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북한의 문화재 보호관리기관 연구―‘민족유산보호국’의 변천과 최근 변화를 중심으로―

        남보라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22 民族文化硏究 Vol.94 No.-

        This study summarized the process of which the central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and management organization is being established by concentrating on the transition of the ‘National Authority for the Protection of Cultural Heritage’, which is a national heritage protection institution. Immediately after liberation from the Japanese rule, North Korea organized a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and management institution, and established the central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and management institution through the forming ‘The Department of Conservation of the Cultural Heritage’ in the 1970s after passing through a transition period. Although the name of the management institution was frequently changed, its major tasks showed a tendency of being embodied and institutionalized. Moreover, basic tasks such as collecting, evaluating, registering, and managing cultural heritage were also supported by the laws. Meanwhile, North Korea has exerted to register the cultural heritage to the UNESCO heritage from around 2000 to the latest and conducted the human and material exchanges as well as a project called ‘Introduction & Propaganda’ of North Korean cultural heritage through the exchanges between two Koreas and those with European countries such as France and Germany, which continued to immediately before the outbreak of COVID-19. In this process, it was an opportunity to accept ‘advanced technologies that meet global trends.’ 한반도의 문화재는 남과 북이 같은 역사를 공유했다는 실증의 산물로, 북한이 펼치는 문화재 보호관리정책은 북한만의 것이 아니라 한반도의 문화재를 함께 향유하기 위해 우리 모두의 지속적인 관심과 이해가 꼭 필요하다. 본 논문은 북한의 문화재 보호관리기관인 ‘민족유산보호국’의 변천에 집중하여 중앙 문화재 보호관리조직이 확립되어 가는 과정을 정리하였다. 북한은 해방 직후부터 문화재 보호관리기관을 조직하였고, 과도기를 거쳐 1970년대 ‘문화보존총국’을 수립하여 중앙 문화재 보호관리기관을 확립하였다. 관리 기관 명칭이 자주 변경되었지만 그 업무는 구체화되고 제도화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문화재 보호 대상뿐만 아니라 문화재 수집 및 평가와 등록, 보호 관리 등과 같은 기본 업무 역시 법으로 뒷받침하였다. 한편 북한은 2000년 전후부터 최근까지 유네스코 등록유산 등재를 위한 활동과 코로나-19 발생 전까지 이어진 프랑스와 독일 등과 같은 유럽국가와의 교류 및 남북 교류를 통한 북한 문화재 ‘소개선전’사업뿐만 아니라 인적⋅물적 교류를 진행하였고, 이 과정에서 ‘세계적인 추세에 맞는 선진기술’을 받아들일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현재 대북제재와 코로나-19의 영향으로 1980년대부터 꾸준하게 이어져 온 문화재 국제교류라는 외부동인이 제한된 상황이지만, 북한은 문화재 교류를 위해 ‘민족유산보호국’을 필두로 ‘조선민족유산보호기금’을 설립하고 ‘조선민족유산보존사’의 기능을 강화하였으며 최근까지 유네스코 등록유산에 대한 활동을 지속하고 있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후보

