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비서학 전공생의 문제해결능력이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디지털 리터러시의 매개효과

        김정아 사단법인 한국벤처혁신학회 2023 벤처혁신연구 Vol.6 No.1

        This study tried to find a way to increase major satisfaction to overcome the difficulties of college due to the recent decrease in the number of educated population. In particular, problem-solving ability and digital literacy, which are essential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were set as influencing factors and mediators and tried to verify them. Therefore, in order to find out the effect of problem-solving ability on major satisfaction and the mediating effect of digital literacy, a study was conducted targeting junior college secretarial majors. A total of 193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and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verify the hypothesis, and bootstrapping was performed using the SPSS PROCESS macro model 4 to verify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ing effect.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problem-solving ability had a positive(+) effect on major satisfaction. Second, problem-solving ability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all four sub-factors of digital literacy.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ediating effect of digital liter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roblem-solving ability and major satisfaction, among the four sub-factors of digital literacy, information literacy, critical understanding, and information analysis ability completely mediated between problem-solving ability and major satisfaction. has been shown to be effective. On the other hand, the ability to comply with norms was found to have no mediating effect. In this study, it was verified that problem-solving ability affects major satisfaction, and it was found that it is necessary to make various efforts to cultivate problem-solving ability. In addition,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suggestions for preparing practical measures to increase major satisfaction were suggested. 본 연구는 본 연구는 최근 학력 인구의 감소로 인한 대학의 어려움을 타계하기 위한 여러 방안 중에서도 전공만족도에 초점을 맞추어 전공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방법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특히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반드시 필요로 하는 문제해결능력과 디지털 리터러시를 영향 요인과 매개요인으로 설정하고 이를 검증해 보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문제해결능력이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디지털 리터러시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전문대학 비서학 전공생들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총 193개의 설문을 분석대상으로 하였으며, 가설의 검증을 위해서 회귀분석을, 매개효과 유의성을 검증을 위해 SPSS PROCESS macro model 4를 사용하여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을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제해결능력은 전공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문제해결능력은 디지털 리터러시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문제해결능력과 전공만족도의 관계에서 디지털 리터러시의 매개효과를 분석해본 결과, 디지털 리터러시 4개 하위요인 중 정보활용능력, 비판적 이해능력, 정보분석능력은 문제해결능력과 전공만족도 사이에서 완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규범준수능력은 매개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전공만족도에 문제해결능력이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검증하였는데, 문제해결능력을 배양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을 기울일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전공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실질적인 방안을 마련할 수 있는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직업기초능력평가 문제해결능력 평가틀에 대한 마이스터고 및 특성화고 교사와 산업체의 중요도와 타당도

        함승연,은태욱 한국기술교육학회 2014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14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ffer implications about continuous and stable operating and future direction of Test for enhanced employ ability & upgraded proficiency(TEEN&UP) through analysis of importance and validity on evaluation framework of problem solving competencies in TEEN & UP which is performed by total inspection by Meister and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Teachers and Industri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First, Importance and Validity of including subject knowledge of curriculum and ability of problem-solving about the actual job situation as assessment elements of Problem Solving Competencies in TEEN & UP was high. Second, Importance and Validity of lesson of 'Safety and Environment' of subject content elements of 'Industry entrance' and lesson of 'Drawing Plans based on Basic Drawing Methods' of subject content elements of 'Basic drawing' on evaluation framework of problem solving competencies was the highest. Third, All of Teacher and industries recognized that practical problem solving process of diagnosing and finding a solution in the event of unexpected circumstances on evaluation framework of problem solving competencies in TEEN & UP is most important. Forth, Appropriate question number of Action area of evaluation framework of problem solving competencies in TEEN & UP was 2 questions on 'System analysis and execution', 2 questions on 'Explore and selection of Alternative‘, 3 questions on ’Execution and application of Alternative‘ and 3 questions on 'Evaluation of Alternative and generalizations’Finally, they recognized it most important to be information about the"collaborative situations with colleagues and superiors' as the questions material of evaluation framework of problem solving competencies in TEEN & UP. 이 연구는 마이스터고와 특성화고에서 전수 검사로 실시되는 직업기초능력평가 문제해결능력에 대한 현장 교사와 산업체의 실제 직업에서의 중요도와 직업기초능력평가로서의 타당도를 분석하여 직업기초능력평가가 지속적이며안정적으로 운영되고 앞으로 나아갈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이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과정상의 개념지식의 습득 정도와 실제 직업 상황의 문제 해결능력을 직업기초능력평가 문제해결능력 평가 요소로 포함하는 것이 실제 직업에서의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타당도 또한 높게 나타났다. 둘째, 직업기초능력평가 문제해결능력 평가틀의 교육내용 요소 중 교과 1(공업 입문)의 ‘안전과 환경’과 교과 2(기초 제도)의 ‘기본 도법에 의한 도면 그리기’ 단원의 중요도와 타당도가 각각 가장 높게 나타났다. 셋째, 직업기초능력평가 문제해결능력 평가틀의 문제해결 과정의 문제해결능력 요소 중 문제해결 과정에서 돌발 사건이 발생한 상황에서 그 상황의 원인을 진단하고 해결책을 모색하는 실제적인 문제해결 과정이 산업체 관계자와 교사 모두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넷째, 직업기초능력평가 문제해결능력 평가틀의 행동영역 별 적절한 문항 수로 ‘체제 분석 및 실행’에 두 문항, ‘대안 탐색 및 선택’에 두 문항, ‘대안 실행 및 적용’에 세 문항, ‘대안 평가 및 일반화’에 세 문항이 가장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직업기초능력평가 문제해결능력 평가틀의문항 소재로 ‘동료나 상사와 협업 상황’에 관한 내용을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 KCI등재

