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신모더니즘론 이후의 동아시아 모더니즘 연구 : 모더니즘의 역사화와 지역성 이념

        최현희(Choe, Hyonhui) 구보학회 2021 구보학보 Vol.- No.29

        1990년대 이후 영미 문학비평에서는 모더니즘과 글로벌 모더니티의 관계를 쌍방향적 개입 관계로 보는 신모더니즘론적 경향이 나타난다. 이 글은 그러한 경향에서 나온 동아시아 모더니즘에 대한 연구들을 개략적으로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하여 현단계의 한국 모더니즘 연구를 갱신할 수 있는 방법론을 모색하고자 한다. 전통적 모더니즘론에서 모더니즘 예술은 그 환경으로부터 자율성을 본질로 한다고 상정된다. 그러나 신모더니즘론은 그러한 초월성을 견지한다면, 모더니즘의 근본 강령이라 할 ‘새로움의 추구’에 역행하는 것은 아닌가 하는 의문을 던진다. 모더니즘을 근대성의 세계로부터 분리하여 이해하려는 방식은 결국 모더니즘의 ‘새로움’을 박제하여 모더니즘의 삶을 보존하는 게 아니라 결국 죽이고 있지 않은가? 이에 이어지는 질문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또 모더니즘과 모더니티의 분리된 이해는 미학적 자율성이라는 모더니즘의 핵심 이념에 모더니즘을 대상으로 하는 해석자 스스로 무반성적으로 걸려든 결과가 아닐까? 이 글에서 검토한 연구들은 모두 미학적 자율성, 실험성, 난해성을 핵심 가치로 하는 작품들로 구성되어 있는 모더니즘을 글로벌 혹은 그 모더니즘이 생산된 지역의 모더니티와의 긴밀한 연동 가운데 분석하고 평가하는 경향을 띤다. 그 분석에서 모더니즘 연구는 미학적인 것과 정치사회적인 것 사이에 그어진 경계선을 넘나들면서 미학성에 침윤되어온 기존의 모더니즘론을 갱신하는 한편 모더니즘과 모더니티의 관계를 역동적으로 볼 수 있는 틀을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사례를 검토함으로써 모더니즘과 모더니티 연구의 분할 상태에 있는 현단계 한국 내 모더니즘 연구에 대한 문제 제기가 좀더 구체화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Modernist studies in Anglophone literary criticism since the 1990s took a theoretical turn called the New Modernist Studies. The trend posited interactive relation between aesthetic modernism and global modernity. This paper examines some of recent achievements from East Asian modernist studies from Anglophone academia in the trend. By surveying one of the major trends in modernist studies, this paper suggests Korean modernist studies to focus on the sociopolitical contexts of modernist aesthetics. Traditional studies on aesthetic modernism tended to assume modernist artwork’s autonomy from its sociopolitical environment. New modernist studies raised a question that such insistence on artistic autonomy ironically resulted in ignorance in the modernism’s foremost dogma of “the pursuit of the new.” Once the artistic newness is detached from the reality of our lives and fixated at the point of the detachment, it is no more new. The defense of modernism’s autonomy from social reality protects artistic realm from outside forces, but the protection is in reality rendering art dissociated from its environment. New modernist studies on East Asian modernisms examine modernisms as in modernist practices intervening in the producing and maintaining process of the global modernity and local modernities. They attempt to blur the borderline between the aesthetic and the sociopolitical and thereby to situate aesthetic modernism within its dynamic relationship with modernity in general. The lesson from the studies in this trend is that Korean modernist studies to have more acute sense of the interaction between modernism and modernity.

