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효석 문학에서의 지리 인식

        이민부(Minboo Lee)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17 문화 역사 지리 Vol.29 No.4

        소설가 이효석은 한국 현대 문학에서 지리 인식이 작품에 가장 뚜렷이 반영된 작가이다. 그는 그의 많은 문학작품에서 지리의 영향을 구체적으로 언급하고 있으며, 작품 속에서도 학술적인 지리 용어들을 자주 구사하고있다. 유럽의 문학과 한국의 문학을 비교할 때도 그 지리적인 바탕의 차이를 강조하고 있다. 또한 그가 일생 동안 살았던 지역인 평창, 경성, 평양 등과 여행지였던 하얼빈 등 당시 만주국의 도시들에 대한 지리적인 설명을 많이남기면서 일상 지리학의 면모를 잘 보여준다. 문학평론가들도 이효석에 대해 향토성과 세계성 측면에서 지리 인식을 언급하고 있다. 이효석 문학의 지리 인식 연구는 문학지리학의 하나의 또 다른 방향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한다. Lee Hyoseok, one of the great authors in Korean contemporary literature, mostly reflected the geographical perceptions and descriptions in his many literary works. He particularly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regional geography in writing works and used many geographical items for his works. He stressed the geographical differences in comparison between Korean and European literature. His works present well the geography of daily life about his living places such as the Pyeongchang, Kyeongseong, and Pyeongyang and his tour cities in Manchuria including Harbin. In Korean literary world, the criticisms interpreted geographical identities such as regional localism and globalism for his works. The geographical perception in Lee Hyoseok’s literature maybe suggests a new direction of Korea’s literary geography.

