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白光勳 漢詩에 나타난 공간 이미지 분석

        김금숙(Kim Gum-suk) 중앙어문학회 2008 語文論集 Vol.38 No.-

        Okbong(玉峯) Baek Gwang-hun(白光勳) is the poet to lead the switch to 16th century Dang poetry characteristics(唐詩風). I tried to analyze about the space image of Baek Gwang-hun(白光勳)'s Chinese poetry(漢詩) in this paper. It is the place which the space to be represented at Baek Gwang-hun(白光勳)'s poem has the door. The space can be the house to do the life. In other words the space can be the heart of a metaphor meaning. Anyway the door is the border line to share the outside with the inside. The door in the space to be represented at Baek Gwang-hun(白光勳)'s poem shut mostly. This expresses a loneliness of the poet. The poet longs for the hometown. He wants to return to the hometown. The hometown is the place which he always wishes. The homesickness is a custom expression in Chinese poetry(漢詩). But it is different sentiment to be represented at Baek Gwang-hun(白光勳)'s poem. It is actual feeling than a custom expression. The hometown is the space which Relationship and Communication are possible. He longs for his friends. The hometown is the place for him to want to go. The hometown is the place which Communication is possible which people do together. At the same time the hometown is spiritual place in his poetry.

      • KCI등재

        『옥봉집(玉峯集)』 서문에 보이는 백광훈(白光勳)의 문예인식

        김종서 ( Jong Seo Kim ) 근역한문학회 2009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Vol.29 No.-

        There are three prefaces of Yugun(柳根), YiJeonggu(李廷龜), Shinheum(申欽) and one epilogue of Yunguanggye(尹光啓) in Okbongjib. These prefaces show the trend of literary thought such as Dang style(唐風), Jeongeum(正音), Jeongseong(正聲) and the estimation of Okbong(玉峯) Paek Kwang-Hun(白光勳)`s literature. Okbong tried to change his situation through the poetic success. He thought that the absolute accomplishment was Dang poetry(唐詩). He made hard effort on the implication and the suggestiveness of poetry. So he gained the fame as a poet of Dang style(唐風). The sound of poetry was changed by the temper and the life environment. The sound of emotion was changed by the background of the work and the state of the feeling. This is Jeongeum(正音): the poetic embodiment of the harmony between sound and feeling. Okbong refined the poetic diction and made careful poetic idea and he accomplished perfect and natural poetic stage.

      • KCI등재

        백광훈 시 ‘석양’ 이미지의 시어 구성 양상

        김영국 ( Kim Young-kook ) 한국시가문화학회(구 한국고시가문화학회) 2018 한국시가문화연구 Vol.0 No.42

        백광훈(1537-1582) 시의 우점은 평범한 시어의 압운에 따른 미적 포치를 통해 짧은 절구에 자신의 청신한 정서를 고담하게 담아낸 데 있다. 이는 정과 경이 하나로 융합된 이미지를 찾아 짧은 절구에 함축시킴으로써 가능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에서 시도된 적이 없는 수사 형식의 분석을 시도하였다. 백광훈은 같은 시료일지라도 분위기나 상황에 따라 적의하게 조사함으로써 절구를 보다 아름답고 자연스럽게 표현하였다. 아울러 함축을 통한 유원함을 추구하여 이미지가 상징적으로 해석되어지고 깊은 여운을 남기게 하였다. 백광훈은 풍부한 당시 표현 역량으로 ‘낙일’, ‘모’, ‘만’, ‘석양’ 등을 시구 속에 적절하게 조사하여 무상, 산수전원의 閑情, 無奈의 서글픔, 한없는 그리움의 ‘석양’ 이미지를 함축시키고, 칠언절구의 기본 구형인 4자/3자 구성에서 ‘석양’, ‘낙일’이 쪼개지지 않게 조사하면서 앞 2자와 뒤 3자를 연결하는 ‘석양’ 이미지를 써 뛰어난 시적 미감을 완성시켰다. Paek Gwang-hun(1537-1582) calmly expressed his original emotion in short wordings of poetry through an aesthetic porch according to rhymes. He converged images of feeling with scenery to achieve his poetic intention. This study intended to analyse rhetorical types he used in his poetry that have never been examined in existing studies. Paek Gwang-hun used materials for poetry properly according to situations and conditions to express quatrain more beautifully and naturally. In addition, as he pursued for eternal images through implication, he made the images interpreted symbolically and have deep aftereffects. He used words of setting sun, an angle, a bay and sunset in his poetry to imply “setting sun” image of transiency, calmness of hills, rivers, fields, sorrow and endless missing. He arranged words of ‘setting sun’ and ‘sunset’ without spill in the structure of four words and three words, a fundamental wording type of a quatrain with seven words to a line and used the ‘setting sun’ image that connected two letters as the head with three letters as the tail to accomplish poetic aesthetics.

