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무속신화의 여신 수난과 신 직능의 상관성 연구

        염원희(Youm Wonhee) 한국무속학회 2010 한국무속학 Vol.0 No.20

        무속신화는 제의에서 구술되는 신의 좌정담이므로, 신화에 등장하는 신들은 신으로서의 직능을 가진다. 이러한 신의 직능은 무속신화의 서시에 영향을 주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무속신화는 문제 상황이 발생했을 때 주인공의 희생을 요구하기 때문에 서사는 주인공의 수난과 그 극복과정이 중심적으로 다루어진다. 또한 무속의 특성상 무속과 여성은 매우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어서 무속신화에는 주로 여신이 수난이 많다. 본고에서는 한국의 무속신화 중에서도 여신의 신화를 중심으로 수난과 이의 극복과정을 살펴보았다. 자청비는 여성적인 능력을 이용하여 수난을 적극적으로 극복하며 자청비의 이러한 모습은 농경신이라는 그녀의 직능과 긴밀하게 연결된다. 바리공주는 다른 여신에 비해 조력자의 도움을 받는 면이 두드러지면서 인간의 저승 가는 길을 돕는 신으로 좌정한다. 당금애기와 원강암이는 출산과 양육의 수난을 통해 자식을 위해 인내하는 모습이 부각되면서 신의 직능에 있어서도 산모의 출산을 돕고, 아이를 양육하는 여신으로 좌정한다. 황우양씨 부인은 남편의 내조자로서는 여신적 능력을 발휘하지만, 자신의 수난 극복에서는 어떠한 힘도 발휘하지 못한다. 이것은 성주신을 보조하는 지신의 신격을 반영한 서사라 하겠다. 이렇게 무속신화의 여신 서사는 그 신이 가진 직능과의 상관성을 통해 다시 한번 그 의미를 확인할 수 있다. 여신이 갖는 직능은 신회에 개입하여 서사의 형성에 영향을 준다. 이것이 여신 서사의 핵심 내용인 수난과 이의 극복과정이라는 맥락에 반영되어 있다. Since a Shaman Myth is a story of God's position which is orally dictated in the shamanic ceremony, the deities that appeared in the myth have the power as a God. It is thought that the power of God as such had much affected the shaman songs or extended narrations of a Shaman Myth. The narrations are composed of the events centering on the suffering of the protagonist and the process of overcoming crisis, because a Shaman Myth demands sacrifice of the protagonist when a problematic situation has occurred. Also, in light of the characteristics of shamanism, there are close relationships between shamanic stories and women, so that in Shaman Myth Goddess is mostly faced with ordeals. In this paper, the researcher investigated the suffering and the process of overcoming such pain or misery with a focus on the myth of Goddess in particular among Korean Shaman Myths. Jacheongbi gets rid of suffering in an aggressive manner, making best use of her femininity, and it can be said that Jacheongbi's feature as such is closely connected to her power as the Agricultural God. Princess Bari is distinguished with the respect of being assisted by her supporters comparing to other Goddesses, meanwhile, however, she takes a seat as a Goddess who helps humans to make a journey to the next world. Danggeumaeggi and Wongangami are highlighted with their enduring appearances concerning about their siblings through exhibition of their pains of giving birth and difficulties of rearing children. In the meantime, they take seat as a Goddess who helps mothers in labor, and also who raises children. In case of the wife of Hwangwuyangssi, she exhibits her ability of goddess as a helpmate to her husband, but she is unable to display her power when she has to get rid of her own difficult situations. This can be considered a dramatic and extended narration that reflects her own character as of God who assists Seongjusin - the house deity dwelling in the main beam supporting the roof. As such, the power held by Goddess effects the extended narration being highlighted in the myth. In a sense the Power of God has got to be reflected in the Shaman Myth, then such a shaman song only will be able to approach the audience in a more persuasive fashion, when it is recited in the shamanic ceremony.

