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여성문학과 반지성주의 관계에 대한 역사적 고찰

        이경하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1 人文論叢 Vol.78 No.4

        This paper presents a historical review of anti-intellectualism present in women’s literature. Here, the concept of ‘anti-intellectualism’, which has many meanings, was understood as being anti-intellectual, and ‘women’s literature’ was defined as woman writer’s literature or feminist writing, according to the context. The main point is that the attitude toward women’s literature could be influenced by anti-intellectualism, even if they were of the intellectuals of the time. For example, in the Joseon Dynasty, there was the term ‘jibungi’, and even from the modern era, women’s writers have not been treated properly in literary history. On the other hand, the excessiveness of early feminism caused the classical female writer to fall into excessive ‘appreciation’. In the present, feminism, branded as ‘Megalia’, is excessive, and it is cursed everywhere. It was the general public’s gaze. This paper examined the fact that due to this situation, even those of a progressive attitude kept away from ‘radical’ feminism. 본고에서는 여성문학과 반지성주의의 관계에 대한 역사적 고찰을목표로 하였다. 본고에서는 ‘반지성주의’를 ‘반지식인’ 또는 ‘타자에대한 적대감’의 뜻으로 썼다. 그리고 복잡하고 다양한 여성문학과 반지성주의의 관계를 드러내는 데 더 적합하다 여겨 긴 역사적 개괄을선택하였다. 여성문학과 반지성주의 관계는 단일하지 않다. 여성문학이 반지성주의적일 수도 있고, 여성문학이나 여성주의를 다루는태도가 반지성주의적일 수도 있다. 본론에서 살핀 바, 예전에는 여성이 지식인이 아니란 이유로 여성문학이 외면당했고, 여성문학을 대하는 태도는 당대 지식인이라 해도 반지성주의적일 수 있었다. 물론 조선 시대 여성은 지식인이 아닌것으로 되어 있으니 여성문학도 비지식인 문학이다. 그런데 조선뿐만 아니라 현대에서도 한동안 여성작가문학에 대한 일종의 편견, 타자에 대한 적대감이 있었다. 그래서 조선시대에는 ‘지분기’라는 말도있었고, 근대 이후 문학사에서도 여성작가문학은 정당한 대접을 받지 못했다. 한편에서는 초기 여성주의의 과도함이 고전여성작가에대해 지나친 감상에 빠지게도 했다. 반대로 고전여성작가에 대해 지성만을 강조하기도 했다. 현재에는 ‘메갈리아’로 낙인찍힌 여성주의가 지나치다고, 남성을 적대시한다고 여기저기서 욕을 먹는다. 그 시선을 신경 써야 하는 일부의 ‘진보’도 마찬가지여서 이른바 ‘급진적인’ 여성주의를 멀리했음을 살폈다.

