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건물외피에 적용되는 양면형 PV의 연구동향 및 기술제언 연구

        정수연,한소원,이행우 사단법인 한국융합기술연구학회 2023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Vol.9 No.6

        Energy use in the building sector continues to grow and the increasing trend could be a serious problem. Photovoltaic (PV) modules, which have emerged as a solution to this problem, are now becoming one of the popular renewable energy sources that convert solar energy, an infinite resource, into electricity, and related research and application cases are increasing. 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a surge in research to induce the reduction in building energy by applying PV modules as building envelopes, and much attention has been directed towards bifacial PV modules, a structure that improves power generation efficiency. Since bifacial PV modules have two layers of PV cells and show higher power generation efficiency compared to the existing monofacial PV modules, the value of bifacial PV modules is considered to be high. Thus, this study aims to derive the research trend of bifacial PV modules and recomme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by analyzing research on bifacial PV modules that are applied as building envelopes. To do this, this study analyzed the trends of bifacial PV modules based on the research on bifacial PV modules conducted in Korea, and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s: 1) The efficiency of bifacial PV modules is higher than that of conventional monofacial PV modules, but the number of studies on their application as building envelopes is significantly insufficient. This is because monofacial PV modules have been popular and widely spread, thereby capturing a large share in the related markets, and this has led to the lack of awareness of bifacial PV modules. 2) Previous research on bifacial PV modules applied to building envelopes has focused on power generation efficiency. Thus, performance evaluation has been performed only with simple fixed types, so accurate verification of bifacial PV modules has not been conducted. Some studies have shown that bifacial PV modules of the movable type have high power generation efficiency, but even in these studies, there are research limitations in that the performance evaluation is carried out without considering the energy for moving. 3) We analyzed that the previous studies have limitations in that they do not closely examine the high heat generated by attaching PV cells to both sides of the bifacial PV module and the economic feasibility is also not assessed. In this regard, future studies on bifacial PV modules applied as building envelopes should avoid simply verifying the power generation efficiency. Moreover, it is necessary to advance the research on bifacial PV modules by conducting a study that considers multifaceted issues such as attaching and controlling bifacial PV modules to movable building envelopes. 건물부문 에너지사용량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로, 이에 대한 문제는 심각한 수준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해결책으로 등장한 PV모듈은 무한한 자원인 태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대표적인 신재생에너지로서 관련 연구와 적용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최근 연구에서 PV모듈을 건물외피로 적용함으로써 건물에너지 저감을 유도하는 연구들이 급증하고 있으며, 특히 발전효율을 높인 구조인 양면형 PV모듈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양면형PV모듈은 PV cell을 2장 겹친 구조로 기존 단면형 PV모듈에 대비하여 높은 발전효율을 보이고 있기 때문에 그 가치는 높다고 판단된다. 이에 본 연구는 건물외피로 적용되는 양면형 PV모듈에 대한 연구를 분석함으로써 양면형PV 모듈의 연구 경향 도출과 향후 연구방향 제언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국내에서 수행된 양면형 PV모듈에 대한 연구를 근거하여 그 동향을 분석하였으며, 이에 대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기존 단면형 PV모듈에 대비하여 양면형 PV모듈의 효율은 높게 나타나고 있으나, 건물외피에 적용되어 수행된 연구의 수는 현저하게 부족한 실정이다. 이는 단면형 PV모듈의 보급 및 확산이 주를 이루어 관련시장에서 높은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양면형 PV모듈에 대한 인식부족이 그 원인으로 사료된다. 2) 건물 외피 적용된 양면형 PV모듈 관련 선행연구는 발전효율에 초점이 맞춰져 있어, 단순 고정형태의 타입에 대한 성능평가가 이루어져 양면형 PV모듈에 대한 정확한 검증이 이루어 지지 않는 것으로 사료된다. 일부 수행된 가동타입의 양면형 PV모듈은 발전 효율이 높게 나타나고 있으나, 이러한 경우에도 가동을 위한 에너지를 배제한 채 성능평가가 이루어지고 있는 부분에서 연구적 한계를 보인다. 3) 선행연구는 양면형 PV모듈을 양면에 PV cell을 부착함에 따라 발생하는 발전 고열, 경제성 등에 대한 면밀한 검토가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이러한 측면에서 향후 건물외피로 적용되는 양면형 PV모듈에 대한 연구는 단순 발전 효율만을 검증하는 연구는 지양한다. 또한 가동형 건물외피에 양면형 PV모듈을 부착하여 제어하는 등 다각적인 문제를 고려한 연구를 수행함으로써 양면형 PV모듈연구를 고도화시켜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소비자 공감모듈에 기반을 둔 소비자 접점관리

        남승규 한국소비자·광고심리학회 2014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Vol.15 No.1

