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 고전문학교육의 현황과 그 방향성 모색

        박경주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20 고전문학과 교육 Vol.45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Korean classical literary works are currently being appreciated and taught at universities, and to explore a fresh direction in this regard. There are problems surrounding the employment of graduates who majored in Korean literature. There is also a fierce competition between universities caused by a decline in the school-age population. Because of these, a need has arisen to take a drastic direction regarding the appreciation and teaching of classical works at universities. By making the most of existing studies on this issue, this paper examines the status of classical literary education at universities from a wide range of perspectives, from the administrative and institutional level, to liberal arts education and major education, to convergence major and interdisciplinary major education. Changes in curriculum, opening of subjects, and securing a diversity of subjects are also examined to explore alternative methods. In addition, I tried to find a practical and specific direction for classical literary education at universities, taking the case of my experience in classical literary education. I emphasized these with core competencies of Korean subject in competency-based education. I found that students in classical literary classes can verify the current applicability of classical literary works based on the subject and performance-centered education. They can also increase their ability to analyze classical works by paying attention to the creative transformation of classical works. In an educational environment that has been inevitably changed by the COVID-19 pandemic, this direction raises questions of how the strengths of online lectures can be specifically used in the teaching-learning process of classical literary classes. Attention was thus paid to the fact that, in online lectures, customized classes using presentations and feedback can work effectively. In the current university situation, it is not easy to realize both cause and practical value while discussing the enjoyment and teaching of classical literature. Further research in how to properly structure classical literature education should continue in accordance with changes i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while maintaining the value of classical literature. 이 글은 한국고전문학 작품들이 대학교 내에서 현재 어떤 방식으로 향유되고 교육되고 있는지 그 현황과 과제에 대해 살펴보고, 그에 대해 좀 더 실제적인 측면에서 방향성을 모색해보고자 하는 목표를 가진다. 국문학 관련 학과 졸업생들의 취업 문제에 더해 학령인구의 저하로 인한 대학 간의 경쟁 구도까지 가세해, 대학에서 고전문학 작품의 향유나 교육 상황에는 획기적인 방향으로의 전환이 필요해졌다고 생각된다. 이 글에서는 이 문제에 대한 기존의 연구들을 최대한 활용하여 대학에서 고전문학교육의 현황을 교양 교육과 전공 교육 및 융합전공과 연계전공 교육 영역에 이르기까지 행정적, 제도적 차원에서 자세히 파악하고, 교육과정의 변화나 교과목의 개설 및 과목의 다양성 확보 등을 통해 대안을 모색하는 방법을 생각해보았다. 또한 필자의 고전문학 관련 수업 경험 사례를 들어 대학에서 고전문학교육이 나아가야 할 바에 대해 실제적이고 구체적인 방향성을 모색하고, 이를 ‘2015 역량 중심 교육과정’에서 국어과의 핵심역량과 연결해 의미를 부여했다. 고전문학 수업에서는 주제와 연행(演行) 중심의 교육에 의거해 고전문학의 현재적 활용성을 검증할 수 있으며, 고전 작품에 대한 창의적 변용에 대해 관심을 가짐으로써 학습자의 개성적인 작품 분석 능력을 심화시킬 수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그 방향성 안에는 올해 내내 전 지구를 강타하고 있는 코로나19로 인해 달라질 수밖에 없었던 교육 환경 속에서, 온라인 강의가 지닌 강점을 고전문학 수업의 교수 학습 과정에 구체적으로 어떠한 방식으로 활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문제의식도 들어 있다. 이에 따라 온라인 강의에서 오히려 발표와 피드백을 활용한 단계별 맞춤수업이 효과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는 사실에 주목했다. 현재의 대학 상황에서 고전문학의 향유와 교육을 논하면서 명분과 실제의 가치를 다 구현해내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다. 고전문학의 가치를 지키면서도 시의적 차원에 맞게 적절히 이를 구조화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이후에도 교육 환경의 변화에 따라 지속적으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하리라고 생각한다.

      • KCI등재

        문학 교육과정 분석을 통한 지역 문학 교육의 필요성 고찰 - 요산 김정한 소설의 문학교과서 수록 양상을 중심으로

        오현석(Oh Hyounsuk) 호남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7 인문사회과학연구 Vol.57 No.-

