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아의 내재화, 외현화 문제행동과 자아탄력성, 놀이성, 언어능력 간의 관계 분석

        박영숙(Yeong Suk Park),이영진(Young Jin Lee),이민경(Min Kyung Lee),김혜경(Hye Kyung Kim)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2017 한국교육문제연구 Vol.35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들의 내재화, 외현화 문제행동과 자아탄력성, 놀이성, 언어능력 간의 관계를 분석하고 유아의 내재화, 외현화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변인을 밝히는 데 있다. 연구대상은 유아교육기관 만 4세반에 재원 중인 유아 166명으로, 평균 월령은 65.90이었다. K-BASC-2에서 내재화, 외현화 문제행동 검사도구, 유아의 자아탄력성 검사도구(DECA), 유아의 놀이성 척도(CPS), 유아의 언어 능력 검사도구(REVT)를 사용하여 연구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Pearson 적률 상관분석과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의 내재화 문제행동과 외현화 문제행동 둘 다 자아탄력성과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내재화 문제행동과 놀이성은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하위요인 중 사회적 자발성, 즐거움의 표현, 유머와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현화 문제행동과 놀이성은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하위요인 중 신체적 자발성은 정적 상관관계, 사회적 자발성과 즐거움의 표현은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의 내재화 문제행동과 언어능력은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하위요인 중 수용언어와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표현언어와는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외현화 문제행동과 언어능력은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종속변인의 하위요인 간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보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내재화 문제행동은 자기통제력과 수용언어, 즐거움의 표현이 유의미한 예측변인으로 나타났으며, 외현화 문제행동은 자기통제력과 사회적 자발성이 유의미한 예측변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가 가진 문제행동의 특성에 따라 유아에게 영향을 미치는 변인이 달라짐을 보여주고 있으며, 유아의 문제행동에 따라 다른 측면에서의 도움을 제공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children's problem behavior, ego-resilience, playfulness, and language ability. The subjects used in this study were 166 children(mean age : 65.90 months) who attended 6 preschools and kindergartens. BASC, DECA, CPS, REVT were used for data collection.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children's problem behavior and their ego-resilience. Second, there were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children's internalizing problem behavior and playfulness. Third,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children's internalizing problem behavior and their receptive language ability. Fourth, it was revealed that children’s self-control ability was found as the most meaningful predictive variable that affects problem behavior. In addition, children‘s receptive language ability and enjoyment were found as predictive variables that affects internalizing problem behavior. Finally, children‘s social spontaneity was found to be a predictive variable that affects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

      • KCI등재

        학교급과 성별에 따른 아동과 청소년 정서행동문제의 정도 및 임상위험 차이

        백승영 ( Seung Young Baek ),이승희 ( Seung Hee Lee )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구 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2014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0 No.2

        본 연구는 학령기 학생들의 정서행동문제(내재화문제, 외현화문제, 총행동문제) 정도와 임상위험이 학교급(초등학교 저학년, 초등학교 고학년, 중학교, 고등학교)과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90명,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 90명, 중학생 105명, 고등학생 60명을 대상으로 부모용설문지를 배부한 결과 총 264부(회수율 76.5%)가 회수되어 분석자료로 사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는 연구문제별로 다음과 같다. 첫째, 학령기 학생들의 정서행동문제(내재화문제, 외현화문제, 총행동문제) 정도가 학교급과 성별에 따라차이가 있는지 알아본 결과 내재화문제, 외현화문제, 총행동문제 모두에서 학교급에 따른 차이가 있었다. 그러나 내재화문제, 외현화문제, 총행동문제 모두에서 성별에 따른 차이와 학교급과 성별간 상호작용은 없었다. 둘째, 학령기 학생들의 정서행동문제(내재화문제, 외현화문제, 총행동문제) 임상위험이 학교급과 성별에 따라차이가 있는지 알아본 결과 내재화문제와 총행동문제에서는 학교급에 따른 차이가 나타났으나 외현화문제에서는 학교급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내재화문제, 외현화문제, 총행동문제 모두에서도 성별에 따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와 같은 결과는 선행연구와 연계하여 논의되었으며 향후 관련연구를 위한 몇 가지 제언이 제시되었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differences in the degree and clinical risk of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internalizing problems, externalizing problems, and total problem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according to school levels(low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upp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middle school, high school) and gender. To do this, parents of 345 students(90 lower graders of elementary school, 90 upper graders of elementary school, 105 middle schoolers, 60 high schoolers) were asked to complete a questionnaire including K-CBCL. Two hundred sixty-four questionnaires were returned(return rate: 76.5%) and were used for data analyses. The data analyses revealed the following results: (a)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degree of internalizing problems, externalizing problems, and total problems according to school levels; however, there were neither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gender nor significant interactions between school levels and gender in the degree of internalizing problems, externalizing problems, and total problems. (b)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linical risk of internalizing problems and total problems according to school levels but not in the clinical risk of externalizing problems; furthermore,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linical risk of internalizing problems, externalizing problems, and total problems according to gender. The results were discussed and several suggestions were presented for future related research.

