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춘추전국(春秋戰國)시대 제자백가(諸子百家)의 언어문자관에 나타난 문화사적 의의 연구

        문승용 중국학연구회 2019 중국학연구 Vol.- No.88

        "During the Shang(商) dynasty Shell-and-bone characters(甲骨文字) are pieces of ox scapula or turtle plastron, which were used for pyromancy to receive revelation from Shangdi(上帝). The Shang dynasty has passed, and the humanities era of the Zhou(周) dynasty has begun. There were three major “schools” of philosophy, Confucianism, Daoism and Legalism. play a central role. They maintained many theories of linguistic script. The main point of the theory is that their linguistic script ideas contained elements of political epistemology. After Sunzi and Hanfeizi there are many advances in the field of linguistic script theoriy. They made mention of the Arbitrariness, Sociality and a political nature in languamge. These has been an inherent part of Chinese culture and tradition." "중국 문자의 원형이라고 할 수 있는 상(商)대 갑골문자(甲骨文字)와 중국 인문학의 시작을 연 춘추전국시기 제자백가의 다양한 사상 안에 나타난 언어문자관이 이후 중국인의 사유 체계로 형성되어 오늘날까지 중국의 고유한 문화 양상의 토대를 이루고 있다. 본고에서는 첫 번째로, 상대 갑골문자의 주술적 양상과 통치도구로서의 역할이 어떠하였는지 그리고 고대 중국의 인문시대를 열었다고 평가할 수 있는 춘추시대에 이르러서 제자백가 가운데 공자의 유가와 노자의 도가 사상에 나타난 언어문자관에서 인문적 요소는 어떻게 형성되고 발전하였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두 번째로, 한(漢)대 허신(許愼)이 설문해자의 서문에서 “문자라는 것은 제왕의 조정에서 그것으로 정치교화를 펴고, 도덕교화를 밝히는 것이다.(文者, 宣敎明化於王者朝廷)”라고 하였던 것처럼, 고대 중국에서 문자는 일찍이 정치교화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서 하늘의 권위를 빌어 고안되어 생성된 것이라는 인식이 있었다. 제정일치(祭政一致)의 신정(神政)시대였던 상나라에 이어 들어선 주(周) 왕실에서는 하늘[天]로부터 그들 왕조의 정통성을 위임받아서 인문적 통치 질서를 세우고자 하는 이념을 지향하였다. 이때 중국사상의 원천인 제자백가가 형성되었고, 이들 가운데 중국 사상의 주류인 공자의 유가와 노자의 도가사상은 학술방면에서뿐만 아니라 언어문자관의 형성과 전개에 큰 영향을 끼쳤으며, 공자의 정명론(正名論)과 노자의 언어부정론 등은 서로 상반된 것처럼 보이지만 중국 언어문자관의 두 줄기로서 오늘날까지 이어오고 있다. 세 번째로, 주나라 말기인 전국시대에 이르러서 순자(荀子)와 한비자(韓非子) 등에 의하여 좀 더 구체적이며 이론적인 언어문자관이 제시되었다. 언어문자 생성에 관한 논의와 인식에 대한 순자의 논의주장은 공자의 정명론(正名論)을 계승하였으며 언어 생성의 특성을 ‘자의성(恣意性)’이라고 천명한 부문은 노자의 이론을 받아들인 것이기도 하다. 이후 등장한 한비자의 언어문자관은 좀 더 발전된 양상을 보이는데, 언어문자의 자의성과 언어문자의 생성은 인간 고유의 능력이라는 점 등을 천명하였던 것 그리고 그의 형명지학(刑名之學)은 진시황제의 중국 통일의 밑거름이 되었고, 한(漢)대 이후 중국 왕조시대의 통치이념으로서 중국 역사와 문화에 끼친 영향력이 매우 크다는 점 등을 살펴보고자 한다."

      • KCI등재

        문자의 정의 - 문자란 무엇인가?

