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 Study on the Mother Symbols in Folktales and Mythologies

        Park, Jeong-Hee(박정희)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7 인문과학연구 Vol.0 No.52

        모성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모성 상징을 연구함으로써 그 의미를 알아갈 수 있다. 본 연구는 모래놀이치료, 예술치료, 꿈 분석 등의 상담 치료 현장에서 절실히 요구되는 모성상징 이해에 대한 필요성에 연상과 확충의 분석심리학적 방법으로 모성 상징들을 도출하고 그 의미를 이해하고자 하였다. 모성원형은 궁극적으로 영적인 목적을 가지고 자기(Self) 통합을 향하여 나아가게 한다. 개인이 표상화한 모성상은 자아의 태도에 따라 긍정적, 부정적으로 작용하고, 모성상이 주는 고난은 자아의 태도가 변하기를 유도하는 목적을 지니고 있다. 신화와 민담에서 젊은 여성들은 새로운 모성상인 시어머니나 계모, 마녀 등이 주는 시련을 통과하면서 동일시한 모성성과 분리된다. 여성의 내적인격인 남성성과 관계를 맺으며 분별력과 지혜를 얻는다. 그리하여 내적인 선한 모성을 개인적인 인격에 구체화시키게 된다. 우리 건국신화에서 시련을 통과한 웅녀와 유화는 자아가 동물적인 무의식의 본능적이고 충동적인 에너지를 다룰 수 있게 됨으로 대극을 통합하고 하늘과 땅의 신성혼의 결합으로 조상의 지신과 곡신이 된다. 신화에서 남성 영웅들은 모성상에서 분리되어 자신의 여성성을 발달시키며 자기 통합의 길을 가게 된다. 시대와 지역을 뛰어넘어, 민담이나 신화에서 여성에게 있어 모성의 상징은 곰, 호랑이, 인내, 동굴, 길쌈, 옥함, 강물, 꽃, 호리병, 하늘과 땅을 연결하는 신성혼, 지신, 곡신, 약물, 샘물, 밭, 배, 버리는 어머니, 모함하는 계모, 강한 모성애를 상징하는 신비한 샘물, 빨래, 꽃, 호리병, 숫자 4 등으로 나타난다. 남성에게 있어서 모성의 상징은 요부, 마녀, 물질, 돼지, 지하세계, 동굴, 자궁, 돌봄, 배, 양육하는 자, 잡아먹는 자, 반려자, 여 전사, 영적인 세계와 인간 세상을 중재하는 자 등으로 나타난다. 모성의 상징에 대한 연구는 애착문제, 대인관계, 정서 불안 등의 상담 치료 현장에서 모성의 이미지의 상징의 의미를 깨닫게 하여 치유의 힘을 얻게 한다. 또한 내담자 심리의 흐름을 모성 상징의 변화를 통하여 이해하여 치료의 과정에서 직접적인 치료효과로 나타나게 된다. 이런 신화나 민담들 속에서 개인이 고난을 통과하며 획득해 가는 모성의 상징적 의미는 분리 죽음 재생 통합의 심리적 변환 과정을 겪으며 자기통합 되어가는 과정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maternal symbols to the necessity of maternal understanding required in counseling field such as sand play therapy, art therapy and dream analysis, etc. Those are derived from association and amplification of analytical psychological method. The mother archetype ultimately has the spiritual purpose and move towards its self-integration. The maternal image functions positively or negatively according to the person’s ego attitude, and the suffering given by the maternal image intends to change the ego attitude. Folktales and mythologies describe the process of women undergoing sufferings and changing themselves as individual characters. The negative maternal image, shown in folktales and mythologies, is not about the external actual mother, but is considered representing the mother archetypal power which changes the ego-attitude that delays the growth. Young women in mythologies and folktales undergo the trials caused by the new maternity represented by the mother-in-law, stepmother, witch, etc., and separate themselves from their early identified mothers. They form relationships with inner masculine(animus) and obtain discernment and wisdom. The internal good maternal image thus is embodied in individual characters. In Korea’s founding mythologies, Ungnyeo and Yuhwa, who undergo trials, can control their ego’s animal-like, unconscious, instinct and impulsive energy, thereby integrating opposite poles, and becoming the goddess of the earth and the goddess of cereals through the divine marriage of heaven and earth. In mythologies, men, separating themselves from the maternal image, develop their own female image and set out on the road to their own integration. The study of symbols of maternity makes it possible to realize the meaning of maternal image in counseling treatment such as attachment problem, interpersonal relationship, emotional anxiety, and gain the power of healing. Beyond the time and place, those maternal symbols are common in folk tales and myths of the East and the West. In the mythologies and folktales, the symbolic meaning of the maternity, which women acquire as they undergo trials, means the process of Self-integration as individuals undergo the psychological transformation of separation, death and rebirth.

      • KCI등재

        모성의 관계적 본질과 교육인간학적 의의

        황지영(Hwang, Ji Young),강기수(Kang, Gi Su) 한국홀리스틱융합교육학회 2021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 Vol.25 No.3

        이 연구는 모성의 정의와 기능을 이해하고 관계적 본질을 고찰한 다음, 그에 근거한 교육인간학적 의의를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모성은 여성이 어머니로서 자녀에게 가지는 본능이며 실질적인 양육 활동 속에서 학습되는 경험으로, 어머니가 아이와 맺는 관계 속에서 형성된다. 모성은 인간을 탄생시키고, 그 생명을 보호하고 보존하며, 인간을 지적ㆍ정서적ㆍ신체적으로 양육한다. 모성은 생물학적 성(性)과 본질적인 동시에 비본질적인 관계를 맺고 있으며, 모성과 재생산 가능성의 관계를 통하여 성별을 지닌 존재로서의 인간을 이해하게 한다. 인간은 탄생성과의 관계를 통하여 이 세상에 태어나며, 어머니는 결핍된 상태로 낯선 시공간 속에 태어나는 아이를 돌봄으로서 모성을 실천한다. 유아는 모성적 돌봄이 행해지는 따뜻한 가정 속에서 자라나야 하며 그 경험이 발판이 되어 고유한 개별적인 존재로서 안정적으로 독립할 수 있게 된다. 모성의 교육인간학적 의의를 제시하면, 모성은 성(性)을 가진 인간에 대한 이해를 확장시켜 주며, 탄생성과 그로 인한 교육의 책임을 인식하게 한다. 또한 모성적 돌봄과 교육을 통해 인간이 자기완성에 이르게 하며, 개인화되고 물화(物化)된 현대사회에서 모성적 관계의 중요성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definition and function of motherho d, to examine the relational nature, and to reveal the educational anthropological significance based on it. Motherho d is an instinct that a woman has for her child as a mother, and it is an experience that is learned through practical parenting activities, and is formed in a mother s relationship with her child. Motherho d creates humans, protects and preserves their lives, and raises humans intel ectual y, emotional y, and physical y. Motherho d has an es ential and non-es ential relationship with biological sex, and makes humans understand as beings with gender through the relationship betwe n motherho d and reproducibility. Humans are born in this world through the relationship with birth, and mothers practice motherho d as caring for children born in unfamiliar time and space in a state of deficiency. Infants must grow up in a warm family where maternal care is performed, and the experience becomes a stepping stone and can be stably independent as a unique individual being. Presenting the educational anthropological significance of motherho d expands the understanding of humans with sex and makes them aware of birth and the resulting responsibility for education. In addition, through maternal care and education, humans reach self-completion. And this suggests the importance of maternal relations in a personalized and materialized modern society.

