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어문학부(語文學部) : 스코포스 이론으로 분석한 음식메뉴의 문제점과 그에 따른 번역전략

        김진아 ( Jin Ah Kim ) 한국중국학회 2010 중국학보 Vol.62 No.-

        本論文是基於功能主義飜譯理論中的飜譯功能, 篇章功能考察了菜肴中文飜譯。考察對象爲韓國觀光公司向外國遊客提供出版的『飮食文化與接待文化』一書。這本書收錄了1700多個韓食菜肴。觀察結果所收錄的菜肴中有不少是來自於國外菜肴名稱。本論文對此提出了處理這類菜肴的飜譯方式, 建議采取音譯+解釋的飜譯戰略。這種方式可以突出飜譯與語篇的功能。不僅如此, 在處理對具有寫意性或者含有文化因素的菜單飜譯采取飜譯戰略時, 强調不僅要考慮讀者的要求, 而且要注重目的語的文化和審美觀,還强調了在樹立飜譯戰略時, 縮減兩邊文化的飜譯員的重要角色。

      • KCI등재

        일제 강점기 학술 번역에 대한 인식과 번역 경향

        허재영,김경남 우리말학회 2016 우리말연구 Vol.46 No.-

        이 글은 일제 강점기 학술 번역의 경향과 의의를 규명하는 데 목표를 두었다. 일제 강점기는 근대 계몽기와는 달리 여러 가지 제약 조건 속에서 학 술 번역이 이루어졌다. 근대 계몽기의 경우 지식 보급의 필요에 따라 역술 활 동이 강조되었지만, 일제 강점기에는 일본어 보급 정책이나 식민 통치에 따른 사상ㆍ학술 통제가 강화됨에 따라 학술 번역에도 적지 않은 어려움이 따랐던 것으로 보인다. 그렇기 때문에 일제 강점기의 번역물은 문예물과 종교물이 많 았다. 그럼에도 1920년대 전반기 이른바 문화통치하에서 ?동아일보?를 비롯 한 신문ㆍ잡지에 사회주의 이데올로기와 관련된 다수의 번역물이 등장하기도 한다. 주로 일본인 저술을 대상으로 한 것이지만, 이러한 번역물이 급증한 것 은 이 시기 사회주의 사상이 광범위하게 번졌기 때문으로 추측된다. 이러한 번역물은 1925년 치안유지법 실시 이후에는 거의 사라진다. 이러한 흐름에서 1920년대 중반 이후 본격화된 번역 논쟁도 ‘번역 문학론’, ‘이식 문학론’ 등의 명칭 아래 전개되었다. 번역 논쟁은 번역을 창작으로 볼 것인가를 주제로 하 였지만, 그 과정에서 등장한 오역 문제, 문장 사용이나 외래어에 대한 태도 등 은 국어 문제와 직접적인 관련을 맺는다. 기존의 연구에서는 일제 강점기의 시대적 조건 속에서 이루어진 학술 번역에 대해 거의 주목하지 않았지만, 번역학이 정립되어 있는 현재의 상황에서 이 시기의 학술 번역 실태와 문제점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 KCI등재

