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아랍권의 한중일 문학 번역 및 한국 문학의 위상

        ELEWA Alaa F. 한국비교문학회 2022 比較文學 Vol.- No.88

        The introduction of Korean literature to Arab readers came much later than other East Asian works of literature, especially Chinese and Japanese literature. South Korea was less fortunate in establishing early active cultural exchange with the Arab world, while early trade and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the Arabs, Chinese, and Japanese contributed to the consolidation of early cultural ties between the two parties. This paper attempts to explore some real-world problems with the translation activities of Chinese and Japanese literature, in addition to examining the reasons for the uneasy translation activities of Korean literature into Arabic, and accordingly, it examines the situations and some of the problems of translating Korean literature into Arabic. This paper also aims to highlight various efforts made to activate and solve the problems of Arabic translation activities of Korean literature. This paper is generally divided into two parts. The first part discusses the history and current status of the Arabic translation of Chinese and Japanese literary works, as well as the challenges it faces. While the second part focuses on the history of translating Korean literary works into Arabic, its current status, and the efforts made to improve the translation of Korean literature. It also reviews some of the practical problems facing translating Korean literature into Arabic including publishing, promotion, etc. 한국 문학의 아랍어 번역은 중국과 일본 문학의 아랍어 번역보다 약 50 년 늦게 출발하였다. 중국과 일본 문학의 아랍어 번역은 일찌감치 활성화된 아랍 세계와 중국, 그리고 아랍 세계와 일본 간의 교역 및 외교 관계의 영향 때문이라고 볼수 있다. 오래된 번역 역사임도 불구하고 두 나라 문학의 번역이 그리 순조롭지 못한 측면들이 있었고 아직도 극복해야 할 문제점들이 있다. 한정된 독자층, 재판 문제, 이슬람권에 어울리지 않은 문화요소, 국제수상작을 중심으로 한 작품선정 등의 체계적인 번역 활동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다양한 현실적 문제를 본 논문에서 자세히 알아본다. 이는 역시 한국 문학 아랍어 번역에서도 나타나고있다. 2000년대 중반에 시작된 한국 문학의 아랍어 번역 활동은 지속적으로 활성화되고 있으나, 독자층의 성립, 올바른 홍보, 한국문화와 역사에 대한 아랍인의 인식 등과 같은 문제점들이 여전히 해결되지 않고 있다. 지속적인 증가를 보이는 한국 문학의 번역 활동을 이어가려면 작품 번역 외에도 한국 문학, 역사, 문화 등을 소개하는 ‘아랍어로’ 된 도서와 다양한 행사를 통해서 한국 문학 알리기 활동 등의 홍보가 필요하다. 그리고 무엇보다 번역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비평을 통한 번역 검증도 시급하다. 이 같이 본 논문은 먼저 중국과 일본 문학의 일찍이 시작된 번역 활동의 현황 및 문제점을 다룬 후, 이를 바탕으로 한국 문학의 아랍어 번역 활동의 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하고 완성된 번역 활동을 위해 실행되고 있는 노력들을 조명하고자 한다.