      • KCI등재

        국내 모성적응증진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송주은 ( Ju Eun Song ),안정아 ( Jeong Ah Ahn ) 여성건강간호학회 2013 여성건강간호학회지 Vol.19 No.3

        본 연구는 최근 10년간 국내 산모를 대상으로 한 모성적응 증진 프로그램에 관한 선행연구들의 동향을 분석 제시함으로서 향후 모성적응증진을 위한 효율적 간호중재 방안 모색의 기초적 근거를 제시하고자 시도되었다. 먼저 연구에 이론적 기틀을 제시한 논문은 총 18편 중 5편으로 소수에 불과하였는데, 이는 국외에서도 산모를 대상으로 한 중재의 설계시 이론적 근거가 부족하다는 점을 지적한 바와 같은 맥락이라고 본다(Mercer & Walker, 2006). 이론적 기틀은 연구 현상과 관련된 개념과 이들 간의 관계를 논리적으로 구조화하여 표현한 것으로, 이는 충분한 문헌고찰과 연구자의 경험을 반영하여 정련화되어 나타나는 것이다(Lee et al., 2009). 따라서 향후 중재연구 시에, 이론적 기틀을 바탕으로 보다 논리적이고 과학적인 근거 하에 연구설계가 수립되도록 노력할 필요가 있겠다. 또한 선정된 모든 문헌은 유사실험연구로서 순수실험연구는 찾아볼 수 없었는데, 순수실험연구(무작위 대조군 실험연구)는 임상 연구의 과학적 근거를 지닌 최상의 기준(gold standard)으로서 이의 수행은 간호중재와 결과간의 관련성을 설명하기에 가장 철저하고 엄격한 연구방법으로 여겨지며 가장 높은 수준의 근거를 제공할 수 있다(Bench, Day, & Metcalfe, 2013). 따라서 향후 모성적응증진 간호중재 관련하여 중재의 효과를 명확히 하고 최상의 근거를 간호실무에 적용하기 위해 많은 연구자들의 순수실험연구에의 도전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연구대상자의 경우 각 군의 대상자 수가 30명 미만인, 상대적으로 적은 표본의 경우가 대부분(13편)을 차지하였는데, 이는 최근 국내 출산률 저하를 고려해 산모 대상자를 모집하는 것이 쉽지 않은 것과도 관련이 있다고 본다. 그러나 실험연구에서 충분한 대상자 수는 연구결과의 위음성(type II error) 가능성을 낮추고 연구결과의 적절한 해석과 적용에 기초가 됨을 고려할 때(Biau, Kerneis, & Porcher, 2008), 연구결과의 검정력을 높이고 임상 적용의 일반화를 위해 가능한 연구에 따른 적정 표본수 이상의 대상자 모집 전략과 노력, 예를 들면 모집기간의 증가, 참여 대상자의 흥미 유도, 기관 간 공동연구 등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중재가 제공된 장소로는 병원이 가장 많았고(8편) 그 다음 이 산후조리원(6편)으로 나타났으나, 문헌의 출판연도 별로 이를 다시 살펴보면, 대상 문헌 중 특히 2006년까지는 산후조리원 환경에서 수행된 모성적응증진 중재가 전무하였으며, 2007년부터 연도가 더해질수록 산후조리원에서 수행된 중재가 주를 이루었음을 알 수 있다. 산후조리원은 근래 산업화와 핵가족화, 취업증가 등의 사회구조 여건변화로 인해 가정 내에서 전통적인 산후조리가 어려워짐에 따라 산모의 산후조리를 돕기 위하여 새롭게 대두된 시설로서(Yoo & Ahn, 2001), 1996년 처음 개설된 이래 2010년에는 428개소에 이르렀음이 보고되었으며 최근 수도권과 대도시를 중심으로 개설이 더욱 빠르게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0). 따라서 변화하는 산모간호의 실정과 특수성을 고려할 때 산후조리원과 같이 공동의 거주를 하는 산모를 대상으로 한 집단 중재 프로그램의 반복 시행은, 대상자 모집 가능성을 높이고 추후 보다 실용가능성이 높은 효과적인 중재 연구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대부분 산후조리원의 경우 남편을 제외한 중요 조력자들의 면회가 제한되는 환경이어서, 신생아 양육을 적시에 도움으로서 모아 애착이나 모유수유, 아기 돌보기 능력의 자연스런 획득을 도울 수 있는 사회적 지지체계로부터의 도움이 제한되는 경우가 흔하나(Song & Park 2010), 한편으로는 출산 후 유사한 경험을 하는 다수의 산모가 함께 거주하는 공동의 시설로서의 특성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산후조리원의 환경적 특성들을 고려하여 산모들 간의 상호 지지와 역동을 증진시키기 위한 집단 간호 중재의 개발은 향후 산후조리원의 이용이 점점 더 증가할 수 밖에 없는 국내의 현실을 고려할 때 매우 중요한 간호중재의 방향이 될 수 있으리라 본다. 이에 더불어, 실제 산후조리원을 이용하지 못하는 산모의 경우 간호중재의 사각지대에 놓일 가능성 또한 고려해야 할 것이다. 즉 병원과 보건소, 가정에서 산후조리를 하는 산모의 경우, 각 중재 장소의 특성을 고려해 활용 가능한 모성적응증진 프로그램의 개발과 시행의 노력도 간과해서는 안 될 것이다. 가장 많이 시도된 중재 프로그램은 모성역할 교육 프로그램(6편), 신생아 행동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3편)과 모유수유에 대한 내용만을 포함한 모유수유증진 교육 프로그램(3편) 등으로, 이는 산모들의 교육요구도가 신생아 돌봄에 대한 지식과 기술에 있다는 선행연구의 결과를 지지하는 바이긴 하나(Sim, Kho, & Lim, 2002), 정서적 측면의 모성(maternity) 혹은 어머니다운 마음(motherliness)의 준비가 실제적 돌봄 활동인 모성역할(mothering)의 핵심적 요인임을 고려할 때(Association for Research on Women``s Health Subject, 2012), 모성적응을 도모하기 위한 교육적 중재는 신생아에 대한 실제적 돌봄 능력의 증진 뿐 아니라 어머니로서의 정서적 적응을 증진시키기 위한 간호중재 역시 포함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본다. 