlingen kritisiert untersucht.

      • KCI등재

        일제강점기 데릴사위 이야기의 문학법리학적 고찰

        김경수(Kim, Kyungsoo) 구보학회 2021 구보학보 Vol.- No.28

        이 논문은 우리의 전통적인 혼인 형태 중 하나였던 데릴사위제도가 일제강점기 시대에 어떻게 문학적 주제로 형상화되었는지를 문학법리학적 관점에서 해석한 논문이다. 데릴사위제도는 우리의 전통 혼인 형태 중 하나로서, 일반적으로 아들이 없고 딸만 있는 집안에서 딸보다 나이가 많은 이성(異姓) 남성을 들여 딸이 혼인적령기에 이르면 혼인을 시켜준다는 전제 아래 남성의 노동력을 취하는 제도를 일컫는다. 그런데 이런 데릴사위제도는 일제강점기 조선 사회를 규율한 조선민사령의 외부에 놓이게 됨으로써 다양한 사회문제를 야기한 범죄 사건의 원인이 되었다. 이 논문에서는 먼저 일제강점기 데릴사위제도가 일제의 민사령과 관련하여 놓이게 된 근본적인 문제상황을 설명하고, 이후 당시 언론에 보도된 데릴사위 관련 기사들을 검토하여 그 심각성이 어느 정도였는지를 살펴보았으며, 마지막으로 이런 데릴사위 이야기가 당시 소설이나 희곡 및 연극 등, 제도화된 문학 양식에 어떻게 형상화되었는지를 살펴보았다. 그리하여 데릴사위제도는 1920년대부터 1940년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범죄의 원인이 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런 사회적 현상을 반영하듯 1930년대 중반에 김유정의 「봄·봄」과 남궁만의 「데릴사위」 같은 작품들이 데릴사위제도가 법의 사각지대에 놓이게 됨으로써 빚어지는 비극을 고발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1940년 경성법률학교 학생회는 별도로 각색한 데릴사위 이야기를 모의재판극 형식으로 무대에 올려 공연하여 당시 일반시민들의 비상한 관심을 받는다. 이처럼 일제강점기 데릴사위제도는 다양한 문화적 장르를 통해 창작되었는데, 이것은 데릴사위 이야기가 식민지 조선에서 문제적인 삶의 방식이며, 법의 전향적인 보호를 요구하는 전형적인 문학법리학적 이야기로서 받아들여졌음을 보여준다. This thesis interprets how “the custom of labor contract which promise to adapt a man into his wife’s family” (“Deril Sawi custom”), was represented as a literary theme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from the perspective of literary jurisprudence. “The custom of labor contract which promise to adapt a man into his wife’s family” is a traditional form of a contract marriage: The man must work for his wife’ family until his future wife grow up to marriageable age, and he will be adopted as the husband for a woman of a family. This custom maintained until the 1920s and caused several crimes. Because it had been placed outside of the Korean Civil Laws in the Colonial Chosen(朝鮮民事令) that regulated the colonial Chose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In this thesis, I first explained the fundamental situation this marriage custom in the Colonial Chosen. and then reviewed crime articles related to this custom reported in newspapers. Finally, I looked into how this custom was represented in the literary genres such as novels, plays. “Spring, spring” by Kim Yoo-jeong, “A man adapted as the husband for an heiress(Deril Sawi)” by Namgung-man, and a work whit the same title by Jo Jun-gyeong were produced and accused the legal neglect of this marriage contract system in the mid-1930s. And In 1940, the Gyeongseong Law School Student Association staged a story of this problematic marriage custom. The “Deril-Sawi” story was accepted as a typical narrative of literary jurisprudence that demanded the prospective protection of the law.

