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북한의 석탄산업과 북․중무역에 관한 연구:북한 순천탄광지구를 중심으로

        정은이 한국동북아학회 2016 한국동북아논총 Vol.21 No.1

        As Sino-North Korea trade is activated, number and scale of foreign currency earning company have been increased and enlarged. However, as shown on a case of Musan iron ore mining site, such trend is not applied to all the sectors but limited to market-linked sectors. These enterprises were mushroomed in the same business category even though scale is small and profit is marginal and induced 'competition'. Moreover, they were regionally burgeoned based on resources distribution, natural condition, distance from the market, labor force distribution and provided laborers with wages and income source by absorbing local labor force and stimulated consumption. Even general residents could accumulate wealth personally. In a general perspective of North Korea, burgeoning of this phenomenon induces regional gap based on export source but it opens a possibility that comparative superiority of that region could be utilized as much in the future. This case reminds Hyangjin Enterprise of China that was developed by having income source locally. Therefore, foreign currency earning company being formed in diversified ways could be comparatively researched with Hyangjin Enterprise model of china in diversified ways. 이 논문은 다양한 실증적 자료를 토대로 북한순천탄광지구를 중심으로 지난 20년간 진행된 북·중 무역을 통해 북한경제구조의 변화를 분석했다. 분석결과, 외화벌이생산기지의 수가 증가했으며, 이에 따라 시장적 요소가 증대되었다. 즉 북한에서 무역을 최종적으로 실현하는 경제단위는 ‘와꾸(무역허가권)’를 획득한 상급 무역회사지만 이들의 무역행위를 가능하게 하는 원천은 무역회사의 말단 생산단위인 ‘외화벌이회사’였다. 특히 특권기관의 상급무역회사는 무역이 증가해도 ‘와꾸’라는 제도적 장벽으로 인해 증가하는데 한계가 있다. 반면에 외화벌이생산기지는 생산 말단단위로서 시장수요에 맞게 대응해야 한다. 즉 무역회사는 소수 특권기관이 점유하는 독과점구조라면, 외화벌이회사는 소규모지만 적은 이윤을 보고도 같은 업종에서 우후죽순처럼 생겨나는 경쟁구조로 변모했다. 그런데 ‘경쟁’은 체제이행에서 중요하다. 물론 경쟁의 생성원리가 모든 외화벌이회사에 적용되는 것은 아니다. 시장과 연계를 가지고 ‘최소비용으로 최대효용’이라는 목표가 실현가능한 부분에서 생겨난다. 더욱이 외화벌이회사는 자원분포, 자연조건, 시장과 인접도, 노동력분포 등 지역에 원천을 두고 싹텄다. 이는 지역노동력을 흡수해 임금과 소득원천을 제공하고 그 지역의 소비를 자극하는 선순환구조를 형성했다. 특히 일반계층도 외화축재(蓄財)를 가능하게 했다. 북한경제의 ‘달러화(dollarization)’현상의 기원을 찾을 수 있다. 이러한 외화벌이회사의 증대는 수출원천지를 중심으로 지역격차를 유발하지만, 한편으로는 지역의 비교우의를 활용할 가능성을 열어준다. 외화벌이의 작동메커니즘은 지역에 원천을 두고 발전한 중국의 ‘향진기업’을 상기시킨다. 향진기업은 농가소득을 증대시키고 농업노동력을 흡수해 농촌공업화를 견인했다. 나아가 이들의 양적·질적 성장은 시장경제로의 전환하는데 결정적 역할을 했다. 도시에 비해 통제가 덜한 농촌기업의 성장은 국유기업과 경쟁 및 시장화를 촉진했다. 따라서 외화벌이회사는 중국의 향진기업모델과 비교연구·활용될 가능성을 열어둔다.

      • KCI등재

        일제강점기 마산지역 조선인 회사 생존기 - 원동무역주식회사를 중심으로 -

        김예슬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22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 No.110

