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방어기제에 관한 고찰

        구본권 강남대학교 1994 論文集 Vol.25 No.1

        방어기제에 관련된 연구를 고찰하면서 방어기제가 이론으로서 인정할 수 있느냐 없느냐는 논쟁에서 벗어날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확실히 방어기제 연구들은 객관적인 접근들이 가능하게 된 것이다. 그 대표적인 것이 Tolk(1983) Ihilevich Gleser(1986) 연구이다. 아직도 많은 사람들이 자기보고에 대해 부정적인 측면을 강조함으로써 방어기제가 인지적 기전으로 기대할 수 없을 것이라는 논쟁은 지나친 것이다. 임상경험을 체계화시킨 불안장애와 방어기제의 연구에서 불안한 사람일수록 공격, 백일몽, 투사, 고립기제들을 사용함으로서 불안한 사람의 자존심과 그들의 방어기제는 일반인 양식과 특성을 달리 예측될 수 있게 뒀다. 불안한 사람의 과다한 방어가 사회에 수용되기 어렵고, 적응에 실패할 가능성이 크고, 이에 대한 두려움으로 고립을 선택할 수 있다. 그러나 완전히 방어기제 사용이 특성을 보인다고 정신장애라고 규정짓는 문제는 더 많은 연구에서 밝혀질 문제이다. 또 하나 방어수준이 단일차원으로서 부적응과(Hann, 1963) 적응이라는 견해도 아직은 이르나 일반사람보다 정신장애자나 신체장애자들의 방어기제가 높고 특정한 방어기제를 더 사용할 것이라는 가정은 여러 연구에서 확인되었다. 방어기제를 많이 하는 정신과 환자의 특성이 일반인보다 특정한 방어기제를 더 사용한다(구본권 1991, 이인길, 이근후, 1991 ; 지성학, 정기영, 1991 ; Kold & Brodicc, 19824 ; Vaillant, 1986). 두번째는 자존심과 방어기제 관계에서 자존심이 높은 사람과 낮은 사람의 방어기제가 매우 의미 있는 차이로 방어기제와 자아수준과도 의미 있는 관계에 있음을 확인했다. 자존심이 높은 집단에서 방어기제를 고르게 사용하였으며 낮은 집단에서 특정한 방처기제를 많이 사용한다(구본권, 1993). 이는 자존심이 낮은 사람들이 적응에 대항하는 능력이 떨어지고 위협적인 자극을 감지할 능력이 떨어진다는 Coopersmith(1991)의 주장과 일치한다. 자존심이 낮은 집단에서 신경성 방어를 더 선택하고 미숙이나 정신병 집단의 사용에서는 더 심하게 사용하며 그 특징은 병리에 가까운 방어기제의 특징과 유사하다. 이는 정신과 환자의 비교에서 증거 되었다. 한편 방어기제는 자아구조의 사용된 성질을 저해하는 불건전한 행동으로 지목되고 자아강도가 약할 때 나타난다는 연구들과 관련하여 단정적인 해석은 아직 충분하지 못하다. 정신기능을 완전히 갖춘다는 것은 미상에 불과하며 모든 사람의 적응은 이 양극의 연속성의 어느 위치에 있는 정도의 차이와 연합으로 작용한다고 보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구본권. 1978). 이 논의의 결과에서 방어기제는 건전하게 장려하는데 공헌해야 한다고 지적한 Noyes(1960)는 방어기제는 병적인 것이 아니고 생물체를 유지하기 위한 매우 정상적인 기능이다. 따라서 치료목적은 방어기제를 제거하는데 있지 안고 오히려 그 기능이나 능력을 강화하는데 있다. 앞에서 언급했듯이 거의 모든 생물체는 자아방어기제를 가지고 있는데 동물이 자기 보존 욕구를 실현하는 것과는 다른 차원이다. 그래서 인간은 완전한 적응과 완전한 부적응은 실제로 존재하기 어렵다. 자존심의 위협을 방어하기 위해서는 병리적 사용에 한계가 있을 것이다. 이러한 사람들의 자존심 회복은 그 자체에 있는 젓이 아니라 사회적인 안정이나 연대감을 높여 주거나 회복에 두어야 한다. 앞으로 방어기제 연구는 갈등테마를 생활에서 제시하고 대응할 양식을 분석함으로써 인식과 선택의 유형을 이보다는 명확히 밝혀 낼 수 있을 것이다. 더 나아가 방어기제의 발달이 연령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는가도 연구의 관심이 될 수 있다. 연령이 높은 연구 대상에서 방어사용을 분명히 진술하기는 어려운 아동에 이르기까지 여러 연구대상에 사용할 수 있는 도구나 방법이 고안된다면 보다 많은 정신기전들을 방어기제 개념으로 밝힐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의대교수와 전공의의 자아방어기제에 대한 연구: 내과계와 외과계의 비교