        This study was an experimental study that was performed to examine action plan for establishment of effective consumer encounter strategy based on consumer sympathy modules. In this experiment, 48 patients in university hospital were divided into rational sympathy module group and emotional sympathy module group based on the information processing style and regulatory focus. Psychological matching patient encounter method that is fitted f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each sympathy module groups and a control group was taken place, and it was examined how much favorableness and happiness toward medical service were changed afterward. To ensur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scales used, data was analyzed with internal consistency and factor analysis, and analysis of variance (ANOVA) and Scheffe test were conducted for hypotheses testing. According to the results, Hypothesis Ⅰ(patients who were corresponded with a proper consumer sympathy module have more favorable medical service awareness than those who were not.) and Hypothesis Ⅱ(patients who were corresponded with a proper consumer sympathy module are higher patient happiness than those who were not.) were both supported. Patients who received a patient care method suited for sympathy module showed more favorableness in medical satisfaction and medical trust than patients who didn’t, supporting Hypothesis Ⅰ. Furthermore, patients who received a patient care suited for sympathy module showed higher patient happiness scale than the patients who did not, supporting Hypothesis Ⅱ, These findings showed that it is important to sympathize with consumers so as to increase consumer’s satisfaction, trust and happiness to medical service, and it points out that a customer encounter strategy which is psychological matching service suitable to consumer’s sympathy module is necessary. Finally,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directions for further studies are discussed. 이 연구는 소비자접점에서 소비자 공감모듈에 기반을 두고 효과적인 고객응대전략을 구축하기 위한 실행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실험연구를 실시하였다. 48명의 대학병원 환자들을 대상으로 정보처리방식과 조절초점에 기초하여 공감모듈집단을 이성적 공감모듈집단과 감성적 공감모듈집단으로 분류하였다. 분류된 공감모듈집단 이외에 통제집단을 포함하여 공감모듈집단의 특성에 따른 심리맞춤식 환자응대방식을 취한 다음에, 환자의 의료서비스 인식정도와 행복정도가 어떻게 달라지는가를 검토하였다. 통계분석은 먼저 사용된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내적일관성 계수와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가설검증은 분산분석(ANOVA)과 Scheffe검증을 활용하여 확인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소비자 공감모듈에 적합한 환자응대방식을 접한 사람들은 소비자공감모듈을 고려하지 않은 응대방식을 접한 사람들보다 의료서비스에 대한 인식정도가 더 호의적일 것이다.”라는 가설 Ⅰ과 “소비자 공감모듈에 적합한 환자응대방식을 접한 사람들은 소비자공감모듈을 고려하지 않은 응대방식을 접한 사람들보다 행복정도가 더 높을 것이다.”라는 가설 Ⅱ가 모두 지지되었다. 가설 Ⅰ을 지지하면서, 환자의 공감모듈에 적합한 환자응대방식을 받은 사람들이 그렇지 않은 사람들보다 의료서비스에 대한 만족도와 신뢰도가 유의하게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설 Ⅱ를 지지하면서, 환자의 공감모듈에 적합한 환자응대방식을 받은 사람들이 그렇지 않은 사람들보다 환자행복 정도가 유의하게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연구결과는 소비자의 의료서비스에 대한 만족과 신뢰 및 행복정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소비자접점에서 소비자를 공감시키는 것이 중요하고, 소비자의 공감모듈에 적합한 심리맞춤 서비스라는 고객응대전략이 필요하다는 점을 보여주는 것이다. 끝으로, 연구의 제한점과 앞으로 연구방향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후보