        This study analyzed the executives, capital and operation of Wondong Trading Company a representative Korean company located in Masan, by period based on ≪List of full-time executives and personal information of 元東貿易(株)≫. It was to reveal the status of the company's existence. Through this study, (1) The Wondong Trading Company was established in December 1919 under the leadership of Koreans from Masanpo, and it was confirmed that some national activists, such as Myeong-Doseok, who led the March 1st Movement in Masan, and Jeong-Jaewan, who worked hard to finance the independence movement through Baeksan Trading Co. In addition, it is judged that the reason that 'domestic and foreign product trade and consignment sales' was promoted as the business purpose of the company at the time of its establishment was to respond to the situation of a local product collection center and a Japanese company monopolizing the transportation warehouse and distribution business. (2) In the 1930s, it was confirmed that Wondong Trading Company expanded its executives and capital composition from its establishment, but still had a high proportion of Masanpo Koreans, and continued to participate in local education and social activities such as participation in commerce and industry promotion discussion meetings. In addition, as the participants of the national movement continued to take on the role of executives, new administrative bureaucrats entered the company, and the two groups with opposite personalities coexisted. During this period, the business purpose of the company was changed to rice sales business according to the regional economy transforming into a rice collecting center. (3) In the 1940s, Wondong Trading Company gradually decreased in the number of executives from Masanpo, and was operated separately as a head office (Gyeongseongbu) and branch (Masanbu and Busanbu). In particular, in May 1939, when Jo-Jooyoung took office as the CEO and a major shareholder with 1/3 of all stocks, it was judged that the company was effectively managed by a single person. During this period, the company operated a designated rice mill in Gyeongnam and made a large amount of national defense donations from 1940 to 1941. In short, Wondong Trading Company was established in December 1919 under the leadership of the Koreans in Masanpo, advocating nationalist consciousness. In the 1940s, it was placed under the influence of a small number of executives and participated in the Japanese-controlled economy, transforming the anti-Japanese consciousness into a somewhat faded form. Nevertheless, the company was closed for as long as 26 years or remained until liberation without being absorbed or merged with Japanese companies, showing how Korean companies in the local economy under Japanese colonial rule changed and survived. 본 연구는 ≪元東貿易(株) 전 중역 명단 및 인적사항≫을 바탕으로 마산의 대표적인 조선인 회사 원동무역(주)의 중역, 자본, 운영에 관해 시기별로 분석하여, 일제강점하 지역경제 속 조선인 회사의 존속 실태를 밝히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 연구를 통하여, (1) 원동무역(주)은 1919년 12월 마산포 출신의 조선인들 주도 아래 세워졌고, 민족주의 의식을 표방한 만큼 마산의 3‧1운동을 이끈 明道奭, 백산무역(주)을 통해 독립운동 자금 조달에 힘쓴 鄭在涴 등 민족운동가들의 일부 참여도 이루어졌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설립기에 회사 운영 목적으로 ‘내외국물산 무역 및 위탁매매’를 내세웠던 것은 인근지역의 물산집산지가 된 상황과 지역 내외의 운수창고 및 유통업을 독점하고 있는 일본인 회사에 대응하기 위함으로 판단된다. (2) 1930년대 원동무역(주)은 설립기보다 중역과 자본 구성이 확장되었으나, 여전히 마산포 조선인의 비중이 높고, 상공업 진흥 좌담회 참여, 癩豫防 기부, 교육 및 극빈자 구제비 지원 등 지역교육과 사회활동에 지속적으로 참가했음을 확인하였다. 또, 明道奭, 金轍斗, 李祐植 등 민족운동 참여자들이 계속해서 중역을 담당한 상황에서 새롭게 내서면 面協議員인 金喆祚, 固城邑會議員인 朴相堯, 府會議員인 金駿榮 등 일제강점하 행정관료 출신들이 회사로 진출하면서, 상반된 성격의 두 그룹이 공존하는 모습도 보였다. 아울러, 이 시기에 회사는 미곡집산지로 변모하는 지역경제에 따라 사업목적이 미곡판매업으로 변화되어 운영되었다. (3) 1940년대 원동무역(주)은 점차 마산포 출신 중역 수가 감소하고, 본점(경성부), 지점(마산부와 부산부)으로 분리되어 운영되면서, 더 이상 마산포 조선인의 회사, 지역회사만으로 볼 수 없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1939년 5월 趙柱泳(경성부)이 대표와 전 주식 중 1/3을 소유한 대주주로 취임하면서 사실상 1인 독점으로 회사가 경영되었을 것으로 판단되었고, 나아가 이 시기 회사는 경남의 指定 精米工塲을 운영하며, 1940년~1941년에 걸쳐 많은 액수의 국방헌금을 하였는데, 일제의 통제경제에 참여하는 모습을 통해 초창기에 내세웠던 취지가 옅어졌음을 알 수 있었다. 요컨대, 원동무역(주)은 1919년 12월 마산포의 조선인들 주도 아래 민족주의 의식을 표방하며 세워졌으나, 1940년대에 이르러 소수의 외지 조선인들 영향 아래 일제의 통제경제에 참여하며 항일의식이 다소 퇴색되는 모습으로 변모하였다. 그럼에도 이 회사는 무려 26년간 폐업되거나, 일본인 회사에 흡수‧병합되지 않고 해방 전까지 존속됨으로써, 일제강점하 지역경제 속 조선인 회사가 어떻게 변해가며 생존하는지 그 실태를 보여주었다.