      • KCI등재

        미국의 법모더니즘

        한상수 한국법철학회 2013 법철학연구 Vol.16 No.2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the nature and characteristics of American Legal Modernism. Legal Modernism is the projection of general modernism into the area of law. Modernism is a theoretical and practical response to modernity in the modern society. Therefore, modernism reflects modernity and attempts to solve the problems involved in modernity. Modernity is characterized by trust in reason, demystification of nature, belief in progress, the rise of nation state, and free market economy. These characteristics of modernity are reflected in Legal Modernism. Legal Modernism is a legal-philosophical position of legal scholars who believe that humans can discover objective and universal truths about the world and find right answers to the all the legal problems by applying the truths. Legal Modernism contributes the rule of law by establishing the legal constraint of state power. Legal Modernism in general is based on the philosophical foundations such as logocentrism, anthropocentrism, Eurocentricism, foundationalism, and representationalism. American Legal Modernism is divided into two mainstreams. One is legal formalism which was derived from Langdellian Legal Science and the other is legal instrumentalism which evolved from Holmes's legal theory. American Legal Modernism has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American legal thought by attempting to locate the foundations of law not in traditional authority and religion but in human reason and experience. However, American Legal Modernism is faced with the task of solving the problem of legal indeterminacy raised by legal postmodernism. 이 논문은 미국의 법모더니즘의 본질과 특징을 고찰하기 위한 것이다. 모더니즘은 근대사회에서 나타나는 모더니티에 대한 이론적⋅실천적 대응으로서, 모더니티를 반영하면서도 모더니티에서 드러나는 다양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노력이다. 모더니티는 이성에 대한 신뢰, 자연에 대한 탈신비화, 진보에 대한 신념, 국민국가의 등장과 자유로운 시장경제 등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모더니티의 특징을 반영한 모더니즘이 법의 영역으로 확산된 것이 법모더니즘이다. 법모더니즘이란 인간은 이성을 통해서 세계에 대한 객관적이고 보편적인 진리를 발견할 수 있으며, 이러한 진리를 바탕으로 모든 법적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는 정답을 찾아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국가권력의 자의적인 행사를 통제하는 법의 지배가 가능하다는 법철학적 관점이다. 법모더니즘은 이성중심주의, 인간중심주의, 서양중심주의, 기초주의, 재현주의 등을 철학적 기초로 한다. 미국의 법모더니즘은 랭델의 법과학에서 비롯되는 법형식주의와 홈즈의 법이론에 기반을 둔 법도구주의라는 두 가지 흐름을 형성하고 있다. 법모더니즘은 전통적인 권위나 관습이 아닌 인간의 이성이나 경험에서 법의 기초를 확립하려고 하였다는 점에서 미국법철학의 발전에 중대한 기여를 하였다. 하지만 포스트모더니즘에 의해 법모더니즘의 철학적 전제인 기초주의와 재현주의가 도전을 받으면서 법모더니즘은 법적 불확정성의 문제를 해결해야 할 과제를 안고 있다.