      • KCI등재

        문학지리학 연구의 정체성과 연구방법론 고찰

        권혁래(Kwon, Hyeok-Rae) 우리문학회 2016 우리文學硏究 Vol.0 No.51

        이 논문에서 필자는 지리학과 문학 연구 분야에서 진행되어 온 문학지리학의 연구방법론 및 성과를 종합적으로 검토함으로써 문학지리학 연구의 정체성과 연구방법론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학문적 개념으로는 1990년대 초부터 지리학자들이 해외의 연구성과를 도입하며 문학지리학을 소개하고 연구를 시작하였으며, 국문학계에서 2000년대 중반 이후로 연구를 시작하였다. 지리학 연구자들의 문학지리학 연구는 지리학의 논리 위에서 문학을 활용하여 지리학 연구의 외연을 넓혀 왔다. 이은숙과 김진영, 심승희 등은 실증주의적 접근, 인본주의적 접근, 구조주의적 접근을 통해 문학작품에 표현된 장소 경험을 연구하였다. 현재 문학작품 소스 발굴 및 작품 이해가 제한된 상태에서 문학지리학 연구 전망은 밝지 않다. 이 점에서 이은숙이 공동연구 방식을 통해 문학작품에서 도시공간, 이민공간, 여가공간을 주목하고, 장소 마케팅, 여가, 문화적 정체성, 문학공간의 DB화 등의 주제를 연구해온 것은 연구의 다양성 및 가능성을 보여준다고 생각한다. 국문학계에서 조동일은 지방문학사, 또는 지역문학 연구의 개념으로 문학지리학 연구를 시도하였다. 김태준은 ‘문학지리’, ‘심상공간’이라는 용어를 쓰면서 방향성을 제시하였는데, 그의 연구는 ‘문학기행 에세이’, ‘지역문화 연구’ 성격을 지닌다. 동국대 현대문학 연구자들은 『근대 한국의 문학지리학』을 공동집필하면서 ‘표상’이라는 개념을 사용하며 지리학자들과는 별개의 인식과 방법을 가지고 문학 공간의 의미를 해석하였다. 이승수는 연행노정 및 중국 배경 소설을 연구하면서 인문지리학적 관점과 서사지리 개념을 사용하면서 훈고학적 고증과 현지답사를 통한 문학의 공간을 연구하였다. 권혁래는 전란을 소재로 한 조선후기 중국 배경 역사소설을 연구하면서 문학공간을 실증적으로 고증하고, 문학작품에 그려진 공간(장소)와 서사 간의 관계를 고찰하였다. 문학에 그려진 노정․공간이 왜곡된 것이나 장소 형상화에 깃든 작가의식을 스토리텔링의 방식으로 해명․고찰하였다. 탁원정, 이강엽, 조재현, 신태수, 김수연 등은 고소설 작품에서 공간의 특성, 공간과 갈등의 관계를 주목하면서 고소설 작품의 공간을 해석하는 적실한 방식을 제시하였는데, 이는 다양한 고소설 작품의 공간을 분석하고 해석하는 모델로서의 기능을 발휘할 것으로 예상한다. 문학에서는 문학지리학에 대한 좀 더 체계적이고 논리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지방문학사’, ‘지역문화 연구’ 개념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심상지리’, ‘표상’, ‘서사지리’, ‘문학지도’, ‘스토리텔링’ 등의 개념을 발전시키고, 지리학계에서 진행해온 ‘장소와 장소성, 경관, 인문지리’ 논의를 수용하여 공간, 장소에 대해 심층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아울러 지리학과 문학 연구자들은 각자의 영역에서 심화시켜 온 연구성과를 공유하며, 상이한 개념과 용어 문제, 문학공간의 활용 방법에 대해 토의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imed to perform a comprehensive review of the overall research findings on literary geography, and to further discuss the issues and challenges found during the course of the review. The academic terminology associated with literary geography first came to the fore in the early 1990’s when geographers introduced overseas research findings. Literary geography has been studied in earnest in the Korean literature community since the mid-2000‘s. The studies on literary geography have primarily been conducted on the utilization of the underlying logic of geography within literature. To be more specific, Eunsook Lee, Jinyeong Kim, and Seunghui Sim took empirical, humanistic, and structural approaches, respectively, to study the experiences of a place expressed in literary work. Under the currently restricted conditions associated with the excavation of literary sources, as well as the processes required to understand literary works, the outlook of the research on literary geography is not promising. However, using a collaborative research approach, Lee’s study described how places can be urban spaces, immigration spaces, or leisure spaces. Lee’s research on the database of literary space, cultural identity, leisure, and place marketing holds significance in that it shows the possibility and diversity of literary geography research at this point in time. Dongil Cho tried to study literary geography by exploring the history of local or regional literature. Taejun Kim presented the direction of the study of regional culture and the wiring of literature tour by using the terminology “the imagery space” and “the literary geography”. Modern literature researchers from Dongguk University used the concept of representation to interpret the meaning of literary spaces when they co-wrote “Korea’s Modern Literary Geography” in order to express differences between their perceptions and research methods compared to those of geographers. Seungsu Lee proposed a research method for literary spaces by using exegetically historical research and field surveys, adopting the concept of an epical space from anthropology. Hyeokrae Kwon empirically studied the historical evidence of spaces found in a novel, while discuss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paces and their accounts, and the storytelling style of the spaces. In literary studies, a more systematic and logical approach is needed for literary geography. It is not sufficient to use terminology such as “the history of local literature” and “the study of regional literature”. More in-depth approaches to spaces and places should be introduced by further developing the concepts of imagery space, representation, epic geography, literature map, and storytelling, while considering discussions of place and sense of place, landscape, and human geography.