        학술적 글쓰기를 위한 읽기, 생각하기, 글쓰기 수업 모듈

        배식한 ( Sik Han Bae ) 한국작문학회 2010 작문연구 Vol.0 No.10

        이 글은 요약, 논평, 학술에세이 쓰기로 진행되는 성균관대학교의 <학술적 글쓰기> 강좌에서 독립적으로 구현될 수 있는 수업 단위를 추출하고 이를 모듈화하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러한 모듈화가 의미 있는 것은 <학술적 글쓰기> 수업의 핵심 단계인 요약, 논평, 에세이 쓰기가 대학교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교육과 연구의 공통 기반을 훈련하는 필수 과정이기 때문이다. 대학 글쓰기 교육의 완성은 글쓰기 과목에서만 아니라 교양 및 전공과정의 모든, 아니면 적어도 대다수 수업에서 글쓰기가 동반될 때 이루 어질 것이다. 하지만 이를 위한 구체적인 수단과 전략은 마련되지 않은 채 정체된 상태로 있다. 필자는 <학술적 글쓰기>의 세부 과정에 대한 모듈화가 이러한 정체 상황을 깨고 전진할 수 있는 좋은 디딤돌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이 글에서는 먼저 (1)모듈의 의미와 모듈식 수업의 특성을 알아보고, (2)성균관대학교 <학술적 글쓰기> 강좌의 특징과 이로부터 단계적으로 개발해 나갈 수 있는 가능한 수업 모듈들을 찾아낸 다음, (3) 글쓰기를 전공 영역으로 확산시키는 데 적절하다고 생각하는 모듈의 형태를 요약문 쓰기 모듈, 논평문 쓰기 모듈, 학술에세이 쓰기 모듈을 통해 구체적으로 제시하도록 하겠다. This paper is trying to suggest the way in which we can extract independent instruction units from the Academic Writing course given by Sungkwunkwan University and make them instructive modules. It is significant to develop instructive module from the course, because three elements of the Step-up Writing Program of the course, that is, summary, comment and essay writing are common and necessary grounds of all practices, studies and researches conducted in university. The completion of the education of academic writing consists in its ubiquitous permeating into all kinds of subjects, whether it is major or liberal. But we are lacking in ability without having any realistic mean and strategy. I think that those modules suggested by me become a springboard for breaking the inability and achieving the completion. In this paper, you can find (1) the meaning of module, (2) the characteristics of Academic Writing course given by Sungkyunkwan University and possible modules that could be developed by the course, and (3) the concrete contents of summary writing module, comment writing module, and academy essay writing module which are best fit to spread intensive reading, thinking and writing experiences over major subjects.

      • KCI등재

        공업계열 전문교과 교사의 NCS 학습모듈 활용 능력에 대한 교육요구도 분석

        강철민(Chol-Min Kang),이병욱(Byung-Wook Lee) 한국직업교육학회 2020 職業 敎育 硏究 Vol.39 No.4

        이 연구는 공업계열 전문교과 교사의 인식을 통하여 NCS 학습모듈 활용에 필요한 능력 수준과 현재 능력수준, 그리고 이를 기반으로 한 교육요구도를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의 결과는 교원의 NCS 학습모듈활용 능력 향상을 위한 지원 방향 마련과 관련 연수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을 위한 기초 자료로 제공될 것이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업계열 전문교과 교사들은 NCS 학습모듈 활용 능력에 대한 필요 능력 수준을 전체 평균 4.17로 높게 인식하였으며, 영역별로는 ‘분석영역’ 4.13, ‘설계영역’ 4.18, ‘개발영역’ 4.10, ‘실행영역’ 4.23, ‘평가영역’ 4.22로 인식하였다. 이에 비하여 NCS 학습모듈 활용에 대한 현재의 능력 수준은 전체 평균 3.58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영역별로는 ‘분석영역’ 3.50, ‘설계영역’ 3.57, ‘개발영역’ 3.46, ‘실행영역’ 3.63, ‘평가영역’ 3.67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공업계열 전문교과 교사들은 NCS 학습모듈 활용 능력의 현재 능력 수준을 필요 능력 수준보다 상대적으로 낮게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공업계열 전문교과 교사의 NCS 학습모듈 활용 능력에 대한 교육요구도는 관련 산업체의 현황 및 요구(인력 수요, 고용 동향, 기술 변화 등)에 적합한 NCS 학습모듈 조사·선정 능력(A1), 학과 인력양성 유형에 적합한 NCS 학습모듈 조사·선정 능력(A2), 학습자의 요구 및 학습 수준(사전 학습 여부, 자기 주도 학습 능력 등)에 적합한 NCS 학습모듈 조사·선정 능력(A3), 관련 산업체 및 학습자의 요구와 학습 환경 분석 결과를 반영한 NCS 학습모듈 활용 수업 설계 능력(B1), NCS 학습모듈에 필요한 학습 환경 요소(인적/물적 자원 등)를 조합한 수업 설계 능력(B2), 학습자가 NCS 학습모듈을 활용한 모듈 학습(자기 주도적 학습, 완전 학습, 개별 학습) 가능 수업 설계 능력(B8), 학습자의 NCS 학습모듈 학습 과정에 대한 적극적인 참여 유도 능력(D2), NCS 학습모듈을 활용하기 위한 학습 동기를 유발하는 능력(D3), NCS 학습모듈에 제시된 실험 실습 장비 운용 및 지도 능력(D6), NCS 학습모듈 학습 효과 향상을 위한 적절한 교수·학습 자료 및 장비 활용 능력(D7), NCS 학습모듈 활용 학습 결과의 후속 수업 반영 능력(E6)의 순으로 나타났다. Through the understanding the teachers perceptions in the technical-vocational high schools, this study aims to find the level of ability required to Use NCS learning modules and the current level of ability to Use NCS learning modules and the abilities that teachers desire to learn m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will be provided as a basic data for Establishing a direction for support of Improvement the Ability to Use NCS Learning Modules and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relevant training program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teachers perceptions in the technical-vocational high schools of the level of ability required to utilize NCS learning modules high average of 4.17 overall mean, by area the average in each category was in the range from 3.46 to 3.67 in the following order: Application(4.23), Evaluation(4.22), Planning(4.18), Analysis(4.13), Development(4.10). by comparison, the teachers perception about the current level of the NCS learning modules are 3.58 overall mean, by area the average in each category was in the range from 3.46 to 3.67 in the following order: Evaluation(3.67), Application(3.63), Planning(3.57), Analysis(3.50), Development(3.46). Therefore, The current level of ability to Use NCS learning modules was perceived to be relatively lower than The level of ability required to Use NCS learning modules. Second, the most desired areas to learn more regarding the ability to utilize the NCS learning module for the teachers are as follows: the ability (A1) to research and select the suitable NCS for the relevant industries current states and needs (e.g., worker quota, hiring trend, and changes of technologies, etc.); the ability (A2) to research and select the suitable NCS for each major; the ability (A3) to research and select the suitable NCS that meets students needs and capacity (e.g., pre-studied students, and the ability to carry on self-directed learning, etc.); the ability (B1) to design classes that incorporate the NCS, reflecting the needs of the relevant industries and students as well a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learning environment; the ability (B2) to design the classes that incorporate the components of learning environments(e.g., human/material resources) overall; the ability(B8) to design classes that make possible for the students to learn by a module learning (e.g., self-directed learning, mastery learning, and individual learning) which utilize the NCS; the ability (D2) to motivate students to learn under the NCS; the ability (D3) to encourage students to actively participate in NCS; the ability(D6) to use and teach its usage of the equipments for experiment/practice suggested by NCS; the ability (D7) to maximize the learning effect of the NCS by utilizing adequate resouces and equipments in teaching-learning; the ability (E6) to appropriately apply the analysis of the learning results from the classes that utilized NCS learning to future classes.