        김양진 국제어문학회 2023 국제어문 Vol.- No.96

        What is a writing system[文字]? A writing system is often defined as “a visual marker representing the communication system of the spoken language (i.e., spoken language).” The ‘writing system’ formed in this way represents the ‘language’ of human beings as the unity of ‘writing’ and ‘letters.’ According to the typological characteristics of languages, the research considered that humankind has searched for a suitable writing system for each language.As an isolated language, Chinese adopted ‘Chinese characters,’ not far from the hieroglyphic system, and has been operating the writing system continuously for thousands of years. Semitic languages such as Arabic, which are inflectional words of consonant roots, have accumulated their language knowledge for thousands of years since applying the Abjad, a consonant script. In languages that use agglutinative languages, the situation is a little different. Sumerian speakers, who first used hieroglyphs in human history, have gradually changed the way they use letters from hieroglyphs to word letters and from word letters to phonetic letters to express their language, which is an agglutinative language. Although it is a language of the same Altai family, Turkish and Uyghur lived a written life with an Arabic script and a consonant script. Mongolia and Manchu lived with an alphabetic script modified from an Arabic script. Moreover, Japanese is a native language that transforms Chinese characters into syllable characters. In the early days, Korean speakers borrowed Chinese characters and used the phonemic form as a form of syllabic characters (in the support notation) and then made the alphabetic characters ‘Hangeul.’When looking at the path the writing systems have developed, they are understood as ‘signs in an efficient way to visually express the spoken language of one’s own country (or ethnic group).’ It has an orientation that is wholly subordinated to the linguistic characteristics of one’s own country. On the other hand, all writing systems have secondary characteristics, including symbolism originating from the original picture. Therefore, an additional definition - “The visuality of the characters can be represented by iconizing the ‘thinking ability of mankind” - can be added here. Also, writing systems can be comprehensively redefined as “text is a ‘tool’ that permanently reproduces the verbal communication system ‘visually.’ It could also be viewed as an iconic sign system that conveys meaning by overcoming the temporal and spatial limitations of the ‘voice language’ of one’s own country (or ethnic group). 문자란 무엇인가. 문자는 흔히 문자는 “구어(즉 입말 언어)의 의사 소통 체계를 나타내는 시각적 표지”로 정의된다. ‘문자(文字)’는 ‘writing’과 ‘letter’의 통합체로서 인간의 ‘언어’를 나타내게 되는데 본고에서는 인류가 자신들이 가지고 있는 언어의 형태유형론적 특징에 따라 각 언어에 따른 적합한 문자 체계를 탐색해 왔다고 본다. 즉, 고립어인 중국어는 상형문자 체계로부터 멀지 않은 ‘한자(漢字)’를 채택하여 수천 년 동안 지속적으로 문자 체계를 운용해 왔고 자음어근형 굴절어인 아랍어 등 셈어계 언어들은 자음문자인 아브자드 방식을 적용한 이래 역시 수천 년 넘게 자신들의 언어 지식을 누적해 왔다. 교착어를 쓰는 언어들은 사정이 좀 다르다. 인류 역사에서 최초로 상형문자를 사용한 수메르어 사용자들은 교착어인 자신들의 언어를 표기하기 위해 점차 상형문자로부터 단어문자로, 단어문자에서 음소문자로 문자 사용 방식을 바꾸어왔다. 같은 알타이 계통의 언어이면서 터키어나 위구르어는 자음문자인 아랍문자로, 몽골이나 만주어는 아랍문자에서 변형된 알파벳 문자로 문자 생활을 영위했으며 일본어는 한자어를 음절문자로 변형해서 자국어를 표기하고 있고 한국어 화자들은 초기에 한자를 빌어 음소문자적 형식을 절충한(받침표기에서) 음절문자의 형식으로 사용하다가 알파벳 자모문자인 ‘한글’을 만들어 지금에 이르고 있다. 이와 같이 문자가 걸어온 길을 더듬어 볼 때, 문자란 ‘자국(혹은 자민족)의 음성 언어를 시각적으로 표기하기 위한 효율적 방식의 기호’로 이해되며 이는 철저하게 자국의 언어적 특성에 종속되는 정향성(定向性, orientedness)을 지니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한편 모든 문자는 이러한 정향성 이외에 본래 그림으로부터 출발한 상징성을 포함하는 부차적인 성격을 지니고 있으므로, 문자란 “‘시각적’으로 구어 의사소통 체계를 항구적으로 재현하는 ‘도구’이며 ‘음성 언어’의 시간적, 공간적 제약을 극복하여 의미를 전달하는 기호 체계”라는 정의에, “‘음성 언어’의 형태유형론적 특성을 반영하기 위해 탐색해 온 최적의 ‘시각 표기 체계’”라는 정의를 덧붙여 재정의할 수 있다.