        최근 국어과 교육과정은 2007 개정 교육과정, 2009 개정 교육과정, 2012 고시 교육과정, 2015 개정 교육과정까지 10년 동안 4번의 변동이 있었다. 교육과정이 개정될 때마다 국어 선택 과목들의 명칭이 변경되었고 교과서도 계속 새로 개발되었다. 이러한 교육과정의 변화는 문학 과목에도 영향을 주었다. 문학 과목은 4차 교육과정 이후 과목명은 그대로 유지되어 국어 교과의 선택과목으로 독립적인 지위를 부여받았다. 하지만 문학교과서는 교육과정 변경에 따라 2007 개정 교육과정 이후 현재까지 3번에 걸쳐 새로 개발되었다. 이로 인해 문학교과서에 수록된 문학작품들도 많은 변화를 겪었다. 이전 교육과정에 비해 새로 수록되거나 제외되는 작품들의 비율 변동이 증가했다. 과거에 문학 교과서에 수록되는 문학작품들은 지배이데올로기나 권력에 의해서 정해지는 경우가 많았다. 그런 작품들이 지금도 문학 교과서에 일부 그대로 남아 있고 이런 작품들을 정전이라고 부 른다. 문학 정전 때문에 다른 작품들이 문학 교과서에 실리기 어렵게 된다. 이런 상황에서 김정한의 소설이 최근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에는 거의 대부분 제외되었다. 본고는 그동안 문학 본질적 측면에서 거치를 부여받고 수록되었던 김정한의 소설이 최근 교육과정에서는 제외된 원인이 지역 문학 교육의 홀대에 있다고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서 먼저 국가 수준 문학 교육과정에 대한 분석과 지역 수준 문학 교육과정에 대한 분석이 필요했다. 문학 교육은 내용 체계와 성취 기준에 따라야 한다. 그런데 사람들은 교육과정에 제시된 성취기준 중 지역 문학 교육과 관련된 내용을 가볍게 여기는 경우가 많다. 특히 성취기준 중에 문학을 통해서 다양한 문화를 배우고 공동체 문화 발전에 기여할 수 있다는 항목을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는다. 하지만 다양한 문화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공간과 지역을 다루는 문학작품 교육이 필요하다. 지금까지는 지역 문학에 대해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는 경향 때문에 김정한과 같은 지역 작가의 작품이 교과서에 실리지 못했다. 김정한은 부산에서 평생 살면서 민중들의 삶에 관심을 가졌던 작가이다. 그는 현실을 반영한 리얼리즘 소설을 주로 썼다. 그는 지역에 살면서 지역을 다루는 작가였다. 하지만 그가 다루는 지역성은 좁은 의미의 지역성이 아니라 넓은 의미의 지역성이다. 모든 장소와 공간은 지역적이다. 지역은 고정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유동적이다. 지역이 모여서 세계가 된다. 그러므로 세계를 이해하는 것은 다양한 지역들을 이해하는 것이다. 그래서 김정한과 같이 지역성을 담고 있으면서 현실의 문제점을 고발하는 작품을 공부할 필요가 있다. 지역의 다양한 문화와 가치관을 이해하기 위해서 지역 문학 교육이 중요하다. 또 공동체 의식과 문화의 다양성을 이해하기 위해서 지역 문학 교육은 반드시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 지역 교육과정을 실질적으로 지역의 특성에 맞게 바꾸어야 한다. Recently, national curriculum of Korean language has changed three times in 10 years from 2007 revised curriculum, 2009 revised curriculum, 2012 curriculum, to 2015 revised curriculum. The names of the Korean elective subjects were changed and textbooks were newly created with each revision. The name of Literary subject has remained the same after the fourth curriculum, but textbooks have been replaced according to the curriculum changes. In the past, literary works in literary textbooks were often determined by dominant ideology or power. Such works still remain in literary textbooks and are called Canon. Due to the Canon, it is difficult for other works to be written in literary textbooks. Literature education should conform to the content system and achievement standards. However, people tend to take lightly the standard related to local literature education among the achievement standards presented in the curriculum. In particular, we do not regard the importance of learning various cultures and contributing to the development of community culture through literature However, we need to educate literary works that deal with various local places and characters in order to understand diverse cultures. So far, local literature like Kim Jung-han s works did not appear in textbooks because of the tendency not to consider local literature as important. Kim Jeong-han is a writer who had been interested in the lives of the people while living in Busan. He mainly wrote realistic novels reflecting reality. He lived in the region and was a writer who deals with the region. However, the locality he deals with is not a narrow sense of locality but a broad sense of locality. All places and spaces are local. The region is not fixed but fluid and dynamic. The regions get together and become the world. Understanding the world is therefore an understanding of the various region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works that contain local characteristics and accuse the problems of reality like Kim Jeong-han’s works. Local literacy education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diverse cultures and values of the region. Local literacy education is also necessary to understand community consciousness and cultural diversity. To do this, the local curriculum should be changed to suit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

