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모바일 동영상 광고 편익-비용 인식, 광고에 대한 태도, 모바일 동영상 이용량이 모바일 동영상 광고태도에 미치는 영향

        이기영(Ki-Young Lee) 한국자료분석학회 2024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6 No.1

        본 연구는 모바일 동영상 광고태도 형성에 관여하는 선행요인을 규명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모바일 동영상 광고에 대한 유용성 및 오락성 인식을 편익 인식(perceived benefit)으로, 모바일 동영상 광고노출에 따른 프라이버시 침해 우려와 침입성 인식을 비용 인식(perceived cost)으로 설정하여 이들 인식 변인들이 모바일 동영상 광고태도에 미치는 영향과 상대적 중요도를 검증하였다. 이에 더해, 모바일 디바이스 이용자의 광고에 대한 태도(attitude toward advertising in general)가 모바일 동영상 광고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이들 인식 변인들과 모바일 동영상 광고태도간의 관계성에 개입하는 조절변인으로 모바일 동영상 이용량을 제안하고 이를 위계적 회귀분석(hierachical regression)을 통해 검증하였다. 가설검증은 스마트폰으로 동영상 콘텐츠 시청 시 노출되는 동영상 광고를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설문 분석결과(N=406), 동영상 광고 노출 시 스마트폰 이용자가 체감하는 비용 인식보다는 편익 인식이 동영상 광고태도 형성에 주요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광고에 대한 호의적인 태도는 모바일 동영상 광고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모바일 동영상 이용량은 프라이버시 침해 우려 및 침입성 인식 변인과 상호작용하여 스마트폰 이용자들의 동영상 광고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antecedents of smartphone users’ attitudes toward mobile video advertising. Specifically, this study examined the impact of various perception factors by proposing perceptions of usefulness and entertainment offered by mobile video advertising as perceived benefits, whereas proposing privacy concerns and perceived intrusiveness experienced by being exposed to mobile video advertising as perceived costs. In addition,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mpact of smartphone users’ general perceptions toward advertising in general on their attitudes toward mobile video advertising. Via hierarchical regression, this study further investigated a moderating effect of mobile video usag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eceding perception factors and mobile video advertising attitude. Results indicate that attitude toward advertising in general, as well as perceived usefulness and entertainment, had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attitude toward mobile video advertising, while perceived intrusiveness ha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Moreover, mobile video usage interacted with both privacy concerns and perceived intrusiveness to influence mobile video advertising attitude.

