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영남 지역의 하위 방언구획에 대한 종합적 연구

        김덕호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19 嶺南學 Vol.0 No.69

        본고의 목적은 방언학에서 중요한 과제인 방언구획론에 대한 연구 방법론을 제안하는데 있다. 방언구획론은 하나의 언어권이 몇 개의 방언권으로 구분되고, 그 차이는 무엇이며, 분열이 어떻게 일어났는가를 규명하는 것이 목표인 방언학의 중심 연구 과제이다. 방언학 연구는 각 방언의 체계를 기술하여 비교하고 상호관계를 찾아내고 분열의 단계를 추론하여 지리적으로 구획하면서 한 나라 언어의 생성과 변화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분야이다. 그런 의미에서 보면 방언구획론은 방언학 연구에서 반드시 추진되어야 하는 연구 과제인 동시에 방언을 분석하는데 중요한 실마리를 제시할 수 있는 분야라고 판단된다. 하지만 지금까지 방언구획에 대한 연구들은 단편적인 방언 경계와 몇 가지의 등어선 흐름을 분석하여 방언구획을 시도해왔는데, 이런 구획에 대한 결과가 다소 분명하지 못했고, 논리적인 설명도 미흡한 부분이 많았다. 본고는 방언구획을 하는데 논리적이고 체계적인 방법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두고 있다. 이를 위해 경상북도의 방언구획에 대한 기존의 연구업적을 양적 연구 및 질적 연구의 두 가지 방법으로 구분하여 분석해보고, 두 가지 방법을 상호보완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혼합적 연구 방법과 이를 정밀하게 통계 처리하는 개선된 분석 방법론을 개발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research methodology for the dialectical division theory which is an important task in dialectology. This proposition can be made because dialectical division theory can be a central research subject in the study of dialectology if it is aimed to identify w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dialects, and how the dialectical division occurs in the process of several dialectical divisions of one language. I have developed and verified the applicability of new statistical processing method called 'quadrant scatter plot coordinate analysis method' which improved the analysis method of 'integrated dialect division methodology' proposed by Kim, Deok-ho(1999).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applicability of the quantitative, qualitative, and mixed research method in socioscientific research method to the dialect division methodology, it is found that the mixed research method on mutual assistance in both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 and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method can also be introduced in the field survey on the future dialect study. I can deduce that dialect boundary consciousness based on non-linguistic criteria (impressive consciousness) of the dialectic speaker, which has been felt vaguely until now, was mainly operated by linguistic factors such as lexical elements and grammatical elements. I can confirm that the setting of the perceptual dialect block for dialect boundaries in the impression of the local people is also academically valid.

      • KCI등재

        방언 어휘론의 현황과 과제

        안귀남 국어학회 2009 국어학 Vol.0 No.54

        이 논문은 방언 어휘론의 연구사에 바탕을 두고 방언 어휘론의 현황과 과제를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지금까지 방언 어휘론의 연구사를 살펴보면, 연구자 나름의 방식과 관점에 따라 방언 어휘론의 현황을 고찰하고 방언 어휘론의 이론과 방법론을 제시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방언 어휘론의 성격과 범주를 분명하게 제시하였다고 보기는 어렵다. 이는 방언 어휘론은 음운이나 문법에 비해 비교적 관심이 적었던 것과 무관하지 않는데, 어휘론이 차지하는 종래의 범주가 불투명하기도 하고 어휘론의 범주가 너무 넓었기 때문이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우선적으로 제2장에서는 방언 어휘론에 대한 정의를 시도한 다음, 방언 어휘론에 관한 연구사를 개관한다. 제3장에서는 방언 어휘론의 분야를 세 가지 관점, 즉 방언 어휘의 공시적 관계 연구, 방언 어휘의 통시적 관계 연구, 방언 어휘의 자료에 대한 연구를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제4장과 5장에서는 이 분야의 연구에 관한 향후 전망과 과제를 제시한다. 특히, 이 연구에서는 방언 어휘론에 관한 자료가 보다 체계적으로 정비될 필요성이 있다는 점, 연구 분야 간 균형 잡힌 접근이 요청된다는 점, 새로운 연구 방법에 입각한 접근이 요청된다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 이러한 점들이 이 논문이 갖는 시사점이다.