      • 문학 지리학 연구의 정체성과 공간 논의에 대한 재고찰

        김진영 ( Jean Young Kim ),신정엽 ( Jung Yeop Shin ) 서울대학교 지리교육과 2010 地理敎育論集 Vol.54 No.-

        문학 지리학은 지리학 연구에서 오랜 기간 주목을 받아왔으며, 특히, 지역지리, 인간주의 지리학, 급진주의 지리학 분야를 중심으로 연구가 수행되어 왔다. 그러나 문학 지리학은 지리적 사고와 지식을 중심으로 한 지리적 관점에서만 제한적으로 문학 작품을 접근함으로써, 문학 작품에 대한 총제적 의미와 다양한 잠재적인 장점을 파악하지 못하는 제약이 있었다. 또한 문학이론에서의 공간 논의와 지리학에서의 공간 논의의 차이점이 확인되었고, 이를 토대로 본 연구는 문학 지리학에 대한 정체성과 발전 방안에 대해 제시하고자 하였다. 즉, 문학 지리학의 발전을 위해 다차원적 공간 요소의 확인, 문학 작품속 공간 구성에 대한 내외 측면 고찰, 역동성을 가진 문학 작품 속의 장소감 변화에 대한 이해를 중심으로 발전 방안을 제시하였다. A great deal of attention has been paid to the literary geography for a long time, and much researches has been implemented in the fields of the regional geography, the humanistic geography, and the radical geography. However, as the literary geography only approached to the literatures in the perspective of geography with the geographic thought and knowledge, it failed to catch the total meanings and various positive potentials of the literatures. Furthermor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issues of the space in the literature theories and in the geography have been identified, and based on it, the identity and the development plan for the literary geography were suggested. Namely, for the development of the literary geography, the development plan was suggested based on the identification of the multidimensional spatial factors, the review of the internal and external aspects of the spatial configuration in the literature, and understanding of the dynamic changes in the sense of place in the literature.

      • KCI등재

        지리그림책의 삽화를 활용한 문학적 활동이 유아의 지리개념과 언어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신리행 ( Li-heang Shin ),이정애 ( Jeong-ae Lee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6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7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지리그림책의 삽화를 활용한 문학적 활동이 유아의 지리개념과 언어표현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만 5세 유아 40명(실험집단 20명, 비교집단 20명)을 대상으로 실험연구를 설계하고 공변량 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지리그림책의 삽화를 활용한 문학적 활동이 유아의 지리개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하위요인에서는 방향과 위치, 지도, 유아가 살고 있는 지역, 지리적 환경과 대처방식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다른지역 간의 상호작용 하위요인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지리그림책의 삽화를 활용한 문학적 활동이 유아의 언어표현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그림보고 이야기꾸미기, 그림보고 연계성 있게 꾸미기의 하위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지리그림책의 삽화를 활용한 문학적 활동은 유아의 지리개념과 언어표현력발달에 적절한 교육활동 일뿐만 아니라 유아 지리교육에서 지리그림책의 삽화가 유아교육현장의 교육활동에 효과적인 교수매체임을 시사하고 있다. This study measured the improvement in literary activity through the illustrations of Children’s geography picture books and then applied them to a kindergarten to investigate the result on children’s language expression ability and geography concepts. For this study, forty 5 year-olds were chosen and randomly divided equally into an experimental and comparison group. Pre-and post-tests were administered to both groups and an independent sample ANCOVA was applied, revealing the following interesting results. First, the use of literary activity using the illustrations of children’s geography picture books had a positive effect on all one of the sub-factors for learning related geography concept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direction and position, maps, areas where children live, and geographic environment and coping, but not in compliance. Second, the use of literary activities with the illustrations of children’s geography picture books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children’s language expression ability, and the differences in improvement between each group’s use of language expression ability for sub-picture stories, reported decorating and figure decorating, also yielded statistical differences. This study clearly demonstrates that by using literary activities with the illustrations of children’s geography picture books in early education activities is developmentally appropriate and highly effective because they contributed positively to growth in geography concepts, and learning related to language expression abilities.