      • KCI등재

        모바일 광고의 단계별 수용과정에 관한 연구

        남기화 ( Ki Hwa Nam ),여정성 ( Jung Sung Yeo ) 한국소비자학회 2011 소비자학연구 Vol.22 No.4

        본 연구에서는 모바일 광고 수용자로서 소비자 관점에서 모바일 광고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고 모바일 광고에 대 한 단계별 수용과정을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모바일 광고 노출 여부를 통제하는 단계, 광고 노출 후 접속 여부를 선택하는 단계, 광고정보를 처리하는 단계로 구분되는 모바일 광고 수용과정에 대한 연구모형을 설정하였다. 그리고 1,008명의 소비자를 대상으로 하는 자기기입식 설문과 실험설계를 통해 모바일 광고 수용과정을 검증하고 분석하 였다. 모바일 광고에 대한 소비자 인식을 분석한 결과, 전반적으로 모바일 광고의 상호작용성, 개인맞춤성, 혜택제공성 과 같은 효용요인에 대한 인식이 낮고 모바일 광고로 인한 개인정보 침해, 성가심, 요금 발생과 같은 비용요인에 대 한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소비자들이 모바일 광고에 대해 내게 필요하거나 내 상황에 맞는 정보가 제공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잘못 접속하면 통화료가 발생하거나 부당한 요금이 청구될 우려가 있다고 인식 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모바일 광고를 수용하는 과정에서는 광고 정보의 개인맞춤성과 광고의 상호작용성에 대한 인식이 높을수록 그리 고 광고 노출 보상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일수록 광고 노출에 대한 사전동의 의향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광고 노출 에 대한 사전동의 의향이 높을수록, 광고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일수록 광고 접속의향이 높아지고, 광고 정보처리동 기에 따라 접속의향에 차이를 보였다. 그리고 광고 정보처리동기와 능력에 따라 정보처리 경로가 다르게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가정한 바와 같이 소비자가 모바일 광고를 수용하는 데 있어서 노출통제, 접속선택, 정보처리로 구분되는 단계별 수용과정을 거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모바일 광고의 수용과정을 단순화한 선행연구와 달리 소비자의 능동적인 광고 수용 관점에서 노출통제 단계, 접속선택 단계, 정보처리 단계로 구분된 단계적 접근을 시도함으로써 모바일 광고 수용과정을 이해하기 위한 체계적인 분석이 이루어졌다는 데 의의가 있다. Due to the proliferation of smart phones, the opening of content market and so on, the interest in mobile advertising has been increasing. Contrast to traditional media advertising, mobile advertising provides customized information and economic benefits to consumers. But mobile advertising can cause damage to consumers because it should be applied to personal information and consumers can purchase immediately through mobile advertising.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build the environment that consumers can use mobile advertising as source of information without concern about damage. To achieve this, a study on consumers` acceptance process of mobile advertising must preced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1) to analyze the consumer awareness of mobile advertising from utility and cost point of view, 2) to set and verify the theoretical model for acceptance process of mobile advertising. In this study, mobile advertising is defined as the usage of interactive mobile media(such as smart phones and feature phones) to transmit advertising message to consumers in form of time and location sensitive, personalized information with the overall goal to promote goods and services through mobile network. A survey was carried out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and experimental design involving 1,008 consumers aged between 14 and 49. In order to maintain the same character of experimental group, it was designed 24 experiments consisting of 42 members. To verify the acceptance process of mobile advertising, the research model is divided into 3 steps; the exposure control step, the access selection step, and the information processing step. The analysis of the consumer awareness of mobile advertising is as following. The awareness of cost was higher than that of utility. Among the awareness of utility, the interaction(3.06) and the receiving benefits(3.04) were relatively high but the personalization (2.67) was lowest. Among the awareness of cost, the incurring fee(5.81) was highest. Followed by the awareness of privacy invasion(5.43) and irritation(5.41). It means that consumers perceive mobile advertising as annoying things, not useful things. Because they think that information of mobile advertising is not personalized and mobile advertising has the risk to incur charge by its access. The analysis of the consumers` acceptance process of mobile advertising is as following. In the exposure control step, the higher the awareness of personalization and interaction was and the more the attitude toward incentive for advertising exposure were affirmative, the higher the intention of prior consent for advertising exposure was. The access selection step as second step was divided into two process, from the intention of prior consent for advertising exposure to the intention of access toward advertising and from the attitude toward advertising to the intention of access toward advertising. The higher the intention of prior consent was, the higher the attitude toward advertising was. If the utility of advertising was high, the attitude toward incentive were affirmative, and the irritation from advertising was low, the attitude toward advertising was affirmative. And the more the attitude toward advertising was affirmative, the higher the intention of access toward advertising was. The awareness of incurring fee also affected the intention of access toward advertising. In the information processing step, the information processing route was affected by the information processing motive, its ability, and the type of advertising cues. To sum these results up, the higher the intention of prior consent for advertising exposure was and the more the attitude toward advertising was affirmative, the higher the intention of access toward advertising was. If the information processing motive was high, the intention of access toward advertising was high. The information processing route was divided according to information processing motive and its ability. These results said, as this study was supposed, that consumers went through progressive acceptance process divided into exposure control step, access selection step, and information processing step. This study is important that it contributes to lay the theoretical foundation for the progressive acceptance process of mobile advertising in point of consumers as the advertising audience. For future studies, the suggestions were as follows. Studies need to be carried out to design the experiment exposed to advertising via mobile media and to include various types of mobile advertising and the mobile media according to their development.