      • KCI등재

        2015 개정 `문학` 교육과정 적용의 쟁점 탐색

        김현정 ( Kim Grace Hyun-jeong ) 한국문학교육학회 2017 문학교육학 Vol.0 No.55

        이 연구에서는 2015 개정 `문학` 과목 교육과정의 변화 양상을 분석하고 이를 적용하기 위한 쟁점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2009 개정 교육과정과의 비교를 기반으로 하여 2015 개정 문학 과목 교육과정의 특징을 살폈다. 먼저 성취기준의 증감과 변화 내용을 보면, 전체 성취기준 수는 변하지 않았으나 세부 영역과 영역별 성취기준 수에 변화가 있었다. 그러나 이를 문학 과목의 교육 내용에 큰 변화로 인해 생긴 변화라고 보기는 어렵다. 성취기준 내용의 추상성을 극복하고 성취기준 층위에서 서술할 필요가 없는 내용은 삭제하는 차원에서 생겨난 변화이기 때문이다. 문학사교육 내용은 범주가 명료화되고 `탐구`와 `감상`이 강조되는 변화가 있었다. 한편 `문학` 과목 교육과정 내용의 가장 큰 변화는 `교수·학습 및 평가`의 변화에 있었다. `통합`과 `탐구`, `학습자의 주관성과 자발성` 등을 강조하는 변화가 컸다. 이에 더하여 학습자가 수행할 수 있는 과제를 설정하도록 하는 등의 변화가 있었다. 이러한 변화 내용을 기반으로 볼 때, 2015 개정 `문학` 과목 교육과정의 적용을 위해서는 `통합`과 `학습자 활동 활성화`를 위한 교수·학습 방법을 개발하고, 학습자 과제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또한, 문학 과목의 변화 내용에 대한 교육 주체들의 이해를 심화하고 문학 과목의 위상을 재정립할 수 있어야 한다. 학습자들의 자발적이고 자연스러운 문학 독서 문화의 활성화를 위해서도 노력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nges and characteristics in the 2015 National Curriculum. of the `Literature` subject based on the comparison with the 2009 National Curriculum.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increase and decrease of accomplishment standards and the educational contents of changes show that the total number of achievement standards did not change, but only in some detailed areas there was a change in the number of achievement standards. However it is not an important change, for it is a matter related with the dimension of eliminating content that does not need to be described as the achievement standards. And also this changes are came from to overcome the abstraction of the content of the achievement standards. Second, there was a change in the content of literature history education that clarified the category and emphasized `inquiry` and `appreciation`. Third, The biggest change in the content of `Literature` subject is the change in `teaching, learning and evaluation`. There has been a great deal of change that emphasizes `integration`, `inquiry`, `subjectivity and spontaneity of learners`. In addition, there was a change such as setting a task that the learner could perform. Based on these changes, it is necessary to develop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for integrating and activating learner activities and developing learner tasks in order to apply the 2015 Revised `Literature` Curriculum.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deepen the understanding of educational subjects about changes in literary subjects and to reestablish the status of literary subjects. It is also necessary to make efforts to revitalize the voluntary and natural culture of literary reading of learners.