        대학생의 문제해결능력 향상을 위한 차명상활용 사례 연구

        최혜경(Hye-Gyeong Choi) 국제차문화학회 2019 차문화ㆍ산업학 Vol.45 No.-

        급격하게 변화하는 현대사회에서 한국대학생들이 문제해결능력을 함양하기 위해 필요한 자기관리 요건과 차명상의 적용 사례를 고찰하였다. 급격하게 변하는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물결 안에서 신체적으로나 경제적인 면에서 아직 독립성을 확보하지 못한 대학생들이 현실 문제를 효율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문제해결능력을 함양하는 것이 우선되어야 한다고 본다. 이에 있어서 자신을 이해하고 관리할 수 있는 자기주도적인 행동과 사고방식은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기르는 기본 요건이라고 할 수 있다. 자신의 상황을 파악하고 미래의 삶을 준비하는 문제는 현재 자기관리를 어떻게 하는 가에서부터 출발해야 한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자기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방편의 하나로 차명상을 선택하여 이를 학생들에게 적용한 사례를 중심으로 문제해결능력이 향상되는 효과를 기술해 보았다. 문제해결능력을 기르기 위한 자기관리의 매개체로서 차명상을 적용하는 것은 차의 명상적 효과가 문제를 해결하는 사고능력을 기르는데 효율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차를 통한 명상은 단순히 차를 마시는 것이 아니라 차를 마시는 행위를 집중적으로 바라봄으로써 심리적 안정을 꾀하고 자신을 관리하는 능력을 키울 수 있는 도구로 활용하였을 때 그 효과가 나타난다. 차명상을 하는 동안 느낌과 감각을 알아차리고 자신을 객관적 시각에서 통찰하여 자신의 문제를 분석하고 해결하는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의미를 두었다. This study aimed to look into requirements for self-control needed to cultivate problem-solving ability in Korean college students and cases where tea meditation was applied to enhance the ability.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Innovation facing sharp social change, self-control ability is important to college students who have not yet acquired ability to control themselves in physical and financial aspects. To cultivate effective problem-solving ability, they should have self-leading behaviors and ways of thinking through which they can understand and control themselves. Self-control to overcome problems between themselves and organizations begins from knowing their position and needs. The ability to control thinking, emotion and behaviors is an important factor in evaluation of personality. The self-control ability is important because it has an absolute influence on formation of personal relationship with organizations in this society. The application of tea meditation as a medium of self control is efficient for cultivation of problem-solving ability. Tea meditation can be a means to help the students have psychological stability and enhance self-control ability when they see tea-drinking behaviors as well as when they drink tea. They can be aware of feeling and senses accompanied by tea meditation when they acquire ability to see through themselves in an objective perspective. In conclusion, this study has meaning in that it was discovered that tea meditation can work as an effective medium for self-control to enhance problem-solving ability in college students.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문제해결능력에 대한 학업탄력성 및 간호전문직관의 영향