        정한용,홍혜경,김양래,이소영,정희연,한선호 대한신경정신의학회 2002 신경정신의학 Vol.41 No.2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내과계열과 외과계열 교수와 전공의의 직위와 계열에 따른 자아방어기제의 차이 를 조사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방 법: 본 연구는 2000년 순천향대학교 서울병원에서 근무하는 외과계열(일반외과, 산부인과, 정형외과, 성 형외과, 이비인후과, 안과, 비뇨기과) 교수 30명과 내과계열(내과, 소아과, 피부과, 재활의학과, 정신과) 교수 30명 및 1999년 같은 병원에서 근무한 내과계열 전공의 30명과 외과계열 전공의 30명, 총 120 명을 대상으로 이화방어기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아방어기제를 검사하였다. 결 과: 첫째, 계열에 따른 자아 방어기제의 평균점수는 외과계열이 내과계열에 비하여 허세와 투사가 각각 유의하게 높았고, 직위에 따른 자아방어기제의 차이는 전공의가 교수에 비하여 허세, 수동공격, 해리, 신체화, 행동화, 퇴행의 평균값이 유의하게 높았다. 직위와 계열에 따른 상호작용 분석 결과 예견과 이타주의가 유의한 상호작용 효과가 있었다. 예견 은 외과계열에서는 전공의가 교수에 비하여 평균값이 유의하게 높았으며, 반면 내과계열에서는 전공 의에 비하여 교수에서 평균값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타주의는 교수내에서도 내과계열 이 외과계열에 비하여 평균값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둘째, 성숙도에 따른 자아방어기제의 비교에서, 내과계열에 비하여 외과계열에서 자기애적 방어기제 와 신경증적 방어기제의 평균값이 유의하게 높았다. 직위에 따라서는 교수에 비하여 전공의의 경우 미성숙한 방어기제와 신경증적 방어기제의 평균값이 유의하게 높았다. 성숙한 방어기제는 외과계열에 비하여 내과계열의 평균값이 높게 나타났고 전공의에 비하여 교수의 평균값이 높게 나왔다 결 론: 특정과를 전공하는 사람들의 공통적인 성격특성이나 적응방식을 파악하여 이를 토대로 의대생 또는 수련의가 자신의 성격특성에 맞게 전공과를 선택할 수도 있겠으며, 또한 전공하고 있는 전공의들에게 있어서는 자신들의 성격특성을 알아 선택한 전공과에 보다 만족하고 자신의 능력을 훌륭히 발휘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difference of defense mechanisms between medicine and surgery groups, and between residents and specialists who were professors of a medical school. The author evaluated the defense mechanisms by using Ewha Defense Mechanisms Test. The author compared the defense mechanisms of medicine and surgery specialist groups who are employed by Soonchunhyang university hospital as professors in 2000, and of medicine and surgery resident groups in 1999.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mean scores of the defense mechanisms ratings. In surgery specialist group, the rate of using projection and show-off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medicine group. In resident group, show-off, passive-aggression, dissociation, somatization, acting-out and regression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specialist group. In medicine group, residents were higher than specialists in show-off, passive-aggression, acting-out and regression. But for the specialist group, the score on anticipation was higher than in the resident group. In surgery group, residents were higher than specialists in identification, rationalization and regression. In the interaction, analysis by hierarchy and field anticipation and altruism have a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Second, in comparison of maturity level between the field of speciality and level of hierarchies, surgery group used more neurotic and narcissistic defense than medicine group significantly. For the level of hierarchies, residents used more immature and neurotic defense than specialists. In medicine group, residents used immature defense more than specialists, but more mature defenses were used in specialists than residents significantly. In surgery group, residents used more immature and neurotic defenses than specialists. Mature defenses have more interaction effect. This results may reflect the fact that discipline in surgery have characteristic apprentices system and more dramatical therapeutic approach. The results seem to be useful in understanding the optimal character for each speciality. In the process of selecting spescialities evaluating one’s defenses and matching with the characteristics and coping mechanisms of each specialty group can be helpful