      • KCI등재

        어린이집 교사의 문제행동지도 효능감과 셀프리더십이 문제행동 관리능력에 미치는 영향

        전윤숙 한국보육학회 2019 한국보육학회지 Vol.19 No.4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eacher’s problem behavior guidance efficacy and self-leadership on problem behavior management ability. Methods: Participants were 194 day care center teachers. The questionnaire was conducted on the questionnaire about behavioral efficacy, self-leadership, and problem behavioral management. The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was conducted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 results are as follow. First, the influence of the two independent variables on the overall problem behavior management ability of the day care center was different. Problem behavior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effect on self-efficacy, but self-leadership had a significant effect. Second, the influence of the two variables differed according to sub-factors of problem behavior management ability. In other words, the effect of problem behavioral efficacy and self-leadership were different in the ability of problem behavior type recognition, problem behavior cause recognition, and problem behavior guidance strategy. Self-leadership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all three subfactors, but problem behavior guidance efficacy differed according to subfactors. There was no significant influence on problem behavior type recognition ability, and significant influence on problem behavior cause recognition and problem behavior guidance strategy. However, it was found to have a negative influence on the recognition of the cause of problem behavior and a positive influence on the problem behavior guidance strategy. Conclusion/Implications: After all, self-leadership had a positive influence on all dependent variables, but the problem behavioral efficacy had a difference in the presence or direction of influence depending on the subfactors of the dependent variables. 본 연구는 어린이집 교사의 문제행동지도 효능감과 셀프리더십이 문제행동 관리능력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참여 대상은 어린이집 교사 194명 이었다. 이들에게는 문제행동지도 효능감(김민숙, 2010), 셀프리더십(김민정, 2007), 문제행동 관리능력 설문지(양수영, 2014)가 실시되었으며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중다회귀분석을 통해 이루어졌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린이집 교사의 문제행동 관리능력 전체에 미치는 두 독립변인의 영향력은 차이가 있었다. 문제행동지도 효능감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셀프리더십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문제행동 관리능력 하위 요인에 따라 두 변인이 미치는 영향력은 차이가 있었다. 즉, 문제행동 관리능력의 하위 요인인 문제행동 유형인식 능력과, 문제행동 원인인식능력, 그리고 문제행동 지도전략 사용능력에 있어 문제행동 효능감과 셀프리더십이 미치는 영향력이 각각 다르게 나타났다. 셀프리더십은 세 가지 하위 요인 모두에 유의미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문제행동지도 효능감은 하위요인에 따라 다른 결과가 나타났다. 문제행동 유형인식 능력에는 유의미한 영향력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문제행동 원인인식과 문제행동 지도전략에는 유의미한 영향력이 나타났다. 그러나 문제행동 원인인식에는 부정적인 영향력을 보였으며, 문제행동 지도전략에는 긍정적인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셀프리더십은 모든 종속변인에 긍정적인 유의미한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문제행동지도 효능감은 종속변인의 하위 요인에 따라 영향력의 유무와 방향성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후보