        주영주(Yeong-ju Ju),김은미(En-mi K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4 No.2

        목적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문제해결능력, 학업탄력성 및 간호전문직관 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고, 문제해결능력에 대한 제 변수의 영향력을 알아보고자 시도되었다. 방법 자료는 M군 소재 간호대학생 169명을 대상으로 구조적 설문지를 활용하여 수집하였으며, 최종 표출된 160부는 SPSS 25.0 program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s,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활용하였다. 결과 간호대학생의 문제해결능력은 학업탄력성(r=.68, p<.001)과 간호전문직관(r=.50, p<.001)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순상관관계가 있었다. 일반적 특성 중 문제해결능력에 유의한 차이를 보인 종교유무와 성적을 투입하여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문제해결능력에 대한 영향력은 성적(β=.25, p=.002), 학업탄력성(β=.65, p<.001)과 간호전문직관(β=.33, p<.001)이 58.1% 설명하고 있었으며(F=41.10, p<.001) 세 변수 중 학업탄력성이 문제해결능력을 48.4%로 가장 많이 설명하고 있었다. 결론 간호대학생의 성적, 학업탄력성과 간호전문직관은 문제해결능력을 증진시키는 중요한 영향요인이며 이들 중 학업탄력성은 문제해결능력을 가장 많이 설명하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므로 간호대학생의 문제해결능력을 증진시키기 위해 학업탄력성과 간호전문직관을 고려한 간호교육 전략이 필요하며, 하위영역인 학습조절 능력, 확산적 사고 및 실행과 모험감수 능력을 증진시키는 간호교육 프로그램과 전문직 간호사에 대한 사회적 인식의 확대를 위한 구체적인 전략적 연구가 필요하다. Objectives This study was attempted to determine the correlation between nursing students' problem-solving ability, academic resilience, and nursing professional intuition, and to determine the influence of variables on problem-solving ability. Methods Data were collected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targeting 169 nursing students in County M, and the final 160 copies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5.0 program. Data analysis used frequency and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Nursing students' problem-solving ability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academic resilience (r=.675, p<.001) and nursing professional intuition (r=.498, p<.001). As a result of conducting a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y inputting religious status and grades, which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problem-solving ability among general characteristics, the influence on problem-solving ability was determined by grades (β=.25, p=.002) and academic resilience (β=.65, p<.001) and nursing professional intuition (β=.33, p<.001) explained 58.1% (F=41.10, p<.001), and among the three variables, academic resilience was associated with problem-solving ability. was explained the most at 48.4%. Conclusions Nursing students' grades, academic resilience, and nursing professional intuition are important influ-encing factors that promote problem-solving ability, and among these, academic resilience was confirmed to be the factor that most explains problem-solving ability.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the problem-solving ability of nursing students, a nursing education strategy that takes into account academic resilience and nursing pro-fessional intuition is needed, and nursing education programs and professional skills that improve the sub-areas of learning control ability, divergent thinking, execution, and risk-taking ability are needed. Specific strategic re-search is needed to expand social awareness of nurses.