        북한의 무형문화유산 정책 동향 연구

        박영정 국립무형유산원 2019 무형유산 Vol.- No.7

        Expectations for inter-Korean cultural exchange have increased since the PanmunjomDeclaration in 2018. But the inter-Korean relations are in a stalemate, it is difficult to carryout projects right now. At the end of the nuclear negotiations, it is expected that exchangesand cooperation between the two Koreas will be activated in the field of intangible culturalheritage(ICH).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the ICH policies in North Korea is being promoted. It is oneof the preparations for the promotion of inter-Korean exchange cooperation in the field ofICH. Since fieldwork is not possible in North Korea, this study was conducted using the publiclyavailable literatures. Therefore, this study focused on the outline of North Korea's ICH policy. North Korea has been very active in its national efforts for the safeguarding of ICH since itsjoining of the Convention for the Safeguarding of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n 2008. Thecultural heritage policy direction of the country expanded its focus from Itangible heritage,which includes relics and remains, to include ICH. In 2012, the Cultural Heritage PreservationAct was established to lay a legal foundation for ICH policy. In 2015, the National HeritagePreservation Act was established, which was amended in 2019, offering an institutionalframework for policy implementation regarding ICH as ‘immaterial heritage’. In April 2019,Article 41 of the Socialist Constitution was modified to remove the wording ‘revivalism’ fromthe text, among other modifications, to further clarify the direction for ICH safeguarding policy. The maintenance of the legal system was followed by the identification and registration ofICH elements, led by the national heritage preservation agency. As of 2018, 108 elements wereregistered as ‘national immaterial heritage’ and 13 elements were listed as ‘local immaterialheritage’. Besides, there are various projects to introduce and disseminate the identified ICH. Theelements are introduced vis mass media, such as broadcasting and newspaper, and alsopresented to the general public through exhibitions, contests and events. As such, North Korea is actively implementing its ICH safeguarding policy. It is thus expectedto see more diverse exchange and cooperation between South Korea and North Korea in thefield of ICH. 판문점 선언 이후 남북문화교류에 대한 기대가 높아지고 있다. 남북 관계가 교착 상태에 있어 당장의 사업 추진은 어렵지만, 핵 협상이 일단락되는 시점에 이르면 무형문화유산 분야에서도 남북한 사이 교류와 협력이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이 연구는 향후 본격화할 남북 무형문화유산 교류 협력을 추진하기에 앞서 북한에서의 무형문화유산 정책이 어떻게 추진되고 있는 그 현황을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북한에서의 현지조사가 불가능한 상황에서공개된 자료를 중심으로 연구를 수행했기 때문에 전체적 윤곽을 그리는 데 중점을 두었다. 북한에서는 2008년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 보호협약」 가입을 계기로 무형문화유산 보호 사업을 국가정책으로 적극 추진하고 있다. 이후 유적이나 유물 등 유형문화유산 중심 문화유산 정책의 대전환이 이루어졌다. 2012년 「문화유산보호법」을 제정하여 무형문화유산 보호 정책의 법적 토대를 마련하였고, 2015년 「민족유산보호법」 제정, 2019년 「민족유산보호법」 수정·보충을 거치면서 ‘비물질유산’이라는 이름의 무형문화유산 보호 정책이 발전해 왔다. 특히 2019년 4월에는 「사회주의헌법」 제41조를 개정하여 ‘복고주의 반대’ 문구를 삭제함으로써 원형 전승을 포함하는 무형문화유산 보호 정책의 방향성을 분명히 하였다. 북한은 이러한 법 제도 정비에 이어 민족유산보호지도국을 중심으로 무형문화유산 발굴과 등록 사업을전개하여 2018년까지 108개 이르는 종목을 ‘국가비물질유산’으로, 13개에 이르는 종목을 ‘지방비물질유산’으로 등록하였다. 또한 북한에서는 무형문화유산의 등록 사업과 병행하여 소개와 보급 사업을 병행하고 있다. 방송이나 신문을 통해 등록된 무형문화유산을 소개하는가 하면, 각종 전시회나 경연대회, 경기대회 등을 통해 일반 대중에 대한 보급에도 노력하고 있다. 이와 같이 북한이 무형문화유산 분야에서 보호 정책을 적극 추진하는 만큼 남북한 사이에 무형문화유산교류와 협력은 구체적 영역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전개될 것으로 전망된다.

