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한국어 후설원순모음의 음성 특징과 음성 인식 오류에 관한 연구

        김아름 국어학회 2023 국어학 Vol.- No.105

        후설원순모음은 세대와 성별에 따른 조음 위치 차이가 큰 모음으로, 이들의 이러한 조음 특성으로 인해 음성 인식 상황에서 다수의 후설원순모음 간 오류가 발생한다. 본 연구에서는 약 106시간의 음성 인식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각 후설원순모음들이 정인식되었을 때의 F1·F2값과 오인식되었을 때의 F1·F2값을 측정하여, 후설원순모음 간의 음성 인식 오류를 유발하는 음성 특성이 무엇인지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음성 인식 모델, 성별, 후설원순모음 종류에 따라 음성 인식 상황에서 주요 인식 단서로 활용되는 음성 특징이 다르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ㅜ’의 인식 오류는 남녀 모두 F1에 의해 발생한다. 이때 F2는 ‘ㅗ’와 ‘ㅜ’의 판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데, 이로 인해 ‘ㅗ’와 ‘ㅜ’가 전후대립을 보이는 세대의 음성 인식에서는 다수의 인식 오류를 야기한다. ‘ㅗ’는 음성 인식 모델에 따라 주요 인식 단서가 차이가 있으며, 남녀 모두 F2가 인식 오류에 영향을 미친다.

      • KCI우수등재

        국어 모음체계의 조음음성학적 검토

        송기중 국어학회 2018 국어학 Vol.0 No.86

        대략 1930년대부터 우리나라 국어학자들은 국어의 모음체계를 다니엘 존스의 기준모음4각도 모형으로 파악하였고, 개별 모음의 특성을 모음4각도의 분류기준인 혀의 전-후-고-저 위치로 이해하고, 그것을 ‘전설고모음’·‘후설모음’ 등과 같이 모음의 명칭으로 삼아 왔다. 그런데, 국어 모음을 스스로 발성·관찰하여 기존 명칭의 의미에 부합하는 혀의 전-후-고-저 위치를 명확히 확인하기가 쉽지 않다. 발성할 때 혀의 위치를 확인할 경우 대개는 자연스러운 발성이 아니라, 혀의 동작을 용어의 의미에 맞게 의도적으로 과장 조작 하여 합리화한다. 우리 학계에서 보편적으로 인정해 온 모음의 조음적 특징을 실제 발성시에 확인하기 어려운 이유는 모음4각도의 체계가 국어의 모음체계를 이해하는데 적절하지 않기 때문으로 생각할 수 있다. 본고에서 국어의 모어자들이 용이하고 분명하게 확인할 수 있는 조음적 특징으로 모음 체계를 설명하려고 의도하였다. 2장에서는 존스의 기준모음4각도와 기존의 설명들을 소개하며 문제점을 지적하였다. 3장에서 현대국어 중부지방어(표준어) 모음의 조음작용을 설명하고 그 조음작용을 기준으로 분류한 모음의 체계를 제시하였다. 요지는 다음과 같다. (1) 국어의 모음은 ‘입(열기)’·‘혀’·‘입술’, 3부위(部位)의 동작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여섯 가지 단순 조음작용(調音作用)으로 조음된다. (2) 여섯 가지 조음작용은: 광구(廣口 입을 넓게 열기), 협구(狹口 입을 좁게 열기), 설승(舌昇 혀 올리기), 원순(圓盾 입술 동그랗게 만들기), 설퇴(舌退 혀 뒤로 빼기), 설진(舌進 혀 앞으로 내밀기)이다. (3) 모음체계는 기본(단)모음 3종, 단모음 5종, 2중모음 12종으로 구성되었다. 기본모음은 조음작용 의 단순 작용에 의하여 조음되고, 단모음은 ①②작용 기반에 조음작용으로 조음되고, 2중모음은 단모음에 조음작용이 추가되어 조음된다. (4) 모음들은 광구기반 모음과 협구기반 모음으로 분류된다.