      • KCI등재

        공황장애 환자의 방어기제

        김영철,우행원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8 신경정신의학 Vol.37 No.3

        공황장애의 치료와 이해에 정신역동적 요소가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체계적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 연구에서 저자들은 양 집단간의 방어기제 척도와 주요 방어기제를 비교하여 공황장애 환자들이 정상인과는 다른 방어기제를 사용하는지, 공황장애 환자들의 방어기제의 성숙도가 과연 낮은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또한 결과를 공황장애환자들에 대한 정신치료에 적용해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DSM-IV의 진단기준에 적합한 공황장애 환자 22명(환자군)과 정상대조군 22명을 대상으로 20개의 방어기제 여부를 검사할 수 있는 자기측정 기구인 이화방어기제검사(Ewha Defense Mechanism Test)를 연구대상에 주어 조사하였다. 그 결과 정상 대조군에 비해 환자군에서 전치와 행동화 척도가 높았고(p〈0.05) 통제만이 이들이 흔히 사용하는 주요 방어기제였다(p〈0.05), 또한 성숙도 면에서 환자군은 정상군에 비해 신경증적 방어기제를 주요 방어기제로 사용하였다(p〈0.05). 이러한 방어기제에 대한 지식은 공황장애 환자에 대한 정신역동적 가설을 세우고 정신치료적 접근을 하는데 유용할 것이다. Despite the indications that psychodynamic factors may be important in understanding and treatment of panic disorder, these have not been studied systematically. In this report, self-rating Ewha Defense Mechanism Test(EDMT) was used to test the hypotheses that 1) panic patients would use different defense mechanism from normal controls, 2) panic patients would use lower-maturity defenses than normal controls. Twenty-two subjects meeting the DSM-IV criteria for panic disorder and 22 normal controls were given self-rating EDMT, and were compared about the use and maturity level of defenses between the two groups. Panic subjects scored significantly much higher than normal controls on the defenses of displacement and acting out, and on the controlling as a major defense mechanism. Also, the use of neurotic defense mechanisms was more frequent in panic subjects.

