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Blended Learning 기반 문제중심학습의 초등학교 현장 적용 가능성 탐색

        임정훈(Leem Junghoon) 한국교육실천연구학회(한국교육포럼) 2007 韓國敎育論壇 Vol.6 No.2

        이 연구는 초등학교 현장에서 문제중심학습을 적용하기에 적합한 ‘문제’를 개발하고, 그 문제를 적용하여 면대면과 온라인 학습을 혼합한 Blended Learning 기반 문제중심학습 프로그램을 실제로 학교 교육현장에 적용해 봄으로써 그 적용 가능성을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는 부천시 소재 S 초등학교 6학년 학생 42명을 대상으로 약 4주에 걸쳐 이루어졌다. 연구를 위하여 먼저 초등학교 6학년 교과를 중심으로 문제중심학습을 위한 ‘문제’를 개발하고, 그에 따라 Blended Learning을 적용한 문재중심학습 전략을 수립한 뒤, 학습 계획서와 지도안 작성, 온라인 학습을 위한 커뮤니티 사이트 개설, 문제중심학습 실행, 성찰 노트와 만족도 검사, 개별 심층 면접의 과정을 거쳐 연구가 수행되었다. 연구 결과, 이 연구에서 개발한 문제는 문제중심학습에 적합한 문제로 확인되었으며, 수업에 대한 만족도 검사 및 개별 면접 결과 Blended Learning 기반 문제중심학습의 현장적용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추후 연구를 위하여 온라인 활동에 대한 사전 훈련, 교사들의 다양한 문제 개발을 위한 노력, 협동 및 협력, 온라인 토론 기회의 제공 등이 제안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problem' appropriate for problem-based learning and to investigate applicability of problem-based learning based on blended learning in elementary school setting.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four weeks on 42 students of the 6th grade in elementary school. Researcher developed 'problem' for problem-based learning with textbooks for the 6th grade, established strategies based on blended learning strategy. Next, researcher implemented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using community site for on-line learning. After finishing instruction, researcher investigated the applicability of problem-based learning based on blended learning by analyzing satisfaction questionnaire, individual interviews, and reflection not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roblem developed in this study was validated as a appropriate problem for problem based learning. Second, total satisfaction score was 3.81. General satisfaction score was 3.84, and satisfaction score about education effect was 3.79. Third, according to individual interview and reflection notes, students deepened their understanding each other, utilized information resources effectively, and kept learning motivation during offline and online learning. Furthermore, they kept trying to improve their communication skills for cooperative learning in offline and online environment. In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at problem-based learning based on blended learning can be implemented usefully in elementary school setting. For better instruction, pre training as to learner roles for problem-based learning, reorganizing curriculum to reduce student's learning load, providing opportunities of communication, cooperative learning, online discussion should be considered.

      • KCI등재

        문제중심학습(PBL)의 학습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손미 ( Mi Shon ),하정문 ( Jung Moon Ha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08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14 No.3