      • KCI등재

        무역계약 촉진을 위한 무역전시회 활용 방안에 관한 연구

        서문성(Mun-Sung Seo) 한국국제상학회 2010 國際商學 Vol.25 No.3

        최근에는 전통적인 상품 무역 거래와는 다른 특수거래 형태로서 특허권, 상표권, 의장(디자인)권, 실용신안권 따위의 산업소유권이나 노하우 등을 수출하고 로열티를 받는 수출도 늘고 있으나 우리나라의 경우 여전히 상품 수출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무역 기업이 수출드라이브 시대를 본격적으로 시작한 이래 전통의 재래산업에서 자동차, 반도체, 핸드폰 등의 ICT산업과 물류산업 등의 고부가가치산업 위주로 패러다임이 바뀌고 있으나, 아직도 무역기업이 수출업무에 있어서 애로사항은 해외시장에 대한 어려움이 여전히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 국간 거래의 어려움은 계약의 중요성을 더욱 높여주고 있으며, 이머징 마켓 개척 시에는 수출입 이행력이 있는 계약 당사자를 발굴하는 것이 관건이나 이러한 발굴은 대기업뿐만 아니라 중소수출입기업에는 더 큰 어려움으로 나타나고 있다. 계약에 대한 이행력 있는 수출입 당사자 발굴은 계약의 효율성을 높이는데, 개개의 무역 거래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필요한 전제조건으로 목표시장, 대상상품, 거래처 선정과 계약 체결과 이에 대한 성실한 이행이다. 최근 상공회의소 조사에 따르면 수출 중소기업의 93.4%가 해외사업 추진과정에서 애로를 겪고 있다고 응답 했으며, 애로 유형으로는 전시회참가 애로(41.1%),를 많이 지적 하였다. 다음으로 해외시장 정보부족(17.5%), 수출절차상 애로(16.8%), 무역금융애로(9.9%) 등으로 나타났으며, 효율적이고 이행력 있는 수출입 기업을 발굴 하기위해서는 수출거래의 개시에 앞서서 해외시장에 대한 조사가 철저하게 이루어져야하며, 여러 해외시장 조사를 수행하는 해외 유수의 많은 기업들도 무역전시회를 활용하고 있는 데서도 알 수 있다. 다른 나라 기업들도 무역전시회의 특성을 살려서 수출입 효율성을 제고 하고 상품 수출 증대에 적극 활용 하고 있으며, 우리나라 대기업들도 무역전시 활용성이 증대 되고 있는데, 수출입 기업들의 무역전시회 활용 제고에 대한 전략이 필요 하며, 무역전시회도 향후 수출입기업의 유관산업의 동력으로 성장을 할 수 있도록 육성 하고 국제적인 경쟁력을 확보 하도록 하여 산업 간의 시너지를 가질 수 있도록 하여야 하겠다. 심화되어가고 있는 국제 경쟁 속에서 국가의 경제성장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고 수출입기업의 국제경쟁력 확보를 위해서는 무역전시회의 활용이 필요하며, 글로벌 기업뿐만 아니라 최근에는 각국의 수많은 기업들이 무역전시회를 활용 하고 있으며, 지식경제부에서도 지속적으로 유망무역전시회를 육성하여 해외바이어 발굴과 해외 유명전시회에 우리나라 무역기업의 참가 지원을 통해 수출입기업들을 실질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수출입기업들이 무역 계약의 효율성을 높이고 계약에 대한 이행력 있는 해외 수출입 기업들을 발굴하기 위해서는 무역전시회를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으며, 무역전시회의 관련 산업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무역전시장을 중심으로 하는 무역 전시산업은 국가 경쟁력 차원에서 무역인프라 확충 등에 기여 하고 무역전시기획사 등은 무역전시회 개최와 관련된 기업들에는 고부가가치 서비스 산업으로 발전한다는 점에서 중요하며, 국가적 차원에서의 무역전시산업의 중요성은 무역인프라의 확충을 통한 수출기반을 강화하고, 교역ㆍ투자증진, 고용확대 등의 효과가 있다. 또한, 막대한 재원을 투입한 무역전시장 시설의 활용도를 제고함으로써, 공공재로서의 역할 강화와 국내무역전시회의 발전은 국내 수출기업의 해외 유명전시회 참가 지원정책의 내실화에도 기여하게 되며. 수출입 기업의 해외시장 조사와 개척에 등 무역실무상의 애로 해소에도 큰 기여를 하고 있다. 이러한 무역전시회는 크게 전시회가 열리는 전시장과 전시회를 주최하는 무역 전시 기획업 및 무역전시디자인ㆍ장치업, 운송업, 광고업등과 연계되어 있는 업종으로서 무역전시회를 통해서 실현되며, 무역전시분야는 제조업에서 서비스업, 중공업에서 경공업에 걸쳐서 매우 다양해 우리나라의 모든 수출입기업에서 활용이 가능하다. 수출입 중소기업에도 안정적인 구조를 조성하는 등의 무역인프라 확충에 기여 할 수 있으며, 무역 거래 및 정보비용을 최소화하고 신상품 소개 및 업계최신 정보를 접할 수 있는 등의 기회를 제공하며, 관련 산업에 부대효과가 높고 산업의 특성상 외화 가득률이 높으며, 건립되어 운영 중인 우리나라 주요 도시별 각 무역전시장은 지역산업의 특성을 살린 무역전시회가 열리고 있어 해외 바이어 유치 및 활용에도 유리한 작용을 하고 있다. International trade shows have become a significant promotional tool for exporters. However, little academic research has been used to examine the role of trade shows at the national level. In a dynamic international trade environment, it can affect the national economy along a number of channels. International trade shows havea strong correlation with economic growth. In this study, relevant literature is reviewed to identify strategies for the development of trade show industries that scholars and others claim are important influences on boosting the economy. Various policies are obtained from the case studies. This study explains why the government's support to the trade show industries is necessary and suggests national implications for developing theindustry. This study provides directions for research about international trade shows.