      • KCI등재

        초등학생의 스트레스와 심리적 안녕감: 방어기제들의 역할

        고재홍 ( Jae Hong Ko ),김미정 ( Mi Jeong Kim ) 한국초등교육학회 2009 초등교육연구 Vol.22 No.4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들이 겪는 스트레스로부터 심리적 안녕감을 방어하기 위해 사용하는 방어기제들이 실제로 방어기능을 지니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5가지 종류(부모, 친구, 학업, 가정, 학교)의 스트레스와 4유형의 방어기제(미성숙, 적응적, 자기억제, 갈등회피) 사용정도, 및 심리적 안녕감을 측정하였다. 안녕감을 저해하는 것은 부모스트레스, 친구스트레스, 가정스트레스 순이었다. 초등학생들은 방어기제 중에서는 적응적 방어기제와 자기억제적 방어기제를 가장 많이 사용하고, 다음으로 미성숙 방어기제, 갈등회피적 방어기제를 상대적으로 적게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분의 방어기제들은 예상과 달리 스트레스로부터 안녕감을 방어하지 못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미성숙, 자기억제, 및 갈등회피 방어기제는 스트레스를 방어하기보다는 스트레스 효과를 증폭시키고 있었으며, 적응적 방어기제의 경우도 학교관련 스트레스만을 방어해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방어기제가 단순히 스트레스 상황에서 안녕감을 방어하는 기능을 한다기 보다는 오히려 스트레스 상황에서 나타나는 개인의 반응양상을 반영하는 개념임을 시사한다. The present study aims to examine which of defense mechanisms used by elementary students is more effective in practically depending his or her psychological well-being from several stressors. Six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degree of the following five stresses was measured: parents, friends, school work, family, and school-related. The use of four types of defense mechanisms(immature, adaptive, self-restraining, and conflict avoiding) and psychological well-being were additionally measured. Adolescents suffer the most stress related to school, followed by parents and so on. But the parent-related stress did damage most on their psychological well-being. And the use of the three types of defense mechanisms(conflict avoiding, self-restraining, and immature) actually did not defend their psychological well-being from stress. Exceptionally the adaptive defense mechanism played a role of buffer only between school stres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 KCI등재

        예술인의 스트레스 대처방식에서 방어기제의 조절 효과

        정한나,조현섭 한국연기예술학회 2019 연기예술연구 Vol.16 No.3

        이 연구에서는 예술인이 겪는 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대처방식, 방어기제를 이해하고 변인 간의 관계를 검증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현재 예술 분야에서 종사하고 있는 예술인 263명이었으며 결과는 다 음과 같다. 첫째, 예술인은 직무 스트레스가 높고, 소망적 대처, 자기 억제적 방어기제를 가장 많이 사용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예술인의 직무 스트레스를 최소화하는 대책 마련이 시급하며, 더불어 예술 인이 겪는 무의식적 감정과 사고, 스트레스를 명료화하여 건강하게 표출시킬 수 있는 방안 모색이 중요 해 보인다. 둘째, 스트레스, 방어기제, 스트레스 대처 간의 관계는 우선, 스트레스는 소극적 대처방식과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예술인이 스트레스가 상승할 때 문제회피적인 소극적 대응 을 보일 가능성이 시사되었다. 두 번째로 적극적 스트레스 대처방식은 적응적 방어, 자기 억제적 방어와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소극적 스트레스 대처방식은 미성숙 방어, 자기억제 방 어, 갈등회피 방어 기제와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적응적 방어기제가 적극적 소극적 스트레스 대처에 모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시사된다. 셋째, 방어기제 유형 중, 자기 억제적 방 어기제가 예술인의 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관계에서 조절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하지만 미성숙형 방어기제, 적응적 방어기제, 갈등 회피적 방어기제는 조절 변수로 효과 없음으로 나타났다. 이 러한 차이는 예술인이 자기억제적 방어를 사용할 경우 스트레스 대처능력이 저하되어 스트레스 해결에 도움이 되지 않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예술인의 스트레스, 스트레스 대처, 방어 기제 특성을 이해하고, 예술인의 스트레스 관리에 방어기제의 조절효과를 부분적으로 밝혔다는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stress, stress coping styles, and defense mechanism experienced by artists and to verify the relationships between variabl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63 artists currently working in the art field and the result is as shown below. First, artists were found to have the highest job stress and to most frequently use wishful thinking and self-restraint defense mechanism. Therefore, it is urgent to prepare measures to minimize the job stress of artists, and it is also important to find ways to clarify and express the unconscious stresses experienced by artists in a healthy manner. Second, as for the relationships between stress, defense mechanism and stress coping, stress, first of all, appeared to have a positive correlation with emotion-centered coping. And the problem-centered stress coping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correlation with mature and self-restraint defense. In addition, the emotion-centered stress coping was found to have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s with immature, self-restraint, and conflict-avoidant defense mechanisms. Third, among the types of defense mechanisms, it has been confirmed that self-restraint defense mechanism has a control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rtists’ stress and stress coping styles. However, immature defense, mature defense, and conflict-avoidant defense mechanism have been found to be ineffective as variables. This difference suggests that when using self-restraint defense, the artists could not solve their stress due to the degraded ability to copy with stress. Accordingly, the result of this study is meaningful in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artist's stress, stress coping, and defense mechanisms and partly proving the effect of controlling the defense mechanisms for managing their stress.

