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국 근대화와 민족문화

        정갑영(Kap-young Choung) 한국사회이론학회 2016 사회이론 Vol.- No.50

        1962년 제 1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의 실행을 통해 우리나라의 공업화를 통한 근대화는 시작되었다. 근대화는 경제발전에 있어 커다란 업적을 이루었으나, 경제를 최상의 가치로 간주하는 경제제일주의가 사회적으로 만연하는 결과를 가져왔다는 비판에 자주 직면한다. 그러한 비판은 우리사회의 경제제일주의가 경제만을 강조한 산업화로서 근대화를 추진한 결과에서 비롯되었다고 주장한다. 이와 관련하여 이 글은 근대화 추진과정에서 경제발전만이 아니라 민족문화와 같은 문화적 가치를 강조한 민족문화 중흥과 같은 문화정책에 주목한다. 당시 근대화 추진세력은 소위 조국 근대화를 통해 경제발전만이 아니라 민족문화 중흥이라는 문화적 정신적 목표도 동시에 추구하였다. 이러한 민족문화의 이념적 바탕은 1950년대 형성된 국가주의적 민족담론에 두고 있다는 것이 이 글의 주장이다. 이 담론의 주체세력은 1952년 문화보호법 제정을 주도했으며 1950년대를 통해 우리나라의 지배적 담론세력이 되었다. 1961년 쿠데타를 통해 권력을 장악하고 근대화를 추진했던 세력도 이러한 담론에 크게 영향을 받았다. 근대화 주도세력이 초기부터 민족문화에 관심을 보이고 강조하는 것은 이러한 영향의 한 결과일 수 있다. 이렇게 수용된 민족문화 이념은 1972년 유신의 시작과 함께 문화정책을 통해 본격적인 제도화의 길을 걷는다. 문예진흥법 제정, 문예중흥 선언, 그리고 1,2차 문예중흥 5개년계획 등과 같은 문화정책을 통해 제도화된다. 유신의 종식 이후에도 제 5 공화국의 헌법 8조를 통해 민족문화는 지속될 뿐만 아니라 국가의 의무가 되어 버렸다. 유신체제에 저항하는 세력들도 민족문화 중흥과 같은 문화정책에 대해서는 근본적 비판을 하지 않았다. 이에 대한 대항담론이 형성되는 것은 격렬한 정치사회운동이 전개되었던 1980년대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에서 민족문화가 그 의미를 잃어가기 시작한 것은 세계화와 같은 외생적 변화에 기인한다. 다문화와 문화적 다양성이 강조되는 오늘날 민족문화는 그 의미가 크게 위축되었다. 그러나 민족문화 중흥 이념은 제도화된 헌법을 비롯한 각종 법률과 제도를 통해 오늘날까지 지속되고 있다. 이런 의미에서 1970년대 민족문화 중흥을 지향했던 문화정책의 이념적 바탕과 제도화 과정 및 영향을 살펴보는 것은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Modernization in Korea began by the industrialization with `the five year plan for economic development` in 1962, which achievement was enormous. But there is also a criticism that even of the successful economic development by modernization, it resulted in a wide spread belief of economism in Korea. Modernization in korea known as `modernization of the fatherland` had pursued not only the economic development but also the national culture. In other words economic development as materialism and the national culture as culturalism had been both pursued in the process of modernization of Korea. National culture in Korea has grown among the Korean intellectuals since they had encountered with modern western culture, which gave impetus to the modernization. The idea of `national culture` was developed from the discourse of nation with statism in the 1950s after the Korean war. The discourse of nation with the statism had influenced the cultural policy by driving force modernization. In this sense `modernization of fatherland` oriented not only to the economic development but also to the idea of national culture. With Yushin of revitalizing reform in 1972, a cultural policy for the restoration of Korean national culture began in earnest by a dictatorial government. Culture and Arts Promotion Act, declaration of national culture restoration and the five year plan for the culture and art restoration were carried out. This meant a governmental intervention in the Korean culture and art, and in the area of the life of people including their mind. Cultural policy for the restoration of Korean national culture discontinued after the death of president Park Chung-hee. Nevertheless the idea of national culture restoration was inherited through the institutionalization including the Article 8 of the new constitution of 5th Republic. Modernization in Korea continued with economic development as well as the idea of the restoration of national culture. Even though the meaning of nationalism and the national culture is weakened by the process of globalization nowadays, the idea of restoration of national culture continued in the Korean constitution and in the enforcement of cultual policy.