      • KCI등재

        중일전쟁 시기 조선의 대 삼국 무역정책과 무역실상

        송규진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05 民族文化硏究 Vol.43 No.-

        중일전쟁 이후 조선총독부는 대 제삼국 무역을 강조했는데 그 가운데에도 대 제삼국 수출에 가장 많은 비중을 두고 수출진흥을 위한 여러 가지 방안을 내놓게 되었다. 대 제삼국 무역의 조정기관으로 조선무역진흥주식회사가 설립되었지만 대 제삼국 무역진흥이 이루어지지 못함으로써 별다른 역할을 하지 못하고 1944년에 합병되어 버렸다. 태평양전쟁 발발 이후에는 제삼국 가운데에서도 ‘남방권’과의 교류만이 이루어졌고 기타 구미제국과의 관계는 거의 두절되었다. 중일전쟁 이후 조선무역은 조선경제를 연구했던 일본인학자들이 종래 주장해온 것과 같은 질적 발전을 하지 못하고 오히려 근본적인 취약성을 드러낼 뿐이었다. 조선무역관계자들은 조선무역의 문제점을 인식하면서도 기본적으로 조선무역이 발전할 것이라는 낙관적인 견해를 피력했지만 오히려 현상유지도 어려운 실정이었다. 다만 일제가 전쟁을 벌이면서 직접 물자공급을 해야 했던 ‘남방권’과는 수출만이 증가했다. 조선무역은 물자공급기지로서 일제의 전쟁수행을 위한 수단으로 이용되었을 따름이었다 Government-General emphasized trade with third countries and suggested various measures to promote this field. Following the outbreak of the Sino-Japanese War, the promotion of exports to third countries increasingly regarded as an important task and many relevant policies were introduced. As a result, the Chosǒn Trade Promotion Corporation was established as the organization regulation trade with third countries. However, these trade promotion policies failed and the corporation was merged with another one in 1944. After the Pacific War broke out, Chosǒn’s trade found itself limited to Southeast Asia. Choson’s trade during the Sino-Japanese War, being inherently flawed, did not develop as Japanese scholars had expected. In addition, Chosǒn’s Japanese traders recognized the problems associated with Chosǒn trade, most kept believing that Chosǒn trade would continue to develop. However, the reality was that even the status quo was hard to maintain. Only exports with Southeast Asian countries, areas where Japan had to assure the steady flow of much-needed supplies, increased. In conclusion, it is evident that the Chosǒn trade was simply used as a supply base to provide Japan with the means to wage war.