        본 연구는 메타분석법을 적용하여 문제중심학습을 활용한 교수-학습이 학습효과(인지영역, 정의적 영역)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00년부터 2007년까지 연구된 문제중심학습을 활용한 교수-학습의 효과를 검증한 석·박사 학위논문 49편을 대상으로 총 93개의 효과크기를 산출하였고 효과크기에 대한 변인 간 차이는 ANOVA검정을 적용하였으며 얻어진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제중심학습을 활용한 교수-학습이 학습 효과의 향상에 미치는 평균 효과크기는 .81로 큰 편이었고, U3값이 79.16%를 나타내어, 문제중심학습을 활용한 교수-학습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보다 학생들의 학습 효과를 29.16% 향상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문제중심학습은 사회, 과학, 실과 등 비교적 전 교과영역에서 학습효과 향상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으며 초등, 중등, 고등, 성인 교육에서 비교적 전반적으로 학습효과를 나타내고 있었다. 또한 면대면 학습환경 뿐만아니라 웹기반, 불랜디드 학습환경에서도 학습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습대상 인원과 관련하여 문제중심학습은 학습대상의 인원에 큰 영향을 받지 않고 학습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문제중심학습의 종속변인에 대한 평균효과크기는 인지적 효과가 .69, 정의적 효과가 1.10로 나타나 문제중심학습은 인지적 학습효과 및 정의적 학습효과 모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기대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문제중심학습의 양적연구만을 대상으로 분석되었지만 보다 명확한 결과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문제중심학습의 교수-학습과정에서 나타나는 질적 자료에 대한 메타분석이 후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함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analyze the learning effects of teaching-learning that adopts problem-based learning using meta-analysis method. Forty nine MA and Ph.D degree papers published from 2000 to 2007 were analyzed and 93 effect sizes were calculated. The verifications of the differences among variables were carried out with F-verification.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eaching-learning that adopts problem-based learning turned out to be highly effective in improving learning effect. The total mean effect size was as big as .8819 and the value of U3 was 79.16%. The teaching-learning group that adopts problem-based learning increased learning effect by 29.16%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Second, the mean effect size of problem-based learning on cognitive domain was .69 and all each effect size of sub variables of cognitive domain showed medium effect size, bu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m. Third, the mean effect size of problem-based learning on affective domain was 1.10 and all each effect size of sub variables of cognitive domain showed high effect size, bu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m. Forth, in terms of subjects, problem-based learning was effective methods for social studies, science, home economics, and others. Also, it was proved that problem-based learning was effective method for elementary, secondary, and university students with medium effect size of over .68. Fifth, in terms of learning environments, problem-based learning was effective methods to be used for all face-to-face, computer-mediated, and blended learning environments with the effect size of over .6591. Also, it was proved that problem-based learning was effective method regardless of the treatment duration with the effect size of over .74.

      • KCI등재

        문제중심학습에서 학습자들의 학습경험과 어려움 탐색

        장경원 중앙대학교 한국인적자원개발전략연구소 2019 역량개발학습연구 Vol.1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learning experiences and difficulties of learners in problem based learning, in which learners solve problems on their own, and to derive problem based learning implementation strategies based on them. To do this, 75 learners who experienced problem based learning attended and presented their experiences, difficulties and suggestions. The learners’ experiences and thoughts are shown as follows; First, learners did various activities to solve problems such as analyzing the problem, discussion, collecting and studying resources, making solutions, and presentation. Second, learners studied problem-solving skills, collective intelligence and so on from the experience of problem based learning and pledged that will participate more actively in team activities, and collect and use many resources in the next PBL class. Third, learners had difficulties in PBL such as understanding and analyzing the context of problems, collecting and selecting resources, making solutions, etc. Fourth, learners suggested that they require helpful tips, examples, feedback, and guidelines from their tutor. In summary, learners had meaningful learning experiences in problem based learning but they struggled in those activities and they wanted to have assistance from a tutor. However, what learners wanted would depreciate the value of problem based learning. Therefore, the tutor should consider and explain to the learners the underlying difficulties within the course and the educational meaning and thus facilitate appropriate teaching based on the philosophy of PBL. 이 연구는 학습자들이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는 문제중심학습에서 학습자들의 학습경험과 어려움을 파악하여 이를 토대로 문제중심학습 운영 전략을 도출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문제중심학습을 경험한 75명의 학습자들로부터 그들의 학습경험, 어려움, 그리고 요구사항에 대한 의견을 수집․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들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문제분석, 의견제시, 논의, 자료수집 및 분석, 해결안구성, 발표 등의 활동을 하였다. 둘째, 학습자들은 문제중심학습 경험을 통해 문제해결과정, 집단지성, 연구방법 등에 대해 학습하였고, 향후에는 보다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많은 자료를 수집․활용할 것이라고 다짐하였다. 셋째, 학습자들은 문제 이해 및 분석, 자료수집, 이해, 내용 선택, 문제해결안 도출, 발표 등 문제해결의 전 과정과 팀 활동 수행에서 어려움을 경험했다고 하였다. 넷째, 학습자들은 교수자들로부터 문제해결에 도움이 되는 힌트, 예시, 피드백 등이 더 많이 이루어지는 것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종합하면, 문제중심학습에서 학습자들은 다양한 활동을 통해 의미있는 학습경험을 하지만, 그러한 활동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교수자가 이에 대한 도움을 제공하기 원하고 있다. 그러나 학습자들이 원하는 도움은 대부분 문제중심학습의 가치를 하락시킬 수 있는 것들이다. 따라서 교수자는 먼저 학습자들이 겪는 어려움이 어떠한 교육적 의미가 있는지 안내하고 격려해야 하며, 그 후에 문제중심학습이 지향하는 교육철학 범위 내에서 필요한 도움을 제공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기계설계 과목에 적용한 문제중심학습(PBL)이 특성화고교생의 직업기초능력에 미치는 영향