        나를 새기다

        정세근 대동철학회 2009 大同哲學 Vol.49 No.-

        ‘철학의 번역’에서 발생되는 문제점을 드러내고 ‘번역의 철학’을 정립하는 것은 의미있는 일이다. ‘철학의 번역, 번역의 철학’은 번역철학이 대부분을 차지하는 우리 철학계의 현실에서 중심화두이다. 그런데 우리 사회의 가장 큰 문제는 번역의 가치에 대한 근거 없는 편견과 번역 대상 원전에 대한 무조건적인 숭배이다. 번역의 주관성과 다수성 그리고 시대성을 모르고 절대유일의 초시간적인 번역을 추구하려는 것은 지적 오만과 낭만적 이상에 불과하다. 번역은 원전에 충실하려고 무단히 시도할 뿐, 원전 그 자체가 결코 될 수 없다. 나의 사고가 그 시대의 사고로 아무리 귀착되어 있어도 나의 언어가 이미 그 시대의 언어로부터 유리되어있기에, 원전과 번역의 이중성은 상존한다. 글이라는 것은 나의 손을 떠나는 순간, 벌써 시간과의 이중성, 타인과의 이중성, 그리고 다른 언어와의 이중성을 전제한다. ‘문헌학에서 철학에로’라는 서양식 사고는 ‘소학에서 대학에로’라는 동양어로 번역되는 것이다. 좀 더 적극적으로는 ‘번역에서 철학에로’ 나가야한다. 공연한 남의 문제의 전이보다는 진정한 나의 문제가 번역을 통해 드러나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우리는 아직도 식민지학을 하고 있을 뿐이다. ‘우리말로 새겨지지 않는다’는 것은 ‘나의 세계관이 없다’는 말과 크게 다르지 않다. It is meaningful that we find out problems from ‘translation of philosophy’, and establish ‘a philosophy of translation’. ‘Translation of philosophy, or philosophy of translation’ is an important topic for us to treat numerous translations in philosophy. The matter is that we have a groundless prejudice against translation and the unconditional worship of original text. If we have pursued absolute, unique, and transcendent translation beyond subjectivity, multiplicity, and time, it would be an intellectual arrogance or an romantic ideal. Translation only attempts to devote to its original text, but cannot be the text in itself. Even though my thinking arrived at the thought of the age, my words already departed from the language of the age, so there could be duplication between text and translation. The western way of thinking as ‘from philology to philosophy' would be translated in the eastern way of thinking as ‘from the little learning to the great learning'. More positively, translation should be promoted to philosophy. I prefer to represent the real issue of ours rather than receive the others. Otherwise, we are still staying in colonial studies. The proposition that ‘It can not be translated in Korean.’ probably denotes the fact that ‘I as a Korean have no my world view.’

      • KCI등재

        근대 계몽기 신문ㆍ잡지의 번역과 역술 문화

        허재영(Heo, Jae Young) 동악어문학회 2016 동악어문학 Vol.66 No.-

        근대 계몽기의 번역물 가운데 상당수는 번역 대상 문헌을 알 수 없거나 여러 문헌을 편역하고 번역자의 의견을 덧붙이는 형태가 많다. 이는 번역과 저술의 경계가 뚜렷하지 않기 때문에 나타난 현상으로 보이는데, 지식 보급이 급무로 인식되던 상황에서 이른바 ‘역술(譯述)’이라는 형태의 번역 문화가 존재했기 때문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 논문은 근대 계몽기 역술 문화와 학술 번역물이 갖는 특징을 규명하는 데 목표를 두었다. 이 글에서 논의한 바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근대 계몽기에 사용된 역술(譯述)이라는 용어는 특정 대상 문헌에 대한 번역과는 달리 여러 문헌을 편역하거나 역술자의 견해가 포함된 저술 활동의 하나였다. 이러한 역술 활동이 필요했던 이유는 지식의 근원이 되는 문헌이 빈약하고 유통되는 지식의 양이 부족한 상황에서 근대 지식 보급이 급선무로 인식되었기 때문으로 판단할 수 있다. 둘째, 지식 보급의 중요성으로 인해 활발해진 역술 활동은 무원칙한 번역, 무주의한 번역, 무질서한 번역을 낳는 폐단을 가져오기도 하였다. 셋째, 근대 계몽기 신문에는 다수의 지식원을 확인할 수 있는 번역물이 등장한다. 이들 자료는 대부분 시사성 있는 정치, 교육, 국제관계 등을 대상으로 한 번역물이 대부분이며, 이 시기 역술 문화로 대변되는 과도기적 번역이 이루어진 것으로 볼 수 있다. 넷째, 이 시기 학회보(잡지)에는 지식원을 밝힐 수 있는 50여 종 이상의 번역물을 확인할 수 있다. 이들 번역물을 통해 이 시기 지식 유통의 경로를 추정할 수 있는데, 상당수의 번역물은 중국과 일본을 경유하여 들어온 문헌으로 보이며, 번역 과정에서 원전을 밝히지 않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현상도 이 시기 역술 문화와 마찬가지로 과도기적 번역 형태에서 비롯된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This paper aims to explore the culture of translation during the Modern Enlightened Time, from the 1880’s to 1910. I focused on the pattern of translation called YOEKSEUL(譯述) that did not have known author or publisher or edited translated materials. Translation have been used as a method of acceptance of modern knowledge since the Times of After Opening Ports. The term YEOKSEUL appeared in the 1900"s. This term meant translation(譯) and description(述). I gathered the academic translated materials which identified the origins of knowledge in newspapers and academic journals at that time. Most of the materials on the newspapers assumed topicality. These materials could not verify the original source of knowledge. I searched through academic translated materials especially all journals from that time. I found 57 species of translation works. These works were not revealed in the orignal texts. The phenomena of YEOKSEUL is the feature of a acceptance of modern knowledge.