      • 남해 금산의 문학지리와 장소 상상력

        한정호 한국지역문학회 2015 한국지역문학연구 Vol.4 No.1

        I am writing to place poetry snatching material of Kumsan in Namhae-gun Gyeongnam. Of course, there is not much poems associated but I want to how the image in poems to the sense of place of Kumsan where go everything in any regional image. To this end, I divided into three types: the natural geography shape, human geography imagination, and journey experience of Kumsan in the literary geographical perspectives, and I saw approaching them. The First, there were Kumsan 38 view and natural geography shape. The sense of place on Kumsan allowed Kumsan 38 view to the main material. Thus, the sense of place of poets for Kumsan put landscape description at its heart. for this reason, Kumsan for this shrinking reiterated the idea for customary, or vague inspiration and there was poems speaking about scenery faraway. That being so, it is not easy to find works in the place for specific and original and getting about Kumsan. but poems of this type Kumasn's external appearance is concentrated therefore, their eyes, it has failed to show to specific places and unique shape. The Second, there were Kumsan stories and human geography imagination. The sense of place on Kumsan did not stop in the natural geography shape and was symbolized by creative topophilia in the legend or personal affairs. These poems laid out places of Kumsan. Such talk is a mere place of Kumsan experience and beyond a sense of place through human geography imagination. At these place poetry is a specific place for a specific and individual portraying an intimate memories, but also transmitting the image area of the South-Sea was not so far. The Third, there were Kumsan sightseeing and journey experience. The sense of place on Kumsan has become a place of reflection resting place or touched weary life like journey poetry. And of course, each of poets different embodiment of journey experience but they are recognized as a place where you can refine the mind. But place poetry of the Kumsan kept that did not spread out the places imagination of a new concrete one with personality or natural poetry by people suffering from age and idea to evenly melt and unique experience poetry far apart in history and cultural context. As such, I was able to confirm once again the importance of regional literature research with an overview of the place poetry associated Namhae Kumsan from the literary geographical perspective. An intimate place that remains constant even in the flow of the era and soon the central location be an important symbol exactly the kind of place where regional people was made one of the community. After all, here's a place poetry was not enough new place-shape but I think having a good example also searching the area of the image of Namhae-gun and sense of place or topophilia on Kumsan. To do this, they are giving momentum to Namhae Kumsan once widely informing. 글쓴이는 경상남도 남해군의 진산인 금산을 글감으로 삼은 장소시들을 챙겨 보았다. 물론 관련된 시작품은 그다지 많지 않았지만, 금산의 장소감이 시 속에 어떻게 형상화되고 있으며, 어떠한 지역 이미지로 다가서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글쓴이는 문학지리학적 시각에서 금산의 자연지리 형상화, 인문지리 상상력, 그리고 기행 체험이라는 세 유형으로 나누어 접근해 보았다. 첫째, 금산 38경과 자연지리적 형상화이다. 금산에 대한 시인들의 장소감은 대개 금산 38경을 주요 글감으로 삼고 있으며, 그곳의 아름다운 경관 묘사를 그 중심에 두고 있었다. 그런 까닭에 금산에 대한 관습적인 생각을 거듭하거나, 막연한 감흥을 앞세우며 건성으로 경물을 들먹거리고 있는 시들도 많다. 따라서 금산에 대한 구체적인 장소감과 독창적이고 개성적인 형상화에 이르고 있는 작품을 찾아보기란 쉽지 않은 셈이다. 하지만 이들 시들은 금산에 대한 시인들의 장소사랑을 가늠할 수 있게 했다. 둘째, 금산 이야기와 인문지리적 상상력이다. 시인들의 금산 이야기는 단순한 장소 체험을 넘어 인문지리 상상력을 통해 금산의 장소감을 넉넉하게 펼쳐 보이고 있다. 이들 장소시는 특정 장소에 대한 구체적이고 개별적인 친밀 기억을 그려내고 있지만, 남해군의 지역 이미지를 드러내는 데까지는 미치지 못하고 있다. 그런데도 금산의 장소감은 자연지리 형상화에 머물지 않고, 금산에 얽힌 전설 또는 개인적 이야기로 독창적인 상상력을 보여주고 있었다. 셋째, 금산 탐승과 기행 체험이다. 여느 기행시들과 마찬가지로 금산의 장소감은 지친 삶을 어루만져 주는 안식처 내지 자기 성찰의 장소가 되고 있다. 물론 시인들마다 기행 체험은 저마다 다를지라도, 삶의 여유를 되찾고 마음을 가다듬을 수 있는 장소감으로 형상화되고 있었다. 하지만 금산의 장소시는 역사․문화적인 맥락에서 장소 상상력을 펼쳐내지 못함으로써, 개성을 갖춘 새롭고도 구체적인 풍물시나 사람살이에서 겪는 느낌과 생각이 골고루 녹아든 독특한 체험시로 나아가지 못하고 있다. 이렇듯 글쓴이는 문학지리학적 시각에서 남해 금산과 관련된 장소시들을 챙겨 살피면서, 지역문학 연구의 중요성을 새삼 확인할 수 있었다. 시대의 흐름 속에서도 한결같이 남아 있는 친밀 체험 공간, 곧 중심 장소야말로 지역 사람들을 하나의 공동체로 묶어주는 중요한 상징임에 틀림없다. 결국 여기에서 다룬 장소시들은 금산의 재장소화를 이루어내는 데는 모자람이 많았지만, 금산의 장소감 내지 장소사랑, 그리고 남해군의 지역 이미지를 살피는 데 좋은 본보기가 될 것이다.