      • KCI등재

        북한 역사교육과 문학교육의 내적 상관성

        이영미 ( Lee Young Mi ) 국제어문학회 2016 국제어문 Vol.0 No.68

        이 연구는 그동안 선행연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던 북한의 역사교육에 관한 역사적 이해를 돕고 북한 역사교육의 현황을 고찰하면서 그 내적인 현상들을 구체적으로 파악해 보고자 한다. 특히 처음으로 제기하는 교과목의 상호관련성 문제에서, 본 연구자가 북한 역사교육에서 주목하는 남북한의 이질적인 차이점은 `서술방식`과 `근현대사 서술` 관련 문제이다. 이것은 북한 역사교육의 한 특징, 즉 문학교육의 영향과 대단히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이다. 그간 한국, 즉 남한의 역사교육학계에서는 문학교육분야에 위치한 혁명역사의 북한 근현대사를 이해하지는 않았다. 그러나 사실 북한 역사교과 내에서의 지형은 역사교육학과 문학교육학이 반씩 나누어 점유하고 있었다. 역사교육학계가 점유하고 있는 분야는 『조선력사』교과서이고, 문학교육학계가 점유하고 있는 분야는 근현대사 부분인 『혁명력사』교과목이다. 남한 『한국사』의 『근현대사』에 해당되는 내용이 바로 실질적으로는 『혁명력사』가 된다. 즉 3.1운동 이후의 근대역사는 김일성 가문의 역사로만 운용되고 있는 것이다. 이 『혁명력사』는 세 개의 교과서로 이루어진다. 잠정적으로 칭한다면, 김일성 『혁명력사』교과서, 김정일 『혁명력사』교과서, 김정숙 『혁명력사』교과서라 말할 수 있다. 남한의 경우와 특히 다르게 차별화되는 내러티브 서술이 더욱 두드러지는 것이 북한의 근현대사교육, 즉 『혁명력사』교과목이다. 소학교 근현대사교육에서는 문학교육의 강력한 자장(磁場) 내에서 허구적 서사교육이 시행되고 있었다. 결국, 북한의 근현대사는 실질적으로 “허구적 사실들(소학교) ⇒허구적 사실들 +실제 발생한 사실들(중학교)”로 교육되고 있고, 이것이 북한 인민들의 `정치적 환영` 내지 `허상의 이데올로기적 이미지`들을 주조하고 있으며, 이것은 `문학교육`에 기반하는 내러티브서술방식에 문학의 허구성이 가미된 결과라고 볼 수 있다. 남한의 경우와 달리 사회교과서가 부재한 것은 인민의 현실적 활동을 개별적으로 보여주기보다는, 모든 지식체계를 김일성 일가의 공적으로 수렴하기 위한 사상혁명·문화혁명의 역사화 정책 때문이다. 이 문화 이데올로기 커뮤니케이션의 역사화교육방법론에 문학이 지니는 본질적 특성들이 주도적으로 반영되었던 것이다. 이처럼, 북한 근현대사의 역사교육은 역사교육과 문학교육이 상호간 깊이 관여하면서 만들어진, 매우 독특한 형태의 체계로 구조화되어 있었다. 이것은 사회주의도덕 교과서와도 상동성을 지니는 서술구조로서, 이 `문학교육` 형식에 기반한 교과들의 구성 형식은 향후 통일시대에 만들어질 사회문화통합교과의 헤게모니 논쟁에서 중심 논제가 될 수 있기에 `문학`이 주도하는 통일기반조성의 측면에서 지속적으로 심층 연구될 필요가 있다. This article sheds light on the relation between North Korean history and literature education in its mandatory education system. In contrast to South Korea`s official subject of national history, Korean History [Han`kuksa] currently subject to a controversy about a government-designated textbook, in North Korea, Korean history is consistently taught through a dualistic system in primary, secondary, and higher education. North Korea`s Korean history(national history) education in school is traditionally divided into two compulsory subjects, Choson History [Choson ryoksa] and Revolutionary History [Hyongmyong ryoksa]. The former focuses on pre-modern, and the latter on modern Korean history; in South Korea, these two parts are taught as one integrated subject. Moreover, in North Korean school, Korean modern history particularly deals with the heroic, patriotic, and illusory deeds of Kim Il Sung`s family in three modern history textbooks; Revolutionary Histories of Kim Il Sung, Kim Jong Il, and Kim Jong Suk. For children`s ideological encouragement, these textbooks are written using the important educational embodiment technique of fictional narrative representation. This is one of the most fundamental manipulative components of the North Korean regime`s ideological national education in developing an illusive utopia, which shows an evidence of reflection that North Korean literature education controls and influences history education. Socialist Ethics [Sahoejuuitodok] has the same instructional technique as literary education. I argue that this structure of fictional narrative manipulation is reflected in three subjects under a core political module in North Korean school education: national language [Kugo] (and literature [Munhak]), national history, and socialist ethics.

