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적 체험 교육에서 미적판단 : Levinson의 절충적 실재론을 중심으로

        공완욱(Wanwook KONG) 한국조형교육학회 2024 造形敎育 Vol.91 No.-

        미적 체험 교육은 미적 대상에 대한 우리의 인식과 감성을 풍부하게 하고 주변 세계와 시각적으로 소통하는 능력을 향상시키므로 중요하다. 그러나 미술 수업에서 미적 체험을 가르친다는 것에는 많은 오해와 어려움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명확하고 체계적인 접근 방식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미적 체험이 근본적으로 미적판단에서 시작된다고 가정하며, 이 측면에 대해 심층적으로 고찰한다. 연구 문제는 첫째, 미적 체험 교육에서 미적판단의 이해가 작용하는 어떻게 작용하는가? 둘째, 미술교육에서 미적 체험 교육을 개선하기 위해 레빈슨의 절충적 실재론을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가? 이다. 미적판단에서 객관성과 주관성의 적절한 균형을 유지하는 Levinson의 절충적 실재론을 탐구하고, 이를 미적 체험 교육에서 구현하기 위한 방향을 제안한다. Levinson의 이론적 틀은 미적 체험의 분석적 차원과 개인적 차원을 모두 개발하기 위한 방향성을 보여주어 미술교육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미적판단에 대한 이러한 기준의 설정은 학생들이 미적 체험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와 심미적 감성을 함양하기 위한 교육과정의 설계, 수업, 평가에 있어 구체적인 도구가 될 수 있다. Levinson의 절충적 실재론을 미적 체험 교육에 반영함으로써 보다 균형 있고 효과적인 미술교육을 제공하여 학생들의 미적 체험과 미적 판단력을 풍부하게 할 수 있다. Teaching aesthetic experience is important because it enriches our awareness and appreciation of aes-thetic objects and improves our ability to communicate visually with the world around us. However, there are many misconceptions and difficulties when it comes to teaching aesthetic experience in art classes. To address this, a clear and systematic approach is needed. This study assumes that aesthetic experience is fundamentally based on aesthetic judgment, and this aspect is explored in depth. The research questions are: First, how does the understanding of aesthetic judgment work in aesthetic experience education? Second, how can Levinson's eclectic realism be applied to improve aesthetic experience education in art education? This paper explores Levinson's eclectic realism, which maintains an appropriate balance of objectivity and sub-jectivity in aesthetic judgment, and proposes directions for its implementation in aesthetic experiential education. Levinson's theoretical framework provides a direction for developing both the analytical and person-al dimensions of aesthetic experience, which can be utilized in art education. The establishment of these cri-teria for aesthetic judgment can be a concrete tool in the design, teaching, and assessment of curricula to help students develop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aesthetic experience and aesthetic sensitivity. By incorporating Levinson's eclectic realism into the teaching of aesthetic experience, we can provide more bal-anced and effective art education to enrich students' aesthetic experience and aesthetic judgment.