      • KCI등재

        논문 : 노예제 폐지에 관한 연구 -영국의 경우-

        강경선 ( Kyong Son Kang ) 민주주의법학연구회 2013 민주법학 Vol.0 No.52

        이 논문은 영국에서의 노예제 폐지를 주제로 한다. 영국은 1807년에는 노예무역을, 1833년에는 노예제를 폐지하였다. 이것은 미국보다 약 30년 앞선 일이다. 노예제 폐지는 자유와 평등이라는 민주주의의 발달과 깊은 관계를 맺는다. 대서양노예무역은 중상주의를 배경으로 한다. 유럽의 강국들이 각국의 재정을 풍부히 하기 위해서 무한경쟁하는 그 원리 속에 노예제와 노예무역이 성립했다. 노예와 관련해서 후발국가였던 영국은 1660년 왕립아프리카회사를 세우고 노예무역에 관한 독점적 거래권을 부여한다. 그런데 1688년의 명예혁명과 권리장전을 거치면서 군주의 권한은 약화되고, 의회의 지위가 향상된다. 군주의 대권에 기초한 무역독점권은 의회법에 근거를 두지 않았다는 이유로 법원에 의해 불법으로 선언된다. 이와 동시에 아프리카회사는 의회에 독점무역을 승인하는 입법권을 청원한 반면, 이제까지 불법시된 자유무역상인들은 이를 저지하는 청원을 의회에 제기한다. 이렇게 의회는 독점무역이냐 자유무역이냐에 관한 논쟁의 중심이 된다. 많은 시민들을 기초로 하는 의회는 당연히 자유무역 쪽으로 기울게 되고 독점무역은 종료하게 된다. 그리고 18세기 자유 무역과 함께 영국의 노예무역은 전성기를 맞는다. 이 기간 중에 도덕에 입각한 노예제 반대의 목소리는 파묻혀 있었다. 미국의 독립혁명과 함께 영국에서 잠복하고 있던 노예반대운동이 점화되었다. 미국의 독립선언이 담고 있는 인간의 자유와 평등과 같은 인권선언을 기초로 식민지에서 주권국가로 독립했다는 것 자체가 노예에서 자유로의 이행을 상징하였다. 사람이 사람을 지배할 수 없다는 것이 자명한 진리로 대두되면서 노예제가 반시대적 유물이라는 것이 폭로되었다. 프랑스에서 혁명이 발발하고 노예제를 일시 철폐한 것과 아이티가 최초의 흑인 공화국으로 독립하는 것도 같은 맥락에서 이해된다. 이와 같은 시대변화를 배경으로 민주주의와 인권의 선진국으로 자부했던 영국에서 노예폐지운동이 본격화된다. 이 기간 퀘이커 등 교회들, 시민들, 교수, 문인, 일반시민, 여성, 아이, 그리고 노예였던 흑인들까지 포함하는 범국민적 노예반대의 의식과 정서가 형성된다. 자유주의가 입헌주의와 인권선언에까지 도달하기 시작한 이런 대중의 열망을 반영해서 의회도 마침내 1807년 노예무역을 폐지하고, 1833년에는 노예제도자체를 폐지하기에 이른다. 여기에도 자메이카의 노예해방운동의 조짐과 1832년의 선거권 확대를 통한 보통선거의 진전이라는 국민주권과 민주주의 발달이 개재되어 있었다는 사실을 기억해야 한다. This paper is focused on the abolition of slavery in Britain, where the abolition of the slave trade and slavery respectively took place in 1807 and 1833. The British abolition went ahead of USA for about 30 years. The ending of slavery has deep relation with development of democratic values, especially freedom and equality. The Atlantic trade and the slavery system took roots under the principle of unlimited competition to secure whatever makes each country wealthier in the age of European mercantilism. The Royal African Company got the charter in charge of trade and forts from the king in 1660. From the Glorious Revolution on, through the Bill of Rights, the status of the king went on the decline whereas that of the Parliament was upwards. The monopoly right of the African Company was declared unlawful by the Lord Chancellor on the ground that the privilege of the company was based not on the statute of the Parliament but on the prerogative of the king which was no more valid. The Company then tried to make petitions the Parliament to enact a rule for it. Other traders (interlopers) wanted the House to do nothing for the Company. The Parliament stood at the center of the arguments between two parts. The Parliament undoubtedly took sides with the interlopers because it is the representative organ of the people not of the king or the noble. As a result, the monopoly of the Company came to an end. From that time forwards, the slave trades in England went on the peak. The voices of the anti-slavery resultantly were overwhelmed by the cheers of the traders who got high profits during that period. Anti-slavery movement got activated by the American Revolution. The Declaration of Independence, and the French Revolution which declared the freedom and the equality expedited the movement of the abolition in England. Quakers and churches, universities, writers, citizens, women, children, and even the ex-slave blacks, felt sense of anti-slavery in common. Reflecting the nationwide aspirations for the abolition, the Parliament, under the initiative of William Wilberforce, at last abolished the slave trade in 1807. The Parliament advanced to come to a full period to the slavery in 1833. The plan to emancipate slaves in Jamaica and the revision of the Act of the Parliament to expand the right of vote in 1832 made way easy for the abolition. In sum, democracy made possible the abolition of the slavery.