      • KCI등재

        진로선택에서 나타난 의과대학생의 자아방어기제

        정한용,한선호,최의정,김동욱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9 신경정신의학 Vol.38 No.6

        연구목적: 객관적인 질문지 형태의 이화방어기제검사를 사용하여, 의과대학생의 향후 전문과목 선택에 있어 크게 내, 외과 계열을 선택하는 사람들 사이의 자아방어기제상의 차이가 있는 지를 살펴봄으로써, 특정과를 선호하는 데에 따른 학생들의 공통적인 성격 특성이나 적응방식이 과별로 차이가 있는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 법: 순천향 의과대학에 재학중인 본과 4학년을 대상으로 이화방어기제검사를 이용하여 내과계열과 외과계열을 선택한 학생들 사이의 방어기제를 비교하였다. 결 과: 내과와 외과를 선택한 학생 집단간의 방어기제들의 평균점수와 성숙도에 따라 나눈 4개의 방어기제군의 평균점수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주된 방어기제를 사용하는 빈도를 비교한 결과 미숙한 방어기제에서 수동-공격(passive-aggression)과 신경증적 방어기제에서 허세(show-off)는 외과군이 내과군에 비해 그 빈도가 유의하게 높았던 반면, 성숙한 방어기제에서는 유우머(humor)를 주된 방어기제로 사용하는 학생수의 빈도가 내과를 선택한 학생들이 외과를 선택한 학생들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결 론: 주된 방어기제의 빈도 차를 분석해 본 결과 학생 집단간의 성격 상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내과를 선택한 학생들에서 외과를 선택한 학생들보다 성숙한 방어기제에서의 유우머(humor)를 주된 방어기제로 사용한 학생들의 빈도가 높아 갈등이나 불안, 고통의 상황에서 유우머를 통하여 이런 상황을 견디는 힘을 얻게되고, 이러한 개인의 경우 강한 자아 강도를 지니고 있을 가능성이 높게 보일 수 있는 학생들이 많았다. 반면, 외과계열을 선택한 학생들은 미숙한 방어기전에서 다른 사람에 대한 공격적인 감정을 직접적으로 표현하지 않고, 간접적으로 수동적 저항으로 표현함으로써 자신의 공격적인 감정을 처리하는 수동-공격(passive-aggression)에서 높은 빈도를 보였다. 또한, 신경증적 방어기제에서 자신의 능력에 비해서 과분한 행동 목표를 결정하고 이를 과시하고 특히 자신의 행동이 타인에게 어떻게 평가받을 지에 대해 상당히 민감한 타인 지향적 성향을 지니는 허세(show-off)를 주된 방어기제로 사용한 학생들이 많았다. 이러한 결과는 전공에 따른 공통 성격특성과 적응방식의 차이를 밝혀냄으로써 그 과의 특성에 따른 적성을 알아내는데 도움이 될 것 같다. Objectives: To determine differences of common personality profiles and coping mechanisms of medical students who prefer specific specialties(medicine and surgery), the authors evaluated the defense mechanisms of the medical students by using Ewha Defense Mechanisms Test. Methods: The authors compared the defense mechanisms between two groups(medicine selection group and surgery selection group) who are in the senior year of the Soonchunhyang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Result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mean scores of the each defense mechanism and 4 groups of defense mechanisms divided by maturity level between the groups of students who selected medicine and surgery. But, frequency of major defense mechanisms were as follows: For the surgery selection group, the passive-aggression in the Immature defense mechanism and show-off in the Neurotic defense mechanism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the medicine selection group. Contrarily, in the medicine selection group, humor in the mature defense mechanism as the major defense mechanism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the surgery selection group. Conclusion: After analysis of the difference of frequency of major defense mechanisms between the two group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in personality. However, the students of the medicine selection group used humor of the mature defense mechanism as a major defense mechanism in higher frequency than the surgery selection group. In situations of complications, anxiety and suffering, the use of the humor defense mechanism gave the students strength to endure these situations. Among these students, there is a high probability that many of them possess strong ego strength. Contrarily, the students of the surgery selection group did not express aggression directly, rather, they expressed these feelings indirectly through passive opposition. There was a high frequency of passive-aggression defense mechanism in dealing with feelings of aggression. Also, in the neurotic defense mechanism, compared to ability, excessive goals were set as was the resulting behavior. Especially, behavior was extremely sensitive to how others would evaluate those actions resulting in using show-off mechanism as a major defense mechanism in higher frequency by the surgery selection group. The results seem to be useful in understanding the student`s optimal character for specific specialities that were selected by evaluating the differences of the common characteristics and coping mechanisms of each specialty group.