        청소년문제행동과 보호환경의 관계에 대한 문제행동통제의 매개효과

        김진호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2010 미래청소년학회지 Vol.7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the related variables of adolescent's problem behavior. A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presented to describe the hypothetical causal relationships among situational factors, problem-control behavior, and their levels of problem behavior. In the model, problem-control behavior was assumed as a variable, which mediates the effects of situational factors on the levels of problem behavior. 10,850 youth were asked to respond the questionnaires which was conceived to obtain the measures of five latent variables(protective factors of family, protective factors of school, perceptions of dangers in community, problem-control behavior, adolescent's problem behavior). After screening the data, 7,374 responses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for this study. Lisrel 8.30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 First, problem-control behavior had negative effects on adolescent's problem behavior. Second, problem-control behavior was affected by protective factors of family, protective factors of school, and perceptions of dangers in community. Third, adolescent's problem behavior was affected directly by protective factors of family, protective factors of school, and perceptions of dangers in community. Fourth, indirect effects of situational factors were mediated by problem-control behavior of adolescent. It shows that problem-control behavior mediate the effects of situational factors(protective factors of family, protective factors of school, and perceptions of dangers) on adolescent's problem behavior. All this findings were discussed for youth workers and researches. 본 연구는 청소년의 문제행동 통제를 청소년의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수로 가정하고, 그것이 어떠한 환경적 특성변수에 의해 결정되는지를 확인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선행연구에 기초하여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문제행동과 환경적 특성변수로서 가정환경, 학교생활환경, 지역사회 위험인지를 가정하였다. 그리고 청소년의 문제행동 통제를 환경적 특성변수가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매개변수로 가정하고, 이들 변수들이 청소년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을 구조방정식 모형에 적용하여 검증하였다.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총 10,85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한국청소년지표조사Ⅴ-안전(보호)지표』의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회수된 9,727매의 설문지 중 분석에 적합하지 않은 2,353매를 제외한 7,374매가 분석에 활용되었다. 자료는 Lisrel 8.30을 통해 분석되었다. 조사를 통해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문제행동 통제는 문제행동에 부적인 직접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의 긍정적인 환경적 특성변인은 청소년의 문제행동 통제에 정적인 직접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청소년의 긍정적인 환경적 특성변인은 청소년의 문제행동에 부적인 직접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청소년의 환경적 특성변인이 문제행동 통제를 매개로 하여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한 결과, 긍정적인 가정환경과 긍정적인 학교환경, 그리고 지역사회의 위험인지는 문제행동 통제를 매개로 하여 유의한 간접효과를 가졌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결과들이 갖는 시사점이 논의되었다.

      • KCI등재

        초기 부적응 도식과 문제해결능력이 청소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정다혜,박중규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2017 인지행동치료 Vol.1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초기 부적응 도식과 문제해결능력이 심리․사회적 문제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데 있다. 이에 대구․경북의 중학생 636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제집단과 일반 집단으로 연구대상을 구분하여 일원변량분석 한 결과, 두 가지 문제 집단은 일반 집단에 비해 문제행동, 모든 부적응 도식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문제해결능력은 부정적 문제지향, 문제회피 스타일이 일반 집단에 비해 두 문제 집단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충동/부주의 스타일은 일반 집단에 비해 외현화 문제 집단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둘째, 청소년의 내재화 문제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부적응 도식은 취약성, 외로움/불신/학대, 결함이었으며, 문제해결능력은 부정적 문제지향, 문제회피 스타일로 나타났다. 외현화 문제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부적응 도식은 취약성, 융합이었으며, 문제해결능력은 충동/부주의 스타일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취약성 도식에 따라 문제해결능력을 매개변인으로 대입하여 검증해 본 결과, 내재화 문제행동은 부정적 문제지향이, 외현화 문제행동은 충동/부주의 스타일이 유의하게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본 연구에서의 시사점 및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ternalized-externalized problem behaviors in adolescents depending on early maladaptive schemas and problem-solving ability. For this purpose,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636 students from middle school in Daegu, North Gyeongsang-do, an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self‐reporting survey. Results of this study, First. as a result of analysis of variance between internalized-externalized problem group and normal group, each problem group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internalized -externalized problem behavior, all of the maladaptive schemas compared to normal group. Each problem group showed higher negative problem orientation and higher avoidance coping style out of the problem solving abilities compared to normal group. Externalized problem group showed higher impulsive․careless style compared to normal group. Second, maladaptive schemas tha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adolescents’ internalized problem behavior were loneliness, mistrust, abuse, vulnerability, and defectiveness schema. Problem-solving abilities tha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adolescents’ internalized problem were negative problem orientation, avoidance coping style. On the other hand, maladaptive schemas tha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adolescents’ externalized problem behavior were vulnerability and enmeshment schema. The problem-solving ability was impulsive․careless style. Third, negative problem orientation of problem-solving ability partially mediate between vulnerability schemas and internalized problem behaviors, impulsive․careless style of problem solving ability partially mediate between vulnerability scheams and externalized problem behaviors. In conclusion, limitations and suggestion for future study suggested.