      • 17세기 초 네덜란드 동인도회사의 동북아시아지역 차(茶) 무역에 관한 고찰

        이묘희 ( Lee Myohee ) 원광대학교 한국예다학연구소 2017 한국예다학 Vol.5 No.-

        유럽의 동인도회사들은 유럽 대륙으로의 차문화 도입과 차산업의 확산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고, 아시아 차 교역과 관련하여서는 네덜란드 동인도회사가 1610년 일본 히라도에서 밴텀을 거쳐 유럽으로 차를 최초 수출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네덜란드 동인도회사가 히라도 상관을 통해 최초 교역한 차가 일본의 차라고 하더라도 어느 지역의, 어떤 차인지 분명하지 않아서 일본차라고 규정짓기에는 소명되어야 할 사항이 많이 남아있다. 차의 교역 물량 또한 17세기 초 일본의 무역통계구조로 볼 때 소량이었을 것으로 짐작된다. 반면 히라도 상관을 통해 교역한 차가 중국차라고 유추할 수도 있다. 당시 명과의 교역을 원했던 네덜란드 동인도회사는 명의 해금정책으로 인해 정식교역을 할 수 없었으나 중국의 물품과 물자를 해상의 밀무역에 의지해 수급에 도움을 받고 있었다. 때문에 밀무역을 통해 중국차를 입수하는 것은 어렵지 않았을 것으로 충분히 유추할 수 있다. 인류의 역사에서 전쟁을 제외하고 타 문화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꼽을 때 거래나 교환과 같은 무역거래를 들 수 있다. 이러한 무역거래는 다른 문화의 경계를 넘나들며 기술, 과학, 예술, 생활, 사상 등의 변화와 발전에도 기여하였다. 유럽의 차문화 확산에 있어 유럽 동인도회사들의 차 무역 활동이 기여한 바가 크다. East Indian companies in Europe had a profound impact on the introduction of tea culture to the continent and the proliferation of the tea industry. In connection with the Asian tea trade, the Dutch East India Company first exported tea to Europe via Bantam in Hirado, Japan in 1610. However, the exact kind of tea remains unknown, even though it was a Japanese tea. There are many definitions of a Japanese tea. The trade volume of tea was estimated to be a small proportion of Japan's trade statistics in the early 17th century. On the other hand, it can be assumed that the tea traded through the Hirado Commerce Hall was a Chinese tea. At the time, the Dutch East India Company, which wanted to trade with the Ming dynasty, was unable to trade officially because of the Sea Prohibition policy. However, the Dutch East India Company, which needed Chinese goods and supplies, was helping to supply goods by relying on maritime merchants. The present study analysis suggests that it was not difficult to obtain Chinese tea.

      • KCI등재

        일제시기 백산상회(白山商會)의 창립과 변천

        오미일 ( Mi Il Oh )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14 嶺南學 Vol.0 No.26