      • KCI등재

        검도 실천자의 미적 체험구조

        이상호,이동건 한국체육철학회 2010 움직임의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Vol.18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lineate the meaning of aesthetic experience of occurring in sport aesthetics from the perspective of performer. The aesthetic experience having Kumdo's performer is one of many methods to appreciate the essence of Kumdo. The results of this thesis are as follows: First, the foundation of aesthetic comprehension in the sport performer is ‘aesthetic’ concept involving the sensuous meaning. The aesthetic experience of performer, first of all, has to understand in connection with the sensation felt in body. Whenever we do exercise, we have the kinesthesia that performer‘s body experiences. The performer has the ’feeling‘ based on kinesthesia. I will consider the performer's kinesthesia as ‘feeling of Ki’. Second, the aesthetic experience rising in performer depends on according to the given exercise situations. Namely, aesthetic experience differently evolves according to objective constituent elements. The constituent elements of aesthetic experience in Kumdo are as follows: spatial beauty, ontological beauty, technical beauty, time beauty. This constituent elements are based on ‘feeling of Ki’ that Kumdo performer might feel. Third, the aesthetic experience of performer becomes operative when both the kinesthesia and in which aesthetic feeling represented are in harmonizing flow each other. The 'feeling of Ki of performer in Kumdo experiences as taste in Kumdo performer in connection with objective constituent elements of Kumdo. In conclusion, the 'feeling of Ki' of performer in Kumdo is ‘taste in feeling of Ki’. We feel the satisfaction when we accurately get the attack point. And have self-satisfaction Kumdo’s technique, the unification of the Ki(氣), Jian,(劍) and Ti(體), innately feels. That gives the ‘taste’ that aesthetic experience has fulfilled. In which performer experiences ‘taste in feeling of Ki’. 본 연구는 검도 실천자가 가지는 미적 체험의 입장에서 검도 미학의 의미를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검도 실천자가 가지는 미적 체험구조는 검도의 본질을 이해하는 하나의 방법이다. 이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검도 실천자의 미학적 이해의 기초는 감각적인 의미를 가진 ‘미적’개념이다. 신체가 느끼는 감각에서 먼저 실천자의 미적 체험을 이해하여야 한다. 우리가 운동할 때 신체가 체험하는 것은 운동감각이므로 실천자는 운동감각을 기반으로 하는 ‘감’을 가지고 있다. 검도에서 실천자의 운동감각은 ‘기감’이라 할 수 있다. 둘째, 실천자에게 일어나는 미적 체험은 주어진 운동 상황에 따라 상이하게 나타난다. 즉 미적 체험을 형성하는 객관적인 구성요소에 따라 미적 체험은 다르게 전개된다. 검도에서의 객관적인 미적 체험의 구성요소는 공간미, 존재미, 기술미, 시간미로 세분화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요소는 검도 실천자가 느끼는 ‘기감의 맛’의 근거가 된다. 셋째, 검도 실천자의 미적 체험은 운동감각과 그 속에서 표출되는 미적 감정이 조화롭게 양자의 흐름 속에서 이루어진다. 이것을 바탕으로 하는 실천자의 ‘기감’은 검도의 객관적인 미적 체험의 구성요소와 결합하여 검도 실천자에게 ‘맛’으로 체험된다. 따라서 검도에서 실천자의 미적 체험은 한마디로 ‘기감의 맛’이다. 검도의 실천자는 검도의 격자 부분을 정확히 가격하였다는 느낌과 기․검․체일치가 이루어진 기술이었다는 자신의 만족감, 즉 ‘맛’을 볼 때 ‘기감의 맛’을 체험한다.

      • KCI등재

        시각문화 속 미적 체험에 관한 매체적 고찰

        최수영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2008 미술교육연구논총 Vol.23 No.-

        Members of modern society cannot avoid getting experience through media. Media change their life as well as make their life. The most important role is that media is contacted and taken in the process of experience. This experience about doing by oneself is more close than common experience. Now, modern electronic media are not imperceptible only one sense but can be made perceptibly using every senses. Perception experience used all of senses is aesthetic experience in media. In phenomenology, experience is not experience passed through routinely but essence of object. It is directly contacted and felt that the experience about essence of object is. The experience that is course learning on right way about world, and this way is a part about experience through media. The aesthetic experience is not only subjective active but also gets potential in relation to intelligence, the ability to think and intuition of variety individual. In art education, the subjective character of aesthetic experience conducts educational direction. The quality and quantity of experiences in individual background should be explained to put emphasis the student for education. The aesthetic experience in visual culture is different to one from the past. The aesthetic experience in visual culture focuses on the aesthetic subject, one an end in itself as well. This study would illuminate an element and character of aesthetic experience changed the past as well as conduct the direction of aesthetic experience. 현대의 매체는 문화와 사회의 일부이며 시각문화안의 사회 구성원들은 자신들의 경험의 대부분을 매체를 통해 얻는다. 매체를 통해 접하게 되는 경험은 구성원들의 삶을 변화시키고 삶의 구성요소로 작용한다. 이런 경험은 매체를 직접 접하며 지각하는 과정으로 경험보다는 체험에 가깝다. 매체를 접하고 받아들여 자신의 일부로 만드는 과정 속에 체험의 과정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 현대의 전자 매체는 한 가지 감각으로만 지각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모든 감각을 동원하여 지각하도록 만들어졌다. 모든 감각이 동원된 지각의 체험이 매체 속의 미적 체험이다. 현상학에서 체험은 개인이 일상적으로 겪는 경험이 아닌 대상의 본질에 대한 경험을 의미한다. 대상의 본질에 대한 바른 경험은 본질을 직접적으로 느끼는 것이며 접촉하는 것이다. 몸으로 지각하는 경험, 즉 체험이야 말로 개인이 세계를 바르게 알아갈 수 있는 과정이며 이 같은 과정은 매체를 통한 체험의 과정과 통하는 부분이다. 미적 체험은 주관적인 활동이며 다양한 개인의 직관과 지성, 사고 능력까지 연관 지을 수 있는 잠재성을 가지고 있다. 미적 체험의 주관성은 미술교육 안에서의 미적체험 교육의 방향을 제시한다. 개인의 배경에 따른 체험의 질과 양은 미적체험 교육에서 체험의 주체 중심의 교육을 해야 하는 당위성을 설명해준다. 시각문화 환경 속의 미적 체험은 과거 사회 속의 미적 체험과는 성격이 다르다. 시각문화 속의 미적 체험은 미적 주체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과정뿐만 아니라 미적 주체 그 자체까지를 포함하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과거와 달라진 시각문화 속의 미적 체험 요소와 미적 체험의 성격을 밝히고 시각문화 속 미적체험 교육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미적체험’예술교육이 청소년의 문화예술 향유인식에 미치는 영향 : ‘서울창의예술 중점운영학교’를 중심으로