      • KCI등재

        현대일본의 ‘반지성주의’ 담론 분석

        남상욱 한국일본학회 2019 日本學報 Vol.0 No.119

        The present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issue of accepting the concept of ‘Anti-intellectualism’in Japan's discourse space in the mid-2010s, focusing on the magazines “Gendaisisho”and the book “Japanese Anti-intellectualism”. In other words, the following questions have been addressed in the current article: What are the problems in the modern Japanese society, what political structure has been exposed through the use of the term ‘Anti-intellectualism’and what are hidden at the same time? In Japan, ‘anti-intellectualism’emerged to present intellectual and moral depravity in the words and actions of politicians such as Shinzo Abe and Taro Aso as evidences of crisis in democracy. As Masahiro Noguchi pointed out, their words and actions are supported by the voluntary obedience of bureaucrats and politicians who want to live on the legitimacy of governance through elections to avoid certain conflicts. The discourse of ‘Anti-intellectualism’ostensibly refers to the decline of intelligency of some politicians and the general public in support of them ; however, that represent an affirmation of state, and a desire to restore state’s normal functioning. In other words, ‘anti-intellectualism’ in Japan emerged as a term to reveal elements that posed a great threat to the continuation of ‘state’ in Japan. The term ‘anti-intellectualism’ served as an element to raise the question in people’s mind that ‘what is a state and what should it be?’ Finally, the discourse of ‘anti-intellectualism’ sometimes creates opposition to intellectual monopoly, but it ironically reveals that such monopoly has not been easy. The ‘Anti-intellectualism’ discourse is negative about the resistance to the monopoly of intellectuals' knowledge, in fact it ironically reveals a situation where monopolization of knowledge by intellectuals is not easy. From these considerations, we can confirm that ‘anti-intellectualism’ in Japan is not only a subject itself, but also an issue of the political system, and is an term that even reveals changes in members' attitudes toward the state and the ‘intellectual.’ 이 글에서는 2010년대 중반 일본의 담론 공간에서 ‘반지성주의’라는 개념의 수용의 문제를 잡지 『겐다이시소』와 단행본 『일본의 반지성주의』를 중심으로 고찰한다. 즉 이 글에서는 ‘반지성주의’라는 용어의 사용을 통해 드러나는 현대일본 사회와 정치 구조의 문제들은 무엇이며, 그와 동시에 무엇이 감춰지는지를 묻고자 한다. 일본의 ‘반지성주의’는 아베 신조나 아소 타로 같은 정치인의 언행 속에 보이는 지적, 도덕적 타락을 민주주의의 위기의 증거로서 제시하기 위해 출현했는데, 노구치가 지적하고 있듯이 그들의 이러한 언행은 다양한 가치관의 대립을 회피하기 위해 통치의 정당성을 선거를 통해 연명하고자 하는 정치인들에 대한 관료들의 자발적인 복종에 의해 지탱된다. ‘반지성주의’ 담론은 겉으로는 일부 정치인과 그를 지지하는 일반대중의 ‘지’의 퇴락을 얘기하고 있지만, 실은 그 이면에 국가라는 존재에 대한 긍정과, 그것의 정상적인 기능 회복에 대한 염원이 담겨져 있다. 일본에서 ‘반지성주의’는 일본이라는 ‘국가’의 지속에 큰 위협이 되는 요소를 드러내기 위한 말로서 출현하여, 그것을 통해 ‘국가란 무엇이며, 어떠해야 하는가?’ 라는 문제로 사람들을 유도하는 기능을 수행한 것이다. 마지막으로 ‘반지성주의’는 기득권 유지의 도구로서 전락한 ‘지’에 대한 실망감과 그곳으로부터 소외되었다고 하는 원한의 정서를 드러내는 한편, ‘지’가 더 이상 일부에 독점되지 않게 된 상황을 드러내는 말이기도 하다. 요컨대 ‘반지성주의’ 담론은 일견 지식인들의 지의 독점에 대한 반발을 문제시하지만, 실은 그 이면에 지식인에 의한 지의 독점이 쉽지 않아진 상황을 역설적으로 드러낸다. 이상의 고찰을 통해서 일본에서 ‘반-지성주의’는 그것으로 호명되는 대상 그 자체만이 아니라, 그것을 허용하는 정치 제도의 문제이며, 나아가 국가와 ‘지’에 대한 구성원들의 태도 변화까지도 드러내는 시대적 용어임을 확인할 수 있다.

      • KCI등재

        초자연주의 신앙에 대한 재고찰과 대안적인 신앙 모델 모색 - 한국개신교의 반지성주의 사례를 중심으로 -

        정강길 한신대학교 종교와문화연구소 2015 종교문화연구 Vol.- No.25

        This paper presents anti-intellectual cases of Christianity (Protestantism) in Korea. This cases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main kinds: superstitious behaviors, prejudice and aversion of non-Christian culture, Creationism and Intelligent Design groups. The question we have to ask here is anti- intellectualism’s problems of Christianity. I think that the central problem of anti-intellectualism of Christianity in Korea is the faith of super- naturalism. Especially, Creationism and Intelligent Design groups conflicts scientific theories. In the sense that, paradoxically these groups shows anti-intellectual aspects. I think that the cause of anti-intellectualism is the faith of supernaturalism. Consequently, the faith of supernaturalism is incompatible with the naturalism of modern science. From this viewpoint, we should make up some counter-plan for it. Finally, at this writing I propose a new model of developmental religious faith. 이 글에서는 한국개신교 내의 반지성주의 사례를 중심으로 그 유형들을 분석하고, 이러한 반지성주의 요인에는 초자연주의에 대한 종교 신앙이 핵심 원인으로 작동한다는 점을 논하고 있다. 먼저 한국개신교의 반지성주의적 사례들을 크게 3가지로 나누어 보는데 1) 초자연적인 신의 개입을 믿는 미신적 행태 2) 비기독교 문화에 대한 편견과 반감 3) 자연과학 진영과의 충돌이 바로 그것이다. 특히 현대 자연과학의 이론을 거부하는 세 번째 경우에선 창조론과 지적설계론을 내세우면서 오히려 자신들의 입장이 현대 자연과학의 이론보다 훨씬 더 지성적이고 과학적이라는 점을 내세우고 있기 때문에, 어떤 면에서 매우 역설적인 반지성주의 사례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이들은 과학의 자연주의를 무신론적인 것으로만 간주하는 오도된 이해를 보여줄 뿐만 아니라 그 맥락에선 여전히 초자연주의 신앙관을 유지하고 있는데, 그 점에서 볼 때 자연주의에 기초된 현대 과학 진영과의 충돌은 불가피하다고 판단된다. 그렇기 때문에 이 글에선 그에 대한 대안으로 발달론적인 신앙 유형이라는 새로운 신앙 모델도 함께 제안하고 있다

