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현전 <향병일기>의 선본확정과 그 편찬의 경위 및 시기

        신해진 ( Hee Jin Shin )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14 嶺南學 Vol.0 No.25

        본고는 현전 <향병일기(鄕兵日記)>의 선본 및 편찬의 경위와 시기를 살펴보고, <향병일기>에 대한 재고의 필요성을 제기한 것이다. 현전 <향병일기>는 근시재 김해(金垓)가 직접 쓴 일기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향병일기>는김해가 죽은 지 115년이 지난 1708년에 이르러서야 김해의 증손자가 편차한 《근시재선생문집》을 통해 그 존재가 드러난다. 존재를 부인할 수는 없지만 석연찮은 부분이 있는 것은 사실이다. 현전 <향병일기>의 이본은 모두 4종이 있다. 이 중에 선본 파악을 위해필요한 이본은 안동문화연구소가 공개한 영인본과 국사편찬위원회 마이크로필름 자료이다. 이 두 이본을 비교해보면 후자가 <향병일기>의 선본(善本)과선본(先本)임을 알 수 있다. 우선 두 이본의 공통부분을 보면, 분명하게 <향병일기>는 당시의 서기가 기록했다는 것이 나타나 있다. 이를 통해, 저자는 김해가 아님이 명백하다. 그리고 국사편찬위원회 마이크로필름 자료는 안동문화연구소의 영인본과 달리 누락하지 않고 원래 있었던 기록이 있는데, 여기에는 문제의 소지가 다분한 기록, 즉 편찬 시기를 1911년 이후로 추론할 수 있는 기록이 있다. 편찬시기를 추론할 수 있는 이유는 《연려실기술》(1911년 간행)에서 나오는 기록이 있기 때문이다. 또한 부전지의 탈초를 통해서는 정확한 편찬시기도 알수 있다. 김해의 생년월일을 밝히면서 ‘지금으로부터 361년 전’이라는 기록이 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향병일기>의 편찬 시기는 1914년인 셈이다. 이처럼, 현전 <향병일기>의 편찬 경위와 그 시기를 추정하는 데에 있어서안동문화연구소 영인본의 일부 누락은 의도 개입의 여부와 상관없이 심각한문제를 야기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향병일기>의 저자인 ‘당시의 서기’를 규명하여야 역사적 사실에 대한 신빙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This paper sought to examine the best version of the extant <Hyangbyeong Ilgi(鄕兵日記)> and the circumstances to the compilation thereof, and to present the necessity for reconsidering <Hyangbyeong Ilgi>. <Hyangbyeong Ilgi> is known to have been written by Kim Hae(金垓) with the pen name of Geunsijae(近始齋). But <Hyangbyeong Ilgi> was made to be known to the world through 《Geunsijaeseonsaengmunjip(近始齋先生文集, Collection of Kim Hae``s Writings)》 written by his great-grandson in 1708, 115 years after Kim Hae died, although the diary has yet to be verified. There are four extant versions of <Hyangbyeong Ilgi>. Of them, there are two copies of the diary necessary for the identification of the best version thereof, namely, the photocopy version disclosed by Andong Culture Research Institute, and the microfilm version of Korean History Compilation Committee. These two transcripts were compared, revealing that the latter is the best and earlier version of <Hyangbyeong Ilgi>. Judging from the two transcripts, it is clear that <Hyangbyeong Ilgi> was written by the then scribe. This suggests that the author is not Kim Hae. And, the said microfilm version, unlike the said photocopy version, shows the full text without omissions, but contains contents whose compilation time is presumed as after 1911. Compilation time can be presumed because 《Yeollyeosilgisul(練藜室記述)》(published in 1911) contained the description of the diary. The tag attached to the diary enables the knowledge of the exact compilation time, because it revealed Kim Hae``s date of birth, mentioning "361 years ago before now." This means that the compilation time of <Hyangbyeong Ilgi> is 1914. As such, In estimating the circumstances to the compilation of extant <Hyangbyeong Ilgi>, and its time, the said photocopy version has missed some part of the diary, triggering serious problems, regardless of whether such deletion was purposely done. Thus, the historical verification of <Hyangbyeong Ilgi> can be furthered only by identifying the author of <Hyangbyeong Ilgi>, namely, the then scribe.

