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국 애니메이션과 모범극의 상관관계 연구

        공덕외(Kong De Wei)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15 만화애니메이션연구 Vol.- No.39

        중국 애니메이션의 역사에서 문화대혁명은 초기 애니메이션의 발전을 저해하고 이후 중국 애니메이션의 성장이 저조해지는 데 원인을 제공한 계기로서 부정적으로 평가된다. 따라서 이 시기 애니메이션 작품들은 학술 연구의 대상으로 분석되거나 연구되는 일이 거의 없이 일률적으로 평가절하되었다. 그러나 모든 문화예술의 창작은 특정한 역사적 조건 속에서 발전하며 그 나름의 미학적 성과를 지닌다. 본고는 문화대혁명 시기의 문화예술 창작을 주도했던 미학 원칙들을 고찰하고 해당 시기의 중국 애니메이션이 거둔 성과를 객관적인 관점에서 파악하려는 데 일차적인 목적을 둔다. 문화대혁명은 무산계급의 문화를 부각시킨다는 마오쩌둥의 사회주의 이데올로기에 따라 이전 시기까지의 문화예술을 지양하고 새로운 계급 문화를 창조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따라서 이 시기의 문화예술 창작은 우리가 일반적으로 수용하는 미학 원칙과 어긋나는 부분이 많으며 비문자적이고 반엘리트적인 특성을 지닌다. 모범극은 문화대혁명 시기 문화예술의 미학 원칙을 모범적으로 구현한 창작물로 손꼽히며 문화대혁명 시기의 중국 애니메이션이 지향했던 미학 원칙들을 이해하는 데 참조가 된다. 본고는 삼돌출(三突出), 홍광량(紅光亮), 고대전(高大全)이라는 문화대혁명 시기의 미학 원칙이 구체적인 작품 속에서 어떻게 반영되고 있는지, 문화대혁명 시기 애니메이션은 이러한 미학 원칙을 어떻게 수용하고 나름의 방식으로 적응했는지 확인하기 위해 모범극과 문화대혁명 시기 중국 애니메이션의 상관관계에 대해 비교 연구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먼저 모범극과 중국 애니메이션의 유사성을 중심으로 문화대혁명 시기의 미학 원칙이 작품 속에서 어떻게 구현되고 있는지 분석한 뒤, 분석 내용에 따라 이러한 미학 원칙이 중국 애니메이션의 창작에 끼친 긍정적인 영향과 부정적인 영향을 중립적으로 서술하였다. 구체적인 분석과 비교 고찰 과정에서는 크게 캐릭터와 장면 연출의 두 가지 측면에서 접근을 시도하였다. 캐릭터의 측면에서 문화대혁명 시기의 중국 애니메이션은 어린 소년, 소녀를 주인공으로 내세워 바람직한 공농병(工農兵) 형상을 부각시키기 위해 붉은 입술과 홍조를 띤 뺨을 강조해 건 강함을 강조하고, 매끈한 질감과 정교한 터치로 반짝이는 느낌을 강조하며, 깔끔하고 선명한 색채로 빛나는 색감을 강조하는 ‘홍광량’의 원칙을 구현하는 데 치중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장면 연출의 측면에서 문화대혁명 시기의 애니메이션은 소수의 안타고니스트에 비해 다수의 프로타고니스트를 강조하고, 다수의 프로타고니스트 가운데서도 뛰어난 영웅 인물들을 강조하며, 또 뛰어난 영웅 인물들 가운데서도 주요한 영웅 인물을 강조하는 ‘삼돌출’의 단계별 연출 방식을 사용하였다. 또한 영웅 인물은 일반적으로 로우앵글로 찍음으로써 높고 크고 완벽한 모습으로 연출해 ‘고대전’의 미학 원칙을 충실히 구현하고자 하였다. The Cultural Revolution in the history of Chinese animation hinder the development of the initial animation, and after a negative assessment instrument provided the cause is to become sluggish growth of the Chinese animation. So this time animation are things that are the subject of academic research studies or analysis has been depreciating almost uniformly without evaluation. However, of all the cultural and artistic creation it is developing in its own specific historical conditions and has the aesthetic results. This paper puts the primary purpose is to hold in consideration the aesthetic principles that led to cultural and artistic creativity and objective perspective the achievements the Chinese animation of the time period of the Cultural Revolution. Cultural Revolution is avoided to the previous period in accordance with the socialist ideology of Mao Ze-dong(毛澤東) sikindaneun highlight the culture of the proletariat and placed our goal to create a new class culture . Therefore, cultural and artistic creation of this period is often inconsistent with this part of our aesthetic principles generally accepted character has a non- elitist and anti properties. Best drama is a creative one hand as a model to implement the principles of aesthetics, art and culture Cultural Revolution period kkophimyeo reference for understanding the aesthetic principles that animated the Chinese Cultural Revolution period of orientation. This paper has San Tu Chu(三突出), Hong Guang Liang(紅光亮), and Gao Da Quan(高大全) at the time of the Cultural Revolution aesthetic principles are reflected in how the concrete work , the Cultural Revolution when the animation is how to accommodate these aesthetic principles and placed emphasis on comparative studies on best pole and correlation of the Cultural Revolution when the Chinese animation to ensure that adaptation in own way . First, after analyzing whether the aesthetic principles of focusing on the similarities of the best pole time of the Cultural Revolution and China, and how to implement animation in the works , these aesthetic principles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positive and negative influence on the creation of Chinese animation It was described as neutral. The detailed analysis and comparative study courses were trying to access in two significant aspects of the characters and scenes directing. In terms of character animation of the Cultural Revolution in China when a young boy or girl, emphasis should emphasize the health tinged with red lips and cheek blush to highlight the desired Gong Nong Bing(工農兵) shape as the main character and smooth texture and sophisticated highlights the glittering feeling to the touch, it was confirmed focused hayeoteum to implement the principle of ‘Hong Guang Liang’, highlighting the brilliant colors with a clean, bright colors. Highlighting a number of protagoniste compared to the antagonist in the animated scene of the Cultural Revolution a few times in terms of production and, among a number of protagoniste also emphasizes the outstanding hero figure, "yet three outstanding heroes heroic figures also emphasize the leading figures among the the director of the extrusion step-by-step approach "(‘San Tu Chu’)was used. In addition, the hero figure is generally high and low angle by directing a large and perfect aesthetic appearance was to faithfully implement the principle of "high-charged"(‘Gao Da Quan’).