      • KCI등재

        포퓰리즘과 반지성주의: 라틴아메리카의 코로나19 대응을 중심으로

        이상현(Yi, Sang-Hyun) 한국외국어대학교 중남미연구소 2021 중남미연구 Vol.40 No.1

        본 연구는 포퓰리즘의 개념적 특징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에 본 연구는 포퓰리즘의 결정적 특징의 하나로 반지성주의(anti-intellectualism)를 제시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브라질의 보우소나루 정권과 멕시코의 로페스 오브라도르 정권의 코로나19 대응 정책 사례를 분석하고 포퓰리즘과 반지성주의의 밀접한 연관성을 밝혔다. 또한 본 연구는 브라질의 보우소나루 정권과 멕시코의 오브라도르 정권의 반지성주의적 태도가 코로나19 대응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라 교육정책 및 과학정책 등의 영역에서 지속적으로 발현되어 왔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특정 기득권 세력에 대한 도전과 저항을 의미하는 ‘반엘리트주의’ 뿐만 아니라, 과학과 지식을 수용하고 적용하는 것을 반대하는 ‘반지성주의’ 또한 포퓰리즘의 중요한 특징의 하나임을 보여준다. 즉 포퓰리즘 정치의 주체인 정치지도자가 정치 전략적으로 활용하는 반지성주의는 포퓰리즘 정치를 설명하는 주요한 특성의 하나이다. This study aims to reveal the conceptual characteristics of populism. To this end, this study presents anti-intellectualism as one of the decisive features of populism. In order to prove this, this study reveals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populism and anti-intellectualism through the case study of the responses to COVID-19 by the Bolsonaro regime in Brazil and the López Obrador regime in Mexico. In addition, this study shows that the anti-intellectual attitudes of the Bolsonaro regime in Brazil and those of the López Obrador regime in Mexico continue to emerge in areas such as education and science policies. In conclusion, this study shows that in addition to anti-elitism, anti-intellectualism is one of the important features of populism. In other words, anti-intellectualism, which is used strategically by political leaders, is one of the main characteristics that explain populism.

      • KCI등재

        계란머리에서 트럼피즘까지 - 미국의 반지성주의 연구 -

        김대중 ( Kim Dae-joong )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2 인문학연구 Vol.- No.63

        This essay aims to research on the genealogy of anti-intellectualism in America from the early American history to the modern or postmodern America by mostly delving into two books: Richard Hofstadter’s Anti-intellectualism in American Life, a masterpiece of American anti-intellectualism and Susan Jacoby’s The Age of American Unreason in a Culture of Lies, a recent book covering from 1960s to the current political situation in American politics. Anti-intellectualism, especially during the Trump administration, has found a voice in various media. Hofstadter’s book contains historical analysis of anti-intellectualism. Hofstadter digs out various evidences from the early American era to the 1960s focusing on self-help, populist democracy, sneer at intellectuals in politics, general education, etc. Hofstadter’s work, though criticized for elitism and political-bias, truthfully describes MaCarthysm, New Awakening as religious fanaticism, etc as causes of anti-intellectualism. In turn, the essay analyzes anti-intellectualism in America from 1960s to the 2020 with help of Susan Jacoby’s thought-breaking work in which she argues that anti-intellectualism has been part of American culture from 1960s to now. Jacoby elucidates the history of anti-intellectualism in both right and left wing.