      • KCI등재

        한국적인 것의 전유를 둘러싼 경쟁 -민족중흥, 내재적 발전 그리고 대중문화의 흔적

        김원 ( Won Kim ) 한국사회사학회 2012 사회와 역사 Vol.0 No.93

        이 글은 한류, 한국전통, 한국문화 등이 문화상품 차원뿐만 아니라, 국격, 국민의 식 고양, 국민자긍심 고양 차원에서 제기되는 최근 ‘한국적인 것’에 대한 강조가 새로운 현상이 아니며, 그 반면교사는 이미 60년대 후반부터 70년대 초반에 등장했 던 ‘한국적인 것’의 창안에서 비롯되었음을 밝히는 것이다. 쿠데타 초기에 박정희 정권은 한국사를 매우 부정적인 것으로 파악했으며 서구적인 것에 대한 불신이 강했다. 하지만 60년대 후반 직후 민족주체성의 회복을 슬로건으로 ‘우리 것’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기 시작했다. 뿐만 아니라 지식사회에서도 1967년을 기점으로 정체성론, 반도론 등 식민사관을 극복하려고 내재적 발전론과 민족문학론을 구체화 시키기 시작했다. 이 시기에 한국적인 것의 전유를 둘러싼 경쟁이 시작되었다. ‘한국적인 것’을 둘러싼 경쟁이 일어난 배경은 중미수교, 동아시아 데탕트 그리 고 주한미군 철수 등 안보위기와 근대화에 따른 대중문화와 사회적 균열의 확대라 는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한국적인 것의 발명으로 한국적 인간형을 구축하기 위한 것이었다. 정부는 문화공보부, 문화재관리국 그리고 문예진흥원을 중심으로 진행 했던 문화-문예정책 그리고 급격히 확산된 대중문화에 대한 검열과 개입을 전개했 다. 문화정책은 민족문화와 전통문화의 우수성, 밝은 미래상 복원 등을 통해 창조적인 민족-국난극복의 의지를 복원하기 위한 것이었다. 또한 청년문화, 호스티스 영화, 텔레비전 드라마를 포함하는 대중문화에 대한 검열과 단속은 대중들의 욕망 과 감정을 한국적인/민족적인 것으로 대체할 것을 강요했다. 그러나 한국적인 것의 창안을 통해 국가/민족에 대한 감정적 애착과 새로운 인간형을 만들어 위기를 극복 하려는 의도는 절반의 성공이었다. 정부와 엘리트의 의도와 달리, 대중들은 대중문 화를 소비하며 자신의 욕망과 정체성을 구성하려고 했다. 확산된 대중문화의 지형 속에서 여공, 도시하층민, 식모, 청소년처럼 한국적인 인간형이나 민족문화의 의미 망에서 벗어난 주체들도 다양한 방식으로 존재했다. This paper is to argue that emphasis of recent ‘Things Korean’- for example Korean-Wave, Korean-Tradion, Korean-Culture- for the sake of enhancing national consciousness and national pride are not new phenomenon. The historical origin of ‘Things Korean’ rooted from invention of ‘Things Korean’ in era of Park, Jung-Hee government. After military coup, Park, Jung-Hee government regarded Korean History as negative past and had strong distrust about ‘the western’. But concern about ‘Things Korean’ increased in the name of recovering national identity after the late 1960s. From 1967 academic society stressed theory of indigenous development, theory of national-literature for the purpose of overcoming colonial view of history. From this point the competition began concerning appropriation of ‘Things Korean’. The historial background concerning appropriation of ‘Things Korean’ were crisis including asian detente, withdrawal of US forces in Korea and rapid social cleavages after modernization in 1960s. The purpose of inventing of ‘Things Korean’ were overcoming crisis by way of making new human type. The government evolved culture-art and literature policy performed by Ministry of Culture, Cultural Properties Administration, Arts Council Korea and populr culture policy including censorship of movie, television drama, media. The purpose of culture policy was restoring creative national identity, spirit of overcoming the national crises by stressing excellence of national culture and brighter image of future. The purpose of censorship and enforcement against popular culture including youth culture, hostess melo movie, television drama was regulating desire and emotion of masses for transforming nationalistic human type. But the intention of inventing ‘Things Korean’ for overcoming crisis by way of making new human type was half of the success. Unlike intention of government and elite, masses construct their own desire and social identity by consuming popular culture. Like factory, urban lower group, housemaid, there exited various different and heterogeneous subject escaping from national identity enforcing by government in expanding terrain of popular culture.