      • KCI등재

        국어의 반모음은 음소인가

        이동석 ( Lee Dongseok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2021 한국어문교육 Vol.35 No.-

        전통적으로 국어의 음소는 자음, 모음으로 분류되었으나, 최근에는 반모음을 국어의 음소로 인정하려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관점은 음운체계를 기술할 때 반모음 체계 대신 이중 모음 체계를 기술하는 기존의 방식을 고수하면서 불균형의 문제를 낳는 경우가 많다. 최소 대립쌍의 원리를 통해서는 반모음이 음소인지 이중 모음이 음소인지를 결정하기가 어렵다. 이중 모음의 입장에서 보면, 이중 모음 [we]와 단모음 [ö], 이중 모음 [wi]와 단모음 [ü]는 각각 자유 변이 관계에 있는데, 이를 통해 이중 모음 [we]와 단모음 [ö], 이중 모음 [wi]와 단모음 [ü]가 각각 한 음소의 변이음에 속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이처럼 이중 모음에서 반모음을 따로 떼어내 음소로 인정하기가 어려우므로, 반모음은 음소가 될 수 없고 이중 모음이 국어의 음소가 된다. 아울러 ‘기- + -어 → [겨:]’나 ‘보- + -아 → [봐:]’와 같은 활용형에서 일어나는 보상적 장음화는 단순히 단모음이 반모음으로 교체되는 현상이 아니라 단모음의 연쇄가 이중 모음이 되면서 모음의 길이가 길어진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Traditionally, Korean phonemes have been classified as consonants and vowels, but recently there has been a tendency to recognize semivowels as Korean phonemes. However, this point of view often leads to the problem of imbalance as it maintains the existing method of describing a diphthong system instead of a semi vowel system when describing a phonological system. It is difficult to determine whether a semivowel is a phoneme or a diphthong is a phoneme through the principle of minimal pairs. In terms of diphthongs, diphthong [we] and vowel [ö], diphthong [wi] and vowels [ü] are each in a free transition relationship. It can be seen that each diphthong [we] and vowel [ö], and diphthong [wi] and vowel [ü] belongs to allophones of one phoneme. As shown above, it is difficult to separate a semivowel from a diphthong and recognize it as a phoneme, so a semivowel cannot be a phoneme, and a diphthong becomes the phoneme in Korean language. In addition, the compensatory lengthening in verbal inflections such as ‘ki- + -ə → [kjə:]’ or ‘po- + -a → [pwa:]’ is not simply a phenomenon in which vowels are replaced with semivowels, but it can be interpreted as the chain of vowels becoming a diphthong, resulting in a longer vowel.

      • KCI등재

        비고모음의 활음화

        김현 한국방언학회 2016 방언학 Vol.0 No.23

        VGV sequences [aja] and [oja] changed into [ɛ:] and [wɛ:] respectively in central dialect but in Chungnam and Jeonbuk dialects they occasionally changed into [ja:] and [ɥa:] respectively. It is supposed that after the monophthongization of [aj] and [oj] to [ɛ] and [ö], resulting VV sequences [ɛa] and [öa] underwent glide formation of non-high vowels: [ɛ]>[j], [ö]>[ɥ]. There always exists the transition period between two vowels constituting VV sequence and this transition can be recognized as a phonemic glide when the preceding one of vowel sequence is extremely weakened or deleted. The experiment shows that the more the preceding vowel is shortened the more test subjects recognize VV sequence as GV sequence. This glide formation as phonological phenomenon can be defined phonetically as vowel weakening or deletion. 하향이중모음이 단모음화되기 이전의 ‘아야[aja]’, ‘오야[oja]’는 현재 중앙어에서는 대체로 ‘애:’와 ‘왜:’로 반영되어 있지만, 충남과 전북을 중심으로 한 지역에서는 ‘야:[ja:]’와 ‘요ㅑ[ɥa:]’로 반영되어 있다. 이는 ‘애아’, ‘외아’의 비고모음 ‘애’, ‘외’가 각각 [j], [ɥ]로 활음화되어 형성된 것으로 보인다. 모음의 연쇄에는 앞의 모음에서 다음 모음으로 전이되는 구간이 있기 마련인데, 앞의 모음이 극단적으로 약화되어 전이 구간과 후행 모음만이 두드러짐으로써 활음과 모음의 연쇄에 이르게 되었다는 것이다. ‘개아’와 ‘괴아’의 모음 길이를 조작하여 전체 연쇄가 어떻게 인식되는지를 실험한 결과, ‘애’와 ‘외’가 짧으면 짧을수록 모음 연쇄보다는 활음과 모음의 연쇄라고 판단하는 일이 잦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후보