      • KCI등재후보

        모바일 광고 연구경향과 이론화

        이시훈(Si-Hoon Lee) 한국언론학회 2010 커뮤니케이션 이론 Vol.6 No.1

        본 연구는 모바일 광고 연구경향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모바일 광고 연구의 이론화와 미래 연구를 위한 방향을 제안하는 것을 연구목적으로 하고 있다. 모바일 이용자의 증가와 모바일 광고시장의 활성화로 모바일 광고 연구가 증가하고 있다. 모바일 광고 연구는 모바일 광고에 대한 인식 조사, 모바일 광고수용에 미치는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모바일 광고 태도관련 연구 포함), 모바일 광고 효과에 관한 연구 등 세 개의 범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또 기술수용모델과 웹광고 태도모델이 주요 이론적 근거로 활용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는 미래 모바일 광고 연구의 방향을 일곱 가지로 분류해서 제안하였다. This study attempts to write systematically the research trend of mobile advertising and to theorize the mobile advertising research. This work also suggests the scheme of future mobile advertising research. Recently there is growing the user of mobile media, so mobile advertising market and mobile advertising research are also growing. Mobile advertising research classifies into three categories, which are the consumers’ perception of mobile advertising, the adoption of mobile advertising(include attitude toward mobile advertising), and the effect of mobile ad. Technology Acceptance Model and Web Advertising Attitude Model are theoretical background of mobile advertising research. The study provides seven useful insights and implications for mobile advertising researchers and discusses avenues for future research.

      • KCI등재후보

        모바일 미디어 컨텐츠의 광고유형과 기능적 특성이 모바일 마케팅 전략에 미치는 영향

        이원범(Lee Won Beom),최원수(Choe Won Soo),박성혜(Park Sung Hye)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07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7 No.3

        모바일 광고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고객에게 음악 그래픽 음성 문자 등의 방법으로 광고메시지를 발송하여 고객으로부터 기대하는 반응을 얻고자 하는 광고를 말한다. 모바일 매체는 무선인터넷이라는 기술적 기반과 쌍방향성 등의 차별화된 특성들을 내세워 개인화된 타깃광고를 가능하게 하여 광고주들의 주요 대안 매체로 떠오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모바일미디어에 관련된 광고주 광고대행사 모바일 컨텐츠 제작업체가 컨텐츠를 소비자에게 노출시 소비자가 인식하고 있는 모바일 컨텐츠에 관한 광고효과와 태도형성에 관한 연구이며 모바일 미디어 광고의 제작자적 접근과 동시에 소비자의 인식을 비교해 마케팅 전략을 제고하는데 목적이 있다. 설문조사는 광고주 광고대행사 모바일 광고 컨텐츠 제작업체 종사자의 집단 총3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고 회수된 255부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연구결과 응답자들은 모바일 광고효과에 관한 18개 항목들 중에 9개 항목에서 긍정적인 반응을 나타냈으며 나머지 9개 항목에서 부정적인 응답을 나타냈다. 즉 응답자들은'실시간 정보전달','표적 선별능력' 그리고'타깃도달비용 저렴'의 순으로 모바일 광고의 효과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신뢰도 자세한 정보전달 그리고 브랜드 인지도 등의 항목들에 대해서는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응답자들은'소비자의 광고수신에 대한 거부감','고객정보의 무단사용' 그리고'광고효과에 대한 의구심'을 모바일 광고 발전의 가장 큰 장애요인들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 났으며,'무선인터넷 이용요금 인하','개인 사생활보호','네트워크 속도개선'그리고'광고수신에 대한 보상제공' 등을 모바일 광고의 발전을 위해서 가장 활성화되고 선결되어야 할 요인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Mobile advertisements are to get customer responses from how they expect after sending messages in several ways to personal digital assistance such as music graphics voice and text. Mobile media is about to flash to clients as a great alternative media. It's possible to advertise target Ad for an individual as to use mobile internet with difference of technical base and mutual character. The research is for advertising effects and making attitudes to mobile contents which customers would recognize when contents are showed up to customers by clients advertising agency and mobile content production. Besides we have another purpose to promote marketing strategy as to compare approaching as a producer of mobile media ad and thoughts of customers. The research polled 300 people to a few groups of clients advertising agency and mobile content production workers we used 255 responses for our analysis. According to the poll it has indicated 9 positive opinions of 18 questions in effectiveness of advertising. And the rest has indicated negative opinion in other words the survey's positive results were communication with time ability of target selection and minimal expense in order. On the other hand confidence detail of information and brand recognition were the negative opinion that the respondents had answered. In addition the respondents had pointed out big obstacles such as Refusal Advertisement reception to customer using customer information without permission and advertising effect by doubt. Also Mobile internet payment reduction Private protection improvement of network speed and compensation about the receipt of the Ad. are key factors for mobile advertising development.