      • KCI등재

        일제강점기 문집편찬과 대구・경북지역의 상황

        황위주(Hwang, Wee Zoo) 대동한문학회 2016 大東漢文學 Vol.49 No.-

        본고는 일제강점기 문집 편찬의 전국적 상황을 개괄한 다음, 특히 대구・ 경북지역의 실상과 특징을 보다 자세히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전국적 상황을 살펴본 결과, 한문시대가 끝난 것으로 간주해온 1900년 이후 오히려 이전보다 많은 문집이 간행된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간행 주체는 대부분 서당에서 공부한 위정척사 계열의 학자들이었고, 간행 대상은 신라부터 일제강점 당대에 이르기까지 유명한 인물의 문집을 두루 망라하였다. 그리고 이전에 간행한 것을 중간하기도 하고, 미처 간행하지 못한 것을 신간하기도 하는 등 다른 어떤 시대보다 활발한 간행양상을 보였다. 대구・경북지역의 경우, 위정척사 계열의 학자가 다른 어떤 지역보다 많았다. 그래서 이들 또한 문집 간행에 적극 나섰다. 시기적으로는 신라부터 한말까지를 두루 포괄 하였고, 인물형에 있어서도 관료 학자 문장가 등을 가리지 않았다. 그리고 문집 편찬을 주도한 인물은 자신이 곧 문집을 남긴 주인공이기도 하였다.그래서 이들이 남긴 문집을 별도로 검토해본 결과 몇 가지 흥미로운 점이 있었다. 지역별로는 유명 학자의 근거지였던 안동 봉화 칠곡 성주 영천 지역 문집이 특히 많았고, 간행 시기는 광복 이전보다 이후가 오히려 일반적 이었으며, 간행형태는 소규모 석인본의 비중이 높았다. 수록 내용에 있어서도 表箋 狀啓 對策 등 몇 가지 문체는 완전히 사라졌고, 관습적인 시문과 편지의 비중이 높아졌으며, 새로운 시대상을 반영한 글이 추가되기도 하였 다. 이런 사실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일제강점기를 한문시대가 끝난 것으로 간주하는 관점은 수정할 필요가 있을 듯하였다. 간행한 문집의 총량, 간행 대상으로 삼은 인물의 비중, 문집의 형태와 내용상의 변화 등 여러 면에서 독자적인 가치가 충분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일제강점기는 국문과 한문의 역할이 근본적으로 바뀌어가는 과도기로 보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되며, 이런 관점에서 양자의 서로 다른 역할과 상호작용을 함께 주목할 필요가 있을 듯하다. This study examines the nationwide literary collection compilation situation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rule of Korea, and takes a close look at the situations and characteristics of Daegu and Gyeongbuk region in this regard. The examination of nationwide situations found that, after the 1900s, when the Chinese classics era presumably ended, rather than before, more literary collections were published. They were mostly published by scholars of the Wijeongcheoksa (Pro-Neo-Confucianism Movement) who studied Chinese classics at Seodang schools. Publications covered a wide range of literary collections by famous figures from Silla to the Japanese colonial rule. And, some previous publications were republished, and others were newly published, all suggesting active publication activities. The Daegu and Gyeongbuk region had more Wijeongcheoksa scholars than other regions. They thus were positive in publishing literary collections. The publication of literary collections widely covered Silla to the time of Japanese colonial rule, and covered diverse figures from government officers to scholars to writers. Those who led the compilation of literary collections were those who authored the literary collections. The examination of such literary collections revealed a few interesting things.By region, there were many literary collections which were produced in Andong, Bonghwa, etc. which were home to many famous scholars, and by publication time, more publications were made after the liberation of Korea than before it. Publication pattern was that the rate of small-scale lithographic printing versions was high. Of recorded contents, certain writing styles of the previous times completely disappeared, the rate of customary poems and letters was high, and writings of new times were added, indicating many changes. Putting together all this, the viewpoint that the Chinese classic era ended by the time of Japanese colonial rule needs to be revised. The transit time when the roles of Korean language and classic Chinese literature fundamentally changed should be set up to pay attention to the interaction thereof.