      • KCI등재

        구소련 고려인 소설의 인문지리 연구 -『 십오만원 사건』과 금각만 중심으로-

        박안토니나 ( Antonina Pak ) 한민족어문학회 2015 韓民族語文學 Vol.0 No.69

        한국문학의 한 유파로 주목받는 구소련 고려인 소설은 고려인의 다양한 삶의 모습, 꿈과 열망이 담겨 있는 재외 한인 문학의 소중한 유산이다. 그동안 구소련 고려인 소설의 특성을 연구하기 위한 접근 방법은 다양하게 전개되어 왔다. 본고는 구소련 고려인의 다양한 모습과 지역 공간을 문학적으로 표상하고 창조하고 있는 고려인 소설을 연구 대상으로 하여 문학지리적 전급 가능성을 탐색해 보았다. 구소련 고려인 소설을 대상으로 삼는 이유는 문학지리를 탐구하기 위한 유용한 자료인 동시에 문학지리적 사유 형식의 모델이 될 수 있는 범례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취급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고에서 먼저, 인간주의 지리학 중에서 문학지리학(literary geography)의 차별성을 밝히고, 문학지리학이 갖는 위상을 간략히 정립했다. 그리고 본격적으로 김준의 장편소설 십오만원 사건 과 김기철의 중편소설 금각만 에 반영된 한반도, 중국, 러시아를 배경으로 이념적 심상지리 인식의 변화, 지각과 김정에 집중 그리고 의례행위에 관심을 두고 분석하고자 한다. Goryeoin literature, which draws attention as a sect of Korean literature, is a precious heritage of overseas Korean literature that holds multiple aspects of life, dream, and aspiration of Goryeoin. Research approach to the characteristics of Goryeoin literature has developed diversely. This paper is devoted to research on an possibility of literary-geographical approach with focus on the novel “The Incident of 150,000 Won” by Kim, Jun, and the medium-length story “Golden Horn Bay” by Kim, Ki-chul that describe various aspects of Goryeoin in Central Asia, and create regional characteristics in a way of literally representing the geographical space, for the two works are considered as the useful reference source to research on literary geography as well as an examplificative model for reasoning pattern of literary geography. Here I clarify the distinctiveness of literary geography from other parts of humanistic geography, and briefly define the status of literary geography. Furthermore, I depict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imaginative space of literary geography, and cultural diversity that are represented on the setting of Korean Peninsular, China, and Russia.