      • KCI등재

        한국영화사에서 모더니즘의 탈존이라는 문제: 1990년대 코리안 뉴 웨이브 영화의 단독성을 해명하기 위한 노트

        김소연(Kim Sohyoun) 한국영화학회 2020 영화연구 Vol.- No.85

        본 연구는 한국적/민족적 리얼리즘론을 중심으로 (탈)계보화되어온 한국영화사를 모더니즘이라는 키워드와 함께 재고해보려는 시도다. 이를 위해 우선적으로 필요한 작업으로서 모던, 모더니티, 모더니즘이 맺고 있는 개념적 관계를 해명한다. 또한 모더니티에 대한 저항으로서 등장한 서구 모더니즘 영화의 역사성을 이해하기 위해 혁명(성)이라는 역사적 필터와 모더니즘이 맺는 관계를 재확인한다. 본 연구가 특히 주목한 사건은 서구 모더니즘 실천의 역사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던 누벨 바그 영화와 직결되어 있는 68혁명이다. 본 연구는 68혁명의 역사적 의미를 라캉의 담화 이론에 입각하여 분석한다. 서구 모더니즘 영화사에 대한 이러한 참조를 기반으로 본 연구가 궁극적으로 탐구하고자 하는 것은 한국 모더니즘 영화사의 단독성이다. 본 연구는 한국 모더니즘 영화의 역사가 단일한 혁명이 아니라 혁명들을 통과하며 형성되었고, 따라서 모더니티와 포스트모더니티의 이질성을 순차적으로 경험해야 했다는 점에 주목한다. 따라서 평면적인 양식사적 접근, 있음/없음의 이항대립적 논리의 한계를 극복하는 것이야말로 한국 모더니즘 영화의 단독성에 접근하기 위한 왕도임을 강조한다. 마지막으로 1960년대 한국영화와 1990년대 코리안 뉴 웨이브 영화의 역사적 맥락과 모더니즘 실천의 차이를 이해하고 코리안 뉴 웨이브 영화의 단독성을 이해함으로써, 세계 각국의 영화운동을 ‘뉴 웨이브’로 명명하며 스스로를 보편사로서 확립해온 세계영화사를 탈존시킬 수 있게 됨을 지적한다. This study makes attempts to reconsider the history of Korean cinema, which has been genealogized or degenealogized with the discourse of Korean/national realism, through the keyword of modernism. It also identifies the conceptions of modern, modernity and modernism and their relationship. In addition, this study looks into how revolutions are connected to modernist practices in order to understand the historicity of western modernist cinema as the resistance against modernity. The 68 revolution, which has a strong influence on the western modernist cinema, is particularly analyzed based on the Lacanian theory of 4 discourses. Based on the above study, this study claims that the history of Korean modernist cinema has been through a couple of revolutions for about 3 decades and through the heterogeneous historical backgrounds for modernity and postmodernity. In conclusion, this study focuses that not only the simple approach based on styles but also the binary logic of existence vs. nonexistence of modernism in the history of Korean cinema should be overcome in order to grasp the singularity of Korean modernist cinema, especially the Korean new wave cinema. This study also indicates that to understand the singularity of “Korean new wave cinema” by revealing the differences between the Korean cinema in the 1960s and the one in the 1990s could create the ex-sistence of the history of world (western) cinema, which has established itself as the standard universal history of cinema.

      • KCI등재

        모더니즘 이후의 모더니즘들: 신(新)모더니즘 연구의 가능성과 당면 과제

        송정경(Song Jung-gyung) 한국외국어대학교 영미연구소 2017 영미연구 Vol.39 No.-

        모더니즘 담론에서 일반적인 연구 대상은 20세기 초반에 유럽과 미국에서 나타난 실험적 문화 예술 운동이다. 그러나 현대화로 인한 변화를 모더니즘의 주요 원인으로 보는 만큼, 현대화가 일찍 진행된 서구 국가들과 달리 시기적으로 뒤늦게 등장한 국가들의 모더니즘은 연구에서 제외되거나 타자의 형태로 작품 속에 존재하였다. 이후 일부 모더니즘 작품에 나타나는 제국주의에 대한 연구가 활발해지고 서구 이외의 국가들의 현대화가 진행되는 가운데 20세기 후반부터 세계화로 인한 범세계적 연구가 가능해지면서 새로운 모더니티와 모더니즘 연구의 판이 짜지는 계기가 마련됐다. 새로운 모더니즘의 경향을 통합적으로 살펴 보는 데는 여러 난제가 있으나, 1999년에 설립된 ‘모더니즘연구 학회’가 이러한 방향을 설정하는 기준을 구축하는 노력을 하고 있는 중이다. 이 학회는 1994년 Modernism/Modernity라는 학술지 창간에 이어서 설립된 학술단체로, 시들해져 가던 모더니즘 연구를 부활시킨 계기를 마련했다. 서구 중심을 탈피한 모더니즘 연구는 아직 상대적으로 부족하지만, 이 학회에서 주요 행사 중 하나인 모더니 즘연구 학회 학술상의 최근 수상작은 주로 새로운 관념의 모더니즘들과 관련된 저서들이 강세를 이루었다. 2015년 수상작은 자넷 풀(Janet Poole)의 『미래가 사라진 때』로, 한국의 모더니즘에 관한 연구서이다. 외국 작가에 의한 일본 식민지 상황의 한국 모더니즘 작가 연구가 시사하는 바는, 이러한 새로운 모더니즘 연구가 비단 기존 모더니즘 연구의 지형도를 바꿀 뿐 아니라 한국 문학 연구의 판을 새로이 짜기도 한다는 사실이다. 새로운 모더니즘 연구로 인한 변화가 긍정적인지의 여부, 그리고 새로운 모더니즘이 공통된 특징을 명시 가능한 새로운 문예사조로서 기능하는지의 여부는 조금 더 시간이 지나야 알 수 있겠으나 서구 중심을 탈피하여 아직 ‘모던’이라고 불리는 시기에 세계 각국의 모더니즘을 발굴하고 재조명 한다는 데에서 유의미하다고 할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introduce the new modernist studies and investigate its significances and contradictions. In the 1990s, the genealogy of modernism and modernity reached an entirely new phase under the influence of globalization and postcolonial studies. Scholars began to expand the study of modernism and modernity in terms of space and time, modifying the scope of their research from a Western-centric modernism/modernity to that of other regions and periods. The new modernist studies enlarges the field without restricting its object to high culture, and thus achieved temporal and spatial diversity in its discourse. The movement was accelerated with the establishment of the Modernist Studies Association (MSA) in 1999 and the ensuing publication of its journal, Modernism/Modernity. However, such approaches have the potential to distort domestic scholarship, for which Janet Poole serves as a good example when she wrote When the Future Disappears: The Modernist Imagination in Late Colonial Korea (2014), awarded in the following year by MSA. For she is quite different from Korean scholars in terms of the object of study. The new modernist studies are still important as they build the foundation for the expansion and diversification of modernism, but their follow-up studies will also be significant.