      • KCI등재

        미암(眉巖) 유희춘(柳希春) 문학 작품의 교육적 활용 방안

        김미선 한국시가문화학회 2020 한국시가문화연구 Vol.0 No.46

        This paper examines measures for the utilization of literary works by Yu Hui-chun in classes for students majoring in Korean Literature and Korean Language education. First, Chapter 2 presents a summary of four educational implications of literary works by Yu Hui-chun. First, a manuscript of the diary Miamilgi and a literary Collection Miamjip have been handed down to present day. Second, recorded in his diary are the daily life of his wife Song Deok-bong and literary works. Third, his literary collection contains several works written during his exile. Fourth, there are many data about works by Yu Hui-chun that have today been translated and reprocessed, making them easy to use and read. Further, Chapter 3 presents an exploration of educational utilization measures for works by Yu Hui-chun, using cases of Chonnam National University. First, in classical Chinese education, measures for using diaries were offered. If classical Chinese is taught using the easier-type diary Miamilgi, students will be more accessible to the learning. In addition, not only will this allow students to learn Chinese characters through classes, but if student learn knowledge - albeit brief - related to classical literature such as writers like Yu Hui-chun and Song Deok-bong, diary literature like Miamilgi, and relations between diaries and literary collections, it will help them to later take class in their specialities on classical literature. Second, in education on classical Chinese poems related to the then life of Yu Hui-chun, measures for the utilization of his works were offered. When educating about poems written during his exile, situations of being released from exile, his life in the place of exile, etc. can be taught together. In addition, through his works, his and his wife's poems can be read, which makes it possible to take a look at husband-wife interaction poems in Joseon. Third, in education about the background knowledge of compilation of literary collections, measures for utilizing the works were offered. Can be explained to students how the content of manuscript of Miamilgi could be extracted, summarized and recorded in Miamjip, as how poetic works of his wife Song Deok-bong could be handed down in Miamilgi, and be compiled and published today. In addition, from the episode that his maternal grandfather Choi Bu and his wife Song Deok-bong contributed greatly to the compilation of the literary collection, major writers of classical literature can be more learned. 본 논문에서는 국어국문학·국어교육 전공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대학교 수업에서의 유희춘 문학 작품 활용 방안을 살펴보았다. 먼저 2장에서는 유희춘 문학 작품의 교육자료로서의 의미를 4가지로 정리하였다. 첫째, 필사본 『미암일기』와 문집 『미암집』이 함께 전하고 있다는 점, 둘째, 일기에 아내 송덕봉의 일상과 문학 작품이 기록되어 있다는 점, 셋째, 문집에 유배시기 문학 작품이 다수 실려 있다는 점, 넷째, 유희춘 문학 작품이 현대에 번역 및 재가공 되어 손쉽게 활용 가능한 자료가 많다는 점이 그것이다. 다음으로 3장에서는 유희춘 문학 작품의 교육적 활용 방안을 전남대학교 사례를 바탕으로 모색해 보았다. 첫째, 한문 교육에서의 일기 활용 방안을 제시하였다. 비교적 쉬운 일기의 특성상 『미암일기』를 활용하여 한문을 가르친다면, 학생들에게도 덜 두렵게 다가갈 수가 있다. 또 한문 수업을 통해 한자를 익힐 뿐만 아니라 유희춘·송덕봉과 같은 작가, 『미암일기』라는 일기문학, 일기와 문집의 관계 등 고전문학 관련 지식을 간략하게나마 배우게 된다면, 추후 고전문학 관련 전공 수업을 듣는 데에 도움이 될 것이다. 둘째, 당대 삶과 연계한 한시 교육에서의 활용 방안을 제시하였다. 유희춘의 유배시를 교육하면서 유배 중간에 이배되는 상황, 유배지에서의 삶 등을 함께 연계하여 가르칠 수 있다. 또 유희춘 문학 작품을 통해 부부의 시를 함께 볼 수 있어, 이를 활용하여 조선시대 부부가 서로에게 시를 지어주고 화답시를 짓는 면모를 교육할 수가 있다. 셋째, 문집 편찬 관련 배경지식 교육에서의 활용 방안을 제시하였다. 필사본 『미암일기』의 내용이 발췌·요약되어 문집 『미암집』 안에 수록되는 과정, 아내 송덕봉의 시문이 『미암일기』 속에 전해져 현대에 문집이 편찬·간행될 수 있었던 것 등을 학생들에게 설명할 수 있다. 또 외조부인 최부, 아내인 송덕봉의 문집 편찬에 크게 기여한 유희춘의 일화를 보며, 고전문학 주요 작가도 더 알아갈 수 있을 것이다.