      • KCI등재

        한국 실기문학의 일본어 번역양상 연구: 『당토행정기(唐土行程記)』와 『조선징비록(朝鮮懲毖錄)』을 중심으로

        우채리 민족문학사연구소 2023 민족문학사연구 Vol.83 No.-

        Among the Korean literature published and translated in medieval Japan, Silki literature “Pyohaerok” and “Jingbirok” hold a special place. Korean literature in medieval Japan was generally published in the form of Kuntenhon(訓點本), making the translation of “Pyohaerok” and “Jingbirok” into Japanese relatively rare occurrences. This prompted this study to investigate the translation patterns of Korean Silki literature into Japanese, with a focus on the Japanese translations of “Toudokouteiki” and “Chosen Chohiroku.” Firstly, by examining the translation patterns of “Toudokouteiki,” it was possible to discern the translator Seita Tanso’s purpose of conveying information about the customs and culture of the Jiangnan(江南) region of China to Japanese readers and criticizing foreign perceptions that were at odds with Japanese conventional ideas. With this purpose in mind, “Pyohaerok” was reconstructed as a Korean traveler’s record of the Ming Dynasty, aligning it more closely with Japanese conventions. The translator omitted or modified certain passages, particularly those related to the author Choi Bu’s experiences during his exile and his self-praise of both himself and Joseon. Additionally, the translator frequently inserted criticism questioning the veracity of Choi Bu’s accounts and the legitimacy of his words and actions. Next, by analyzing the translation patterns of “Chosen Chohiroku,” it was possible to identify the translator Yamaguchi Tsutomu’s purpose of promoting the legitimacy of the First Sino-Japanese War (1894~1895) and reevaluating the Imjin War (1592~1598) through “Jingbirok.” The translator believed that a reinterpretation of “Jingbirok” was necessary to align its content with the political objectives of the Meiji era. As a result, certain words and sentences that run counter to a picture of strong Japan versus weak Joseon were intentionally omitted or modified in the translation. Additionally, the translator scrutinized the accuracy of the events described by the original author Yoo Seong-ryong and inserted commentary on the actions of historical figures related to the Imjin War. The translation patterns of Korean Silki literature into Japanese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distance between the original text and the translation, the translator’s critical attitude, and the use of popular styles. A translated text distant from the original text can be attributed to Japan’s tradition of prioritizing localization over fidelity to the source text. Additionally, in medieval Japan, it was common to include commentaries expressing the translator’s opinions alongside the translations. The use of the Wakan Konkoutai(和漢混淆體) style in translations reflects the aim of satisfying the demands of Japanese readers, highlighting the goal of achieving popularity in the translation of Korean Silki literature into Japanese. In light of this, interactions among East Asian countries through literature and translation did not necessarily lead to mutual understanding but instead involved distorting the original author’s intent to reinforce one’s political logic or to reconstruct facts into content preferred by readers. Consequently, the study of medieval East Asia requires a critical perspective that goes beyond the idealization of interactions among countries and instead strives for an accurate understanding of the reality of these interactions. 중세 일본에서 간행・번역되었던 한국문학 중 실기문학 『표해록』과 『징비록』은 특별한 위치를 점하고 있다. 한국의 문학은 중세 일본에서 대개 훈점본(訓點本)의 형태로 간행되었으나, 실기문학 『표해록』과 『징비록』은 일본어로 번역된 흔치 않은 사례다. 이 때문에 본고는 『표해록』의 일역본 『당토행정기』와 『징비록』의 일역본 『조선징비록』을 중심으로 한국 실기문학의 일본어 번역양상을 연구하였다. 먼저, 『당토행정기』로부터 중국 강남지역의 풍토에 대한 정보를 일본인 독자들에게 전달하고, 일본인의 통념과 괴리되는 『표해록』의 대외 인식을 비판하고자 하는 세이타 단소의 번역 목적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러한 목적 아래 『표해록』은 ‘조선인의 명나라 여행기’로 재구성되었고, 일본인의 통념에 부합하는 책이 되었다. 번역자는 주로 『표해록』 전반부의 표류 체험, 그리고 유학자 최부가 스스로와 조선에 대해서 자부하는 장면을 일부 생략하거나 변개하여 번역하였다. 또한 원저자 최부가 서술하고 있는 사실의 진실성과 최부의 말과 행동의 정당성을 따지는 비평을 빈번하게 삽입하였다. 다음, 『조선징비록』에서는 청일전쟁의 당위성을 주창하기 위해 『징비록』을 통해 임진왜란을 재조명하고, 『징비록』의 여러 선행 일역본의 관점에 반박하고자 하였던 야마구치 쓰토무의 번역 목적을 발견할 수 있었다. 번역자는 메이지 시대가 요구하는 정치적 목적에 맞게 『징비록』의 내용을 새롭게 번역할 필요가 있었다. 그러므로 ‘강한 일본-유약한 조선’의 구도에 배치되는 몇몇 단어나 문장은 고의로 생략하고 변개하여 번역했으며, 번역자는 원저자 유성룡이 서술한 전황의 사실성을 검토하고, 임진왜란에 관련된 실존 인물의 잘잘못을 따지는 내용의 비평을 삽입하였다. 한국 실기문학의 일본어 번역양상은 원문과 번역문 사이의 거리, 번역자의 비평적 태도, 대중적 문체의 사용으로 정리할 수 있다. 생략과 변개가 잦은, 원문과 거리가 있는 번역문의 탄생은 원문을 존중하기보다는 현지화에 힘썼던 일본의 번역 전통의 특성에서 주로 그 원인을 찾을 수 있다. 또한 번역자의 비평적 태도는 주석을 달아 의견을 드러내는 형태의 번역이 흔했던 일본의 번역 전통의 맥락에서 해석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번역의 문체로 이용된 화한혼효체(和漢混淆體)는 한국 실기문학의 일본어 번역이 지향했던 대중성, 즉 독자의 요구 충족이라는 목표를 잘 보여준다. 『당토행정기』와 『조선징비록』을 중심으로 한국 실기문학의 일본어 번역양상을 연구한 결과, 문학과 번역을 매개로 한 동아시아 국가 간 교류의 양상은 실로 다양하며, 때로는 상호 이해가 진작되는 방향으로 이루어지지 않기도 한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오히려 원저자의 의도를 왜곡하면서 자국의 정치적 논리를 강화하거나 독자들이 선호할 만한 내용으로 사실을 재구성하는 것이 한국 실기문학의 일본어 번역양상에서 자주 발견할 수 있는 번역양상이었다. 이를 통해 동아시아의 중세를 연구하는 일은 그 속에서 이루어진 교류를 이상화하는 시각을 경계하고 그 실상을 정확하게 판단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 KCI등재