      • KCI등재

        윤봉길 의사 현양행사의 정치적 함의와 독립운동 이미지의 원용

        한상도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11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0 No.69

        This paper checked main domestic newspapers articles related to Yun Bonggil after 1945. So, this tried to reflect political backgrounds and undertones in image of his/Korea? independence movement which was created through various events for introducing and succeeding his spirit. The year of the US military governance was the time to liquidate the past of Japanese colonial rule and establish a new modern country. So, Korea became the arena of competition of various political powers. They argued to take the lead in the construction of new country by their own way. They should expand their public base and prepare footholds for their political activities. In the situation, they tried to identify themselves with the image of independent fighters, emphasize their image as a politician and show off their existence to the public. The right and left wing powers held the first commemorative event of the March 1st independence movement in two places, the Seoul stadium and the Namsan Park respectively in 1946. But about two months later, the two powers gathered together in the memorial event of Yun Bongil and lower their heads to him remembering historical meaning and value of his achievement. That was the power, prestige and morality of his achievement. However, before and after April 29th in next year(1947), news articles on the commemorative event of Yun Bongil were disappeared. Under the political competition for a government establishment and collaboration of the two powers, the event was outside interests of the press. It meant that past legacy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or ‘an independent fighter’ was dissolved in realistic politics. The current drift of political power received more attention than devotion to the country and to the people. Eespecially, the press defined ‘politicians’ as a group which ‘postponed independence of country by mudslinging and profanity’ and attacked that ‘they smeared each other and were criticized by the public’ in the event of placing remains of Yun Bonggil. It showed that placing remains of independent fighters became a political issue and their symbolic value was taken as a hostage of realistic politic at the time. The introducing events of Yun Bonggil