      • KCI등재

        한국어교육과 문학텍스트

        심재휘 ( Shim Jaehui ) 국어교육학회 2016 國語敎育學硏究 Vol.51 No.3

        이 글은 한국어교육에 활용되는 문학텍스트에 관한 것이다.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은 무엇보다도 학습자의 의사소통 능력을 강화하려는 목적을 갖는다. 우선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양한 교육방법이 개발되었다. 한국어교육에서 문학텍스트를 활용하는 이유도 의사소통 능력, 즉 언어교육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문학텍스트는 텍스트의 특성상 단순히 언어교육의 자료로만 기능하지는 않는다. 그러므로 교실에서 문학텍스트를 활용할 때, 언어교육 외에 문화교육과 문학교육을 기획하는 것은 당연하고 자연스럽다. 특히 중급과 고급반에서는 문화교육과 문학교육의 비중이 커지므로 올바른 문학텍스트를 선정하고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일은 중요하지 않을 수 없다. 이 글에서는 앞서 언급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한국어교육에서 차지하는 문학텍스트의 의미를 우선 파악하였다.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에서 문학텍스트는 모국어 교육자들의 그것과는 위상이 다르다. 외국인들에게 한국어를 능률적으로 가르치는 좋은 자료일 뿐만 아니라 한국문화와 한국문학을 알리는 중요한 자료라는 점을 충분히 염두에 두어야 한다. 그러므로 텍스트 선정할 때 기준이 되어야 하는 것은 첫째, 언어교육의 효율적인 자료로 충분한가. 이는 의사소통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효율적이어야 한다는 뜻이다. 둘째, 한국문화의 다양한 특징을 전달할 수 있는 텍스트여야 한다. 셋째, 한국문학을 대표할 수 있어야 한다. 교재를 통해 접하게 되는 한국문학은 외국인들이 처음 접하는 한국문학일 수 있으므로 한국문학의 특성을 전달하는 재료이기도 하다. 마지막으로, 교육 수월성을 높이는 자료이어야 한다 등이다. 또한 문화교육과, 문학교육은 매 단계마다 고루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수준에 맞는 텍스트를 선정하여 배치하는 것도 고려해야할 중요한 기준이 된다. 문학텍스트 선정 기준의 제시와 더불어 한국어교육 교재에 수록된 문학텍스트 수록 양상을 분석하였다. 고대, 이대, 연대 등의 교육기간에서 발간하고 활용하는 교재를 검토하여 그 안에 수록된 문학텍스트 현황 및 문제점들을 살펴보았다. 특히, 구 교재와 현행 교재를 비교하여 문학텍스트에 대한 교육 당국의 인식변화 및 그 결과를 파악하였다. 문화 및 문학교육에 대한 달라진 인식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tries to look into the literary text o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 foreign language. Undoubtedly, the first reason for trying to make use of the literary text is to raise up the communication skill of korean language. But, the literary text has another aspect of education as a teaching material. It includes culture education and literature education. So, we have to think about the meaning of literary text and the standard of selection text. The literary text o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 foreign language has a different status from the literary text o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 native language. It works not only a text of language education but also some special text of education including korean culture and literature. Because of these reasons, a working process of setting a standard of selection text is very important. In conclusion, I try to suggest some standard of selection text on this study. First, it has to be considered that literary text is distributed throughout all of level. A prose like a traditional tale is more suitable on lower level. Reaching a higher level, it is desirable that portion of a poetry and a modern literature is getting grower. And more important one to think about is that the text represents korean literature or not. So, the level of a student, the genres of literature, the time of writing text, and the representative quality are mostly considered when select a literary text.

      • KCI등재

        문학교육 평가론의 경과와 과제

        조하연 ( Hayoun Cho ) 국어교육학회 2015 國語敎育學硏究 Vol.50 No.2

        이 논문은 문학교육의 평가에 대한 기존의 논의들을 문학교육에 내재된 교육관을 중심으로 새롭게 읽어 보고, 현재 문학교육 평가가 겪고 있는 문제들의 극복을 위한 앞으로의 과제를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그동안 문학교육의 평가를 개선할 수 있는 대안적 평가에 대한 논의를 바탕으로 실제 교육 현장에서의 평가 방식 역시 적지 않게 달라졌음에도 문학교육의 평가에 대한 의구심이 여전하다는 점을 고려할 때 좀 더 근본적인 차원에서 문학교육 평가론의 역사를 점검해 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하였다. 이에 본고는 먼저 문학교육 연구에 내재된 교육관을 점검해 보았다. 문학교육에서 전제하고 있는 교육에 대한 관점이 어떤 것이었는가를 기존 연구사에 대한 검토를 통해 살펴, 그 핵심에 공학적 개념의 교육관이 자리 잡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학습자의 변화를 교육의 본령으로 삼고 있는 공학적 개념의 교육관에 비추어 볼 때 기존의 문학교육 평가 연구가 학습자가 도달해야 할 지점에 대해서는 다양한 논의를 진행한 데 반하여 현재 학습자의 상태가 어떠한지, 또한 이러한 상태를 왜 변화시켜야 하는지에 대해서는 특별한 관심을 기울이지 못한 것을 알 수 있었다. 교육이 추구하는 변화는 학습자들의 현재 상태에서 필요한 지점을 정확히 파악하고, 이에 따라 그 변화의 방향이 결정되어야 한다는 점을 고려할 때 이제까지 문학교육의 평가론에서 현재 학습자들의 상태에 대한 충분한 점검이 이루어지지 못했다는 것은 문학교육의 평가가 새로운 전환점을 마련하지 못하였던 근본적인 원인이 되었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고는 학습자의 현재 상태를 충분히 점검하고, 이에 따라 교육과정상의 제 요소들이 유기적으로 재설정되어야 함을 주장하였다. 즉 학습자의 현 상태에 대한 인간학적 검토와 이에 따라 문학교육의 목표와 내용, 그리고 방법이 실제 문학교실에서 일어나는 일을 중심으로 재설정되어야 한다는 것이 이 논문의 결론이다. This thesis discusses about the issues and tasks on the assessment in literary education. The assessment in literary education has been caused a lot of disputes in the area of Korean education. The fundamental reason is that the character of literature and assessment is contradictory to each other. Literature is the product of imagination and personality. On the contrary to this, assessment tries to produce the objective evidence of the student’s development of capability. In this thesis, I tried to reconsider the history of disputes on the assessment in literary education and find the premises which is inherent in the disputes. Because the premises which is inherent in the disputes might be the real reason of the dilemma of the assessment in literary education. I tried to figure out the view on education and found the dilemma of engineering viewpoint about literary education. According to the viewpoint, the change of students is the most valuable thing in the education, and assessment should suggest the evidence of change. I think that we do not have the objectives of literary education which can be suitably used in assessment. In the curriculum of Korean education, the objectives of literary education is increasing of literary capacity of student. But the objectives is so idealistic that it is not easy to assess the literary capacity, and it is more like the aims of literary education. In conclusion, I suggested that we must to adjust the elements of curriculum, especially of the objectives. And also, we must investigate the reason that the student should be changed.