      • 17세기, 栗谷 李珥 文集의 편찬에 관한 제 논의 고찰

        박관규 한국사립대학교 도서관협의회 2008 사대도협회지 Vol.9 No.-

        본 연구는 율곡의 문집이 간행되기까지 여러 복잡한 논의 가운데에서도 가장 논의가 활발했던 17세기에 주목하여 율곡의 문집 간행을 둘러싼 제반 논의를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율곡의 저서가 간행되기까지 과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고자 가장 논의가 활발했던 17세기에 한정하여 고찰해 보았다. 우계에 의해 율곡의 문집을 엮자는 논의가 제기된 후,원집의 편찬과 그에 대한 불만,남계가 엮은 속집,외집,별집,연보에 대한 제 논의를 고찰해 보았다. 그 결과 별집의 경우는「太極問答」이 율곡의 저작인가 하는 문제,「魯西記聞」의 내용 문제,율곡의 入山 문제 등 당시 서인계 학인 그룹에서 활발하게 그 진위와 첨입 여부가 논의된 것이 주로 거론되었다. 율곡의 연보에 있어서는 애초에 작성되었던 연보의 한계에 대한 논의,그리고 그 한계를 극복하려 했던 정밀한 논의들을 구체적으로 살펴볼 수 있었다.

      • KCI등재
      • KCI등재

        국중본 『梅山集』 중 詩賦類의 구성 및 편찬 과정에 대한 연구

        이형유 한국서지학회 2019 서지학연구 Vol.79 No.-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omposition and compilation process of poetry at the Hong Jik-pil (洪直弼)’s manuscript collection Maesanjip(梅山集) (total vol.224) in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There are 3,017 poems in vol.1∼12․115․128․139․140․212․213․215∼217, 2,991 poems from vol.1∼12, and 26 poems from the remaining books. The poetry in the final wooden print is 958 poems including duplicates and 438 poems without duplicates, and the poetry only in manuscript is 2,059 poems including duplicates and 1,448 poems without duplicates. The 79 poems of tot.517 poems in printed wooden type book (木活字本) are not in the manuscript, and it indicates that many proofs are missing from the manuscript. And then analysis of poetry’s compilation through duplicated poems showed that vol.8→3, vol.4→9→10, vol.5→9→11, vol.7→6→10. 본 연구는 국립중앙도서관 소장 필사본 『梅山集』(이하 국중본)에 수록된 詩賦類의 구성과 편찬 과정을 규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국중본 시부류는 전체 3,017題4,455首(중복 제외 시 1,886題2,675首)가 제1∼12․115․128․139․140․212․213․215∼217책 중 제1∼12책에 2,991題4,390首(99%이상)가, 나머지 책에 26題65首가 수록되었다. 국중본 내 刊本에 수록된 작품은 중복 포함 958題1,464首, 중복 제외 438題559首이며, 국중본에만 수록된 작품은 중복 포함 2,059題2,990首, 중복 제외 1,448題2,116首였다. 이를 통하여 국중본 내 간본에 수록된 작품의 중복율(54.2%)이 국중본에만 수록된 작품의 중복율(29.7%)에 비하여 약 2배 정도 높은 점을 통하여 간본에 수록될 작품에 한하여 편찬자들이 더욱 공을 들여 교정과 검토를 진행했던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간본 시부류 전체 작품 517題 중 79題(15.3%)가 국중본에 누락된 것을 통해 상당량의 교정 원고가 누락되었음을 확인하였다. 국중본 시부류의 편찬 과정을 중복작품을 통하여 알아보면, 크게 제8→3책, 제4→9→10책, 제5→9→11책, 제7→ 6→10책 순으로 진행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정리하면 제4∼7․9책에서 작품에 대한 산삭과 수정이 계속된 후 국중본 내에서는 최종본이라 할 수 있는 원고가 제10․11책에 수록된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제1․2책’은 중복이 없으며 ‘제3․8책’은 서로 중복이었고, 제12책은 제3∼11책에 일부 중복되긴 하나 초․중기 교정원고가 섞여있는 점으로 통해 국중본을 장책할 당시 정리 후 남겨진 시의 교정 원고를 모은 책으로 보인다.