      • KCI등재후보

        중국방언 연구의 현황

        김은주 전북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0 건지인문학 Vol.4 No.-

        本文探索漢語方言情況及最新發展趨勢及台灣、香港等其他地區的中國方言硏究情況與此同時, 通過硏究中國方言中已經提出的若幹問題和調査, 以綜合得到以下結論. 首先, 硏究部現代漢語方言, 빈棄如傳統的構式語法及轉換生成語法理論的語言本體硏究的目的, 通過社會言語學的方法, 進行系統的硏究. 第二, 在一個系統的理論下進行實質性詞彙和文法分析, 幷反映中國各地的實際方音而通過描寫漢語方言硏究的方法和整理材料, 從而帶來漢語方言硏究的巨大變化. 第三, 因共同語的推廣而衰退的當地方言硏究, 隨著中國的經濟增長和文化水平的提高, 地方政府激活當地方言已作出了各種嘗試. 方言硏究的中國未來將成爲國際性的學術硏究, 以便能通過各種方式與?近領域的相關學科交流. 以容納更多更系統比較與硏究.

      • KCI등재

        경남 방언의 음운론 연구사

        공태수,김영선,윤주희,흐닝마웅위이 우리말학회 2016 우리말연구 Vol.46 No.-

        국어의 하위 방언 중 비교적 이른 시기부터 연구된 것 중의 하나 가 경남 방언이다. 이러한 이유로 경남 방언 연구는 다른 방언과 비교할 때 상대적으로 많은 양적 결과물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이른 시기부터, 그리고 양적으로 적지 않은 결과물을 남겼다는 점에서 경남 방언의 사적 검토는 국어 방언 연구와 관련된 공통적인 문제를 검토할 수 있도록 해주 고 있다. 이 논문은 경남 방언을 음운론적 관점에서 다룬 연구물을 사적 인 관점에서 간략하게 살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1960년 이후 발표된 300여 편의 관련 논문을 분석하였다. 이 과정에서 대부분의 연구가 주제 별로 음운론 분야에 치우쳐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그 가운데서도 기저 음 소를 확인하고 이를 통해 음운 현상을 살피는 데 집중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지역적으로는 부산이나 진주, 창원 등과 같은 대도시와 산청, 남 해 등의 하위 방언 연구가 비교적 많이 다루어졌는데, 이는 연구자의 출 생지와 직접적인 연관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반면 의령, 합천, 하동, 김해 등의 하위 방언에 대한 조사와 연구가 시급함도 동시에 확인 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경남 방언의 연구에 대한 대체적인 사적 경향을 파악할 수 있었으며 더불어서 앞으로의 하위 방언 연구에서 요구되는 필요 한 사안에 대해서도 주목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어휘 연구와 방언의 역할