      • KCI등재

        무선인터넷 이용 동기에 따른 모바일 광고의 효과성에 관한 실증연구

        김황경(Kim, Whang Kyung),김봉수(Kim, Bong Su) 글로벌경영학회 2005 글로벌경영학회지 Vol.2 No.1

        We can see more and more people who use mobile internet with mobile phone in the school, the street, the work place, and anywhere. Increasing number of mobile internet users has made mobile phone advertising important in korean society. But there are few researches on the reaction of users to the mobile advertise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examine the user s motivation for mobile internet and it s influence the effectiveness of mobile advertisement and to suggest its consequential implications. The literatures about concepts, significance and determinants of mobile advertisement and user s motivation for mobile internet are reviewed, For this, this study carries out survey by questionnaire method. The research sample is composed of students in university, employees of company, self-employed workers and government employees. Statistical analysis techniques are regression analysis, multiple range test by Duncan s method and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user s motivation for mobile internet is found to be classified as four categories; information-seeking, entertainment-oriented, self-developmet and human relationships-oriented motivation for mobile internet. Second, information-seeking, entertainment-oriented, and human relationships-oriented motivation for mobile internet have positive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duration time of connection to internet. Expenditure per month has positive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human relationships-oriented motivation for mobile internet. But age is negatively correlated with entertainment-oriented motivation for mobile internet. Third, by the result of statistical analysis about the effect of user s motivation for mobile internet on the effectiveness of mobile advertisement, human relationships-oriented motivation for mobile internet has positive effect on advertisement that offers coupons and that informs the memorial day. But human relationships-oriented motivation for mobile internet has negative effect on location based offers advertisement and advertisement that directly offers relevant information. Information seeking motivation for mobile internet has positive effect on advertisement that informs the memorial day and location based offers advertisement. self-development motivation for mobile internet has positive effect on advertisement that offers coupons, that offers mobile payment discount service and that offers information about events. Entertainment-oriented motivation for mobile internet has positive effect on advertisement that offers mobile payment discount service, that informs memorial day, that offers call back service, that offers contents downloading service and that directly offers relevant inform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some implications. This study shows that effectiveness of mobile advertisement is found to vary with user s motivation for mobile internet. Therefore there must be a recognition on the part of marketing managers that appropriate type of mobile advertisement has to be carefully selected considering the user s motivation for mobile internet. 우리는 학교에서, 길거리에서, 직장에서 그리고 어느 곳에서든지 모바일 폰을 통해 모바일 인터넷을 즐기는 많은 사람들을 볼 수 있다. 모바일 인터넷 사용자가 많이 증가함은 한국사회에서 모바일폰 광고의 중요함을 만들게 되었다. 그러나 모바일 광고에 대한 사용자들의 반응에 관한 연구들은 거의 없다. 이 연구의 목적은 모바일 인터넷에 관한 사용자들의 동기와 그것이 모바일 광고의 효율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실험적인 연구이며 그리고 그 사용자들의 동기가 필연적으로 함축하고 있는 것에 대하여 제안하고자 한다. 이 연구는 설문지의 방법에 의해 조사를 수행하였다. 조사표본은 대학, 회사의 사원들 자영업자 그리고 공무원들을 대상으로 종합하였고, 통계분석기술은 회귀분석, 던컨방법에 의한 다중범위테스트 그리고 피어슨 상관분석을 사용하였다.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모바일 인터넷의 사용자들의 동기는 네 가지로 분류되었다. 즉, 모바일 인터넷에 대한 정보적, 오락적, 발전적 이용동기와 대인적 이용동기이다. 둘째, 모바일 인터넷에 대한 정보적, 오락적, 대인적이용 동기는 인터넷 접속시간과 큰 상관관계가 있음이 나타났으며, 월지출은 모바일 인터넷에 대한 대인관계와 큰 상관관계가 있었다. 그러나 나이에 있어서 모바일 인터넷에 대한 오락적 이용 동기와는 부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셋째, 모바일 광고의 유효성에서 모바일 인터넷에 대한 사용자의 효과에 관한 통계분석의 결과에 의하면 모바일 인터넷에 관한 대인적 이용 동기는 쿠폰제공광고와 기념일 알림광고의 효과성에 긍정적인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모바일 인터넷에 있어서 대인적 이용 동기는 위치기반광고와 직접적으로 정보를 제공하는 광고와는 부정적인 결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바일 인터넷의 정보적 동기는 기념일알림광고와 위치기반정보제공 광고의 효과성에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모바일 인터넷의 발전적 동기는 쿠폰광고, 통화요금할인광고, 이벤트 참가광고의 효과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바일 인터넷의 오락적 이용동기는 통화요금할인광고, 기념일 알림광고, 콜백서비스광고, 정보다운로드광고, 단순직접광고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몇 가지 함축적인 것으로 제안되어지고 있다. 이 연구는 모바일 광고의 효과성이 모바일인터넷의 사용자 동기와 다르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러므로 모바일 광고의 적절한 형태는 모바일 인터넷의 사용자 동기를 고려하는 가운데 신중하고 엄선된 마케팅 관리의 한 분야로서 인식되어야 한다.