      • KCI등재

        전략적 체험모듈에 의한 인터랙션 스페이스의 인터랙션 체험모듈(IEMs)연구

        김일석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24 조형미디어학 Vol.27 No.2

        전략적 체험 모듈(SEMs:Strategic Experiential Modules)은 정신모듈로 체험유형을 분류하며, 인터랙션의 체험은 체험모듈로 체험의 혼합을 구성한다. 스페이스 인터랙션은 인터랙션 체험모듈(IEMs)로 상호작용을 체험하는 경험의 모듈로 인터랙션을 목적으로한 융합체로 구성된다. 인터랙션 스페이스의 인터랙션 체험모듈(IEMs:Interaction Experiential Modules)은 감각모듈(Sense Modules)), 인지모듈(Think Modules), 행동모듈(Act Modules)), 관계모듈(Relate Modules)로 구성된다. 인터랙션 스페이스는 매체가 적용되어 감각, 행동, 인지, 관계의 요소들이 작용한다. 인터랙션 스페이스와 매체와 인터랙션의 체험 융합은 체험모듈의 형식을 만든다. 본 연구는 전략적 체험 모듈에 의한 인터랙션 스페이스의 IEMs를 연구한다. 연구는 IEMs를 분석하고, 연구한다. 연구는 인터랙션 스페이스의 IEMs 요소와 특징을 논증하고, 스페이스 인터랙션의 체험모듈 유형을 구분한다. 연구에 의하면, IEMs는 감각형식, 인지효율, 행위물질, 관계목적에 의한 인터랙션 체험요소가 확인된다. 이를 위한 연구는 IEMs의 감각모듈(Sense Modules), 인지모듈(Think Modules)), 행동모듈(Act Modules), 관계모듈(Relate Modules)로 상호작용한다. Strategic Experiential Modules(SEMs) classify experience types into mental modules, and interaction experiences constitute a mixture of experiences through experience modules. Space interaction consists of Interaction Experiential Modules(IEMs), a fusion of experience modules for the purpose of interaction. IEMs in the interaction space are composed of Sense Modules, Think Modules, Act Modules, and Relate Modules. In the interaction space, media is applied and elements of sense, action, think, and relationship come into play. The experiential fusion of interaction space, media, and interaction creates the formats of experience modules. This study studies IEMs in interaction space through strategic experience modules. The research analyzes and studies IEMs. The study demonstrates the elements and characteristics of Interaction Experiential Modules of interaction space and distinguishes the types of experience modules of space interaction. According to research, IEMs have interaction experience elements based on sensory format, think efficiency, action material, and relationship purpose. Research for this purpose interacts with the Sense Modules, Think Modules, Act Modules, and Relate Modules of Interaction Experiential Modules(IEMs).