      • KCI등재

        중국의 반지성주의 맥락과 시진핑 정권

        박종우 중국지역학회 2019 중국지역연구 Vol.6 No.3

        반지성주의는 한 신념(신앙, 이데올로기)에 기반하여 다른 신념에 대해 적의 를 품거나 그 신념이 제시하는 이상향을 비이성적이고 비합리적인 방식으로 실 현하고자 하는 열망 또는 운동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중국의 반지성주의는 마르크스주의의 중국화인 마오쩌둥사상에서 시작된다. 그 요체는 자본주의와 사회주의의 이데올로기 대립이 여전히 발생하고 있다고 보는 것이다. 이는 마르크스주의의 핵심이자, 마오쩌둥이 사회주의건설에서 가 장 역점을 둔 지점이기도 하다. 마오는 자본주의국가와 자본가계급이 존재하는 한 지속적으로 사회주의혁명을 해야 한다고 확신했다. 그렇지 않으면 사회주의 는 자본주의계급에 의해 다시 전복될 것이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마오는 사상 개조운동, 반우파투쟁, 문화대혁명을 일으켰다. 시진핑 역시 자본주의국가와 사회주의국가를 대립 관계로 파악한다. 자본주 의의 위협으로부터 사회주의를 지키기 위해서는 강력한 당과 사상적 무장이 필 수적이다. 이를 위해서는 마오의 방식이 매우 효과적이기 때문에 시진핑은 마 오의 방식으로 회귀하고자 한다. 시진핑은 강력한 1인지배체제 구축을 통하여 당을 강화시켜 사회주의를 자본주의의 위협으로부터 지키고 위대한 중화민족의 부흥인 중국몽을 달성하고자 한다. Anti-intellectualism can be defined as a desire or a movement that adheres to a particular principle(faith, ideology), through which one harbors animosity towards other principles or attempts to achieve the ideal as suggested by the principle using unreasonable and irrational means. The crux of China’s anti-intellectualism is that the conflict between capitalism and socialism persists. This is the core of Marxism, and the point which Mao Zedong placed the greatest emphasis in the construction of socialism. Mao was convinced that socialist revolutions had to be carried out continuously as long as there existed capitalist countries and the capitalist class, because otherwise, socialism would be toppled by the capitalist class. To this end, Mao initiated the Thought Reform Movement, Anti-Rightist Campaign, and the Cultural Revolution. Xi Jinping also sees capitalist and socialist countries as being locked in confrontational relationships. A strong party and ideological fortification are crucial in safeguarding socialism from the threat of capitalism. Since Mao’s methods are highly effective in achieving this aim, Xi Jinping hopes to revert to Mao’s way. Xi Jinping, in following Mao, aims to build a powerful system of one-man rule, through which to strengthen the party, thereby protecting socialism from the onslaught of capitalism, as well as realizing the China Dream–the revival of the great Chinese nation.