      • KCI등재

        무속 신화의 현대적 수용과 재구

        강명주(Kang, Myungju),이찬욱(Lee, Chanwook) 중앙어문학회 2018 語文論集 Vol.73 No.-

        무속신화는 민족의 정서와 세계관을 형상화하여 인간의 보편적인 삶을 제시해주는 서사를 근간으로 하고 있어 당대인들의 삶의 의식을 여실히 반영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분리-전이-통합’과정인 샤먼의 통과의례를 겪는 무속신의 경우는 사람들을 이해하고 교감함으로써 위로한다. 또한 인간적 존재가 내면의 신성을 발현하여 현세의 난관을 극복하는 모습을 보인다. 신화적 사유를 현대에 맞게 재구하여 전승하는 것은 현대적 이본으로의 가치를 가진다. 그대로 전승하는 것이 아니라 무속 신화가 갖고 있는 서사적 가치는 유지한 채 시대정신에 맞게 재구 될 때 대중들의 공감을 받고 향유될 수 있다. 원본으로의 가치도 중요하지만 그 못지않게 현대적 수용도 함께 살펴보아야할 것이다. 웹툰 〈묘진전〉에서는 이러한 무속적 세계관과 한국적 무속신의 모습을 여실히 재구하고 있다. 뿐 아니라 문제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 자기 찾기-극복의 서사와 타자되기-연대라는 서사 구조를 활용하여 신화적 대안의 스토리텔링을 구현하고 있다. 이러한 서사 구조가 사람들에게 읽히고 대중적 인기를 얻어 향유되는 것을 통하여 신화적 세계관이 현대사회에도 유효함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무속신화의 서사구조가 독자들이 수용하기에 익숙한 요소로 작용했다고 할 수 있겠다. 묘진전의 작가는 사이버 장이라는 열린 공간을 통해 한국신관념에 관한 설명을 작가의 말 혹은 외전 등을 통하여 추가적으로 서술함으로써 그 이해를 돕는 양상을 보인다. 이를 통해 독자들을 자연스럽게 이야기에 몰입시키고 독자와 소통하여 함께 현대적 신화로 계승하고 있다는 것에 그 의미가 있다고 하겠다. Shamanic mythology is based on the narrative that presents universal human lives by embodying the sentiment and world outlook of the ethnic group, thereby faithfully reflecting the consciousness of life by the people living in that period. In addition, the deities that undergo the rite of passage of shamans in the process of ‘separation-transference-integration’ comfort people by understanding and communing with them. The humane existence manifests the divinity of the inner side to overcome the difficulties of this world as well. Reconstructing and passing down mythical thinking for the modern times has value as a rare and different modern version. The public can relate to and enjoy the shamanic mythology when it is not transmitted as it is but is rather reconstructed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times while sustaining its narrative value. The value as an original is important, but it is also necessary to examine the modern acceptance. The webtoon Myojinjeon (The Chronicle of Myo-Jin) fully reconstructs the shamanistic view of the world and Korean deities. Moreover, it uses the narrative structure of finding oneself-overcoming and being the other-solidarity in order to overcome various issues, telling the story as a mythical alternative. The fact that this narrative structure is read by people and enjoyed by the public in great popularity proves that this mythical view of the world is also effective in the modern society. Furthermore, the narrative structure of shamanic mythology may have served as a familiar element for the readers to accept. The author of Myojinjeon helps promote understanding by additionally describing the neoidealism in Korea through the author’s note or supplementary story in the open cyberspace. This naturally brings readers to be absorbed in the story and communicates with the readers, which has significance in being inherited as a modern mythology.

      • KCI등재

        무속신화에 나타난 장자형 인물의 존재양상과 성격

        권태효 한국무속학회 2018 한국무속학 Vol.0 No.37

        There are various groups of characters in shamanism mythology. The person who pays particular attention in this article is a character type of millionaire. A character type of millionaire is a villain who does evil on the basis of wealth and ends up in conflict with God, and appears in many different forms in the mythology. The 'punishment of millionaire' tale of Shamanism mythology is closely related to <legend of Jangja-pond>. There are two related aspects. The <legend of Jangja-pond> is a form of Shamanism mythology that appears as a part of the myth of shamanism, the same evil figure character as the millionaire of legend of Jangja-pond. A character type of millionaire in shamanism mythology has a wide variety of data and forms, and various processes according to punishment. Therefore, the punishment of millionaire appearing in <legend of Jangja-pond> was recognized as a specialization of a certain part of 'punishment of millionaire' tale of shamanism mythology. Based on this review of the data, I understood that there were three stages of variation when I grasped the first generation of mythology in consideration of the composition of world creation myth. The first stage is a form in which a creator, who appeared together with a god or a creator who assisted creation and ordination, was punished by the creator while providing the source of evil while deceiving or interfering with the creator. The next step is to challenge the gods as the human world becomes prosperous and the evil floods while the human world takes its place, and eventually the gods are destroyed by certain wicked people or mankind. Going one step further, the relationship between God and human being is clearly established, and it is the stage in which the wicked is devoted to the appearance of God by fearing that he will be punished by disease or death by God. 무속신화에는 다양한 인물군이 등장한다. 이 글에서 특히 주목하는 인물형은 장자형 인물이다. 장자형 인물은 부를 바탕으로 악한 행위를 일삼고 신과 대립하다가 결국 신에게 징치당하게 되는 악인형 인물로, 여러 무속신화에 다양한 모습으로 등장한다. <천지왕본풀이>의 수명장자, <이공본풀이>의 자인장자, <셍굿>의 천년두레천년장자, <성주굿>의 장재아비, <성인노리푸념>의 당주애비, <손님굿>의 김정승네 내외, <장자풀이>의 사마장자 등이 이에 해당한다. 이들 무속신화에 나타난 장자형 인물의 특징으로는 <장자못전설>의 장자와도 친연성이 뚜렷한 점, 일정 지역을 기반으로 악행으로 부를 축적해온 악인의 전형성을 보인다는 점, 표면적으로는 악행 때문으로 징치되나 그 이면에는 원초적인 신의 갈등이 반영되어 있다는 점, 불, 물, 꽃, 죽음 등 다양한 징치 양상이 나타나는 것 등을 알 수 있다. 한편 이런 무속신화의 장자 징치담은 <장자못전설>과 연계성이 뚜렷하다. 그 형태는 두 가지로, <장자못전설>이 무속신화에 한 부분으로 이입된 형과 <장자못전설>의 장자와는 차이를 보이나 악인형 인물 성격은 그대로 부합되는 자료형이다. 그 관계성에 있어서는 무속신화의 ‘장자 징치담’은 전체 서사 중 일부에 해당하는데 반해 <장자못전설>의 장자징치담은 서사의 전체에 해당하여 ‘장자 징치담’의 특정 부분이 특화되어 전설화된 것이 <장자못전설>일 것으로 파악했다. 아울러 무속신화의 장자형 인물은 형태도 다양하고 징치에 따른 여러 과정이 폭넓게 나타나 <장자못전설>의 장자 징치가 ‘장자 징치담’에 거꾸로 영향을 주었을 가능성은 없다고 보았다. 무속신화의 장자형 인물에 대한 자료 검토를 바탕으로 장자 징치담이 세 단계 변이가 진행되었을 것으로 이해했다. 첫 단계는 창조신을 돕던 부신(副神) 또는 창조신과 함께 창조작업을 하던 존재가 창조신을 속이고 악의 근원을 제공하다가 창조신에게 징벌을 받는 형태, 그 다음 단계로는 인간세상에 악이 범람하고 신에게 도전하다가 신에게 특정 악인 또는 인류가 징치를 당하는 단계, 한 단계 더 나아가 신과 인간의 관계가 정립되면서 악인이 신에 의해 징벌을 받을까 두려워 신을 위무하는 단계 등으로 전개되는 양상으로 파악했다. 우리 자료는 첫 단계의 것은 창세신화에 흔적이 부분적으로 남아있고, 두 번째와 세 번째 단계에 해당하는 자료가 중심이 된다고 하였다.