      • KCI우수등재

        근대 불교잡지의 번역담론

        김종진(Kim, JongJin) 불교학연구회 2018 불교학연구 Vol.54 No.-

        근대불교잡지 특히 『불교』(1924.7-1933.7)에는 해외의 불교연구, 과학지식, 문학 작품 등 경전의 번역을 넘어서는 다양한 번역이 혼재되어 있다. 또 근대의 변화를 인식하면서 그 시대에 불경 번역의 당위성을 제시하고 방법론을 모색한 불교 지성의 논설이 적지 않게 수록되어 있다. 이러한 정황은 그동안 선행연구자들이 근대불교 지성의 번역에 대한 인식과 당대인의 실천을 소극적으로 파악했던 것에 대한 반성적 고찰을 요한다. 이 시기 전개된 번역담론으로는 권상로의 조선글화엄경을 보고 (불교43호, 1928.1), 백성욱의 역경의 필요는 ? (불교 58호, 1929.4), 김법린의 민중본위적 불교운동의 제창 (일광 2호, 1929.9), 이대문제(일광 3호, 1931.3) 에 대한 김법린과 한용운의 답변, 같은 질문에 대한 답변으로서 박한영의 설창한화 (일광 3호,1931.3), 한용운의 조선불교의 개혁안 ( 불교 88호, 1931.10) 과 역경의 급무 ((신) 불교 3집 1937.5) 등이 있다. 본고의 2 장에서는 근대불교 번역론에 대한 최근의 연구사를 검토하고 불교잡지 번역담론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3장에서는『불교』를 중심으로 1920-30 년대 불교 잡지의 번역 담론을 조사하고 그 특징을 도출하였다. 그 결과「조선글화엄경」(1927, 1928) 간행 이후 박한영, 권상로, 한용운, 백성욱, 김법린 등 불교계를 대표하는 지성들 이 형식적 다양성을 지향하는 번역론을 전개했으며, 문화와 문학적 번역의 가치를 긍정하는 방향으로 논의를 전개했음을 확인하였다. 『불교』를 비롯한 1920-30년대 불교잡지의 번역담론은 백용성의「조선글화엄경」출간으로 촉발되었고 그 논리가 심화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Modern Buddhist journals, especially the magazine Bulgyo (Buddhism) published between 1920s and 1930s contains various translations covering overseas Buddhist research, scientific knowledge, poetry, novels, etc., more than the those of scriptures. These journals also present the various discourses by Buddhist intellectuals on the method of translation. This circumstance requires a reflective review on the fact that previous researchers have passively explored the modern Buddhist leading intellectuals’ view of translation. Therefore, in Chapter 2, this study reviews recent research on the modern Buddhist translations and raises the need for research on translation discourses through Bulgyo. In Chapter 3, this study explores in detail the translation discourses appearing in Bulgyo between 1920s and 1930s and extracted their characteristics.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such intellectuals representing the Buddhist world as Park Han-yeong, Kwon Sang-ro, Han Yong-un, Baek Seong-uk and Kim Beop-rin, etc. developed a translation theory aimed at formal diversity and that the discussions were developed in the direction of affirming the value of culture and literary translation. The publication of Joseongeul Hwaeom-gyeong (Avatamsaka Stutra in Korean 1927, 1928) by Baek Yong-seong is followed by active discussions related to the translation work. Bulgyo and other magazines ( 彙報 ) and journals ( 宗報 ) contain articles on Joseongeul Hwaeom-gyeong. Various articles, commentaries, and advertisements of Buddhism were triggered by the publication of Joseongeul Hwaeom‐ gyeong, with the development of logic in depth.