      • KCI등재

        전후 일본의 ‘반지성주의’와 마이너리티 - 양정명과 도미무라 준이치를 중심으로 -

        곽형덕 한국일본사상사학회 2018 일본사상 Vol.0 No.34

        이 글은 전후 일본의 마이너리티에 대한 ‘반지성주의’적 경향을 양정명과 도미무라 준이치의 사례를 중심으로 분석한 글이다. 재일조선인 양정명과 오키나와인 도미무라 준이치는 1970년에 각각 분신자살과 도쿄타워 점거사건을 일으키는 것으로 일본 내의 민족 차별과 전쟁 책임방기에 항의했다. 양정명의 분신자살은 자기 존재에 대한 비극적이고도 처절한 심판이었다. 양정명은 전공투 투쟁을 통해 일본 사회를 민주화시켜 자신을 둘러싼 민족 차별 문제를 해소시키려 했다. 하지만 학생운동이 퇴조하자 그는 자신의 갈 길을 잃었다. 귀화를 했지만 일본인으로 살아 갈 수 없고, 조선인으로서의 삶을 꿈꿨지만 그마저도 부정된 그의 삶은, 1970년에 끝났다. 하지만 우리는 양정명의 죽음을 그저 추도할 수만은 없다. 왜냐하면 그것은 끝나버린 과거가 아니라 현재에도 계속되는 헤이트스피치와 뿌리 깊이 이어져 있기 때문이다. 도미무라 준이치는 1970년 7월 도쿄타워에서 인질사건을 일으켰다. 그는 법정에서 일본 천황(天皇)의 전쟁책임과 일본제국주의의 전쟁책임을 정면으로 비판했다.도미무라의 도쿄타워 인질 사건은 일본을 역사의 재판에 세우기 위해 스스로 피고가 되기 위한 전략적 선택이었다. 일본 내 마이너리티를 향한 반지성주의적 경향은 전후민주주의가 융성하던 시기에도 뿌리 깊게 남아 있었다. 혁명의 에너지가 꺼져가자 일본인과 소수민족 사이의 구별선은 이전보다 가시화되기 시작했다. 1970년, 양정명과 도미무라 사건은 마이너리티를 향한 일본 사회의 차별과 식민주의적 위계가 소멸되지 않았음을 알리는 외침이었다. 그것은 끝난 과거의 목소리가 아니라 메아리로써 현재의 우리들에게 전달되고 있다. This article analyzes the tendency of ‘Anti-intellectualism’ with focusing on the case of Yang Jungmyung and the case of Junichi Tomimura after post-war Japan. Yang Jungmyung, a naturalized Japanese citizen, and Tomimura Junichi, an Okinawan, had protested the national discrimination and abandonment of Japanese war responsibility in Japan. Yang Jungmyung’s suicide was a tragic and sorrowful judgment of self-existence. Yang endeavored to democratize Japanese society through Zenkyoto student movement in order to escape from national discrimination in Japanese society. But when the student had movement collapsed, he lost his way. Although he was naturalized as Japanese, he was not able to live as a Japanese. Yang set himself alight and died in 1970. We are not able to just commemorate the memory of Yang’s death. This is because it is not the ending past. It is not difficult to say that hate speech against zainichi Korean which brought Yang’s death has threw its shadow in Japanese society. Tomimura Junichi caused the hostage case in Tokyo Tower in July 1970. In the courtroom he criticized the Japanese Emperor for war responsibility and colonialism of Japanese imperialism. Tomimura’s Tokyo Tower hostage case was a strategic choice to become a defendant himself in order to put Japan on trial of history. The anti-intellectual tendency toward minorities in Japan remained deeply rooted in the period of postwar democracy. When flame of the revolution was blown out, the distinction between Japanese and ethnic minorities became very clear. Yang Jungmyung and Tomimura Junichi’s outcries illuminate that the discrimination of Japanese society towards minorities and the colonial hierarchy had not been over. Their outcries are not an ending voice from the past, but an echo that is being conveyed to the present.

      • KCI우수등재

        아도르노와 반지성주의에 관한 성찰

        한상원(Sangwon Han) 한국철학회 2018 철학 Vol.0 No.135

        본 논문은 진리와 비진리가 구분되지 않는 오늘날의 ‘탈-사실’과 ‘페이크 뉴스’의 시대, 과연 어떠한 지성과 계몽의 역할이 필요한지, 이를 통해 어떠한 민주주의적 정치공동체와 대중지성의 상관성이 필요한지를 논하기 위해아도르노의 반지성주의 비판을 분석한다. 이 글은 근대적 계몽 기획이 어째서 반지성주의라는 역설적 귀결로 전도되었는가를 고찰하며, 이러한 반지성주의가 어째서 민주주의의 위협이 되는가, 대중지성의 창출을 위한 지식인의 역할은 무엇인가를 검토한다. 지식인의 역할은 민주적 정치공동체의 창출조건인 사회의 지성화, 그리고 대중의 주권자로서 주체화 과정을 위한 ‘사라지는 매개자’가 되는 일이다. 이 글은 반지성주의 비판이 바로 그러한 대중지성과 이를 기반으로 한 민주주의의 성장을 위해 이 매개자로서의 지식인이 수행해야 할 역할이라고 주장한다. This article inquires into which role of the enlightenment is needed in the epoch of the ‘post-truth’ and ‘fake news’. From this effor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mocratic political community and the public intellect will be discussed. For this discussion, it will be analysed why the modern project of the enlightenment was inverted to the paradoxical result of the anti-intellectualism, by adopting Adorno’s critique of it. From this view, it will be insisted that the critique of the anti-intellectualism is one of the important roles which the intellectuals as ‘vanishing mediators’ should implement for the collective intellect and the development of the democracy which relies on it.