      • KCI등재

        일제강점기 제주도 무속신화의 채록현황과 의의

        이수자 한국무속학회 2023 한국무속학 Vol.- No.46

        Shamanism myths of Jeju Island documented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only exist in 16 Jeju shamanic narratives. The myths are written in the book 朝鮮巫俗の 硏究, 上(Joseon Shamanism Study) co-edited by Akiba Dakashi(秋葉隆) and Akamatsu Jijo(赤松智城), professors of Gyeongseong Imperial University back then. Following information were given by a Seogwipo based shaman Park Bong-chun: In October 1931 when Akiba visited Seogwipo he transcribed the shamanic narratives with Lee Dae-ji, a teacher in Seogwipo Elementary School. The 16 shamanism myths are comprised of <Chogamje> indicating the opening rituals of the KeunGut along with 9 IlbanShin-Bonpuri, namely, <ChoGong-Bonpuri>; <Igong-Bonpuri>; <SamGong-Bonpuri>; <SeGyeong-Bonpuri>; <CheonjiWang-Bonpuri>;<MyeongjinGuksaengHalmang-Bonpuri>;<ChaSa-Bonpuri>; <ChilSeong-Bonpuri>; <MunJeon-Bonpuri>, 3 DangShin-Bonpuri i.e., <SeogwiBonHyangDang-Bonpuri>; <ToSanDang-Bonpuri>; <ShinJung-Topuri>, 1 Myth of IlwoelJosangShin i.e., <GunWung-Bonpuri>, 2 Special Bonpuri i.e., <WonCheonGang-Bonpuril>; <SeminHwangJe-Bonpuri>. The shamanism myths mentioned above, despite the fact that were documented by Japanese scholars, have significance in that being the first to be studied and recorded of all Jeju shamanism myths. This paved the way for Jeju shamanism myths to be established as literature. They demonstrate raw and original form of Jeju shamanism myths, which holds further importance concerning that the data is collected in Seogwipo-si region whereas most of the current Jeju shamanism studies are centered on Jeju-si area. Most importantly, as a compilation of Jeju Seogwipo shamanism myths, the data remain intact and unaffected to this day. 일제강점기에 채록된 제주도 무속신화는 당시 경성제대 교수로 한국에 와 있던 일본인 학자 아키바 다카시(秋葉隆)와 아카마쓰 지조(赤松智城)가 공편으로 낸 朝鮮巫俗の 硏究 상권 중 7. 제주 신가에 실려 있는 16편이 유일하다. 이 자료들은 서귀포의 박봉춘 심방이 제보한 것으로, 아키바가 1931년 10월 서귀포를 방문했을 때 서귀포보통학교 훈도였던 이대지를 통해 채록한 것이다. 이들 16편 신화들은 큰굿의 첫 의식으로서 천지창생 신화를 포함하고 있는 초감제와 일반신본풀이인 초공본푸리, 이공본푸리, 삼공본푸리, 세경본푸리, 쳔지왕본푸리, 명진국생불할망본푸리, 체사본푸리, 칠성본푸리, 문전본푸리 등 9편과 당신본풀이에 속하는 서귀본향당본푸리, 토산당본풀이, 신중도푸리 등 3편과 일월조상신에 관한 신화인 군농본푸리, 그리고 특수본풀이에 속하는 신화인 원텬강본푸리, 세민황뎨본푸리 등 2편이다. 이들 무속신화들은 비록 일인 학자에 의해 채록된 것이긴 하지만, 제주도 무속신화로는 처음 조사되고 기록된 것이라는 점에서, 제주도 무속신화가 비로소 처음으로 문헌으로 정착되었다는 점에서, 그리고 아직은 제주도의 무속이 오염되지 않은 환경 속에서 조사되고 채록되었으며 기록되었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그리고 이들은 오늘날 제주도 무속신화 자료에 대한 채록과 연구가 대부분 제주시쪽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을 감안할 때, 서귀포 쪽의 자료라는 점에서, 그리고 서귀포쪽 무속신화 자료들을 일별하여 총체적으로 볼 수 있다는 점에서도 중요하다. 그런데 무엇보다도 이들 자료들은 매우 고형과 원형을 유지하고 있다는 점에서도 중요하다.