      • KCI등재

        러시아의 문자개혁 정책과 소수 민족어의 문제 - 문자개혁 정책의 역사적 흐름과 그 길항에 대하여 -

        류현국,이상혁 한성어문학회 2023 漢城語文學 Vol.48 No.-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outline the history of Russian language policy developed before and after the Russian Revolution in October 1917, and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 flow and direction of Russian writing reform in the historical context. In addition, We wanted to examine how the change of Russian text reform was related to the problem of ethnic languages ​​at the time. First of all, this paper dealt with the problem of simplification of Cyrillic script for Russian modernization. The writing reform of Peter the Great was the introduction of secular writing along with the simplification of the Cyrillic script. Through this, Russia as a country in Europe provided an opportunity to promote its modern advancement. Russia, where language communication was inefficient, pursued the efficiency of writing on the road to modernization. Second, we looked at the Sovietization policy based on Latin scripts in the 1920s. After the Russian Revolution, the language policy of the Soviet Union led by Lenin was to strengthen national autonomy and to improve the status of ethnic languages ​​as part of the policy of inculturation. It was a measure of respect for all members of the Soviet Union and the first attempt at internationalism of language. As part of the communist policy toward Western Europe, there was a concrete linguistic practice called the conversion of the Latin script of the writing system in Russia during the Lenin era. Third, the monolingual policy and Cyrillic script policy of the 1930s were examined. With the advent of Stalin, from the mid-1930s, the policy of single-state language was strengthened by the policy of Sovietization, that is, Russianization. The Latin script of the previous period was abandoned and the Russian Cyrillic script was forcibly converted in a short period of time. Unlike the ideals of the early Soviets, Stalin's national language policy was a policy that thoroughly divided Russia in the center and Russia in the periphery on the basis of pan-Russianism. This policy did not take into account minorities and their national languages. Finally, the relationship between Stalin's language policy and the problem of ethnic languages ​​was examined. Minorities without writing had no choice but to assimilate into the Stalinist Cyrillic policy. However, because the Russian-Korean(고려인) were a minority ethnic group with the ‘Hangeul’ script, there was room to protect their language rights to some extent despite the pressure of the Russian-centered Cyrillic policy. In the end, the language policy of the Soviet Union for about 70 years was a coexistence of the national language and the bilingualism of Russian, contrary to the intention of the federal central government to make Russian the only national language. And in such a macro-flow, there was a change in the writing policy. What is clear is that although the Soviet language policy had a compulsory intention, it was a language policy with a certain degree of flexibility when viewed from a historical context. it was unique and unprecedented in world history. 이 논문은 1917년 10월 러시아 혁명 전후로 전개된 러시아 언어 정책의 역사를 개괄하고 그 역사적 맥락에서 러시아의 문자 개혁의 특징적인 흐름과 지향을 살펴보는 데 있다. 또한 러시아의 문자 개혁의 흐름이 당시 소수 민족어의 문제와 어떻게 연관되고 있는지 함께 고찰해 보고자 했다. 우선 이 논문에서는 러시아 근대화를 위한 키릴문자의 간략화 문제를 다루었다. 표트르 대제의 문자개혁은 키릴 문자의 간략화에 따른 세속 문자의 도입이었다. 두 번째로 1920년대 라틴문자에 기반한 소비에트화 정책을 살펴보았다. 러시아 혁명 후 레닌에 의해 주도된 소련의 언어정책은 민족 자율성 강화와 토착화 정책의 일환으로 소수 민족 언어의 지위 향상에 있었다. 그것은 언어의 국제주의를 위한 첫 시도였다. 세 번째로 1930년대 스탈린의 등장과 함께 단일언어 정책과 키릴문자화 정책을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스탈린의 언어정책과 소수 민족어의 문제 사이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그 상황 속에서 고려인은 ‘한글’ 문자를 가진 소수민족이었기 때문에 러시아어 중심의 키릴화 정책의 강제 속에서도 어느 정도 언어 권리를 지킬 수 있는 여지가 있었다. 약 70년 간 소련의 언어정책은 연방 중앙정부가 러시아어를 사실상 유일한 국어로 삼으려 했던 의도와는 달리 민족어와 러시아어의 이중언어 사용의 병립이었다. 그리고 그러한 거시적인 흐름 속에서 문자 정책의 변혁이 있었다. 소련의 언어정책이 강제적인 의도를 가졌음에도 어느 정도의 유연성을 동반한 언어정책이었고, 세계 역사상 유래 없는 독특한 것이었다.

