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淵民 李家源의 文體論과 한국문학의 가치

        안장리 열상고전연구회 2017 열상고전연구 Vol.57 No.-

        본고에서는 이가원의 문체론에 대한 논문과 1952년에서 1968년까지 집필한 한국문학 관련 글을 엮은 韓文學硏究 의 분석을 통해 이가원의 문체론과 한국문학의 가치에 대한 인식을 밝히고자 하였다. 문체론에 대한 논문을 분석한 결과 이가원은 중국과 한국의 문체분류를 통시적으로 살핀 뒤 자신의 독자적인 15가지 문체를 제시하였다. 근대를 기점으로 舊派와 新派로 구분하고 舊派에서는 文選 의 39가지 문체, 文心雕龍 의 20가지 문체, 經史百家雜抄 의 11가지 문체 등으로 점점 항목은 적어지더라도 포괄 범주가 넓어짐을 평가하되 그럼에도 불구하고 傳奇小說이나 小品文 등이 제외된 한계를 밝혔다. 新派에서는 龍伯純, 梁啓超, 蔡元培 등의 문체론에 비해 施畸의 문체 분류가 독자성이 있다고 보았고 이가원 스스로의 독자적인 15가지 문체 분류 및 설명을 제시하였다. 이 설명에서는 조선의 科體詩를 문체의 하나로 설정하는 독자성을 보였다. 그러면서 이가원은 문체 분류는 시대적 변화와 문의 체제를 복합적으로 반영해야 된다고 하였고, 문학은 ‘역사에 남을 가치가 있는 문채가 나는 글’이어야 된다고 하였다. 韓文學硏究 에서는 한국문학에 대한 중국의 영향과 한국의 독자성 고찰에 주력했는데 「鄭瓜亭曲」이나 春香傳 등 한국의 대표적인 작품에서의 중국의 영향을 밝혔으며, 아울러 申光洙의 문학에서는 東詩, 樂府, 艶體詩, 傳奇小說 등이 한문 작품이지만 한국의 독자성을 부각시켰음을 평가하였다. 본고에서는 이가원이 한문학을 반민족적 행위로까지 보던 시대에 문학연구자로 활동하면서 文史哲을 아우르는 문의 개념을 견지하여 문체 분류를 하고 문자에 구애받지 않고 한국문학을 설명할 수 있는 문체를 분류하였으며, 분과적 세태에 맞게 소설, 시가 등의 연구를 수행하고 한시와 소설 등에 있어서 중국의 영향을 얘기하되 그래서 중국과 다르다는 점을 부각시켰으며, 중국과 차이나는 점을 열등한 것으로 보지 않고 독자적인 것으로 평가하여 한국한문학을 문학의 다양성을 확장하는 가치 있는 존재로 부각시켰다. 나아가 우리에 맞는 새로운 문체를 창출하는 문학을 특별히 거론하여 우리문학의 가치를 높이려 한 것으로 평가된다.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Lee Ga-won's concept and value of literature by analyzing his papers on stylistics and his Study on Korean literature, which included texts about Korean literature in 1952~1968. The analysis results of his papers on stylistics show that he examined the classifications of writing styles diachronically both in China and Korea and proposed his 15 independent ones. He divided the writing styles into the Old and New Schools around the modern times and found that the number of items decreased in the Old School from 39 classifications in Munseon through 20 classifications in Munsim- joryong to 11 classifications in Gyeongsabaekgajapcho with the encompassing categories expanding. He also added that there were limitations around the exclusion of biographical novels and vignettes in spite of the development. He believed that Sigi's classification of writing styles had independent quality compared with the stylistics of Yong Baek-sun, Yang Gye-cho, and Chae Won-bae in the New School, providing his own independent classifications of writing styles and their explanations, in which he claimed independence for his classifications by setting the Gwachesi of Joseon as a writing style. He maintained that the classification of writing styles should reflect the changes of the times and the systems of sentences in a complex manner and that literature should contain beautiful coloring worth a mention in history. In his Study on Korean literature, he focused on the influence of China on Korean literature and the independence of Korea in literature and shed light on the Chinese influences in some of Korea's representative works including Jeonggwajeonggok and Chunhyangjeon. He also assessed that Shin Gwang-su highlighted the independence of Korean in literature despite his works in Chinese including children's poems, Akbus, Yeomchesis and biographical novels. In short, the present study demonstrated that Lee Ga-won classified writing styles by keeping his concept of literature to encompass literature, history, and philosophy as a literature researcher in the times when Chinese classics were regarded as anti-national activities and proposed the classifications of writing styles to explain the Korean literature regardless of characters. He also did research on novels and poems according to the fragmented conditions of society and talked about the influence of China on Korean poems and novels in Chinese. He highlighted that Korean literature was different from Chinese literature and assessed the difference to be independent instead of inferior to Chinese literature, arguing that it expanded the literary diversity. Furthermore, he made a special discussion about the literature of creating a new writing style fit for the Korean people, trying to raise the value of Korean literature.