        석모용(席慕蓉)작품의 한국어 번역에 관한 고찰

        신의연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7 인문학연구 Vol.56 No.1

        대만 작가 席慕蓉은 간결하고 쉬운 중국어로 애정, 인생, 자연을 주제로 시와 산문을 창작하였다. 그의 작품은 대만과 중국대륙에서 모두 놀라운 출판부수와 판매량을 기록하였고, 현재도 시가와 노래로 애송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중국에서는 그녀의 일부 시가 초중등 어문 교과서의 교재에 수록되어 있다. 하지만 현재까지 한국에서 席慕蓉관련 연구는 한편도 존재하지 않으며, 한국인이 번역한 역서도 없다. 이는 매우 아쉽고도 특이한 일이다. 현재 한국에는 1994년 중국동포 金學松씨가 번역한 역서 한권만이 출판되어 있다. 하지만 인터넷공간에서는 중화권 출신 중국인이 자발적으로 번역소개하고, 이를 국내 독자들이 수용하는 방식의 전파가 진행되고 있다. 앞으로도 席慕蓉작품처럼 인터넷상 중국 현당대 문학작품의 전파 방식은 점점 더 증가 할 것으로 예상된다. 席慕蓉작품처럼 한국의 독자들에게 쉽게 수용되며 사랑받을 가능성이 충분한 중국어 문학작품을 발굴하여 소개하지 못했다는 점은 안타까운 일이다. 또한 중화권 교과서에도 실려 있는 작품을 생존 작가의 가벼운 애정시라 여기어 한국 학술계에서 학술 연구가 전무한 점과 이와 관련하여 현재 현당대 문학연구와 번역이 주로 중국 대륙작가 위주로 편향되어 있는 점도 개선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席慕蓉文學作品,在台灣和中國大陸在內的全世界華文文學界里的廣泛傳開,但是韓國學術界却沒有反應,沒有學術論文也沒有飜譯書,這是一種?奇怪的現象。只有一本金學松飜譯的韓文飜譯書和韓國的因特網博客里的席慕蓉作品的韓文飜譯,但這些也都不是韓國人飜譯的,是在中國受到敎育的中國人包括朝鮮族同胞飜譯的。金學松的韓文飜譯書愛情的季節與?見面里的一些部分采取了意譯的方式,飜譯的個性豊富,但?離開原文的意圖。因特網上席慕蓉作品的飜譯比較重視原文的形式和內容,但不勾個性和創造性。席慕蓉的作品傳到韓國的過程和韓國人認識到其他中國有名作家的過程不一樣。席慕蓉作品沒有學術界的事前工作的狀況下,韓國讀者直接從網上學習到相關知識,共享席慕蓉的作品。這意味着席慕蓉的文學作品給韓國大衆留下了?深的印象。但是現在在網上自行飜譯流傳的席慕蓉作品需要一些專家的整理和補充。最同時還需要學術界該擔任的角色,希望韓國的飜譯和硏究方面的專家進行發展席慕蓉文學作品的整理和補充。