      • KCI등재
      • KCI등재

        修堂 李南珪의 학문적 지향과 비판의식

        함영대 동방한문학회 2022 東方漢文學 Vol.- No.92

        Sudang Lee Nam-gyu mastered his basic studies in sadistic tradition and passed ‘Gwageo(科擧) (the state examination)’ early in his 20’s and had a journey as a servant, too. But after his retirement, he completed all his academic duties through correspondence and self-culture. Particularly, his final task to revise Seongho School’s collections of works seems to be one of the most crucial academic achievements he did make. In his studies, he showed aspects as a moderate scholar following Chu His or Toegye(退溪)’s academic attitudes. Instead of investigation over academic theories, he strived to practice ‘sado(斯道)’ through ‘gunghaeng(躬行)’. But in his delicate analysis found in ‘Yehak(禮學)’, we should carefully examine the fact that he did not just agree on existing theories adhesively but accepted them as a result of his critical introspection. His trustworthy and dignified attitude found in the process of revising the collections of works lets us know his aspects as a scholar well digesting Yeongnam’s Toegye-hak and Guengi(京畿)’s Seongho-hak(星湖學). His sincerity and appropriateness shown in his effort to publish Seonghojip(星湖集) and Hanjujip(寒洲集) and also solemn attitude about anti-heathenism allow us to realize he had aspects not only as an intelligible patriot but as a reliable scholar equipped with great competencies. We can agree on the prevalence opinion about Sudang’s academic line that lies in the origin leading from Toegye, Seongho, and Sunam(順菴) up to Seongjae(性齋). But Sudang’s stock of academic knowledge is generally known to have been attributed to his own effort. It should have been resulted from his thorough critical consciousness as well as definite attitude about issues. 수당 이남규는 가학적 전통에서 기본적인 학업을 익힌 이후 20대에 일찍 과거에 급제한 까닭에 사환의 여정이 있었지만 은거한 이후로는 서신교환과 自修를 통해 자신에게 맡겨진 학문적 책임을 다했다. 특히 성호학파 일원들의 문집을 최종적으로 교정한 것은 그의 손끝에서 이루어진 중요한 학문적 업적이라고 판단된다. 그는 학문을 함에 있어서 주자와 퇴계의 학문적 태도를 따르는 온건한 학자로서의 면모를 보여주었는데 학리적인 이론의 천착보다는 궁행실천을 통한 斯道의 부지를 위해 애썼다. 하지만 예학에서 보여준 정미한 분석은 그가 기존의 학설에 대해 묵수적인 동의가 아닌 비판적인 성찰의 결과로 수용한 점을 주의깊게 볼 필요가 있다. 문집의 교정과정에서 보여준 착실하고 근엄한 태도는 영남의 퇴계학과 근기의 성호학을 잘 소화한 학자의 풍모를 보여준다. 성호집 과 한주집 의 간행에서 보여준 성의와 온당함, 벽이단에 대한 중후한 태도는 그가 투철한 애국지사로서의 면모뿐만이 아니라 건실한 학자로서도 매우 역량있는 수준을 보여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수당의 학맥은 대개 퇴계에서 성호, 순암을 거쳐 성재에 이르는 연원에 있다. 하지만 수당의 학문적 온축은 대체로 스스로의 노력에 의한 것으로 파악되는데 그것은 투철한 비판의식과 사안에 대한 명확한 태도 및 자세에서 견인된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