      • KCI등재후보

        차이의 존재론에 대한 새로운 질문들 - 번역 논의를 넘어서

        하승우 영상예술학회 2013 영상예술연구 Vol.22 No.-

        번역 개념을 강조하는 이들은 최근 한국영화가 할리우드의 장르 컨벤션 및 블록버스터 포맷 등을 참조, 인용, 모방하면서도 한국의 역사적 소재를 상연함으로써 할리우드와 차별화되는 새로운 차이들을 생산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여기에는 원본과 번역본 사이에서 형성되는 오해로서의 번역불가능성을 생산적인 가치로 인식하는 전제가 놓여져 있다. 이 번역불가능성의 매개를 통해서 새로운 관계를 구성할 수 있는 여건이 마련될 수 있다면, 번역불가능성에 대한 강조는 또 다른 번역가능성을 상상할 수 있는 단초를 제공한다는 것이다. 이 글에서는 번역(translation) 개념이 한국영화연구에서 급진적 차이 개념을 인식하는 조건이 될 수 있는지를 검토하면서, 번역 개념의 다양한 용례와 사례들을 검토하는 것에서부터 출발한다. 궁극적으로 번역 개념이 안겨다주는 나름의 유용성에도 불구하고, 이 글에서는 궁극적으로 번역 개념을 넘어설 필요가 있다고 주장할 것인데 이를 살펴보기 위해 주디스 버틀러와 호미 바바의 번역 개념을 집중적으로 점검할 것이다. 주디스 버틀러의 번역 개념(“유령적 보편성”)은 그 나름대로 정치적임에도 불구하고 문제가 있다고 판단되는데, 그것은 버틀러의 번역 개념에 번역불가능성의 문제가 녹아들어가 있지 않기 때문이다. 경험적 사실로서의 역사와 이와 같은 경험적 역사에 통합되지 않는 것으로서의 비역사적 중핵을 구별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버틀러의 번역 개념은 역사주의로 축소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이에 반해 호미 바바의 번역 개념은 번역불가능성의 문제를 통해 번역가능성의 문제를 사고한다는 점에서 버틀러의 이론이 지니고 있는 취약점을 넘어서는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바바의 번역 개념은 여전히 급진적이지는 않은데, 그것은 바바에게 있어서의 번역불가능성의 지위가 순수 사건적인 차원의 영역으로까지 확장되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결론적으로 지역적 번역 논의를 넘어서 영화 이미지 구성에서 차이의 존재론의 새로운 구성원리를 인식하기 위해 이 글에서는 영화 텍스트의 급진성은 영화 텍스트 내부의 긴장을 통해 조망될 필요가 있음을 지적할 것이다. 이러한 시도 속에서, 나는 한국영화를 비롯한 내셔널 시네마의 장을 근본적으로 재구성할 수 있는 조건들을 제시할 것이다. This paper explains how the notion of translation is used in the field of national cinema studies and, in particular, Korean cinema. According to the dominant trend of contemporary Korean cinema, the notion of translation has been used as an alternative model to move beyond official historiography:the basic matrix of translation can be seen as borrowing Hollywood genre convention but localising historical material on its own. In this regard, contemporary Korean cinema can be seen as producing an infinite chain of difference against Hollywood. However, while fully examining the usefulness of the notion of translation, this article suggests that the notion of translation is not fully political. To demonstrate this argument, I will examine the political validity of Judith Butler’s (2000) notion of ‘spectral universality’ and Homi Bhabha’s (1994) notion of translation. Butler’s notion of translation is critically examined, because her account of translation can be characterised as lacking the dialectical tension between historical material and the non-historical moment. Unless one poses the gap between the two, her account will fall into the trap of empiricism and/or historicism. Bhabha’s notion of translation may be more useful than Butler’s because it posits the impossibility of translation, thus establishing a gap in the process of translation. However, this is also critically examined, as his notion of translation does not entail the notion of non-sense on the transcendental level. This is not to say that we have to entirely reject the relevance of the notion of translation for film studies. Instead, this paper suggests new terms and conditions for reconstituting the notion of translation by arguing that the impossibility of translation should be directed towards the notion of non-sense on the transcendental level, following the line of Deleuze (1990) in The Logic of Sense. On the premise that the idea of translation refers to pure event, that is, something beyond the empirical element, it will offer a new condition for rethinking a new vision of filmic image.