      • KCI등재

        유아의 행동문제에 대한 유아의 기질과 교사-유아관계의 영향

        김선희 한국유아교육학회 2009 유아교육연구 Vol.29 No.5

        본 연구는 유아의 기질이 유아의 행동문제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지 알아보고, 교사-유아관계가 유아의 행동문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며, 유아의 행동문제에 대한 유아의 기질의 영향이 교사-유아관계에 따라 달라지는지 확인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연구대상은 경남지역에 소재한 어린이집 20곳에 재원중인 만 4와 만 5세 유아 188명과 유아의 어머니 188명, 그리고 유아의 담임교사 44명이다. 연구결과 유아의 활동성 수준이 높고 긍정적 정서 수준이 낮으면 유아의 불안․공포감 행동문제와 주의산만성 행동문제 수준은 높아지며, 유아의 활동성 수준이 높고 적응성 수준이 높으면 유아의 적대감․공격성 행동문제 수준은 높아졌다. 교사-유아관계가 갈등적일수록 유아의 불안․공포감 행동문제, 주의산만성 행동문제 및 적대감․공격성 행동문제 수준이 높아지며, 교사-유아관계가 친밀하지 않을수록 주의산만성 행동문제 및 적대감․공격성 행동문제 수준은 높아졌다. 또한 유아의 행동문제(불안․공포감 행동문제와 적대감․공격성 행동문제)에 대한 유아의 기질(활동성과 적응성)의 영향은 낮은 갈등 수준과 높은 친밀감 수준으로 특징지어지는 긍정적인 교사-유아관계에 의해 완화되었으며, 높은 갈등수준과 낮은 친밀감 수준으로 특징지어지는 부정적인 교사-유아관계에 의해 강화되었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that temperament and teacher-child relationships have on young children’s behavior problems and further, explores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temperament and teacher-child relationships on young children’s behavior problems. One hundred and eighty eight young children, 4 and 5 years of age , their mothers, and forty-four classroom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results of this investigation reveal the following: 1. Activity and emotionality temperament significantly affect anxious-fearful and hyperactive-distractive behavior problems. Activity and adaptability temperament significantly affect hostile-aggressive behavior problems. 2. Conflict in teacher-child relationships significantly affects all of the young children’s behavior problems noted above and Intimacy in teacher-child relationships significantly affects hyperactive-distractive and hostile-aggressive behavior problems. 3. Effects of temperament (activity and adaptability) on young children’s behavior problems (anxious-fearful and hostile-aggressive behavior problems) are significantly moderated by positive teacher-child relationships and increased by negative teacher-child relationships.