      • KCI등재

        명대 시문선집 『문장변체(文章辨體)』의 문체론에 대한 고찰

        당윤희 ( Dang Yunhui ) 한국중국학회 2018 중국학보 Vol.83 No.-

        明代에는 문체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문체의 구별[辨體]”에 대한 연구가 활발해졌다. 吳訥의 詩文選集인 『文章辨體』은 명대 시문선집인 동시에 문체론 저서이다. 『문장변체』는 陳德秀의 『文章正宗』의 유교적인 문학 관념의 영향을 받아서, 選文과 비평의 기준으로서 “문장은 체제가 우선이다[文辭以體製爲先]”라는 점을 내세웠고, “작문은 세상의 교화와 관련이 있는 것을 위주로 한다[作文關世敎爲主]는 점을 강조하였다. 『문장변체』의 문체론의 형식상의 특징은 구성면에서 “序題”라는 형식을 사용하여 문체의 원류와 변천, 창작 기법 등을 설명한 것이다. 序題에서 밝힌 문체론은 중국고전문학 문체의 성격과 변천 등에 대한 이해를 제공하는 귀중한 자료가 된다. 『문장변체』의 문체론의 내용상의 특징은 문체에서 正體와 變體를 구별한 것이다. 『문장변체』는 古歌謠辭부터 祭文까지 51개의 문체로 분류하였고, 그 밖에 『外集』에 9개의 문체를 합하여 모두 60개의 문체와 해당 문장을 수록하였다. 『문장변체』는 60개의 문체 가운데 전통적으로 내려오는 문장의 체제를 “正體”로 삼고 후대에 나타난 다소 파격적인 체제는 “變體”로 보았다. 오눌은 變體를 『외집』에 수록함으로써 시대에 따른 문체의 변화를 인정하였고 명대 문체의 변화와 문학 사조의 변화를 반영하였다. The anthology of 『Wenzhang Bianti(文章辨體)』 by Wu Ne(吳訥) of Ming Dynasty is the selected book of prose and poem and also is the stylistic book. The book which was influenced by 『Wenzhang Zhengzong(文章正宗)』 said “the styles of writing takes precedence in the distinction over the sentences[文 辭以體製爲先]” and focused “the writings are connected with the edification of the world[作文關世敎爲主]”. The formal features of stylistics of 『Wenzhang Bianti(文章辨體)』 is to explain the origin, changes, and creative techniques of style on “Xu ti(序題)” and provide an understanding of the characteristics and changes in Chinese classical literature style. The content-related features of stylistics of the book is to distinguish between standard(正體) with modification(變體). The book classified the writings into 51 different styles and 9 different styles of 『The outer volume(外集)』. In total 60 styles, classical writing styles belonged to standard(正體) and unconventional writing styles to modification(變體). The book included the styles of modification(變體) in 『The outer volume(外集)』, recognizing the changes of writing styles that went with the times and reflected the changes in the style of literature and in literary trends of Ming Dynasty.