      • KCI등재

        16세기 湖南詩壇 詩의 自然스러움

        김종서(Kim Jong-Seo)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05 동양한문학연구 Vol.21 No.-

          金宗直 이후 성리학을 삶의 기본으로 삼았던 士林派 가운데 성리학을 긍정하면서도 사장詞章을 부정시하지 않고 생활의 여기로 받아들여 자연스런 정감을 울려내어 시화하려던 부류가 湖南詩壇을 이루었다. 朴祥은 士林派의 선비이지만 실재의 시문 창작에 밝았던 시인이었다. 이러한 사장에 대한 긍정과 서정적인 당시풍을 지향했던 박상에 의해 호남시단에 전파되었고, 그의 제자였던 林億齡과 조카 朴淳에게 전해졌으며, 이어 16세기 朝鮮 시단을 풍미했던 학당의 새 풍조는 마침내 崔慶昌, 白光勳, 李達이라는 삼당시인에 와서 문풍을 변화시키기에 이르렀다.   자연스런 시란 정교하게 조탁하여 이 가해졌음을 느끼면서도 그 수식을 잡아낼 수 없는 것을 뜻한다. 작품의 내밀화를 극대화시키기 위해 조탁을 하되 작품 속에 조탁의 흔적을 찾아볼 수 없는 경지가 자연이란 언어예술풍격이다. 湖南詩人 시인들은 시인으로서 천재적 재능이 있고, 또 한 전공하고 연마하여 자연스런 시를 창조해내었다. 그들은 호남의 문화적 분위기 속에서 唐詩를 수용하여 시 창작에 있어서 까다로운 수사와 난해한 典故의 사용을 배제하고, 자신의 삶에서 우러나온 솔직한 정서를 이해하기 쉬운 언어로 표현하였다.   그들의 시는 산수?전원간의 풍류와 이에 대한 희구를 그리는 내용이 많다. 이러한 내용의 시를 통하여 불우한 자신들의 현실을 超克하고, 나아가 雅麗한 자연미와 淸澄한 전원생활의 멋을 담박하게 그려냄으로써 고결한 시 세계를 이룰 수가 있었다. 그들은 온후하고 古雅한 인간미와 섬세한 정감을 가진 시인들이었다. 그들은 자신이 느낀 정감을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는 탁월한 詩才를 바탕으로 같은 詩材일지라도 분위기나 상황에 따라 適宜한 시어를 사용함으로써 자연의 미를 아름답게 표현하였다. 그들의 시는 관념적이라기보다 실제 생활에서 느낀 구체적이며 개인적인 情緖를 솔직하게 표현하여 생활의 정감을 詩로 형상화하였다.   Honam poetical circle was mainly composed of scholars of Shi-lin(士林) who acknowledged Neo-Confucianism(性理學) and at the same time did not deny Ci-zhang(詞章). Pak Sang(朴祥) was one of the scholars of Shi-lin(士林) and he was talented in creative writing. His acceptance of Ci-zhang(詞章) and lyrical poeti style influenced Lim Eyok-Lyeong(林億齡), his student, and Pak Soon(朴淳), his cousin and finally Choi Kyeong-Chang(崔慶昌), Baek Kwang-Hoon(白光勳), and Lee Dal(李達), Samdang School poets.   Honam poetical circlel poets were not only gifted as poets but also exerted themselves to create unartificial poems. They incorporated Tang poetry amidst the cultural ambience of the Honam(湖南) area. With the exception of there fastidious rhetoric and abstruse use of authentic precedents(典故), they expressed there honest arising from there own life expriences in a language that were easily comprehensible. There poetry abound with the picturesque scenery of nature and are filled with a longing for rural life. Composing there kind of poetry helped them overcome the adverse realities of there life. Furthermore, by depiciting the elegant beauty of nature and the charm of rural life in a frank, open-hearted manner, they achieved a lofty poetic style.   They had a gentle pernogality and a humaneness endowed with a classical grace and refined sensibility. They possessed a superb talent for versifying there emotions freely, and even when they wrote about the same subject, they expressed the beauty of nature in the context of the atmosphere and situation at hand and chose the most suitable poetic diction accordingly. There poetry are far from being purely idealistic or metaphysical; by honestly expressing the very personal and concrete feeling derived from there own life they shaped the emotions of everyday life into poetry.