      • KCI등재

        남북한 문화재보호법제의 상호교류를 위한 기초의 연구:남한의 「문화재보호법」과 북한의 《민족유산보호법》의 비교

        안동인(Ahn Dongin) 중앙대학교 법학연구원 2021 法學論文集 Vol.45 No.2

        남북 관계의 발전적 개선을 위한 제도적 기초로서 법제정비지원을 통한 남북 간의 법제교류 증진이 요청된다. 다만 현재 교착되어 있는 남북 관계를 고려할 때, 우리는 남북 간에 공감대를 형성하면서 보다 쉽게 교류를 확대해 나갈 수 있는 분야에서부터 법제교류 및 법제정비지원을 도모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우리는 ‘문화재보호법제’를 그 대표적인 분야 가운데 하나로 평가할 수 있다. 이 연구는 북한의 문화재보호법제의 발전 및 변천과정을 살펴보고, 남북한 문화재보호법제의 주요 사항에 대한 비교・검토를 행함으로써 남북한 간 법제교류 및 법제정비지원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다만 특히 문화재보호법제는 민족적 긍지의 바탕에 작용하는 것으로서 남한 법제의 일방적 이식의 대상이 아니라 어디까지나 법제의 상호교류의 대상이며, 따라서 상당 부분 북한의 특수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법제의 상호교류 과정에서 남북한 간의 신뢰가 제고된다면, 장차 남북 사이의 문화적 동질성에 기초하여 통일을 모색하기 위한 일 방안으로서 남북한 간 문화협정을 체결하거나, 문화재와 관련한 민・관의 상호교류 및 협력을 보다 증진시키기 위한 남북합의서를 체결하는 방안도 강구해 볼 수 있을 것이다. 혹은 반대로 이와 같은 문화협정 내지 남북합의서의 체결을 통하여 남북한 간 법제의 상호교류가 보다 적극적으로 진전될 수도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와 같은 법제교류의 제도적 기초를 바탕으로 한반도의 문화재, 즉 민족문화유산의 보호를 위한 남북한의 협력방안을 보다 적극적으로 모색하여야 할 것이다. 그리고 현재 북한이 문화재 국제교류 및 세계유산 등재에 상당한 관심을 지니고 있는 점을 감안할 때, 기존의 경험과 성과를 바탕으로 남북한의 우수 문화재를 세계유산으로 등재하기 위한 남북 공동의 노력과 시도는 남북 관계의 개선을 위한 마중물로서의 역할을 충분히 해낼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이의 연장선상에서 해외 반출 문화재의 환수를 위한 남북 공동의 노력 역시 요청된다 할 것이다. As an institutional basis for the developmental improvement of inter­Korean relations, it is requested to promote legal exchange between the two Koreas through legal technical assistance. However, considering the inter­Korean relations that are currently stalemate, we need to promote legislative exchange and legal technical assistance in areas where exchanges can be expanded more easily while forming a consensus between the two Koreas. And we can evaluate the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Act as one of its representative fields. This study looked at the development and transition process of North Korea s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legislation, and compared and reviewed the major issues of the inter­Korean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legislation to provide basic data for successful inter­Korean legislative exchange and legal technical assistance. However, in particular, it is important to keep in mind that the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legislation works on the basis of national pride, and is not a subject of unilateral transplantation of the South Korean legislation, but a subject of cross­fertilization of legisla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specificity of North Korea to a large extent. If trust between the two Koreas is enhanced in the process of such legislative exchange, it may be possible to find a plan to conclude a cultural agreement between the two Koreas as a way to seek reunification based on cultural homogeneity between the two Koreas in the future.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devise a plan to conclude a South­North Korean agreement to further promote public­private exchanges and cooperation related to cultural heritage. On the contrary, it is thought that the inter­Korean legislative exchange could be promoted more actively through the conclusion of such cultural agreements or South­North Korean agreements. It is necessary to actively seek a plan for cooperation between the two Koreas to protect the cultural heritage of the Korean Peninsula, that is, national cultural heritage, based on the institutional basis for such legislative exchange. In addition, given that North Korea currently has considerable interest in international exchange of cultural heritage and World Heritage listing, the joint efforts and attempts by the two Koreas to list outstanding cultural heritage as a World Heritage Site based on previous experiences and achievements are expected to serve as priming water for improving inter­Korean relations. As an extension of this, joint efforts by the two Koreas to recover cultural heritage taken out of the country will also be called for.