      • KCI등재

        한국문학의 해외 번역과 보급의 현황

        권세훈 ( Se Hoon Kwon ),김갑년 ( Kab Nyun Kim ) 한국독어독문학회 2012 獨逸文學 Vol.124 No.-

        한 나라의 문학을 외국어로 번역해서 현지의 출판시장에 내놓는다는 것은 단순히 상업적인 이윤추구 이상의 의미를 지닌다. 외국 독자는 문학을 통해 그 나라의 문화와 정서를 이해하며 동시대인으로서 공감대를 이루게 된다. 문학은 이처럼 번역을 통해 모국어의 울타리를 벗어나 세계문학의 한 부분이 될 가능성을 지니고 있다. 그런 의미에서 ‘번역가 없는 세계문학은 공허한 개념이다’라는 말이 설득력을 가지게 된다. 번역가의 역할과 관련하여 자주 거론되는 인물이 일본 작가 가와바다 야스나리의 ≪설국≫을 영어로 번역하여 노벨문학상까지 받게 만든 에드워드 사이덴스티커(Edward G. Seidensticker)이다. 원작의 독창성과 예술성이 좋은 번역과 만날 때 외국 독자를 감동시키는 새로운 언어로 재탄생하는 것이다. 특히 문학은 고유의 지속성과 고급스러운 이미지로 인해 문화적 전파 효과가 크다. 그러나 한국문학은 세계문학 내에서의 인지도가 그다지 높지 않다. 이것은 최근 K-팝을 비롯한 대중음악과 드라마를 통해 해외에서 부각된 한류현상이나 학습만화와 같은 실용적인 도서 내지는 장르소설(인터넷소설)의 인기와도 대조된다. 물론 정통 문학이 물질주의가 더욱 기승을 부리는 일상적인 삶속에서 전반적으로 퇴조하는 것은 전 세계적인 현상이지만 한국문학 번역출판의 문제점은 몇 가지 측면에서 살펴볼 수 있다. 첫째, 한국문학을 전문적으로 번역하는 번역가가 많지 않다. 특히 한국어를 제대로 구사할 뿐만 아니라 한국문학과 문화를 이해하면서 독자적으로 번역할 수 있는 원어민 번역자가 절대적으로 부족하다. 현재 한국문학이 다양한 언어로 번역되고 있지만 원어민 번역자는 전체적으로 100여명에 불과하다. 이것은 문학뿐만 아니라 인문학술서에도 해당된다. 개념어의 번역에 전문가적 지식이 요구되는 학술도서나 문체의 아름다움을 살려야 하는 문학 모두 번역가의 특별한 능력이 요구된다. 원어민 번역가의 부족은 해외출판사 입장에서도 또 다른 고민거리이다. 흥미로운 번역물이 접수된다 하더라도 그것이 얼마나 원문에 충실하게 번역되었는지 판단해줄 전문편집위원이 없기 때문에 출판을 주저하게 되는 것이다. 둘째, 한국문학의 번역출판은 지난 10여 년 동안 양적으로 크게 성장한 것도 사실이다. 여기에는 한국문학번역원과 대산문화재단의 지원이 큰 역할을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초판 발행으로 끝난 경우가 많은 것은 ‘해외 독자가 무엇을 원하는가’보다는 ‘무엇을 보여줄 것인가’에 더 많이 치중했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하여 독일의 한 라디오 방송국(SWR)의 문학담당 기자이면서 한국문학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서평을 써온 카타리나 보르하르트(Katharina Borchardt)는 2011년 9월 한국문학번역원이 주최한 세계번역가대회에서 한국 문학의 독일 수용에 관한 주제발표를 했다. 이에 따르면 지금까지 독일에서 번역 출판된 한국문학의 주된 테마는 여전히 남북분단이나 민주화 투쟁이며 작가들 또한 50대 이상의 남성이 대부분이다. 이 기자는 독일 사회에서 지적 호기심이 많고 서적 구매력이 높은 젊은 여성들의 취향에 맞는 작품에도 신경을 쓸 것을 권한다. 가령 현대 시민사회에서의 고독한 개인의 삶이라는 문학의 보편적 주제가 한국 사회에서는 어떤 모습으로 나타나는지를 표현한 작품이 호응도가 더 높을 것이다. 번역할 작품의 선정 단계에서부터 작가, 번역자, 해외 출판사 사이의 긴밀한 사전 협의가 필요하다. 셋째, 기존의 한국문학 번역 출판은 대부분 치밀한 마케팅전략이 없는 상태에서 이루어져왔다. 세계 출판시장에서 중소 서점이 몰락하는 대신 대형 서점의 체인화가 진행되고 국제적인 저작권 에이전시 역시 글로벌한 차원에서 움직이는 최근의 추세를 고려할 때 한국문학 역시 이러한 시스템에 편입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더구나 미국을 중심으로 문화산업의 쏠림 현상이 심화되는 상황에서 한국문학의 입지를 넓히는 것이 여간 어려운 일이 아니다. 그나마 다행인 것은 몇몇 한국 작가의 경우 국내외 에이전시와 계약을 맺고 책을 출판하고 있으며 개별적인 성과도 내고 있다는 점이다. 한국문학이 세계문학의 한 부분으로 확고하게 자리매김하기 위해서는 지금까지의 시행착오를 거울삼아 많은 것이 새롭게 기획되고 감동 번역을 통해 현지 시장의 수요에 부응하는 맞춤형 전략이 필요하다.