      • 유아기와 초등 저학년의 문제행동 : 연령과 성별에 따른 차이

        김영아(Kim, young Ah) 한국포괄영유아아동교육지원학회 2019 포괄영유아,아동교육지원연구 Vol.7 No.2

        본 연구는 육아정책연구소의 한국아동패널 5차~10차(9차 제외) 자료를 이용하여 유아기와 초등 저학년의 문제행동의 변화과정과 성별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한국아동패널은 2008년 출생한 영아들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1차년도 조사를 시작으로 매년마다 해당 대상자들에 대한 추적조사를 실시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분석한 대상자들은 아동패널에 참여한 대상자들 중에 2012년부터 2014년까지 유아행동평가척도(CBCL 1.5-5)에 참여한 만4세 1,694명, 만5세 1,651명, 만6세 1,605명과 2015년과 2017년에 아동‧청소년 행동평가척도(CBCL 6-18) 검사에 참여한 만7세 1,577명, 만9세 1,461명이다. 연령과 성별문제행동의 변화를 살펴보기 위하여 SPSS 21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평균과 표준편차를 추출하고 상관분석, 반복측정 분산분석, 대응표본 t-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2012년 만4세에 조사된 문제행동의 정도는 연령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으며, 상관정도는 약해지긴 하지만 2017년 만9세의 점수와 .48의 상관을 보였다. 성별에 따른 차이는 여아보다 남아들의 문제행동의 정도가 심하였는데 문제행동 전체점수와 외현화 문제행동 점수에서 차이를 보였으며 내재화 문제행동 점수에서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유아기의 문제행동은 감소되기는 하나 초등학교 저학년의 문제행동과 관련이 있으며, 남아들이 전체적인 문제행동과 외현화 문제행동을 더 많이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문제행동 지도는 유아기부터 시작되어야 하며 성별에 따른 차이를 고려하여 실시되어야 한다. This study investigated how young children s problem behaviors had been changed from four years old through nine years old and also how the behaviors were different between genders over the years. The 5th to 10th data of 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collected by the Korea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 were used for the study. The data included total, internal, and external scores of the Korean version of Child Behavior Checklist 1.5-5 and 6-18 collected from children aged four through nine. The first finding was the problem behaviors of the children were decreased as their ages increased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age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ages were .35 to .65. As the interval between ages were increased,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getting weak. The difference in the total score and external behavior scores between gender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the boys showed more problem behaviors than girls in total scores and external scores.

      • KCI등재

        문제행동을 가진 아동과 일반아동의 학교 생활화 반응 특성 연구

        김기보 한국예술치료학회 2013 한국예술치료학회지 Vol.13 No.1

        본 연구는 초등학교에서 문제행동을 가진 아동을 조기에 발견하고 치료하기 위해서, 적은 시간과 간편하게 실시할 수 있는 KSD를 사용하여 문제행동을 가진 아동과 일반 아동의 그림상의 차이를 살펴보려고 한다. 연구를 위해 초등학교 4학년 남 25명, 여 22명으로 총 47명을 아동;청소년 행동평가척도(K-CBCL) 활용하여 독립표본 T검정 (Independent samplet-test)으로 문제행동을 가진 아동집단과 일반 아동집단의 차이를 검정하고, 두 집단의 학교생활화(KSD)에 나타난 표현상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자료 분석은 본 연구의 자료는 설문지를 통하여 수집된 자료를 통계 프로그램 SPSS 14.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K-CBCL 문제행동 증후군 척도 T점수를 통하여 일반아동과 문제행동아동 간에 독립표본 T-검정을 통하여 각 집단 간 평균 비교를 분석하였으고, 두 집단 간의 세부부분(나, 교사, 교우)에 대하여 교차분석을 실시하여 독립성 여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아동;청소년 행동평가척도(k-CBCL)의 문제행동 증후군 척도 T점수 65를 통하여 일반아동과 문제 행동아동 간에 독립표본 T-검정을 통하여 각 집단 간 평균 비교를 분석하였는데 각각 의 문제행동 증후군 척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따라서 T점수 65 점을 기준으로 나눈 두 집단이 다른 집단임을 알 수 있다. 2. 이 같은 절차로 나눈 일 반아동과 문제행동을 가진 아동 간에 학교생활화(KSD)에서는 인물상의 행위, 인물상 의 특징, 역동성, 양식, 상징의 5개의 영역을 살펴보았다. 첫째, 인물상의 행위에서는 교사 협동성 부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인물상의 특징에서는 나 얼굴표 정, 교사눈 강조, 나 지우기, 교사 지우기, 교사를 그린 필압과 교사를 그린 선에서도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역동성 부분에서는 교사 인물상 방향과 교우 인물상의 크기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넷째, 양식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난 부분이 없었다. 다섯째, 상징에서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난 부분이 없었다.