      • KCI등재

        2015 국어과 교육과정의 초등문학교육 설계 양상 분석 - 아동문학작품 갈래 용어의 제시를 중심으로 -

        한명숙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16 한국초등국어교육 Vol.61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the ‘Literary genre terms’ of children’s literature were presented in ‘2015 Korean Language Art Curriculum’ for the elementary literature education. I discovered that 23 kinds of genre terms were presented in the curriculum. The followings are among findings. (1) The ‘Literature education contents table’ of the curriculum consists of 10 literary genre terms. (2) In the 16 ‘Literary standards’ of 3 parts contain 16 literary genre terms of children’s literature. (3) The curriculum include 17 examples of literary works, of which 12 literary genre terms were presented to achieve the standards. Although the number of literary genre terms presented in the curriculum was increased, they were not categorized and organized. Therefore, the literary genre terms should be presented systematically in the next curriculum for the improved elementary literature education. 2015 국어과 교육과정은 새로운 ‘내용체계’와 영역별 성취기준에 따른 ‘학습 요소’를 보였다. 여기에 초등문학교육의 설계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이 교육과정이초등문학교육을 뒷받침하는 아동문학작품을 제시한 양상, 즉 어떤 갈래의 작품을얼마나 제시하고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내용체계’에 ‘동요, 동시, 시, 노래, 그림책, 동화, 이야기, 소설’의 10종, 문학 영역의 16개 성취기준에 ‘시, 노래, 이야기, 그림책, 극, 말놀이’의 6종, ‘성취기준 해설’에 ‘시, 노래, 이야기, 서사, 옛이야기, 창작동화, 극, 아동극, 애니메이션, 말놀이, 생활문, 수수께끼’의 12종, ‘국어 자료의예’에 ‘시, 노래, 이야기, 그림책, 만화, 극, 애니메이션, 전기문, 감상문, 일기, 생활문, 수필’의 12종에 해당하는 작품 갈래가 17개의 목록에 제시되었다. 종합하면초등문학교육의 설계에 제시된 문학 갈래 용어는 모두 23종이며, 4대 갈래별로보면 서정 4종, 서사 8종, 극 4종, 교술 7종으로 집계된다. 그 양은 과거 교육과정보다 증가하였으나, 갈래 용어의 중복 및 구분의 모호함이 개선되지 않았고, ‘서사’, ‘이야기’ 및 ‘극’과 같은 상위 갈래와 그에 속하는 하위 갈래의 용어가 동일한 층위로 제시되는 등의 비체계성을 보였다. 아동문학작품의 갈래 이론이 확립되어 있지않았다는 점을 고려해 보아도, 문학의 기본 갈래 용어조차 체계적으로 제시되지않은 양상은 개선되어야 할 문제다. 차기의 국어과 교육과정 문서에는 문학작품의갈래 용어가 체계적으로 제시되어 초등문학교육을 정교하게 뒷받침할 수 있기를전망한다. 이를 위한 아동문학의 갈래 체계가 수립되어야 함도 과제이다.