        김정호,김대들,이병욱 한국기술교육학회 2016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16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pply Problem based learning in the unit of combination of mechanical elements at mechanical design subject in high school curriculum and to analyze the effect on the key competencies. For the specific purpose of this study, first, to define the effect of Problem based learning on the key competencies in accordance with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Second, to define the effect of Problem based learning on the key competencies in accordance with an academic achievement. The third, to define the effect of Problem based learning on the key competencies in accordance with a career decision types.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the unit of combination of mechanical elements between the groups that apply the Problem based learning and the lecture teaching, I compared the average value of key competencies. As a result, the average of applies Problem based learning group was higher than applied lecture group. Therefore in improving of key competencies, the Problem based learning method is more effective the lectur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Secon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verage of key competencies after comparing the high level with the low level group which apply Problem based learning in the academic achievement. However it could be confirmed the effect of the Problem based learning through the comparison group between the high and the low group. The average of key competencies rose in both groups than before after conducting the Problem based learning. It proves that the factors the affect the key competencies are not the student’s level of academic achievement but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Third, comparing the group which decide to get a job with that decide to go to college in the group that apply the Problem based learning,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average of key competencies. However it could be confirmed the effect of the Problem based learning through the comparison of those two groups. The average of key competencies rose in both groups than before after performing the Problem based learning. It proves that the matters that affect the key competencies are not the career decision type but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본 연구는 학습자 중심의 교수․학습 방법 중 하나인 문제중심학습(PBL)을 기계설계 과목에 적용하여 특성화고교생의 직업기초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문제중심학습이 교수․학습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여러 가지 원인들 중 학업 성취 수준과 진로 결정 유형을 배경 변인으로 설정하여 ‘교수․학습 방법과 직업기초능력’, ‘학업 성취 수준과 직업기초능력’, ‘진로 결정 유형과직업기초능력’ 등과의 관계를 살펴보는데 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기계설계과목이 학교 교육과정에 편성된 OO공업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3학년 4개반 86명의학생들을 연구 대상으로 8주 동안 각 반별로 6차시씩 총 24차시의 수업을 통해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문제중심학습을 적용한 수업이 강의식 수업 보다 직업기초능력 향상에 도움이 되었다. 특히, 직업기초능력 하위영역 중 문제해결능력과 수리능력에서 문제중심학습이 더 효과적이었다. 따라서 문제중심학습을 적용한 수업은 특성화고교생의 직업기초능력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생의 학업 성취 수준에 따라 교수․학습 방법이 직업기초능력 향상에 미치는 정도의 차이가 없었으며, 학업 성취 수준이 직업기초능력의 향상에도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따라서 문제중심학습을 적용한 수업이 학업 성취 수준과 관계없이 특성화고교생의 직업기초능력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되었다. 셋째, 학생의 진로 결정 유형에 따라 직업기초능력의 향상 정도에는 차이가 없었으며, 진로 결정 유형이 직업기초능력의 향상에도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그러므로학생의 진로 결정 유형과 상관없이 문제중심학습을 적용한 수업은 특성화고교생의직업기초능력의 향상에 영향을 미쳤다.