        'ㅓ'[??] 원순모음화 현상 연구 : 경북방언을 대상으로

        신승용 국어학회 2004 국어학 Vol.0 No.44

        본고는 경북방언에서 나타나는 /?/ 원순모음화 현상의 양상과 특성을 모음체계의 변화라는 사건과의 관련성 속에서 고찰한 것이다. 경북방언의 모음체계는 /ㅡ/와 /ㅓ/, /ㅔ/와 /ㅐ/의 합류로 /ㅣ, E, ㅡ, ?, ㅗ, ㅜ/의 3단 2계의 6모음 체계로 변화하였다. 이로 인해 후설에서 /?/가 /ㅜ/와 [round] 자질에 의해 새로운 대립 관계를 형성하게 되었는데, 이것이 /?/ 원순모음화가 나타날 수 있는 일차적인 조건이 되었다. 하지만 음성적으로는 아직 /ㅏ/가 원래의 [+low] 위치에 머물러 있음으로 인해, 모음체계 내에서 /?/가 온전히 [+high] 위치로 올라가지 못하여 /ㅜ/와 안정적인 대립 관계를 정립하지 못하였다. 이로 인해 /?/는 부분적으로 /o/와도 대립하는 현상을 동시에 가지고 있다. 이러한 까닭에 형태소 경계에서 원래 ‘-으X’ 계열이었던 어미에서만 /?/ 원순모음화가 적용되고, 원래 ‘-어X’ 계열이었던 어미에서는 /?/ 원순모음화가 저지된다. 또한 형태소 내부의 /?/ 원순모음화가 어휘에 따라 수의적으로 적용되는 것도 바로 이러한 이유에서이다. 그리고 /?/ 원순모음화는 형태소 경계에서 형태소 내부로 확대되었기 때문에, 형태소 내부에서의 /?/ 원순모음화도 여전히 공시적으로 작동하는 공시적 규칙이다 This thesis aims for 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 labialization in Kyeongbuk dialect. The vowel system of Kyeongbuk dialect is six vowel as /i, E, i, ??, o, u/, because /i/ and /??/ merged with /??/, /e/ and /ε/ merged with /E/. As the result of this change of vowel system, /??/ is opposed to /u/ in [back]. This is caused to appearance of /??/ labialization. But /??/ isn't opposed with /u/ perfectly in viewpointing phonetics, because /a/ is placed in [+low]. As this fact, /??/ is opposed with /o/ partially. As this reason, /??/ labialization is applied with originally '-iX' ending, but isn't applied with originally '-??X' ending in morpheme boundary, and is optionally applied with the inner morpheme in accordance with the lexicon. As considering /??/ labialization is extended from morpheme boundary to the inner morpheme, /??/ labializaion of the inner morpheme as well as morpheme boundary must be a synchronic phenomenon.