      • KCI등재

        무속신화를 통해 본 한국적 신 관념의 단면

        신동흔(Shin Dong-Hun) 비교민속학회 2010 비교민속학 Vol.0 No.43

        이 연구에서는 무속신화에 담긴 한국의 신(神) 관념을 살피고자 하였다. 무속신화에 있어 신이란 어떤 존재이고 신성의 본질은 무엇인지를 단면적으로 드러내고자 하였다. 특히 신과 인간의 친연관계에 주목하여, 한국 신화에 있어 신과 인간이 서로 어떻게 통하는 존재인지를 살펴보았다. 한국 신화의 원형적인 신 관념은 창세신화를 통해 살펴볼 수 있다. 창세신화는 서로 혼합 상태에 있었던 하늘과 땀이 갈라지면서 인간세상이 열렸다고 하거니와, 인간세상이 본래 하늘과 땅의 신성과 연속된 세계임을 전하고 있다. 그리고 창세신화는 인간이 하늘로부터 지상에 내려와 성장한 존재라고 함으로써, 인간이 그 안에 하늘의 신성을 내재한 존재임을 부각하고 있다. 실제로 창세신화 속의 인간은 신과의 차별성보다는 동질성이 더 두드러진다. 신과 인간은 서로 자연스레 소통하면서 경쟁하며, 또는 결혼의 형태로 결합한다. 누가 인간이고 신인지의 구별이, 어디까지가 인간이고 어디부터가 신인지의 구별이 불투명하다. 이와 같은 신과 인간의 태생적 동질성과 소통 가능성은 한국적 신관의 원형을 이룬다고 할 수 있다. 수많은 무속신화는 인간이 그 안에 신성을 지니고 있음을 전제하면서 서사를 전개한다. 대다수 무속신호는 인간이 신으로 좌정하게 된 내력을 전하는 방식으로 구성되거니와, 그 신성은 외부로부터 오는 것이 아니라 사람의 안에 있던 것이 자연스레 발현되는 것으로 설정되어 있다. 인간이 존재의 근원에 가 닿을 때 신성이 발현된다는 것이 주요 신화에 깃든 관념이다. 하지만 모든 인간이 신성을 발현하는 것은 아니라는 점을 주목할 만하다. 인간이 지닌 신성이란 내면 깊숙이 깃들어 있는 것으로서, 인간은 그 신성이 가리어지고 억눌린 채로 반(反) 신성의 길을 갈 가능성이 상존한다. 어둡고 무겁게 뒤틀린 신성으로서의 ‘귀(鬼)’의 길로 나아갈 수도 있고, 신성이 소멸된 존재로서의 ‘물(物)’의 길로 나아갈 수도 있다. 저승할망이 된 동해용 궁따님애기는 전자의 예가 되며, 청지네와 말똥버섯이 된 은장애기 놋장애기 자매는 후자의 예가 된다. 한국 신화에 담긴 신과 인간의 동질성 관념은 다른 어떤 신화체계에서보다도 뚜렷하고 또 광범위한 것으로 여겨진다. 하지만 그것을 세상의 모든 존재에 대한 동질성 인식으로 확장해서 적용하는 데는 신중을 기할 필요가 있다. 한 예로, 한국 신화에 있어 인간과 동물의 관계는 동질성보다 이질성이 부각된 것으로 여겨지는 면이 있다. 신과 인간, 동물과 식물, 사물 등을 포괄하여 존재의 속성과 관계에 대한 인식체계를 보다 폭넓고 세심하게 살피는 것은 차후의 중요한 연구과제가 된다.

      • KCI등재

        무속에 나타난 인간의 위상 — 무속의례와 죽음신화를 중심으로 —

        이용범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동양학연구소 2022 동방문화와 사상 Vol.13 No.-

        This paper tries to examine man’s status in Musok through rituals and death myths of Musok. Man is not passive at all both in relationship with gods and in the problem of death. In relationship with gods man confronts with them as a subject of life confidently. In facing death, he does not accept it with resignation but take an active hand and tries to overcome by changing it. First, this paper tries to examine rituals of Musok, it is because Musok is a religion of rituals and everything of Musok is known through rituals. The reason that examines death myths of Musok is because death is a general problem of human beings and man’s attitude to death will reveal man’s status in Musok. There has been two viewpoints in relation to man’s status in Musok, that is theocentrism and anthropocentrism. These two viewpoints presuppose a dichotomy in relationship of gods and man. Although arguing that man has a status as a subject of life in Musok, this paper does not accept a viewpoint of anthropocentrism. This paper suggests that in Musok gods are presupposed as objects of belief and rituals, and gods and man recognize each other reciprocally. 이 글은 무속의례와 무속 죽음신화를 통해 무속에서 나타나는 인간 위상의 문제를 살펴보았다. 무속에서 인간은 신과의 관계에서나 죽음의 문제에 있어서 결코 수동적인 위치에 서 있지 않다. 신과의 관계에 있어서 인간은 자기 삶의 주체로서 신과 당당하게 대면한다. 죽음에 직면해서도 죽음을 주어진 것으로 체념하지 않고 적극적으로 개입하고 변화시키려 한다. 신과의 관계는 물론 죽음의 문제에서도 인간은 삶의 주체로서의 위상을 확보하고 있다. 이 글은 무속에서 전제되는 이러한 인간의 위상을 무속의례와 죽음신화에 대한 검토를 통해서 확인하고자 하였다. 무속의례를 분석 대상으로 선택한 것은 무속이 의례 중심의 종교로서 무속의 모든 것이 의례를 통해 확인되기 때문이다. 무속의 죽음신화를 검토한 것은 죽음이 인간 삶의 보편적 문제라는 점에서, 죽음이라는 삶의 문제에 대한 인간의 태도 역시 무속에서 전제되는 인간의 위상을 잘 드러낼 것으로 판단했기 때문이다. 무속에서 나타나는 인간 위상에 관해서는 신 중심적 시각과 인간 중심적 시각이 존재한다. 이 두 시각은 ‘신 중심주의’ 아니면 ‘인간 중심주의’라는 이분법적 시각을 전제한다. 무속에서 인간이 삶의 주체로서의 위상을 차지하고 있음을 주장하지만. 이 글은 인간 중심주의 시각에 서 있는 것은 아니다. 무속에서는 신이 믿음과 의례의 대상으로 전제되면서도 신과 인간의 관계에서는 쌍방 간에 상호 존재가 인정된다는 것이 이 글의 입장이다.