        장충덕 한국방언학회 2012 방언학 Vol.0 No.16

        This paper aims to look into the role of dialect in vocabulary study. With this aim, first, the study found an area which would help dialect among the study areas of vocabulary theory and further, reviewed which role dialect plays in studying in this area. Finally, the paper took a look into the role of dialect in order to help to study Korean vocabularies. Among the study areas of vocabulary theory, the area in which the role of dialect is emphasized is study into ‘vocabulary data theory’ and ‘vocabulary history’. Studying the collection of vocabulary data and the role of dialect, the study reviewed results concerning the collection of existing vocabulary data, and considered ‘research into local language’ and ‘research into common national language’ which are currently being conducted. Also, in study into vocabulary history, diverse vocabulary types which are shown in dialect data plays a crucial role in making up for the insufficient part of data. Finally, as a role of dialect for study into vocabulary, the study asserted the need for constituting data for study into vocabulary for pursuing a consistent dialect research project and fostering the studies of dialect, the unification and summarization of the forms and systems of dialect as well as the indication method of dialect data in order to utilize collected data for study into vocabulary, and the correction of errors through the verification of previously constituted dialect data. 이 논문은 국어 어휘 연구에 있어서 방언의 역할을 살펴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먼저 어휘론의 연구 분야 중에서 방언이나 방언 연구가 도움이 되는 분야를 알아보고, 나아가 이들 분야의 연구에 있어서 방언이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살펴보았다. 그리고 마지막으로는 앞으로 국어 어휘 연구에 도움이 되기 위한 방언의 역할을 살펴보았다. 어휘론의 연구 분야 중 방언의 역할이 강조되는 영역은 ‘어휘자료론’과 ‘어휘사’ 연구다. 어휘 자료 수집과 방언의 역할에 대해서는 기존의 어휘 자료 수집에 관한 결과물을 살펴보고, 현재 진행 중인 ‘지역어 조사’와 ‘민족생활어 조사’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그리고 어휘사 연구에서는 방언 자료가 보여주는 다양한 어휘적 형태는 문헌 자료의 부족한 부분을 보완해 주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마지막으로 방언이 어휘 연구에 도움이 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방언 조사 사업의 추진하고 방언 연구자를 양성하여 어휘 연구를 위한 자료를 구축하여야 하며, 수집된 자료를 어휘 연구에 활용하기 위해서 방언 자료의 표기 방식을 비롯한 형식과 체제의 통일하여 정리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이전에 구축된 방언 자료의 검증 작업을 통하여 오류를 수정할 필요가 있다.

      • KCI우수등재

        한국어 지역 방언에 대한 연구 현황과 과제

        소신애(So, Shin-ae) 국어국문학회 2021 국어국문학 Vol.- No.194

        이 글에서는 한국어 지역 방언에 대한 연구 현황을 검토하고 앞으로의 과제를 제안하였다. 지역 방언을 대상으로 한 그간의 연구 성과를 살펴보고 최근의 연구 동향을 분석함으로써 앞으로의 연구 방향 및 과제를 모색하였다. 연구 방법론, 연구 주제, 연구 자료의 측면에서 한국어 지역 방언 연구사를 간략히 검토한 후, 2000년대 이후의 논의를 중심으로 한국어 지역 방언 연구 동향을 기술하였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향후 지역 방언 연구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모색하였다. 한국어 지역 방언 연구의 현황과 과제에 대한 이 같은 논의는 지역 방언 연구의 필요성과 의의를 재확인하는 한편, 지역 방언 연구의 새로운 가능성을 발견하는 계기를 마련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article reviewed the current status of research on the regional dialects of Korean and proposed future tasks. It explored the future research directions and tasks by examining the achievements of research in regional dialects and analyzing recent research trends. After a brief review of the history of research on the Korean regional dialects in terms of research methodology, research topics, and research materials, the regional dialect research trends were described around discussions since the 2000s. Based on this, it sought the directions for the future research on the regional dialects. Such discussions on the current status and tasks of research on the regional dialects of Korean are expected to reaffirm the need and significance of regional dialect research, while providing an opportunity to discover new possibilities for regional dialect research.