      • 如何再思考文化大革命的“终结”

        皮坰?(피경훈) 한국중어중문학회 2015 한국중어중문학회 우수논문집 Vol.- No.-

        본 논문은 ‘문화대혁명’에 초점을 맞춘 논문이라기보다 그 ‘종결’에 초점을 맞춘 논문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문화대혁명’의 종결은 ‘포스트 사회주의’중국을 탄생시킨 가장 직접적인 계기이지, ‘문화대혁명’의 전후로 전면적이고도 급격한 인식론적 단절이 일어났음에도 불구하고 그것이 언제 어떻게 종결되었는지 그리고 그 종결의 함의가 무엇인가에 대해서는 아직 명확하게 논의되지 않은 상황이다. 최근까지 ‘문화대혁명’의 종결을 설명하는 방식은 관방적 방식과 민간적 방식, 두 종류로 나누어진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전자는 ‘문화대혁명’을 10년의 기간으로 보고, 그 혼란과 무질서적인 측면에서 초점을 맞춘다. 하지만 후자는 오히려 ‘문화대혁명’ 기간 동안 분출되어 나왔던 ‘시민적 저항’에 초점을 맞춰 ‘문화대혁명’을 설명한다. 하지만 이 두 가지 방식 모두 혁명이 그 임계점에 다다른 순간, 즉 마오쩌둥에 의해 혁명이 중단될 수밖에 없었던 상황을 고려하지 않고, 그저 ‘통치’와 ‘저항’ 혹은 ‘사회주의에서 자본주의로의 전환’이라는 이분법적 도식으로 ‘문화대혁명’과 그것의 ‘종결’을 설명하고 있다. 이에 본고는 미셸 푸코가 제시한 ‘통치성(governmentality)’ 개념을 도입하여 ‘문화대혁명’의 종결을 설명하려 했다. 푸코의 설명에 따르면 기존 사회주의는 저항 혹은 부정의 의미에만 몰두했을 뿐, 통치성의 구축이란 질문에 답하지 못했다. 이는 ‘문화대혁명’과 그 ‘종결’이라는 맥락에도 적용될 수 있는 문제의식으로 ‘문화대혁명’은 결국 국가 혹은 공동체를 유지하는 방식을 찾아내지 못했던 지점에서 멈춰 선 것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았을 때, ‘문화대혁명’의 ‘종결’에 대한 함의는 그것의 임계점, 즉 ‘통치성 구축의 문제’라는 맥락에서 고찰되어야 한다는 것이 본고의 주된 논점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중국 조선족 문화대혁명의 기억과 생활사적 함의

        박경용(Bak, Gyeongyong)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2017 亞細亞硏究 Vol.60 No.2

        본고는 ‘조선족의 문화대혁명’에 대한 연구로 문화대혁명 시기에 겪었던 조선족의 경험과 기억을 정리한 것이다. 이를 위해 생애사적 접근방법에 의해 조선족의 시선으로 문화대혁명의 경험을 기억, 인식하고 말하게 하였다. 중국의 문화대혁명은 본래 명칭이 ‘무산계급 문화대혁명’ 혹은 ‘프롤레타리아 문화대혁명’이듯이, 사회주의 이념과 생활양식을 전체 인민들에게 내면화 시키기 위한 운동이다. 이는 고유의 민족 전통을 지닌 여러 소수민족의 문화 다양성을 계급과 이념으로 해체시킴으로써 사회주의 생활문화 일원화의 관철을 지향하였다. 조선족들은 문화 대혁명 시기 중국 대륙 전역에서 엄청난 고난을 경험함으로써 오랫동안 정신적 아노미와 트라우마를 겪었다. 혈연과 공동체의 가치를 부정당하고 인륜 도덕의 가치까지 무너짐으로써 정신적 공항 상태까지 초래하였다. 문화대혁명은 민족 전통을 혁파해야 할 ‘구습’으로 낙인찍음으로써 소수민족의 고유 전통을 폄하, 약화시켰다. 원적지로부터 옮겨온 혼례나 상・제례 관습등과 같은 민족 고유의 생활문화들은 문화대혁명 이후 사라져 갔다. 문화대혁명은 조선족의 정체성을 형성하는 데 큰 영향을 미침으로써 국가와 민족의 이중주 딜레마를 안겨주었다. 조선족은 사회주의 일원화 과정에서 경험한 내상이 깊고 혹독할수록 기존의 민족주의 관념은 그만큼 더 큰 상처를 입었다고 볼 수 있다. 그 틈새로는 사회주의 무산계급 문화로 무장한 중화민국 국민이 강하게 자리 잡았다. 이는 주류민족인 한족 동화주의로 경도되게 만듦으로써 한민족으로서의 정체성이 약화되는 결과를 낳았다.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analyse the memories and the perceptions that Chonsun-jok(Chinese Korean) had experienced during the Cultural Revolution period in China. For this, I accepted the approach of the oral life history and made them of bringing back their memories, recognizing and talking about the Cultural Revolution. The Cultural Revolution is a movement for infusing the socialist ideology and everyday lives culture into his (or her) mind. This had converted from the cultural diversity of a special race tradition to class and ideology and therefore carried through out to one way of the socialist ideology and everyday lives culture. This had much exerted an influence upon Chonsun-jok to being in the development of their national identities. They have been internalized a strong socialist nationality as Chinese by the Cultural Revolution.