      • KCI등재

        하강이중모음 ‘외’의 變化와 方言 分化

        정인호 한국방언학회 2013 방언학 Vol.0 No.18

        All of the Korean dialects had ‘ɔi’ as the common preform of ‘외’ and this /ɔi/, generally, was monophthongized into [œ] by way of its phonetical 'Stufenwechsel'. And also current geographical distribution of the Korean dialects was constituted through several divergences. Firstly, Jeolla dialect where /ɔi/ in 'ɔia' is monoththongized into /œ/ as well, is different from the others. Secondly, Pyeongan and Hamgyeong dialects where /œ/ was never rephonologized, are different from the others. Thirdly, Hwanghae and Hamnam dialects where /œ(∼ö)/, after bilabial consonants, was never nonrounded-vowelized, are different from the others. Besides, in the latter case, Peongbuk, Hambuk, and Jeonnam dialects where the [roundness] pair of the /œ/ was /ɛ/, are different from the others. Lastly, Pyeongbuk, Gyeongsang, and Jeju dialects where /œ(∼ö)/ was rising-diphthongized, are different from the others. 국어 제방언의 ‘외’는 ‘ɔi’를 공통선대형으로 가지며 몇몇 음성적 단계변이를 거쳐 단모음화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리고 몇 가지 분화 과정을 거쳐 지금의 방언 분포를 보여주고 있다. 첫째, ‘외아’의 ‘외’까지도 단모음화하는지의 여부에 따라 전라방언과 기타 방언으로 분화된다. 둘째, 단모음 ‘외’는 음성적으로 모음상승이 일어나고 나아가 [원순성] 대립쌍이 ‘애’에서 ‘에’로 바뀌는 재음운화가 일어나기도 하는데 그 여부에 따라 평안⋅함경방언과 기타 방언으로 분화된다. 셋째, 양순음 아래의 단모음 ‘외’가 비원순모음화하는지의 여부에 따라 황해⋅함남방언과 기타 방언으로 분화된다. 아울러 비원순모음화가 일어난 방언은 ‘외’의 [원순성] 대립쌍이 무엇이냐에 따라 평북⋅함북⋅전남방언과 나머지 방언으로 분화된다. 넷째, 단모음 ‘외’가 상승이중모음화하는지의 여부에 따라 평북⋅경상⋅제주방언과 기타 방언으로 분화된다.