      • KCI등재

        지역어의 역할과 현실대응

        이태영 한국문학언어학회 2019 어문론총 Vol.82 No.-

        This study examines the role of dialects in the development of Korean language, the role of dialects in the cultural succession of nations, the role of dialects in Korean dictionaries, and the reality of dialects in terms of cultural dialect research. let us examine the problem of the dialect researcher's response to reality. Dialects have made a great contribution to the development of Korean language. the dialects contributed greatly to the literary life of the common people in the Joseon Dynasty and contributed greatly to the literacy of the common people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the dialects contributed greatly to the succession and development of the culture of our people. the use of local dialects in Korean classic novels has made it possible for a large number of ordinary people to read Korean. Pansori, folk songs, and tales, including dialects, were delivered from mouth to mouth and developed culture. the dialects were used in modern poetry and modern novels to realize realism. in addition, local dialects were used in hand-written books for the common people to read. thus, dialects responded positively to Chinese character culture. Dialect researchers are still using dialects as a supplementary resource in linguistics research. he does not deal with dialects comprehensively, but deals with only a few of the dialects that suit his major. due to standard language-oriented language policies, people's perception of dialects has not changed. fortunately, the local people's perception has changed significantly since the municipality was implemented. the dialect was considered to be the representative culture of the region. in order to respond to reality and to study dialects, they must be connected with local culture. Therefore, a plan for joint research with local governments should be prepared. The concept of standard language includes the concept of a common language that represents Korean. however, the current standard language of Korea is not enough to represent the vocabulary. this is because, above all, precise and comprehensive research on dialect vocabulary has not been conducted. it does not reveal what history the dialect vocabulary has, what rules are generated, and how it relates to the standard language. through a deep understanding and study of dialects, the common language characteristics of dialects should be found and put into standard language. for this purpose, the singular standard language policy must be changed around the multiple standard language policy. plural common languages should be expanded for the reunification of languages between South Korea, North Korea and Koreans. The dialect explanations in Korean dictionaries are very weak. there are few meanings compared to standard words. it is difficult to understand from the user's point of view because it presents various dialects at once. new dialect dictionaries based on precise meaning and use should be established in cooperation with local governments. based on these dialect dictionaries, the national standard language should be selected. only in this way can we establish a common language that represents Korean. 이 연구에서는 방언이 국어의 발전에 끼친 역할, 방언이 민족의 문화 계승 발전에 끼친 역할, 국어사전에서 방언이 갖는 역할, 문화적 방언 연구를 살펴보며, 방언이 처한 현실을 살펴본다. 그리고 방언 연구자의 현실대응의 문제를 살펴보고자 한다. 방언은 국어 발전에 큰 공헌을 하여 왔다. 조선시대 서민들의 문자 생활에 크게 기여하였으며 일제강점기 서민들의 문맹퇴치에 크게 기여하였다. 방언은 우리 민족의 문화를 계승하면서 발전시키는 데 크게 공헌하였다. 한글고전소설에서 지역의 방언이 사용되면서 수많은 서민들이 한글을 읽을 수 있게 되었다. 판소리, 민요, 설화 등에 방언이 사용되어 구비전승되면서 문화를 발전시켰다. 현대시와 현대소설에서 방언이 사용되면서 리얼리즘을 구현하였다. 또한 필사한 책에 지역 방언을 사용하여 서민들이 읽을 수 있도록 하면서 한문이 대부분인 현실에 적극적으로 대응하였다. 방언 연구자들은 여전히 방언을 국어학 연구의 보조적인 자료로 활용하고 있다. 방언을 종합적으로 다루지 않고 자기 전공에 맞는 아주 일부의 방언만을 다루면서 연구하고 있다. 표준어 중심의 언어정책으로 인하여 방언에 대한 국민들의 인식이 바뀌지 않고 있다. 다행히 지방자치제가 실시된 이후에 지역민들의 인식이 크게 바뀌었다. 방언을 지역의 대표적인 문화로 생각하게 된 것이다. 현실에 대응하고 방언 연구가 힘을 가지려면 지역의 문화와 관련을 맺어야 한다. 따라서 지방자치단체와 공동으로 연구하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표준어의 개념 속에는 한국어를 대표한다는 공통어의 개념이 포함되어 있다. 그러나 현재 우리나라의 표준어는 한국어를 대표하기에는 어휘의 숫자나 의미 파악 등이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이러한 이유는 무엇보다도 그간 방언 어휘에 대한 정밀하고 종합적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방언 어휘가 어떤 역사를 가지고 있는지, 어떤 규칙으로 생성된 것인지, 표준어의 어휘와 어떤 상관성을 가지고 있는지를 밝히지 못한 데 있다. 방언에 대한 깊은 이해와 연구를 통하여 방언들이 갖는 공통어적 특질을 찾아서 표준어에 넣는 작업을 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 단수 표준어 정책을 복수 표준어 정책을 중심으로 반드시 바꾸어야 한다. 남북한과 한민족의 언어 통일을 위하여 복수 공통어를 확대해야 한다. 한국을 대표하는 국어사전에서 방언의 처리는 아주 미약하다. 표준어에 비해 뜻풀이와 해설이 없고, 한꺼번에 지역어를 제시하고 있어서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이해하기 어렵다. 해당 지역어가 갖는 정밀한 의미와 쓰임을 바탕으로 작성된 새로운 방언사전을 지자체와 협력하여 구축하여야 한다. 이러한 다양한 지역의 방언사전을 바탕으로 표준어를 선정하고 국어사전을 작성하여야만 한국어를 대표하는 공통어적인 표준어를 확립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황해도 방언 연구의 회고와 전망