      • KCI등재

        《홍기(紅旗)》 잡지에 나타난 ‘문화대혁명’의 문화적 징후들

        申東順 한국중국소설학회 2015 中國小說論叢 Vol.45 No.-

        문화대혁명시기 《홍기》는 “두 가지 신문, 하나의 잡지(兩報一刊)”로 그 역할을 충실히 수행했다. 잡지는 문화대혁명을 선전하는 과정에서 “문화대혁명”을 위한 이론적 근거를 제공하는 진지가 되었고, 여론 형성에 중요한 장이 되었다. 그래서 《홍기》 또한 문화대혁명에 대한 책임을 피면할 수 없었을 것이다. 그것은 1988년 정간의 배경이 되었다. 문화대혁명 10년의 《홍기》를 살펴보다 보면 ‘문화대혁명’과 관련한 여러 가지 문화적 징후들을 볼 수 있다. 그 중에 하나는 1966년 전후 일었던 ‘우한’과 그의 작품 ‘해서파관’에 관한 비판이다. 논문은 《홍기》가 어떻게 비판을 투쟁화하고 있는지 살펴보면서 그 비판 양상을 살펴보고자 한다. 그리고 다른 하나는 1975년에 실렸던 ‘수호(水滸) 평론’과 그 비판운동에 참여하고 있는 문장들로, 그것이 산포하는 정치성에 주목하고자 한다. 1966년과 1975년 《홍기》가 주도적으로 진행했던 ‘우한 비판’과 ‘수호 평론 투쟁’은 어떤 ‘문화대혁명’ 의식들을 산포하고 있는지, 그리고 그밖에 또 다른 문화적 징후들로는 무엇이 있는지 소략하면서 후속연구의 가능성을 열어 놓고자 한다. During the Cultural Revolution period, “HongQi” fulfilled its role as a “two newspapers and one magazine (兩報一刊)”. It provided a rationale for the Cultural Revolution in the process of promoting the Cultural Revolution and used as a propaganda medium. Because it was used to form public opinions, it was also responsible for the Cultural Revolution as well. “HongQi” provides a number of cultural indications of the Cultural Revolution and this paper examined the two aspects: ‘WuHan (吳晗)’ and his work ‘HaiRui dismissal (海瑞罷官)’ and cultural indications of ‘ShuiHu (水滸)’ in 1975. We examined what types of Cultural Revolution consciousness they distributed and whether they contain any other cultural indications. The possibility for future research will be discussed.