      • KCI등재

        <춘향전>과 지리(地理) - 문학교육과 지리교육의 공동 영역의 탐색

        김종철 ( Kim Jong-cheol )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17 고전문학과 교육 Vol.35 No.-

        공간은 작품의 배경으로서 문학교육의 관심사이고, 또한 지리교육의 주교육 대상인 점에서 문학교육과 지리교육의 공동의 대상이다. 이러한 전제에서 <춘향전>을 제재로 한 두 교과의 교육에서 공간을 중심으로 문학교육과 지리교육의 공동 영역을 모색하였다. 구체적으로 공간의 실체, 공간의 역할, 공간 의식, 공간 체험, 공간 재구성 등을 항목으로 <춘향전>에 이들이 어떻게 구현되어 있는지를 분석하고 아울러 그 지리교육적 의의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춘향전>은 실제의 지리 공간을 서사 전개에 효과적으로 활용하고 있으며, 또한 등장인물들의 공간 의식, 장소감 등을 잘 형상화하였고, 나아가 작품이 그 배경인 실제 공간을 변화시키는 전형적 사례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이러한 작품 내·외적 현상에 대한 학습은 작품의 심도 있는 이해를 추구하는 문학교육의 목표와 지리적 안목의 성장을 추구하는 지리교육의 목표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교육 자료가 됨을 확인하였다. 앞으로 공간을 중심으로 한 문학교육과 지리교육의 소통과 공동 영역의 구축을 통한 교과 융합을 추구하기 위해서는 두 교과의 교육 목표 체계의 비교와 연계 요소의 확인 위에서 공동 영역의 체계를 수립하는 작업이 선행되어야 한다고 본다. In literary works, space plays a background role, but in geography, it becomes the target of study. Space could, therefore, be a matter of common interest in literary and geographic education. “Chunhyangjeon” contains a great amount of geographic information, such as landscape, itineraries, and spatial consciousness. This information is a part of narrative development and represents the geographical situation of the late Yi-dynasty. Thus, “Chunhyangjeon” could be the common material for literary and geographic education. Using “Chunhyangjeon” as the common material, through narrative incidents, learners in a literature class can appreciate the role of geographic information in narrative development, and the same learners can, in geography class, recognize the geographic information and gather the sense of place that the characters experience. For the construction of common realm of the two subjects, it is necessary to compare the aims of two subjects and systematically ensure that the aims correspond. This systematic correspondence of aims could be the foundation for curriculum integration.

      • KCI등재

        문학지리학으로 본 정지용 초기 바다시의 지리공간

        엄홍화 한중인문학회 2021 한중인문학연구 Vol.73 No.-

        문학지리학은 문학과 지리환경의 관계를 연구대상으로 한 학문 분야이다. 지리는 시인의 삶을 직접 영위하는 실질적 공간이므로 시인 삶의 과정에서 형성된 지리감지, 지리기억, 지리 사유가 그의 시 창작에 큰 영향을 줄 수 있다. 본 논문은 주로 중국 문학지리학 연구 방법으 로 정지용 소년기와 청년기에 형성된 지리감지와 지리기억을 찾아보고, 지리심상 연구법과 공간 분석법을 활용하여 정지용 초기 바다시에 나타난 지리심상 및 지리적 심상 공간을 포착 하여 정지용이 초기에 창작한 바다 지리공간을 탐구해보았다. 정지용이 창작한 바다 지리공 간은 입체적으로 구축된 다양한 공간이다. 그중에 해경과 갑판 위의 두 공간을 바닷바람으로 통일한 공간이 있고 시청각으로 구축된 간단한 공간인 것 같으나 ‘간 밤’과 ‘아침’의 시간 교대 로 동적인 효과를 보여준 공간에서 희망과 미래까지 보이게 하는 상상의 공간도 있고 새롭게 태어나는 생명을 잉태하는 지리공간까지 있다. 그리고 실체적인 바다 공간에 추상적인 심상 을 가득 채우는 마음의 지리공간도 있다. 정지용이 창작한 바다 공간에는 그의 소년기와 청년 기에 형성된 지리감지, 지리기억, 그리고 그로 인해 형성된 지리사유까지 그대로 담겨 있다. 그의 지리사유는 삶에서 인식된 조선과 일본의 사람, 사물, 자연 지리환경, 인문 지리환경에 따른 지리적 인지와 감지를 바탕으로 형성된 지리정신과 공간의식이다. 정지용은 고향 옥천, 수도 경성, 지배국 일본의 기후(氣候), 기상(氣象), 수문(水文), 지질(地質) 등을 몸으로 느끼 고 체험하여 색다른 바다 지리공간을 구축해냈다. With the research method of Chinese literary geography, This paper explores the geographical perception and geographical memory in Jeong Ji-yong's poetry in his youth and adolescence; and then specifically analyzes the geographical image and its space in his early ocean poetry with the research method of geographical image and spatial analysis; and finally explores the ocean space of Jeong Ji-yong's early poetry. Jeong Ji-yong constructed a multi-dimensional ocean geographical space in his ocean poetry. For example, through the sea breeze, the sea view and the deck are integrated into on space; another example, the physical ocean space built with visual and auditory synaesthesia is endowed with dynamic feeling by the alternation of morning and night, and the physical space is transformed into imaginary space due to the infusion of desire for the future. In addition, the physical ocean space is filled with virtual images, making it a geographical space of mind. The ocean space created by Jeong Ji-yong is rich in its geographical perception, geographical memory and the geographical thinking formed in his youth and adolescence. Based on his understanding of people, things, natural and human geographical environment in Korea and Japan, Jeong Ji-yong developed his geographical thinking into the geographical spirit and spatial consciousness.