      • KCI등재후보

        북한의 전통음악관련 무형유산의 전승과 남북한 협력 방안

        배인교 국립무형유산원 2019 무형유산 Vol.- No.7

        This article examined the North Korean leaders' perceptions of music as cultural heritages toseek future directions of the transmission of music as cultural heritages and perspectives forcooperation or mutual complementation of South Korea and North Korea. During the reign of Kim Il-sung , North Korea generally concentrated on the socialist or (north)Korean style succession of national cultural heritages. That is, North Korea did not leave themusic of the past as a thing of the past, but critically inherited it so that the music of the pastcould continue living in real life, and demanded the music of the past to melt modern senseson it. During the reign of Kim Jong Il , North Korea tended to emphasize national cultural heritagesmore than the reign of Kim Il-sung , but North Korean perceptions of national cultural heritage,especially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changed at the beginning of the 2000s. That is, alongwith modern succession of music as cultural heritages, North Korea began to be interested inthe preservation of the 'archetypes'. In the reign of Kim Jeong-eun , which began in December 2011, North Korea enactedthe 「National Heritage Protection Act」 (2015) in line with the global trend and it becamethe foundation for the registration of North Korean music as cultural heritages as UNESCO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of Humanity and the designation of those as national nonmaterialcultural heritages and local non-material cultural heritages. However, in contrastto the emphasis on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at the national level, it can be seen that theperformance and creation of national music in the field of music were not as active as inprevious periods. Therefore, in order to inherit the national common musical heritages in the times of SouthKorea-North Korea reconciliation, the efforts to identify and match the statuses of eachcountry's music culture while referring to the designation of cultural properties or culturalheritages based on the archetypes of region-based musical heritages should be made first. Furthermore, there is a need to widely educate that South Korea and North Korea havecommon musical heritages. Based on the basic recognition and understanding of the musicalheritages of South Korea and North Korea,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place to confirm thesuccession and development of South Korean and North Korean music as cultural heritages,and furthermore, the national homogeneity. 이 글은 북한 지도자들의 음악문화유산에 대한 인식을 살펴봄으로써 향후 남북의 음악문화유산 전승의방향과 협력, 혹은 상호 보완의 관점을 모색한 글이다. 김일성이 집권하던 시기에는 대체로 민족문화유산의 사회주의적, 혹은 (북)조선적 계승에 집중되어 있었다. 즉 과거의 음악을 과거의 것으로 남겨두지 않고 현실 생활에서 계속해서 살아 움직일 수 있도록 비판적계승을 하며, 그 위에 현대적인 감각을 녹여 낼 것을 요구하였다. 김정일 집권기에는 김일성 시대보다 더욱 민족문화유산을 강조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민족문화유산, 특히 무형유산에 대한 인식이 변화하였다. 즉 음악문화유산의 현대적 계승과 함께 ‘원형’의 보존에 관심을 갖기 시작하였다. 2011년 12월에 시작된 김정은시대에는 세계적인 추세에 발맞추어 「민족유산보호법」(2015)을 제정하였으며, 이는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와 국가비물질문화유산 및 지방비물질문화유산의 지정을 위한 기반이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국가 차원의 무형문화유산에 대한 강조와 달리 음악현장에서는 민족음악 연주와 창작이 이전 시기에 비해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모습을 찾아볼 수 있다. 따라서 남북한 화해의 시대에 민족 공동의 음악유산을 전승하기 위해서는 지역에 기반한 음악유산의 원형성을 기준으로 문화재, 혹은 문화유산 지정을 참고하면서 각국 음악문화의 상태를 확인하고 맞춰가는 노력부터 시작될 필요가 있으며, 나아가 남북한이 공동의 음악유산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널리 교육할 필요도있다. 이러한 남북의 음악유산에 대한 기본적 인식과 이해를 바탕으로 향후 남북한 음악문화유산의 계승과발전, 나아가 민족적 동질성을 확인하는 자리를 마련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북한의 문화유산 활용 방안(案)