      • KCI등재

        한국문학번역 목적 한국어 학습자들의 요구 분석과 교재의 개발방향

        윤정화 이화어문학회 2014 이화어문논집 Vol.34 No.-

        본고는 한국문학 번역 목적 한국어 학습자들을 위한 교재를 개발할 필요가 있 다는 인식하에 시도되었다. 본고는 한국문학번역원에서 2012년 9월에서 2014년 6월까지 1년 반 동안 한국문 학번역을 위해 선발된 외국인 학습자 5기와 6기(2기)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지와 심층인터뷰 방법으로 교재와 그 교육내용에 대한 요구 사항을 조사한 결과를 수 록하였다. 이 조사에는 2012년부터 2013년 한 해 동안 한국문학과 한국어 학습을 수료한 학생 15명과 이제 새롭게 한국문학번역을 연수받을 학생 16명, 총 31명이 참여하였다. 이 설문지의 내용을 토대로 하고 현재 번역 연수 지원을 받는 학습자 16명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한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문학 번역 목적의 한국 어 학습자들의 교재에 대한 요구를 분석해 본 것이다. 교재를 개발하기에 앞서 이들의 학습 목적을 조사하는 이유는 기존의 한국문 학 번역 교과목의 목표가 한국어의 의사소통 능력 함양이었기 때문이다. 즉, 기존 의 강좌내용은 한국어 능력 함양이 목적이고 이에 한국문학은 한국의 사회 문화 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한 도구적 성격이 강했다. 그러나 한국문학번역 학습 자들의 학습 목적은 한국문학의 이해와 분석, 그리고 번역 자체이므로 그 목적 자 체가 매우 다르다. 조사 결과, 한국문학 번역 한국어 학습자들은 한국문학을 이해하고 표현할 때 요구되는 한국어 능력이 필요하다는 답을 했다. 즉, 문학 작품과 함께 한국문학을 이해할 수 있는 문학관련 서적을 읽고 이해하는 능력 향상을 중심으로 하는 어휘 와 문법 표현 등을 숙지하기를 원하는 것이다. 그리고 한국문학번역 목적 학습자 들은 한국문화를 이해하지 않고서는 알 수 없는 관용적 어휘나 표현을 배워 한국 문학, 이 중에서도 소설 작품이 갖고 있는 특수한 의미를 이해하는 능력을 습득할 수 있기를 원했다. 학습자의 목적에 맞는 교재가 다양하게 개발되어야 하고 학습자의 요구에 맞 는 교육 내용으로 교재가 구성되었을 때 교육의 효과는 커질 것이다. 한국문학 목 적 학습자의 요구에 맞도록 한국문학을 이해하는 데에 필요한 배경지식을 담은 어휘들과 문학적인 표현을 이해하는 데에 필요한 어휘들을 학습한 후 그 이해한 내용을 표현할 때 요약, 정리하고 자신의 문학적 소감을 표현할 수 있는 쓰기 능 력에 적합한 문법 요소들을 선정하여 교재를 개발하여야 한다. This study was aimed at developing teaching materials for Korean learners with a purpose of translating Korean literature. This study contains results of a survey on demands about teaching materials and educational contents. For the survey,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about foreign learners selected by Literature Translation Institute of Korea to translate Korean literature for one and half years from September 2012 to June 2014. A total of 31 students, including 15 students who finished lessons on Korean literature and the Korean language for a year from 2012 to 2013 and 16 students who will join a free training program for translation of Korean literature, took part in the survey. An analysis was conducted about needs of Korean learners with a purpose of translating Korean literature based on contents of questionnaires and in-depth interviews with 16 learners who were taking part in the free translation training program. Those learners had sufficient experience of learning the Korean language and had the high level Korean language skills. They expressed high demands on reading and writing, out of speaking, listening, reading and writing. As they wanted to have skills on reading and writing, they needed knowledge of a vocabulary, idiomatic expressions, grammar and the sentence structure. They wanted to improve their reading ability to raise understanding of Korean literature, novels in particular, According to the survey, those Korean learners needed Korean language skills needed for understanding and expressing Korean literature. In other words, they wanted to learn a vocabulary and grammatical expressions mainly to improve an ability to read and understand literary works and literature-related books. Those persons wanted to acquire an ability to understand special meanings of Korean literature, especially novels, through learning idiomatic terms or expressions that they couldn't know without understand Korean literature. The effect of education will get larger when various materials satisfying learners' purposes are developed and teaching materials contain right contents for learners' needs. Proper grammatical elements for the writing ability should be selected to develop teaching materials so that students with a goal of translating Korean literature can learn terms containing background knowledge needed to understand Korean literature according to those Korean learners and a vocabulary necessary for understanding literary expressions and then they can summary, arrange and express their literature impressions for expression what they understand.