      • KCI등재

        문화대혁명시기의 대학생 문화

        이경자 ( Kyung Ja Lee ) 한국교육사학회 2015 한국교육사학 Vol.37 No.1

        현대 중국인에게 ``잃어버린 10년``, ``10년의 동란``, ``10년의 재앙`` 등으로 기억되고 있는 문화대혁명(文化大革命)은 1966년부터 1976년까지 10년의 대혼란을 말한다. 10년 동안 지속된 ``문화대혁명``은 경제, 사회뿐만 아니라 교육에도 많은 영향을 미쳤다. 특히 대학교육에 많은 충격과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충격과 영향은 기존과는 다른 대학생 문화를 형성하였다. 본 연구는 문화대혁명시기에 대학생들의 문화가 어떠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문화대혁명 전과 확연히 달라진 대학교의 상황을 학생모집제도의 변화, 교육 대상과 내용, 학제의 변화, 홍위병을 통한 정치투쟁 등을 통해 알아보았다. 문화대혁명시기에는 대학입학이 몇 년간 중단되었으며 기존의 정상적인 학제가 단축되었다. 대학생 선발기준은 기존의 고등학교 졸업자에서 학력에 상관없이 ``공농병(工, 農, 兵: 노동자, 농민, 군인)`` 출신으로 바뀌면서 많은 공농병대학생이 출현하였다. 이들의 출현으로 교수방법, 교수내용 등에 많은 변화가 일어났다. 이러한 변화 및 혼란은 대학생들 사이에 고발과 비판문화를 낳고, 이러한 고발과 비판은 기존에 가지고 있던 사회질서는 물론이고, 인간으로서 가지고 있는 최소한의 존엄성마저 훼손시켰다. 또한 마오쩌둥을 신격화하여 숭배하는 문화를 만들었다. 마오쩌둥 숭배는 조청시(早請示)를 하며, 가슴에 마오쩌둥의 휘장을 달고, 그의 어록을 외우며, 충자가(忠字歌)를 부르고, 충자무(忠字舞)를 추며, 어록체조(語錄操)를 하고, 만회보(晩匯報)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통적인 사생(師生)관계를 깨트렸다. 사생관계의 파괴는 학문과 학술에 대한 권위와 신뢰마저 깨트렸고, 이는 교사에 대한 권위를 실추시켰다. 문화대혁명으로 인해 중국은 10여 년간의 인재배양 기회를 상실했다. 문화대혁명은 사람들에게 많은 피해와 교훈을 남기고 지금까지도 명료하게 해석되지 않은 역사적 사건으로 남아 있다. `The cultural revolution` is the 10-year great chaos from 1966 to 1976 remembered by modern Chinese as `A Lost Decade`, `The 10-year War`, `The 10-year Disaster` etc. The cultural revolution had a lot of influence economic, social, and education for the 10 years and in particular influenced a lot of shocks and impact on university education. These shocks and impact resulted to the formation of the culture different from other university students` conventional cult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tudents` culture in the great cultural revolution period. To achieve this goal this study examined the situation changed significantly after The cultural revolution through student recruitment of university, changes in education, and political struggle by the Red Guards etc. During the cultural revolution the university entrance stopped for a few years, the basic education systems was destroyed, and education period was reduced. As university student selection criteria changed from the existing high school to the worker-farmer-soldier(工, 農, 兵) class regardless of the educational background, many worker-farmer-soldier university students emerged. The appearance of worker-farmer-soldier university students occurred many changes in teaching methods and contents, etc. Such changes and confusion lowered the levels of students enrollment and paralyzed original higher education function. As a result, university education was almost suspended at the time. It is no exaggeration to say that the cultural Revolution is the Red Guards movement. The political struggle by the Red Guards resulted in accusations and criticism to students at the time, directed the atmosphere for Mao Zedong worship like God and went broke the traditional teacher-student relationship. The destruction of teacher-student relationship broke the rough trust and authority over scholarship and academic activity and led to downfall the authority of the teacher. Because of the cultural revolution China lost the chance of human resource nurturing for over 10 years. The cultural revolution left a lot of damage and lesson, but is still remained a historical event not yet clearly interpreted.