      • 에니어그램 성격 유형과 방어기제와의 관계

        정민,이숙자,장안나 한국에니어그램학회 2005 에니어그램연구 Vol.2 No.2

        본 연구는 에니어그램 교육에 참가한 일반 성인 3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 목적은 교육 참가자의 에니어그램 성격 유형을 분류하고 인구통계학적인 변인에 따른 에니어그램 성격 유형분포와 에니어그램 성격유형과 방어기제와의 관계를 알아보는 것이었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주요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변인 중 결혼 유무에 따른 에니어그램 성격유형 분포 간에 유의미한 차이 가 나타났다. 둘째, 성격유형에 따른 방어기제(성숙도를 중심으로)의 다변량분석 결과 성격 유형과 미성숙한 방어유형, 적응적 방어유형, 자기 억제적 방어유형, 갈등 회피적 방어유형 모두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성격 유형에 따른 방어기제에 대한 변량분석 결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넷째, 성격유형에 따른 방어기제 하위 요인에 대한 변량분석 결과 행동화, 소비, 공상, 억제, 반동형성, 철수, 전능, 유머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에니어그램 성격유형에 따라 사용하는 방어기제가 다르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한국 사람들을 대상으로 에니어그램 성격유형과 자아방어기제간의 관계를 통해 의식과 무의식이 어떻게 연결되었는지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그러나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보다 사례들을 대상으로 성격유형과 자아방어기제간의 관계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 KCI등재후보

        상담가의 방어기제 사용에 관한 고찰

        한상희 ( Sang Hee Han ),신동열 ( Dong Yeol Shin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6 인문사회 21 Vol.7 No.3

        본 연구는 상담직에 종사하는 전문인들의 삶의 태도에 관한 연구이다.연구 대상은 한국상담학회와 한국심리학회의 회원이며 상담직에 종사하는 대학원생 3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방법은 조사연구에 적합한 혼합 연구 방법을 채택하여 1단계질적 자료 수집, 2단계 수량적 자료인 이화 방어기제 검사를 통해 얻은 자료를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상담자가 주로 사용하는 방어기제를 확인하였으며, 방어기제가 위험한 심리 역동이라는 일반적인 견해에 상충되는 결과로 방어기제는 자아를 지키기 위해 긍정적으로 사용되는 점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첫째, 자아분석과 성찰을 경험하는 직업군에서는 성숙한 방어기제를 자주 사용하는 점, 둘째, 방어기제 간의 상호 보완적 역동이 표출된다는 점을 도출하였다. 이는 방어기제의 새로운 가능성을 조명한다는 점에서 본 연구에 의의를 갖는다 This research is about life attitudes of professionals engaged in counseling. The subjects were 32 graduate school students who have counseled over years and are member of counseling society and psychological association. By adopting a mixed research methods for research, qualitative data collected in Step 1, and analyzed the quantitative data obtained through Ewha Defense Test in Step 2.The results shows that which defense mechanism is used by counselor and that was used keeping self as opposed to general opinion that defense mechanism could cause psychopathology. This has meaning that the significance of often usage of matured defense mechanism and the new possibilities of it are illuminated for those group who experience through self-analysis and introspection