      • KCI등재

        결핍과 (불)가능성으로 직조된 아브젝시옹의 문체 - 한강의 채식주의자 문체 연구

        김아름 동남어문학회 2023 동남어문논집 Vol.1 No.56

        이 연구는 작가 한강의 채식주의자 3연작에 대한 문체 연구이다. 그동안의 선행연구들이 주제의 측면에 편향된 측면이 있다는 점, 문체적 특징이 선명함에도 불구하고 문체 연구를 적극적으로 시도되지 않았다는 점을 이 연구는 주요한 문제의식으로 삼는다. 따라서 이 연구는 채식주의자 를 혼용론적 문체론의 관점에서 분석하여 선행연구들이 가진 틈새를 메우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이 연구는 작가가 인물들을 형상화하는 방식에 있어서 크게 두 가지 문체적 전략을 적극적으로 활용한다는 점을 분석하였다. 첫째, 작가는 주인공들의 명백하게 대립되는 세계관을 문체적 특징으로 드러냄으로써 영혜를 결핍된 존재로 묘사하는 전략을 구사한다. 둘째, 인물들이 처한 현실세계를 “수+없다”와 “수+있다”의 고빈도어를 통해 서술함으로써 영혜를 (불)가능성의 영역에 정위시킨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체적 특징을 초점화자와의 관계 속에서 파악하고, 채식주의자 의 문체를 아브젝시옹의 문체로 명명하였다. 물론 한강은 동시대적 작가이므로 한강의 문체 의식에 대한 연구는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그러나 이 연구는 작가의 문체 전략이 소설의 인물이나 주제의식에 어떻게 기여하는지 살펴봄으로써 채식주의자 에 대한 문체 연구의 지평을 확장시켰다는 점에서 나름의 의의를 지닌다. This study is a stylistic study of author Han Kang's three series of The Vegetarian . This study takes as its main issue the fact that previous studies have been biased toward aspects of the topic and that stylistic research has not been actively attempted. Therefore, this study analyzes the way the characters in The Vegetarian are portrayed from a stylistic perspective. Through this, the purpose is to supplement the shortcomings of previous studies. This study analyzed that the author actively uses various stylistic strategies in the way he depicts characters. First, the conflicting worldviews are clearly revealed through stylistic features. Second, it also presents a “style of (im)possibility” that explores possibilities in (im)possible reality. In this study, these stylistic features were identified in their relationship with the focal speaker and were named the “style of abjection”. Of course, Han Kang is a contemporary writer, so research on Han Kang's writing style needs to be continuous. However,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expands the horizon of stylistic research on The Vegetarian by examining how the stylistic strategies of the focal speakers contribute to the characters and themes of the novel.

      • 시를 통한 한국어 문체 교육 연구 : 정호승의 시 분석을 중심으로

        란천우 국어교과교육학회 2012 국어교과교육연구 Vol.20 No.-

        문체는 문화적 소양을 바탕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이와 관련한 학습을 통해 외국인학습자들에게는 이미 배워둔 언어를 깊이 이해하며 고차원적인 언어 능력을 갖추도록 하는데 필요한 문화능력을 기를 수 있다. 한국어 텍스트를 읽을 때 외국인 학생들이 한국어를 이해하거나, 한국문학 작품을 이해하는 방법으로서 문체론은 반드시 필요하다. 본문에서는 문체의 개념과 연구방법을 고찰하고, 문체적 효과를 가져 오는 다양한 기법들에 대한 분석과 연구를 통해 한국어에만 있는 여러 가지 독특한 표현기법을 알아보고 한국의 대표적인 서정시인 정호승의 작품을 통하여 문체적 효과를 분석하고 이러한 문체론을 한국어 교육적 관점에서 어떻게 적용하고 활용할 수 있는지를 탐구하고 구체적으로 정호승의 「수선화에게」를 통한 한국어문체 교육 실제 수업지도안을 구성하였다.

      • KCI등재후보

        문체론 연구에서 보이는 남북한 차이

        강영 고려대학교 한국언어문화학술확산연구소 2012 Journal of Korean Culture Vol.19 No.-

        지금까지 남북에서 문체에 대한 논의는 각자 나름대로 다양하게 진행되어 왔다. 남북 분단 이후 40년 이상 서로 다른 사회체제 속에서 단절된 언어생활을 영위하여 왔기 때문에 남북의 문체 연구에 상당한 차이가 나타나고 있다. 먼저 문체의 개념과 분류를 살피고 문체론의 언어학적 접근의 세부항목으로 음운, 어휘, 문법 등 측면에서 남북 문체론 연구를 비교 고찰해 보았다. 음운에서 음운의 탈락 또는 음운 탈락에 이은 음절 축약, 음운의 첨가 및 음운 교체 현상을 북에서는 형태론적 측면에서 남에서는 음운적 측면에서 다루고 있고 자수율, 압운법 같은 것도 북에서는 수사법에서 남에서는 음운적 측면의 운소분석에서 다루고 있다. 문체와 어휘에서 남북에서 어휘의 분류기준이 좀씩 다르고 남에서는 어휘의 특징을 파악하여 문체론적 해석을 하는데 사용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문체와 문법에서는 언어학적 문체론의 연구 과제는 문장의 심적인 인상에 기여하는 언어적 특징을 밝히는 것이라고 했다. 한국 문체론 연구는 문체론을 연구하는 학자들마다 추구하는 바가 달라서 통일된 이론이나 일치된 술어, 확립된 연구 방법을 가지지 못하였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북한에서도 다루는 분야에 따라 문체가 분화되어 있기는 하지만 그 분화의 정도가 대단히 약하다. 이러한 문체의 경직성은 학문적 발전을 가로막고 있다. 북한 문체의 과제는 언어표현을 정치로부터 해방시켜 문체의 다양성을 확보해야 한다고 본다.