        하수연 경희대학교 문화예술경영연구소 2012 문화예술경영 Vol.2 No.-

        이 연구는 다양한 분야에서 그 중요성이 인식되고 있는 청소년 문화예술교육의 흐름이 단순한 장르통합의 수준을 넘어, 심미적 사고를 지닌 다차원적 문화예술향유자를 양성하는 방향으로 전환되어야 한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참여자의 ‘미적체험(Aesthetic Experience)’을 극대화하는 예술교육과 더불어 그와 연계된 ‘미적체험활동’의 중요성을 인식하는 것은, 문화예술향유를 일상으로 여기고 예술을 옹호하는 적극적인 미래의 문화소비자를 양성하는 목표로 연결된다고 보았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문화예술관람・교육・활동’이라는 ‘미적체험활동’에 대한 문화예술 향유인식의 관계를 지적, 정서적, 실천적 범주에 따라 살펴보았다. 미적체험예술교육의 효과가 청소년의 문화예술향유 인식확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얻어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적 교육효과가 높은 학생의 경우, 문화예술참여 ‘욕구’에 따라 문화예술‘관람’과 ‘예술교육’에 대한 향유인식이 확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식’이 높아짐에 따라 미적체험예술교육에서의 심화된 문화예술 ‘체험’에 대한 향유인식 확대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서적 교육효과가 높은 학생의 경우, 문화예술참여 ‘욕구’에 따라 문화예술‘관람’과 더불어 직접 참여할 수 있는 문화예술‘체험’활동에 대한 향유인식이 확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실천적 교육효과가 높은 학생의 경우, 문화예술참여 ‘욕구’와 ‘인식’에 따라서 문화예술 ‘관람’ 위주의 문화예술 향유인식이 확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문화예술참여에 대한 욕구 및 중요성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예술교육 각각의 효과를 측정한 것을 기반으로 체계적이고 단계적인 문화예술향유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미적체험예술교육과 연계시키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그를 위하여 ‘미적체험’예술교육의 효과를 측정하는 루브릭 모델을 활용하여 교육의 효과를 측정하고, 본 연구 결과에서 도출된 각각의 문화예술향유 인식확대 분야를 연계하여, 능동적이고 주도적으로 참여 가능한 미적체험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사회・문화적, 제도적 지원과 관심이 활발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is research began from the recognition of the problem in which the flow of the cultural art education for the adolescent which is recognized for its importance in various fields needs i) to exceed the level of simple integration of genres, and ii) to be converted in the direction of training the multi-dimensional cultural and art enjoyers who have aesthetic thinking. The researcher believed that the art education that maximizes the aesthetic experience of participants and the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aesthetic experience’, suggested the direction in terms of regarding the cultural art enjoyment as the daily life as well as training the active cultural consumers of future who support the arts. In this paper, the focus was made on the educational effect of aesthetic experience cultural education that can be distinguished in three categories: intellectual, emotional, and practical, and on the relationships among the cultural art enjoyment about the aesthetic experience activities called ‘cultural art watching-education-activities’. The hypothesis for examining the influence of the aesthetic experience art education on the expansion of recognition of cultural art enjoyment of the adolescent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conclusion that was obtaine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survey and interview data based on the research hypothesis is as follows. First, as for the case of the students with high intellectual educational effects, it was shown that the enjoyment recognition about the cultural ‘education’ that can maximize the cultural art ‘viewing’ and aesthetic experience according to the ‘desire’ of cultural art participation was expanded. Also, it was shown that as the ‘recognition’ increased, the expansion of enjoyment recognition about the intensified cultural art ‘experience’ in aesthetic experience art education was affected as well. Second, in case of the students with high emotional educational effects, it was shown that the enjoyment recognition about the cultural art ‘experience’ activities that allows them to directly participate in along with viewing the cultural arts according to the ‘desire’ of cultural art participation, was being expanded. Third, in case of the students with high practical educational effects, the cultural art ‘viewing’ - oriented cultural art enjoyment recognition according to the ‘desire’ and ‘recognition’ was being expanded. Eventually,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recognition about the desire and importance of cultural art participation, and develop systematic and phased cultural art enjoyment program based on the measurement of each of the effects of art education, and relate it to aesthetic experience art education. For that, it would be necessary to measure the educational effects by utilizing the Rubric Model that measures the effects of ‘aesthetic experience’ art education, and to have social, cultural, and systematic supports and interests about the development of aesthetic experience programs that can influence the recognition expansion to be realized.