      • KCI등재

        디드로의 『농아에 대한 편지에 나타난 상형문자에 대하여

        정상현 프랑스문화예술학회 2023 프랑스문화예술연구 Vol.83 No.-

        디드로는 『농아에 대한 편지』에서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상형문자라는 표현을 사용하였다. 그는 시, 회화, 음악 세 가지 예술 분야에서 그 상형문자적 특징을 고찰한다. 그에 따르면, 상형문자는 상상력의 발휘와 이미지 환기를 목적으로 하여, 하나의 표현으로 여러 가지 뜻을 내포하는 시적 언어로 요약할 수 있다. 디드로의 언어표현에 대한 고뇌가 담겨 있는 이 고찰은 농아의 몸 언어와 밀접한 연관이 있다. 디드로가 갈수록 정제되는 언어 문법을 넘어선 상형문자, 이런 표현이 가능하다면, ‘최상의 언어’를 『편지』에서 추구한 것은 “음성언어 이전의 표현 도구”인 상형문자와 음성언어의 실천이 불가능한 농아의 몸 언어 간의 시적 아날로지를 염두에 두었던 것이다. 움베르토 에코는 『유럽 문화 속의 이상적인 언어 탐구』에서 이미지와 몸 언어, 상형문자와 이 문자에 기초하여 만들어진 숫자를 “이상적인 언어”로 정리한 17, 18세기 사상가들의 연구를 소개하며, “이상적인 언어 탐구”를 할 때 이 유무형의 언어적 표현이 그 유연성과 독창성으로 연구자들에게 매력적인 문자로 다가온다는 사실을 확인하고 있다. 이 언어학자가 몸 언어의 다층적 층위의 생산성과 상형문자의 미적 창조성을 탐구한 디드로를 소개하지는않았지만, 이상적인 언어를 궁구했던 이 철학자의 고뇌가 이 연구서 여기저기에 매설되어 있어, 완벽의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는 이 언어의 중요성이 또다시 주목받고 있다고 하겠다.

      • KCI등재후보

        음성언어와 문자언어의 교육방법 특성 비교

        김재봉(Chaebong Kim) 한국어교육연구학회 2023 한국어교육연구 Vol.- No.19

        이 연구는 문헌 연구의 방법을 통해 음성언어와 문자언어를 가르치는 방법을 달리해야 함을 탐색한 것이다.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음성언어 교육은 간접적인 가르침이 효과적이다. 뇌의 아미그달라는 정서(감성)를 담당하는데, 아미그달라를 스스로 통제할 수 있게 하려면 간접적으로 교육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둘째, 문자언어 교육은 직접적인 가르침이 효과적이다. 뇌의 탈라무스와 시각 피질은 주로 이성을 담당한다. 그런데 추상성을 띠는 문자언어는 탈라무스에서 시각 피질로 정보가 전달되면서 객관화되고, 이 과정에서 객관화된 정보는 아미그달라로 전달된다. 그래서 문자언어와 같이 객관화된 정보는 추상성이 강하기 때문에 직접적인 가르침이 효과적이다. 셋째, 토론 교육은 음성언어와 문자언어를 병용한다. 음성언어를 활용할 때는 아미그달라를 통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간접적인 가르침이 효과적이고, 문자언어를 활용할 때는 탈라무스와 시각 피질의 기능때문에 직접적인 가르침이 효과적이다. This study explored the need for different methods of teaching written and spoken language thotough the methods of literature research. The conclusion is as follows. First, in spoken language education, subsidiary point of teaching is effective. Amigdala in the brain is responsible for emotions, and it is effective to educate indirectly to allow Amigdala to control itself. Second, focal point of teaching is effective in written language education. The Thalamus and visual cortex of the brain are primarily responsible for reason. However, abstract written language is objectified as information is transmitted from Thalamus to visual cortex, and in this process, the objectified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Amigdala. Forcal point of teaching is effective because objectified information, such sa written language, has strong abstract. Third, debate education combines spoken and written language. When using spoken language, subsidiary point od teaching os effective to control Amigdala, and when using written langauge, focal point of teaching is effective because of the function of Thalamus and visual cortex.