        장승익 한국방언학회 2019 방언학 Vol.0 No.30

        이 글은 황해도 방언에 대한 기존의 연구 성과를 주제별(음운, 문법, 어휘)로 정리하고 앞으로의 연구 방향을 모색해 보려는 시도이다. 황해도 방언 관련 연구사를 정리한 곽충구(1992, 2001)에 기초하여 이 연구에 포함되지 않은 몇몇 연구를 추가하여 논의를 진행하였다. 음운 분야와 관련해서는 이 방언의 음소(단순모음 체계, 하향 이중 모음, /ㅈ/의 음가), 구개음화, 전설모음화, 모음조화 및 저모음화에 관한 연구들을 정리하였다. 문법 분야와 관련해서는 조사, 어미에 관한 연구를 확인하였다. 그리고 어휘 분야에서는 이 방언의 친족어 연구인 곽충구(1995), 그리고 양원화(1937), 정원수(2002), 장승익(2018)의 논의를 정리하여 소개하였다. 그리고 황해도 방언 관련 연구 과제로는 ‘현대 황해도 방언 자료 수집 및 연구’, ‘국내 실향민 집단 정착 마을에 대한 조사 연구’, ‘사회언어학적 연구’를 제시하였다. This paper is an attempt to map the existing research results of the Hwanghae-do dialect into subjects (phonology, grammar, and vocabulary) and explore the future direction of research. Based on Gwak (1992, 2001) which summarized existing studies related to the Hwanghae-do dialect, some research not included in the study was added to advance the discussion. As for the phonological field, this research compiles the study of phonemes, palatalization, front-vowelization, vowel harmony and low-vowelization of this dialect. In the grammatical field, the case-markers and study on word endings are reviewed. In the vocabulary field, research by Yang (1937), Gwak (1995), Jeong (2002), and Jang (2018) were summarized and introduced. Additionally, research projects related to the Hwanghae-do dialect include "Investigation and Research of the Hwanghae-do dialect", "Research on the Settlement of displaced people from North Korea" and "Sociolinguistic Research."

      • KCI등재

        한국어와 중국 방언의 대조 연구 동향 분석 - 음성·음운 연구를 중심으로 -

        남우정(Yuting Lan),권경근(Kyung-Keun Kwon) 우리말학회 2023 우리말연구 Vol.74 No.-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와 중국 방언의 음성·음운 대조와 관련된 연구의 동향을 검토·분석하고 문제점과 향후 과제를 제안하였다. 그간의 연구 성과를 연도별, 연구 유형별, 방언권별, 연구 내용별로 나누어 분석함으로써 한국어와 중국 방언의 음성·음운 대조 연구의 동향을 파악하였다. 또한 연구대상 자료가 양적으로 많이 부족한 점, 중국어 방언권 분류 기준이 일치하지 않는 점, 일부 중국어 방언권에 대한 연구가 집중되어 있는 점 등의 문제점을 지적하였다. 중국의 대방언이나 차방언의 음운적 특성에 대한 연구가 미흡하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운율 단위, 음절 구조 제약, 음소 결합 제약 등과 관련된 연구가 부족하고 방언의 실제 사용 현황에 대한 인식 또한 부족하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나아가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와 중국 방언의 음성·음운 대조 연구가 더욱 체계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한 방향을 모색하면서, 향후 연구 과제를 제안하였다. 앞으로 이 분야에서 보다 체계적이고 발전된 연구가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This study reviewed and analyzed trends in research related to the phonetic and phonological contrast between Korean and Chinese dialects, identified problems, and proposed future tasks. By analyzing previous research achievements yearly, by type, by dialect region, and by content, we identified trends in the study of phonetic and phonological contrast between Korean and Chinese dialects. We pointed out problems such as the lack of quantitative research data, inconsistent standards for classifying Chinese dialects, and the concentrated research on certain Chinese dialects. It was confirmed that there is insufficient research on the phonological characteristics of China's major dialects and sub-dialects. There was also a lack of research related to prosodic units, syllable structure constraints, and phonotactic constraints, and a lack of understanding of the actual usage status of dialects. Further, searching for directions for the systematic phonetic and phonological contrastive study between Korean and Chinese dialects, we proposed future research tasks. We hope for more systematic and advanced research in this field in the future.