      • KCI등재
      • KCI등재

        해외 주요국의 모바일 광고시장 구조와 규제 정책 비교분석

        김충식(Kim, Choong Seek),배진한(Bae, Jin Han) 동국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6 사회과학연구 Vol.23 No.3

        본 연구에서는 다음 2가지를 주요 연구문제로 설정하였다. 첫째, 주요 5개국(한국, 미국, 영국, 일본, 중국)의 모바일광고시장 가치사슬구조를 비교 분석하여 향후 국내 모바일 광고시장의 발전방향을 논의한다. 둘째, 주요 5개국(한국, 미국, 영국, 일본, 중국)의 모바일광고와 관련된 위치기반정보에 대한 제도화 현황을 비교 분석하여 향후 국내 모바일 광고 규제정책의 방향성을 논의한다. 개별 국가에서는 광고시장의 독자적인 발달단계와 광고규제 유형을 가지고 있다. 모바일 광고시장이 급성장하고 있다는 점은 공통적으로 나타나고 있고 광고 플랫폼은 광고 매출에 가장 주요한 부분은 차지하고 있으며 모든 국가에서 광고대행사와 어플리케이션 사업자들이 모바일 광고시장을 추동하고 있다. 하지만 각 국가의 모바일광고 시장 구조가 약간 상이하며 우리나라도 우리의 상황과 시장작동특징에 기반하여 상이한 점을 갖고 있다. 또한 각국은 모바일 광고 시장에서 그리고 규제정책에서 장점과 약점을 갖고 있다. 이 연구는 전체적으로 2개의 연구문제를 분석했다. 먼저, 이 연구는 5개국의 모바일광고 시장의 구조를 비교하고 있는데 특히 가치사슬의 차이점을 분석했다. 두 번째로 이 연구는 5개국에서 최근 부상하고 있는 타깃광고, 위치기반광고, 프라이버시 보소 등과 같은 문제를 어떻게 정책적으로 해결하려고 하는 지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는 주요 국가의 모바일 광고 시장의 가치사슬구조와 규제 정책을 이해하는 주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이 연구의 결과는 국내에서 모바일 광고의 발전을 공정한 사업 환경을 구축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1) compare the structure of the mobile advertising value-chain, (2) analyze the each countries’ policies of mobile advertising on the comparative analysis. The importance of this study boiled down to the Korea’s policy suggestions based on the major countries’ advancements and regulations for the mobile advertising. Each country has its own advancement and regulation types based on its peculiar situations and value chain. However, the mobile AD market has dramatically enlarged. The platform has the most parts of the ad billing, followed by mobile advertising companies and application companies. Each countries suggest specific adaptation and variances of mobile advertising and this might demands the specific appliances for the Korea based on its peculiar situations and market operations. Each country has its own strength and weakness and its advancement policies and regulation policies. This study answers the fourth main research questions thoroughly. First, this study compare and the each 5 mobile ad market’s structure and focused on the value chain differences. Second, this study analyzes the rising agenda such as target ads, location based ads (LBA), privacy protection, content regulations practiced by each five countries. This study will provide a source of information needed to understand major countries’ mobile advertising value-chain, regulation policies. In addition,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creating fair mobile advertising business environment and promoting the advancement of mobile advertising.