      • KCI등재

        트랜스모더니즘으로서의 白石 文學

        김예리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22 어문연구(語文硏究) Vol.50 No.4

        Modernist research is moving toward building a global perspective, as opposed to the traditional Europe-centered perspective. This trend suggests a new viewpoint especially suited to examining Baek Seok’s literary works. The conflicting order between tradition and modernity has been dismantled in his poems; therefore, it is not easy to grasp the uniqueness of his poems in a modern world recognition system reorganized around Europe. In his poetry, traditional elements, such as dialects, are expressed through modernity and this distinction constitutes modernism in his works. In Seok’s poetry, therefore, traditionality is not opposed to modernity, but is a device that creates its own modernity. His tradition is a tradition of trans-modernism that does not emerge from a past-oriented attitude, but rather emerges in relation to modernity. His poems are the result of his struggle across the time of history and the space of the world. 김예리, 2022, 트랜스모더니즘으로서의 백석 문학, 어문연구, 196 : 283~317 최근의 모더니즘 연구의 방향은 유럽중심주의에 대한 비판적 견해를 표명하며 일방적인 전파와 수용의 관점에서 벗어나 전지구적 네크워크를 구성하는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새로운 모더니즘 연구의 방향은 특히 백석 문학의 의미를 살피는 데 있어 새로운 관점을 제시해준다. 백석 문학에서는 전통과 현대라는 대립적 질서 구도가 해체되고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근대에 들어 서구 유럽을 중심으로 재편된 세계 인식 구도로는 백석 문학의 특수함과 고유함이 쉽사리 포착되지 않게 된다. 단순화시켜 말하자면, 백석 연구사에서 백석 문학은 ‘내용으로서의 전통성’과 이러한 내용의 ‘표현 기법과 형식으로서의 모더니즘’이라는 구도 속에서 내용과 형식이 분리된 채 백석 문학의 특수함이 해명되어 왔다. 그러나 백석의 시에서 방언이나 전통적 요소는 모더니티를 통해 발현되며, 이러한 고유성은 다시금 백석 문학의 모더니즘을 구성한다. 그래서 백석 문학에서 전통성은 모더니티에 대립된다거나 근대의 세계에 진입하지 못하고 지워진 과거의 기억, 혹은 삭제된 민족성을 상징하는 기제가 아니라 백석 특유의 모더니티를 발견하게 하는 장치라 할 수 있다. 백석 문학의 전통성은 과거지향성으로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언제나 모더니티와의 관련 속에서 출현하는 트랜스모더니즘으로서의 전통이며, 그래서 그의 모더니즘에는 아주 두터운 역사적 감각이 작동할 수 있게 된다. 백석 문학은 역사의 시간과 세계의 공간을 횡단하고 있는 한 시인의 고투의 결과물이며, 그의 문학에 담겨 있는 그 모든 이질적인 것들은 시간과 공간을 횡단하며 생산된 백석이라는 고유명이 지시하고 있는 모든 것이라 하겠다.