      • KCI등재

        『문장(文章)』의 번역 양상과 그 의미

        정성훈 한국현대문학회 2024 한국현대문학연구 Vol.- No.72

        이 글은 잡지 『문장(文章)』(1939~1941)에 수록된 번역 텍스트의 저본 및 번역 방식상의 특징을 밝힘으로써 연구사의 공백을 메꾸고, 당시의 검열장, 매체 환경, 담론 등을 고려할 때 이러한 번역 행위가 지니는 의미를 고찰함으로써 『문장』을 보다 풍부하게 읽고자 시도했다. 이를 통해 새롭게 밝힌 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문장』은 꾸준히 외국문학의 번역을 게재하였는데, 비록 작품이나 역자의 성격에서 큰 일관성을 찾기는 어려웠으나 그러한 비체계적인 번역 기획은 오히려 ‘조선문학이 추구해야 할 세계문학’이나 ‘교양으로서의 세계문학’이라는 관념으로 환원되지 않는 다양한 텍스트를 게재하는 효과를 낳았다. 둘째, 『문장』에 마련된 ‘전선문학선’이나 ‘SCRAPS’, 그리고 시국 관련 글들은 그 내용은 각기 다르지만 일관되게 동시기의 일본어 잡지 또는 단행본에서 실시간으로 번역해 온 것으로 추측된다. 그 중에서도 ‘전선문학선’은 다른 외국문학 번역과는 달리 작품의 극히 일부만이 초역(抄譯)되어 작품에 대한 종합적인 접근보다는 단편적인 묘사가 두드러지는데, 이는 당시 조선 비평계에서 일본의 전쟁문학을 ‘보고문학’으로 평가하는 관점과 궤를 같이하는 면이 있다. 셋째, 『문장』은 구미 작가들의 에세이나 여타 시국과 관련된 넓은 스펙트럼의 글들을 동시기 일본어 매체에서 실시간으로 번역해 왔다. 이때 일본어 잡지의 중역은 검열체제 하에서 정치적인 글들을 실으면서도 일본의 미디어에서 검증이 완료된 것을 번역함으로써 검열을 우회하려던 시도로 해석된다. 『문장』의 번역 텍스트는 번역 방식이나 내용 등에서 제각기 차이가 있으나 잡지의 지속적인 출간을 위해 불가결한 것이었다. 이를 통해 『문장』은 조선문학의 일반적인 창작 경향과 차이가 있는 다른 시공간의 문학을 보여주기도 했으며, 동시에 시국에 대한 글을 창작하기보다는 ‘번역’하는 방식을 취함으로써 중일전쟁과 신체제, 세계대전이라는 정치적 영역으로부터 거리감을 확보하는 효과를 낳기도 했다. 이러한 번역 행위는 잡지라는 매체의 운영 과정에서 지속적으로 이루어진바, 이와 같이 『문장』 번역의 특징을 살피는 것은 『문장』의 매체 전략이나 정치성을 재고할 여지를 마련할 뿐 아니라 ‘식민지’ 조선의 잡지매체에서 ‘번역’이 지닐 수 있었던 잠재적인 효과를 생각하는 데도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the original texts translated in Munjang(1939~1941), search for characteristics of the their translation, and consider the implications of these translation practices in light of the censorship, the media environment, and discourse of the time. The following findings emerged from this study. First, Munjang consistently published translations of foreign literature, and while it was difficult to find consistency in the works or the translators, the inconsistent planning of translations provided an opportunity to publish a variety of texts that were not absorbed into the concept of ‘world literature that Korean literature should pursue’ or ‘world literature as liberal arts’. Second, texts like ‘War Literature,’ ‘SCRAPS,’ and the current affairs in Munjang are presumed to have been translated from Japanese magazines or books in real-time, despite their differences in contents. Especially, ‘War Literature,’ unlike other translations of foreign literature, translated only a small part of the original work, thus standing out for its fragmentary description rather than a comprehensive approach to the original work, which is in line with the view of Japanese war literature as ‘reportage literature’ in Korean critiques at the time. Third, Munjang retranslated essays by Western writers and other texts dealing with political issues, already published by contemporaneous Japanese media in real-time. In particular, this retranslation of Japanese magazines can be interpreted as an attempt to bypass censorship by publishing political texts that had been ‘verified’ from Japanese media. The translated texts of Munjang, while differing in style and content, were indispensable for the continuous publication of the magazine. As a result, Munjang could present ‘literature’ from another time and space that differed from the usual works, and at the same time, by ‘translating’ rather than creating texts about political issues, could achieve the effect of distancing itself from political commitment related to the Sino-Japanese War, the new system, and the World War Ⅱ. Since these translation practices were a continuous process in the publication of the magazine, studying the translation in Munjang not only provides chance to reconsider the media strategy or political nature of Munjang, but also provides important implications for understanding the effects of “translation” in the magazine medium in colonial Korea.

      • KCI등재

        논문(論文) : 번역하는 중국 -근대번역그룹의 탄생과 외국문학의 중국적 변용(1903~1937)-

        김소정,서정희 영남중국어문학회 2012 중국어문학 Vol.0 No.60

        20世紀前半年, 在中國飜譯界起了一鼓前所未有的西方文學飜譯熱潮。在晩淸時期,隨著梁啓超所倡導的小說界革命運動,小說這體裁就成了改變社會,改造國民性的有效手段,而晩淸知識分子注意小說的功能,以飜譯西方的小說爲當前急務。從1903年開始,西方文學的飜譯逐漸增加,到1937年抗日戰爭之前爲止,無論規模,質量和影響層面都達到了前代中國飜譯階段所無法比擬的高峰。本文要在此其間活動的代表性譯者群爲主線,淸理中國近代外國文學飜譯的曆程。1903年至937年間就出現了四大譯者群,按時序排列爲晩淸知識分子譯者群,商務印書館編譯所譯者群,左聯譯者群,30年代外國經典名著譯者群。首先,晩淸知識分子譯者群側重于所謂通俗文學的飜譯,尤以政治小說,科學幻想小說,冒險小說和偵探小說等,因而晩淸飜譯引進的外國作品中,世界名著等純文學作品的譯介尙屬少數。第二,在淸末民初時期,商務印書館編譯所刊行了兩套飜譯文學叢書卽``說部叢書``與``林譯小說叢書``,?受中國讀者的靑徠。這兩套叢書就成爲了解西方近代思想與文學的重要窓口。第三,從1920年代末開始出現了以左聯爲中心的左翼文學飜譯熱,大量引介蘇聯與東歐等社會主義國家的無産階級文學及其文藝理論,而且在飜譯方法上,明確提出``直譯``的主張以逐漸克服晩淸以來的``意譯``風尙,其異化飜譯法使得現代白話飜譯文體開闊新的發展空間。最後,30年代外國經典名著譯者群的代表性群體就爲商務印書館編譯所的世界文學名著叢書譯者群與中華敎育文化基金董事會編譯委員會。商務的世界文學名著叢書,作爲30年代大型文學飜譯叢書,譯介了多達154種,尤其18,19世紀的西方文學占據主流,譯者群有101人之多。中華敎育文化基金董事會編譯委員會由胡適就任委員長,以促進有規模地組織飜譯西方文學名著。中基會以贊助者(patronage)的身扮,在一定程度上對文本的選擇與文本的改寫進行幹預,對譯書的誕生比譯者還起了重要作用。

