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2015 개정 교육과정 초등 실과 교과서 소프트웨어와 로봇 단원 발문 분석 및 CT마중발문 개발

        오정철,진영지,김봉철,김종훈 한국정보교육학회 2020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24 No.3

        2015 개정 교육과정 초등학교 6종 실과 교과서 소프트웨어 단원과 로봇 차시에 제시된 523개 발문 유형을 분석한 결과, SW 단원에서는 폐쇄적 발문이 77.1%, 개방적 발문이 22.9%로 나타났고 로봇 단원에서는 폐쇄적 발문이 74.8%, 개방적 발문이 25.2%로 나타났다. 폐쇄적 발문 중심인 SW 교과서 발문의 한계를 보완하고 교사 들이 교육 목적과 활동 내용에 따라 컴퓨팅 사고력 신장을 위한 다양한 컴퓨터 교육에 활용할 수 있는 CT마중 발문을 개발하였다.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523 questions presented in the six textbooks and SW and robot units in the Blosser four-step classification categorie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software unit,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77.1% were closed questions and 22.9% were open questions. Second, in the robot unit,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74.8% were closed questions and 25.2% were open questions. The CT Trigger Question was developed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textbook questions, which were mainly closed questions, and to directly or indirectly induce computational thinking that teachers can utilize according to their educational content and activities.

      • KCI등재후보

        수업 시연에 나타나는 예비 수학교사의 발문 유형과 특성 분석

        백소영 ( So Yeong Back ),김도현 ( Do Hyun Kim ),이경언 ( Kyung Eon Lee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4 교사교육연구 Vol.53 No.3

        발문은 수업의 질과 방향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다. 이 논문에서는 수업 시연에 나타나는 예비 수학교사들의 발문 유형과 특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예비수학교사의 수업 영상을 촬영하고 이를 전사한 자료를 바탕으로 수업 시연 중에 활용한 발문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 수학교사들의 활용한 발문 유형별 비율은 인지;기억적 발문이 77%, 수렴적 발문 18%, 확산적 발문 1%, 평가적 발문 4%를 활용하여 폐쇄적 발문 유형이 95%, 개방적 발문 유형이 5%를 차지하였다. 둘째, 수학의 내용 영역을 수와 연산, 문자와 식, 함수, 기하, 확률과 통계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도 폐쇄적 발문 유형이 95%, 개방적 발문 유형이 5%를 차지하였다. 셋째, 수업 과정을 도입, 전개, 정리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도입부분에서 21%, 전개부분에서 68%, 정리부분에서 11%의 발문을 활용하였으며, 각 단계별로 폐쇄적 발문 유형인 인지;기억적 발문과 수렴적 발문이 91~96%, 개방적 발문은 4~6%로 나타났다. 예비교사들은 수학의 내용 영역 측면 및 수업 진행 과정의 측면에서 모두 개방적 발문보다 폐쇄적 발문을 더 많이 사용하고 있다. 예비교사들은 주로 학생들의 이해를 확인하거나 문제해결 및 개념설명 과정에서 학생들의 이해를 확인하는 수준의 폐쇄적 발문 유형을 주로 활용하였는데, 보다 나은 수업 그리고 창의성과 수학적 사고력을 기르기 위해서는 개방형 발문을 비롯하여 다양한 수준과 유형의 발문을 보다 많이 활용해야 하며 이를 위해 예비교사 단계에서부터 발문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이 필요하다. Questioning is an important factor which determines the quality and direction of the teacher`s instruction. In this paper, we analyzed the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questioning types and characteristics in demonstrative lesson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e analyzed class video material of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and the text transcript which recorded each pre-service teachers` question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as follows. The highest frequency of question asked by the pre-service teachers was the recognitive좪recollective questioning (77%), collective-thinking (18%), divergent questioning (1)%, and evaluative questioning (4%). Second, closed questioning accounted for 95% whereas open the questioning accounted for 5%, depending on the content area of mathematics. Third, pre-service teacher`s questioning were used 21% in the introduction step, 68% in the development step, and 11% in the arrangement step, depending on the process of class.