      • KCI등재

        스마트폰 이용자의 모바일광고 이용동기와 만족에 관한 연구

        한은경(Eun Kyung Han),김좌중(Jwa Joong Kim)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2011 사이버 커뮤니케이션 학보 Vol.28 No.1

        본 연구는 스마트폰을 이용하는 모바일 이용자들이 어떠한 동기 요인으로 모바일광고를 이용하는지 알아보고, 각 동기 요인이 모바일광고에 대한 태도와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스마트폰 이용자들만을 대상으로 모바일광고의 이용동기, 모바일광고에 대한 태도와 모바일광고에 대한 만족도 등을 조사하였다. 이번 연구의 조사 결과 스마트폰 이용자들은 다양한 동기로 모바일광고를 이용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모바일광고이용 동기요인은 이용자들이 모바일광고를 제품에 대한 정보를 획득 할 수 있기 때문에 이용하는 ‘제품정보획득’의 동기요인, 경제적 이익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이용하는 ‘경제적’ 요인,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를 위한 ‘사회적’ 동기 요인, 그리고 재미와 호기심으로 이용하는 ‘흥미’ 요인으로 총 4개의 요인이 추출되었다. 각 요인이 모바일광고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제품정보획득, 경제, 흥미 요인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모바일광고에 대한 만족도는 제품정보획득, 흥미 요인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기존의 광고에 대한 태도가 만족도에 대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스마트폰에서의 모바일광고에서도 적용되는지를 파악해 보았다. 분석 결과 기존의 연구에서 검증되었듯이 모바일광고 역시 광고에 대한 태도가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마트폰 이용자들의 모바일광고에 대한 태도와 만족도에 대한 결과를 종합적으로 정리해 보면, 스마트폰 이용자들의 모바일광고에 대한 태도와 만족도 모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제품정보획득과 흥미요인으로 나타났다. 경제 요인은 모바일광고에 대한 태도에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만족에 대해서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반해 사회 요인은 모바일광고에 대한 태도와 만족도 모두 영향을 미치지못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This study is to see which motive factor mobile smartphone users use mobile advertisements with, and find what effect each motive factor has on users’ attitude and satisfaction toward mobile advertisements. To achieve this, users’ motives to use mobile advertisements, users’ attitudes and satisfactions toward mobile advertisements were researched from only smartphone users. The result of this research shows that smartphone users use mobile advertisements with various motives. Total 4 motive factors to use mobile advertisements were obtained including the motive factor ‘to obtain product information’ since users can obtain information about products from using mobile advertisements, ‘economic’ factor for obtaining economic benefits, ‘social’ motive factor for the relationship with other people and ‘interest’ factor for fun and curiosity. And the study shows that the motive factor ‘to obtain product information’, ‘economic’ factor and ‘interest’ factor give a meaningful effect on users’ attitude toward mobile advertisements. And, the study also shows that the motive factor ‘to obtain product information’ and ‘interest’ factor give a meaningful effect on users’ satisfaction toward mobile advertisements. Lastly, the analysis was conducted on whether the fact that users’ attitude toward previous advertisements give a meaningful effect on their satisfaction could be applied to mobile advertisements in smartphones.