따라서 추후 산모의 모성적응을 증진시키기 위한 중재에 어머니로서의 마음을 준비시키는 심리적 중재와 양육능력의 증진을 위한 실제적인 중재가 모두 포함되는 것이 중요하다고 볼 수 있겠다. 중재의 지속기간은 1일(1회)이 8편으로 가장 많았고, 중재 후 효과 측정시기 또한 중재직후가 9편으로 가장 많았다. 하지만 1회성 간호중재는 대상자가 획득할 수 있는 이익의 적절성이나 중재 효과의 측정에 대한 신뢰를 기대하기 어려우며(Bang et al., 2013), 지식 이외의 태도나 신념, 돌봄행위 증진 등의 태도적, 행동적 측면의 변화까지를 유발하기에는 무리가 있을 수 있다고 본다. 따라서 향후 모성적응증진 프로그램에서는 1회성 교육보다는 지속적인 교육과 피드백을 통해 그 효과를 증대 및 지속시켜줄 수 있는 연구와 전략의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며, 효과 측정 역시 중재직후 뿐 아니라 나아가 종단적 연구를 통한 지속적인 측정을 통해 교육이 실제로 산모의 실제적 양육능력의 변화에까지 영향을 미쳤는지에 대한 추적조사가 필요하리라 본다. 종속변수와 관련하여, 모성역할 교육 프로그램 중재를 통해서는 심리적 적응 측면의 모성역할 자신감이 가장 많이 측정되어 대부분(5편 중 4편)에서 긍정적 효과를 보였으며, 또한 문헌 간 이질성이 높아 연구의 일반화에 제한이 있긴 하나 모성역할 교육 프로그램 중재를 통해 모성역할 자신감을 측정한 5건의 문헌이 통합된 메타분석에서 실험군과 대조군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임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효과는 양육에 대한 지식과 기술의 부족이 어머니로서의 역할 수행 시 자신감 저하로 이어질 수 있다는 문헌을 근거해 볼 때(Chae & Hwang, 2011), 모유수유와 신생아 돌봄 등 모성역할에 대한 지식의 제공은 모성역할 수행 및 모성적응에 있어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하겠다. 또한 신생아 행동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은 심리적 적응 측면의 모성역할 자신감과 더불어 관계적 적응 측면의 모아상호 작용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쳤는데, 이는 초산모를 대상으로 한 선행연구에서 이들에게 매우 어려운 것이 신생아의 신호나 행동을 이해하는 것이라는 입장을 고려할 때(Park, 2005), 신생아 행동의 이해 증진을 위한 교육은 신생아에 대한 관심과 이해를 증진시키고 나아가 모성역할 자신감의 증진에 기여하며 모아상호작용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고 사료된다. 더불어 영아경락 마사지 교육이나 조기 모아 접촉과 같이 모아의 신체적 접촉을 통한 중재는 관계적 적응 측면의 모아 애착이나 모아상호작용을 비롯한 여러 변수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를 통하여 모아의 신체접촉 중재는 산모에게 신생아에 대한 사랑과 애착의 마음을 증진시키고 나아가 신생아를 실제로 돌보고자 하는 마음과 양육 행동에도 긍정적으로 기여할 것이라 생각되었다. 모성적응은 영아에 대한 어머니다운 마음이 기본이 되어 실제적인 돌봄 행동의 성공적 수행으로 이어짐(Association for Research on Women``s Health Subject, 2012)을 고려할 때, 신생아를 사랑하고 돌보는 모성 형성을 위한 접촉과 애착 중재는 효과적이고도 중요한 중재라고 본다. 본 연구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산모에게 있어서 신생아 행동 및 신호에 대한 이해나 모유수유와 신생아 돌봄에 대한 지식의 제공은 신생아 돌봄에 대한 자신감과 성공적인 모성역할 수행을 증진시키기 위한 토대로서 기본적이지만 여전히 중요한 산모 중재라 할 수 있겠다. 또한 모아 간의 접촉을 증진시키기 위한 중재 역시 중요하다 할 수 있는데, 특히 산모의 산후조리원 이용이 증가하는 국내의 현대 사회 여건 속에서, 모아애착과 모아상호작용의 선행요인으로 설명되는 모아접촉이 제한되는 산후조리원 이용 산모에게 있어서 실제적 돌봄 행동의 토대가 되는 어머니다운 마음이나 애착 증진을 위한 중재는 우선적이고도 중요한 요인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라고 보며, 이때 모아간의 신체적 접촉 뿐 아니라 심리적 접촉의 증진 전략 또한 함께 모색될 필요가 있다고 본다. 따라서 향후에는 이러한 내용들을 포함하며 더불어 공동 거주의 산후조리원의 환경적 특성을 고려한 산후조리원 산모를 위한 모성적응증진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하다고 본다. 이상으로 최근 국내 산모에 대한 모성적응증진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결과, 모성역할 교육 프로그램외 다양한 모성적응증진 간호중재가 시행되어 왔고, 이를 통해 모성역할 자신감의 증가 외 다양한 종속변수의 측정을 통해 유의한 효과를 나타내었음을 알 수 있었다. 다만 이러한 중재와 종속변수의 다양성으로 인해 메타분석을 통한 명확한 근거, 즉 특정 중재 내용의 요소가 특정 종속변수에 미치는 영향을 제시하는 데에는 미흡하였음을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 들 수 있겠다. 또한 본 체계적 문헌고찰 연구는 한정적 기간에 출판되고 제한적 검색엔진을 통해 수집된 국내 문헌만을 대상으로 시행하였기 때문에, 출판논문 편견의 가능성이 있다 하겠다. 그러나 본 연구는 국내 산모의 문화적 특성을 고려하여 이들을 대상으로 한 모성적응증진 간호중재와 그 효과에 대한 문헌의 최근 경향을 파악할 수 있었으며, 이를 기반으로 추후 반복적 간호중재 시행시의 고려와 나아가 효과적 간호중재 개발의 기초적 근거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사료된다. han, standard deviation, t-test, ANOVA, Schef