      • KCI등재

        한국 무속 신화에 나타난 여성의 죽음 연구

        강지연(Ji Yeon Kang),오세정(Se-jeong Oh) 한국고전연구학회 2022 한국고전연구 Vol.- No.59

        본고는 무속신화에서 여성 죽음의 서사에 주목하여, 삶/죽음의 의미를 문화적으로 새롭게 읽으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무속신화에서 죽음과 죽음 이후 부활 사건은 여성(신)에게 국한되어 발생한다. 딸과 아내, 어머니라는 가족 구성원으로서 살아가는 여성의 삶 가운데에는 언제나 죽음의 그림자가 드리워져 있다. 여성이 겪는 죽음의 상황과 문제의 해결 과정은 신화마다 다르지만, 가족 구성원으로서 역할을 수행하다 죽음 사건을 맞이한다는 점에서 신화의 여성들은 공통의 과업을 수행한다. 여성의 삶이 죽음에 이르는 과정과 죽음 이후 또 다른 삶으로 이어지는 연속적인 사건에서 ‘삶→죽음→삶’이라는 공통의 서사 구조를 확인할 수 있다. 삶에서 죽음으로 이어지는 서사와 죽음에서 삶으로 이어지는 서사에는 언제나 ‘비-삶’과 ‘비-죽음’이라는 중간항이 놓여있다. 이로부터 삶/죽음에 대한 새로운 문화적 읽기를 탐색할 수 있다. 무속신화에서 여성 죽음의 서사 구조와 서사화의 방식을 분석한 결과 신화의 여성들은 죽어 있는 삶과 살아 있는 죽음으로 삶의 모순을 해소하고 있다. 이러한 죽음은 생의 종말을 의미하는 비극적 사건으로서 소멸(消滅)이 아니라, 죽음으로서 영원히 죽지 않는 불사불멸의 존재가 되어간다는 점에서 삶의 연속성을 보여준다. 무속신화의 여성 죽음은 신성한 존재의 불멸(不滅)을 믿게 하는 신성한 사건으로 이해된다. 여성은 삶에 주어진 결핍을 해소하는 기제로써 죽음과 마주하며, 이를 통해 비움으로 채움을 가능케 한다는 신화의 논리를 읽을 수 있다. 무속신화의 여성들이 이승과 저승의 삶을 횡단하며 인간 세계를 다스린다는 점에서 문화 창조의 주역이 되는 것은 일면 당연한 귀결이라 하겠다. 그동안 신화에서 보여주었던 남성신의 활약에 가려져 여성의 죽음에 내재하는 죽음의 문화적 의미에 대해 크게 주목 받지 못하였다. 무속신화의 여성 죽음은 새로운 신의 출현을 예고하는 필연적인 서사 장치로서 기능하며, 삶/죽음에 대한 인식의 확장을 야기한다는 점에서 새로운 문화 읽기에 이바지한다. This study aims to read the meaning of life and death culturally anew, focusing on the narrative of women’s death in Shaman myths. In shaman myths, death and resurrection events after death occur only in women (goddess). There is always death in the life of a woman who lives as a family member of a daughter, wife, and mother. Women’s death situations and the process of solving problems vary from myth to myth. However, women in myths are performing a common task in that they face a death incident while playing a role as a family member. In addition, the common narrative structure of ‘life → death → life’ can be confirmed in the process of a woman’s life leading to death and a series of events leading to another life after death. However, there is always a middle term between ‘non-life’ and ‘non-death’ in the narrative from life to death and the narrative from death to life. From this, a new cultural reading of life/death could be explore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narrative structure and narrative method of women’s death, the women of myths are resolving the contradiction between living and dead life. Such death is not a tragic event that signifies the end of life, but shows the continuity of life in that it becomes an immortal existence that never dies as death. In this respect, the death of a woman in shaman myths is understood as a sacred event that leads to belief in the immortality of a divine being. Women face death as a mechanism to resolve the deficiencies given to life. Through this, you can read the myth of enabling filling with emptiness. It is natural for women in shaman myths to become the protagonists of cultural creation in that they rule the human world by traversing the lives of this and the afterlife. However, the cultural meaning and logic of the myths inherent in the death of women have not received much attention because of the male god’s activities shown in the myths. Death functions as an inevitable narrative device that heralds the emergence of a new goddess, and contributes to reading a new culture in that it causes an expansion of the perception of life/death.