      • KCI등재후보

        모바일 광고 플랫폼 비교 및 분석

        문필주(Phil-Joo Moon) 한국전자통신학회 2012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Vol.8 No.3

        최근 스마트폰이나 태블릿과 같은 모바일 기기의 사용자들이 급증함에 따라 관련 앱들이 증가하게 되었고 이에 따른 모바일 광고도 증가 추세에 있다. 모바일 사용자들은 무료 앱을 통해 다양한 모바일 광고를 접할수 있으며, 광고주와 앱 개발자들은 모바일 광고 플랫폼을 통해 손쉽게 광고를 게재할 수 있게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국내의 모바일 광고 플랫폼에 대해 특징과 모바일 광고의 기능성 형태에 대해 설명하고, 이들의 비교 및 분석을 하고자 한다. Recently, such as smart phones and tablet users of mobile devices increases rapidly as the related applications(app) and this is increasing the mobile ads. The mobile users may be accessed the variety of the mobile ad by free app and the advertisers and the app developers easily publish the mobile ads by the mobile ad platform. In this paper describe the technical features of domestic mobile ad platforms and the functionality of mobile ads, and for them to compare and analyze.

      • KCI등재후보

        사용자 맥락(user context)이 모바일 광고태도에 미치는 영향

        도선재(Sun-Jae Doh),조용석(Yong-Seok Cho) 한국옥외광고학회 2008 OOH광고학연구 Vol.5 No.2

        현재 휴대폰의 보급이 대중화된 지 오래 되었고 휴대폰 사용자들이 모바일 광고에 대한 경험이 풍부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모바일 광고만의 차별적 특성 중 가장 중요한 사용자 맥락을 중심으로 모바일 광고 태도를 설명하는 새로운 모델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모바일 광고의 주 타깃인 대학생과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한 결과, 지각된 정보성, 오락성은 모바일 광고 태도에 긍정적인 영항을 미치는 반면 지각된 성가심은 모바일 광고의 태도에 부정적인 영항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각된 사용자 맥락성은 지각된 정보성, 오락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에 지각된 성가심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영항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사용자의 맥락을 반영하여 모바일 광고가 보내진다면 모바일 광고태도가 높아질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모바일 광고태도에 있어 사용자 맥락이 기존 연구에서의 지각된 정보성, 오락성, 성가심 변인들보다 선행되는 예측변인일 뿐만 아니라 정보성, 오락성, 성가심 지각변인들이 매개변수로 작용하고 있다는 것을 밝혀내었다. The mobile has been gaining in popularity recently and mobile users has experienced the mobile advertising affluently. The mobile differs from the traditional stationary Internet in that it can be used in a wider variety of contexts. However, little studies have identified the contexts in which mobile is used. This article proposes a model of mobile advertising attitude in terms of user context which is most important in differ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mobile. Questionnaires have been gathered from 397 college students and graduates who is primary target segmentation of the mobile use. The results indicate that information and entertainment has positive relationship with mobile advertising attitude, whereas irritation has negative relationship with it. Second, user context positively influences on information and entertainment, whereas negatively impacts on irritation.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it is proposed that mobile advertising attitude can be enhanced when user context is considered for sending mobile message to consumers. This study identified user context as antecedent of information, entertainment, and irritation, as well as information, entertainment, and irritation work as mediator in mobile advertising attitude. This article concludes with implications for practitioners of the mobile and provides academic area with theoretical attribu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