        하문식(Ha Moon-Sig) 한국고대학회 2018 先史와 古代 Vol.- No.57

        Since the declaration of Panmunjom in April 2018, South and North Korea have been expecting the activation of inter-Korean exchanges. There will be a sweeping improvement in relations in national cultural heritage and other areas. Some of the ways to utilize the national cultural heritage in accordance with these inter-Korean exchanges and cooperation have been examined. The recently enacted ‘National Heritage Protection Act’ specifically explains the details of the provisions of the law and introduces the contents of the enforcement regulations of this law. Since Kim Jong Un s inauguration, the emphasis on the global trend and scientific development of the national heritage has been related not only to international exchanges but also to inter-Korean exchanges. Specific opinions on the use of cultural heritage in North Korea are divided into stages of reconciliation cooperation and inter-Korean cooperation according to the unification plan of the Korean community. During the reconciliation and cooperation, the exchange and utilization projects include regular academic conferences held by South and North Korea, excavation and preservation of the Koryo Palace, excavation of the Koguryo tomb, excavation of relics related to the Daedong River culture, and South-North joint investigation on the remains of South Korea. The steps of the inter-Korean alliance include a joint investigation of the inter-Korean Demilitarized Zone, excavation of Paleolithic sites in Pyongyang and Whanghae areas, and excavation of ruins related to the Namgang(Daedong River). 2018년 4월 남북한은 판문점선언 이후 많은 인식의 변화를 가져와 남북교류의 활성화가 기대되고 있다. 더불어 민족문화유산 등 다양한 분야에서 전면적으로 획기적인 관계 개선이 이루어질 것이다. 이글은 이러한남북교류와 협력에 따른 민족문화유산의 활용방안에 대한 몇 가지를 검토하였다. 먼저 북한의 매장문화재에 대한 관련 법규를 시대별로 언급하면서 그 배경을 살펴보았다. 특히 최근에 제정된 ‘민족유산보호법’은법 조항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 법의 시행 규정에 대한세부내용을소개하였다. 이러한법조항의변화배경은김정은시대의민족문화 유산정책의기본방향과관계가있는것으로밝혀졌다. 김정은 체제출범후민족문화유산의 세계적 추세와 과학화를 강조하였는데 이것은 국제교류는 물론 남북교류와도 관련있다. 북한의 문화유산 활용 방안에 관한 구체적인 의견은 민족공동체 통일방안에 따라 화해 협력 단계와 남북연합 단계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화해 협력 단계에서는 남북한의 교류와 활용을 지속적이고 일관성 있게 추진하기 위한 남북 민족문화유산 교류 협력에 대한 전담기구의 설치를 제안하였는데 전문성과 효율성의 고려가 전제되어야 한다. 화해 협력 단계에서의 실질적인 교류와 활용 사업은 남북한이 공동으로 개최하는 정기 학술토론회를 비롯하여 고려 궁성 발굴조사와 보존·정비, 고구려 고분 발굴조사, 대동강문화 관련 유적의 발굴, 남한 소재 유적에 대한 남북 공동조사 등을 대표적으로 제시하였다. 남북연합 단계는 화해 협력 단계에서 제시된 여러 사업의 지속적이고 확대 추진을 위한 수월성 문제를적극적으로검토하였다. 관련중요사업으로는궁예 도성을비롯한비무장지대남북한공동조사, 평양·황해지역구석기유적발굴조사, 남강(대동강) 유역관련유적발굴조사 등이 있다.

      • KCI등재

        북한의 문화유산 관리 현황 연구 - 지방의 유적 관리 사례를 중심으로 -

        김현우,이선복 국립문화재연구원 2019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Vol.52 No.4

        남북관계의 진전을 위한 수단이자 한반도의 역사와 문화를 연구하는 데 필수적인 자료라는 점에서 남한 사회에서 북한 문화유산에 대한 관심이 점차 높아지고 있다. 그에 따라 북한 소재 문화유산 자체를 넘어 그것의 관리 상황을 파악하고자 하는 시도가 꾸준히 이루어지게 되었다. 그러나 기존 연구의 대부분은 주로 법령을 통해 북한 문화유산의 관리 양상을 파악하고자 했는데, 법령만으로는 북한의 문화유산 관리 현황을 파악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 따라서 그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법령이 실제로 어떻게 적용 및 준수되는지, 그리고 법령에서 규정하지 않는 여러 부분들이 실제로는 어떻게 운영되고 있는지에 대해 면밀한 조사가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현행 <민족유산보호법>을 통해 북한의 문화유산 관리 체계를 검토하고, 비교적 최근까지 북한에서 역사유적감독원으로 근무하였던 탈북 인사를 섭외하여 인터뷰를 진행하였으며, 이를 통해 확인된 문화유산 관리 조직의 편제, 인력, 업무, 예산 등을 <민족유산보호법>의 내용과 비교함으로써 북한의 문화유산 관리의 실제에 접근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본고는 법령에서 확인할 수 없는 지방의 문화유산 관리 조직의 편제나 업무 등을 파악함과 동시에 내용이 모호했던 일부 조항의 시행 양상도 확인하였다. 그 과정에서 북한 문화유산의 열악한 관리 환경도 확인할 수 있었다. 다만 본 연구는 특정 지역 및 역사유적에 한정된 북한의 문화유산 관리 사례라는 점에서 이를 북한 전체로 확대 적용하는 것은 곤란하다. 따라서 북한 문화유산 관리 현황을 보다 객관적이고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층위의 자료를 수집하고 종합 및 교차 검증하는 것이 요구된다.