      • KCI등재

        한국과 미국 초등수학교과서의 도형 영역 발문 유형 분석

        조가은,박만구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2021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Vol.25 No.3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과 미국의 초등학교 수학교과서의 도형 영역 발문을 분석하 여 제시한 발문 유형의 특징을 비교 분석하여 시사점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는 한국의 2015 개정 교육과정에 의한 초등학교 1~6학년 수학교과서와 미국 CCSSM에 의해 개발된 Go-Math K~5학년 수학교과서를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이 중 도형 영역의 발문들을 분석틀에 의해 분류하여 발문 유형과 특징을 분석하 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분석틀은 Blosser(1973)의 사고 유형에 의한 분류 체계를 기반으로 여러 선행 연구들의 분석틀을 참고하여 수정하였다. 발문의 유형은 재생 적 발문, 제안적 발문, 분류적 발문, 적용적 발문, 종합적 발문, 예상적 발문, 판단 적 발문, 확산적 사고 발문, 평가적 사고 발문으로 설정하였다. 연구 결과, 한국 수 학교과서 발문은 학생들에게 학습 활동의 방향을 안내하고 개념 학습과 관련된 구 체적 조작 활동을 제시하는 발문의 비중이 높았다. 미국 Go-Math 교과서는 학생들 이 개념을 적용할 다양한 문제 상황이나 경험을 반복적으로 제시하는 발문의 비중 이 높았다. 또한 한국과 미국교과서 모두 주로 인지·기억적 사고와 수렴적 사고를 이끌어 내기 위한 폐쇄적 발문이 개방적 발문보다 더 많았지만, 한국 수학교과서는 미국 수학교과서에 비해 확산적 사고와 평가적 사고를 다루는 발문이 더 많이 제 시하고 있었다. 제언으로, 한국 수학교과서 도형 영역에서 판단적 발문의 비중을 늘릴 필요가 있으며, 다른 영역에 대한 후속 연구도 필요함을 주장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features of the types of geometry questions in Korean and American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to find out the implications. The researchers selected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grades 1-6 developed under the 2015 revised curriculum in Korea and Go-Math K-5 developed under the CCSSM in the U.S.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questions were analyzed by classifying them by the analysis framework. The analysis framework used in this study was modified by referring to the analysis framework of several prior studies based on Blosser (1973)'s classification criteria. We set the types of questions as regenerative, suggestive, categorical, applicable, comprehensive, predictive, judgmental, diffuse thought, evaluation thought.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Korean mathematics textbooks had a high proportion of those that guided students to the direction of learning activities and presented concrete manipulation activities related to conceptual learning. The U.S. Go-Math textbooks had a high proportion of expressions that repeatedly presented various problem situations and experiences for students to apply concepts. In addition, both Korean and U.S. textbooks had more closed doors to induce cognitive and memory and convergent thinking than open thinking, but Korean mathematics textbooks had more open questions to deal with divergent and evaluative thinking than American textbooks. As a suggestion,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proportion of judgemental questions in geometry in Korean mathematics textbooks, and to follow-up research on other areas.

      • KCI등재

        예비화학교사의 교육실습에서 담화 맥락을 고려한 발문 분석

        김성훈,김지수,노태희,김민환 한국과학교육학회 2022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42 No.4

        이 연구에서는 교육실습에서 예비화학교사의 발문을 담화 맥락을고려하여 분석하였다. 서울특별시에 소재한 사범대학 화학교육과에재학 중이고, 교육실습에 참여한 예비화학교사 5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연구참여자들의 한 차시 수업을 녹화하였고, 교수학습 자료를수집하였으며, 면담도 수행하였다. 선행연구의 분석틀을 참고하여 발문을 내용 관련 발문, 정의적 발문, 폐쇄적 발문, 수사적 발문, 구조적발문으로 발문을 분류하였고, 각 발문을 학생들의 응답을 토대로 적절한 발문과 교사 편의적 발문으로 분류하였다. 연구 결과, 몇 가지의유형의 발문은 예비교사들이 맡은 수업 내용의 특성에 따라 빈도가다르게 나타났다. 교사 편의적 발문을 한 후 예비교사들은 학생들의응답을 유도하기보다는 교사가 답을 제시하는 방식으로 주로 수업을진행하였다. 또한, 예비교사들은 학생들의 응답 내용을 활용하는 발문들과 정의적 발문은 거의 사용하지 않았다. 예비교사들은 폐쇄적발문을 학생의 학습 정도를 간단하게 파악하고 상호작용을 촉진하기위한 목적으로 활용하였다. 수사적 발문은 내용을 강조하기 위한 목적뿐 아니라 학생들의 주의 집중을 유발하거나 사고를 촉진하는 등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예비화학교사의발문 전문성을 향상하기 위한 방안을 논하였다