      • KCI등재

        Learning Experiences and Difficulties of Learners in Problem Based Learning

        Kyungwon Chang(장경원) 중앙대학교 한국인적자원개발전략연구소 2019 역량개발학습연구 Vol.14 No.1

        이 연구는 학습자들이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는 문제중심학습에서 학습자들의 학습경험과 어려움을 파악하여 이를 토대로 문제중심학습 운영 전략을 도출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문제중심학습을 경험한 75명의 학습자들로부터 그들의 학습경험, 어려움, 그리고 요구사항에 대한 의견을 수집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들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문제분석, 의견제시, 논의, 자료수집 및 분석, 해결안구성, 발표 등의 활동을 하였다. 둘째, 학습자들은 문제 중심학습 경험을 통해 문제해결과정, 집단지성, 연구방법 등에 대해 학습하였고, 향후에는 보다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많은 자료를 수집․활용할 것이라고 다짐하였다. 셋째, 학습자들은 문제 이해 및 분석, 자료수집, 이해, 내용 선택, 문제해결안 도출, 발표 등 문제해결의 전 과정과 팀 활동 수행에서 어려움을 경험했다고 하였다. 넷째, 학습자들은 교수자들로부터 문제해결에 도움이 되는 힌트, 예시, 피드백 등이 더 많이 이루어지는 것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종합하면, 문제중심학습에서 학습자들은 다양한 활동을 통해 의미있는 학습경험을 하지만, 그러한 활동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교수자가 이에 대한 도움을 제공하기 원하고 있다. 그러나 학습자들이 원하는 도움은 대부분 문제중심학습의 가치를 하락시킬 수 있는 것들이다. 따라서 교수자는 먼저 학습자들이 겪는 어려움이 어떠한 교육적 의미가 있는지 안내하고 격려해야 하며, 그 후에 문제중심학습이 지향하는 교육철학 범위 내에서 필요한 도움을 제공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learning experiences and difficulties of learners in problem based learning, in which learners solve problems on their own, and to derive problem based learning implementation strategies based on them. To do this, 75 learners who experienced problem based learning attended and presented their experiences, difficulties and suggestions. The learners’ experiences and thoughts are shown as follows; First, learners did various activities to solve problems such as analyzing the problem, discussion, collecting and studying resources, making solutions, and presentation. Second, learners studied problem-solving skills, collective intelligence and so on from the experience of problem based learning and pledged that will participate more actively in team activities, and collect and use many resources in the next PBL class. Third, learners had difficulties in PBL such as understanding and analyzing the context of problems, collecting and selecting resources, making solutions, etc. Fourth, learners suggested that they require helpful tips, examples, feedback, and guidelines from their tutor. In summary, learners had meaningful learning experiences in problem based learning but they struggled in those activities and they wanted to have assistance from a tutor. However, what learners wanted would depreciate the value of problem based learning. Therefore, the tutor should consider and explain to the learners the underlying difficulties within the course and the educational meaning and thus facilitate appropriate teaching based on the philosophy of PBL.

