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한국어의 이인칭 대명사와 대응되는 미얀마어 표현 연구

        투에이 수 흘랑(HTWE SU HLAING ) 경희대학교 학술단체협의회 2023 高凰論集 Vol.72 No.-

        이 글은 한국어의 이인칭 대명사에 대응하는 미얀마어 표현을 대조분석함으로써 미얀마인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 교육을 위한 참고 자료를 구성하고자 한 연구이다. 한국어의 인칭 대명사 사용이 화자와 청자 간의 연령, 사회 계층, 화자와 청자의 관계 등 사회 변인에 따른 인칭 대명사 표현이 다양하게 한다. 이에 특히 한국어의 이인칭 대명사 표현이 상대를 높낮춤의 표현으로 사회적인 상황에 맞게 다양한 사용으로 표현하기 때문에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학습에 도움이 되는 사회문화적인 이인칭 대명사 표현의 연구가 필요하다. 한국어와 미얀마어는 이인칭 대명사의 표현이 상대에게 높임의 표현과 낮음의 표현, 화자와 청자의 관계에 따른 표현이 공통적이다. 그리고 화자와 청자 간의 사회적 상황에 따라 상대를 경칭의 표현으로 부르는 말이 되고 낮추어 부르는 말이 되기도 한다는 점이 유사하다. 한국어의 이인칭 대명사 표현에 구어체에서 쓸 수 있는 이인칭 대명사의 경칭 사용, 성별 구별의 사용이 존재하지 않으며 구어체와 문어체의 이인칭 대명사 표현이 따로 존재하지 않는다. 반면에, 미얀마어에서는 성별 구별의 이인칭 대명사 사용의 표현, 구어체와 문어체의 이인칭 대명사 표현이 따로 존재한다. 그리고 외래어 용어의 이인칭대명사 표현으로 사용하기도 하는데, 이는 사회적 상황에 따른 표현으로 한다. 불교 신자인 스님들의 종교적인 사회에서 빨리어(parli)용어 표현하고, 사회 계충을 높여 보이려고 하는 중년 교육 정도의 사회에서는 영어의 이인칭 대명사를 사용하여 표현하기도 한다. 이런 차이점에서 한국어와 미얀마어의 사회적인 상황에 맞게 사용하는 이인칭 대명사의 다양한 표현을 비교하기로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와 미얀마어의 이인칭 대명사의 순수 언어 사용의 표현을 비교 및 분석 후 사회 변인에 따른 한국어 이인칭 대명사와 대응되는 미얀마어 표현을 살펴보기로 한다. 이러한 차이점과 대응 양상을 이해하는 것은 미얀마인 한국어 학습자들이 모어와 다른 한국어의 이인칭 대명사의 특징을 이해하고 학습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다. This article aimed at constructing reference materials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Myanmar Korean learners by comparatively analyzing Myanmar expressions corresponding to second-person pronouns in Korean. The use of personal pronouns in Korean varies the expression of personal pronouns according to social variables such as the age between the speaker and the listener, social clas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peaker and the listener. In particular, since the expression of second-person pronouns in Korean is an expression of exalting and lowering the other person, it is necessary to study sociocultural second-person pronoun expressions that are helpful in learn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In Korean and Myanmar, the expressions of second-person pronouns have in common the expressions of highness and lowness to the other person, and expressions according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peaker and the listener. Moreover, it is similar in that it is a word that calls the other person as an expression of honor or a word that calls the other person down depending on the social situation between the speaker and the listener. In the expression of second-person pronouns in Korean, there is no use of honorifics and gender distinctions of second-person pronouns that can be used in spoken language, and there is no separate expression of second-person pronouns in spoken and written languages. On the other hand, in Myanmar language, there are separate expressions of using second-person pronouns for gender distinction, and second-person pronoun expressions in spoken and written language. In addition, it is also used as a second-person pronoun expression of a loanword, which is an expression according to the social situation. In a religious society of Buddhist monks, parli terms are expressed, and in a society with a middle-aged education that tries to raise the social class, it is expressed using English loanword in secondperson pronouns. In light of these differences, this article will compare various expressions of second-person pronouns used in accordance with social situations in Korean and Myanmar. In this study, after comparing and analyzing the simple language use of second-person pronouns in Korean and Myanmar, it will be examined at Myanmar expressions corresponding to Korean second-person pronouns according to social variables. Understanding these differences and correspondence patterns is expected to help Myanmar Korean language learners understand and learn the characteristics of second-person pronouns in Korean that are different from their mother tongue.