      • KCI등재

        대학의 교양교과로서 ‘문학’ 교육의 현황과 전망

        안미영 한국교양교육학회 2021 교양교육연구 Vol.15 No.4

        This article seeks ways in which to educate literature as part of the liberal arts curriculum for universities. In response to changes in the university's curriculum and system, this article examined the current status of liberal arts “literature” courses, Also, this article explored the methods used in the teaching of literature courses as basic studies. Literary works have been used as useful teaching materials in early writing education, and classical texts have achieved their goals by utilizing proven literary works. In cultural education, literary works are also used as a primary source and as part of media education. In terms of the university system, the Humanities departments have begun to disappear. Literary education has resulted in a situation in which liberal arts have to take charge, and so now it is necessary to ask questions regarding the identity of literature and to examine the methods of teaching literature education. Before this article discussed the methods involved with literature education as a basic study, we looked at the prior discussions on literature education as liberal arts education. Interest in literature education began in the mid-1980s, and research became active around 2010. Interest in and research on literature education as liberal arts education has also been gradually increasing, and a series of facts suggest the legitimacy of literature subjects as basic studies, along with a willingness to actively communicate with the changed educational environment. In order to better understand the methods of teaching literature education at the university level, this article examined the link between secondary and university education. The current secondary education curriculum was revised in 2015, and both secondary and higher education implement competency education for talent development required by the times, and the ultimate goal is the same. However, since literature must reach the achievement standards designated through textbooks in the middle school curriculum, there is a limit to internalize the literature. Literature education in universities shall take into account the university's talent award and educational goals, but may develop literary skills by maximizing the experience of actively interpreting and enjoying literature through various teaching methods. In liberal arts education at universities, literature courses should be able to capture academic universality and achievements as basic studies. Literature courses should be teach to read the narratives of media that form diverse cultures and cultivate interpretations that can allow our students to discover the value of the times in which they live. The particular language of literature should be understood and the theoretical basis for understanding and enjoying the flow of human history and civilization should be taught through Mimesis (reenactment), narrative and plot, point of view and the speaker, critical methodology, and the literature itself. Through a self-reliant and active interpretation of the work, one should be able to identify the literary principles embodied in the work, and tell what discourse the work has created in the lives of one's contemporaries. 이 글은 대학의 교양교과로서 문학 교육 방법을 모색한 것이다. 대학의 교육과정과 제도 변화에상응하여 교양 ‘문학’ 교과의 현황을 살펴보고 기초학문으로서 문학 교과의 교육 방법을 탐구한 것이다. 유관 교과와 관련하여 문학 작품은 글쓰기 교육에서 일찍부터 유용한 강의자료로 활용되었고, 고전교과에서는 검증된 문학작품을 활용하여 교과목표를 달성하고 있다. 문화 교육에서도 문학작품은 미디어 교육의 1차 자료로 활용되고 있다. 대학 제도의 측면에서 문학 전공 학과들이 사장되기 시작했으며, 문학 교육은 교양에서 담당해야하는 상황이 초래되었다. 이에 문학의 정체성을 되묻고 교육방법에대한 점검이 필요하다. 기초학문으로서 문학 교육방법을 논하기 앞서, 교양교육으로서 문학 교육에 관한 선행논의들을 살펴보았다. 교양으로서 문학교육에 대한 관심은 1980년대 중반부터 일기 시작하여 2010년을 전후하여연구가 활발해졌다. 교양교육으로서 문학교육에 대한 관심과 연구도 점진적으로 늘어나고 있는데 일련의 사실은 기초학문으로 문학 교과에 대한 당위성과 현실 변화에 대한 소통 의지를 시사한다. 대학교육에서 문학 교육의 정체성과 방법을 모색하기 위해 전단계인 중등교육과정과 대학교육 간의연계성을 점검해 보았다. 현행 중등교육과정은 2015년 개정되었으며, 중등교육과 고등(대학)교육 모두시대가 요구하는 인재배양을 위한 역량교육을 시행하고 있으며 지향하는 궁극의 목표는 동일하다. 다만 중등교육과정에서 문학은 교과서를 통해 지정된 성취기준에 도달해야 하므로, 문학을 내면화하는데 한계가 있다. 이에 대학에서 문학 교육은 대학의 인재상과 교육목표 등을 고려하되, 다양한 교수법을통해 문학을 적극적으로 해석하고 향유할 수 있는 체험을 극대화하여 문학능력을 기를 수 있다. 대학 교양교육에서 문학 교과는 기초학문으로서 학술적 보편성과 성과를 담아낼 수 있어야 한다. 다양한 문화를 형성하는 미디어의 서사를 읽어내고, 시대의 가치를 발견할 수 있는 해석안을 배양해야한다. 문학의 언어를 이해하고, 미메시스(재현), 서사와 플롯, 시점과 화자, 비평방법론, 문예사조를통해 인류의 역사와 문명의 흐름을 이해하고 향유할 수 있는 이론적 기반을 교육시킬 수 있어야 한다. 작품에 대한 주체적이고 적극적인 해석 활동을 통해 작품에 구현된 문학 원리를 파악하고, 작품이던진 화두가 자신과 동시대 삶에 어떠한 담론을 만들어 나가는지 말할 수 있어야 한다.