      • KCI등재

        공적 이성으로서 종교적 이성에 관한 연구 - 미로슬라브 볼프를 중심으로

        김승환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2021 기독교사회윤리 Vol.51 No.-

        본 연구는 한국 개신교의 반지성주의의 행태를 비판하면서 교회의 공적 참여를 위해 공적 이성(public reason)으로서 종교적 이성(religious reason)의 가능성 제안한다. 신앙과 이성은 분리되지 않으며 후기세속사회에서 상호보완적인참여가 가능하다. 먼저 리처드 호프스태터(Richard Hofstadter)를 통해 미국 기독교의 반지성주의를 살피고 미국의 영향하에 있는 한국 교회의 반지성주의적특징을 설명할 것이다. 또한 종교적 이성이 어떻게 공적 이성에 기여 할 수 있는지 살피기 위해 존 롤즈(John Rawls)와 위르겐 하버마스(Jürgen Habermas)의공적 이성 개념을 살핀 후 종교적 이성의 자리를 찾아볼 것이다. 롤즈는 ‘중첩적합의’의 과정에서 합당한 교설로서 종교의 참여 가능성을 열어 놓으며, 하버마스는 공론장에서 ‘의사소통적 합리성’을 담보한 종교의 번역 가능성을 제안한다. 이들을 통해 공적 이성의 주요 특징인 상호성과 포용성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더 나아가 종교적 이성의 공적 이성의 가능성을 제안하고자 미로슬라브 볼프(Miroslav Volf)의 ‘확대된 사고’와 ‘이중 보기’로 통해 종교적 이성의 ‘합리성’, ‘포용성’, ‘공공성’을 제시할 것이다. This study criticizes the antiintellectualism of Korean Protestantism and pro- poses the possibility of religious reason as a public reason for the public participation of the church. The religious reason is not separated from public reason, and it is possible to participate complementarily in a post-secular society. First, through Richard Hofstadter, I will explore the anti-intellectualism of American Christianity and deal with the situation of the Korean church. In addition, to ex- plain how religious reason can contribute to public reason, I will investigate John Rawls and Jürgen Habermas’ concepts of public reason. Rawls accepts the possi- bility of religious participation as a reasonable doctrine in the process of ‘overlapping consensus.’ Habermas also suggests participation in religion that guarantees ‘communication rationality’ in the public sphere. Through these, reli- gious reason could be a component of the public sphere. Finally, this study examines Volf’s “enlarged thinking” and “double vision” to suggest “reasonableness,” “inclusiveness,” and “publicity” in religious reason.

      • KCI등재

        자유의 몽타주

        박구용 전남대학교 5.18연구소 2023 민주주의와 인권 Vol.23 No.4

        이 논문의 주된 목적은 자유 개념을 해체하면서 새로운 이미지로 재구성하기 위한 기초작업을 수행하는 것이다. 자유의 몽타주(montage)는 철학 텍스트와 현실 담론에 파편적으로 존재하는 알레고리들을 맥락에서 이탈시켜 무작위적으로 재배치하려는 일종의 에세이이다. 「자유의 몽타주」는 반지성주의적 자유가 확장되면서 오히려 사랑할 자유조차 위협받고 있는 현실에 주목한다. 「자유의 몽타주」에서 나는 반지성주의 정치의 이론적 뿌리를 <자연적 자유> 개념을 매개로 살펴본다(1). 나아가 나는 자유가 가능하기 위한 최소 조건인 타자가 체계적으로 추방될 수 있는 위험성을 인공지능에 대한 담론에서 찾아본다(2). 나는 타자의 추방이 생각할 자유, 경험할 자유, 인식할 자유만이 아니라 사랑할 자유까지 폐기한다는 점을 살핀다(3). 마지막으로 반지성주의 시대를 벗어날 출구를 상상한다(4).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arry out the basic work to reconstruct the concept of freedom into a new image. The montage of freedom is a type of essay that attempts to randomly rearrange allegories that exist fragmentarily in philosophical texts and real discourse by taking them out of their context. “Montage of Freedom” focuses on the reality that as anti-intellectual freedom expands, even the freedom to love is threatened. In “Montage of Freedom,” I examine the theoretical roots of anti- intellectualist politics through the concept of “natural freedom”(1). Furthermore, I look for the risk of systematically expelling others, which is the minimum condition for freedom, in the discourse on artificial intelligence(2). I observe that the expulsion of the other abolishes not only the freedom to think, experience, and perceive, but also the freedom to love(3). Lastly, imagine a way out of the era of anti-intellectualism(4).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