      • KCI등재

        번역으로서의 세계문학― 세계문학과 번역의 위치

        김용규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9 로컬리티 인문학 Vol.0 No.21

        This article aims to explain the possibility of world literature in terms of translation. The role of translation is indispensable to world literature in that it is an important process in which literary works move up to a more universal and general level beyond their specificity or locality. Goethe’s and Marx’s theory of world literature would also be hard to emerge without the international exchange and translation of literatures between cultures. Exploring world literature as translation means how literature moves around the world, how literature moves from source culture to target culture, what changes and refractions are taking place in the process of translation, and how these crossings and migrations transform the culture. Translation needs to be understood as a ‘process’ in which texts are not only linguistically translated in the text but also across cultures and ideas. Translation as a process includes both new cultural phenomena which translated texts produce in the target culture rather than translation of specific objects or texts, and the process of refraction, hybridization, and transformation that occurs when new ideas or concepts enter into the target culture. Once based upon this view, the materiality of the translation process without obsessing with the equivalence or transparency of translation reveals itself. Translation in world literature is a major mechanism that shows its important operation, as well as the problem of inequality and asymmetry between the center and the periphery. By engaging with the location of translation in mind, world literature seeks to think of itself in a way that translates the inequality of the world literary space and revisits it through transcultural practice. 이 글은 ‘번역’의 관점에서 세계문학의 가능성을 이론적으로 고찰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번역은 해당 작품이 그 특수성이나 지역성을 뛰어넘어 보다 보편적이고 일반적인 수준에 도달하는 중요한 과정이라는 점에서 세계문학에서 반드시 고려해야 할 과제이다. 괴테와 맑스가 말한 세계문학론 역시 문학의 국제적 유통과 문화 간 번역이 전제되지 않는다면 등장하기 어려웠다. 번역으로서의 세계문학을 탐구하는 것은 ‘문학’이 어떻게 ‘세계’를 이동하는가, 문학이 자신의 원천문화를 떠나 목표문화로 나아가는 번역 과정 속에서 어떤 변화를 겪는가, 이런 횡단과 이동이 목표문화에 어떻게 이식, 굴절, 변형되는가에 초점을 두는 것을 의미한다. 이 때 말하는 ‘번역’은 텍스트 내의 언어적 번역뿐만 아니라 이념들 간의 문화번역까지 염두에 둔 ‘과정’으로 이해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민주주의, 진보, 계몽, 근대성과 같은 사상이나 이념이 목표문화 속에 수용되어 야기되는 굴절, 혼종, 변형의 과정 역시 번역 개념에 포함된다. 이런 시각을 가질 때, 번역의 등가성이나 투명성에 집착하지 않으면서 번역과정의 물질성에 주목하게 된다. 번역은 중심과 주변의 불균등성과 비대칭성을 동시에 안고 있는 문제이며 세계문학의 중요한 작동을 드러내는 핵심 기제이다. 번역으로서의 세계문학은 번역의 위치를 항상 염두에 두고 세계문학 공간의 불균등성과 불평등성을 문학의 세계구성을 통해 번역하는 한편 그 번역을 통해 세계문학 공간의 불평등을 정정하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

      • KCI등재

        日本語教育の観点から日韓翻訳を考える

        ⾦希燮(Heeseob Kim),李尚秀(Sangsu Lee)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2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3 No.4