      • KCI등재

        한국어와 미얀마어의 의문형 종결어미 대조 연구

        투에이 수 흘랑(Htwe Su Hlaing),이경희(Lee Kyunghee)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11

        이 연구에서는 한국어에 대응하는 미얀마어 의문문의 종류와 의문형 종결어미를 살펴보았다. 의문문은 필요한정보를 얻거나 확인, 요청, 불만의 표현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기 때문에 학습 초기부터 생산 빈도가 높으며 연구의 필요성이 높다. 한국어와 미얀마어의 의문문은 공통적으로 문장의 종결어미에 의해 실현된다. 한국어의 의문형 종결어미는 높임의 위계에 따른 구분, 격식과 비격식의 구분, 억양에 따른 의미 분화의 특징을 지닌다. 한편 미얀마어의 의문형 종결어미는 문어체와 구어체의 구분이 엄격하며 의문문의 종류마다 각기 다른 종결어미가 사용된다. 그리고 부호를통해 의문문이라는 것이 드러나는 까닭에 억양이 의미 전달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이러한 차이점과 대응양상을 이해하는 것은 한국어 학습자들이 모어와 다른 한국어 의문문의 특징을 이해하고 학습하는 데 도움이 될것으로 기대한다. This paper examined the types of Myanmar interrogatives and the final endings correspondingto Korean. Interrogatives perform various functions such as obtaining or checking necessary information,requesting, and expressing dissatisfaction. So the frequency of use is high from the beginning oflearning, and the need for research is high. Interrogative sentences in Korean and Myanmar are formed by the final endings. The interrogativefinal endings in Korean are characterized by classification according to the hierarchy of height,formal and informal, and differentiation of meaning according to accent. Meanwhile, Myanmar’sinterrogative final endings have a strict distinction between spoken and written forms, anddifferent final endings are used for each type of question. And since the sign reveals that it is aquestion, the accent does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transmission of meaning. Understandingthese differences and response patterns is expected to help Korean learners understand andlearn the characteristics of more and other Korean questions.