      • KCI등재

        단백질 상호작용 네트워크에서의 개념 기반 기능 모듈 탐색 기법

        박종민(Jong-Min Park),최재훈(Jae-Hun Choi),박수준(Soo-Jun Park),양재동(Jae-Dong Yang) 한국정보과학회 2007 정보과학회논문지 : 시스템 및 이론 Vol.34 No.10

        In the protein interaction network, there are many meaningful functional modules, each involving several protein interactions to perform discrete functions. Pathways and protein complexes are the examples of the functional modules.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method for detecting the functional modules based on concept. A conceptual functional module, briefly concept module is introduced to match the modules taking them as its instances. It is defined by the corresponding rule composed of triples and operators between the triples. The triples represent conceptual relations reifying the protein interactions of a module, and the operators specify the structure of the module with the relations. Furthermore, users can define a composite concept module by the counterpart rule which, in turn, is defined in terms of the predefined rules. The concept module makes it possible to detect functional modules that are conceptually similar as well as structurally identical to users’ queries. The rules are managed in the XML format so that they can be easily applied to other networks of different species. In this paper, we also provide a visualized environment for intuitionally describing complexly structured rules. 단백질 상호작용 네트워크는 생체 내에서 특정 역할을 담당하는 패스웨이나 복합체와 같은 중요한 의미의 많은 기능 모듈들을 포함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 기능 모듈들과 정합될 수 있는 개념 모듈을 정의하고 이를 기반으로 원하는 기능 모듈들을 개념적으로 표현하고 효율적으로 탐색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제안한다. 개념 모듈은 트리플들과 이들 사이의 연산자로 이루어진 표현 규칙에 의해 정의되며 탐색하고자 하는 기능 모듈들의 구조를 개념적으로 표현한다. 이 표현 규칙에서의 트리플은 한 기능 모듈을 구성하는 단백질들 사이의 구체적인 상호작용 관계를, 연산자는 트리플들 사이의 구조적인 연관 관계를 각각 개념적으로 정의한다. 또한, 사용자는 사전에 표현 규칙에 의해 잘 정의된 개념들을 조합하여 새로운 의미의 복합 개념 모듈을 정의할 수도 있다. 복합 개념 모듈은 복잡한 기능 모듈들의 개념적 구조를 보다 정교하게 표현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 탐색 질의의 의미적 표현력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다. 정의된 규칙들은 XML로 관리될 수 있어 다른 종류의 단백질 상호작용 네트워크에서 사용자가 유사한 모듈들을 탐색하기 위해 쉽게 적용 가능하다. 본 논문에서는 또한, 구조적으로 복잡한 규칙들을 직관적으로 표현하고 효율적으로 탐색하기 위한 시각화된 질의 환경도 구현하였다.