      • KCI등재
      • KCI등재후보

        玉峯 白光勳의 唐詩風 展開樣相 考

        朴秉益 한국고시가문학회 2004 한국시가문화연구 Vol.0 No.14

        Okbong Paek Kwang-hun(玉峯 白光勳), who belonged to Three-tang School as a literary man in the mid Chosun Dynasty, wrote the poetry of Tang poetic style. His Tang poetic style was quite different from that of China as follows. He commanded colloquial expressions in his poems, used place names of Chosun, and tended to be conventional in using those of China. He made use of various methods to describe the surroundings realistically. He freed from the formal rhythm of a rigid Chinese poetry style, Jintishi(近體詩), and used not only the rhythm of Yuefushi(樂府詩), a style of Chinese poetry which was mostly about human nature and customs, but also Chinese sounds in a Korean style. The theme of Okbong's poetry shows that he transcended the anxiety and solitude which stemmed from his life, accepting the reality he faced These characteristics led to a new poetical style of the day.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당풍(唐風) 수용기 정용(鄭鎔)의 한시(漢詩)에 대한 고찰 -시선집(詩選集)에 수록된 작품을 중심으로

        박용만 ( Park Yong-man ) 한국한시학회 2016 韓國漢詩硏究 Vol.24 No.-

        조선중기 盛唐詩를 수용한 三唐詩의 등장은 우리 문학사에서 매우 중요한 분기점이 된다. 문학사에서 새로운 풍조의 유행은 몇몇 작가의 노력만으로 이루어질 수 없으며, 당시 활동했던 많은 시인들이 교유하고 참여하는 과정에서 典範의 논리와 방향성이 자리를 잡게 된다. 그러나 三唐詩人을 제외하면 이 시기에 활동했던 여러 시인들에 대한 논의는 절대적으로 부족하다. 鄭鎔은 그동안 전혀 알려지지 않았던 시인으로 삼당시인이 활동했던 시기에 참여한 인물이다. 靖國功臣으로 海平府院君에 봉해진 鄭眉壽의 후손으로 화려한 가문의 배경과 경제적 풍요에도 출사하지 않고 자연을 벗 삼아 시작에 전념하였다. 많은 작품을 남긴 것은 아니지만 許筠은 그의 작품을 높이 평가하여 『國朝詩刪』에 6수를 선발하여 넣고 『鶴山樵談』과 『惺所覆?藁』에도 그에 대한 詩話를 수록했을 만큼 당시 상당한 비중을 지녔던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그는 唐風을 수용하여 정회를 표출하였다. 때로는 미숙한 작품이 보이기도 하지만, 절구 형식을 선호하여 주로 주위 경물과 심사를 소박하게 표현하는 특징을 보인다. 시화에 실린 일부 방대하고 현란한 의경의 작품을 허균은 詩魔가 들어 지은 것으로 소개하였다. 소박한 의경의 다른 작품과 연관성이 떨어지지만 정용의 입을 통해 지어진 것만은 분명하다. 조선 중기 당풍의 정착과 유행의 관점에서 정용의 담백하면서 소박한 한시는 일정한 의미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아울러 당시 알려지지 않은 많은 시인들의 다양한 시풍을 논의하는 것은 당풍의 수용을 폭넓게 이해하는 단서가 될 것이다. The appearance of Chinese poems of the Tang Dynasty style by three poets in the Joseon Dynasty(三唐詩) that accepted the Tang poetry during its flourishing period(盛唐詩) became