      • 역사로서 문화대혁명과 그 표본으로서 조선족 희곡

        김남석(Kim, Nam-seok) 대구가톨릭대학교 다문화연구소 2017 다문화와 인간 Vol.6 No.1

        연변 조선족은 일찍부터 독자적인 연극 세계를 구축해 왔다. 그들은 과거 항일투쟁 시기부터 자신들의 사연을 연극으로 공연하였는데, 특히 조선족의 역사적 정착 과정에서 중요한 사실을 희곡으로 기록하는 데에 주력한 바 있다. 하지만 문화대혁명에 대한 희곡적 접근은 아직도 요원한 상태이다. 그 이유는 정치적 트라우마와 역사적 상처가 지나치게 강력하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본 연구는 비록 극소수일망정 연변 조선족 희곡 가운데 문화대혁명을 다룬 희곡을 대상으로 삼아, 이러한 텍스트에 담긴 의미와 가치를 조명하고자 한다. 문화대혁명은 중국의 근현대사를 뒤바꾼 역사적 사건이었고, 이러한 여파는 조선족에게도 심대하게 나타났다. 조선족은 희곡 텍스트에 역사의 표본으로서 문화대혁명을 아로새기는 작업에 참여한 바 있다. Chinese-korean people have built their own theatrical world from early on. Chinese-korean people performed their stories in theater from the time of the anti-Japanese struggle in the past, especially focusing on recording the important facts in the historical settlement of the Chinese-korean people. However, the dramatic approach to Cultural Revolution is still in a hurry. The reason is that political trauma and historical injuries are too powerful. This study aims to illuminate the meaning and value of these texts in the play of the Cultural Revolution among the plays of the Chinese-korean people, even if the works are only a small number. The Cultural Revolution was a historical event that led to the contemporary history of China, and its aftermath was strong for Chinese-korean people. The Chinese-korean people participated in the recording of the Cultural Revolution as a sample of history in the play text.

      • KCI등재

        중국 문화대혁명 선전 포스터의 차용에 관한 연구

        김문정(Moon Jung Kim)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1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7 No.4

        오늘날 그 어떤 시대보다도 급격한 변화를 겪고 있는 중국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사회·문화 영역을 포함한 다각적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특히 중국 시각문화 영역에 주목하여 과거와 현재의 시각문화 전개에서 목격되는 다양한 관련성을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중국의 문화대혁명 선전 포스터를 연구 대상으로 삼아, 이것이 오늘날 중국의 순수 예술 영역과 디자인 영역을 포함하는 시각문화 안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차용되는 과정을 구체적인 작품의 분석을 통해 검토하였다. 연구방법에 있어 일차적으로 문화대혁명 선전 포스터의 전개와 분류, 그리고 조형적 특징을 검토하였다. 여기서 문화대혁명 시기에 선전 포스터가 등장하게 된 배경, 전개 양상, 그리고 표현 형식에 따른 분류 기준으로 선전 포스터에 대한 이론적 접근을 시도하였다. 다음으로 문화대혁명 선전 포스터의 차용 양상을 1990년대와 2000년 이후라는 시대적 구분을 통해 살펴 보았는데, 1990년대와 2000년대는 체제의 검열 수준과 경제발전의 정도 차이라는 환경적 요인들로 인해 문화 대혁명 선전 포스터의 차용 양상이 매우 상이하게 전개된다. 여기서 보다 구체적인 조형적 특징을 살펴보기 위한 분류 기준으로 대칭과 균형, 반복, 점층 그리고 평면화의 4가지 항목을 사용하였다. 차용에 대한 연구는 본 논문의 주제를 명확하게 제시할 목적으로, 1990년대는 아방가르드 미술 영역에서, 2000년대는 광고디자인 영역의 범위에서 이루어졌다. 특히 이 두 영역은 동일한 평면시각예술 매체이면서 아방가르드 미술의 경우 문화대혁명 선전 포스터가 지닌 정치적 가치를, 광고디자인 영역의 경우 선전 포스터가 지닌 쉽고 정확한 메시지 전달 기능을 부각시켰기 때문에, 이 둘을 교차적으로 비교 검토하는 과정에서 매우 흥미로운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도출한 결과로, 과거 문화대혁명 시기의 시각문화가 급변하는 정치사회적 배경 안에서 전혀 새로운 방식으로 차용되는 과정을 확인하는 절차를 통해, 우리는 창작과 수용에 따른 중국 시각문화의 특수성을 이해할 수 있게 되었다. 