      • KCI등재

        문학공간을 활용한 장소마케팅 방안: 종로지역을 사례로

        이은숙,정희선,장은미 국토지리학회 2007 국토지리학회지 Vol.41 No.1

        본 연구에서는 문학공간을 체계적으로 발굴하여 일반 사람들이 한 장소의 특성을 다각도로 체험하고, 장소에 대한 이해를 넓히며, 동시에 장소마케팅의 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문학공간을 활용한 장소마케팅의 강점은 특정 장소에 대한 대중의 관심과 방문을 효과적으로 유도할 수 있다는 점, 다양한 유형의 공간 기술을 바탕으로 한 장소 이미지 형성, 장소성 형성 과정에 대한 이해 증진, 장소에 대한 기억 형성과 의미 체험에서 찾아볼 수 있다. 더욱이 문학공간을 활용한 장소마케팅은 문화산업의 발달, 문화소비층의 확대, 유비쿼터스 컴퓨팅 및 위치기반서비스 기술의 발달 등에 기인하여 그 응용범위가 확대되고 있으며, 지리교육·문학교육으로서의 유용성이 커서 지속적 장소발전전략으로 성공가능성이 크다. 종로지역 문학공간을 활용한 장소마케팅 방안으로는 문학공간 답사코스 개발, 문학관 설립, 작가와 문학작품을 활용한 이벤트 개발, 문학공간 커뮤니티 사이트 구축 등의 하드웨어적 자원과 소프트웨어적 자원 개발이 고려될 수 있다. 문학공간을 활용한 장소마케팅의 성공을 위해서는 지방정부의 정책·제도·재정 상의 지원과 지역주민의 참여가 필수적이며, 지방정부, 지역단체, 지역주민의 네트워킹과 파트너쉽에 바탕을 둔 추진주체와 지역의 자연·인문환경, 역사적 발전과정, 장소성 등에 맞는 추진목표가 설정되어야 한다. This paper aims to develop strategic ways of place marketing utilizing literary space as a case study of Jongno area in Seoul. Literary space shapes positive images of place, enables readers to share individual experiences and values of place, delivers the meanings of a certain environment, increases the level of awareness of specific places, and defines unique identities of place. The strengths of place marketing based on literary space, therefore, can be found from the fact that literary space is able to easily attract visitors to certain places, to form positive images of place on the basis of various descriptions of place in literary works, to increase the level of understanding the placeness-forming process, and to create a strong memory of place. Service methods of providing information on literary space are getting diversified mainly owing to the development of culture industry and technologies related to location-based services and ubiquitous computing along with the diversification of leisure activities. Strategic ways of place marketing utilizing literary space include not only expanding physical resources but also inventing event programs, such as organizing literary tour programs, establishing literary museums, developing event programs with elements related to novelists, poets, and literary works, and building literary community sites on the internet. Institutional as well as financial supports from local governments and active participation of local residents in place marketing practices are the most essential factors of successful place marketing in addition to forming public-private partnerships and establishing clear goals of regional development.