the turning point of Korean literary history. Trends of new tendencies in literary history cannot be done by several writers` efforts and model(典範)`s logic and directivity get to settle in the process that many poets who are active then associate with each other and participate. However, except the three poets who wrote the Tang Dynasty`s Chinese poem styles, discussion on several poets who were active in this period are desperately lacking. Joeng Yong(鄭鎔) is the figure who participated in the period that the three poets who wrote the Tang Dynasty`s Chinese poem styles were active as the poet who has never been known to us in the meanwhile. He devoted himself to writing his poems by communing with nature without entering government service despite the background of his distinguished family and economic affluence as the descendant of Jeong Mi-su(鄭眉壽) who was raised to Haepyeongbuwongun(海平府院君) as Jeonggukgongsin(靖國功臣). He did not leave many works of art. However, he can be evaluated to account for a considerable proportion of the period as Heo Gyun put his 6 poems in Gukjosisan(國朝詩刪) and included stores about his poems in Haksanchodam(鶴山樵談) and Seongsobugo(惺所覆?藁) by thinking highly of him. He expressed his thoughts by accepting the Tang Dynasty`s Chinese poem styles. Sometimes, he shows unpracticed works of art. However, his works of art usually feature simple expressions of the scenery of the seasons around him and his mind and thought as he gave preference to quatrain forms. Heo Gyun introduced his partial works of art about the vast and ornate scenery written by him because of a kind of spells that he felt a disposition to do them(詩魔) to people. It is clear that they were written by Jeong, Yong`s mouth even though they are not linked to his other works of art about the simple scenery. Jeong, Yong`s light and simple Chinese poems can somewhat be meaningful from an angle that the Tang Dynasty`s Chinese poem styles settled and were popular in the middle of the Jonseon Dynasty. In addition, discussion on various poetical styles by many poets who were not known then will be a clue to understand acceptance of the Tang Dynasty`s Chinese poem styles widely.