      • KCI등재

        임석재의 <관북지방무가>에 나타난 무속신화의 특징과 의의

        이수자 한국구비문학회 2008 口碑文學硏究 Vol.0 No.27

        The Prof. Im Seok-Jae collected materials on shaman folklore from the mid sixties to the beginning of 70s over various areas and produced the following 4 works of great importance for the research on shaman folklore in Korea; ‘Songs of shamans of Kwanbuk province, 1965’, ‘Songs of shamans of Kwanbuk province, an additional Edition, 1966’, ‘Songs of shamans of KwanSeo province, 1966’, ‘Songs of shamans of Julpo area, 1970’. He completed these first three works in collaboration with the Prof. Jang, Ju-Kun, while ‘Songs of shamans of Julpo area,’ is his single-handed work, This study, focused to ‘Songs of shamans of Kwanbuk province, as well as 'Songs of shamans of Kwanbuk province, an additional Edition’, is aimed to acknowledge its value in the history of culture by summing up the myths and studying the characteristics. ‘Songs of shamans of Kwanbuk province’ is the collection of songs of shamans named mainly Kang Chun-Ok, Kim Bok-Sun, JI Kum-Sun, Kim Bok- Sun, Bak Jung-Suk of HamKyung province. There are total 19 songs of shamans. Among them, there are 8 of Kang Chun-Ok, 7 of JI Kum-Sun, 3 of Kim Bok-Sun and 1 of Bak Jung-Suk. But due to the geopolitical difficulty, it was carried out with shamans who came to the South away from the communist regime. The shamans were asked to perform as if they were in real rituals, which were recorded and later were put into words. ‘Songs of shamans of Kwanbuk province’ is also a source of information on various kinds of shaman rituals in HamKyung Province and, therefore, is widely referred to for overall understanding of shaman rituals of HamKyung Province. Some scholars say that HamKyung Province and Jeju Island have some shaman myths in common. Comparing shaman myths of HamKyung Province and those included in KunGut(the meaning of big scale rituals) JeJu Island, we may find more than 6 myths with the same contents, such as <Myth of Creation>, <myth of Chokong-bonpuri>, <myth of Sekyung-bonpuri>, <myth of MunJun-bonpuri>, <myth of MengKam-bonpuri(Samani-bonpuri)>, <myth of KangNimChasa-bonpuri>. In ancient times, there existed 12 Acts KunGut which were handed down by shamans throughout the history and were spread all over the country. And some myths of 12 Acts KunGut remained intact in HamKyung Province and Jeju Island owing to their geographic isolation. In view of this, similar rituals to 12 Acts KunGut were performed also in the land in ancient times. ‘Songs of shamans of Kwanbuk province’ proves this and, therefore, is a work of great value. I personally express my sincere appreciation to Prof. Im, Seok-Jae and Jang, Ju-Kun, who recorded the shaman songs and put them into written words under difficult circumstances. Songs of shamans of Kwanbuk province, Songs of shamans of KwanSeo province, Songs of shamans of Julpo area are invaluable for the study of shaman folklore and they should be published in books so that we can get easily our hands on them. Currently, it is difficult to have access because they are kept in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of Korea as report files. A lot of materials collected by Prof. Im, Seok Jae in the 1970s are still kept in tapes without being put into written form. I expect these materials be also published before long. 임석재(任晳宰, 1903~1998) 교수는 1960년대 중반으로부터 1970년대 초에 걸쳐 여러 지역의 무속을 조사하고, 우리 무속연구에 큰 의의를 갖고 있다고 할 수 있는 <관북지방무가(關北地方巫歌), 1965>와 <관북지방무가 추가편, 1966>, <관서지방무가(關西地方巫歌), 1966>, <줄포무악(茁浦巫樂), 1970>과 같은 무가 자료집을 남겨 주었는바, <줄포무악>은 임석재 교수 단독으로 조사한 것이나 나머지 자료는 장주근 교수와 함께 조사 채록한 것이다. 본 논문은 이 중 <관북지방무가(추가편 포함)>를 중심으로, 여기에 나타난 신화 내용 및 그 특징을 소개하고 이를 통해 이 자료집이 가지고 있는 문화사적 의의를 고찰한 글이다. <관북지방무가>는 함경도 함흥 지역의 무녀 김복순과 강춘옥, 그리고 홍원의 지금순, 흥남의 박금순 등의 무가를 조사하여 채록한 것인데, 총 19종류의 무가 중 무속신화는 15종이 소개되어 있다. 여기에 실린 자료들은 현지 조사가 어렵기 때문에 월남한 무녀를 대상으로 하여, 먼저 무녀에게 행식하는 때와 같은 모습으로 구연시키고 이것을 녹음하였다가 나중에 문자화하였다고 한다. 이 자료집에는 함경도 굿의 종류 및 무경도 소개되고 있어 함경도굿 전반을 이해하는데 많은 도움을 주고 있다. 함경도와 제주도에는 공통하는 무속신화가 많다고 하는 기존 학설이 있는데, 실제 <관북지방무가>에 있는 함경도 무속신화와 제주도 큰굿 속에 남아 있는 무속신화를 비교해 보면 적어도 <셍굿의 창세신화: 배포도업침>, <셍굿의 세주애기본풀이: 초공본풀이>, <문굿: 세경본풀이>, <살풀이: 문전본풀이>, <혼쉬굿: 사만이본풀이>, <짐가제굿: 강님차사본풀이> 등 6편 이상이나 그 내용이 공통하고 있다. 이것은 고대에 <12거리 큰굿>과 같은 것이 있어 이들이 전 역사에 걸쳐 무격에 의해 전국에 전승 되었던바, 여기에서 구송되었던 신화들이 함경도와 제주도가 비교적 변두리 지역이었기에 여기에 상호 공통적으로 남아 있게 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렇게 보면, 고대에 있어 제주도뿐만 아니라 육지 쪽에서도 12거리 큰굿과 같은 것이 행해졌었다는 것을 알 수 있게 되는데, <관북지방무가>는 바로 이러한 사실을 알 수 있게 해 준다는 점에서 매우 큰 의의가 있다. <관북지방무가>, <관서지방무가> <줄포무악>은 우리 무속을 연구함에 있어 반드시 중시되어야 할 자료라 할 수 있기에 원하는 사람들이 쉽게 구입하여 읽을 수 있도록 책으로 출간되어야 한다. 현재는 문화재청에 보고된 보고서 형식으로만 되어 있어 구입하기도 어렵고 읽기도 어렵기 때문이다. 임석재 교수가 1970년대에 조사한 수많은 무가자료들이 아직 전사되지 못한 채 그대로 녹음테잎으로 남아 있는 것도 문제다. 이들도 곧 문자화 되어 책으로 발간된다면 연구에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 KCI등재