      • KCI등재

        M. Lipsky일선관료제이론에 근거한 전문교과교사의 NCS학습모듈 대응기제 분석

        송승준(Song Seung-j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0

        목적 본 연구는 단위학교 일선교사들이 NCS(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국가직무능력표준)학습모듈로 교육과정을 운영하면서 겪게 되는 반응과 이에 따른 대응기제를 Lipsky의 일선관료제이론으로 분석한 것이다.방법 NCS학습모듈 대응 설문 조사(단위학교 전문교과 교사의 NCS 학습모듈 편성운영 및 현황실태와 대응 조사), NCS학습모듈 대응 심층 면담과 코딩하기(Lipsky의 일선관료이론으로 NCS학습모듈 편성운영과 대응 취합 및 분석), NCS학습모듈 대응기제 분석(NCS학습모듈 정책집행방향 제안) 등의 순서로 진행 되었다.결과 첫째, 정책결정과 정책집행은 그 성질 면에서 본질적인 차이가 없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정책결정기관과 정책집행기관인 단위학교나 일선교사 상호간에는 지금보다 개방적이고 순환성을 가질 수 있는 NCS학습모듈을 운영해야 한다. 둘째, Lipsky의 일선관료제이론이 본 연구에서 재정의되는 부분은 다음과 같다. Lipsky는 역할재정의(changing role expectations)에서 일선교사(관료)들은 정작 요구되는 일은 회피하고 자신들이 원하는 역할만 수행하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고 우려했다. 그러나 본 연구조사에서 일선교사들은 NCS학습모듈 교육과정 편성운영에 있어 회피나 역할기피로 반응하고 대응하는 것이 아니었다. Lipsky의 역할재정의와는 다르게 NCS학습모듈 적응 메커니즘을 형성하고 있었다. 셋째, 일선교사들은 교육과정의 재량권으로 정책집행의 순응을 지향하고 있었다. 그 순응의 방법은 재량권에 의한 단순화와 정형화라고 분석 된다. Lipsky가 일선관료제이론에서 일선교사(관료)의 직무수행에 있어 상당한 재량권이 중요하다는 사실이 본 연구를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었다. 일선교사들은 재량권을 통하여 NCS학습모듈의 부족한 부분에 신속하게 대응하고 있었다.결론 본 연구는 NCS학습모듈을 운영하고 있는 단위학교 일선교사를 연구대상으로 Lipsky의 일선집행관료제이론을 통한 반응과 대응기제를 분석했다. 연구과정에서 Lipsky의 일선관료제이론과 일선교사들의 정책집행에서 분석된 반응이 재정의된 경우도 있었다. 왜 이러한 대응기제가 나타나는지는 후속연구를 통하여 분석해 볼 필요가 있다고 본다. 본 연구가 일선교사(관료)의 NCS학습모듈 정책집행과정을 연구하는데 조금이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바란다. Objectives This study analyzed the reactions experienced by school teachers in unit school while operating the curriculum with the learning module of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NCS), and the incidental response mechanism with Lipsky s Street-level Bureaucracy.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in the order of 1) the NCS learning module response survey (organization and operation, current status, and response survey of unit school vocational subject teacher s NCS learning module), 2) in-depth interview and coding for NCS learning module (organization, operation, and response collection and analysis of NCS learning module with Lipsky s Street-level Bureaucracy), and 3) analysis of NCS learning module response mechanism (NCS learning module policy implementation direction proposal). Results First, it was found that there was no fundamental difference between policy making and policy implementation in terms of their nature. The NCS learning module should be operated that can be more open and circulatory than now between the policy-making body and the policy-implementation (each unit school) or between school teachers.Second, Lipsky s Street-level Bureaucracy is redefined in this study as follows. Lipsky was concerned that in changing role expectations, school teachers (bureaucrats) were avoiding what was really required and that it could result in only performing the roles they wanted. However, in this study, school teachers did not react and respond with avoidance or role avoidance in organizing and operating the NCS learning module curriculum. Unlike Lipsky s role redefinition, the NCS learning module adaptation mechanism was formed. Third, school teachers were aiming for conformity with policy implementation with the discretion of the curriculum. The method of conformity is analyzed as simplification and formalization by discretion. As in Lipsky s Street-level Bureaucracy, this study also confirmed that considerable discretion is needed in the performance of school teachers (bureaucrats). School teachers were responding quickly to the shortcomings of the NCS learning module through their discretion. Conclusions This study analyzed the responses and the response mechanisms through Lipsky s Street-level Bureaucracy, targeting the school teachers of the unit schools operating the NCS learning module. In the course of research, there were cases in which Lipsky s Street-level Bureaucracy and the reactions analyzed in school teachers policy implementation were redefined. It is thought that it is necessary to analyze why such a response mechanism appears through follow-up studies.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be of any help to study the policy implementation process of the NCS learning module by school teachers (bureaucrats).

      • KCI등재

        지역 기반 세계시민교육을 위한 중학교 사회과 수업모듈 개발: 제주 지역을 사례로

        한상희 한국국제이해교육학회 2019 국제이해교육연구 Vol.14 No.2

        This study aims to develop an instructional module for middle school social studies as part of place-based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The main conten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first, the methods used in developing an instructional module for middle school social studies in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second, the method applied in the module for middle school classes. The study was mainly based on reference research and action research. The place-based class module developed for this study is the case of Jeju Island and is focused on middle school social studies classes as oriented to the integrated curriculum.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 developed a class module for place-based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For this module, I created principles for the class module for place-based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nd compose the class module by focusing on the case of Jeju Island. The design of this module went through 3 stages. The first stage explores regional issues by considering mutual relationships and the context from which suitable themes to foster global citizenship in the region are uncovered. The second stage explores the geological, historical, social, and cultural contexts of the place-based issues. The third stage expands on the contexts of the regional issues and practice to exercise global citizenship. Through the application of the principles and developmental stages for the class module, I then compose three Jeju-based modules. Second, I developed and conducted a Jeju-based instructional module for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For the themes and Jeju cases of the place-based module, I present sympathy for universal values through the life of Kim Mandeok who gave aid to the poor in the late Joseon era; respect for diversity and difference through the history of Haenamcheon, the Jeju immigrant community during early industrialization; and solidarity and practice through the Jeju 4․3 Uprising and Massacre. These three class modules can be utilized independently or stage by stage. I concede that this study has spatial and content limitations due to the fact that the Jeju cases are only presented among domains relating to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which means that follow-up research is required to expand into relating domains and other regions. In addition, this study has other limits in that it hasn’t been verified quantitatively by presenting the effects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only through the stories of students who attended this class and the follow-up educational activities through this module. 이 연구의 목적은 지역 기반 세계시민교육을 위한 중학교 사회과 수업 모듈을 개발하는 데 있다. 주요 연구 내용은 두 가지이다: 첫째, 지역 기반 세계시민교육을 위한 중학교 사회과 수업모듈을 어떻게 설계할 수 있는가, 둘째 지역 기반 세계시민교육 수업 모듈은 중학교 수업 현장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가이다. 연구 방법으로서 주로 문헌연구와 실행연구를 활용하였다. 이 연구에서 개발한 지역 기반 수업 모듈은 제주지역을 사례로 하였으며, 통합교육과정을 지향하는 중학교 사회과 수업에 초점을 맞추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 기반 세계시민교육을 위한 수업 모듈을 설계하였다. 수업 모듈 설계는 먼저 지역 기반 세계시민교육 수업 모듈의 원리를 설정하고, 이에 따라 제주지역 사례를 중심으로 수업 모듈을 구성하였다. 모듈 설계는 3단계로 구성되는데, 1단계는 상호 연계성과 맥락(context)을 고려하여 지역 기반 이슈를 탐색하는 것으로 세계시민성 함양을 위한 적절한 주제를 지역에서 찾는 단계이다. 2단계는 지역 기반 이슈에 담긴 지리적, 역사적, 사회적, 문화적 맥락을 찾는 학습이 이루어지는 단계이다. 3단계는 지역 기반 이슈의 맥락을 확장하여 세계시민성을 발휘하도록 실천하는 단계이다. 이러한 수업 모듈의 원리와 단계를 적용하여 제주지역에 기반 한 수업 모듈 3가지를 제시하였다. 둘째, 제주지역을 기반으로 한 세계시민교육 수업 모듈을 개발하고 실행하였다. 지역 기반 세계시민교육 수업 모듈의 제주지역 사례로서 조선 후기 제주 빈민을 구제한 김만덕의 삶을 통한 보편적 가치에 대한 공감, 산업화 초기 제주 이주민 공동체인 해남촌 역사를 통해 본 차이와 다양성 존중, 제주 4⋅3을 통한 연대의식과 실천을 주제로 수업 모듈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는 세계시민교육 관련 영역 중 제주지역에 기반 한 사례만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공간적이고 내용적인 한계를 가지며, 이후 관련 영역 및 다른 지역 사례로 확장하는 후속 연구의 과제를 남긴다.