      • KCI등재

        『三唐集』을 통해 본 조선 중기 문인들의 이별 그리고 그리움의 변주 - 삼당 사이의 교유시를 중심으로 -

        尹載煥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2009 고전과 해석 Vol.7 No.-

        이 글은 조선 중기를 대표하는 시인이었던 三唐詩人 상호간에 주고받은 시를 대상으로 이들이 서로에 대해 가지고 있었던 정서의 시적 표출 양상에 대해 확인해 보고자 한 것이다. 三唐詩人이란 조선 중기의 대표적 시인인 孤竹 崔慶昌(1539~1583)․玉峯 白光勳(1537~1582)․蓀谷 李達(1539~1612(?))을 지칭하는데, 이들은 공통된 시적 성향을 지녔을 뿐만 아니라 상호간에 밀접한 교유관계를 지니고 있었다. 友情과 友道를 관념적 도덕의식으로 규정하고 있었던 조선 중기 사회에서 시를 통해 진솔한 인간 정서를 표현하고자 했던 삼당시인의 교유 관계를 확인하고, 시속에 구현된 이들의 정서를 살펴보고자 하는 것은 관념적 지향으로 轉化된 우정이 문학 작품 속에서도 그 관념성을 온전히 유지할 수 있었는가에 대한 확인 작업으로 일정한 의미를 지닐 것이라고 생각한다. 삼당시인 상호간에 주고받은 시를 살펴보면 대부분 이별과 그리움의 정조로 가득 차 있다. 삼당 사이의 교유시가 보여주는 이런 성향은 이들에게 벗이란 언제나 그리움의 대상으로 존재했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벗이 그리움의 대상으로 존재한다는 것은 벗과의 관계가 情을 중심으로 형성되어 있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는 조선 중기 관념적 도덕의식으로 정의되고 있었던 友道와 상당한 거리가 있다. 삼당에게 벗이란 자신의 덕을 기르고 인을 채우는 도덕적 동반자가 아니라 자신과 마음을 나누고 정을 키울 수 있는 정서적 대상이었다고 볼 수 있다. 도덕적 동반자라고 해서 마음을 나누거나 정을 키울 수 있는 대상이 되지 않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벗을 도덕적 동반자라고 규정하였을 때와 정서적 대상으로 인지하였을 때 벗을 대하는 의식이 같을 수는 없다. 그리고 그 벗을 그리워하고 기다리는 행위 역시 동일한 선상에서 논하기 어렵다. 도덕적 동반자의 필요 이유는 수양을 위한 것이지만, 정서적 대상의 존재 이유는 안식이기 때문이다. 삼당 상호간 주고받은 시를 살펴보면 삼당에게 서로는 정서적 대상이었다고 생각된다. 이 정서적 대상에게 서로가 자신의 정을 전하기 위해 사용한 것이 시였다. 따라서 삼당의 시에서는 벗을 기다리는 애절한 그리움이 그대로 묻어 나온다. 이그리움은 당대의 관념적 도덕의식을 벗어나는 것이다. 하지만, 관념적 도덕의식으로 규정하기 어려운 현실의 삶 속에서 인간적 정서를 추구했던 당대의 대표적 시인삼당에게는 당연한 것이 아닐까 생각한다. This letter is trying to check the emotional exposure for each other in the poems that written by Samdang school poets representing the middle of Chosun. Samdang school poets stand for the representative literary in the middle of Chosun Kojook Choi Kyeong-Chang(1539~1583), Okbong Baek Kwang- Hoon(1537~1582), Songok Lee Dal(1539~1612), and they have very similar inclination in poetry and achievement and also has very close relationship each others. See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amdang school poets who tried to show the sincere people's emotional feeling in the middle of Chosun prescribing friendship and the reason making a friend as ideal moral consciousness, and looking around their emotional feeling in their poems to see the ideality changed from the friendship in the literary works that can be maintained. By the way, it is confirmed that the poems that exchanged between Samdang school poets are fully covered by the separation and sentiment of yearning. This is showing that friend meaning for them is always meaning yearning. Friend being existing as yearning is showing the meaning that the relationship with friend is mainly builded up by sentiment. This is far distance from the reason making a friend considered as ideal moral consciousness. Friend meaning by Samdang is not a company to study morality and benevolence but the emotional object can share the mind and build up the sentiment. It is not saying that morality company can't share the mind or build up the sentiment, but the thinking for the friend stand for the moral company and recognize as emotional object can't be same. And it is hard to say the yearning and waiting are all same. The necessary of the morality company is for training, but the reason that existing emotional object is for rest. While seeing the exchanged poems between Samdang, Samdang are considered as emotional object for each others. The poems are used to let others know their yearning to each others. So the pathetic yearning for each others are easily shown in their poems. This yearning is quite far from the ideal moral consciousness in their time. But for Samdang representing poets in their age and pursuing humanly feeling in the rality being hard to prescribing the ideal moral consciousness, it might be natura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