were activated in the 1960s, the third republic. The image of the events coincided with purposes of ‘the national modernization’, ‘the national restoration’, a 5-year economic development plan and Saemaeul Movement by the republic. His image as an intellectual from the country might be suitable for political philosophy of president Park Jeunghui who aimed for the country modernization and economic restoration. Saemaeul Movement was originated from his enlightement movement in the country such as the Woljin Association월진회, the Reading Club독서회 and the Suam Athletic association수암체육회 and his devotion as an independent fighter was noticed as a basic value of the korean nationalism advocated by the third republic. Reviving the devotion to country and to people through his sacrifice, making of public opinion for introduction of it and holding memorial events could contribute to encourage a nationalism and make a totalitarian social system. 이 논문에서는 광복 후 국내에서 발간된 주요 신문기사를 중심으로, 그에 대한 현양ㆍ계승작업과 이를 통해 창출된 독립운동 이미지에 담겨 있는 정치적 배경과 그 함의를 되새겨 보고자 하였다. 해방정국기는 일제 식민지배의 잔영을 걷어내고, 새로운 근대국가를 수립해야 하는 시기였다. 그러기에 정치세력들이 제각기 국가건설의 주역을 자처하며, 새로운 민족국가의 집권세력이 되기 위한 경쟁과 각축을 벌이던 공간이기도 하였다. 이들은 대중을 상대로 자신의 지지기반을 확충하고, 정치활동의 토대를 마련해야 했다. 이럴 경우, 식민지시기 독립운동가의 이미지와 자신을 일체화시킬 수 있다면, 정치인으로서 자신의 이미지 부각과 존재감을 과시하는 데 큰 보탬을 얻을 수 있었을 것이다. 해방 후 처음 맞이한 1946년의 3ㆍ1운동 기념행사는 좌우익 세력에 의해 각기 서울운동장과 남산공원이라는 별도의 공간에서 치러졌다. 그런데 3ㆍ1운동 기념행사 이후 두 달여 만에 치러진 윤봉길 의거의 기념식에는 좌우익 주요 정치세력이 한 자리에 모여 윤봉길 의거의 역사적 의미와 가치 앞에 자신을 조아렸다. 이것이 윤봉길 의거에 부여된 힘이요, 권위요, 도덕률이었다. 그런데 이듬해(1947년) 4월 29일을 전후하여, 각급 신문에서 ‘윤봉길 의거’ 기념행사와 관련한 기사는 눈에 띠지 않았다. 좌우합작운동 및 정부 수립을 둘러싼 정치적 각축 속에서, 윤봉길 의거는 언론의 관심에서 비껴나 있었던 것이다. 이는 ‘독립운동’ 혹은 ‘독립운동가’라는 과거의 유산이 어느새 현실정치 환경 속으로 용해되어 버렸음을 말해준다. 과거의 애국ㆍ애족보다는 현실 정치권력의 향배가 더 중요했던 것이다. 특히 ‘정당인’을 “부질없이 욕설과 중상으로 독립을 늦추어지게 하는” 집단으로 규정하고, 이들이 윤의사의 유골 봉안에 있어서도, “추잡하게도 서로 찧고 까부려 또 추태를 보이고 있어, 일반의 찡그림을 받고 있다”고 하는 당시 언론의 지적은 윤봉길 등의 유골 봉환이 정치 이슈화되고 있음을 알려주며, 나아가 윤봉길 등 독립운동 선열의 상징적 가치가 해방정국기 정치현실의 볼모가 되었음을 알려준다. 윤봉길 의사에 대한 현양사업은 1960년대 제3공화국 시대에 활기를 띠었다. 현양사업은 제3공화국이 내건 ‘조국근대화’ ‘민족중흥’ 구호와 경제개발 5개년계획 및 새마을운동사업이 지향하는 목표에 부합하는 이미지였다. 농촌지식인 출신으로서 그의 이미지는 농촌의 근대화와 경제적 부흥을 지향한 박정희 대통령의 정치철학을 상징화하는 데 적합한 가치였다고 할 수 있다. 그의 농촌계몽운동은 새마을운동의 연원으로 원용될 만한 사실이었고, 독립운동가로서 헌신은 제3공화국 정부가 표방한 한국적 민족주의사상의 기본가치로 주목되었다. 그의 자기희생을 통한 애국ㆍ애족정신을 되살리고, 이를 현양하는 여론 조성과 기념사업은 민족주의의 고양과 이를 통한 전체주의적인 사회체제를 구축ㆍ운용하는 데에도 기여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제주 근대불교의 민족운동 재인식