        오늘날까지 번역은 어학교육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다. 번역은 주로 출발어(대상어)인 외국어를 도착어(목표어)인 모어로 바꾸는 작업이기 때문에 커뮤니커티브 어프로치 (communicative approach method)를 중시하는 지금의 외국어교육에서는 교육에 활발하게 이용되지 않았다. 번역은 출발어를 모어로 바꾸는 기호 변환이 아니라 목표어의 문화나 언어의식 등을 콘텍스트에 맞추어 옮기는 작업이다. 그래서 모어 구사력은 제2언어학습에 꼭 필요한 능력이다. 그러므로 번역하기에는 최소한 두 언어의 지식과 두 문화 사이의 공통점과 차이점에 대한 이해가 있어야 하며 특히 모국어 사용능력과 기타 상식과 문화에 대한 번역자의 소양과 학습이 중요하다. 이를 바탕으로 두 언어의 상호작용을 통한 자연스러운 번역이 된다. 이 논문은 번역작업 자체가 외국어 수업의 모델이 될 수 있는 가능성을 탐구한다. 본 연구에서는 번역 수업에서 한국인과 일본인 학습자의 일한 번역을 두 가지 관점에서 분석한다. 첫째는 학습자의 일한 번역문을 문법적, 어휘적, 문화적 측면에서 분석한다. 두 번째는 일한 번역 과정에서 학습자의 오용 요소를 분석한다. 이러한 분석을 토대로 일본어교육에서 번역의 역할을 검토하면서 Cummins (2005)의 「언어간 상호의존 가설 The Interdependence Hypothesis」과 유럽연합 공통언어 표준등급 (CEFR)의 다중언어・다중문화주의에 입각한 번역 교육에 관하여 분석한다. 그리고 번역과정에서 잃게 되는 언어적 문제점과 일본어교육을 위한 번역학습의 효용성과 가능성을 분석한다. Until now, translation has not played important role in language education. As translation requires native language, it was not used for education in foreign language education that emphasizes a communicative approach. Translation is not a symbol conversion that changes the target language into the mother tongue, but a task of translating the culture or language consciousness of the target language depending on the context. Therefore, proficiency in language is a significant part of learning second language. When it comes to translation,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languages ​​and knowledge such as the culture and linguistic consciousness of the targeted language. It becomes a natural translation through the interaction of the two languages. In this study, the Japanese-Korean translation of learners in the translation class is analyzed from two perspectives. The first is to analyze the learner's Korean translation in terms of grammatical, lexical, and cultural aspects. The second is to analyze the factors that learners lose in the Japanese-Korean translation process. Based on this analysis, while examining the role of translation in Japanese language education, cummins (2005)'s The Interdependence Hypothesis and CEFR's multilingual and multiculturalism-based translation education are analyzed. And the linguistic problems lost in the translation process and the utility and possibility of translation learning for Japanese language education are analyzed.