더불어 경제, 정치, 문화, 예술의 영역이 정치적 이념과 경제적 실리라는 배경에서 복잡하게 얽혀있는 중국의 경우, 체제의 검열 수위에 따라 표현 가능한 시각문화의 범위와 수준이 결정되고, 그 범위 내에서 가능한 차용의 방식을 활용하여 전개되는 다양한 평면시각예술들을 통해 중국 시각문화의 유연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In order to understand modern Chinese society and culture, multifaceted research including social and cultural fields is needed.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field of visual culture in China and attempt to figure out the relevance of Chinese visual cultures in the past and present. For those kinds of approaches, this research is based on the propaganda poster that was produced and possessed during the particular historical event; as known as "Chinese Cultural Revolution", which can be helped to understand how propaganda poster was appropriated variously in visual culture field that includes both today`s chinese pure art and design field by analysing the specific literary works. Chinese cultural revolution propaganda poster`s aspects of development, classification, and formative characteristics should be considered first of all. Further more, theoretical approaches of it`s background and forms of expressions are going to be discussed too. Second, aspects of chinese cultural revolution propaganda poster`s appropriation will be focused by separating it`s periods in to two sections; 1990`s and after 2000`s. In 1990`s and 2000`s, due to the differences of political structure and economic growth, the aspects of it`s developments were slight dissimilar to each other. For recognizing formative peculiarities of chinese cultural revolution propaganda poster, under those headings such as symmetry, balance, repetition, gradation and flatness are used. For further classifying the intrinsic idea of this research, aspects of chinese cultural revolution propaganda poster in avant-guard movements in 1990`s and in 2000`s advertising design field will be discussed. Emphatically, those two periods are bound together by same plane-visual art medium, but on the other hand avant-guard seems to have more political values compared to advertising design field which is embossed by precision in delivering the massages. There could be interesting results by comparing those two. As results through this research, by looking in to whole-new ways of processes in appropriations in various changes of visual culture on chinese cultural revolution, which is related to political and social backgrounds, we have find out the distinctive features of visual culture that is deducted by creation and expropriation. Besides, considering that china is facing complicated situation due to the back ground which economy, politics, culture, art kinds of fields are bounded with both political ideologies and economical profits, a range of expressional visual culture and it`s standard are determined. Also in this range, we could find out the flexibilities of chinese visual culture through various kinds of plane visual art which is displayed by political structure`s censorship.