      • KCI등재

        hVda 환경에서 한국어 학습자가 발화한 단모음의 포먼트 궤적 연구 : 중국인 여성 초급 학습자를 중심으로

        손상미(Shon Sang Mi)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3

        목적 본 연구는 중국인 학습자들이 발화한 한국어 단모음의 동적 변화를 찾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통해 중국인 학습자들이 한국어 단모음을 발음할 때 일으키는 오류의 특징을 분석하고 한국어 발음을 지도하는 데에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방법 이를 위해서 서울 소재 대학 언어 교육원에서 한국어 2급을 공부하고 있는 중국인 여성 학습자 5명과 서울 및 경기 지역에서 출생⋅성장한 여성 한국인 모어 화자 5명이 hVda 환경에서 발화한 단모음의 포먼트 궤적을 구하여 비교⋅대조하였다. 먼저 hVda로 구성된 실험 자료를 녹음하여 음성 분석 프로그램인 Praat에서 선후행하는 자음을 제거하고 단모음만을 추출하였다. 이렇게 추출된 단모음을 스크립트를 사용해 균등하게 분할하여 6개 지점의 1과 F2 값을 구하고 이를 하나의 선으로 연결하였다. 결과 그 결과 전체적으로 한국인 모어 화자에 비해 중국인 학습자들의 포먼트 궤적의 변화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전설 모음은 두 집단 간 큰 차이가 없었으나 후설 모음은 한국어 모어 화자에 비해 중국인 학습자들의 포먼트 궤적이 상대적으로 더 동적이었다. 후설 모음 중에서 /오/와 /어/는 중반부 이후에 상승하는데 그 상승 정도가 한국인 모어 화자들에 비해 더 큰 것으로 보아 /오/와 /어/를 발음할 때 중반부를 지나면서부터 한국인 모어 화자에 비해 구강 내에서 혀를 상대적으로 앞에 위치한 상태로 조음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결론 이를 통해 중국인 학습자들이 한국어 모음을 발음할 때는 전설 모음에서는 포먼트 궤적의 형태가 큰 차이를 보이지는 않지만 중설과 후설 모음을 발음할 때는 한국인이 조음한 모음의 포먼트 궤적과 다른 형태를 보이는 것을 알 수 있다. 중국인 학습자들이 모음 /어/를 /이/와 /오/, /오/를 /우/로 혼동해서 사용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중국인 학습자들이 후설 조음을 조음할 때 한국어 모어 화자에 비해 입모양이나 혀의 위치를 더 많이 움직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dynamic change of Korean single vowels uttered by Chinese learners. Through this, it can be used as basic data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errors that Chinese learners cause when pronouncing Korean single vowels and to teach Korean pronunciation. Methods For this purpose, the formant trajectories of single vowels uttered in the hVda environment were obtained and compared and contrasted by 5 Chinese female learners studying Korean level 2 at a university language education center in Seoul and 5 female Korean native speakers born and raised in Seoul and Gyeonggi. First, by recording the experimental data composed of hVda, leading and trailing consonants were removed in Praat, a voice analysis program, and only single vowels were extracted. The single vowels thus extracted were equally divided using a script to obtain the 1 and F2 values of 6 points and connected with a single line. Results As a result, overall, the change in the formant trajectory of Chinese learners was greater than that of native Korean speakers. In particula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front vowel, but the formant trajectory of Chinese learners was relatively more dynamic in the back vowel than the native Korean speakers. Among the back vowels, /o/wa /uh/ rises after the middle part, and the degree of rise is larger than that of native Korean speakers. It can be seen that articulation is performed with the tongue positioned relatively in front of the oral cavity. Conclusions Through this, it can be seen that, when Chinese learners Korean vowels, the formant trajectory does no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formant trajectory of the front vowel, but when pronouncing the middle and back vowels, the formant trajectory is different from the formant trajectory of the Korean articulated vowels. can It can be seen that Chinese learners confuse the vowels /uh/ with /i/ and /o/, and /o/ with /u/. It can be seen that when Chinese learners articulate the back vowel, they move their mouth shape and tongue position more than native Korean speakers.

      • KCI등재

        조음장애아동의 모음공간면적과 말명료도 연구

        엄선화,신혜정 한국언어치료학회 2018 言語治療硏究 Vol.27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hildren’s speech intelligibility and to find a correlation between vowel space area and speech intelligibility. Methods: The subjects were five normal children, five children with mild articulatory disorder, and five children with mild-moderate articulatory disorder. For the evaluation of speech intelligibility, spontaneous utterances were recorded with the help of parents in the treatment room or from everyday life; then, 50 words were analyzed for syntactic word intelligibility. Results: Firs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vowel space area according to the tasks by the general group, the mild group, or the mild to moderate group. However, in the group of sentences by each group,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the mild group and the mild to moderate group compared to the general group. In particular,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vowel space area in the mild to moderate group. Secon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mild group in the degree of articulation disorder and the group of the mild-moderate group according to consonant accuracy. Third, the result of finding correlation between the vowel space area of the sustained vowel /a/, /i/, /u/ and the vowel space area and the verbal intelligibility of the vowel in the sentence /a/, /i/, /u/, showed no significant correlation. Conclusions: This study collected objective information about the vowel space to use in the studies related to the speech intelligibility of general children and the group of children with articulation disorder. 목적: 본 연구는 조음장애 집단별 아동의 말명료도와 모음공간면적을 살펴보고 모음공간면적과 말명료도가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연구대상은 일반아동 5명과 경도의 조음장애 아동 5명, 경도〜중등도 조음장애 아동 5명으로 하였다. 말명료도 평가를 위해 자발적인 발화 과제를 치료실 또는 일상생활에서 부모의 도움을 받아 녹화한 후 50개 발화를 선정하여 어절명료도를 분석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별 과제에 따른 모음공간면적은 일반집단, 경도집단, 경도〜중등도 집단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집단별 문장내 모음에서는 일반집단에 비해 경도집단과 경도〜중등도 집단 모두에서 차이가 났으며, 특히 경도∼중등도 집단에서 모음공간면적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는 단모음보다 발화길이가 길어진 문장내에서는 모음공간면적이 좁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자음정확도에 따른 조음장애 중증도별 경도집단과 경도∼중등도 집단의 어절명료도는 두 집단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는 조음장애가 심한 경도∼중등도 집단에서는 말명료도가 낮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경도집단과 경도〜중등도 집단의 연장모음 /아/, /이/, /우/ 모음공간면적, 문장내 모음 /아/, /이/, /우/의 모음공간면적과 어절명료도의 상관성을 살펴본 결과, 유의미한 상관관계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말명료도는 모음공간면적에 전적으로 의존하지 않는다는 것을 함의하며 말명료도는 모음공간면적 뿐 만 아니라 보다 복잡한 평가척도를 포함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결론: 일반아동 집단과 중증도별 조음장애아동 집단의 모음공간면적의 객관적인 정보를 수집할 수 있었으며, 향후 조음장애 아동의 모음공간면적과 말명료도 연구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말명료도의 평가의 객관성을 보완하기 위한 음향학적 요인에 관한 후속연구를 권고한다.