      • KCI등재

        임상 ; 한국에서 모성사망 통계의 변화 추이(1995-2010)

        이영재 ( Young Jae Lee ),김신희 ( Shin Hee Kim ),설현주 ( Hyun Joo Seol ),정성훈 ( Sung Hoon Chung ),최용성 ( Yong Sung Choi ),이경석 ( Kyung Suk Lee ),장지영 ( Ji Young Chang ),최정수 ( Jeong Soo Choi ),배종우 ( Chong Woo Bae 대한주산의학회 2012 Perinatology Vol.23 No.3

        목적: 한국에서 최근 15년간의 보고에서 신생아사망률, 영아사망률, 주산기 사망률이 현저히 감소하는 괄목할만한 개선이 있었다. 이에 따라 한국에서 임산부 측면에서의 사망률인 모성사망 비는 얼마나 개선되는 추세일까 라는 질문에 대한 답을 구하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방법: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서 실시한 모성사망 비에 관한 조사 (1995-2008년)와 통계청의 사망원인 통계 결과 (2007-2010년)를 원 자료로 하여, 한국에서 1995-2010년간의 모성사망 수, 모성사망 비, 모성사망의 직접 혹은 간접사인 등의 변화추세를 분석하였다. 결과: 한국에서 1995년부터 2010년까지의 모성사망 수 및 모성사망 비는 꾸준히 감소 추세이나, 최근 2008년 이후 다소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모성사망비중 직접: 간접의 비가 1995년 16:4, 2010년 9.1:5.5로 직접 모성사망 비의 감소를 보이는 추세였다. 모성사망 비는 전 기간에서 35-39세, 40세 이상의 고령 산모에서 높은 경향을 보였다. 지역별 모성사망 비는 강원이 제일 높았다. 2009년 OECD 국가의 평균 모성사망 비는 10.1이었고, 한국은 10.8로 조금 높은 편이었다. 결론: 한국에서 1995-2010년까지 모성사망 비의 현저한 감소에 의한 개선을 점을 보이는 점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그 수준은 아직 OECD국가의 평균 정도의 수준으로서, 신생아, 영아사망률의 개선에 비해서는 개선을 위한 노력이 필요한 부분으로 판단된다. Purpose: In the past 15 years in Korea, there have been findings reporting a remarkable improvement in reduction of neonatal, infant, and perinatal mortality rates. Consequently,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trends of maternal mortality ratio and observe if it has also improved over time. Methods: The trends of maternal deaths from 1995 to 2010 in Korea were analyzed based on the following materials: 1) surveys of maternal death rate conducted by the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1995-2008), 2) statistical report of causes of death in Korea by Statistics Korea (2007-2010). Results: The number of maternal deaths and the maternal mortality ratio declined steadily from 1995 to 2010 in Korea; however, they have increased slightly since 2008. The direct maternal mortality ratio was reduced when comparing the direct proposition maternal death ratio of 16:4 in 1995 and of 9.1:5 in 2010. The maternal mortality ratio tended to be higher in women from 35-39 years old age group, 40 years or older. Gangwon province had the highest maternal mortality ratio of all provinces in Korea. In 2009, the average maternal mortality ratio for the OECD nations was 10.1 while it was 10.8 for Korea, a little higher than the OECD average. Conclusion: Although the maternal mortality ratio improved by a significant reduction between 1995 and 2010 in Korea, the level is still about average for the OECD countries. It appears that even more efforts should be made to improve maternal mortality ratio compared to the progression in the areas of neonatal and infant mortality rates.

      • KCI등재

        구술생애사를 통해 본 한국여성들의 모성인식에 대한 세대비교연구

        이선형(Lee Sun Hyoung) 한국여성연구소 2011 페미니즘 연구 Vol.11 No.1

        이 글은 30대에서 70대에 이르는 한국 여성들의 구술생애사를 통해 여성들이 스스로 구축해 온 모성에 대한 인식틀을 비교한다. 구체적인 모성실천과 경험보다는 그 경험에 대한 여성들의 의미부여방식에 집중함으로써, 모성개념의 확장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각 세대별 여성들은 모성을 ‘생존’, ‘여자의 임무’, ‘문화적·사회적 교류’, ‘인간에 대한 이해의 확장’등 자신의 생애사속에서 다양한 언어들로 모성을 의미화하였다. 특히 초기 양육기에 속한 30대 여성들 뿐 아니라 60-70대 노인여성들 역시 모성을 자신의 성장과정에 필요한 상징적 자원으로 활용하였다. ‘이해력과 포용력, 책임감, 생명의 고귀함’ 등과 같은 의미들은 여성들이 자신의 모성경험에 대한 성찰의 결과이다. 이러한 결과는 여성들이 자신의 모성경험을 모자녀 관계에 국한하지 않고 자신의 삶을 관통하는 사유의 기반으로 확장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그리하여 모성은 여성들이 타인에 대한 이해, 돌봄, 배려의 덕목을 상상하는 동시에 실천하는 장(場)이 된다. This study seeks to compare the conceptualization of motherhood of Korean women ranging in age from their 30s to their 70s. Oral life histories of Korean women show how they give meaning to their act of mothering. I focused on women’s voices and language rather than on the concrete mothering practice and experience so as to suggest an expansion of the concept of motherhood. Each generation of women has a distinct meaning of motherhood, as expressed by such words and phrases as ‘survival’, ‘women’s destiny’, ‘cultural and social exchange’, and ‘expansion of understanding’. Women use their mothering experience as a symbolic source to articulate their own development through their lives. Not only women in their 30s, in the early phase of mothering, but also women 60-70s years old express this experience similarly. ‘Understanding, tolerance, responsibility, and dignity of life’ - all of these concepts are the result of women’s reflections on their experiences. As a result, this study shows the possibility that women can expand their mothering experiences to a base of thinking for their whole life, beyond simply their mother-children relationships.