      • KCI등재후보

        초등 특수교사의 발문 분석과 반성적 사고

        김정현, 고은 대구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2022 초등교육연구논총 Vol.38 No.1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analyze special teachers' questions in elementary schol and examine their reflective thinking about questioning. In the study, teachers' questions in a total of 12 lesons were analyzed acording to Bloser's questioning analysis system and the questioning criteria to faciltate spech designed to promote the spech of students with disabilties. Individual teachers' reflective thinking about questioning was examined in individual interviews. The findings were as folows: first, the participants used cognition and memory questioning most to ask for the regeneration, simple memory and observation, and repetition of information acording to Bloser's analysis system; secondly, they usualy used questions for pointing, repeating, and helping acording to the questioning criteria to faciltate students' spech; and finaly, they were aware of the importance of questioning, but they had no specific eforts and contemplation for it. The findings imply that they got to figure out their strengths and weakneses in questioning and had a chance to utilze questioning properly in this proces. 본 연구는 초등 특수교사의 발문 분석과 발문에 대한 반성적 사고를 알아보는 데에 목적이 있다. 총 12차시 수업에 대한 교사 발문은 Bloser의 발문 분석 체계와 장애 학생의 발화 촉진 을 목적으로 한 발화 촉진 발문 기준으로 각각 분석되었다. 또한 발문에 대한 반성적 사고는 개별 인터뷰를 통해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Bloser의 분석 체계에 따르 면 연구 참여자들은 정보의 재생, 단순 기억 및 관찰, 반복을 요구하는 인지·기억적 발문을 가 장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발화 촉진 발문 분석 기준에서는 지목하기, 반복하 기, 도움주기 발문을 주로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 참여자들은 발문의 중요성은 인식하고 있으나, 그에 대한 구체적인 노력이나 고민은 하지 않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 과정을 통해 자신의 발문에 대한 강점과 약점 등을 파악하고 적절한 발문 활용에 대한 계 기가 되었음을 시사했다.

      • KCI등재

        발산적 발문 촉진을 위한 교사 연수

        이영주 한국교원교육학회 2011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8 No.3

        과학과에서 교사의 훌륭한 발문은 학생들의 과학적 관찰 활동을 격려하고, 과학적 탐구를 촉진시킨다. 특히 발산적 발문은 학생들의 고등 사고력을 증진시키고, 자신의 생각과 의견을 적극적으로 표현하는데 매우 유용하다. 그러나 선행연구에 따르면 교사들은 발산적 발문을 자주 사용하지 않고, 정보의 기억과 같은 낮은 인지 수준을 요구하거나, 행동을 통제하는 발문들은 많이 사용한다고 보고하고 있다. 따라서 교사들의 발문법 향상을 위해 적절한 교사 연수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교사들의 발산적 질문 사용 증진을 위한 발문법 교사 연수를 실시하였다. 발문법 교사 연수는 사회 인지 이론과 경험 학습 이론에 기반하여 우수 발문 전략을 모델링하고, 자신의 수업에 대한 교사의 반추적 사고를 촉진하도록 설계되었다. 온라인 교사 연수 사이트를 통해 발문 시범 비디오와 발문법 향상을 위한 전문가 조언을 제공하였고, 면대면 워크샵을 병행하여 발문법을 연습하고, 분석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결과적으로, 실험 집단 교사들은 발산적 발문을 통제 집단 교사들보다 유의미하게 더 많이 사용하였다. 또한 실험 집단 교사들은 학년 초에 비해 학년중기와 학년말에 발산적 발문 사용이 유의미하게 증가되었다. Teachers' high quality questions encourage students' scientific observations and promote students' investigations in science activities. In particular, open-ended questions enhance students' higher skill thinking and help them actively express their ideas. However, previous studies report that most teachers do not use open-ended questions frequently in practice and instead rely on low quality questions eliciting simple piece of information or managing students' behaviors.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teachers' questioning, it is necessary to provide teachers with appropriate professional development. This study involves implementing blended professional development to enhance teachers' use of open-ended questions. Based upon social cognitive theory and experiential learning theory, blended professional development offers models of teachers' high quality questioning strategies and promotes teachers' reflective thinking upon their own practice. It provides questioning demonstration videos and questioning tips through online professional development website and face-to-face workshops to help teachers practice questioning strategies and analyze their questioning practice. As a result, treatment group teachers asked significantly more open-ended questions than control group teachers. Moreover, treatment group teachers significantly increased their use of open-ended questions in the middle and end of the academic year than in the beginning of the academic year.