      • KCI등재

        일본의 소년범죄소설과 속죄의식 - 『천사의 나이프』와 『속죄의 소나타』, 『속죄』를 중심으로 -

        남상현 한국일본학회 2018 日本學報 Vol.0 No.116

        현대 일본사회는 소년범죄에 관하여 엄벌주의의 경향이 짙어지고 있다. 그러나 보호주의 원칙의 소년법에 의하여 가벼운 형벌을 받는 소년들은 사회로 복귀한다. 본고는 소년들이 사회에 복귀하였을 때 가장 필요한 속죄의식에 대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1997년 고베연속아동살상사건은 특히 가해자 소년들의 문제와 함께 피해자에 대한 사회적 관심을 집중시켰다. 결과, 2000년 이후 속죄교육이 적용되었다. 그러나 아이러니하게도 2015년 사회로 복귀한 고베연속아동살상사건의 소년A는 범행수기인 『절가』를 출판하며, 소년에게 필요한 속죄의식의 부재를 알렸다. 본고는 이러한 사회적 경향에 입각하여 소년범죄소설 세편을 통하여 소년들에게 요구되는 속죄의식의 양상과 그 궁극적인 목표를 살펴보았다. 『천사의 나이프』와 『속죄의 소나타』에서는 소년들의 갱생이란 단순히 사회에 복귀하여 성공한 삶을 살며, 재범을 하지 않는다는 것이 아니며, 피해자와 그 가족에게 속죄의식을 가지고 용서를 구하며 평생에 걸쳐 행동으로서 보여야 한다는 것을 주장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행위로서 비로소 가해자 소년 역시 진정한 시민으로서 거듭날 수 있다는 것을 알렸다. 한편, 『속죄』에서는 피해자의 용서 역시 중요하다는 점을 알린다. 가해자의 속죄와 그 행동을 전제로 피해자는 사건에 대하여 용서함으로서 가해자의 지배력에서부터 벗어나며, 궁극적으로 2차적인 피해를 막게 됨으로서 진정한 사건의 종결을 맞이한다는 결론을 제시하였다. 즉, 소년범죄의 진정한 해결을 위하여서는 엄벌주의로 인한 강력한 법적인 처우뿐 아니라 그 시작에 가해자가 간직해야 할 속죄의식이 무엇보다 선행되어야 하며 이야말로 진정한 사건의 해결을 맞이한다는 것이다. 이와 더불어, 이러한 소설 속 속죄의식의 분석연구는 윤리의식의 함양이라는 문학적 역할을 보여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Japanese society in these days is becoming increasingly strict about juvenile delinquency. However, under the protectionist principle of juvenile law, boys who receive minor punishment are allowed to return to society. This study attempts to analyze the consciousness of atonement most needed when boys return to society. In 1997, The Kobe Children Murders focused on the problems of the boys, especially those who were victims. As a result, “atonement education” was adopted after 2000. Ironically, however, the boy from Kobe, who returned to society, published the non-fiction work Zekka in 2015, and showed the lack of a sense of atonement. Based on this situation, this study examined the aspect of atonement required for boys and the ultimate goals by analyzing three juvenile crime novels. In Tenshi no Naifu and Shokuzai no Sonata the rehabilitation of the boys did not involve them returning to society, living a successful life, or committing a crime again. Instead, the boy should be required to ask for forgiveness with a sense of atonement to the victim and their family and this should be seen as a lifelong act. Meanwhile, Shokuzai informs that the victim's forgiveness is also important. On the premise of the perpetrator's atonement and their actions, the victim expressed the conclusion that by forgiving the perpetrator, they could free themselves from the feeling of dominance and ultimately brought a definite end to the case. Furthermore, it is worth noting that the study about the consciousness of atonement in these novels shows the literary role of ethical literary criticism.

      • KCI등재

        대중문화 콘텐츠에 나타난 감시와 통제: 영화 『마이너리티 리포트』 분석을 중심으로

        김문주(Kim, MoonJu),강일원(Kang, Ilwon) 한국문화산업학회 2021 문화산업연구 Vol.21 No.4

        본 연구는 대중문화 콘텐츠가 담고 있는 감시와 통제의 내용을 통해서 과학기술문명이 발달한 미래사회의 모습과 그 사회 속 감시체계에서 발생가능한 문제점들을 알아보는 것을 목표로 한다. 본 연구의 분석 대상인 영화 『마이너리티 리포트』는 사회 안전을 목적으로 만들어진 범죄 예방 시스템으로 인해 인간들이 감시받고 통제당하는 세상이 오게 될 것임을 독자와 관객에게 알려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로 『마이너리티 리포트』에 나타난 미래의 사회는 모듈, 코딩절차, 데이터베이스 등으로 통제받는 사회이다. 영화 속 사람들은 아이-덴티스캔이라는 홍채인식기로 모든 생활을 감시당하고 있다. 두 번째로 『마이너리티 리포트』속에 법률에 관한 사항은 나오지 않지만 주된 이야기는 범죄 예방이란 목적으로 범죄를 저지르지 않은 사람을 체포하는 것이어서 법집행에 관한 이야기라고 할 수 있다. 법과 문학은 모두 인간과 인간이 사는 사회를 바람직한 길로 가도록 돕는 공동의 목표를 갖는다. 따라서 『마이너리티 리포트』는 ‘법과 문학’ 분야의 분석 텍스트가 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범죄를 예측하는 예지자가 가지고 있던 소수의 보고 비전을 통해서 범죄 예방 시스템의 문제가 바로 인간의 문제임을 알아낼 수 있었다. 인간 없는 기술은 없다. 따라서 기술로 인한 디스토피아는 인간이 만드는 새로운 미래일 수 있다. 『마이너리티 리포트』는 첨단 기술문명으로 인간의 미래를 예측할 수 있는 시대에 피해야만 할 디스토피아의 세계를 현재의 눈으로 깨닫게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uture society in which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civilization has developed and possible problems in the surveillance system in that society through the contents of surveillance and control contained in popular culture contents. The film, Minority Report, which is the subject of this study"s analysis, informs readers and audiences that a world will come in which humans are monitored and controlled by precrime system created for social safet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future society shown in Minority Report is a society controlled by modules, coding procedures, and databases. The people in the movie are being monitored in all their lives with an iris recognition device called eye-dentiscan. Second, although there are no legal matters in Minority Report, the main story is about law enforcement because it is about arresting people who have not committed crimes for the purpose of crime prevention. Both law and literature have a common goal of helping humans and the society in which they live on a desirable path. Therefore, Minority Report can be a text for the field of ‘Law and Literature’. Finally, through the visions of minority report which the pre-cog, who predicts crime, has have, it is possible to find out that the problems of precrime system are humans’. There is no technology without humans. Therefore, the dystopia caused by technology can be a new future created by humans. Minority Report makes us realize with the eyes of the present the world of dystopia that must be avoided in an era where the future of human beings can be predicted with cutting-edge technological civiliz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