      • KCI등재

        <마더> : 모성의 괴기함 또는 신성함

        전문희 한중인문학회 2010 한중인문학연구 Vol.31 No.-

        봉준호의 <마더>는 모성에 관한 특별한 시각을 지니고 있는 영화이다. 영화에서 표면적으 로 제시되는 모성의 특성은 괴기함이다. 기피하고 부정되어야만 하는 이 같은 모성에 대한 개 념은 여성주의 비평가들이 주장하듯 가부장제도 내에서 기존 체제를 유지하기 위한 하나의 전략이라 할 수 있다. 프로이드나 라캉의 정신분석이론은 모성에 대한 가부장적 해석에 대한 이론의 틀을 제공하는 것으로 비난의 대상이 되기도 하지만 모성과 연관된 기존 문화의 다양 한 현상들을 이해하기 위한 유용한 도구가 되기도 한다. 다음으로 제시되는 모성의 특성은 강 함과 신성함에 대한 것으로 이 역시 가부장제의 유지를 위한 욕구가 숨어있는 만들어진 신화 일 뿐이다. <마더>에서 주인공 마더는 이 같은 두 가지 모성의 모습을 충실히 재현하는 인물로 묘사 된다. 그러나 이 영화의 특별함은 다루고 있는 사건의 의외성이나 모성의 괴기하고 충격적인 모습을 통해 드러나는 것은 아니다. 영화는 첫 시퀀스와 마지막 시퀀스가 오버랩 되는 장치를 통해 영화 속의 사건이 영화 속의 영화 라 할 수 있는 마더의 의식 속에서 재현되며 반추되는 것이라는 해석을 가능케 한다. 그리고 사건에 대한 마더의 회상과 의식은 어색하기 짝이 없는 그녀의 춤을 통해 표현되는데, 슬픔, 괴로움, 고통, 두려움, 회한, 후회와 같이 ‘말로는 표현 될 수 없는 힘들고 위험한 말’들이 소위 ‘아줌마 춤’이라는 몸 언어를 통해 발현된다. 영화의 특별 한 시선은 바로 이곳에서 제시 된다. 모성을 주제로 한 대부분의 영화들은 헌신적이고 신성한 모성의 희생이나, 자기희생의 과정에서 나타나는 모성의 두렵고 괴기한 모습만을 강조한다. 따라서 모성에 대한 가부장적인 해석만을 답습하는 한계를 드러낼 뿐이다. 그러나 <마더>에 서는 마더가 지닌 내면의 고통과 이를 통한 자기 성찰의 가능성 즉 ‘개성화(individuation)’ 의 가능성을 그녀의 어색하지만 진솔하고 고통스러운 춤사위를 통해 열어둔다. 융의 심리학에서 말하는 개성화는, 한 개인이 외부로부터의 모든 요구나 명령에 의해 지배 당하거나 영향 받지 않고 오로지 자신만의 선택으로 삶의 방식을 결정하는 ‘온전한 개인’이 되어가는 과정이다. 개성화의 과정은 그러므로 외부로부터 오는 힘과 자신과의 관계에 대한 명확한 인식과 자기 성찰을 통해 시작된다. 그리고 고통은 이 과정에서 피할 수 없는 것이다. 마지막 시퀀스에서, 관광버스에 타고 있는 아줌마들의 ‘관광버스 아줌마 춤’이 첫 시퀀스인 마더의 춤과 오버랩 되면서 마더의 춤은 그 의미가 사회적으로 확산된다. 영화는 모성을 향한 과장된 신화와 그 환상이 빚어내는 사회적인 비극에 대해 , 그리고 비극의 주인공인 마더들이 겪고 있는 고통의 과정에 대해 말하고 있는 것이다. 흐릿한 윤곽만을 드러낸 채 떠도는 유령 들의 그림자 같은 마더들이 깊은 한과 고통의 춤을 이어가고 있는 장면을 배경으로 앤딩 크래 딧을 올리며, 영화는 다음과 같이 관객에게 묻고 있는 것이라 하겠다. “이들이 지금 견뎌내고 있는 고통의 크기가 결국은 현실을 변화시킬 수 있는 가능성은 아 닐까?” 영화가 지닌 모성에 대한 특별한 시선은 바로 이 같은 질문 속에 담겨있다고 생각된다. The film, Mother has its unique view on the meaning of Motherhood. On the surface it seems, this movie is only focusing on representing the Myths of Motherhood exaggerating women's duty and sacrifice as a mother in caring about a family, especially on children. As some critics say Myths about a Good, Great Mother or a Bad Mother as a Woman Monster were invented by the needs for the patriarchal system of the past age but even now these Myths are being reinvented in our own culture with various faces. Mother, the heroin of Mother is representing this very image of mother who is great but dangerous in doing her role of mother with monstrous power devouring everything on the way of it. For the first place she has the image of Vagina Dentate in Ancient Myths and in the castration complex in men, who is believed to have the teeth to take off the penis. Secondly, with these fearful monster images, she also has the image of Good, Great and Sacred Mother sacrificing herself in doing all the hard things to save her son. As the common stories in films or soap operas on Good Mother in these days, she also easily gets much help from the powerful male figures in achieving her goal of realizing the myth of Sacred, Good Mother. However, its unique view of Mother on Motherhood is not made from these images successfully created in this work. In the technique of over-rapping the first scene of dancing mother to the last scene of dancing crowd of old women, this movie completes a kind of frame structure. Consequently it is possible to think that all the things in the movie have occurred in this frame, namely in the memory of Mother, the heroin of her story. On her witch like curious and sorrowful dance Mother expresses all her suffering in the body language, cause it is too complicated and dangerous to be spoken in words. In Jung's theory of psychology the state of suffering in mind is the first step toward Individuation in which a person lives his or her life as a whole being free from every demand and order such as every convention in religion, cultural system, tradition and politics. At this very point, the unique view of this movie reveals it self. In her dance Mother shows much complicated emotions of remorse, regret, guilty feeling and helplessness. In this suffering of self-recognizing moment about what she has done, she seems to begin the first step toward the possibility of Individuation for her self and for the greater change of this world.