      • KCI등재

        기술적 문제해결학습에서 평가루브릭의 인지여부가 학습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정윤석,최유현 한국기술교육학회 2010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10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effect of learning task ability as recognition of assessment rubric in technological problem solving learning. To accomplish the purpose this study, I designed theoretic assessment rubric model for learning task ability in technological problem-solving learning based upon literature reviews. Theoretic rubric has been verified based upon decision of professional groups. The study was conducted on two junior-high school classes(9th grade) located in Yangpyung, Gyenggi-do. They were divided into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In order to find out the groups' homogeneity, preliminary examination was conducted, using assessment rubric. The study was conducted on two selected classes which showed similar learning abilities.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11 lesson times. Assessment rubric was reveal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make it recognized before starting the task. By evaluating two groups' process and results through assessment rubric, this study was t-tested two groups' average value in each level as well as overall average value. And the study researched the effect recognition of assessment rubric on learning task ability in technological problem-solving clas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First, assessment rubric was developed in a way that it has 7 steps including problem check, search for solution, selecting problem solution method, specification of solution, implementation, evaluation(activity), evaluation(work) as well as 4 levels including A,B,C,D. The general-analytic Rubric was verified for its validity through professional review and practical application. Second, in this experiment, when learners recognize assessment Rubric in learning technical problem-solving, it has positive impact on problem check, search for solution, selecting solution, specification of solution and learning task ability of evaluation(activity). However,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work) did not show meaningful difference, confirming the fact that there is no effect in learning task ability. After comparing overall average value of technical problem-solving study, it has shown meaningful difference. Thus, it can be translated as it has significant effect in improving learning task ability when assessment Rubric is revealed and recognized. Based upon the study result, I would like to suggest the following study. First, assessment Rubric developed in this study suggested activity-oriented evaluation factors in implementation of technical problem- solving. Thus, it needs to develop valid evaluation factors as an implementation process in experiment-centered technical problem-solving. Second, I felt it was much easier to teach in a class where assessment Rubric was recognized than its counterpart. Students in a group where assessment Rubric was revealed asked more questions which are necessary in a class as they were aware of the direction of learning. They also tried very hard to meet the standard suggested in assessment Rubric. Likewise, the study is needed on quality study for teacher's convenience in conducting class as well as self-motivated learning attitude according to assessment Rubric's recognition. Lastly, assessment Rubric for learning technological problem-solving in this study was developed in order to provide convenience for technology teacher and study conductors who teach technological problem-solving method in a class. It is my hope that this study may be provided as resources for technological problem solving's evaluation area in technology curriculum and become a foundation for developing better follow-up study. Also, I hope meaningful evaluation method and tools in education may be developed for evaluation area. 이 연구의 목적은 기술적 문제해결학습에서 평가루브릭의 인지여부가 학습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문헌 고찰에 근거하여 기술적 문제해결학습의 이론적 평가루브릭을 구안하였으며, 이론적 루브릭은 전문가로 구성된 집단의 전문적 판단에 근거하여 타당도를 검증받았다. 실험대상은 경기도 양평 소재 Y중학교 3학년 2개 학급을 대상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구성하였으며, 실험집단에게는 평가루브릭을 공개 후 인지시켰고, 통제집단은 비공개하여 수업을 진행되었다. 실험은 사전검사를 포함하여 16차시에 거쳐 진행되었고, 두 집단 간에 기술적문제해결학습의 각 단계별 평균값을 t-test하여 기술적 문제해결학습 수업에서 평가루브릭의 인지여부가 학습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였다. 이 연구 결과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이 연구에서 개발한 평가루브릭은 문제확인, 해결방안의 탐색과 창안, 해결방안의 선정, 해결방안의 구체화, 실행, 평가(활동), 평가(작품)의 7개 단계, 그리고 A, B, C, D의 4개 등급으로 나뉘어져 있는 일반적-분석적 루브릭으로 개발되었으며, 전문가의 검토 및 실제 적용을 통하여 타당함이 증명되었다. 둘째, 이 연구의 실험에서 기술적 문제해결학습에 평가루브릭을 학습자가 인지하였을 때 문제해결학습 단계 중 문제확인, 해결방안의 탐색과 창안, 해결방안의 선정, 해결방안의 구체화, 평가(활동)의 학습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쳤다. 그러나 실행, 평가(작품)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아 학습수행능력에 효과가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기술적 문제해결학습 단계의 총점의 평균값을 비교해본 결과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 평가루브릭을 공개하여 인지시켰을 때 학습수행능력을 증진시키는데 뚜렷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 기술적 문제해결학습 평가루브릭은 일선 교육현장에서 기술적 문제해결학습의 수업을 진행하는 기술교사와 연구자들에게 평가의 수월성을 제공하고자 개발되었다. 이 연구가 기술교과 교육의 기술적 문제해결 평가영역에 자료로 제공되어, 더 나은 후속 연구의 개발에 밑거름이 되고, 평가영역에 교육적으로 의미 있는 평가 방법 및 도구들이 개발되길 기대한다.