      • KCI등재

        한국어교육에서 현대소설 교육내용에 대한 연구

        이인화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7

        한국어교육에서 문학에 대한 학습을 체계적으로 모색하기 위해서는 문학에 대한 서로 다른 관점을 드러내고 각각의 관점이 한국어교육에서 문학의 위상을 어떻게 조명하는지를 살펴야 한다. 이 연구에서는 문학교육론의 담론에서 문학을 어떻게 규정하며 교육의 목표 및 내용으로 어떻게 전환하는지를 비판적으로 분석하기 위한 분석틀을 구안하고 이를 적용하기 위한 자료로서 한국어교육 교재를 수집, 분석하였다. 서울 소재 14개 대학에서 발행하는 교재 중 현대소설 작품이 수록된 11종 교재를 선별한 뒤, 여기에 수록된 13편의 현대소설과 관련 학습활동을 종합적으로 분석한 결과 현대소설 작품 관련 교육내용에서는 활동 중심 문학교육관이 가장 강조되었으며, 실체와 속성 중심 문학교육관에 터한 교육내용은 부분적이었다. 또한, 현대소설 작품을 통해 의사소통 교육을 추구하는 경우가 다수이기는 했으나 문법교육과 문화교육 역시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었다. 이 같은 결과를 통해 한국어교육에서 가능한 문학교육의 다양한 목표를 균형 있게 다루고, 한국어교육을 위한 현대소설 작품을 적극적으로 발굴, 활용하며, 한국어교육에서 ‘문학을 통한 문화교육’의 목표와 내용을 풍부화 하는 한편, 한국어교육에서 문학교육의 목표에 따라 학습활동 유형을 다양하게 개발할 필요가 있음을 밝혔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how the perspective of literary education is reflected in the content of literary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o do this, the analysis framework was first compiled. The direction of literary education in Korean education is divided into 'education about literature itself' and 'education of other things through literature'. Korean textbooks were collected as materials to apply the analysis framework. Eleven kinds of textbooks including modern novels were selected from the textbooks published by 14 universities in Seoul. The results of the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13 novels related to the textbooks and related learning activities are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education about literature itself, the works of modern novels were most emphasized by the activity-centered literary educator. Educational contents based on reality-oriented literature education and property-oriented literature education were partial. Second, from the viewpoint of education through literature, there were many cases in which communication education was pursued through works of modern novels. Grammar education and cultural education were also active. The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balance various objectives of literary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Second, modern novels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should be actively explored and utilized. Third, the goals and contents of 'cultural education through literature' should be abundantly developed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Fourth, the types of learning activities should be developed according to the objectives of literary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 KCI등재

        국어교육의 문학관에 대한 통시적 고찰

        조하연 한국문학교육학회 2017 문학교육학 Vol.0 No.57

        The view of literature is a key factor in determining how literature is utilized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order to examine the language of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this thesis examines the curriculum and searches how these perspectives changed. In the first phase of the curriculum(the 1st to 4th), it appeared to emphasize these; art of words, reflection of life, and the cultural aspect of literature. After the first phase, the curriculum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changed drastically. While the perspective of literature as a language art is still influential, literature as a reflection of life was expanded to the reflection of reality, and the concept of culture was converted. Such changes have greatly influenced the contents of literature education. But in these changes, the problem of Using literature as a instrument has been intensified. Literary education should be concerned of leaner’s whole experience of literature. 문학의 본질과 효용에 대한 이해를 문학관이라 할 때, 국어교육의 문학관은 국어교육에서 문학이 활용되는 방식을 결정하는 핵심적 요소이다. 이 논문에서는 1차에서 4차까지의 교육과정을 통해 해방 이후 초기의 국어교육에 나타난 문학관을 확인하고, 이후의 지속과 변화를 살펴보았다. 1차에서 4차의 교육과정을 검토한 결과, 국어교육으로서의 정당성과 관련하여 언어 예술적 속성을, 개인의 성장과 관련하여 인생의 반영으로서의 속성을, 교육의 사회적 효용과 관련하여 문화로서의 속성을 부각시켰던 점이 확인되었다. 비록 논리적으로 정돈된 체계를 갖추지는 않았으나, 문학과 국어교육의 결합을 위한 핵심적인 요소들이 두루 활용되고 있었다. 이후의 교육과정에서는 이와 같은 초기의 문학관이 적지 않게 변화하였다. 언어 예술로서의 문학이라는 관점은 여전히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었으나, 인생의 반영으로서의 문학은 현실의 반영이라는 관점으로 확대되었고, 문화의 개념이 새롭게 정의 되었으며, 활동이라는 속성이 새롭게 부각되었다. 이러한 변화에 따라 교육의 대상으로서의 문학이 텍스트를 넘어 문학 현상으로 확대되고, 문학 능력의 신장이 문학교육 목표로 설정되는 등 문학교육의 내용적 측면에서 주목할 만한 발전이 있었으나 문학 작품의 도구화가 심화되기도 하였다. 이에 대한 적극적인 개선이 오늘의 국어교육이 맞이하고 있는 중요한 과제가 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