        기업사적으로 볼 때 백산상회는 자본금 1백만 원의 조선인 무역회사로서는 최초였다는 점에서, 더구나 지방에서 성립되었다는 점에서 당시 매일신보에서도 기사화할 정도로 주목을 받았다. 그러나 파산 과정에서 드러나듯이, 경제적 실력양성이란 관점에서 본다면 백산무역주식회사는 모범사례라고 할 수 없었다. 또한 백산상회는 안희제가 비밀결사운동과 상해 임시정부에 자금을 조달한 매개체로 거론되어 왔으나, 이에 대한 연구는 초보적인 수준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이 글에서는 백산상회의 실체에 접근하기 위해 종래 연구에서 이용하지 못했던 『부산일보』 『조선시보』의 기사 특히 광고면의 등기공고와 회사광고등을 활용하여 몇 가지 사실을 밝혀낼 수 있었다. 첫째 백산상회에 관한 종래 연구에서 가장 논란이 되었던 것은 안희제의 귀국 시기와 개인상점 백산상회의 창립시기였다. 종래 <백산공 가장급유사약록白山公家狀及遺事略錄>에 의거하여 1914년 9월에 귀국하여 바로 창립했거나 혹은 1916년 전후에 설립한 것으로 보았다. 그러나 여기에서는 백산상회의 연원을 1912년 전후로 볼 수도 있는 자료를 제시했다. 개인상점 백산 상회의 정확한 설립 시기를 확정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상업등기공고 자료의 발굴이 시급하다. 둘째 (주)백산무역은 차입금과 이월결손금으로 한 번도 배당을 하지 못했고 이는 주주들의 추가불입 거부, 경영진의 주식 失權처리로 이어짐으로써 결국 회사 내분을 야기하게 되었다. 그런데 백산무역의 차입금 부채나 이월결손금은 경영 실패로 인한 것이 아니라 모두 합자회사에서 그대로 인계된 것이었다. 1년 여 기간의 합자회사 시절에, 더구나 일제시기 중 가장 호황이었고 사업 환경이 나쁘지 않았던 시기에 큰 채무를 지게 된 것은 단순히 경영상의 문제 때문이라기 보다 이때 많은 회사자금이 독립운동 자금으로 제공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Although Baeksan Trading Company (白山商會) is mentioned as acornerstone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by Ahn Hee-je (安熙濟), studies on this have regained at an elementary level. They focus onBaeksan Trading Company among many Korean companies during theJapanese colonial period not because it was a major example of theself-strengthening movement but because it played an important rolein developing his independence and social movements. As shown in thebankruptcy process, Baeksan Trading Company was not a model casefrom the perspective of economic self-strengthening. This article aims to raise issues that empirical studies have cometo a standstill and Anh Hee-je has been deified as ‘#36 in the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in Shanghai’ and toapproach the reality of Baeksan Trading Company mentioned as acornerstone of his independence movement. For this purpose, it waspossible to reveal some facts using articles of 『Busan Ilbo (釜山日報)』and 『Chosun News (朝鮮時報)』and in particular registrationpublication and company advertising on advertising pages. First, the most controversial issues in previous studies on BaeksanTrading Company were when Ahn Hee-je returned and establishedBaeksan Trading Company. Conventionally, based on <BaeksanGonggajang geup Yusayakrok (白山公家狀及遺事略錄)>, it is speculatedthat he founded it right after his return in September 1914 or around1916. However, this article presents data showing that it could beestablished around 1912. In order to exactly determine BaeksanTrading Company was founded, there is an urgent need to find dataon the commercial registration publication. Second, Baeksan Trading Co. , Ltd. (白山貿易株式會社) had neverdistributed profits to stockholders due to the debt and loss carryforward. This led to stockholders` opposition to the additional paymentand forfeiture of management right and eventually caused internalconflicts. However, all debts or loss carry forwards were not causedby management failure but taken over from its limited partnership. Itis considered that Baeksan Trading Co. Ltd as a limited partnershipowed a huge debt for about a year which reached a peak of theeconomic boom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not simply becauseit was attributed to management issues but because substantialcompany funds were used for independence movement.