      • KCI등재

        김정은시대 북한의 문화유산정책 변화와 남북교류

        정창현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9 통일인문학 Vol.77 No.-

        This research investigated the detailed policy changes in Kim Jung Un era with a focus on the National Heritage Protection Act. After 2011 when Kim Jung Un became the leader of North Korea, North Korean authorities modified cultural heritage legislations and classification systems to come up with “global trends”. If South Korea were to seek cultural heritage exchange and cooperation, rigorous understanding of North Korean cultural heritage policies and management system is necessary. Under the new leader, North Korean authorities amended cultural heritage legislations three times and sought silli (actual benefits) by engaging in diverse foreign cultural exchanges and cooperations. They also showed particular interest in the nomination to UNESCO World Heritage as in seen in the clause of conducting “nomination activities for excellent material, non-material, and natural heritage to World Heritage lists” in 2015 National Heritage Protection Act. There remains limitation in North Korea’s cultural heritage cooperation with outside world under the condition of continuing UN sanctions and Korean Peninsula denuclearization issues. However, it is possible for South Korea to envision a vibrant cultural heritage cooperation with its non-political characters in case denuclearization and inter-Korean cooperation could be pursued separately. Two Koreas could cooperate in cultural artifacts conservation, joint excavation, exhibition, and conference, among others. In addition, they could cooperate in dealing with foreign-related issues such as collaboration for World Cultural Heritage nomination, prevention of cultural artifacts outflow, and redemption of artifacts in foreign countries. To build a solid foundation for inter-Korean cultural heritage cooperation, information sharing and database establishment of North Korea’s national artifacts, intangible heritages, natural heritages, and heritage building should be pursued as the first step. 본 연구는 북한의 전반적인 문화유산정책과 보존관리체계 속에서 민족유산보호법을 중심으로 최근 김정은시대에 변화된 정책기조와 세부 내용을분석한 것이다. 김정은체제 출범이후 북한은 ‘세계적 추세’를 수용해 문화유산 법제를정비하고, 일부 문화유산의 분류체계도 변경했다. 남과 북이 문화유산을매개로 소통하고, 교류하기 위해서는 먼저 북한의 문화유산 정책과 그 변화과정, 문화유산의 관리체계 등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김정은체제 등장이후 북한은 ‘세계적 추세’ 수용을 표방하며 세 차례 문화유산 관련 법제를 개정했고, 대외 문화교류를 통해 실리를 추구하고 있다. 특히 2015년 민족유산보호법에서는 “우수한 물질유산, 비물질유산, 자연유산들을 세계유산으로 등록하기 위한 활동”을 별도로 규정해 문화유산의적극적인 유네스코 유산 등재 의지를 보였다. 유엔 안보리의 대북제재가 지속되고 한반도비핵화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조건에서 북한의 남북, 해외 문화유산교류는 제한성을 가질 수밖에 없는상황이다. 다만 문화유산 교류는 비정치적 영역에 속하기 때문에 비핵화문제와 남북교류가 분리돼 두 갈래로 추진될 경우 향후 활성화 될 가능성이크다. 문화유산 분야의 남북교류는 문화유적 보존, 공동발굴, 상호 교환전시, 공동학술대회 등 추진해야 할 사업들이 많다. 또 세계문화유산 등재의 상호협조 및 문화재의 해외유출 방지, 해외소재 문화재의 환수 등 대외적인 문제에서도 남과 북은 협력사업을 진행할 수 있다. 남북 문화유산교류를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북한의 유적, 유물, 무형, 자연, 건축 등 문화유산별 DB구축이 선행되어야 하고, 자료를 공유하는 데 집중해야 한다.