      • KCI등재

        새로운 교양교육에서의 ‘발문(發問)교수법’에 관한 일고찰

        신현정(Shin Hyun-Jung) 한국일본교육학회 2019 한국일본교육학연구 Vol.23 No.3

        본 연구에서는 21세기의 액티브러닝형 교양수업을 디자인함에 있어 중요한 요소 중 하나로 발문교수법에 주목하였다. 대학교양교육에서 발문의 중요성을 인식하는 교수자들은 많지만 이들 중 상당수가 발문에 대한 체계적인 이해부족이나 발문개발에 대한 시간적 심리적 부담 등으로 인해 수업에서 효과적인 발문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본 연구에서는 우선 발문에 관한 일본의 선행 연구들을 고찰하고 발문에 익숙하지 않은 신임교수 혹은 체계적인 발문을 추구하는 중견교수를 위해 발문능력향상 프로그램 모형과 Bloom의 신교육목표 분류체계를 활용한 발문워크시트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대학교양교육의 발문교수법 적용에 관한 시사점은 3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21세기형 교양교육을 추구하기 위해서는 그에 적합한 새로운 교양교육방법론이 제시되어야 한다. 둘째, 학습자가 주도하는 액티브러닝형 교양교육이 되게 하기 위해서는 학습자의 지적 호기심을 자극하는 발문교수법의 도입이 반드시 필요하다. 셋째, 대학의 교수학습을 지원하는 부서에서는 실질적인 발문의 개발 및 적용을 위한 체계적인 발문기법 가이드북 등을 개발하여 배포하거나 관련 연수 프로그램을 제공하여야 한다. Even though many professors recognize the important role of questioning in college liberal arts education, many of them have difficulty to present effective questions in class because of the lack of systematic understanding about questioning strategies and of the temporal and psychological burden related to developing effective questions. Accordingly, in order to improve these matters, this study first reviews the previous Japanese studies on questioning, and then presents a questioning strategy development program model and a questioning worksheet model, based on Bloom’s taxonomy, learning classification system, for a new professors who is not familiar with questioning, or a professor who wants to design systematically relevant questions. In summary, the implications, related to the application of the questioning teaching method in college liberal arts curriculum, are following three. First, a new teaching method should be presented in order to achieve the educational objectives in 21st century liberal arts class. Second, it is necessary to execute the questioning teaching method that stimulates intellectual curiosity of learners in order to make them actively engaged in class. Third, it is necessary to publish and distribute adequate guidebooks for the development of questioning strategies and techniques, and to provide related training programs at the university s teaching and learning support center.

      • KCI등재

        지적장애 학생을 위한 융합인재교육(STEAM) 수업에서의 교사 발문 분석

        박영근(Park Yungke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8

        본 연구에서는 융합인재교육(STEAM) 수업을 실시하는 교사가 수업의 목적에 맞게 창의성을 자극하고 문제해결력을 증진할 수 있는 수업을 진행하고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교사 발문의 다양한 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두 명의 특수교사가 2019년 3월부터 2019년 4월까지 실시한 융합인재교육 수업 8차시 분량에 대한 비디오 녹화 자료 및 본시 교수⋅학습 과정안을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적장애 특수학교 교사들의 융합 수업에 나타난 발문을 발문 유형별로 살펴보면 인지⋅기억적 발문과 수렴적 발문을 포함한 폐쇄적 발문이 매우 높게 나타났고, 확산적 발문과 평가적 발문을 포함한 개방적 발문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둘째, 두 가지 수업 영역에 따라 발문 유형별 활용 빈도를 분석한 결과, 전기에너지 영역에서는 인지⋅기억적 발문이 56.3%, 확산적 발문 42.1%이 나타났다. 반면, 호흡 영역에서는 인지⋅기억적 발문이 90.7%로 매우 높게 나타났으며 다른 발문들을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특수교사들의 융합수업 단계를 도입, 전개, 정리 단계로 나누고 각 단계에 따라 지적장애 특수학교 교사들의 발문의 활용 정도를 분석한 결과, 전개, 도입, 정리 단계의 순서로 발문을 많이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융합인재교육 수업 운영에서의 교사 발문을 분석해 봄으로써, 지적장애 특수학교의 융합인재교육을 활용한 과학 수업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In this study, various aspects and characteristics of teacher questioning were analyzed in order to find out whether teachers in STEAM classes are performing classes to stimulate creativity and improve problem-solving skills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clas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wo special teachers analyzed video recordings and teaching/learning process plans for the 8th session of STEAM classes held from March 2019 to April 2019.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questions that appeared in the STEAM class of special school teacher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ere analyzed and divided by question type. As a result, closed questions including cognitive and memory questions and converging questions were very high, and open questions including diffuse and evaluative questions were relatively low. Second, the types of question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two class areas. As a result, 56.3% of cognitive and memory questions and 42.1% of diffusive questions were found in the electrical energy domain, but cognitive and memory were very high as 90.7% in the respiration area, and other questions were not shown significantly. Third, the STEAM class stages of special teachers were divided into introduction, development, and arrangement stages, and teacher questions were analyzed according to each stage.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questionnaire was used a lot in the order of development, introduction, and arrangement. By analyzing the questions of teachers in STEAM class, it will be possible to build basic data to improve science class using STEAM in special schools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 KCI등재후보