      • KCI등재

        태권도 회전발차기 실천자의 미적 체험 구조

        권혁정 한국스포츠학회 2019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7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structure of the aesthetic experience experienced by practitioners of Taekwondo. For this purpose, the aesthetic experience structure of the practitioner was acquired as a motor sensational perception, and based on the personality(諸性格)of aesthetic mood suggested by 樋口 聰(1987). This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aesthetic experience of the revolution kick can be said to be spatial beauty as an aesthetic mood. In other words, The space is a competition place, and the movement of the practitioner is formed by the aesthetic experience. Second, the aesthetic experience of the revolution kick can be said to have been ontological beauty in competitive situations and at a high technical level. In other words, the practitioner has reached the level of the kick in the technical area above the level, and it is the aesthetical feeling that has high technical level and efficiency. Third, the technical realization of the revolution kick can be called aesthetic experience as technical beauty. In other words, it is realized by the acquisition of skills and skills as an action by the exercise sensation. Fourth, the aesthetic experience of the kicking practitioner can be said to be time beauty as an aesthetical feeling in time succession. In other words, it is an aesthetic experience in which the practitioner's rotation and the kicking technique are expressed. Therefore, spatial beauty, ontological beauty, technical beauty, and time beauty by the aesthetic experience of the Taekwondo revolution kick practitioner are important as aesthetic values of Taekwondo philosophy. 이 연구는 태권도 회전발차가 실천자가 체험하는 미적 체험의 구조를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실천자의 미적 체험 구조를 운동감각적 지각으로서 획득하고 樋口 聰(1987)이 제시한 미적 기분의 제성격(諸性格)을 토대로 구명하였다. 이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회전발차기 실천자의 미적 체험은 미적 기분으로서 공간미라고 할 수 있다. 즉 공간은 시합장소로서 실천자의 운동적 행동이 미적 체험으로 형성된다. 둘째, 회전발차기 실천자의 미적 체험은 경쟁적 상황과 높은 기술적 수준에서 획득한 존재미라고 할 수 있다. 즉 실천자가 회전발차기 수준을 기술적 영역 안에서 수준 이상까지 도달한 상태로서 높은 기술적 수준과 효율성을 지닐 때 느끼는 미적 기분이다. 셋째, 회전발차기 실천자의 기술 실현은 미적 기분으로서 미적 체험을 기술미라고 할 수 있다. 즉 실천자의 운동감각에 의한 행위로써 기술의 습득이나 기술에 의해 실현된다. 넷째, 회전발차기 실천자의 미적 체험은 시간 연속상의 미적 기분으로서 시간미라고 할 수 있다. 즉 실천자의 회전의 연속과 발차기 기술의 연속으로 표출되는 데서의 미적 체험이다. 따라서 태권도 회전발차기 실천자의 미적 체험에 의한 공간미, 존재미, 기술미, 시간미는 태권도 철학의 미적 가치로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 지신밟기에 담긴 `벽사진경(辟邪進慶)` 의 미적 의미