      • KCI등재

        ‘ㄴ’ 탈락과 비모음화(鼻母音化) 연구

        한수정(Han Su jung) 어문연구학회 2017 어문연구 Vol.92 No.-

        이 논문의 목적은 현대국어의 일부 지역 방언에서 나타나는 ‘ㄴ’이 탈락하고, 모음이 비음(nasal vowel)으로 실현되는 현상을 자립분절음운론(Autosegmental Phonology)의 방법으로 설명하는 것이다. 분절음(segment) ‘ㄴ’이 탈락하고, 탈락한 ‘ㄴ’의 앞뒤 모음에 비음성[nasal]이 남아 모음이 비음으로 실현되는 현상은 생성음운론(Generative Phonology)으로는 설명이 어렵다. 하지만 자질의 계층적 구조를 상정한 비단선 음운론(Non-linear Phonology)으로는 간단하게 설명할 수 있다. ‘ㄴ’이탈락하고, 그주변모음이비음으로실현되는현상은‘ㄴ’ 뒤에구개모음(palatal vowel) ‘i’이나 반모음(glide) ‘j’가 올 때 나타난다. 이러한 환경에서 ‘ㄴ’은 구개음화되어 [ɲ]으로 실현된다. 이로 인해 [coronal] 자질이 연속되어 ‘ㄴ[ɲ]’이 탈락된다. 이 탈락은 필수굴곡원리(Obligatory Contour Principle)로 설명이 가능하다. 분절음이 탈락하지만, [nasal] 자질은 남아서 주변 모음으로 확산(spread)되어 모음이 비음화되는 것이다. 국어에서의 모음의 비음화는 음성적인 비모음화(phonetic vowel nasalized)와 음운론적인 비모음화(phonological vowel nasalized) 두 가지가 존재한다. 하나는 국어의 비자음(nasal consonant) ‘ㅁ[m], ㄴ[n], ㅇ[ŋ]’의 전후 모음에서 나타나는 비모음화이다. 이는 비자음이 개재하는 모든 모음에서 나타나는 음성적인 동화 현상(phonetic assimilation)이다. 다른하나는이논의의주제인‘ㄴ’ 탈락으로인한모음의비음화이다. 이비음화는‘ㄴ[n]’과 ‘이[i](j)’가 연속될 때만 나타나는 융합 현상(fusion)이다. 음운론적 비모음화는 지역에 따라 나타나기도 하고, 그렇지 않기도 하다는 점과 현재 비음화된 모음의 실현이 점점 사라지고 있다는 점에서 공시적인 현상(synchronic phenomenon)이 아니라 통시적인 현상(diachronic phenomenon)이라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cribe the phenomenon where the deletion of the ‘n’ sound results in the vowel becoming a nasal (vowel) in contemporary Korean using Geometry Theory. In Korean, there are two forms of vowel nasalization; phonetic and phonological. Phonetic vowel nasalization is the nasalization before or after the nasal consonants ‘m, n, ŋ’ in Korean, and phonological nasalization is the vowel nasalization from the deletion of the ’n’ segment, which is the subject of this study. Also, the former is phonetic assimilation that occurs in every intervocalic nasal consonant and the latter is the fusion which only appears when ’n’ and ‘i(j)’ appear consecutively. As phonological vowel nasalization only appears in certain regions and nasalized vowels continue to disappear, it is not a synchronic phenomenon but a diachronic phenomenon. The phenomenon where ’n’ is deleted and it’s surrounding vowels are nasalized occurs when the palatal vowel ‘i’ or glide ‘j’ follows after ’n’. In this case, ’n’ becomes [ɲ] by palatalization. Because of this, the [coronal] feature occurs in succession, and ’n[ɲ]’ is deleted. This deletion could be explained by Obligatory Contour Principle. The segment is deleted, but the remaining nasal feature spreads to make the surrounding vowels being nasalized. With Generative Phonology, it is difficult to describe how the deletion of the intervocalic n results in the nasalization of the vowels located before and after n . However, Non-Linear Phonology could describe this quite simply as the theory assumes the hierarchical structure of features.