        김광식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9 佛敎學報 Vol.0 No.89

        This review proposes to look afresh at the anti-Japanese movement and the national movement of the modern Buddhism in Jeju on the occasion of the 100th anniversary of the March First Movement. In other words, it is an attempt at taking a new perspective on the national movement of Jeju Buddhism at the time of the 100th anniversary of the outbreak of the truce and the 100th anniversary of the March First Movement. Until now, the anti-Japanese movement in Jeju has been studied and described in terms of Jeju's local history, the general anti-Japanese movement, and the history of religious movements. In the future, however, it is suggested that the nature and position of the movement should be explored in a historical and ideological context that maintains Jeju Island level as its focus. Within this context, I would like to explain the ideology and characteristics of the anti-court movement and propose to explore the search for the national movement of modern Buddhism in Jeju from a new point of view. He will depart from the existing points of view and investigate national Buddhist theory. In short, the path of national consciousness not only in terms of anti-Japanese sentiment but also in terms of self-awareness is seen in a friendly manner. In this regard, I would like to mention Baek ManHwa 박만하, the registration of Gwaneumsa (관음사, 1918), the rebuilding of the mountain village of Bong Ryangwan (봉려관, 1933), and the Woljeongsa Temple in Jeju (제주 월정사, 1938) Researchers have shown little interest in this topic. In particular, despite the importance of Woljeongsa and shortwave broadcasting events, there has been no access at all. Therfore, after thorough research this study attempts to come as near the truth as possible at this time. I hope that this article will be a reference for the study of modern Buddhism, modern Buddhist national movements, and the anti-Japanese movement within Buddhism. 본 고찰은 3․1운동 100주년에 즈음하여 제주 근대불교의 항일운동과 민족운동을 새롭게 보기를 제안하는 글이다. 즉 법정사 항쟁 발발 100년과 3․1운동 100주년을 맞는 시점에서 제주 불교의 민족운동에 대한 새로운 전망을 시도하려는 글이다. 지금껏 제주의 항일운동은 제주의 지방사, 항일운동사, 종교운동사의 관점에서 연구되고 서술되었다. 그러나 추후에는 기존 관점인 제주도 차원을 유의하면서도 운동의 성격 및 위상을 역사적, 사상적 맥락 하에서 모색하자고 제언한다. 이런 배경에서 필자는 법정사 항일운동의 이념 및 특성을 피력하고자 한다. 그리고 제주 근대불교의 민족운동의 모색을 새로운 관점에서 바라보자고 제안하였다. 그는 기존 항일적 관점에서 벗어나 민족불교론에서 보자는 것이다. 요컨대 항일뿐만 아니라 자주, 자각의 관점에서 행해진 민족의식의 노선도 우호적 입장에서 보자는 것이다. 이런 입론에서 필자는 박만하, 관음사 등록(1918), 봉려관의 산천단 재건(1933), 선학원 제주분원인 월정사(1938), 제주 항일 단파방송 사건(1944) 등을 거론하고자 한다. 지금껏 이런 주제에 대해서는 연구자들의 관심이 미약하였다. 특히 월정사와 단파방송 사건은 그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일체의 접근이 부재하였다. 그래서 필자는 그 관련 자료를 발굴하여 이번 기회에 진실에 접근하고자 하였다. 필자의 이 글이 제주 근대불교, 근대불교 민족운동, 불교의 항일운동 등의 연구에 참고가 되길 기대한다.