      • KCI등재

        문자언어인식활동이 3세 유아의 문자언어인식, 글자-음절 대응관계 이해 및 읽기 흥미에 미치는 영향

        이영임,김영실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23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written language awareness activity on written language awareness, understanding of letter-sound correspondence, and reading interest among preschoolers. The subject of this research is 30 preschoolers in 2 classes aged 3 years from a kindergarten in J city, Jeollabuk-do. Research tools were WLAT adapted and corrected by Kim (1996), the Letter-Sound Correspondence Understanding Test of Yoon (1997a), and PPRAI adapted by Lim (1993). The research was performed in the order of training testers, pretest, preliminary research, teacher education, preliminary examination experiment, and post-examination. The written language awareness activities designed by researchers focusing on written language awareness based on references were performed twice a week, a total of 20 times for 10 weeks. The written language awareness activity is composed of 3 steps; paying attention to the function and shape of text, utilizing text, and sharing text activity results. The result shows that written language awareness activity has positive effects on written language awareness, understanding of letter-sound correspondence, and reading interest among preschooler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suggests a systemic model of teaching for written language awareness activity, and provides concrete data to be applied in the field of education for preschoolers. 본 연구에서는 문자언어인식활동이 3세 유아의 문자언어인식, 글자-음절 대응관계 이해 및 읽기 흥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전라북도 J시에 소재한 유치원의 3세 2학급 유아 30명이다. 연구도구는 김영실(1996)이 번안하여 수정한 WLAT, 윤혜경(1997a)의 글자-음절 대응관계 이해 검사, 그리고 임원신(1993)이 번안한 PPRAI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문헌연구를 근거로 문자언어인식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자가 고안한 문자언어인식활동을 1주에 2회씩 10주간 총 20회 실시하였다. 문자언어인식활동은 글자 기능 및 형태에 관심 갖기, 글자 활용하기, 글자 활용 결과물 공유하기의 3단계로 구성되어있다. 연구 결과, 문자언어인식활동이 3세 유아의 문자언어인식, 글자-음절 대응관계 이해 및 읽기 흥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문자언어인식활동을 위한 체계적인 교수모형을 제시하고, 유아교육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자료를 제공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이중언어사용자의 표음문자 및 표의문자 반응시간 차이

        한보연(Han, Bo Yeon),박예지(Park, Ye Ji),배경란(Bae, Kyung Ran),임동선(Yim, Dong Sun)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4 특수교육 Vol.13 No.2

        표음문자는 음소나 음절을 상징으로, 표의문자는 표어를 상징으로 사용하며, 서로 다른 체계를 사용한다. 표음문자와 표의문자의 언어처리에서 읽기경로가 다르다는 선행연구들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표음문자-표음문자의 같은 경로를 사용한 읽기와 표음문자-표의문자의 다른 경로를 사용한 읽기 반응시간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대상자는 한국에 거주하는 평균나이 24세의 영어-한국어 이중언어자 10명, 중국어-한국어 이중언어자 10명이었다. E-Prime을 이용하여 그림-단어 대응과제를 실시하였으며, 한국어 공통과제와 혼합과제로 구성되었다. 실험결과 두 집단의 한국어 공통과제의 정반응률, 반응시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혼합과제의 단어과제에서 영어-한국어 이중언어자가 중국어-한국어 이중언어자보다 유의하게 빠른 평균 반응시간을 보였다. 반면, 그림과제에서는 영어-한국어 이중언어자가 중국어-한국어 이중언어자보다 빠른 평균을 보이긴 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는 두 문자의 처리 경로가 서로 다르다는 가설을 지지한다. Phonogram, which uses phonemes as a symbol, and Ideogram, which uses logogram as a symbol, have different character systems. Previous research has shown continuously that the pathway of reading is different in both characters for language processing. In this study, two different pathways of reading - the pathway using same path(phonogram-phonogram) and the pathway using different path(phonogram-ideogram) were compared.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there is any difference in the response time depending on the path conversion of characters processing. The participants were 10 English-Korean bilinguals(mean age=24 years old) and 10 Chinese-Korean bilinguals(mean age=24 years old). All of the experimental tasks were tested using E-prime. The task consists of Korean common task and Mixed task. Mixed task was composed of picture task and word task was presented in both languages alternately.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in the correct answer rate and the response time in the Korean common task. However, in the Mixed word task,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esponse time between the groups. In the Mixed picture task, English-Korean bilinguals were faster than Chinese-Korean bilinguals which did not reach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Results indicate that the pathways of each character system are different. Thus, it is supposed that those differences cause the response time to be delayed in the ‘ideogram-phonogram’ reading system.