      • 미얀마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외래어 대조 연구

        띤띤투웨이(TIN TIN HTWE) 경희대학교 학술단체협의회 2024 高凰論集 Vol.74 No.-

        국가 간의 교류가 활발히 늘어나면서 각국의 국어에 외래어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한국과 미얀마 역시 중국어, 영어, 프랑스어 등의 외국어를 들여와서 자국어의 범주로 사용하고 있으며, 특히 영어 외래어 비중이 크다. 이에 따라 한국어와 미얀마어 외래어에 대한 비교·대조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미얀마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외래어 차용 방식에 관한 대조 연구는 아직 충분하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어와 미얀마어에서 흔히 사용되고 있는 영어 외래어 차용 방식을 중심으로 대조 분석하여 한국어 미얀마 학습자의 어휘 학습에 도움을 주는 것을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이 연구를 위해 국어사전, 외국인을 위한 표준 한국어 문법 사전, 미얀마 사전, 논문 등에서 자료를 찾고 일상생활, 잡지, 신문 등에 주로 사용되고 있는 외래어 및 차용 방식을 참고하였다. 본 연구는 문헌 검토를 통하여 한국어와 미얀마어의 외래어 개념 및 차용에 대한 이론적인 설명을 진행하였고, 양국의 외래어 차용 방법을 대조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한국어와 미얀마어 외래어 차용 방법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공통점은 두 언어 모두 의역, 음역, 혼역으로 외래어를 사용한다는 것이다. 한편 한국어에서는 영어 단어를 그대로 직접 용한 것도 있었으나 직접 차용되지 않고 다른 나라에서 차용된 것을 간접으로 차용되거나 한국어만의 방식으로 의미나 형태를 변형하여 차용하고 있다는 점이 특이했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한국어의 외래어 차용 방법 중 음역이 큰 비중을 차지한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한국어의 외래어 차용 방법 중 음역이 큰 비중을 차지한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동시에 ‘외래어-하다’ 파생어화 현상이 출현한다는 것도 알 수 있었다. 외래어 차용 방식의 대조 연구를 통해 두 언어 간의 차이점을 발견할 수 있었고, 최종적으로 이러한 차이점이 미얀마인 한국어 학습자가 한국어 외래어를 학습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As exchanges between countries have increased, foreign words have become more common in the Korean language.Whether Korean, Myanmar, Chinese, English, or French, the languages of each country have been accepted and used as national languages. Therefore, even though research has been conducted to compare and contrast Korean and Burmese loanwords, there is not much research on the borrowing method of loanwords.In this study, we analyzed English loanwords commonly used in Korea and Myanmar, focusing on the method of loanword borrowing by finding materials such as papers, Korean and Myanmar dictionaries, language books, and standard Korean grammar for foreigners. This study searched for data from Korean dictionaries, standard Korean grammar dictionaries for foreigners, Myanmar dictionaries, and papers and referred to foreign words and borrowing methods mainly used in daily life, magazines, and newspap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to borrow foreign words through paraphrase, transliteration, and mixed translation. However, if you look closely, you will find that each language has its unique features. The difference from Burmese is that Koreans do not directly borrow certain words from English but indirectly borrow words from other countr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pecify atheoretical explanation of the borrowing methods of Korean and Myanmar loanwords. A comparative study of the borrowing methods of Korean and Myanmar loanwords found that transliteration accounts for a large proportion of the borrowing methods in Korean. At the same time, it was also found that the phenomenon of ‘foreign word-hada’ derivation appears. Through a comparative study of loan word borrowing methods, differences between the two languages were discovered, and ultimately, it was found that these differences cause difficulties for Myanmar Korean learners in learning Korean loan words. Keywords: Korean loanword, Burmese loanword, borrowing method, paraphrase, transliteration, mixed translation.

      • KCI등재

        한국어와 미얀마어의 합성명사 대조 연구-외래어를 중심으로-

        ( Tin Tin Htwe ) 한민족문화학회 2019 한민족문화연구 Vol.67 No.-

        이 연구는 한국어와 미얀마어의 합성어 중에서 합성명사의 형태적 특징을 대조한 연구이다. 미얀마 합성어와 한국어 합성어를 대조하여 한국어를 학습하는 미얀마인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본 연구에서 한국어 합성어는 영어 외래어를 중심으로 중국어 외래어, 일본어 외래어를 살폈다. 영어 외래어는 현대에 들어와서 전면적으로 차용되기 시작하였고, 한자어는 한국어에서 특수한 위치를 차지하면서 지금까지도 합성어를 만드는 데에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얀마어도 이른 시기부터 외래어가 차용되어 다수의 외래어 합성어가 존재함을 예시와 함께 밝혔다. 특히 빨리(Pali)어는 불교 국가인 미얀마에서 일상생활 용어에까지 넓게 분포되고 있었다. 그리고 몬(Mon)어를 비롯한 다른 부족 언어도 미얀마어(버마어)와 합성되어서 널리 사용되고 있었다. 특히 미얀마는 인도와 한국은 중국과 인접해 있으면서 역사적으로 밀접하게 관련되었으며, 이로 인해 인도, 중국의 어휘가 두 언어에 각각 많이 차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compound nouns by studying the compound words of Korean and Myanmar Language. Myanmar learners should be able to learn Korean more easily from sociolinguistic aspects through compound words among various vocabularies. In Korean, Chinese characters occupied a special position. In addition, there are also many foreign words in the Myanmar language, borrowing from foreign words. In particular, Pali language was widely distributed in Myanmar which is a Buddhist countr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historical and cultural relations in compound words, we can see that the two countries have historically and influenced the neighboring countries. In particular, Myanmar has been closely related to India and South Korea, suggesting that many of the vocabularies of India and China are borrowed and that a large number of foreign languages appear in compound languages. It is expected that continuous research will be carried out on the compound structure of Korean and Myanmar languages.