      • KCI등재

        융합적 문제해결 교육프로그램이초등학생의 창의적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효과

        성혜경,강옥려,문성환,김윤순,손일지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21 한국초등교육 Vol.32 No.특별호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convergent problem-solving education program based onthe integration of knowledge between subjects in the curriculum, to foster the ability to creativelysolve problems that elementary school students encounter in daily lives. To this end, this studysurveyed 100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know what the problems they face in real life are, andselected seven topics after discussion among a group of experts. To solve the tasks of the selectedtopics, a convergent problem-solving program course was constructed by applying oneproblem-solving strategy for each topic. Among 2 classes in the fourth grade of S elementary schoolin Seoul, one class was selected as an experimental group and another one as a control group. Andthe effectiveness of the students'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improvement was analyzed afterapplying 7 classes of a convergent problem-solving program course to the experimental group. According to the result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mental andcontrol groups. That is, the convergent problem-solving education program was to show positiveeffects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There were especially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divergent thinking" and "motivational factor"among subdomains of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In order to see if the changes in students'creative problem-solvingabilities in the experimental group were significant, students’ questionnaires, students’ worksheets,overall class satisfaction and opinions, and teacher’s observation logs for each class were analyzed. This confirmed that as the program went on, students enjoy the process of confronting and solvingproblems and are proficient in switching to "divergent thinking. " Also, even after the class they triedto implement the problem solution they proposed. The effect of the convergent problem-solvingeducation program explored in this study on fostering creative problem-solving skills of elementaryschool students is expected to lay the foundation for developing convergent problem-solvingeducation programs for middle and upp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이 생활 속에서 접하는 문제를 창의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능력 함양을위해 교육과정 속 교과간 지식의 융합을 토대로 융합적 문제해결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 100명을 대상으로 초등학생들이 실생활에서 직면하는 문제를 조사한 후 전문가 집단의 논의를 거쳐 7가지 주제를 선정하였다. 선정된 주제를 해결하기 위해 각 주제에따른 문제해결역량을 도입하여 융합적 문제해결 교육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서울시 소재 S초등학교4학년 두 학급을 대상으로 한 학급은 실험집단, 다른 학급은 통제집단으로 배치하여 실험집단에 융합적 문제해결 교육프로그램 7차시를 적용하고 난 후 두 집단 간 학생들의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대한 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은 창의적 문제해결력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나타나 융합적 문제해결 교육프로그램이 초등학생들의 창의적 문제해결력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창의적 문제해결력 하위 영역 중 ‘확산적 사고’와 ‘동기적 요소’ 영역에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유의하게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집단 학생들의 창의적 문제해결력에관한 생각의 변화가 유의한지를 살펴보기 위해 차시별 학생 설문지, 학생 활동지, 전체 수업 만족도와소감, 교사 관찰일지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학생들이 프로그램이 거듭될수록 문제를 바라보고 해결하는 과정을 즐기며 ‘확산적 사고’로의 전환에 능숙해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수업 이후에도 자신이 제시한 문제해결방안을 실천하려는 모습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 탐색한 융합적 문제해결 교육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창의적 문제해결력 함양에 미치는 효과를 토대로 추후 초등학교 중·고학년의 융합적 문제해결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에 토대를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후보

        유아의 창의적 문제해결 능력과 창의적 사고와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그림책을 활용한 창의적 문제해결과정에서)

        김수향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05 유아교육학논집 Vol.9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young children's creative thinking and problem solving ability.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eight 5-year-old children in kindergarten “H” in Gyeongju, Kyungsang Province. The eight children participated in the Creative Problem Solving Process, which lasted for 14 weeks. During this time interactions in the classroom were videotaped, and all dialogues were transcribed. The tests used were Young-Chai Kim's (2002) translation of the Torrance test of creative thinking. The Creative Problem Solving Process was scored with Hennessey & Amabile's (1988) problem solving ability. The results: 1. There was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young children's creative thinking and problem solving ability in the Creative Problem Solving Process with children's picture-books. 2. There was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young children's creative thinking and the participant's activities in the Creative Problem Solving Process with children's picture-books. 본 연구에서는 그림책을 활용한 창의적 문제해결 과정에서 유아의 창의적 문제해결 능력과 창의적 사고는 어떠한 관련성을 가지고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연구대상은 만 5세 유아 8명이었으며, 창의적 사고의 측정은 Torrance의 창의적 사고 검사 중 언어검사 한국판(김영채 역), 문제해결 능력의 측정은 Hennessey와 Amabile(1988)의 측정도구를 활용하였다. 창의적 문제해결 능력과 창의적 사고의 관련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Isaksen과 Treffinger(1992)의 창의적 문제해결 과정을 본 연구자가 그림책을 활용한 창의적 문제해결 과정으로 재구성하여 14주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창의적 문제해결 능력 점수가 높은 유아들은 창의적 사고 점수가 사전보다 사후에 증진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창의적 문제해결 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한 유아들은 창의적 사고 점수 역시 사전 보다 사후에 증진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그림책을 활용한 창의적 문제해결 과정에서 유아의 창의적 문제해결 능력과 창의적 문제해결 과정의 참여정도는 창의적 사고와 유사한 경향을 보인다고 결론지을 수 있다.