        김재홍(Kim Jaehong) 민족미학회 2015 민족미학 Vol.14 No.1

        본 연구는 공동체의 새로움을 맞이하는 집단 행사이며 동시에 개인의 바람을 기원하는 `지신밟기`에 대한 미학적인 고찰이다. 지신밟기는 해가 바뀌는 새해의 들머리에 통과의례로서 집단 구성원 또는 초청된 예인이 주축이 되어 한 해 동안 마을과 가정의 안녕을 비는 제의(祭儀)이자 놀이라고 할 수 있다. 지신밟기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연행되므로 순차적인 구조를 가지고 있으나 `벽사(?邪)`와 `진경(進慶)`이라는 끊어질 수 없는 동시적인 형식구조와 미적체험이 지속적으로 반복되어 나타난다. 벽사의 미적체험은 연행자와 향수자가 더불어 같이 판을 정갈하게 씻어내는 체험으로 이어간다. 또한 진경의 과정을 통해 연행자와 향수자는 현실의 욕구와 새로운 변화를 나누는 동반자로서의 체험을 하게 된다. 이 과정은 각각의 미적주체인 연행자와 향수자가 교호작용하여 그 경계가 허물어지는 생성적인 미적체험이다. 앞날에 대한 기대와 함께 불안감의 해소를 공동으로 진행하는 미적체험은 개인적인 체험에서 점점 더 집단적인 체험이 되어간다. 지신밟기가 계속 이어지며 미적체험은 확산된다. 이러한 미적체험의 지속적인 확산은 순환적으로 엮여 보다 더 큰 놀이판을 통하여 사람들에게 일상으로부터 집단적 해방감을 맛보게 한다. 공동체의 구성원들은 지신밟기를 통해 공동체 신명으로 만들어지는 생산과 삶의 힘으로 다가오는 현실과의 싸움을 주도적으로 맞이하게 된다. This study considers the aesthetics of `Jisinbapgi`, a collective ritual annually taken place within local communities in Korea to bring a moment of revitalization into community and provide a place for individuals to wish for their state of contentment with the arrival of a new year. Comprehending features of both ritual and play, this customary ritual, mainly led by either ritual performers or community members, reflects the desires for social stability and domestic bliss. Jisinbapgi proceeds in consecutive order, however the components of the process, `Byeoksa` and `Jingyeong` are ironically constructed in a concurrent and repetitive structure. Byeoksa encourages an aesthetic experience of healing and cleansing through an interaction between the performers and spectators. In the mean time, Jingyeong reinforces a companionship between the performers and the participants while they share the realistic desire and the moment of revitalization. During the course of nature, the interactive ritual chains ultimately break down the intervening barrier between the participants. Consequently, each individual course of action fosters the emergence of a collective aesthetic experience. As jisinbapgi continues, the aesthetic experience spreads down to the audiences. As this aesthetic cycle continually repeats itself, the collective emotions reach to a sense of deviation from a daily routine. Accordingly, this transforming experience contributes to reinforcing one"s sense of initiative in life as well as restoring coherence within the community.