      • KCI등재

        중국번역문학사 연구의 발전 -하나의 학술사적 고찰-

        김소정 고려대학교 중국학연구소 2013 中國學論叢 Vol.39 No.-

        十世紀以來, 中國飜譯文學史硏究領域取得了豊碩成果.本文對民國時期至現金爲止中國飜譯文學史的硏究狀況梳理, 以期對未來中國飜譯文學史硏究提供有價値的參考模式.本文分爲兩個部分, 分別記述了民國至文革期間的飜譯文學史硏究成果與改革開放以後的飜譯文學史硏究成果.通過考察二十世紀一百餘年間的飜譯文學史著作的發展曆程, 發現硏究者始終把飜譯文學視爲中國現代文學不可或缺的重要部分.飜譯文學在創造和豊富中國現代文學方面的貢獻, 的確與創作具有同等重要的意義和價値.二十世紀飜譯文學史的書寫主要由兩個學術領域推動, 一爲比較文學領域, 靈一爲飜譯學領域.前者全面收集譯者、譯本等第一手的相關資料, 偏向記述於譯者或譯者群的飜譯活動, 僅停留在飜譯事件的梳理和描述的層面.後者把飜譯文學放回於整個中國飜譯史, 與宗敎飜譯、科技飜譯、社會科學飜譯同等看待, 重視飜譯在廣泛文化層次的運作問題.2000年以來, 飜譯文學史的書寫在繼承前人的觀點的基礎上, 還受國際飜譯學術界文化轉向硏究的影響, 而深化了對飜譯文學誕生的曆史文化語境及其飜譯策略和對譯入語文化所起的影響的認識, 擴展了飜譯文學史硏究的疆域.

      • KCI등재

        1970년대 제3세계 시문학의 번역과 영향

        심선옥 반교어문학회 2019 泮橋語文硏究 Vol.0 No.5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ranslation patterns, trends and influence of the Third World Poetry in the 1970s. It is a basic work for research that gave an overview of the translation patterns of the Third World Poetry from 1910 to the 1960s. As a result, It turned out that historical common experience, emotional similarities, cosmopolitanism, and universal culture are important in translation of the Third World Poetry. This paper surveyed the translation of the Third World Poetry on literary magazines, poetry magazines, and books of publications in the 1970s and compiled it into a list. The translation patterns of the Third World Poetry in the 1970s are four major trend. First, Latin American and African poetry is the mainstream in translation, but translations to Middle East Asia and Southeast Asia are minimal. Second, the trend of translation has changed from Latin American poetry to African poetry and American black poetry. Third, They are classified by medium and the concept of world literature. One is the case of translation the Third World Literature is in order to introduce recent World Literature trends, and the other is the case of translation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n literature and Third World literature. Especially, These translated poetry used the method of resistance to the violent regime, Popular Literature, and realism in Korean literature. Lastly, This paper explained the reason why Pablo Neruda was a problematic text in the 1970s in Korea. His collection of poems was censored because he was a communist. Also, it was difficult to explain the wide trend of his poems at the level of criticism in Korea. Translation of the Third World Poetry is that Korea has become a member of the Third World and has a common position and sense within the world system. 이 연구는 1970년대 제3세계 시문학의 번역과 수용 현황 및 당대 시단과의 영향관계를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먼저, 연구를 위한 기초 작업으로 1910~60년대까지 제3세계 번역시를 개관하였다. 이 작업을 통해, 한국 근현대시문학사에서 제3세계 시 번역의 기준으로 역사적 공통 경험과 정서적 유사성, 그리고 ‘세계성’과 ‘보편적 교양’이 작용하고 있음을 밝혔다. 다음으로 1970년대 문예지, 시 전문지, 출판 시집 등을 대상으로 제3세계 시문학의 번역과 수용 양상을 조사하고 목록으로 정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1970년대 제3세계 번역시의 경향, 번역 대상과 매체별로 시기적 변화양상과 의미를 분석하고 제3세계 문학론과 번역시의 관계, 제3세계 번역시가 한국시에 미친 영향 등을 검토하였다. 1970년대 제3세계 시의 번역 양상을 정리하면, 먼저, 번역 대상으로 라틴아메리카와 아프리카 시가 주류를 이루며 중동아시아와 동남아시아에 대한 번역은 미미한 편이었다. 시기적으로는 1971년 네루다가 노벨문학상을 받은 것을 계기로 라틴아메리카 시문학에 대한 관심이 확장되었으며, 1970년대 후반에는 아프리카 시와 흑인시로 번역의 중심이 옮겨갔다. 매체별로는, 제3세계 문학에 대한 특정한 인식 없이 최근의 세계문학 동향을 다양하게 소개하는 과정에서 스페인, 남미, 인도, 중동남아 시를 번역하는 경우(『시문학』과 『세계의 문학』), 한국문학과 제3세계문학의 관계에 집중하여 번역하는 경우로 나누어진다. 후자의 경우, 『문학사상』이 국내의 정치적 억압상황에 대한 대응으로 저항문학의 관점에서 라틴 아메리카 시와 제3세계문학을 연재한 것, 동인지 『반시』가 ‘민중적 민족문학’과 ‘리얼리즘’의 관점에서 아프리카 시 번역을 연재한 것이 해당된다. 특히, 제3세계 문학과 민족문학을 통합하는 관점으로 ‘민중적 관점’과 ‘리얼리즘’을 주장하였던 백낙청, 구중서, 박태순의 제3세계문학론은, 제3세계 번역시의 중심이 라틴 아메리카문학에서 아프리카 시와 흑인시로 이동하는 계기가 되었다. 끝으로, 제3세계를 대표하는 시인 네루다가 1970년대 한국문학 장에서 ‘문제적 텍스트’가 된 이유를 살펴보았다. 그가 공산주의자라는 사실로 인해 『네루다시집』에 남아 있는 검열의 흔적은, 1970년대 네루다 시집 출판의 어려움뿐 아니라 이념적인 문학작품의 출판에 대해 엄혹했던 당시의 상황을 보여주고 있다. 1970년대 제3세계 시문학의 번역과 소개는, 서구 중심의 세계문학 개념에 대한 반성적 인식과 새로운 세계문학의 기준점을 마련했다는 점, 제3세계 문학과 한국문학이 세계사적 과제의 실현을 위한 연대를 모색했다는 점, 그리고 한국 시의 영역과 비평 언어를 확장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영어권 번역문학상의 특징과 한국문학의 영어번역