      • 제4차 교육과정기 미술 감상작품 분석

        고관희(Ko Koan Hee) 명지대학교 문화유산연구소 2016 미술사와 문화유산 Vol.5 No.-

        본 연구는 정부의 정책이 교과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궁금증에서 시작하였다. 시기를 제4차 교육과정기로 잡은 것은 정권 교체의 혼란기에 그 정당성을 확립하고자 하는 의도가 교과서에 얼만큼 관여했는지 알고 싶었기 때문이다. 교육과정의 변화는 정권의 교체기와 함께 이루어졌고 감상작품의 변화과정을 살피는 일은 정권의 성격이 미술 교과서에 어떻게 반영되었고, 영향을 미쳤는가를 알아보는 일이 될 것이다. 본고에서 중점적으로 다룬 제4차 교육과정기의 미술 교과서 감상작품을 통해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교수요목기에서 제7차 교육과정기까지 미술 교과서에 수록된 감상작품 수를 알아본 결과 감상작품 수가 가장 많은 시기는 제4차 교육과정기였다. 총238점의 감상작품 중 한국 작품이 211점이나 수록된 것은 매우 이례적인 일이었다. 선사시대부터 현대에 이르는 많은 작품을 통해 민족의 예술성과 우수성을 알리고자 한 의도로 볼 수 있다. 그러나 나열식의 산만한 구성과 인쇄 질의 저하로 좋은 감상을 하기에는 적절치 않았다. 둘째, 조선의 회화 작품이 다양하게 수록되었다. 4차 교육과정 이전에는 김득신과 신윤복 작품만이 미술교과서에 실렸다. 그러나 4차 교육과정에서는 김홍도와 정선의 작품이 더해져 조선시대 회화의 우수성을 더 많이 알리는 계기가 되었다. 이는 한국미술사에 대한 꾸준한 연구 성과의 결과였다. 셋째, 전통미술 작품의 수록이 많아졌다. 한국의 대표적인 탈인 <하회탈>, <북청사자놀이탈>, <양주별산대놀이탈>과 조선 후기 서민층 사이에 유행했던 민화가 처음으로 교과서에 실렸다. 서예교육도 강조되어 세 단원에 걸쳐 구성했을 정도로 학습량이 대폭 늘었다. 넷째, 민족중흥의 슬로건을 걸고 정치적 홍보성을 담은 작품이 대거 수록되었다. 박정희 정권에서 애국심을 부추기기 위해 제작했던 민족기록화가 미술교과서에서 감상작품으로 제시되었으며, 행사를 알리는 포스터 기능을 차용하여 국가 주도 사업을 전 국민에게 홍보하였다. 미술 교과서에 전 대통령의 글씨나 국가시책 홍보 포스터를 수록한 것은 전 교육과정기를 거쳐 처음 있는 일이었으며, 그 이후로도 일어나지 않았다. 제4차 교육과정기의 미술 교과서에 전통미술작품을 많이 수록함으로써 이에 대한 관심을 높일 수 있었다. 학생들은 전통미술 교육을 통하여 우리 문화의 우수성을 알게 되었고, 민족의 자긍심을 높일 수 있었다. 그러나 유신 독재 시대의 정신을 계승한 ‘민족 주체성’을 강조함으로써 일탈적이고 불균형적인 감상작품도 다수 제시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교육정책에 의해서 왜곡되고, 정치 편향적인 작품을 수록함으로써 미술 교육 본연의 뜻을 거슬렀다고 할 수 있다. 교육은 정치적 영향에 의해 파행적으로 실시되어서는 안 되며 보편타당성 있는 교육의 본질을 찾아 학생들에게 제공해야 할 의무가 있다. 정치색을 배제한 참된 미를 표현한 감상작품을 통하여 학생들은 올바른 미술사관을 가질 것이며, 참된 미의식을 고양시킬 수 있을 것이다. The study derives from raising the questions about the effect of the policy of government on textbook. The reason why I chose the fourth period as a period of curriculum is that I would like to know how much the intention of the government to establish the legitimacy was involved in the textbook during the troubled times where the regime was changed. The change of curriculum coincided with regime change. The research on the transformation process of artworks would be the study on how the characteristic of regime was reflected in the art textbook. First, I examined the number of artworks published in the art textbook from the pre-art curriculum period to the seventh period of curriculum. The period where the greatest number of the works is the fourth period. It is unusual that 211 works are Korean, among a total of 238 works. The department of education sought to inform a lot of works from the prehistoric age to the modern period. However, the unfocused composition which listed the works and the low quality of printing are inappropriate to appreciate the works. Second, the painting during the Choson dynasty. While before the fourth curriculum, the textbook only focused on the works by Kim Deuk-sin and Shin Yun-bok, the works of Kim Hong-do and Jeong-seon were added to the textbook in the fourth curriculum in order to promote the high quality of Choson painting. The untiring study on Korean art history have enabled the public to know Korean artworks and their artistic value. Third, the number of traditional artwork in the art textbook increased. Korean traditional masks were first published in the textbook, such as hahoe mask, Bukcheong Saja-nori mask, and Yangju Byeolsandae-nori mask. The education of calligraphy was highlighted, and the text book consisted of three chapters about calligraphy. This emphasis on the Korean traditional art increased the amount of the students’ education. Fourth, the works for the political propaganda which presents the slogan of the national restoration were published. in the textbook, the painting of national records were suggested as a propaganda of Park Chung-hee government to infuse patriotism. The propagandic posters of the national projects were included to promote the projects to the whole nation. It is the first case that the propagandic poster for the national projects and the calligraphy of the president were contained in the art textbook. After this curriculum period, such case has not happened. The art textbook of the fourth curriculum period included a large number of traditional art works, and it made students to be more interested in them and to have a national pride. On the other hand, the ‘national identity’ which inherits the spirit of dictatorship was emphasized, and the asymmetric composition of the works was suggested. I would argue that including the works distorted and biased by the government went against the essential meaning of art education. The education should not be executed by political influence, but be provided according to universal standards. Students are able to set up proper view of art history and aesthetic consciousness through the works of genuine art, excluding political color.