      • KCI등재

        유아 문제행동에 대한 유아교사들의 인식

        김성화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20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9 No.1

        본 연구는 유아문제행동에 대한 현직교사들의 인식을 알아보고 유아기 때 적절하게 지원받아야할 문제행동에서의 지원방법을 제언하기 위한 연구이다. 연구를 위해서 유아교사들을 대상으로 유아문제행동에 대한 설문지를 작성하게 하였다. 기초자료 3문항 문제행동인식에 대한 문항 12문항, 실태 3문항, 요구 6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유아교사 255명에게 유아문제행동인식에 대한 설문지를 배부하여 현장에서의 유아문제행동에 대한 인식과 실태, 요구를 알아보았다. 자료처리는 연구문제에 따라 빈도, 백분율 등의 기술통계를 실시하였다. 연구문제에 대한 결과 문제행동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은 매우 높았으며, 이들은 내현적 문제보다 외현적 문제를 더 심각하게 생각하고 있었다. 또한, 유아들의 문제행동에 대한 대처방법으로는 동료교사와 의논하거나 원장과 원감과의 상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교사들의 유아문제행동에 대한 요구는 문제행동지도와 관련된 교육기회에 대한 참여의지가 매우 높았으며, 중재지원이 가장 필요한 부분은 외현적 문제행동인 공격적 행동으로 나타났다. 문제행동지도 교육 시기는 학기 중 평일 방과 후를 선호하였으며, 일정은 매주 1회로 한 달 이상을 선호하였다. 유아문제행동지도받기 원하는 강사는 유아상담치료분야의 전문가를 선호하였으며, 지도받기 원하는 기술은 문제행동 수정 기술을 지도 받기를 원했다. 유아문제행동의 지도 방법은 실제 지도사례를 다루는 코칭을 선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유아문제행동지도 현장적용방안과 방향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유아들의 문제행동에 대한 유아교사들의 담론 분석

        배지희,조미영,봉진영 한국유아교육학회 2009 유아교육연구 Vol.29 No.5

        This study examines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s of young children’s behavior problems, their strategies for dealing with children’s behavior problems, and the difficulties they experience in the process of doing so. In-depth interviews regarding these issues were conducted with 9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 that teachers perceive inter-personal problems and problems related to lack of adequate self-help skills as the most serious problems of the early years. Most of the teachers indicated that behaviors that interfere with class activities, such as chatting with other children or wandering around during group time, were the behavior problems most often experienced in the classroom. They also mentioned inappropriate social behaviors, such as hitting friends or taking friends’ toys with force, as behavior problems in need of appropriate guiding intervention. Teachers indicated that they employ various strategies to guide children’s behavior problems. They use story books to introduce appropriate behaviors, talk with the child in trouble, use time-outs, or ask for collaboration from peers, parents, and colleague teachers. Teachers encountered various difficulties in the process of making these efforts to help children improve their behavior. They felt discouraged when children did not seem to make much progress after all their efforts. The teachers also mentioned that occasionally they feel stressed out or find themselves experiencing negative feelings toward children with behavior problems. Also distressing is that some parents refuse to work together with the teachers to improve their children’s behavior. The teachers feel that parents’ collaboration is critically important in guiding children’s behavior problems.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육현장에서 유아들의 문제행동을 실제로 지도하고 있는 유아교사들이 유아의 어떤 행동을 문제행동으로 인식하고 있고, 문제행동을 어떻게 지도하고 있으며, 문제행동 지도와 관련하여 교사들이 느끼는 어려움이 무엇인지에 대해서 교사들의 담론을 통하여 분석함으로써 효과적인 문제행동 지도방법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유아교사 9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교사들이 생각하는 유아의 문제행동의 유형은 타인과의 관계에서 나타나는 문제행동과 기본생활습관 형성과 관련된 문제행동으로 나타났다. 교사들이 가장 많이 지적한 유아의 문제행동은 수업에 방해가 되는 행동들이었으며, 이외에도 또래친구와의 상호작용에서 어려움을 야기하는 행동과 기본생활습관을 습득하지 못하여 야기되는 행동을 문제행동으로 규정하였다. 둘째, 교사들은 문제행동의 유형과 심각성 및 원인에 따라서 다양한 방법을 사용하여 문제행동을 지도하고 있었으며, 수업활동을 통한 지도, 대화를 통한 지도, 타임아웃과 같은 단호한 방법을 사용한 지도, 또래친구와 부모 및 동료교사의 협력을 통한 지도를 하고 있었다. 셋째, 교사들은 문제행동 개선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을 해도 유아의 행동이 개선되지 않는 경우, 문제행동을 보이는 유아로 인해 교사가 스트레스를 받거나 부정적 감정을 가지게 되는 경우, 그리고 문제행동에 대한 교사와 부모의 인식 차이가 클 때 주로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