      • KCI등재

        북한태권도의 문화유산 내용과 특성 연구

        홍성보,안배현 한국무예학회 2018 무예연구 Vol.12 No.4

        The purpose of the paper is to examine the process of Taekwondo as a representative national heritage in North Korea and confirm its cultural identity and social symbolism. To that end, the researchers examined the cultural heritage and Taekwondo articles from 1991 to August 2018 in North Korea's Rodong Sinmun, which describes North Korea's key policies. The following is a summary of the findings. First, Taekwondo is important in North Korea as part of its national strategy. Secondly, Taekwondo has gradually developed content and form in North Korea. Third, Taekwondo has a cultural identity and social symbolism in North Korea. Fourth, Taekwondo is protected as a representativ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n North Korea. During the Kim Jong Un era, North Korea's Taekwondo is considered a national sport to protect its national heritage, and it is activating traditional sports in various ways. North Korea's Taekwondo has a visible and diverse aspect that is explained in UNESCO'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이 논문의 목적은 북한에서 태권도가 대표적인 문화유산으로 되는 과정을 살펴본 다음, 북한태권도의 문화사회적 의미와 유산으로서의 가시성 등을 분석하여, 남북태권도의 유네스코 공동등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자는 이를 위해 북한의 주요 정책을 설명한 <로동신문>과 통일부가 제공한 <북한동향>에서 1991~2018년의 태권도와 문화유산 관련 글을 분석하였다. 이로부터 확인한 내용은 첫째, 북한에서 태권도 사업은 국가차원에서 중요하게 진행되어 온 것이다. 1980년대 태권도를 통한 민족의 대단결로부터, 1990년대 ‘조선민족제일주의’를 위한 ‘우리식 태권도’, 2000년대 ‘선군시대’를 상징하는 무도태권도, 2010년대 ‘사회주의문명국’을 위한 온 나라의 태권도열풍이 그것이다. 둘째, 북한에서 태권도는 점차 내용과 형식이 다양화된 것이다. 1980년대 국제태권도연맹의 경기대회 참가로부터, 1990년대 대중체육을 위한 건강태권도 보급, 2000년대 실전무도 중심의 국제무도대회 개최, 2010년대 비물질유산 지정 및 민족체육경기 활성화로 이어졌다. 셋째, 북한에서 태권도는 문화적 정체성과 사회적 상징성을 지니고 있다. 대동강 중심의 고구려 수박과 상무적 기풍이 고려를 지나 조선시대에 평양날파람(평양택견)으로 이어졌으며, 이들의 장점을 결합하여 현대화한 것이 북한태권도라면서 사회통합에 활용하고 있다. 넷째, 북한에서 태권도는 비물질유산으로 지정되어 보호되고 있다. 이처럼 북한태권도는 민족유산보호 차원에서 중요시되고 있으며, 다양한 형식과 내용으로 전통스포츠를 활성화하는 점에서 인류유산으로서의 가시성 측면이 있다.

      • KCI등재

        새로운 접촉지대의 모색, 무형문화유산: 인류무형문화유산 ‘씨름’을 중심으로

        이우영,남보라 북한대학원대학교 심연북한연구소 2019 현대북한연구 Vol.22 No.3

        Since North Korea joined the ‘Convention for the Safeguarding of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n 2008, within a decade South and North Korea jointly listed ‘Traditional Korean wrestling (Ssirum / Ssireum)’ a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CH). Internationally, South and North Korea seem to be competing; but through the joint listing of ‘Ssireum’ as ICH, the two demonstrated the ability to search for commonality to rescue them from their competition and still maintain their identity. We examine the impact of the ‘Convention for the Safeguarding of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nd the amendment of the Law on ICH in North Korea on the change of perception through the documents related to ‘Ssireum’ submitted for registration in 2015 and 2017.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s very important in the interactions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because it closely relates to the identity of the community. In the field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South and North Korea will be able to create various ‘contact zones’ through this convention as a centerpiece. 2008년 북한이 「무형문화유산의 보호를 위한 협약」에 가입한 이래로10년 만에 남과 북은 ‘씨름’을 공동 등재하였다. ‘아리랑’과 ‘조선민요 ≪아리랑≫’, ‘김치와 김장문화’와 ‘김치담그기풍습’은 ‘씨름’처럼 유사성이 매우 크지만 남과 북의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각각 등재되었다. 국제사회에는 남과 북이 경쟁하는 것으로 보일 수 있는 상황이었지만 이번 씨름의 공동등재를 통해서 경쟁에서 벗어나 각자의 정체성을 유지한채로 함께할 수 있는 사례가 되었다. 남과 북의 새로운 ‘접촉지대’ 모색에 앞서 「무형문화유산의 보호를 위한협약」이 북한에 끼친 영향과 북한의 무형문화유산 관련법의 변화를 통해북한이 생각하고 있는 무형문화유산에 관해 확인하였다. 또한, 2015년과2017년에 등재를 위해 제출한 씨름 관련 서류를 통해 무형유산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무형문화유산은 공동체의 정체성과 매우 밀접한관련을 맺고 있기 때문에 남과 북의 상호작용에서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무형문화유산 분야에서 남과 북은 「무형문화유산의 보호를 위한 협약」이라는 구심점을 통해 다양한 ‘접촉지대’를 만들어낼 기회가 될 것이다.