      • KCI등재

        《대화서훈》의 언어론과 점복

        윤조철 종교문화비평학회 2019 종교문화비평 Vol.36 No.36

        In a sense, the history of thought of the Edo period in Japan was also the history of the theory of language. The fact that their ancient history was written in the Chinese script, and the perception that the letters and words did not coincide, bothered and at the same time gave stimulus to the people of the Edo period. This article examines Irumagawa Shigetsune’s manuscript Yamatoshokun from a linguistic point of view. In the early eighteenth century when the manuscript was published, the ideology of Japan was facing a so-called “linguistics situation,” while the Suika Shinto School of thought, to which Shigetsune belonged, was continuing to pay attention to Japanese studies. It was in this academic atmosphere that the Yamatoshokun was written. Subsequently, noting that the Yamatoshokun discussed Jindai moji (ancient Japanese script), we have reviewed major sources and theories about Jindai moji up to the first half of the eighteenth century. In the early theories, the perspective that explicitly linked Jindai moji and divination was unearthed, which may be traced back to the Japanese awareness of the Chinese culture at the time. Thereafter, theories that followed was by Tomobe Yasutaka, who was from the Suika Shinto school of thought, presented the object of Jindai moji, which is similar to the Japanese syllabary system. On the other hand, we point out that the context of the wide distribution of texts related to the Chinese phonological text Yunjing was because it was used as a diviner's manual for fortune telling using the writing or pronunciation of a person's name. The claim that Jindai moji originated from the divination tradition and the fact that Yunjing was used in the divination shows the connection between theory and divination in the era of the Yamatoshokun. The Yamatoshokun shows an aspect of the Edo period, in which a reflection on language was used to gauge the distance from the Chinese culture and to form a “self” image in the process. On the other hand, the divination has also existed and cast a shadow not far from the language theory of that period. 어떤 의미에서 일본 에도시대의 사상사는 언어론의 역사이기도 했다. 그 시대에 언어론은 사상에 영감을 부여했으며 역으로 사상은 언어론으로 수렴되었다. 자국의 고대사가 외래의 한자로 기록되었다는 사실, 문자와 말이 일치하지 않는다는 인식은 당대의사람들을 괴롭히는 동시에 자극했다. 언어에 대한 각별한 관심이 국학(國學)에서 정밀하게 전개된 까닭에 일본어와 관련된 분야의 연구사에서는 국학에 특별한 지위를 부여하는 경향이 있지만, 본고는 국학 이전 단계의 언어론에 관심을 갖는다. 이 글에서는 언어론이라는 시각에서 이루마가와 시게쓰네의 《대화서훈》을 검토했다. 이 책이 출판된 18세기 초 근세 일본의 사상계는 이른바 ‘언어론적 상황’을 맞이하고있었으며, 다른 한편 시게쓰네가 속해 있던 스이카 신도파에서도 일본어 연구에 지속적인 관심을 기울이고 있었다. 이와 같은 시대적 학파적 배경 속에서 《대화서훈》이 출현했다. 이어서 《대화서훈》의 신대문자론에 주목하여 역대의 주요 자료들을 개관하고 시게쓰네와 관련되는 한에서 18세기 전반까지의 신대문자론을 살펴보았다. 초기 신대문자론에서도 신대문자와 점복을 결부시키는 관점이 등장하고 있는데 이는 중국문화를 의식한결과일 가능성이 있으리라고 추정하였다. 그러다가 스이카 신도파의 인물인 도모베 야스타카에 의해 오십음 배열의 신대문자 실물이 제시됨으로써 신대문자론은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게 된다고 평가했다. 한편 근세에 들어 중국 음운서인 《운경》 관련 서적이 광범위하게 유포된 배경에는이 책이 성명 판단을 위한 점복서로 활용되었기 때문이라는 사실을 지적했다. 신대문자의 점복기원론과 《운경》을 이용한 성명 판단은 《대화서훈》이 놓인 시대에서의 언어론과점복의 결합을 느슨하게나마 보여주고 있다. 《대화서훈》은 언어에 대한 성찰을 통해 중국 문화와의 거리를 가늠하고 그 과정에서 ‘자기’상(像)을 형성해 갔던 일본 근세의 일면을 보여주고 있다. 한편 점복 또한 당대의 언어론 및 언어현상과 멀지 않은 거리에서 존재하면서 그림자를 드리우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게 된다.