      • KCI등재

        한문교육에서 "문체"의 개념 정의와 분류에 대한 탐구

        김종철 ( Jong Cheol Kim ) 동방한문학회 2012 東方漢文學 Vol.0 No.51

        본 논문은 현행 한문 교육에서의 문체교육을 문제 삼으면서, 한문문체개념의 설정, 한문문류의 장르분류체계와 그 용어, 한문문체교육의 범위와 그 방향성 등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한문학에서 사용되는 문체라는 용어는 국내에서도 연구자에 따라 문체, 體類, 갈래, 양식, 형식 등의 용어가 다양하게 쓰이고 있다. 이들의 논의에서 문체의 개념을 정리하여 보면 文類, 類別과 같은 갈래용어, 體式, 體裁와 같은 형식용어, 作風, 文風과 같은 風格용어, 풍격과 형식을 함께 의미하는 문체 등과 같은 용어들이 혼재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서구문학의 Genre와 Style의 개념이 동시에 적용되고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필자는 이러한 혼란을 피하기 위하여 최소한 중등 교육현장에서는 형식, 수사의 개념에는 文體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갈래를 나타내는 개념에는 文類를 사용하자고 제의하였다. 그리고 한문문류의 장르분류체계와 그 용어에 대하여서는, 平仄, 韻脚, 造句와 같은 율격의 3요소들을 주요 작문장치로 사용하는 辭賦, 箴銘, 頌贊등과 같은 장르를 독립된 ``律文``으로 분류하여, 한국한문학의 장르를 그 작품형성의 원리에 기초하여 시, 율문, 산문의 3대 장르로 분류할 것을 제안하는 동시에 문류를 분류하는 단계별 용어를 교육함에 있어서 門-類-項-子目과 같은 전통적인 문체분류 용어를 사용하자고 제안하였다. 끝으로 한문문체교육의 범위와 그 방향성에 있어서는 먼저 文類와 독립된 의미로서의 文體개념을 제시하고 그런 기반 위에서, 산문은 변문체와 고문체를 기준으로 시대와 학파에 따른 문체특징을 제시하고, 율문은 잠명, 송찬, 사부 등의 다양한글쓰기 양상들을 학교급별, 과목별로 수준과 난이도를 조절하여 정리 제시하자고 제안 하였다. The style-centered education is the foundation and flower of sentence-centered education. In terms of literary deed, understanding of a wide variety of style and genres are most essential for our understanding, reading and writing the sentences. The reasons are that its style and genre result in style critique at the stage of appreciation and criticism assessing aspects shown through literary figuration. Considering so much importance of style, I cannot stress enough how important style-centered education is. Then, how will we teach style in reality? First, we keep the accent upon setting up the concept of style. In fact, academic circles and researchers didn`t settle down to this issue yet. Generally, it has been tacitly distinguished type of literature and style. In addition, distinction of type of literature and style is suitable for secondary education and applies favorably. Second, we are required to determine the criteria for classification on various types of literature written by Chinese character. We should arrange the variety literature types based on Chinese literature according to genres as soon as possible. At this point of over half a century when we have studied Chinese literature in this country, there`s no way I can avoid the blame for no agreement was reached at the academic world. In terms of distinction of genres, it is true that frame of distinction is clear and applicable universally. However for now, we have not had the criteria of it, neither arrived at an arrangement with. Following is the genre of Chinese literature in independent provisions of a criminal code: Cifu(辭賦), Jammyeong (箴銘) and the words of praise which I used three elements of meter such as "a pitch of phoneme, a metrical foot and rhyming couplets" as writing mechanism. Three views of genre of literature type from Korean Chinese literature are suggested as follows; poetry, provisions of a criminal code and prose based on principle of literary works structure. In summary, this suggestion that we should use three elements of meter such as a pitch of phoneme, a metrical foot and rhyming couplets as writing device is the system of classification in connection with genre according to specific standards based on principle of literary works structure. Therefore, I suggest this can be applied to the educational arena and solved problem which Chinese literary such as Cifu(辭賦) and words of praise remains the single biggest obstacle to set up Chinese literary genre at the same time. In addition, I would use traditional Chinese literature terms, namely Mun (門)-Ryu(類)-Hyang(項)-Jamok(子目) in making the kinds of literature the classification in a step-by-step words. Using traditional words gives aid to solve genre concept ambiguity meanwhile; it is contributing to understand classification of the types of literature. Finally, style education which signified form of Chinese character and rhetoric suggests the types of literature as well as independent style concept. Beyond base of this concept, prose based on the above three genres are suggested characteristics focused on Byunryeamun style(騈儷文體) and archaism according to times and school. And if we articles of a criminal code show with a variety of writing aspects as Jammyeong (箴銘), words of praise and Cifu(辭賦) as adjusting level and difficulty according to school, class and subjects, it is easy to problem solve.