      • KCI등재

        한국어와 미얀마어의 합성명사 대조 연구 -외래어를 중심으로-

        띤띤투웨이 한민족문화학회 2019 한민족문화연구 Vol.67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compound nouns by studying the compound words of Korean and Myanmar Language. Myanmar learners should be able to learn Korean more easily from sociolinguistic aspects through compound words among various vocabularies. In Korean, Chinese characters occupied a special position. In addition, there are also many foreign words in the Myanmar language, borrowing from foreign words. In particular, Pali language was widely distributed in Myanmar which is a Buddhist countr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historical and cultural relations in compound words, we can see that the two countries have historically and influenced the neighboring countries. In particular, Myanmar has been closely related to India and South Korea, suggesting that many of the vocabularies of India and China are borrowed and that a large number of foreign languages ​​appear in compound languages. It is expected that continuous research will be carried out on the compound structure of Korean and Myanmar languages. 이 연구는 한국어와 미얀마어의 합성어 중에서 합성명사의 형태적 특징을 대조한 연구이다. 미얀마 합성어와 한국어 합성어를 대조하여 한국어를 학습하는 미얀마인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본 연구에서 한국어 합성어는 영어 외래어를 중심으로 중국어 외래어, 일본어 외래어를 살폈다. 영어 외래어는 현대에 들어와서 전면적으로 차용되기 시작하였고, 한자어는 한국어에서 특수한 위치를 차지하면서 지금까지도 합성어를 만드는 데에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얀마어도 이른 시기부터 외래어가 차용되어 다수의 외래어 합성어가 존재함을 예시와 함께 밝혔다. 특히 빨리(Pali)어는 불교 국가인 미얀마에서 일상생활 용어에까지 넓게 분포되고 있었다. 그리고 몬(Mon)어를 비롯한 다른 부족 언어도 미얀마어(버마어)와 합성되어서 널리 사용되고 있었다. 특히 미얀마는 인도와 한국은 중국과 인접해 있으면서 역사적으로 밀접하게 관련되었으며, 이로 인해 인도, 중국의 어휘가 두 언어에 각각 많이 차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미얀마인 한국어 학습자의 이중모음 실현 양상 ― 중급 이상 학습자의 낭독 발화를 중심으로 ―

        차재은(Cha, Jae-Eun) 한국어학회 2021 한국어학 Vol.93 No.-

        이 논문의 목표는 미얀마인 중․고급 한국어 학습자의 낭독 발화에 나타난 이중모음의 음성적 실현을 살피고 오류의 양상 및 원인을 밝히는 것이다. 표준 발음 외에 현실 발음도 발음 오류의 판단 준거로 삼았고 청취 외에 음성 분석을 이용하여 이중모음의 실현 양상을 관찰하였다. 분석 결과, 화자별 이중모음의 오류율은 0~15.1% 범위에 분포하였으며 /j/, /w/, /ɰ/ 계 이중모음의 오류율은 /ɰ/계(60%) > /j/계(10%) > /w/계(2.6%)순서로 나타났다. 미얀마어의 모음 체계에는 단모음 /ɯ/와 이중모음 /ɰi/가 없으므로 중․고급 학습자라도 /ɰi/의 오류율이 높게 나타났다. 이는 음운 체계, 음절 구조와 같은 구조적 차이에서 발생한 오류는 고급 학습자 단계에서도 수정되기 어려우므로 초급 단계부터 중점적으로 교육되어야 함을 보여준다. /j/계 이중모음 오류는 ‘향했어요, 흉내’ 등에 집중되어 있는데, 이는 기저의 단모음이 개음절에서는 긴장모음으로, 폐음절에서는 이완모음으로 실현되는 미얀마어 모음의 음성적 변이와 관련되어 있다. 이는 단모음 교육에서 음소 단위의 대조 외에 변이음 단위의 모음 변이도 체계적으로 고려해야 함을 뜻하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phonetic realization of diphthongs in the reading utterances of Myanmar intermediate and advanced Korean language learners through acoustic analysis and to clarify the pattern and cause of errors. The results show that the error rate of diphthongs for each speaker is in the range of 0 to 15.1%. The error rate of the diphthongs was in the order of /ɰi/ (60%) > /jV/ (10%) > /wV/ (2.6%). Since there are no monophthong /ɯ/ and diphthong /ɰi/ in Burmese vowel system, the error rate of /ɰi/ is high even for intermediate learners. The /jV/ diphthong errors were concentrated on ‘hyanghaesseoyo(향했어요, forward)’, ‘hyungnae(흉내, imitation)’. This is related to the phonetic variations of vowels of Myanmar. The underlying monophthongs are phonetically realized as a relaxed vowels in a closed syllables. This fact shows that in vowel education, in addition to the contrast of the phoneme systems or syllable structure, the phonetic variations of vowels should be considered.