      • KCI등재

        자아방어기제와 전치적 강박소비행동에 관한 연구

        한성희 한국소비문화학회 2020 소비문화연구 Vol.23 No.2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influential relationship between the ego defense mechanism and the displacive compulsive consumption behavior. Displacement refers to the act of transferring and expressing the emotions felt toward a certain subject to a less important and less threatening alternative subject. On the other hand, displacive compulsive consumption behavior refers to the transfer seen in displacement and the attachment toward the substitute subject, which is continuously and repetitively emerging in the form of compulsive consumption. The activation of the ego function and its mechanism forms the intrinsic ego of an individual, and if change and enhancement on the intrinsic ego are necessary, greater attention should be placed on the mechanism of the ego function and habituated mechanism. Given this, the study attempts to identify the influence that the ego defense mechanism has on the displacive compulsive consumption behavior and seeks a desirable ego defense mechanism that improves the compulsive consumption behavior. The subjects of this study include a group of consumers in their 20s–50s residing in Seoul and other metropolitan areas, of which a total of 378 were chosen to undergo the analysis. For the method, descriptive statistics, factor analysis, variance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he analysis result and its implications are as follows. First, two factors of the displacive compulsive consumption behavior were identified through the factor analysis (Varimax method). Factor 1 is “anger transfer type compulsive behavior,” which is expressing one’s negative emotions in the form of compulsive consumption behavior. On the other hand, Factor 2 is “substitute subject attachment type compulsive behavior,” which is transferring affection toward a certain subject to a substitute subject or object. Second, the ego defense mechanism consists of neurotic, narcissistic, immature, and mature defense mechanisms. Neurotic defense mechanism was classified into reaction-formation, controlling, rationalization, and dissociation factors; narcissistic defense mechanism was categorized into projection and denial factors; immature defense mechanism was classified into passive- aggression, somatization, acting out, regression, evasion, and identification factors; and mature defense mechanism was categorized into suppression, anticipation, sublimation, altruism, and humor factors. Each defense mechanism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y consumer groups in accordance with sociodemographic factors. Third,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relative influence of the factors that impact the displacive compulsive consumption behavior.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factors influencing the anger transfer type compulsive behavior and substitute subject attachment type compulsive behavior. The factor with the strongest influence on “anger transfer type” was “regression,” followed by “sublimation” and “reaction-formation,” which had a significant influence. As for the “substitute subject attachment type,” the “identification” factor had the biggest influence, followed by regression, evasion, reaction-formation, humor, and rationalization. Such study results suggest that focus should be placed on the ego function to further understand and manage the displacive compulsive consumption behavior. Therefore, the study proved to be helpful in analyzing the ego function influencing compulsive consumption behaviors by each ego defense mechanism and, in turn, supplied basic data necessary to ease compulsive consumption. Future studies could focus on the analysis of the process of controlling the ego defense mechanism to handle anger transfer type and substitute subject attachment type compulsive consumptions. 본 연구는 전치적 강박소비행동과 자아방어기제간의 영향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전치적 강박소비행동은 전치에서 볼 수 있는 전이와 대리대상에 대한 애착이 지속적이고 강박적인 소비행태로 나타나는 것이다. 조사대상은 서울과 수도권 지역에 거주하는 20-50대 소비자로, 최종 378명이 분석대상이 되었다. 연구방법은 기술통계, 요인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이 사용되었다. 분석결과 및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전치적 강박소비행동은 요인분석(Varimax방식)을 통해 2개의 요인으로 분류되었다. 요인 1은 ‘분노전이형 강박소비’, 요인 2는 ‘대리대상 애착형 강박소비’이다. ‘분노전이형’강박소비는 자신의 부정적인 감정을 강박적인 소비행동으로 표현하는 것이다. ‘대리대상애착형’강박소비는 원래의 대상으로 향하는 애정을 대리대상이나사물에게 전이시키는 것이다. 둘째, 자아방어기제는 신경증, 자기애, 미성숙, 성숙의 방어기제로 4가지 요인으로 분류되었다. 신경증적 자아방어기제는 반동형성, 통제, 합리화, 해리, 자기애적 방어기제는 투사와 부정 요인으로 분류되었다. 미성숙한 방어기제는 수동공격, 신체화, 행동화, 퇴행, 회피, 동일시 요인, 성숙한 방어기제는 억제, 예견, 승화, 이타주의, 유머 요인으로 분류되었다. 셋째, 전치적 강박소비행동에 미치는 요인의 상대적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분노전이형과 대리대상애착형 강박소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는 차이가 있었다. ‘분노전이형’에 가장 큰 영향력을 보인 요인은 ‘퇴행’이었고, ‘대리대상 애착형’에는 ‘동일시’요인이 가장 큰 영향력을 보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로써, 전치적 강박소비행동을 적정화하기 위해서 자아기능에 주목하고 통찰할 수 있어야 할필요성이 시사되었다. 본 연구는 강박소비행동을 비합리적인 소비행동으로 지적하는 관점에서 벗어나 새롭게 유형을 구분하고 자아방어기제의 영향력을 규명하여 소비행동모델을 정교화하여 해석의 패러다임을 전환하였다는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대학생의 대인관계스트레스와 심리적안녕감의 관계에서 방어기제의 매개효과