      • 일·가정양립 지원 정책 평가와 정책과제 - 모성보호제도와 출산의 관계를 중심으로

        박종서,김문길,임지영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6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보고서 Vol.2016 No.-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모성보호제도를 중심으로 일·가정양립 제도의 정책평가를 실시하여 향후 정책 개선 과제를 도출함을 목적으로 하였다. 일·가정양립정책의 목표는 여성의 고용 안정과 자녀 양육 기간을 보장하고, 또한 출산에 유리한 환경을 조성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출산율 제고를 위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기존의 연구는 주로 고용의 측면에서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으나, 현실적인 자료의 한계 등으로 출산에 대한 정책평가는 거의 이루어지지 못했다. 본 연구는 정책의 고용효과분석은 기존 연구로 대신하고 모성보호제도를 중심으로 사업평가와 출산에 대한 효과평가에 초점을 두었다. 2. 주요 연구 결과 주요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제도의 포괄성 측면에서 전국의료기관 분만자의 건강보험 가입자 대비 제도 이용자 규모를 파악한 결과, 2011~2015년 사이에 임신일 기준 건강보험 직장가입자의 약 25%, 연간 4만 명 규모가 분만 전에 직장을 그만두는 것으로 추정된다. 그리고 2015년 기준으로 출산전후휴가를 이용하지 않은(못한) 사람은 임신일 기준 직장가입자의 41.0%, 분만일 기준 직장가입자의 21.2%로 나타난다. 같은 해 육아휴직을 이용하지 않은(못한) 사람은 임신일 기준 직장가입자의 49%, 분만일 기준 직장가입자의 31.8%로 나타난다. 2015년 기준으로 출산전후휴가 종료 후 1년 이내에 고용보험 자격을 상실한 비율이 22%, 육아휴직 종료 후 1년 이내에 고용보험 자격을 상실한 비율이 32.1%로 나타났다. 이로써 제도의 사각지대가 광범위하게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제도를 이용한 이후에도 고용을 유지하지 못하는 규모 또한 광범위하며, 지난 10여 년간 이런 규모가 지속됨으로써 모성보호제도 활용을 저해하는 노동시장 내 구조적 요인이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모성보호제도의 급여 적정성을 분석한 결과, 출산전후휴가급여의 임금대체율 연 평균은 2006년 87.4%에서 2015년 70.3%로 지속적인 하락추세를 보이고 있다. 임금분위별 출산전후휴가급여의 임금대체율 역시 전반적인 감소 추세가 나타나고 있다. 육아휴직급여의 임금대체율 연 평균은 2006년 35.7%에서 2015년 32.1%로 제도의 변화에 따라 증감하는 경향을 보인다. 여성 근로자를 대상으로 모성보호제도 이용 경험과 이용 행태를 분석한 결과, 출산 전후 6개월 이내에 경력단절 경험이 있는 여성의 경우는 경력단절 경험이 없는 여성에 비해 제도 활용도가 극히 낮았다. 모성보호제도 이용 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분석 결과 상용근로자에 비해 임시일용근로자가, 공공부문에 비해 민간부문 근로자의 제도 활용도 또한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고용안정성과 공공-민간 영역에 따라 제도 활용도가 차별적인 것이 확인되고 있다. 모성보호제도가 출산에 미치는 효과성 분석 결과에 따르면, 순수한 정책 효과로서 제한적이지만 출산전후휴가를 이용한 집단이 미이용자 집단보다 추가자녀 출산 확률이 1.2배 높게 나타났고, 육아휴직 이용자 집단이 미이용자 집단보다 추가자녀 출산 확률이 1.3배 높게 나타났다. 3. 결론 및 시사점 분석 결과에서 알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정책적 함의는 모성보호제도가 노동?쳄揚?구조적 요인과 밀접히 연계되어 있다는 점이다. 즉 현재 모성보호제도가 가지고 있는 한계나 효과는 노동시장의 구조적 장애요인으로 인하여 결정되고 있다는 의미이다. 제도의 사각지대와 여성의 경력단절 문제가 구조화되어 모성보호제도의 활용도를 떨어뜨리고, 노동시장 특성집단 간 제도 활용의 보편성을 훼손시키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따라서 향후 모성보호제도 개선을 위해서는 노동시장의 구조화된 관행을 함께 개선하려는 조치가 병행되어야 한다. 모성보호제도 자체만의 부분적 수정을 통해서는 고용 효과나 출산율 제고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울것으로 판단된다. 사각지대 해소를 위해 고용보험 가입 현황에 대한 점검이 필요하다. 모성보호제도의 활용도가 고용안정성에 따라 크게 영향을 받는 상황에서 제도의 보편성을 보장하기 위한 조치가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여성의 고용을 안정화시킬 수 있는 조치가 필요하겠지만, 비정규적 고용 형태의 경우 특별한 보호 조치가 필요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모성보호제도와 노동시장의 구조적 관행에 대한 연계 조치로서 근로감독 체계의 강화가 주요한 수단이 될 수 있을 것이다. 근로감독 체계와 관련하여 모성보호제도 관련 근로감독 업무의 전문성과 지속성을 확보할 수 있는 조치가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suggest policy recommendations by evaluating the work-family reconciliation policy, especially the maternity protection scheme. Six key findings were identified. Firstly, many female workers were excluded from the benefit of the maternity protection scheme. About a quarter of those covered by the employment insurance did not, or could not, take maternity leave, and approximately one-third did not, or could not take parental leave in 2015. Secondly, the utilization rate of the paid leave is relatively low in the vulnerable group in the labor market, such as low-wage workers, micro-enterprise workers and the service workers. It means that the universality and equality of the policy has not been guaranteed. Thirdly, the average annual maternity leave replacement rate had declined gradually since 2006 although the declining trend varied across income quintile, The middle-quintiles are more likely to see a sharp decrease among all groups. On the other hand, the average annual parental leave replacement rate had fluctuated between 29.2% and 40.3% from 2006 to 2015. Fourthly, women who experienced career interruptions within six months before or after the delivery had extremely low utilization rate of the paid leave compared to the women who had not experienced career interruption. In addition, the utilization rate of the non-regular workers and the private sector workers were lower than regular employee and those of the public sector, respectively. Fifthly, there was a strong correlation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maternity protection policy and the fertility rate at the country level among OECD countries. The length of maternity and parental leave, the paid leave replacement rate, and the social expenditures related to the maternity protection policy as a percentage of GDP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national fertility rate. While there was no causal relationship between length of maternity and parental leave, paid leave replacement rate and fertility rate. Lastly, there was a positive,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f parental leave on having additional children.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f maternity leave on having additional children. The most crucial implication from our various analyses is that the maternity protection policy is intimately related to the labor market institutions. The effect and limitation of maternity protection policy were determined by labor market vulnerabilities. The blind spot in maternity protection scheme and the issue of career interruption are structured, which lowers the utilization of the policy and undermines the universality of utilization. Therefore, the reform of the labor market is essential in order to improve the effects of maternity protection policy on employment and fertility. In detail, it is necessary to inspect the excluded female workers from the employment insurance for removing the blind spot of the maternity protection scheme. Next, increasing job security is needed since the utilization of the maternity protection scheme is affected by the job security. The special protection measures would be required for non-regular workers as well as the general measures to stabilize female employment. In addition, strengthening of the labor inspection system would be a solution for promoting the job security of female workers. Finally, the wage replacement of paid leave is raised in order to increase the rate of maternity and parental leave utilization.