      • KCI등재

        2009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의 ‘체험’에 관한 논의

        손지현(Sohn, Jihyun),이민정(Lee, Min-Jung) 한국미술교육학회 2012 美術敎育論叢 Vol.26 No.2

        본 연구는 2009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의 ‘체험’에 관한 논의를 통해 미술 교육에서 미적 체험의 방향에 대해 제안하고자 한다 개정 교육과정의 ‘체험’이라는 용어가 갖는 의미와 문제점을 미술 교육과 미학의 연구들을 토대로 제시하였다 미술과 교육과정에서 내용 체계의 변경이유와 쟁점을 기준으로 체험 영역의 구성 요소와 체계를 분석하였다. 체험’의 기원 이 된 미적 체험 (aesthetic experience) 에 대한 미술 교육에서의 개념과 이론적 고찰을 토대로 미술과 교육과정에서 미적 체험의 방향을 4가지로 들었다. 1) 미술 교육에서 철학적 기초로서,2) 미적 문해력, 시각적 문해력 및 비판적 사고로서, 3) 통합적 교육의 접근으로서, 그리고 4) 학생의 정체성, 행복, 배려 등 인성의 측면에서 미적 체험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향후 미술과 교육과정에서 미적 체험 영역의 내용 구성과 교수 • 학습의 실천에 기여하고자 한다. This study investigates central issues of the area of experience. in 2009 Revised National Art curriculum. Based on the concept of aesthetic experience. which is the name of area before changing to the name of area. experience. this study examines the issues of the area of experience and discusses the direction for art education. For this purpose. we explore the problems of the term with the meaning of experience and problems of the categorization of it. Also we analyze the justification of the change from the term aesthetic experience to experience. the changes in a system of contents. the structural elements of the area of experience. and the validity of its revision. In addition. this study examines the meaning and the educational values of aesthetic experience in art education and curriculum. Through this analysis, we suggest four directions of aesthetic experience in art education: 1) the philosophical basis in art education. 2) as aesthetic literacy. visual literacy. and critical thinking 3) as interdisciplinary and integrity 4) identity. happiness. care and personality. Based on this discussion. this study attempts to contribute to the construction and practice of the area. aesthetic experience in art education.

      • KCI등재

        미적 체험이 일어나지 않음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사비 백제의 흔적을 중심으로 -

        최명숙 한국미술교육학회 2022 美術敎育論叢 Vol.36 No.4

        본 연구는 사비 백제의 흔적을 중심으로 미적 체험이 일어나지 않음에 대한 자문화기술지다. 부소산성, 관북리 유적, 정림사지 오층 석탑 등은 세계문화유산이자 사비 백제의 유산이다. 부여 능산리 절터에서는 국보인 「백제금동대향로」가 출토되었다. 현재도 부소산성과 능산리 고분군에 대한 학술 발굴조사는 진행 중이다. 연구자는 관조로서 미적 체험을 수행하였는데 미적 체험이 잘 일어나지 않았다. 미적 체험에서 연구자의 미적 태도에 문제가 있음을 깨달았다. 이에 질적 자료의 코딩으로 ① 부소산성의 인상 ‘선입견’, ② 익숙한 지형과 이야기 ‘의식의 중첩’, ③ 현재에서 다시 보기 ‘새로운 시선’ 세 가지 하위 범주를 도출하여 미적 체험이 잘 일어나지 않았음을 드러낸다. 마지막으로 ① 미적 태도, 현상학적 판단중지 및 환원, ② 체험교육, 직접 체험 및 디지털 감수성, 두 가지 상위 범주를 도출한다. 이것으로 미적 체험이 일어나지 않음의 미술교육적 의미를 드러내고 공명을 일으키고자 했다. 그리하여 미술과 체험교육은 미적 태도로의 현상학적 환원이 이루어지고 직접 체험의 기반 위에 디지털 감수성의 융합으로 강화될 수 있다.

      • KCI등재

        교육대생들의 창작무용실습을 통해 본 미적체험의 의미

        이정연 한국초등체육학회 2012 한국초등체육학회지 Vol.18 No.3

        이 연구는 교육대학교 학생들의 창작무용수업이 갖는 미적체험과 그것이 갖는 의미를 질적 연구의 방법으로 살펴본 논문이다. 이를 요약하면, 첫째, 창작무용 안에서 획득한 ‘체험’이라는 특수한 활동, 즉 신체적 지각경험은 신체와 움직임과의 관계를 이해할 수 있는 계기가 된다. 즉 기존 일상생활 속에서 소외되기 쉬운 비주체적 신체로부터 ‘표현하는 신체’로의 재인식에 도모하고 있다는 것이다. 둘째, 다양한 놀이적 접근을 통해 ‘작품’으로서의 결과물보다는 오히려 ‘과정’으로서의 행위 자체에 더 중요한 가치로 부여하는 미적 교육의 차원으로 인식하게 된다는 점이다. 셋째, 수행자의 입장과 관조자의 입장이 되는 경험을 동시에 행함으로써 ‘행함’과 ‘관조’의 지평을 넓힌다는 교육적 의미가 있다는 점이다. 이는 타인에게 나를 보여주는 태도, 즉 용기와 결단력, 선택, 집중 등의 덕목을 형성시킨다. 동시에 남을 바라보는 태도, 즉 이해와 수용, 깨달음 등의 미덕을 일깨우는 과정으로서 중요한 교육적 가치를 갖는다. 넷째, 창작무용 경험의 과정에서 획득된 미적 체험은 하나의 과제를 향한 동료들과의 화합, 타인에 대한 배려, 그들의 세계 속에 개방된 자세 등 인간 교육을 동시에 만족시킨다. 그럼으로써 미적 교육의 궁극적 목적인 인간화의 총체적 과정으로 인식하고 있다. 다섯째, 가장 가볍지만 가장 순수한 유희성으로부터 진중한 몰입의 체험, 그리고 그러한 체험으로부터 파생되는 재생산의 창조 작업에 이르기까지 일련의 과정은 고스란히 교사들 자신의 실천적 지식이 된다. 이러한 경험적 지식은 사실상 지식의 진정성과 깊이에 관여하는 윤리적 의미를 내포한다고 할 것이다.