      • KCI등재
      • KCI등재

        중국 문화대혁명 시기 이미지 특징 연구

        류건지,신인식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19 조형미디어학 Vol.22 No.3

        The art style of the Cultural Revolution is the pinnacle of Mao Zedong’s art style. This study explores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the visual image of art in the Mao Zedong art period from 1942 to 1976 b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art image during the Cultural Revolution. In general, there were four main artistic creations at the time. The first is to praise the leader and promote the history of the revolution; the second is to criticize the reactionary forces; the third is about industry, agriculture, and military, and the fourth is to praise new art and heroes. Artistic creators and literary policies maintain a high degree of consistency with mainstream ideology due to institutional constraints and service awareness. The creators are more fulfilling their political mission and social responsibility than thinking about the breakthrough of art. By analyzing the image features in the Cultural Revolution art, we find out the origin of the image features and analyze the reasons. Finally, it is proved that the art style of the Cultural Revolution is based on the aesthetic taste of the peasants. It is because Mao Zedong's attachment to his own social ideals. All the factors in the art of the Cultural Revolution are to prove Mao Zedong's social ideals. 문화대혁명 미술 양식은 마오쩌둥미술 양식의 절정의 산물이다. 본 연구에서는 문화대혁명 시기의 미술 이미지 특징을 분석하여 1942-1976년의 마오쩌둥 미술 시기 중 미술적 시각 이미지의 발전 방향을 탐구하였다. 전반적으로, 당시의 예술 창작 방향은 주로 네 가지였다. 첫째로 지도자를 찬양하며 혁명의 역사를 홍보하는 주제이고, 둘째는 반동세력에 대한 비판적 성향이 담긴 주제이다. 셋째는 공업, 농업, 군인에 관한 주제이고, 넷째는 새로운 예술 주체와 영웅을 찬양하는 주제이다. 체제의 구속과 서비스 의식의 통제로 예술 창작자와 문예 정책은 주류 이데올로기와 고도의 일치성을 유지하였다. 창작자들은 예술의 돌파보다는 정치적 사명과 사회적 책임을 더 많이 이행하고 있다. 문화대혁명 미술에서의 이미지 특징을 분석하여 이미지 특징의 유래를 찾아내고 그 원인을 분석했다. 마지막으로 문화대혁명 미술의 양식이 농민들의 심미적 취미에 기초하고 있음을 증명했다. 이 스타일은 마오쩌둥의 자신의 사회적 이상에 대한 집착 때문에 만들어진 것이고, 문화대혁명 미술에서의 모든 요소는 마오쩌둥의 사회적 이상을 증명하기 위한 것이다.