      • KCI등재

        조선후기 조선・일본의 동남아시아 산물 교역

        윤유숙(Yusook Yoon) 한일관계사학회 2020 한일관계사연구 Vol.70 No.-

        본고는 동남아시아-일본-조선-중국을 포괄하는 교역 네트워크를 배경으로 하여, 조선후기 조일 관계에서 동남아시아 산물의 교역 실태를 검토한 것이다. 17세기의 동남아시아 산물 교역 상황을 개관하고, 18・19세기의 교역에서는 수우각 무역의 추이를 중점적으로 검토했다. 조선시대에 수입되던 대표적인 동남아시아 산물은 수우각, 후추, 소목, 명반이다. 수우각은 공예품과 활의 재료로, 후추는 조미료나 약용으로, 소목과 명반은 각각 붉은 염료의 재료와 매염제로 사용되었다. 쓰시마는 나가사키에 내항하는 중국선과 네덜란드 선박으로부터 동남아시아산 물품을 구입하여 왜관으로 가져갔다. 또한 조선이 수입한 수우각・후추・소목은 17세기 초부터 18세기 초까지 약 1세기 동안 ‘세폐의 명목으로’ 중국으로도 유입되었다(동남아시아→나가사키→쓰시마→조선 왜관→중국 북경을 연결하는 물품의 이동로). 조선후기 조일무역에서 동남아시아 산물의 무역량이 최고를 기록한 시기는 17세기 말이다. 그러나 일본 국내의 산물이 아닌 만큼 쓰시마가 왜관무역에서 판매할 수 있는 수량은 나가사키 무역의 호황 정도에 따라 증감의 폭이 컸고, 품목에 따라서는 한 해의 교역량이 제로인 경우도 발생했다. 특히 군수물자였던 수우각은 조선에게는 매우 귀중한 수입품이었으나 이미 18세기 전반에 나가사키로 반입되는 양이 매우 불안정했다. 본고는 나가사키키키야쿠(長崎聞役)로 근무했던 마쓰우라 산지(松浦賛治)의 기록 등을 검토하여 해당 시기 나가사키에서 쓰시마가 수우각을 입수한 구체적인 정황을 소개했다. 1776년, 쓰시마와 조선 간의 개시무역이 단절되었다고 판단한 막부는 매년 금 12,000냥의 지원금을 쓰시마에게 하사하기로 결정했다. 또한 막부는 쓰시마가 향후 나가사키에서 개시무역용 무역품을 조달하는 것을 금지하고 관영무역에 필요한 물품의 수량을 보고하도록 했다. 이에 쓰시마는 관영무역에 필요한 동남아시아산 4대 산물의 물량을 필요 액수보다 훨씬 많은 ‘허위’의 액수로 막부에 신고했고, 막부는 이 액수를 인정했다. 18세기에 전개된 막부의 나가사키 무역 축소정책, 동남아시아 현지의 상황, 1799년 네덜란드 동인도회사의 해산 등으로 인해 18세기 이후 4대 산물의 나가사키 반입량은 현저하게 감소해 갔다. 후추, 소목, 명반의 경우 막말까지 관영무역의 정액만큼 조선에 수출되었으나, 수우각은 조일 간의 교섭을 거쳐 1832년부터 조선에 동(銅) 3,000근으로 대납하게 되었다. This study reviews the trade and consumption of commodities in late Joseon that were imported from Southeast Asia via Japan based on a trade network encompassing Southeast Asia, Japan, Joseon, and China. The items Joseon commonly imported from Southeast Asia were water buffalo horn, pepper, sappanwood, and alum. Water buffalo horn was used to make handicraft and bows, while pepper was used for cooking or medicinal purposes. Sappanwood was used to extract dye and alum was a mordant. These items were imported via the Ryuku Kingdom and Japan during the first half of the Joseon Dynasty, but during the second half, they were only imported through the Tsushima Domain. The Tsushima Domain would acquire such items from Chinese or Dutch ships that visited Nagasaki, then bring them over to the Japanese guest house in Joseon called waegwan. The volume of Southeast Asian commodities traded between late Joseon and Japan peaked at the end of the seventeenth century. However, because the commodities weren’t produced in Japan, the amount the Tsushima Domain was able to bring to the waegwan in Joseon fluctuated heavily depending on how prosperous trade was at Nagasaki. This caused the trade of particular items to be nonexistent during certain years. In 1776, the Edo bakufu acknowledged the Tsushima Domain’s claim that its private trade with Joseon had become discontinued and decided to support the domain by granting 12,000 ryō in gold coins each year. The Bakufu also prohibited the domain from obtaining commodities at Nagasaki for private trade with Joseon and obligated the domain to report the volume of commodities necessary for public trade with the Joseon government. The Bakufu thereafter approved of the budget the Tsushima Domain submitted, although it was a false estimate that far exceeded the actual cost required to secure the amount of the aforementioned four Southeast Asian items necessary for public trade with the Joseon government. Nonetheless, beyond the eighteenth century, a significant drop occurred in the incoming volume of these four items at Nagasaki due to the Bakufu policy to downscale trade at the port as well as the Dutch East India Company’s dissolution in 1799. Until the first half of the nineteenth century, the Tsushima Domain was able to deliver the amount of pepper, sappanwood, and alum it promised to procure for Joseon. However, it failed to do so with water buffalo horn because of a sharp drop in its supply through Nagasaki so that in 1832, the domain paid Joseon 3,968 pounds (3,000 geun) of copper instead.

      • KCI등재

        한ㆍ중ㆍ일 회사법제의 비교연구

        梁東錫(Dong-Suk Yang),朴承男(Seung-Nam Park) 한국기업법학회 2010 企業法硏究 Vol.24 No.1

        In recent, Korea, China and Japan have an increasing interest in organization of North East Asia Association through the influence of NAFTA and ED. The history of exchange between three nations is longer than 2000 years, but could not organize any economic association still now. Nevertheless, economic relation and direct investment between three nations are increasing very rapidly. Three nation have some different characters on the corporate form because each nation has its own historial background, political and economical situation, business culture etc. We think, the three nation have to overcome the difference between them to achieve the association and to increase economic exchange, investment. And we have to understand the difference to develop and study more the relation between three nation. Korea and Japan regulate two kinds of business partnership as a corporation, such as limited partnership and unlimited partnership. China regulate two kinds of business partnership, as not a corporation but a partnership. But stock corporation and limited liability company are regulated in three nation. In the last 10 years, three nation tried to make better corporate governance and improve nation's competitive power. The organization of corporation in the past was changed remarkably. Japanese new corporate law in 2005 is on the assumption that corporation has flexibility and diversity. So that, there can be various form of corporation in Japan. Korea also made a revised bill to accept flexibility and diversity and to reflect practical situation. Especially, the revised bill proposed to accept LLC and change the corporation widely. In comparison with Korean and Japanese law, Chinese law is insufficient in flexibility and diversity and it has a lots of difference. For example, board of director and board of auditors in a corporation are composed of the representatives of shareholders and the representatives of employee. In future, 3 nations have an influence on each other and achieve a great result of exchange and investment. We hope this study will be a basic material to understand each country.

      • KCI우수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