      • KCI등재

        기획 특집 : 모성 담론의 문화적 형성과 재현 ; 고대에서 근대전환기까지 모성 담론의 문화적 조명 : 규방가사,민요,계몽가사의 모성 표상

        이형대 ( Hyung Dae Lee )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07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Vol.0 No.14

        본 논문은 규방가사와 민요, 계몽가사의 모성 표상을 대비적으로 분석하여 각각의 장르 및 시대, 계층에 따라 작품에 형상화된 모성이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를 거시적으로 조망하고자 작성되었다. 본고에서는 모성이 생득적이거나, 또는 항구적이고 보편적인 어머니의 역할을 의미한다기보다는 사회문화적으로 구성되고 학습된 것이라는 입장을 취한다. 조선후기에 생성된 규방가사의 경우, 유교적 모성이데올로기를 내면화 한 전형계녀가가 주종을 이룬다. 하지만, 가부장제의 규율 권력 아래 상처 받은 딸아이와의 체험적 연대의식에 기반한 공감적 모성과 하층의 신산한 인생체험을 공유했던 남편과의 애정적 결실이기에 장애인 아들에게 대가없이 베푸는 헌신적 모성 등 신변탄식류 규방가사에서는 儒家의 가부장적 모성이데올로기로 환원할 수 없는 능동적이고 생성적인 모성역할도 나타난다. 하층의 생활체험을 분방한 상상력으로 형상화한 민요에서는 가족적 경계에서 강요되는 어머니의 역할에 정주하지 않는 모성이 보인다. 戀母謠나 자장노래 등에서는 생명적 원천으로서의 자애로운 모성형상이 그려지기도 하지만 노동요나 유희요 등에서는 모성 자체를 포기하고 본능적 욕망을 추구하는 자기애적 어머니의 형상이 등장하기도 한다. 이러한 민요는 여성의 체험적 자기진술이라기 보다는 허구적 화자를 통한 욕망의 대리실현적 언술이라고 할 수 있다. 제국주의의 침탈에 의한 국가존망의 위기적 상황에서 창작된 근대계몽기의 계몽가사에서는 국가주의적 모성 역할이 크게 요구되었다. 어머니는 국권회복과 동시에 근대 민족국가의 수립에 필요한 국민을 생산하고 양육해야 하는 존재였기 때문에 구국적이고 애국적인 모성역할이 부여되었던 것이다. 이는 대체로 남성 계몽지식인들에 의해 주창되었던 바, 여성지식인들도 별다른 비판없이 동조했던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모성은 역사적 상황이나 사회적 조건에 따라 각기 다른 방식으로 구성되었던 바, 그 장르내적 유형과 담화방식에 따른 차이 등의 미시적 분석은 지속적으로 수행되어야 할 과제로 남겨두었다. This paper aims to present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motherhood expressed in Gyubang-gasa (women`s poetic prose), folk songs, and enlightenment poetic prose, and to shed light on them from a macro point of view to see how the motherhood depicted in these works is different according to genres, times, and classes of the authors. This paper views motherhood not as the innate, permanent, or universal role of a mother, but as something acquired and learned socio-culturally. As for women`s poetic proses written during the late Joseon period, the mainstream is Jeonhyeong-gyenyeoga (precept-themed poetic proses for daughters before marriage) based on Confucian motherhood ideologue. However, appearing in women`s poetic proses on lamenting their lives are several roles of motherhood that are active and inborn and that cannot revert to the Confucian patriarchical mother ideologue: the motherhood of a mother that was based on a shared, experiential sense of unity with her daughter who was hurt by the regulation and authority of the patriarchical system; and the dedicated motherhood of a woman who shared a low-class people`s painful life experience with her husband suffering from four disabled limbs but who fulfilled fruitful love with him by taking care of him. Appearing in folk songs written about low-class people`s life experience using free imagination is the motherhood that does not succumb to the forced role of a mother within the boundary of a family. In love songs for mothers and lullabies, the benevolent mother image as the source of life is described, while in Nodongyo (labor songs) or Yuhiyo (game songs) the image of a self-love mother who gives up on motherhood but seeks instinct desires appears. These folk songs are deemed not as the women`s experiential self statement, but as an indirect realization of their desires through fictional speakers. Enlightenment poetic proses were written during the early modern enlightenment period when imperialists invaded the nation endangering its existence, because the role of patriotic motherhood was keenly required. Since mothers were responsible for giving birth to and raising nationals who were needed to recover national sovereignty and to establish an early modern people nation, they were required to play the nation-saving, patriotic role. This move was spearheaded mainly by male intellectuals who sought enlightenment, and thus female intellectuals seem to have followed them passively. As such, motherhood was formed in diverse different ways according to historical situations and social conditions. Thus, micro-analysis of motherhood should continue to be conducted to define the difference arising from various types within the genre and from ways of discourse.