      • KCI등재후보

        한국어와 미얀마어의 합성어 대조 연구-형태구조와 의미 관계를 중심으로-

        퓨 퓨 아웅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2021 국어교육연구 Vol.47 No.-

        본고에서는 한국어와 미얀마어 합성어의 구조적 특징과 구성 요소들의 의미 관계에 대하여 살펴보고 두 언어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밝혔다. 먼저 품사에 따라 구분하는 합성 명사, 합성 동사, 합성 형용사의 형태 구조에 대한 특징을 알아보았고 두 언어 간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찾아냈다. 그 다음 구성 요소 사이의 의미 관계에 대하여 대등관계, 종속관계, 융합관계의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해서 대조하고 두 언어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고찰하였다. 의미 관계에 따른 한국어와 미얀마어의 합성어를 대조하여 분석한 결과, 두 언어에서 동일한 대상물을 합성어로 만들 때 유사한 방식으로 개념화하고 어휘화한 것도 있는 반면 상이하게 개념화하고 어휘화한 것도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양국 언어 사용자들의 감각적 인지 및 신체적, 사회문화적 그리고 언어학적 문맥의 이해에 따라 동일한 대상물을 유사한 합성어로, 또는 상이한 합성어로 만든다는 것을 밝혔다.

      • KCI등재

        미얀마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와 미얀마어 자음 대조 연구

        킨뚜자,김보미,권성미 우리어문학회 2015 우리어문연구 Vol.52 No.-

        The study aims at analyzing similarity and dissimilarity of the consonants of Korean and Myanmar, predicting the degree of difficulty of Korean learners of Myanmar, and providing useful tips for teaching Korean consonants to Korean learners of Myanmar. The study first decides the list of the consonants of Myanmar and comparatively describes the place and the manner of articulation of Korean and Myanmar consonants across the types of the consonants. Myanmar consonants have the similar counterpart of the most Korean consonants including three-member bundle stops. In terms of the degree of the difference, nasals, aspirated stops and affricates, and tensed stops and sibilants are most similar groups to the counterparts of the Myanmar, and laterals, soft stops and sibilants are comparatively less similar with the Myanmar counterparts. Korean learners of Myanmar have little difficulty in pronouncing most Korean consonants simply transferring their L1. The less similar consonants, however, may sound not wrong but just accented to Koreans. 본고는 대조언어학적 측면에서 한국어와 미얀마어의 자음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밝히고, 그것을 바탕으로 미얀마인 학습자의 한국어 자음 발음의 조음 용이성이나 복잡성을 기술하여 미얀마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자음 교수학습 방안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삼았다. 두 언어는 자음이 삼중 대립을 이룬다는 점과 기식성의 차이로 자음의 음소가 달라진다는 점에서 공통적이며, 그래서 각각의 자음 음소끼리 대응쌍을 만들기에 유리했다. 미얀마인 학습자들은 대부분의 자음 음소를 한국어 자음에 그대로 전이 시켜도 의사소통에 큰 문제가 발생하지 않으며, 그런 이유로 한국어 자음 학습에 큰 어려움을 겪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미얀마어의 음절 구조상 종성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그에 대한 집중적인 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한국어⋅미얀마어의 복수 표지 ‘-들’과 ‘tou’, ‘twei’, ‘mya’의 대조 분석 및 교육 방안 연구