      • KCI등재후보

        Chinese Ballet during the Great Cultural Revolution

        Jiang Dong 한국무용기록학회 2007 무용역사기록학 Vol.13 No.-

        중국에서는 1966년부터 1976년까지 약 10년에 걸쳐 문화대혁명이 진행되었고 그 시기동안 모든 문화예술 작품은 8개의 ‘혁명 모범극(Revolutionary Model Plays)’으로 통합되어 공연되었다. 이 중 두 개의 작품이 발레였으며, 하나는 베이징에서 초연된 <붉은 여군(The Red Detachment of Women)>이고 다른 하나는 상하이에서 초연된 <백모녀(The White-haired Girl)>였다. 이들 발레 작품은 문화대혁명이 시작된 1966년 이전에 초연되었으나 문화대혁명 기간 동안 수정 과정을 거치면서 중국 인민들을 교육하는 ‘혁명 모범극’으로 재탄생하게 되었다. 문화대혁명 기간 중의 예술 창작이란 계층 간의 갈등 표출을 바탕으로 옛 것을 부정하고 새로운 혁명적 사상을 선전하는 또 다른 정치적 활동이었다. 당시 중국 혁명의 지도자인 마오쩌둥의 부인 장칭은 <붉은 여군>과 <백모녀> 두 발레 작품의 수정 과정에 직접 참여하였으며, 이는 결국 두 발레 작품이 정치적인 ‘모범극’으로서 재탄생하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본 논문은 문화대혁명 기간 동안 진행된 두 발레 작품의 변화를 살펴보고 당시 매체들에 보도된 기사 등을 통해 장칭이 독재적으로 주도한 작품수정 과정 및 이를 통한 작품의 경직화 현상 등을 살펴보고, 나아가 이들이 중국의 무용 역사상 갖는 의의 등을 살펴보았다. In China, about for 10 years from 1966 until 1976, the Great Cultural Revolution went on. During that time, all artistic works were integrated as 8 Revolutionary Model Plays and performed. Of them, two works were ballets. One is The Red Detachment of Women, the first performance in Beijing and another is The White-haired Girl, the first performance in Shanghai. These ballet works had been premiered beforet the Great Cultural Revolution was started in 1966 but through several revision during the Great Cultural Revolution, they were recreated as 'Revolutionary Model Plays' for the purpose to educate Chinese people. Art creation during the Great Cultural Revolution, it was another political activity for negating the old things and instigating the revolutionary ideology, based on the class conflicts. At that time, Chiang Ching the wife of Mao Ze-dong, the leader of the Chinese Revolution, actively involved in revision of two ballet works, The Red Detachment of Women and The White-haired Girl. So it served as a momentum for the rebirth of two ballet works, changed into political "model plays". In this paper, it explored the change of two ballet works during the Great Cultural Revolution. And through the news aticles which were reported in mass media at that time, it investigated how Chiang Ching took a initiative participation in revision dictorially and how the dance works became rigid gradually, and furthermore this paper tried to examine the significance meaning in History of Dance in Chin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