      • 문학지리학을 위한 출발선상의 토론

        조동일 ( Cho Dong-il )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04 한국문학연구 Vol.0 No.27

        문학지리학은 문학사학과 대조가 되는 개념이다. 문학을 문학사학에서는 시간, 문학지리학에서는 공간을 주축으로 이해한다. 지금까지는 문학사학만 일방적으로 중요시했다. 이제 문학지리학도 진지하게 연구해야 한다. 문학지리학의 취급대상은 둘로 나누어진다. 하나는 지방문학이고, 다른 하나는 여행문학이다. 지방문학은 고을문학, 산천문학, 사원누정문학 등으로, 여행문학은 국내여행문학, 한국인 외국여행문학, 외국인 한국여행문학 등으로 나누어 진다. 그 가운데 나는 지방문학사에 대해 특별한 관심을 가졌다. 『지방문학사 연구의 방향과 과제』라는 책에서 에서 다음 사항을 검토했다. 1. 왜 지방문학사인가? 2. 외국의 사례 검토 2.1. 시대 변화에 관한 논란 2.2. 인도 2.3. 중국 2.4. 미국 2.5. 영국 2.6. 프랑스 2.7. 독일 2.8. 일본 2.9. 비교론. 3. 국내의 사례 검토 3.1. 전반적 동향 3.2. 제주 3.3. 영남 3.4. 호남 3.5. 중부지방 3.6. 서울. 4. 새로운 시도 4.1. 제주도문학사의 연원: 탐라국 건국서사시를 찾아서 4.2. 영남문학사의 특성: 인물전설에 나타난 상하관계 역전 4.3. 호남문학사의 맥락: 남성시가의 여성화자 4.4. 지리산문학사의 영역: 조식의 시문에 나타난 지리산의 의미. 5. 지방문학사 어떻게 쓸 것인가? 그 가운데 제주도문학에 관한 서술의 개요를 구체적인 연구의 본보기로 여기서 들었다. Literary geography is an antithesis to literary history. Main perspectives to understand literature are different in two cases, space in the former and time in the latter. Until now we attached one-sided importance to literary history. Now it is the time to study literary geography sincerely. Literary geography is divided into two parts: regional literature and travel literature. Regional literature is composed of the literature about native land, the literature about natural scenary, and the literature about historical relic. Travel literature is produced from domestic travel, Korean's overseas travel, and foreigner's travel in Korea. I payed a special attention to the regional literature. In a book with the title The History of Regional Literature, Its Perspectives and Problems, I discussed following items: 1. Why the history of regional literature? 2. Examples of the other countries. 2.1. Discussions about the changes of the times. 2.2. India. 2.3. China. 2.4. United States of America. 2.5. United Kingdom. 2.6. France. 2.7. Germany. 2.8. Japan. 2.9. Comparison. 3. Korean situation. 3.1. General view. 3.2. Cheju. 3.3. Yeongnam. 3.4. Honam. 3.5. Central part. 3.5. Seoul. 4. New attempts. 4.1. The origin of the history of Cheju literature: In search of the founding epic of Tamra kingdom. 3.3. The characteristics of the history of Yeongnam literature: The upside down stories in the legend of historical persons. 3.4. The contexts of the history of Honam literature: The tradition of female narrators in the works of the male poets. 3.5. The area of the history of Chiri Mountain literature: The meaning of Chiri Mountain in Cho Sik’s works. 5. How to write the history of regional literature? The chapter on origin of the history of Cheju literature is summarized in this paper as an example of concrete stud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