      • KCI등재

        ‘이 시대’ 방언 조사ㆍ연구의 이론과 실제

        김정대 우리말학회 2014 우리말연구 Vol.37 No.-

        글은, 경남방언을 대상으로 하여, 필자가 생각하는 바람직한 ‘이 시대’ 방언 조사·연구의 방법을 정리하기 위해 작성된 것이다. ‘이 시 대’라는 표현을 넣은 것은, 산업화 시대를 맞아 방언이 급속도로 사라져 간다는 절박함 때문이다. 필자는 방언의 조사·연구가 그 대상에 따라 이원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고 믿고 있는데, 하나는 구술 발화에 대한 것이 고 다른 하나는 어휘·음운·문법에 대한 것이다. ‘이 시대’ 구술 발화의 조사와 연구 방법에 대한 필자의 견해는 제2장에 밝혀져 있다. 무엇보다 시급한 것은 전래 방언이 더 이상 사라지기 전에 양질의 구술 발화를 많 이 수집(녹음)하여 저장하는 일임을 강조했다. 국립국어원(2006)의 구술발화 부문과 같은 기존의 질문지를 참조하여 부족한 내용을 보충한 질문지로써 구술 발화를 조사하는 일이 유익하다는 점도 지적했고, 조사한 자료는 디지털 방식으로 안전하게 저장해야 함도 정리해 두었다. 그리고 구술 발화를 조사할 때가 아니면 영원히 조사되지 않았을지도 모르는 문법자료나 어휘·음운 자료로는 어떤 것이 있는지를 몇몇 예로써 소개해 두 었다. ‘이 시대’ 어휘·음운·문법의 조사와 연구 방법에 대한 필자의 견 해는 제3장에 정리돼 있다. 이것들에 대한 조사 지점은 가능하다면 시· 군 단위가 아니라 면 단위로 좁힐 것을 힘주어 말했다. 그리고 그 까닭을 설명하기 위해, 산청·창원·창녕 등 3개 지역을 대상으로 하여 면 단위, 혹은 마을 단위의 차이로 말미암아 언어가 달라진 상징적인 예를 도표로 정리하고 약간의 설명을 덧붙여 두었다. 자료 조사와는 달리 ‘이 시대’ 어 휘·음운·문법의 연구가 어떻게 이루어져야 할 것인가 하는 점에 대해서 는 특별한 언급을 할 수 없음을 밝히고, 앞선 연구에서 다시 살펴보아야 할 내용, 앞선 연구에서 지나쳐온 내용 등을 조명하는 일이 필요함을 강 조했다. 그리고 늘 우리 곁에 존재하지만, 눈여겨보지 않으면 놓치기 쉬 운 자료들을 예의주시하여 늘 새로운 연구 주제를 개발해 나가야 함을 암 시하였다. 그 과정에서 지금까지 필자가 관심을 가졌던 몇몇 연구 주제를 정리하기도 했고, 최근 관심을 갖고 살펴보고 있는 ‘이엉’과 ‘써근새’(썩은 이엉) 관련 내용을 소개하기도 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