      • KCI등재

        時調의 文體美 一考

        金成紋(Kim, Seong-moon) 한국시조학회 2012 時調學論叢 Vol.37 No.-

        본고는 문체론의 관점에서 문체자질로 인하여 드러나는 시조의 미적 특질을 살피고자 한 시도이다. 시조도 문자로 이루어진 언어예술인 이상, 문체론의 관점에서 다루어볼 필요성과 가능성이 있다고 여겨지며, 이에 본고에서는 시조의 문체로 인하여 드러나는 文體美에 대하여 논의를 진행하였다. 문체를 내용과 형식의 두 가지 측면으로 나누어 접근할 수 있는 것처럼, 문체미 또한 내용적 측면과 형식적 측면으로 나누어 접근할 수 있다고 생각하며, 여기서는 내용적 측면 중에서도 특히, 主題를 중심으로 시조의 문체미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시조의 내용적 측면에서 중요한 문체자질이 되는 주제는 곧 작가가 작품을 통해서 드러내고자 하는 중심 생각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작품의 주제를 통한 작품의 유형화, 혹은 분류 작업은 곧 작품의 창작 의도를 살피는 작업과 밀접한 관련을 맺는데, 여기서는 크게 主性的인 시조와 主情的인 시조의 둘로 나누어 보았다. 전자는 대체로 사회나 집단의 문제에 치중하여 백성을 교화하려는 목적으로 창작된 훈민시조계열의 작품이며, 후자는 화자의 개인적인 정서를 개성적으로 형상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애정시조나 일부의 강호시조 작품 등이 해당된다고 보았다. 그리하여 두 부류에 해당되는 작품들을 선정, 분석한 결과 主性的인 시조는 주된 작자층이라 할 수 있는 양반 사대부들이 견지한 유교적 이념을 백성들에게 전파하고자 하는 성향이 짙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교술성이 강화되어 화자의 논리를 청자에게로 확산시킨다는 점에서 그 문체미를 ‘擴散의 美’로 규정하여 보았다. 한편 主情的인 시조의 경우에는 청자 보다는 화자가 중심이 되며 따라서 유교 윤리와 같은 사회의 지배이념에 무게를 두기 보다는 개인의 정감을 중요하게 여김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이는 외부의 문제를 화자 내부로 끌어들이는데 주안점을 두며, 서정성이 두드러지는 양상을 보인다. 따라서 주정적 시조에 있어서는 그 문체미를 ‘收斂의 美’라고 보았다. I try to find out the beauty of Sijo by looking at Sijo in terms of style. As long as Sijo is an art of languages composed of letters, it shall be viewed in the perspective of style. So, in this paper, I try to find out the styles of the Sijo. Generally the style can be classified into two; substance and form. Therefore the beauty of style can be viewed from perspectives of substance and form. Here I would like to find out the beauty of Sijo by putting emphasis on the substantive perspective, particularly in the view of theme. What the author tries to express through Sijo is his/her core thinking which becomes the core contents of the Sijo. Accordingly, the classification of the works depending on the them is closely related to the original intention of the author. Here I grouped Sijo into educational Sijo and sentimental Sijo. The former Sijo aims to educate people by focusing on the problems of society and groups while the latter is to express individual’s personal sentiment or emotion, including Sijo expressing mainly the love between man and woman. I found out from the selection and review of the two types of Sijo that the educational Sijo was created by Confucian scholars who tried to educate people on the idea of Confucianism. As it put emphasis on the education of people, the author tries to expand his/her idea to people. So, I defined the style of educational Sijo as the “beauty of expansion”. On the other hand, for the sentimental Sijo, the author tried to put weight not on listener but speaker. It also focus less on the ruler’s ideology such as Confucianism’s idea but more on the individual’s personal sentiment or emotion. In addition, it takes the outside problems to the inside of the speaker, showing his/her emotional sentiment. According to those characteristics, I defined the main style of sentimental Sijo as the “beauty of convergence”.