      • KCI등재

        태권도 회전발차기 관전자의 미적 체험 구조

        권혁정,빙원철 한국스포츠학회 2020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8 No.1

        이 연구의 목적은 태권도 회전발차기에 대한 미적 체험의 구조를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이는 태권도 회전발차기 가 철학적으로 그 본질적 의미를 어떻게 내재하고 있는가에 대한 이해이다. 회전발차기의 체육미는 관전자가 회전발차기 를 통해 공감하게 되는 신체미와 운동미에 의해서이다. 회전발차기의 신체미는 속도미, 유인미, 동태미 등을 체험한다. 회전발차기에서 관전자가 체험하는 속도미는 수행자가 지니고 있는 신체 소질을 바탕으로 회전각에 의한 아름다움의 체험이다. 유인미는 수행자의 신체적 소질에서 비롯된 부드러움(유연함)과 가벼움에 대한 체험이다. 동태미는 회전발차 기의 역동성이 신체 소질로 드러나게 되는 동적인 아름다움에 대한 체험이다. 또한 회전발차기의 공감적 감정이 이입되는 운동미에 의해서이다. 운동미는 행위미, 동작미, 기술미 등을 체험한다. 회전발차기에서 관전자가 체험하는 행위미는 태 권도 발차기와는 다른 분야의 기술과의 조화가 이루어진 아름다움에 의한 체험이다. 동작미는 회전발차기 기술이 신체의 균형과 조화로서 만든 아름다움에 대한 체험이다. 기술미는 발차기 기술의 층차로서 수행자가 지닌 발차기 기술의 아름다 움에 대한 체험이다. 따라서 태권도 회전발차기의 철학적 의미는 가치론적 입장에서 미적 체험에 의한 신체미인 속도미, 유인미, 동태미와 운동미로서 행위미, 동작미, 기술미의 미적 가치를 지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structure of the aesthetic experience of the Taekwondo Revolution kick. This is an understanding of how the Taekwondo Revolution kick philosophically implies its essential meaning. The athletic beauty of the Revolution kick is due to the body beauty and athletic beauty that the spectator makes sympathy through the Revolution kick. Specifically, the body beauty of the slewing kick experiences speed beauty, manned beauty, and dynamic beauty. The speed beauty experienced by the spectator in the Revolution kick is an experience of beauty by the angle of rotation based on the body quality possessed by the practitioner. Yoo In-mi is an experience of softness and lightness derived from the physical qualities of the monk. Dong-Tami is an experience of dynamic beauty in which the dynamics of the kicks are manifested as body qualities. It is also due to the movement beauty that empathizes with the sympathy of the kick. Athletic beauty experiences behavioral beauty, movement beauty, and technology beauty. The beauty of the spectator's experience in the Revolution kick is a beauty experience that is in harmony with the technology of other fields. Motion beauty is an experience of beauty created by the kicking technique as the balance and harmony of the body. Technological beauty is an experience of the beauty of the kicking technique possessed by the performer as a step difference of the kicking technique. Therefore, the philosophical meaning of the Taekwondo Revolution kick has the aesthetic value of action beauty, motion beauty, and technology beauty as speed beauty, induction beauty, dynamic beauty and Athletic beauty by value experi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