      • KCI등재

        1970년대 국전의 인물화 - 동양화 구상부 입상작 중심으로 -

        송희경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11 민족문화논총 Vol.48 No.-

        The 1970s were characterized by the predominance of a Korean-style democracy with its focus on national prosperity. Founded in 1949, the National Exhibition of Korean Fine Art prevailed as a powerful institution that, until its final show in 1981, wielded enormous influence over the art world. In particular, in relation to Gukhak brought forth to overcome the colonial historical perspectives that were entrenched since the Japanese occupation, the 1970s were characterized by a high regard for the traditions of Jingyeong Sansui painting, and the coinciding realization of its replicas called Sagyeong Sansui painting. However, despite being tarnished by an organization with feudalist characteristics and prizes that were awarded unfairly, the selected Oriental painting portraits were valued as having consistently sought more progressive means of realization, rather than turning their backs on demands of the time and tradition. Despite criticism of some tendencies to merely copy tradition, the portraits selected for the National Exhibition of Korean Fine Art in the 1970s began to achieve their own characteristic style of painting, different from the Sagyeong Sansui painting which had surfaced as one of the main genres. Above all, greater consideration is needed for the self-consciousness of these portrait painters who attempted to develop a contemporary mode of Korean painting among the traditional genres which were at that time on the brink of collapse. 1970년대는 민족중흥을 목적으로 한 한국적 민주주의가 사회전반에 확산된 시기였다. 정권의 정당성을 표명하기 위한 유신체제의 이데올로기는 국가 건설과 평화적 조국통일을 최종 목적으로 삼았고, 국민 단합과 경제 발전을 목표로 추진된 각종 사업은 미술계에도 적용되었다. 1949년 창설된 <대한민국미술전람회>는 1981년 폐지될 때까지 국가가 주도한 관전답게 미술계에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한 권력제도로 군림했다. 특히 1960~1970년대 국전은 일제강점기의 식민사관을 극복하기 위해 대두된 국학에 힘입어, 진경산수화 전통을 맹목적으로 상속한 사경산수화를 여전히 양산했다. 그러나 국전의 봉건적 성격과 편파적 수상에도 불구하고 동양화 구상부에 입상한 인물화 작가들은 전통과 시대의 변화를 외면하지 않은 채 보다 진전된 작업방식을 모색했다. 그들은 동양의 전통 화법을 재현했고, 일제강점기의 현상인 동양적 모더니즘과 향토색을 활용했다. 또한 건설적 노동과 성실한 생활의 상징인 서민근로자, 한국 고유문화를 전수하는 명인과 예인, 고전적 이미지의 여성상 등을 시각화하여 전통의 계승과 시대적 신화법의 창안을 동시에 성취했다. 따라서 이 글에서 논의한 인물화는 ‘전통장르의 위기’라는 비평계의 비판에도 불구하고 참신한 화법을 탐구한 1970년대 국전의 성과물이자 업적이다. 좌초 위기의 전통회화 가운데 현대한국화로의 변모를 모색한 인물화가 재평가되어야 할 시점이다.