      • KCI등재

        아리랑, 김치 그리고 국가주의

        함한희(Hahm, Han-Hee) 비교민속학회 2016 비교민속학 Vol.0 No.59

        국내외에서 시행되는 무형문화유산의 보호 활동은 정치적 영역을 넘어서야하는 본래의 취지와는 다르게 국가중심주의로 흐르고 있다. 1980년대 이래 유네스코는 인류가 지켜온 문화를 보호하기 위해 국가 간의 협력을 강조하는 차원의 국제주의, 문화상대주의, 문화다양성과 정체성 중시의 원칙을 토대로 해서 협약을 만들었다. 최근에는 이 협약에 대한 성찰이 본격적으로 진행되면서 도전을 받고 있다. 본고에서는 이상적 문화보호운동의 강령인 협약이 확산되어 가는 과정에서 기대와는 다르게 국가주의도 확산되었다는 사실에 주목한다. 특히 인류무형문화유산 대표목록의 선정을 놓고 국가 간의 지나친 경쟁이 일어난다는 점을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남북한이 별도의 목록을 가지게 되면서 두 개의 다른 대표목록이 되어버린 아리랑과 김치의 사례를 든다. 이는 지금까지 다국가목록 등재를 권고해 온 유네스코 협약의 입장으로 보아도 이율배반적이다. 이 사건을 중심으로 남북한의 국내 보호정책에는 어떤 변화가 있었는지, 유네스코의 대표목록 중복등재 허용과 다국가등재 정책과는 어떻게 충돌하는것인지 등의 질문을 던져본다. 그리고 나서 두 가지 방향에서 답을 구하고자 한다. 첫째로는, 남북한 각각 국내 보호정책의 변화 양상을 살펴본다. 둘째로는, 국가중심주의가 최근 유네스코가 지향하고 있는 다국가등재 정책과 모순된다는 점을 중점적으로 다룬다. 이같이 비판적인 성찰을 하는 이유는 남북한이 앞으로 공동의 목록 발굴 및 보전 방안 마련을 위한 공조체제의 가능성을 타진하기 위함이다. 궁극적으로는 남북한이 공유하는 무형문화유산의 보호와 전승을 위한 자발적인 논의와 목록화 실천이 시급하다는 점을 일깨우고자 한다. The safeguarding movement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CH) practiced both in national and international levels is expected to be non-political but challenged by the state-centered campaigns and strategies of each country. Since the 1980s, UNESCO has endeavored to establish the Convention whose spirit is developed on the basis of international cooperation, cultural relativism, cultural diversity and cultural identification. On the one hand, the value of the convention has been widely recognized by the member states, on the other hand, statism has also gained its power in domestic and international safeguarding activities. This paper critically discusses this issue. In particular, the UNESCO’s Representative Lists (RL) of ICH inscription process is getting more and more competitive among the member states. To earn more international reputation through the inscription of RL, South and North Koreas have respectively changed their existent legal systems into the ones oriented to the Convention. In these processes, the domestic safeguarding policies are screwed while UNESCO shows its ironic attitudes toward the selection process of Arirang and Kimchi- making of North Korea. More specifically, this paper will ask the following questions about how the domestic policies of the South and North have changed in order to inscribe the elements of Arirang and Kimchi-making, how UNESCO allows North Korea to be inscribed the two elements as RL, and how the latter contrasts with the policy of multinational ICH inscription which has been strongly encouraged by the Convention. To answer these questions, two ways of examination are sought. One is to explore each country’s domestic policies of ICH safeguarding which have recently established. The other is to study the state-centered competitive inscription process which seems to be contradictory with the encouraged principle of multinational lists by the Convention. The purpose of such a critical reflecti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is to eventuate in building a cooperative system for the multinational inscription. In final, it is urgent for the two states to make a shared inventory of ICH in a cooperative way rather than leaning to the outside for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