        이형진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24 외국문학연구 Vol.- No.93

        세계문학에서 한국문학의 존재감은 한강의 소설『채식주의자』(2007)의 영어번역 The Vegetarian (2015)의 2016년 ‘맨부커 인터내셔널상’ 수상 전후로 나뉜다고 할 만큼 한강의 수상은 한국문학의 세계적 위상에 큰 전환점을 마련한 것으로 평가받는다. 한강의 수상 전 신경숙이 2011년 받았던 ‘맨아시아문학상’을 비롯해서, 한강 이후로 지난 10년간 한국 작가들이 해외에서 받았거나 수상 후보로 올라갔던 ‘전미도서상(번역부문)’, ‘전미번역상’, ‘루시엔 스트릭 아시아 번역상’, ‘전미도서비평가협회 그렉 배리오스 번역상’, ‘국제더블린문학상’, ‘PEN번역상’, 아마존닷컴 ‘최고의 번역서상’ 등은 해외에서 한국문학의 위상을 높이는 데 유의미한 역할을 했지만, 정작 국내 학계에서는 이들 해외 문학상의 특징이나 의의를 다루는 연구가 거의 없었다는 점은 아쉽다. 한국문학 작품이 수상한 해외 문학상의 전통과 특성, 배경에 관한 이해와 논의가 수반될 때 해당 문학상의 가치와 의의에 대해서도 종합적인 판단이 가능해진다. 또한, 해외 문학상의 수상은 번역을 통하지 않고서는 불가능하기 때문에 한국문학 영어 번역의 전략과 방향성의 관점에서도 해외 문학상에 대한 논의는 필요하다. 또한, 대부분의 노벨문학상 수상자가 수상 이전에 다양한 해외 문학상을 수상한 이력을 공유한다는 점에서도 해외 문학상의 상호 영향력은 크다. 본 연구에서는 지난 10여 년 동안 영어권 주요 문학상을 수상하거나 최종 후보로 올라간 한국문학 번역 작품의 수상 패턴을 분석하면서 해당 번역상들의 주목할 만한 공통의 가치를 분석하고자 한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substantial impact of several literary awards within English-speaking countries. Identifying the tradition,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of these awards for translated literature is pivotal in the context of enhancing the distinctive visibility of Korean literature on the global stage and fostering the translation of Korean literature. These awards not only play a crucial role in shaping the identity and essence of world literature but also exemplify the shared trajectory of internationally acclaimed authors, who have often accumulated various literary awards prior to receiving the Nobel Prize. Thus, this study analyzes the patterns of accolades received by Korean literary translations in English-speaking countries over the past decade, analyzing the common values inherent in the translation awards in order to offer insight into their significant influ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