        ‘꽃의 신화학’ 서설 : 제주도 무속의 신화체계 탐색을 위한 시론

        강진옥(Kang, Jin ok) 한국구비문학회 2019 口碑文學硏究 Vol.0 No.55

        제주도 큰굿에는 꽃을 서사의 핵심으로 활용하는 본풀이들이 상당수 발견된다. 이들 본풀이들은 이른바 ‘꽃의 신화학’으로 명명할 만한 구조적 유형성을 공유하고 있다. <천지왕본풀이>는 제주도 무속신화의 서사적 중추를 이루는 ‘꽃의 신화학’의 출발점이다. 꽃 피우기 내기’는 생명현상의 유지와 보존이라는 세계운행의 질서를 형상화한 것이다. 번성꽃을 피운 대별왕이 저승을 차지하고 꽃사발을 바꾼 소별왕이 이승을 차지했다는 신화적 사건은 제주도 무속신화의 세계관적 기저를 형성하고 있다. 소별왕의 인세차지는 번성꽃으로 표상되는 생명력을 활용하여 쇠퇴해가는 인세를 갱신시킨다는 신화적 의미를 함축하고 있다. 꽃과 관련한 신화적 인물들은 행위에 따라 ‘생산·창조자’, ‘활용·운용자’로 대별되는데, 대별왕(생산 및 창조자)이 피워낸 꽃을 가져온 소별왕(활용 및 운용자)에 의해 그 선례가 마련된 ‘생명현상의 쇠퇴와 갱신’의 구조는 제주도 무속의 신화체계를 관류하는 공통주제로서 다양한 본풀이에서 되풀이 나타나고 있다. 그러한 양상은 서천꽃밭에서 환생꽃을 가져와 생명을 되살리고 신격으로 좌정한 인물들(이공본, 세경본, 문전본 등)의 경우는 물론이고, 꽃과 무관하게 전개되는 본풀이 유형에서도 확인되고 있다. <차사본풀이>나 <멩감본풀이>는 죽음이라는 현상 앞에서 그것을 넘어서는, 또 다른 생명의 시작을 다루는 본풀이들이다. 제주도 무속은 저승이 새로운 삶의 관문이라는 인식을 의례적 절차와 본풀이를 통해 표명하는데, 의례가 생명현상의 갱신을 가능하게 한다는 전례는 <초공본풀이>에서 마련되고 있다. 꽃-생명-세계는 제주도 무속신화의 신화체계 즉 꽃의 신화학에서 동일한 의미지향을 보여준다. 꽃은 생명현상의 표상이다. 생명현상은 세계공간에 따라 상이한 형상을 보여주지만 실상은 연속선상에 있다. 꽃은 생명현상의 정수이나 열매를 남기고 사라지고, 씨앗은 다시 생명으로 피어난다. 죽음으로써 무수한 생명으로 되살아나는 생명의 신비를 구현하는 식물적 생태를 차용한 상상력은 존재의 영속성을 보여주는 가장 구체적인 방법이다. 생명현상을 표상하는 꽃을 매개로 이승과 저승은 소통하고 삶과 죽음은 순환적 관계를 맺는다. 이러한 상상력 구조는 생명체의 유한성을 넘어서는 방법, 즉 죽음에서 생명으로 나아가는 길을 설득력 있게 제시하고 있다. 꽃의 신화학은 본풀이의 신화체계로서, 본풀이적 세계관이 구현해낸 생명에 대한 예찬이자 삶의 송가(頌歌)인 것이다. In Big Gut, Jeju Island, many bonpul-i (shamanic myths) exist, wherein flowers are the core of the narratives. These bonpul-i share a structural typology that may be called the “mythology of flowers.” Cheonjiwangbonpul-i is the starting point of the “mythology of flowers,” which forms the narrative backbone of Jeju s shamanic mythology. Flowering is a representation of the order of world operations (i.e., the maintenance and preservation of life phenomena). The mythical events, the Daebyeol-wang who flourished flowers that took the otherworld and the Sobyeol-wang who changed the flower bowl that took this world, form the basis of the worldview of the shamanic myths in Jeju Island. Occupying the human world of Sobyeol-wang implies the mythical meaning of renewing the declining human world by utilizing the vitality represented by the flourishing flowers. The acts of mythical figures related to flowers are largely divided into the groups of producers and creators and users and operators. The decline and renewal of life phenomena, established by Sobyeol-wang (users and operators) who brought flowers that were made to bloom by Daebyeol-wang (producers and creators), are common themes that flow through the myth system of shamanism in Jeju Island. Such a pattern has been confirmed not only in the case of people who brought reincarnation flowers from the Seocheon Flower Field to revive life and settled as Godheads (e.g., Yigongbonpul-i, Sekyungbonpul-i, Munjeonbonpul-i, etc.), but also in the type of bonpul-i that is unrelated to flowers. The Chasabonpul-i and Menggambonpul-i are bonpul-i that deal with the beginning of another life beyond the phenomenon of death. Shamanism in Jeju Island expresses the recognition that the otherworld is the gateway to a new life through ritual procedures and bonpul-i. The precedent that rituals enable the renewal of life phenomena is provided in Chogongbonpul-i. The flower-life-world shows the same meaning orientation in the shamanic mythology of Jeju Island (i.e., the flower mythology). Flowers are a symbol of life. Life phenomena show different shapes according to world space, but the reality is that it is in a continuous line. Flowers are the essence of life. Flowers disappear, leaving fruit, and the seeds bloom again into life. The imagination that borrows from the plant ecology embodying the mystery of life, which is revived into countless lives by death, is the most specific way of showing the permanence of existence. Through the flowers that represent life phenomena, this world and the otherworld communicate, and life and death form a cyclical relationship. This imaginative structure convincingly suggests a way beyond life s finiteness, the way from death to life. The mythology of flowers is the mythical system of the bonpul-i, a tribute to life and a hymn of life embodied by bonpul-i s worldview.