      • KCI등재후보

        문제중심학습에서 자기주도적 학습 활동 활성화 방안: 초등사회과 수업에의 적용을 중심으로

        김다원(Kim Da Won) 한국사회과수업학회 2019 사회과수업연구 Vol.7 No.1

        문제중심학습은 학습자의 자기주도적 학습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고 있는 모형으로 인정받고 있다. 그래서 문제중심학습은 2015개정교육과정에서도 긴요하게 적용되기를 요구받고 있는 교수학습 모형이다. 특히, 사회과교육은 민주시민성 함양을 교육의 목표로 삼고 있기 때문에 자기주도적 학습력 함양 교육의 필요성을 더 많이 요구받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특별히, 자기주도적 학습력 향상에 초점을 두고, 이를 이끌어낼 수 있는 문제중심학습의 방안을 제시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자기주도적 학습 및 문제중심학습과 관련된 선행연구들을 검토하여 자기주도적 학습력 향상을 위한 학습전략을 분석하였고, 문제중심학습의 일반적인 교수-학습 과정에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탐색하였다. 자기주도적 학습력 향상을 위해 학습동기, 메타 인지전략 활용, 상호작용 활성화, 자기성찰 등 4가지 학습전략을 추출하였다. 이러한 전략적 학습요소들은 문제중심학습의 각 단계에 특화되어 적용된다기 보다는 전 단계에서 유기적으로 연계 적용되어야 함을 제시하였다. 또한, 문제발견 및 문제정의 단계에서는 학습자주도적 문제발견과 문제정의가 이뤄져서 이후 학습에 대한 학습동기가 촉발되도록 하는 것과 문제해결 계획 및 탐색 활동 단계에서 학습자가 주도적으로 자신의 학습자원을 검토, 관리하면서 자신의 경험 및 지식과 연계하여 조직화된 전략을 설계하도록 하는 과정이 자기주도적 문제중심학습을 수행하는 데 중요함을 제시하였다. Problem-based learning is recognized as a model tha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implement learner-centered education and education linked to the learner s real life. Therefore, problem-based learning leads us to expect the improvement of the learner s thinking power and the learner 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This is why problem-based learning has received much attention as a teaching-learning model today. Especially, in the social studies education, the purpose of education is to cultivate the democratic citizenship and the inquiry learning is applied as the main learning method. So, it is necessary to cultivat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This study focuses on the improvement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suggests a problem-based learning approach that can lead to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To do this, I analyzed the learning strategies for improving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by reviewing previous studies related to self-directed learning and explored the general teaching-learning process of problem-based learning by reviewing previous problem-based learning studies. I suggested a problem-based learning approach for self-directed learning by applying four strategies, learning motivation, meta-cognition, interaction, and self-reflection.

      • KCI등재

        역사 과목에서 문제중심학습(Problem-Based Learning)의 문제 개발과 적용 사례 연구

        배은숙 한국교양교육학회 2017 교양교육연구 Vol.11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pply problem-based learning method to history subject among various learner-centered learning methods. The researcher grasped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precedent research that the problem-based learning method is invented and utilized. In addition, The researcher analyzed the educational effects of problem-based learning through two questionnaires. In the process of problem development, this study tried to present a problem that requires a complex thinking power as well as a topic to penetrate the history of Greece and Rome. The main theme was the war that contributed to the expansion of Greece and Rome. As regards Greece, learners should be aware of Herodotus, a criticism of Western supremacy, and the critical view of him and the prisoners of war. As regards Rome, scholars are interested in the purpose of the war. The conclusion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instructor should provide a concrete and sufficient explanation of the problem-based learning method. Second, learners seemed to grasp the intention of the instructor if the problem was clear and simple. Third, after problem-based learning, learners’ level of difficulty, amount of learning, amount of knowledge, and achievement of educational goal increased. On the other hand, the preference for problem-based learning is lowered. An educational effect is high when intention of the instructor who is inherent in problem is conveyed properly. The instructor should not provide one-sided lectures and answers, but provide opportunities for learners to increase their opportunities to actively seek knowledge. 본 연구는 다양한 학습자중심의 학습법 중에서 문제중심학습법을 역사 과목에 적용하는 방안에 관한 것이다. 문제 개발 과정에서 그리스와 로마의 팽창에 일조한 전쟁을 핵심 주제로 선정하였다. 문제중심학습을 적용하고 난 후 활동 보고서, 학습 보고서, 설문조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활동 보고서에서 학습자들은 익숙하지 않은 학습 방법에 대해 어색해 했다. 따라서 교수자가 다양한 사례를 통해 문제중심학습법에 대한 구체적이면서도 충분한 설명을 해 주어야 학습자들의 생소함은 줄어들고 교육적 효과가 더 높을 것으로 생각한다. 둘째, 학습 보고서에서 문제가 명확하고 단선적일 경우는 교수자의 의도를 잘 파악하는 것 같았다. 반면 교수자의 의도가 명확하지 않거나 지나치게 복합적인 문제일 경우, 관련 자료가 없는 경우 교수자의 의도와 다른 해결책을 찾을 수 있었다. 따라서 교수자는 문제의 의도, 문제의 해결 방법, 문제의 시간적, 공간적 상하한선, 보고서의 방식 등을 구체적으로 제시해 줄 필요가 있다. 셋째, 설문조사 결과 학기 초에 비해 학기 말 문제중심학습에 대한 학습자들의 인지도, 난이도, 학습량, 지식 습득량, 교육목표 달성 정도가 높은데 반해, 문제중심학습에 대한 선호도는 낮아졌다. 이는 문제중심학습에 대한 설명을 들었을 때보다 실제 학습을 하면서 난이도나 학습량이 훨씬 높고 많다는 것을 체감한 결과로 해석된다. 역사 과목에서 문제중심학습을 위한 문제를 개발하고, 이를 적용해 본 결론은 현대적인 문제 이면에 시대적 사건이 내포된 문제를 제시해야 한다는 것,역사적 사건에 대한 시간적, 공간적 범위와 한계를 제시해야 한다는 것, 다양한 해결 방법이 있으나 역사적 사례로 제한해야 한다는 것 등을 교수자가 구체적으로 설명해야 한다는 것이다. 교수자는 일방적인 강의나 해답을 제시할 것이 아니라 학습자들이 원하는 지식을 능동적으로 찾아가는 기회를 늘려주되 방향을 제시하는 역할을 해야 한다.