        학습자 중심의 수학 수업에서 교사의 발문 분석

        박만구,김진호 한국학교수학회 2006 韓國學校數學會論文集 Vol.9 No.4

        본 논문의 목적은 학습자 중심의 수학 수업에서에서의 교사의 발문에 대하여 분석을 하고 이런 발문이 학습자의 지식 구성에 어떤 영향을 주게 되는지를 알아보는데 있다. 이 연구를 위하여 의도된 학습자 중심의 초등학교의 나눗셈 관련 주제의 3차시수업을 계획하고 이 수업의 과정을 전사하여 수업 중에 나타나는 교사의 발문의 특성 및 학습자의 지식 구성에 주는 영향에 관하여 분석을 하였다. 연구의 결과 학습자 중심의 수학 수업에서의 교사의 발문은 학습자의 비형식적인 수학적 사고의 존중, 확산적 사고를 위한 열린 발문, 여러 단계의 집단에서의 활발한 토론을 위한 적절한 발문, 학급의 규범을 존중하는 발문을 하는 특성이 있었다. 수학 수업에서 교사의 발문은 학습자 중심의 수업에서 학습자의 수학적 사고력 촉진 및 수학에 대한 태도에도 영향을 주게 된다.

      • KCI등재후보

        『璿源系譜紀略』 「跋文」 연구

        홍우의(Hong Woo-eui) 한국학중앙연구원 2007 장서각 Vol.0 No.17

        본고는 『璿源系譜紀略』 「跋文」의 편찬 과정과 주요 내용 및 형식과 그 수사적 특징 그리고 「발문」에 나타난 『선원계보기략』의 편찬 의식 등을 고찰하여 왕실보첩으로서 『선원계보기략』과 그 「발문」의 성격의 일단을 규명하였다. 『선원계보기략』의 제술은 왕명에 의하여 대부분 대제학이 담당하였으며 총 69회 이루어졌다. 발문의 주요 내용은 왕통과 관련된 사항과 선대 국왕과 왕비의 존숭과 관련된 사항과 당대 국왕에 대한 존숭례 등이다. 「발문」의 형식은 발문 찬술의 객관적 맥락을 기술한 서사와 국가적 행사와 이에 따른 『선원계보기략』의 간행의 의의를 서술한 본사와 발문의 주제를 제시하고 글을 끝맺는 결사의 3단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발문」의 수사적 특징으로는 『시경』 시의 빈번한 채용을 들 수 있는데, 『시경』 시 가운데 주왕실과 관련된 내용과 주제가 왕업의 발전을 위한 전범적 성격을 띤 데 따른 것이다. 『선원계보기략』은 왕통과 그 자손을 기재한 왕실의 보첩으로서 일차적 의미를 지니며, 동시에 왕실과 관련한 국가적 의례를 충실히 기재하여 선대에 대한 송덕과 후세에 대한 권면을 통하여 왕업의 무궁한 번영을 기원하고자 한 의미를 지닌다.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ublishing of Postscript of Joseon Dynasty Genealogy(璿源系譜紀略), its contents, form, rhetorical characteristics and editing consciousness. The Postscript of Joseon Dynasty Genealogy were written 69 times totally, by the chief of National House of Writing King's Offers(弘文館) usually. The contents of Postscript of Joseon Dynasty Genealogy are about throne, praise of past kings and now-ruling king. The form of Postscript of Joseon Dynasty Genealogy is summarized as structure of prologue, body, and epilogue. Its rhetorical characteristics is frequent use of alluding poetry of 『Poetry Book(詩經)』. Editing consciousness of Joseon Dynasty Genealogy is summarized as following. Joseon Dynasty Genealogy meant to our ancestors royal family's genealogy concerning the throne and descendants basically, and it meant the precept to continue eternal kingship of Joseon Dynas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