      • KCI등재

        영어모음의 길이와 질에 관한 분석 - Jones와 Kenyon의 견해를 중심으로

        배재덕(Bae Jae-Duk)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08 인문사회과학연구 Vol.9 No.1

          영어모음의 길이(length)과 질(quality) 요소에 있어서 시차성 여부를 두고 영국학계를 대변하는 Jones는 길이(장단)에 시차성을 두어서 장모음표기 [:]를 하고 미국학계를 대변하는 Kenyon은 모음의 질을 시차성으로 인정하여 미국에서 발간되는 사전이나 학습서에는 장모음표기를 하지 않고 있는 점에 착안하여 본 연구를 전개했다.<BR>  또한 영어사적으로 이들 장모음들을 조사한 바로는 Jones가 시차적 요소라고 주장하는 모음의 장단요소는 영어사적인 발달과정과 일치하고 있고, 모음의 질을 시차적 요소로 생각하는 Kenyon은 이들 장모음을 단모음으로 취급하고 있는 데, 이것은 영어사적인 조사에서는 그 근거를 찾을 수 없었다.<BR>  전통적으로 한국의 사전이나 영어 학습서에서는 Jones의 표기법대로 장모음 기호 [:]를 사용해 오고 있기 때문에 한국 영어학습자들이 장모음 표기를 하지 않고 있는 Kenyon의 표기법은 거의 이해를 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따라서 미국식 표기법으로 된 사전이나 학습서를 대할 때에는 양 학파간의 표기상 차이점을 잘 파악하여 학습할 것을 제안한다.   Different views have arisen among scholars on distinctive elements of vowels in English. This paper analyses and defines whether or not which of many elements such as the length, quality, tenseness, semi-vowels and glides of the long vowels [i:], [u:], [?:], [?:], [?:] and diphthongs [ei], [ou], so called, in English is distinctive focusing on Jones" view and Kenyon"s. And also we verify the historical developments of the distinctive elements of English vowels in comparison with the two scholars" view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BR>  As a distinctive element Jones thinks the difference of length to be more significant, while Kenyon, opposing Jones" view, stresses only the vowel quality. Some scholars like Thomas and Bronstein consider tenseness of vowels more significant, and structuralists in America consider semi-vowels or glides more important. We find the historical justification for regarding the length element of English vowels as distinctive.<BR>  In terms of vowel phonetic transcription Jones admits that the length element of vowels in English is phonemic and gives a length mark like [i:] or [ei], while Kenyon thinks that the quality element of vowels is distinctive and gives a short vowel symbol like【i】or 【e】without a length mark . Traditionally our English learners are accustomed to Jones" phonetic symbols. In this case we should pay attention to the two different English vowel phonetic notations.: one with length marks and another without any additional mark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