      • KCI등재

        漢文科 問題中心學習法의 理論과 實踐

        백광호,공민정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19 漢字 漢文敎育 Vol.46 No.-

        이 연구는 타 교과에서의 문제중심학습법을 이론적으로 탐색하여 한문과에서의 문제중심학습법 이론화를 모색하고, 중학교 한문과에서의 문제중심학습 실천 사례를 소개함으로써, 한문과에서의 문제중심학습법을 일반화할 수 있는 방안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 연구는 중등학교 한문과 수업에서 문제중심학습법을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찾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한문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성취 기준을 달성하기 위한 교수・학습 방법이 현장에서 다양하게 시도되고 있지만, 명확한 이론으로 정립하기에는 충분하지 못한 실정이다. 이 연구에서는 문제중심학습법에 대한 타 교과의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한문과에서의 문제중심학습법’이라는 이론적 틀을 마련하고자 고심하였다. 그래서 한문과에 맞게 구안한 교수・학습 방법을 수업에 적용하고, 결과를 소개하였다. 이는 예비 한문교사들이나 현장 교사들에게 일정 수준의 의의가 있다. 연구 결과, 학습자들은 한문과 문제중심학습법 수업을 통해 자기주도적 학습능력과 문제해결능력을 기를 수 있었다. 또한 그룹별 활동을 통해 의사소통 능력과 공동체 역량을 함양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2015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에서 강조하고 있는 핵심역량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므로, 한문과 수업에서 문제중심학습법을 활용한 사례가 다양해지기를 기대한다. 아울러 문제중심학습법을 한문과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한문과에 적합한 문제 상황 개발이 중요하므로, 이 논문을 통해 문제중심학습법에 맞는 다양한 문제가 현장 교사에 의해 개발되고 학계에 소개되길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Problem-Based Learning methods in other subjects, to explore Problem-Based Learning methods in the Chinese Classics subject, to introduce Problem-Based Learning practices in Chinese Classics class in the middle school, and to generalize Problem-Based Learning methods in the Chinese Classics subject. Therefore I would like to provide a way to do thi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is looking for a way to utilize Problem-Based Learning methods in Chinese Classics class in the middle school. In this study,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of other subjects on the Problem-Based Learning methods, I sought to establish the theoretical framework of 'Problem-Based Learning in the Chinese Classics subject'. As a result of the study, learners were able to develop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Problem-solving ability through the Problem-Based Learning in the Chinese Classics class. In addition, group activities enabled students to enhance communication skills and community competence. These results are closely related to the curriculum competence emphasized in the Revised 2015 Chinese Classics Curriculum, so I expect that field cases using Problem-Based Learning methods will be diversified in the Chinese Classics subject.