        이쉐신윈 한글학회 2019 한글 Vol.- No.323

        This study aims on dealing with the grammatical category of the plural form ‘-들(-deul)’ in Korean. Except for dealing with the grammatical category, this study intends to decide what kind of teaching method is more appropriate to foreigner learners. The plural forms of Myanmar are under the influence of English plural forms as much as those of Korean. Therefore, when two languages are taught in a second language, confusion arises. After first revealing this kind of problems and deciding the suitable standard of appearance of ‘-들(-deul)’ by grade, this study is significant from the point of view that ‘-들(-deul)’ is one of the grammatical terms to be taught in textbook. It is necessary to educate foreigner learners to put ‘-들(-deul)’ behind perceivedly whether the whole sentence is in plural form, the subject or noun is pluralize and the noun is an abstract noun or not. In the situation of puting ‘-들(-deul)’ behind the adverb or end of a word, i will take the position that specific explanation or education should be done. 한국어에서 복수 표지 ‘-들’의 문법적인 범주를 다루는 연구가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본 연구에서는 문법 범주를 다루는 것을 제외하고 외국인 학습자에게 어떤 방법으로 가르치는 것이 더 적절한지를 결정하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미얀마어의 복수 표지도 한국어의 복수 표지만큼이나 영어의 복수 현상의 영향을 받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므로 두 개의 언어를 제 2언어로 교육할 때 혼란이 생기게 된다. 이러한 문제 인식을 바탕으로 ‘-들’을 등급별로 적합한 수준에서 가르쳐야 할 문법 항목 중에 하나라고 보는 관점에서 이 연구는 의의가 있다. ‘-들’이 문장 전체의 복수인지, 주어나 목적어를 복수화 시키는 것인지, 추상적인 명사와 결합할 경우에도 ‘-들’이 자연스럽게 후행하는 것을 외국인 학습자가 인식하도록 교육할 필요가 있다. 또한 ‘-들’이 부사나 어미의 뒤에 후행하는 경우에도 학습자에게 구체적인 설명이나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 KCI등재

        미얀마인 한국어 학습자 관련연구 동향분석

        Thandar Lin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5

        본 연구는 미얀마인 한국어 학습자와 관련된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9년 2월부터 2019년 7월간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를 통해 ‘미얀마어’, ‘미얀마인 한국어’, ‘미얀마인 한국어 학습자’, ‘버마어’, ‘버마인 한국어’, ‘버마인 한국어 학습자’에 대한 검색 과정을 통해 미얀마인 한국어 학습자와 관련된 연구 61편을 확보하고 분석을 진행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확보된 연구들은 연도, 발행 형태, 연구 주제, 연구 대상, 대상 언어, 연구 방법으로 구성된 분석 기준에 의거하여 분석되었다. 분석 결과, 2012년부터 관련 연구가 폭발적으로 확인되었으며 그 이후 전반적으로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었음이 확인되었다. 또한 문법 규정과 관련 연구들을 토대로 하여, 미얀마어와 한국어의 언어 내 특정 영역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는 과정을 거친 대조분석적 연구가 전체 연구에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또한 박사급 연구가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낮았음이 확인되었다. 본고는 미얀마인 한국어 학습자와 관련된 연구의 동향과 그 시사점이 무엇인지 이해하는 데에 기여하며, 연구가 부족한 분야에 대해서도 파악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rend of research related to Myanmarese who studies Korean language. This study collected researches related to Myanmarese Korean Language Learners as research material, and these materials are collected through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RISS) by inputing keywords Myanmar language , Myanmarese Korean language , Myanmarese Korean Language Leaner , Burmese language , Burmese Korean language , and Burmese Korean Language Leaner . From February 2019 to July 2019, The analysis was conducted and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this process, 61 researches were collected as research material. These materials were analyzed under the criteria that consist of year of publication, publication types, field of study, subject, language, and research method. This study illustrated that the amounts of researches has been a steep rise in 2012 because of political issues and the conditions of the market economy in myanmar, and this trends has been lasting for about 8 years. The Contrastive Analysis and Comparative Studies were mostly detected in research material. and There were few Doctoral thesis in data of the study. This paper ushers in understanding for the trends and implications of the studies related Myanmarese who studies Korean language. And This study introduces the insufficient part of the research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