      • KCI등재

        TV 드라마 <마더>에 재현된 모성 이데올로기 연구 - 주디스 버틀러 ‘수행성 이론’을 중심으로 -

        윤복실(Yun, Boksil) 건국대학교 글로컬문화전략연구소 2020 문화콘텐츠연구 Vol.0 No.20

        주디스 버틀러는 주체가 행위 양식을 통해 구성되며 젠더 정체성은 수행적 행위의 반복과 인용을 통해서 구성된다고 하였다. 또한 버틀러는 젠더 정체성이 자연스러운 것이 아닌 제도 권력의 담론에 의해 만들어진다고 주장한다. 이에 본 논문은 주디스 버틀러의 ‘수행성’ 이론에 따라 모성의 정체성도 수행에 의해 구성되며 반복과 인용을 통해서 형성되는 것으로 보고, TV 드라마 <마더>의 모성 이데올로기를 분석하였다. 먼저, 본 연구는 TV 드라마가 어떠한 방식으로 헌신과 희생으로 구성된 모성 정체성을 심화하는지 살펴보기 위해, 시모어 채트먼의 이론을 통해 드라마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드라마는 영웅 서사구조를 차용하여 인물을 이분법적으로 설정하고 헌신과 희생의 모성을 선으로 규정하였다. 평면적 인물을 통해 헌신과 희생의 모성을 일관성 있게 재현하였으며 다면적 인물을 통해 비혈연 모성의 수행을 자연화하였다. 그리고 드라마는 이야기와 시간을 통제함으로써 헌신과 희생으로 수행되는 비혈연 모성의 개연성을 확보하였다. 또한 드라마는 이야기와 담론을 통해서 4가지의 모성 유형을 재현하였다. 첫째, 영신을 통한 비혈연의 희생적이고 헌신적인 원형적 모성. 둘째, 홍희를 통한 혈연 단절을 통한 자기희생적인 모성. 셋째, 자영을 통한 거부된 혈연관계의 모성, 넷째, 수진을 통한 비혈연 관계의 헌신적이고 자기희생적인 모성이다. 이를 주디스 버틀러의 수행성 이론을 통해 분석한 결과, 영신의 신화화된 모성을 확인하였으며 홍희를 통해서는 지배담론이 호명한 규범적 모성을 확인하였다. 또 자영을 통해서 탈신화화된 모성을 확인하였고 수진을 통해서는 희생적이고 헌신적인 모성이 재맥락화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서 여성을 잠재적 모성으로 보았던, 기존의 전통적인 모성 이데올로기를 유지하고 혈연관계 중심의 헌신적이고 희생적인 모성애에서 비혈연관계의 헌신적이고 희생적인 모성애가 재생산되었음을 확인하였다. Judith Butler claimed that subjectivity is organized through the form of action and that gender identity is constructed through repetition and citation of performance. Butler also argues that gender identity is created by discourse of institutional power, not naturally. Thus, this paper analyzed the motherhood ideology of TV drama “Mother,” seeing that the identity of motherhood is also formed by performance and formed through repetition and quotation according to Judith Butler’s theory of ‘performance’. First, this study analyzed the drama through Seymour Chatman’s theory to see how TV dramas deepen their maternal identity composed of devotion and sacrifice.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drama borrowed the hero narrative structure and defined the motherhood of devotion and sacrifice as good through a dichotomous character setting. The motherhood of devotion and sacrifice was consistently reproduced through flat figures, and the performance of non-blood-related motherhood was naturalized through multi-faceted figures. By controlling the story and time, the drama secured the probability of non-blood motherhood carried out with devotion and sacrifice. The drama also recreated four types of motherhood through story ane discourse. First, the sacrificial and dedicated circular motherhood of non-blood ties through the spirit. Second, self-sacrificing motherhood through the disconnection of blood ties through Hong-hee. Third, the motherhood of rejected blood ties through self-magnetic, the fourth, and the devoted, self-sacrificing mother of non-blood relations through Sujin. After analyzing this through Judith Butler’s theory of performance, I confirmed the mythical motherhood of the spirit, and I confirmed the normative motherhood that the ruling discourse called through Hong-hee. In addition, the government confirmed the deconstructed motherhood through self-employment, and Sujin confirmed that the sacrificial and devoted motherhood had been remarried. This confirmed that the traditional maternal ideology, which viewed women as potential mothers, was maintained and that the devoted and sacrificial maternal love of non-blood relations was reproduced from the devoted and sacrificial maternal love centered on blood ties.

      • ‘모성’에 대한 법의 이해와 모성보호에 대한 고찰

        김인희(金仁熙) 서울대 사회보장법연구회 2019 사회보장법연구 Vol.8 No.2

        우리나라 헌법 및 법령에서는 ‘모성’이라는 용어가 등장한다. 하지만 모성을 언급하고 있는 많은 법령들 속에서 모성에 대한 정의 조항을 가지고 있는 법은 단 하나, 「모자보건법」뿐이다. 「모자보건법」은 ‘모성’을 ‘임산부와 가임기 여성’이라는 제한적인 의미로 사용하고 있지만, 다른 법령들에서는 이보다 좀 더 확장된 의미로 사용하고 있다. 이 글에서는 우리 법 안에서 사용되고 있는 ‘모성’이 무엇인지 이해하기 위해 ‘모성’ 및 ‘임신, 출산, 수유’ 등의 용어를 사용하고 있는 법령들을 검토하였다. 아울러 판례 및 정책에서 ‘모성’이 어떻게 해석되고 어떤 보호범위를 가지고 있는지도 함께 살펴보았다. 우리나라 법에서 사용되는 ‘모성보호’란 수태 가능한 여성의 건강을 보호하는 정책이기도 하면서, 임신·출산·수유기 여성의 건강을 보호하고 의료적 지원을 하는 정책이 되기도 하고, 임신·출산·수유로 인해 여성이 겪는 사회적 위험에서 여성의 노동권 등을 보호하는 정책이고, 때로는 입양 등 부모 될 권리나 자녀 양육의 권리, 일·가정 양립 정책이자 어느 때에는 가족정책이 되기도 한다. 이렇듯 우리 법에서의 ‘모성’은 법적 정의인 ‘임산부 또는 가임기 여성’이라는 한정적인 의미를 넘어서 임신, 출산, 수유는 물론 생식건강과 양육의 문제와 가족 정책으로까지 확대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개념의 불명확성은 보호 대상과 범위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게 만든다. 재생산과 부모됨과 관련한 정책 설정에 있어서 남성을 비가시화 하고 보호의 영역에서 배제하는 문제를 만들며, 반대로 관련 정책을 여성에게 집중시켜 여성만의 일로 오인하게 만드는 문제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법 안에서 혼재되어 사용되는 ‘모성’의 용어를 수정하고, 궁극적인 ‘모성보호’ 취지에 맞춰 개념을 재정립할 필요가 있다. The term ‘Maternity’ manifests itself in Korean laws. However, in a lot of laws, the only act which has an article defining the ‘Maternity’ is the 「Mother and Child Health Act」. In the 「Mother and Child Health Act」, the ‘Maternity’ is used within a limited meaning for ‘a pregnant or nursing woman, or a woman of childbearing age’ but in other laws it is used in a broader sense. In order to understand what the ‘Maternity’ used in Korean laws is, this paper examined the acts which use the terms including the ‘Maternity’ and ‘pregnancy, childbirth, breast feeding’. In addition, the study investigated how the ‘Maternity’ is being interpreted and what scope of protection it has in cases and policies. In Korean laws, ‘Maternity Protection’ is the policy for protecting health of women of childbearing age and the policy for protecting health of women in pregnancy · childbirth · breast feeding and for medical supports. It is also the policy for protecting female labor rights from social risks they experience owing to pregnancy · childbirth · breast feeding. Sometimes, it is the policy for protecting rights to be parents and care their children by childbirth and adoption and the policy for Assistance for work- Family Balance. Besides, occasionally it is the family policy. As such, in Korean laws the ‘Maternity’ is being used beyond the limited meaning of ‘a pregnant or nursing woman, or a woman of childbearing age’ as the legal definition, extending to issues of pregnancy, childbirth, breast feeding, reproductive health and child care and even to the family policy. Such conceptual ambiguity makes the subject and scope of protection incomprehensible. In the policy making related to parenthood, it causes a problem which neither visualizes males nor considers their reproductive rights. At the same time, concentration of the policy on females makes us mistake it for issues of women only. Hence, it is needed to correct the term ‘Maternity’ which is used by the laws in a mixed manner and reestablish the concept in accordance with the original legislative purpose of ‘Maternity Prote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