      • KCI등재

        모듈의 가변성과 미니셀 소재를 활용한 비정형적 입체 조형물 제안

        이영은 한국기초조형학회 2017 기초조형학연구 Vol.18 No.2

        This study suggests a modular design as a way to satisfy modern people, focusing on the value of individuality and diversity. Personalization, customizing, self-interior, and 3D printing are keywords that reflect characteristics of contemporary people. Modular design, which allows respect for individuality and flexibility in space, it suggests a variety of uses of furniture or interior installations. By producing three-dimensional artwork, the combination of repetitive modules will produce a variety of stimuli and creative experiences. With introducing a material called, Minicel, researcher utilizes and increases of the materiality and attempt to apply to the field of furniture and space design. Beginning with the development of modular designs, research challenges on constructing dramatic figure through diverse combination and composition of modules. Making process was necessary to maximize the variability of modular design. Various cutting methods were considered, and the laser cutting was the most effective on time consuming and material sav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searcher attempted atypical approach by breaking prejudice of standardized module system. Second, it demonstrated the possibility of creating a variety of forms with minimal module. Third, it showed the potential use of minicel material in design area. Lastly, by producing new sense of stimulus, it created a discussion about the boundaries of furniture, space, design and installation art. The study aims to fulfill one's artistic needs and enhance the emotional satisfaction on living. 본 연구에서는 개인의 개성과 다양성의 가치를 중시하는 현대인들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방법으로 모듈(module) 디자인을 제안한다. 개인화, 맞춤 제작, 셀프 인테리어, 3D 프린팅 등의 용어는 현대인의 특성을 반영한 현시대의 키워드이다. 개성을 존중하고 공간에 따라 변화가 가능한 모듈 디자인 연구를 통해 가구나 인테리어 설치물로 다양한 활용을 제안한다. 반복적인 모듈의 결합으로 입체 조형물을 제작해보며 다양한 감각의 자극과 창조하는 경험을 제공하고자 한다. 미니셀(Minicel) 소재를 소개하고, 소재의 특성을 살려 가구 및 공간 디자인 분야에 새롭게 적용 하는데 연구의 의의를 둔다. 모듈 디자인의 개발을 시작으로 연구 후반에는 사용자의 입장에서 모듈의 다양한 조합과 구성을 통해 조형적으로 아름다운 형상을 제작하는데 목표를 두었다. 모듈 디자인의 이론적 연구는 선행 논문과 관련 서적을 통한 문헌 검색을 하고, 사례 조사는 연구 작품과 유사한 접근 방식으로 제작한 사례를 기준으로 인터넷 검색을 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모듈 디자인의 가변성(variability)을 극대화하기 위한 소재 선택과 연결 방식의 연구는 조형제작 과정을 통해 진행하였다. 미니셀의 다양한 가공법을 비교 분석하여 효율적 측면과 환경적 측면을 고려하여 레이저 절단 (laser cutting) 방식을 선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자는 모듈이 규격화 되어 있다는 편견을 깨고 비정형적인 접근을 시도하였다. 둘째, 최소한의 모듈을 가지고 다양한 비정형적 형태를 만들어 낼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셋째, 미니셀 소재의 디자인에서의 활용 가능성을 보여 주었다. 소재의 잠재적인 가능성을 제시하고 디자이너로서 독창적이고 다양한 시도의 필요성을 알린 계기가 되었다. 마지막으로, 새로운 감각의 자극을 통해 가구와 인테리어, 나아가 디자인과 설치 조형물의 경계에 대한 논의를 불러 일으켰다. 디자인과 예술의 경계가 허물어지고 개인주의적 성향의 디자인을 추구하는 현 시점에서 가치 있는 연구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모듈 디자인 연구는 현대인의 예술적 욕구를 충족시키고 삶의 정서적인 만족감을 높이는데 기여하기를 기대해 본다.