      • KCI등재

        기술․가정과 ‘기술과 발명’단원에서 문제기반학습이 기술적 문제해결능력 함양에 미치는 효과

        김태우,이상봉 한국기술교육학회 2010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10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roblem-based learning on technological problem solving ability in the unit of 'Technology and Invention' from Technology-Home Economics subject. In order to verify the hypothesis, the study selected the subjects of 36 students for experiment group and control group out of 2 classes from the 1st-grade students from K junior high School located in Daegu. For the statistical treatment of data, a Window SPSS 12.0 program was used. The statistical technique used for data analysis was t-test and significance level of .10 was established prior to data treat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First, problem-based learning was not effective on fostering students' technological problem solving ability according to instructional methods. Second, problem-based learning was effective on fostering students' ability of understanding a problem, exploring & developing ideas according to sub-components of technological problem solving ability. Third, problem-based learning was effective on fostering middle-level students' technological problem solving ability according to the level of academic achievement. Fourth, problem-based learning was effective on fostering middle-level students' ability of understanding a problem, exploring & developing ideas and low-level students' ability of understanding a problem according to sub-components of technological problem solving ability on the level of academic achievement. 이 연구의 목적은 기술․가정과 ‘기술과 발명’단원에서 문제기반학습이 학생들의 기술적 문제해결능력 함양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대구광역시 소재 K중학교 1학년 2개 학급 각 36명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어 실험을 실시하였고, 유의수준 .10에서 t-검정을 실시하여 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제기반학습이 전통적 실습법에 비해 학생들의 기술적 문제해결능력 함양에 효과적이라고 할 수 없다. 둘째, 기술적 문제해결능력의 하위 구성요소에 대한 비교에서 문제기반학습이 전통적 실습법에 비해 ‘문제의 이해능력’과 ‘아이디어의 탐색과 개발능력’ 함양에 효과적이라 할 수 있다. 셋째, 학업성취수준이 ‘중위’인 그룹에서 문제기반학습이 전통적 실습법에 비해 기술적 문제해결능력 함양에 효과적이라 할 수 있다. 넷째, 학업성취수준이 ‘중위’인 그룹에서 문제기반학습이 전통적 실습법에 비해 ‘문제의 이해능력’과 ‘아이디어의 탐색과 개발능력’ 함양에 효과적이며, 학업성취수준이 ‘하위’인 그룹에서 ‘문제의 이해능력’함양에 효과적이라 할 수 있다.

      • KCI등재

        융합적 문제해결 교육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창의적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효과