        부정민,강대옥,강은희 한국상담학회 2016 상담학연구 Vol.17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defense mechanism in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students’ stress from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o this end,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n 312 college students from four universities located in Jeju-do in order to measure their stress from interpersonal relationship, psychological well-being, and defense mechanism. Using an SAS program,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and Sobel Test was performed in order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mmature defense mechanism (acting out, fantasy, and passive aggression), self-regulation defense mechanism(inhibition, reaction formation), conflict avoidance defense mechanism(resignation, isolation) had partial mediating effect in relationship between stress from interpersonal relationship(with the opposite sex, friends, family, and professor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Second, projection, which is an immature defense mechanism, had partial mediating effect in relationship between stress from relationship with the opposite sex, friends, and famil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nd had complete mediating effect in relationship between stress from relationship with professor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ird, only humors among adaptive defense mechanism had partial mediating effect in relationship between stress from relationship with the opposite sex and famil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Lastly, the researcher discussed the suggestive point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follow-up research.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대인관계스트레스와 심리적안녕감의 관계에서 방어기제의 매개효과를 검증해보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제주도에 소재한 4개 대학교의 대학생 312명을 대상으로 대인관계스트레스, 심리적안녕감과 방어기제 척도를 실시하였다. 분석은 SAS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상관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해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첫째, 미성숙방어기제(행동화, 공상, 수동공격), 자기억제 방어기제(억제, 반동형성), 갈등회피 방어기제(체념, 격리)는 대인관계스트레스(이성, 친구, 가족 및 교수관계스트레스)와 심리적안녕감과의 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미성숙 방어기제인 투사는 이성, 친구 및 가족관계스트레스와 심리적안녕감과의 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를, 교수관계스트레스와 심리적안녕감과의 관계에서는 완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적응적 방어기제 중 유일하게 유머는 이성 및 가족관계스트레스와 심리적안녕감과의 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 및 후속연구에 대해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