      • KCI등재

        모듈 개념을 적용한 입체조형물로서 티라이트 캔들 홀더

        이재호 한국기초조형학회 2021 기초조형학연구 Vol.22 No.2

        The Tealight Candle Holder, an interior prop, is made in a variety of materials and forms, but has certain limitations in expanding its composition and functionality by inducing user participation in addition to decorative use. This paper aims to create a Tealight candle holder with modular concepts, implementing organic features and repeated specific patterns that show close associations through combinations between units, and implementing stereoscopic extensions vertically and horizontally. As a research method to define the design concept and direction of the Tealight Candle Holder applied with the module concept, 1) investigated and analyzed the Tealight Candle Holder and studies as products currently on the market, 2) case studies reflecting the module concept, and the Tealight Candle Holder work applied with the module concept. From the examples of Tealight candle holders, basic building elements such as points and material features and lines and faces were identified, and their limitations were identified as simply decorative elements. Modules require user involvement in all processes of design, production, and use, and are concepts that enable form and functional expansion through combinations between units of the underlying units. From the existing cases of Tealight candle holders with module concepts, we confirmed that there is a lack of three-dimensional and organic connectivity between units and a limit to implementing unique iterative patterns in the formative expansion process. Finally, the production of the Tealight Candle Holder was carried out step by step with the concept of a module that encourages users' participation and allows three-dimensional expansion. Finally, five types of units applied with the module concept were produced and proposed, which is meaningful to think about the possibility of a new formulation work that applied the module concept to interior props. 인테리어 소품인 티라이트 캔들 홀더(Tealight Candle Holder)는 다양한 소재와 여러 형태로 제작되고 있지만 장식적인 용도의 사용 외에 사용자의 참여를 유도하여 그 구성과 기능을 확장하는 데는 일정한 한계를 가지고 있다. 이 논문은 모듈 개념을 적용한 티라이트 캔들 홀더를 제작하여 단순히 유닛의 개수가 늘어나는 방식의 확장이 아니라 유닛들 간의 결합을 통해 밀접한 연관성을 보여주는 유기적인 형상과 반복되는 특정한 패턴을 구현하며 수직· 수평으로 입체적인 확장을 구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모듈 개념이 적용된 티라이트 캔들 홀더의 디자인 컨셉과 방향성을 정의하기 위한 연구방법으로 1)현재 시장에 나와 있는 상품으로서 티라이트 캔들 홀더와 연구들을 조사·분석하고 2)모듈개념에 대한 이해와 모듈디자인이 반영된 사례조사, 모듈개념이 적용된 티라이트 캔들 홀더 작업들을조사하고 분석했다. 3)마지막으로 사용자의 참여를 유도하고 입체적인 형태의 확장이 가능한 모듈 개념을 적용한 티라이트 캔들 홀더의 제작을 단계별로 진행했다. 먼저, 물방울의 튀어오름 현상을 모티브로하여 형태를 추출하고 티라이트를 담는 포켓의 개수(1개, 3개, 4개)에 따라 점과 선, 선 요소를응용· 확장한- 면의 역할을 하는 세 가지 기본 유형(Type A, Type B, Type C)의 유닛들을 제작했다. 각각의 유닛들이 적층될 수 있도록 확장된 세부적인 부분들을 설계했으며, 유닛들 간 수직· 수평으로의 맞물림을 통해 입체적이며 유기적인 확장이 가능하도록 했다. 기본 유형의 Type B와 Type C 를 상하방향으로 뒤집은-역방향 유형(Type B'와 Type C')을 제작하여 유닛들 간의 결합방식과 결과유형에 대한 다양성을 높였다. 최종적으로 모듈 개념을 적용한 다섯 가지 유형의 유닛들을 제작· 제안했으며, 이 작업을 통해 인테리어 소품에 모듈 개념을 적용한 새로운 조형작업의 가능성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었다는 데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