        성혜경 ( Sung Hye Kyeong ),강옥려 ( Kang Ock-ryeo ),문성환 ( Moon Seong Hwan ),김윤순 ( Kim Yun Soon ),손일지 ( Son Il Ji ) 한국초등교육학회 2021 초등교육연구 Vol.32 No.S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이 생활 속에서 접하는 문제를 창의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능력 함양을 위해 교육과정 속 교과간 지식의 융합을 토대로 융합적 문제해결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 100명을 대상으로 초등학생들이 실생활에서 직면하는 문제를 조사한 후 전문가 집단의 논의를 거쳐 7가지 주제를 선정하였다. 선정된 주제를 해결하기 위해 각 주제에 따른 문제해결역량을 도입하여 융합적 문제해결 교육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서울시 소재 S초등학교 4학년 두 학급을 대상으로 한 학급은 실험집단, 다른 학급은 통제집단으로 배치하여 실험집단에 융합적 문제해결 교육프로그램 7차시를 적용하고 난 후 두 집단 간 학생들의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대한 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은 창의적 문제해결력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 융합적 문제해결 교육프로그램이 초등학생들의 창의적 문제해결력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창의적 문제해결력 하위 영역 중 ‘확산적 사고’와 ‘동기적 요소’ 영역에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유의하게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집단 학생들의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관한 생각의 변화가 유의한지를 살펴보기 위해 차시별 학생 설문지, 학생 활동지, 전체 수업 만족도와 소감, 교사 관찰일지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학생들이 프로그램이 거듭될수록 문제를 바라보고 해결하는 과정을 즐기며 ‘확산적 사고’로의 전환에 능숙해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수업 이후에도 자신이 제시한 문제해결방안을 실천하려는 모습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 탐색한 융합적 문제해결 교육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창의적 문제해결력 함양에 미치는 효과를 토대로 추후 초등학교 중·고학년의 융합적 문제해결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에 토대를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convergent problem-solving education program based on the integration of knowledge between subjects in the curriculum, to foster the ability to creatively solve problems that elementary school students encounter in daily lives. To this end, this study surveyed 100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know what the problems they face in real life are, and selected seven topics after discussion among a group of experts. To solve the tasks of the selected topics, a convergent problem-solving program course was constructed by applying one problem-solving strategy for each topic. Among 2 classes in the fourth grade of S elementary school in Seoul, one class was selected as an experimental group and another one as a control group. And the effectiveness of the students'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improvement was analyzed after applying 7 classes of a convergent problem-solving program course to the experimental group. According to the result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That is, the convergent problem-solving education program was to show positive effects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There were especi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divergent thinking" and "motivational factor" among subdomains of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In order to see if the changes in students'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ies in the experimental group were significant, students’ questionnaires, students’ worksheets, overall class satisfaction and opinions, and teacher’s observation logs for each class were analyzed. This confirmed that as the program went on, students enjoy the process of confronting and solving problems and are proficient in switching to "divergent thinking." Also, even after the class they tried to implement the problem solution they proposed. The effect of the convergent problem-solving education program explored in this study on fostering creative problem-solving skill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s expected to lay the foundation for developing convergent problem-solving education programs for middle and upp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 KCI등재

        어린이집 교사의 의사소통능력과 문제해결능력 간 관계

        정희윤,김미경 대한사고개발학회 2018 사고개발 Vol.14 No.1

        본 연구는 어린이집교사의 의사소통능력과 문제해결능력의 관계를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서울에 소재하고 있는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교사 240명이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0.0을 이용하여 어린이집교사의 배경 변인에 따른 의사소통능력과 문제해결 능력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 검정과 일원변량분석, Duncan 사후검증,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rson r 상관 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어린이집교사의 연령층에 따른 의사소통능력은 연령이 높고, 대학원이상 학력과 경력이 높은 교사들의 의사소 통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린이집교사의 문제해결능력도 의사 소통처럼 연령이 높고, 대학원이상 학력과 경력이 높은 교사들의 문제해결능 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어린이집교사의 의사소통능력과 문제해결 능력 간의 관계에서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의사소 통능력이 높은 교사들이 문제해결능력도 높은 것을 예측할 수 있다. 의사소 통능력 하위 영역과 문제해결능력 하위 영역 간에도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특히 반응과 문제규정과 구성화 영역 및 반응과 대안적 해결방 안, 산출 능력 간에 높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어린이집교사의 의사소통능력에 따라 교사의 문제해결능력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는 것을 예측 할 수 있으며, 이는 어떤 문제가 생겼을 때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목표에 따라 주어진 모든 기회를 활용하여 도전을 통해 극복하고자 하는 노력이 의사소통능력을 통해 이러한 차이를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해소시킬 수 있는 교사의 직무능력이 필요함을 의미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and correlation between communication ability and problem solving ability through day care center teachers. The subjects were 240 day care center teachers in Seoul. For data analysis, ANOVA, Duncan's post test to investigate specific difference between groups,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SPSS 20.0 program. The major findings of the present study were as follows: Firstly, among variables of daycare center teachers, it was identifies that communication ability was generally high for higher age, graduate school degree and educational experience group than lower age, graduate degree and educational experience group. Secondly, among variables of daycare center teachers, it was identifies that problem solving ability was generally high for graduate school degree and educational experience group than lower age, graduate degree and educational experience group in general. Thirdly, it was predictable that teachers with high communication ability have higher problem solving ability as a relationship between communication ability and problem solving ability of daycare center teachers are identified to have significantly positive relationship. Subdivisions of communication ability and subdivisions of problem solving ability showed significantly positive relationship, and specially, a relationship between response, problem identification, and configuration area, and a relationship between response, alternative problem, and calculation showed high correl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