      • KCI등재

        멀티미디어 기반 문제중심학습 환경에서 스캐폴딩 설계원리 탐색

        송해덕(Hae-Deok Song),신서경(Suh-Kyung Shin) 한국열린교육학회 2010 열린교육연구 Vol.18 No.3

        문제중심학습은 비구조화된 과제의 문제해결을 위하여 학습자들에게 인지적·메타인지적 곤란감을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학습자 스스로 학습을 내면화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스캐폴딩이 요구된다. 특히 멀티미디어 기반 학습환경의 경우 다양한 멀티미디어 자원들이 이러한 스캐폴딩을 지원하기 위해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적절한 스캐폴딩 전략이 고안될 필요가 있다. 스캐폴딩에 관한 선행연구들은 학습자의 문제해결지원을 위해 개념적, 전략적, 메타 인지적 스캐폴딩이 사용될 수 있다고 제시한다. 이러한 스캐폴딩은 문제중심학습의 학습과정상의 특성을 고려하여 제시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멀티미디어 환경에서 문제중 심학습의 학습과정 단계에 따라 활용될 수 있는 스캐폴딩 유형과 사례를 검토한 후, 문제표상, 해결책개발, 해결책 검토 및 평가의 단계별로 효과적인 스캐폴딩 설계원리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멀티미디어 환경에서 성공적인 문제중심학습을 위해 문제해결과정의 각 단계별로 적용할 수 있는 스캐폴딩 설계원리들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Problem-based learning needs scaffolding for making students-centered learning environments because the complexities of the ill-structured tasks bring about cognitive.metacognitive challenges to students. A variety of learning resources can also bring challenges to students such as audio, video, animation, and so on in a multimedia learning environment. Previous studies on scaffoldings suggest that three types of scaffoldings(conceptual scaffolding, procedural scaffolding, and metacognitive scaffolding) have been used to support students problem solving according to the process of problem solving such as problem representation, solution development, and monitoring and evaluation of solutions during problem-based learning. Given the difference of problem solving processes, these scaffoldings should be provided differently to support students learning appropriately. Thus, this study first, explored different types of scaffoldings and their examples in a multimedia learning environment. Instructional design principles then, were suggested to scaffold different processes of problem solving (problem representation, solution development, and monitoring and evaluation of solution). The suggested scaffolding design principles are expected to provide instructional designers with useful strategies that can be employed for the development of a multimedia based problem-based learning.