      • KCI등재

        2015 개정 초·중등 국어 및 문학 교과서의 신화 제재 수용 양상

        변숙자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23 고전문학과 교육 Vol.52 No.-

        This study analyzes the inclusion of mythological materials in the 2015 revised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textbooks, and the aspects in which learning activities have been implemented for each material. First, after examining the possibility of including mythological materials in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textbooks for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Jeju Island shamanic myth <Woncheongang Bonpuri> was included in Korean language textbooks of Grade 4 of elementary school and Grade 1 of middle school. Furthermore, <The Myth of Jumong> was included in the Korean textbook for the first year of high school, and <The Myth of Dangun>, <The Myth of Jumong>, and <The Myth of Suro>, Jeju Island shamanic myth <Cheonjiwang Bonpuri>, and <The Myth of Baridegi> were included in the literature textbook for the second year of high school. Second, mythological materials tend to focus on understanding the hero's biography structure for which a modern interpretation of the meaning of mythology is required. 본 논문은 2015 개정 초·중·고등학교 국어 및 문학 교과서를 대상으로 신화 제재의 수록 양상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논의는 2022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적용에 따른 교과서 발행을 앞둔 시점에서 신화 제재의 교과서 수록 및 신화교육의 방향성을 탐색하는 데 일정한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첫째, 초·중·고등학교 학교급 별 국어 및 문학 교과서를 대상으로 신화 제재 수록 양상을 살펴본 결과, 초등 4학년 국어 교과서에 제주도 무속신화 <원천강본풀이>의 애니메이션 개작본인 <오늘이>가 처음 등장하였고, 중학 국어 1학년 5종 교과서에 <주몽신화>, <원천강본풀이>, <삼공본풀이>가 수록되었다. 고등 1학년 국어 2종 교과서에는 <주몽신화>가, 고등 2학년 문학 7종 교과서에 <단군신화>, <주몽신화>, <수로신화>, <천지왕본풀이>, <바리데기>가 수록되었다. 둘째, 건국신화와 무속신화 제재 활용의 문제점 및 개선방향을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건국신화인 <주몽신화>, <단군신화>, <수로신화>를 제재로 한 학습활동 내용이 전반적으로 영웅의 일대기 구조 파악과 신이성 파악 중심에 편향된 교육 활동이 반복된다는 문제가 발견되었다. 건국신화 교육에서는 건국신화의 정치적, 역사적 성격이 구체적으로 교육 내용에 반영되어야 한다. <주몽신화>는 초, 중, 고등학교에서 연속적으로 다루어지고 있으나 교육 경험의 연속성, 확장성이 제공되지 못하고 있는 바, 현대 문화콘텐츠와의 비교 활동 등 현대 학습자들의 수준과 흥미를 고려하고, <주몽신화> 등 건국신화가 민족 신화 성격으로 전승되는 사회문화적 맥락 이해 교육이 요구된다. <단군신화>는 전설, 민담 등 설화의 하위분류 학습 제재로 활용되고 있으나, 민족의 시원과 관련한 역사적, 정치적, 사회적 담론 형성의 역할이 교육 내용에 반영될 필요가 있다. 다음으로, 무속신화인 <원천강본풀이>는 초·중학교 국어 교과서에 연속적으로 다루어지는 제재로, ‘내용 요약’ 활동이 반복되고 있으나, 주인공 ‘오늘이’의 문제 해결 행위를 중심으로 자아 성찰, 타자의 이해와 소통, 문학 치유와 공감 등 청중과의 교감 중심 메시지로서의 무속신화의 특성이 교육 내용으로 구안되어야 한다. <천지왕본풀이>는 웹툰 <신과 함께>와 교과서에 병행 수록되어 있는 바, 무속신화가 현대 문화콘텐츠로 변용될 수 있는 서사적, 환경적, 문화적 요인을 발견하는 등 신화의 현재성, 현대 학습자와의 공감을 적극 고려할 수 있는 학습이 요구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