      • 文體敎育에 대한 探索과 提案

        金鍾喆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11 국제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학술대회 Vol.2011 No.1

        The style-centered education is the foundation and flower of sentence-centered education. In terms of literary deed, understanding of a wide variety of style and genres are most essential for our understanding, reading and writing the sentences. The reasons are that its style and genre result in style critique at the stage of appreciation and criticism assessing aspects shown through literary figuration. Considering so much importance of style, I cannot stress enough how important style-centered education is. Then, how will we teach style in reality? First, we keep the accent upon setting up the concept of style. In fact, academic circles and researchers didn't settle down to this issue yet. Generally, it has been tacitly distinguished type of literature and style. In addition, distinction of type of literature and style is suitable for secondary education and applies favorably. Second, we are required to determine the criteria for classification on various types of literature written by Chinese character. We should arrange the variety literature types based on Chinese literature according to genres as soon as possible. At this point of over half a century when we have studied Chinese literature in this country, there's no way I can avoid the blame for no agreement was reached at the academic world. In terms of distinction of genres, it is true that frame of distinction is clear and applicable universally. However for now, we have not had the criteria of it, neither arrived at an arrangement with. Following is the genre of Chinese literature in independent provisions of a criminal code: Cifu(辭賦), Jammyeong (箴銘) and the words of praise which I used three elements of meter such as "a pitch of phoneme, a metrical foot and rhyming couplets" as writing mechanism. Three views of genre of literature type from Korean Chinese literature are suggested as follows; poetry, provisions of a criminal code and prose based on principle of literary works structure. In summary, this suggestion that we should use three elements of meter such as a pitch of phoneme, a metrical foot and rhyming couplets as writing device is the system of classification in connection with genre according to specific standards based on principle of literary works structure. Therefore, I suggest this can be applied to the educational arena and solved problem which Chinese literary such as Cifu(辭賦) and words of praise remains the single biggest obstacle to set up Chinese literary genre at the same time. In addition, I would use traditional Chinese literature terms, namely Mun(門)-Ryu (類)-Hyang(項)-Jamok(子目) in making the kinds of literature the classification in a step-by-step words. Using traditional words gives aid to solve genre concept ambiguity meanwhile; it is contributing to understand classification of the types of literature. Finally, style education which signified form of Chinese character and rhetoric suggests the types of literature as well as independent style concept. Beyond base of this concept, prose based on the above three genres are suggested characteristics focused on Byunryeamun style (騈儷文體) and archaism according to times and school. And if we articles of a criminal code show with a variety of writing aspects as Jammyeong (箴銘), words of praise and Cifu(辭賦) as adjusting level and difficulty according to school, class and subjects, it is easy to problem solve. 본 논문은 현행 한문 교육에서의 문체교육을 문제 삼으면서, 한문문체개념의 설정, 한문문류의 장르분류체계와 그 용어, 한문문체교육의 범위와 그 방향성 등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한문학에서 사용되는 문체라는 용어는 국내에서도 연구자에 따라 문체, 體類, 갈래, 양식, 형식등의 용어가 다양하게 쓰이고 있다. 이들의 논의에서 문체의 개념을 정리하여 보면 文類, 類別과 같은 갈래용어, 體式, 體裁와 같은 형식용어, 作風, 文風과 같은 風格용어, 풍격과 형식을 함께 의미하는 문체 등과 같은 용어들이 혼재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서구문학의 Genre와 Style의 개념이 동시에 적용되고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필자는 이러한 혼란을 피하기 위하여 최소한 중등 교육현장에서는 형식, 수사의 개념에는 文體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갈래를 나타내는 개념에는 文類를 사용하자고 제의하였다. 그리고 한문문류의 장르분류체계와 그 용어에 대하여서는, 平仄, 韻脚, 造句와 같은 율격의 3요소들을 주요 작문장치로 사용하는 辭賦, 箴銘, 頌贊 등과 같은 장르를 독립된 “律文”으로 분류하여, 한국한문학의 장르를 그 작품형성의 원리에 기초하여 시, 율문, 산문의 3대 장르로 분류할 것을 제안하는 동시에 문류를 분류하는 단계별 용어를 교육함에 있어서 門-類-項-子目과 같은 전통적인 문체분류 용어를 사용하자고 제안하였다. 끝으로 한문문체교육의 범위와 그 방향성에 있어서는 먼저 文類와 독립된 의미로서의 文體개념을 제시하고 그런 기반 위에서, 산문은 변문체와 고문체를 기준으로 시대와 학파에 따른 문체특징을 제시하고, 율문은 잠명, 송찬, 사부 등의 다양한 글쓰기 양상들을 학교급별, 과목별로 수준과 난이도를 조절하여 정리 제시하자고 제안 하였다.