      • KCI등재

        문학번역을 위한 소고

        조용길 한국독어독문학교육학회 2016 獨語敎育 Vol.66 No.66

        Im Rahmen der vorliegenden Arbeit sollen einige Gedanken zur Übersetzung von literarischen Texten präsentiert werden, indem die übersetzerischen Tätigkeiten einiger deutschsprachiger literarischer Werke analysiert werden. Eine Übersetzung sollte nicht auf der Analyse der Sprachstrukturen im AS-Text, sondern auf der Analyse ihrer Handlungsfunktionen basieren. Dafür muss der Übersetzer neben den sprachlichen, auch die kulturellen und pragmatischen Komponenten im AS-Text beachten. Die Aufgabe des Übersetzers ist es, Funktionen der Sprechakte im Text zu erfassen und diese möglichst vollständig durch Sprechakte im ZS-Text widerzuspiegeln. Streng genommen besteht m.E. keine Äquivalenz zwischen beiden Sprachen, sondern nur die Relation der ‘Metasprache’. In diesem Sinne sollte die Übersetzung eines literarischen Texts darauf gerichtet sein, angemessene Äußerungsformen der Metasprache, die wichtige kulturelle und pragmatische Komponenten aus dem AS-Text widerspiegeln und zugleich dem ZS-Empfänger als zugänglich erscheinen, auszumachen. 주지하다시피, 번역은 원본의 의미를 목표언어의 독자들에게 전달하는 행위이다. 그래서 ‘좋은’ 번역은 우선 원본의 의미를 정확히 이해하는 것을 전제한다. 번역가의 역할이 중요한 이유이다. 하지만 원본의 의미파악만이 ‘좋은’ 번역을 결정하는 기준은 될 수 없다. 목표언어의 독자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번역하는 것도 중요한 기준일 것이다. 이렇게 볼 때, ‘좋은’ 번역은 원본의 의미에 부합할 뿐만 아니라 목표언어의 독자들에게 익숙한 표현형식을 지녀야 하겠다. 이런 맥락에서 필자는 기존의 논쟁점인 원어에 충실할 것인가, 아니면 목표언어에 충실한 것인가는 더 이상 논의대상이 될 수 없다고 본다. 원어와 목표언어 그 어디에도 치우치지 않고 둘 사이를 상황에 적절히 조율하는 것이 ‘좋은’ 번역의 토대이기 때문이다. 그러면 우선 원본의 의미에 어떻게 부합할 수 있는가? 원본의 문법적 형식과 특징을 철저히 따르는 것이 원본의 의미를 온전히 반영하는 길이라는 견해가 있다(ex. 비교문체론). 하지만 언어형식에 집중된 번역은 간접화행 등의 내포의미를 가진 화행을 설명하기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언어형식이 아니라 언어사용, 즉 화행의 기능에 초점을 두어 원본을 분석하는 것이 번역의 출발점이 되어야 한다. 모든 화행은 기능과 언어형식으로 분석된다. 화행의 기능은 발화의 소통기능으로서 원문의 화자나 저자가 의도했을 것으로 여겨지는 실제적 의미이고, 이런 의미는 개별언어의 특정한 언어형식을 통해 실현된다. 아울러 화행의 기능인 ‘발화수반력 Illokution’은 기존처럼 큰 틀의 행위개념(ex. 부탁, 지시)에 머물러서는 안 된다. 상황과 문화맥락을 반영하는 부수적인 세부기능을 아우르는 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그래서 예컨대 독일어 표현 Könnte ich vielleicht von diesem Dokument drei Kopien haben?을 한국어로 번역할 때 이 표현의 단순한 행위기능(ex. 부탁)만을 분석하는 것이 아니라 문화상황과 결부된 공손성의 기능도 함께 분석하는 것이 원본 화행의 발화수반력에 온전히 도달하는 길이다. 다음으로 원본의 의미에 상응하는 등가의 목표언어 표현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 필자의 견해로는 완전한 등가의 목표언어를 찾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본다. 물론 텍스트유형에 따라 예외는 있다. 예컨대 단순하고 분명한 화행기능을 가진 실용텍스트(ex. 제품사용설명서)의 경우 등가의 목표언어를 찾는 것은 어렵지 않다. 하지만 몇몇 텍스트유형들, 특히 문학텍스트의 경우에는 원본의 의미에 완전히 부합하는 목표언어를 찾는 것은 쉽지 않은 것이 사실이다. 문학텍스트의 화행들은 대개 특정문화에서만 통용될 수 있는 복잡한 문화적 맥락들을 담고 있는 경우가 흔하기 때문이다. 3) 일례로 문학작품 ‘심청전’을 들 수 있다. 이 소설의 주제는 효이고 문화적 상황맥락은 유교와 불교, 샤머니즘이다. 그러나 독일어 번역본에서는 이런 맥락이 무시된 채 단순히 용왕과 심청의 러브스토리라는 내용으로 소개되는 경우가 있다. 출발언어가 갖는 문화적 맥락의 결손이 낳은 결과이다(박용삼 2007, 271 재인용). 따라서 문학텍스트를 번역할 경우 완전한 등가의 목표언어가 아니라, 원본의 의미에 최대한 근접할 수 있는 목표언어를 찾는 것이 현실적인 번역방법이라고 본다. 이런 면에서 필자는 번역어를 일종의 ‘메타언어’라고 본다. 왜냐하면 번역어는 엄격한 의미에서 원본 ...

      • KCI등재

        학부번역수업에서 학생과의 소통 : 번역과정 중심 번역교육의 실현을 위한 학생프로필, 번역브리프, 번역저널의 분석을 중심으로

        남원준 한국외국어대학교 영미연구소 2014 영미연구 Vol.31 No.-

        The present study describes my experience of communicating with undergraduate students in my Intro to T&I class through the means of student profiles, translation briefs, and translation journals. Based on a literature review, this paper argues that the past pedagogical model of product-oriented translation teaching should be replaced or complemented by a more process-oriented approach. Students were asked to submit student profiles (language background, career aspirations, etc.) and translation briefs (text-in-situation), and translation journals so as to enable students to express the difficulties they faced when carrying out translation tasks as well as the various factors they considered. All of this helped to improve the level of communication between the instructor and the students, and customized feedback was able to be given. The present study argues for a process-oriented approach since students need to continue their learning process, and thus acquire each sub-competence of translator competence well beyond graduation, which will lay the foundation for life-long learn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