      • KCI등재

        교회학교 교사교육을 위한 문제중심 학습법의 사용-교사교육 프로그램에서 사용된 문제중심 학습법의 효과에 대한 한국 교회학교 교사들의 인식 연구-

        이수인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14 기독교교육논총 Vol.37 No.-

        There is a hunger for effective teacher equipping programs for adultvolunteer teachers in the educational ministry of today’s churches. Inaddition, these programs for volunteer teachers need to be well-suitedfor adult learners and relevant to their real-life situations. The purposeof this qualitative study is to explore the effects of Problem-BasedLearning (PBL) in volunteer teacher training programs in a church inSouth Korea. A grounded theory study was utilized in order to comparechurch school teachers’ perceptions of the impact of traditionalLecture-Based Learning (LBL) and PBL upon their learning process. InSpring 2011, participants of this research participated in a volunteerteacher training program (total 8 weeks) primarily designed using LBL( week 1 t hrough 4 ) and PBL approaches ( week 5 through 8 ). T his studyutilized observations by the researcher, open-ended surveys, andinterviews to collect data from the church school teachers in a KoreanPresbyterian church in Anyang, Korea.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through the procedures of a grounded theory study. Based on the datacollected and analyzed in this study, the researcher could makehypotheses that described the participants’ perceptions of PBL and theirPBL experiences. First, PBL can shift the center of learning from the teachers to thelearners in a Korean church school teacher training program. Second,the participants of PBL will yearn to apply the PBL approaches in theirown teaching contexts. Third, the unfamiliarity of PBL can be adifficulty to implement for a Korean church school teacher training programin Korea. Also, PBL seems to require more time to complete thetraining sessions compared to the traditional lecture-based pedagogies. 한국 교회의 수적, 질적 감소와 주일학교 교육의 침체에 대한 원인을 여러 가지에서 찾을 수 있으나 많은 전문가들은 교회 주일학교 교사들이 충분하고 효과적인 훈련을 받지못하기 때문이라고 한다. 이와 같이 교회의 교육사역을 위해 효과적으로 교사들을 교육하는 것에 대한 갈망은 어느 교회나 가지고 있을 것이다. 또한 이러한 성인교사교육 프로그램들은 성인 학습자로서의 그들의 특성과 그들의 상황과 잘 어울리는 것이어야 한다. 이질적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한 지역교회의 교사교육 프로그램에서 사용된 문제 중심 학습법(Problem-based Learning)의 효과가 무엇인지 탐구하는 것이다. 그리고 문제중심 학습법만의 효과가 무엇인지 보다 분명하게 살펴보기 위해 이 연구에서는 전통적인 강의중심 교수법과 문제중심 학습법에 참여한 교사들이 각 교수법의 효과를 어떻게 다르게 인식했는지살펴보았다. 이 연구의 참여자들은 총 8주짜리 교사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게 되었다. 그들은 처음 4주(1주-4주) 동안은 강의중심 교수법을 통해 교육을 받았고, 그 다음 4주(5주-8주)의 기간에는 문제중심 학습법을 통해 교육을 받았다. 교육을 하는 동안 연구자는 참여자들의 반응을 관찰했고, 연구가 마친 후 간단한 설문조사를 했다. 또한 20명의 교사들을 심도 있게 인터뷰 했고, 나중에 분석한 데이터를 가지고 그룹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이번 연구에 참여한 한국 주일학교 교사들의 인식에 의하면, 문제중심 학습법은 학습자들의 배움의 과정에 결정적인 변화를 가져옴을 발견하게 되었다. 전통적인 교수방법과는 대조적으로, 문제중심 학습법은 학생들이 자신들의 학습에 가장 주요한 행위자가 되도록 하였다. 그들은 주어진 문제중심 학습법의 프로젝트를 그들 스스로 계획하고, 관리하고 시행해나갔고, 그 결과 다양한 소스로부터 배울 수 있었다. 이러한 모든 학습과정은 귀납적으로 이루어졌고, 학습자들 자신이 그들의 배움의 출발점이었다. 또한 이러한 학습 과정에 있어서의 극적인 변화는 참여자들의 배움에 큰 영향을 미쳤고 다양한 긍정적인 효과들을 산출하였다. 학습에 대한 그들의 태도도 보다 긍정적으로 바뀌었고, 자신들이 배운 것을 각자의 가르침의 사역의 현장에 접목하고 적용하려 하였다. 이와 같이 분석된 데이터에 근거해서 연구자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첫째, 문제중심 학습법은 학습의 중심을 교사에서 학생으로 전환시켰다. 둘째, 문제중심 학습법에 참여한 교사들은 자신들의 교육 사역에 이 교수법을 적용하고 싶어 했다. 셋째, 그러나 문제중심 학습법에 대한 참여자들의 낯설음은 향후 교사교육 프로그램에서 사용하는데 어려움이 될 수도 있고 또한 문제중심 학습법은 훈련과정을 마치는데 더 많은 시간을 요구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