      • KCI등재

        모옌 문체의 한국어 번역 방법 연구 -<붉은 수수밭>의 감각적 묘사를 중심으로

        송징양 한중인문학회 2021 한중인문학연구 Vol.72 No.-

        문학작품에 있어 문체는 작가의 개성을 나타내는 가장 중요한 요소이므로 번역하는 과정에 서 문체 장치를 간과하면 좋은 문학작품 번역이 될 수 없다. 이런 의미에서 본고는 모옌(莫言) 문체의 특징인 `감각적 묘사'의 한국어 번역 방법을 연구하는 데에 목적을 둔다. 모옌의 감각적 묘사는 가브리엘 가르시아 마르케스(Gabriel García Márquez)의 영향과 일본의 신감각파 작가 들, 그리고 윌리엄 포크너(William Faulkner)의 영향을 받아서 형성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는 <붉은 수수밭>에서 `환상적인 색채 표현의 사용'과 `낯선 감각적 표현의 사용'을 통해 전달되었 는데 구체적으로는 `색채 어휘', `규범을 일탈한 표현', `맥락을 일탈한 표현' 그리고 개성적인 `비유법', `의인법', `공감각' 등의 문체 장치를 통해서 표현되었다. 3가지 한국어 번역본에서는 문체 장치의 경우 직역(literal translation), 번안(adaptation), 변 조(modulation), 삭제(omission) 등의 방법이 사용되었다. 이러한 번역 방법들의 문체 효과 재현 양상을 구체적인 번역사례를 통해서 분석한 결과, 첫 번째는 모옌 문체인 감각적 묘사를 번역 하는 데에 있어 문체 효과를 충실하게 재현하는 것으로 가장 바람직한 번역 방법인 직역이었 고 그 다음 번역 방법은 변조이다. 문체가 가진 특성을 보존할 수 없을 경우에는 변조를 통해 원문의 의미를 최대한 보존하고 난 후에 해당 번역문 옆에 원문 문체 효과를 나타내는 문장을 첨가하는 방식으로 번역하는 것을 권장한다. 그러나 만약 직역이나 변조로 번역된 문장이 목 표언어 텍스트 맥락에서 어색하여 한국인 독자가 이해하기 어려운 경우 번안을 통해 독자들이 받아들이기 쉬운 서술 상황을 만들어 문장의 유창성과 가독성을 확보해야 한다. 하지만 문체는 문학 작품의 생명이기 때문에 번역과정에서 문체 장치 번역 부분을 삭제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In a literary work, style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to represent the personality of an author. On this regard, this paper aims to study the Korean translation methods of Narrative of Feelings in Moyan’s works. Moyan's Narrative of Feelings was formed under the influence of Gabriel García Márquez, Japanese New Sense writers, and William Faulkner. In <Red Sorghum Field>, Narrative of Feelings is presented through the ‘color vocabulary', ‘expression out of norm', ‘expression out of context', and the analogy, the anthropomorphism, and the synesthesia. Among the three Korean translations, translation methods such as literal translation, adaptation, modulation, and deletion were used to reflect stylistic elements. By analyzing the reproduction of stylistic effects by using various translation methods through specific translation cases, the analysis results show that the direct translation method is the most ideal translation strategy because it faithfully reproduces the stylistic effect from translating the perceptual description of Moyan’s style. The next recommended translation method is adaptation. If a form of a work, which is the specificity of the style, cannot be preserved by direct translation, an adoption strategy can be used to preserve the meaning of the original text. If sentences translated by direct translation and adaptation methods are awkward in the context of the entire work in the target language, and difficult for Korean readers to understand, modulation strategy may be adopted to preserve the fluency of the sentences. Since style is the lifeblood of a literary work, it is not advisable to delete the stylistic element, at least in literary translations.