      • KCI등재

        <雲水誌>의 중국 역사 수용 양상과 그 의미

        곽정식(Kwak, Jung-Sik) 한국문학회 2009 韓國文學論叢 Vol.53 No.-

        이 글은 <운수지>에서 중국 역사의 수용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으며,역사 사실을 바탕으로 작가가 어떻게 작품 내용을 허구화하는지 알아보고,또 이를 통해서 그 의미하는 바가 무엇인지를 살펴보려는 데 목적이 있다. <운수지>는 중국 南宋의 對金․對元抗爭이라는 역사적 사실에 바탕을 두되 작가에 의해 허구적인 재창조가 적극적으로 이루어진 작품이다. 먼저 金의 兀朮과 내통한 간신 秦檜․萬俟卨의 모함과 계략에 의해 충신 岳飛가 억울하게 죽었다고 하는 宋史의 사실 기록과는 달리 <운수지>에서 작가는 婚事문제로 私怨을 품은 王甲의 두 딸이 진회․만사설의 배필이 되어 악비의 寃死를 주도하는 것으로 그려냄으로써 난신적자의 부도덕성을 한층 강조하는 방향으로 재창조하였다.이어 옥황상제가 주재하는 사후세계를 배경으로 충의지사와 난신적자의 환생담을 결구하고,이를 바탕으로 남송의 對金․對元抗爭을 동시적으로 수용하는 가운데 송조 중흥의 허구적인 서사가 전개되는데,이때 진회․만사설과 그들의 처를 金․元의 태자․공주로 설정하여 이민족 오랑캐와 동일시함으로써 민족적 적개심을 반영하고 忠義의 뜻을 되새기게 하는 한편,충의지사중 악문용을 제외한 8인을 여성인물로 설정하고 이들을 중심으로 전개되는 남녀 결연담을 통해 소설을 읽는 재미와 함께 바람직한 결혼관을 제시하고자 하였다.끝으로 <운수지>에서 朱元璋의 明나라 건국을 계기로 송조 중흥의 허구적인 서사가 마무리되고 있는 것은 작가가 春秋의 大一統主義에 입각한 中華的正統論을 수용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This paper aims at recognizing the literary acceptance of chinese history and considering it's meaning in <Unsoochi>. As the time background of <Unsoochi> is just apart of history and also the principal characters are just connected the existential persons of history, we check the historical facts which areappeared in <Unsoochi> from 『Songsa』. <Unsoochi> is awork which describes the wrangle of South-Song dynasty against Gum and One as the other race's nation. <Unsoochi> generally referred to the record of『Songsa』when it was centering on the informations about characters and incidents. On the other hand, the relationship among the wrangle of South-Song dynasty against Gum and One as the other race's nations. was changing or expanding positively on the basis of historical record. From <Unsoochi>, we can find the positive acceptance of chinese history concerning the conflict between Akbi and Zinhwe as faithful retainer and traitor of South-Song dynasty. The writer is trying to explain the reason for the historical facts why Akbi died under a false accusation and failed in there construction of Song dynasty, This content is filled with fighting,revenge and sexual relationship between faithful retainer and traitor by the writer's extreme imagination. Though the historical facts are mentioned in fragments, we can find out that the author not only has deep knowledge of the wrangle against Gum and One as the other race's nations in the history of South-Song dynasty, but also in aware of <Mumokwangjungchungnok> as a chinse novel. This work showed us racial animosity and legitimism of Chine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