      • KCI등재

        온라인 학습 환경에서의 비언어 텍스트에 대한 개념적 고찰

        이혜정(李惠貞),최효선(崔孝先)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0 아시아교육연구 Vol.11 No.4

        비언어적 요소나 단서는 인간의 의사소통의 근본적인 요소이다. 그러나 교육을 위한 공간이 온라인으로 확대되면서 교육을 위해 필요한 의사소통에 몸짓이나 표정, 목소리 톤과 같은 전통적인 비언어적 단서나 뉘앙스 제공은 제한되거나 불가능해졌다. 이러한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 나타난 것이 비언어 텍스트이다. 비언어 텍스트는 그간 교수?{학습에서 적극적으로 활용을 독려해온 요소라기보다는 기존 언어 문법을 따르지 않는다는 이유로 언어파괴의 주범 및 교정의 대상이 되어 왔다. 그러나 비언어 텍스트를 활용보다는 지양의 대상으로 보아야 하는 이유에 대해서는 근본적 개념 고찰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비언어 텍스트의 본질적 속성을 면밀하게 고찰해 보고, 그 속성을 이론적으로 논의하여 개념적 틀을 정립해 보고자 하였다. 논의 결과를 정리해 보면, 비언어 텍스트는 ‘말’의 속성인 ‘구술성(orality)’과 ‘글’의 속성인 ‘문자성(literacy)’을 동시에 가지며, 이에 더하여 ‘말과 같은 글’의 속성이 두드러지게 되는데, 본 연구에서는 이를 ‘2차 문자성(Secondary Literacy)’으로 개념화하고 있다. 또한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개념적 확장의 근거를, 컴퓨터와 네트워크의 결합으로 가능하게 된 비언어 텍스트 구현 매체의 “동시성(synchronousity)”이라는 속성에서 찾고 있다. 마지막으로 이를 ‘글’로 정리된 지식을 ‘말’로 풀어 전달하는 ‘강의’라는 교육의 원형과 연결지어 교수학습의 상호작용에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Non-verbal elements and cues are basic components in human communication. However, as the space for educations expands to online environments, non-verbal cues such as gestures or eye-contacts are limited or become impossible. Non-verbal texts appear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offering non-verbal cues. However, non-verbal texts like emoticons in teaching and learning are not promoted to improve learning.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non-verbal text and explored the possibility of using actively in online teaching and learning. A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classified into orality, literacy, and second literacy with synchronism based on Ong"s suggestion. And then we identified as non-verbal texts have the "secondary literacy" which presents literacy based on the "orality". As technologies are advanced, non-verbal texts with synchronism could appear. The non-verbal texts could play an important role of improving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Therefore, non-verbal text are very important technology in online teaching and learning. It is important to design for using non-verbal texts in online teaching and learning environments.

      • The Graphemes in Korean Orthography

        Gim, Sangtae 청주대학교 학술연구소 2005 淸大學術論集 Vol.3 No.S

        문자는 시각적 기호를 통하여 인간상호 간의 의사소통을 하기 위한 관습적ㆍ규약적 체계를 말한다. 인간의 일차적인 의사소통방식을 말(speech)이라고 한다면 문자는 이차적인 의사소통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문자언어는 음성언어를 기반으로 언어를 시각적으로 나타내기 위해 각 언어 사회에서 관습화되고 제도화된 쓰기체계이다. 음성언어는 선형적인 연속성을 갖지만, 문자언어는 부분 부분의 구분이 명확해야 한다. 구분의 단위로서 명확한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는 형태소, 단어, 구, 절 등이 있으나, 일상적으로 사용되는 문자는 모두 단어를 단위로 설정되어 있다. 문자는 단어를 쓰는 것이 목적이며, 일정한 의미를 일정한 문자에 결부시키는 것이 그 기능이다. 이러한 문자는 일반적으로 고정된 서법체계, 즉 정서법(orthography)을 가지고 있으므로 음성 언어(spoken language)에 비해 변이가 적으며 시간과 공간을 초월하여 전달될 수 있는 특징을 지닌다. 본고에서는 문자언어와 음성언어의 특성을 토대로 하여 문자와 말은 독립적인 언어 층위로서 시각적 형상의 기능 단위인 자소와 음성의 기능 단위인 음소를 전혀 다른 독립된 체계로 보고 한글맞춤법의 자소체계를 고찰해 보왔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