      • KCI등재

        문체 번역의 가능성을 찾아서* - 게오르크 뷔히너의 「렌츠」 한국어 번역을 중심으로**

        이경진 한국독어독문학회 2024 獨逸文學 Vol.65 No.2

        본 논문은 문학 번역에서 문체 번역이 어떻게 가능하며 어떠한 방향에서 이루어져야 하는지 살펴보기 위해 게오르크 뷔히너의 노벨레 「렌츠」의 한국어 번역본 5종을 문체론적 관점에서 비교 · 분석한다. 「렌츠」는 문체적 독특성과 예술성으로 인해 많은 작가들과 연구자들의 찬탄을 받아 온 작품으로, 페터 하주벡의 문체론적 분석에 따르면, 동사생략법, 조응법, 이사일의와 접속사 첩용, 단어 고립과 열외화, 대조법 등 다채로운 문체 수단이 사용되어 독자는 정과 동이라는 양 극단을 오가는 주인공 렌츠의 심신상태를 미학적으로 체험하게 된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체론적 분석을 바탕으로 원문의 문체적 특징들이 한국어 번역본 5종에서 각각 어떻게 옮겨졌는지 비교해 보고, 한국어에서도 원문과 유사한 문체적 효과를 구현하는지를 살펴 보았다. 그 결과, 번역본 간에 상당한 차이를 발견할 수 있었으며, 또 많은 경우 문체 번역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아쉬움을 주었는데, 이는 한국어와 독일어의 언어상의 차이, 한국어의 문체적 관습과 가독성에 대한 고려, 그리고 무엇보다도 소설이라는 장르의 문체 번역에 대한 역자들의 관심 부족에서 기인했을 것으로 추측된다. 그러나 일부 번역에서 원문의 문체적 특징에 각별히 주의를 기울이고 문체 번역의 난관을 창의적으로 돌파한 고무적인 사례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우리는 문체 번역의 전망을 확인하게 되며, 문체 번역이 문학 번역에서 내용적 차원의 충실한 번역과 불가분의 관계에 있음을 재차 인식하게 된다. Ziel dieses Aufsatzes ist es, fünf koreanische Übersetzungen von G. Büchners Novelle Lenz unter dem stilistischen Aspekt zu vergleichen, um Überlegungen darüber anzustellen, inwieweit und auf welche Weise ein literarisches Werk stilistisch zu übersetzen ist. Bekanntlich ist Lenz ein Werk, das von vielen Schriftstellern und Kritikern für seinen innovativen Stil gepriesen wurde. Nach der stilistischen Analyse von Peter Hasubek bedient sich die Novelle einer Vielzahl von Stilmitteln wie Verbellipse, Anaphorik, Parataxe, Polysyndeton, Wortisolierung, Antithese usw., um die geistige und körperliche Zerrissenheit des Protagonisten zwischen zwei extremen Polen, Bewegung und Ruhe, ästhetisch zu vermitteln. Die vergleichende Analyse, wie diese Stilmerkmale in den fünf koreanischen Übersetzungen jeweils übertragen wurden, und ob sie im Koreanischen ähnliche stilistische Wirkungen erzielen wie im Original, zeigt, dass stilistische Übersetzung an vielen Stellen nicht gelingt. Die Gründe dafür liegen vermutlich in den kaum zu überbrückenden sprachlichen Unterschieden zwischen dem Koreanischen und dem Deutschen, in der Rücksichtnahme auf Stilkonventionen und Lesbarkeit im Koreanischen und nicht selten auch im mangelnden Interesse der Übersetzer an stilistischer Übersetzung der Prosagattung. An einigen Stellen ist jedoch zu erkennen, dass den stilistischen Eigenheiten des Originals besondere Aufmerksamkeit geschenkt wurde und die Schwierigkeiten der stilistischen Übersetzung auf innovative Weise überwunden wurden. Dies eröffnet uns die Aussicht auf eine gelungene stilistische Übersetzung und bestätigt uns erneut, dass diese untrennbar mit der inhaltstreuen verbunden is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