      • KCI등재

        포스트모더니즘

        이성백(Lee, Seong-Paik) 한국공간환경학회 2011 공간과 사회 Vol.21 No.2

        포스트모더니즘은 후기자본주의의 지배이데올로기가 아니라 후기자본주의의 급진적인 문화비판 논리이다. 비판이론으로서 포스트모더니즘의 합리적 핵심은 현대시민사회에 문명적 병폐와 억압을 초래하고 있는 경제적, 도구적 합리성을 근간으로 하는 모더니티의 논리에 대한 비판에 있다. 그리고 이에 대한 대안으로 ‘존재의 미학’, 즉 미학적, 문화적 가치를 포스트모더니티의 논리로 제시한다. 리요타르는 모더니티의 논리인 ‘수행성 원리’를 포스트모던적 조건으로 잘못 정식화함으로써 포스트모더니즘 논의에 혼란을 초래하였다. 정보화, 지구화 등 탈산업주의는 모더니티 논리의 연장이고, 따라서 포스트모더니즘과 대립되는 경향이다. 포스트모더니즘의 비판적 잠재력은 21세기 변화된 현실 조건에 맞추어 문화사회의 기획으로 재구성될 필요가 있다. Postmodernism is the radical culture-critical logic of late capitalism. The rational core of the postmodernism lies in the critic on the logic of modernity, economical and instrumental rationality which causes the civilizational degradation and oppression in the modern society. It is necessary to differentiate the postmodernism from the postindustrialism which is the continuation of the logic of modernity.

      • KCI등재

        한ㆍ중ㆍ일 삼국의 모더니즘 문학에 대한 개념적 비교 연구

        김유중 한중인문학회 2017 한중인문학연구 Vol.56 No.-

        이 글은 한국과 중국, 일본에서의 서구 모더니즘 문학의 수용과정에서 발생한 굴절과 변형양상에 주목한 것이다. 중국 근현대 문학사에서는 상징주의를 초기 단계에서 수용된 모더니즘의 한 유파로 이해한다. 이러한 이해는 그 원천이 되는 서구와 다르며, 한국이나 일본의 경우와도 다르다. 그러나 상징주의가 모더니즘과 일정 부분 상관성을 지닌 사조라는 점을 감안한다면, 이는 도리어 중국 모더니즘의 개별적인 특성을 보다 잘 드러내주는 현상으로 받아들여질 필요가 있다. 다만 이 경우 중국 상징주의 문학에서의 모더니티 확보 문제에 대한 진전된논의가 보완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한국과 일본에서 주지주의란 모더니즘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용어이다. 한국에서 이 용어는 질서와 지성을 존중하는 영미 모더니즘의 문학적 특성과 친연성을 지닌 것으로 이해되었다. 그러나 일본의 경우 이 용어는 영미 모더니즘 뿐 아니라 대륙의 아방가르드, 특히 프랑스 쉬르레알리슴까지를 포괄한 개념이다. 원래 주지주의라는용어가 모더니즘 문학에 전용되기 시작한 것이 일본에서부터라는 점을 고려한다면, 당시 일본의 영향 아래 있었던 한국 문단의 경우 그것의 수용과정에서 용어의 개념이 왜곡된 형태로전달되었다고 볼 수도 있다. 그러나 한국 내에서 이제까지 주지주의의 개념이 이렇게 통용되어왔다면 그것은 결국 이 용어에 대한 한국적인 이해 방식이라고 받아들여지는 것이 보다 자연스럽다. This article focuses on the refractive and the deformative patterns in the receptive process of western modernism literature in Korea, China, and Japan. In China's modern literary history, symbolism is understood as a stream of early stage of modernism. This case is different from the case of West, which is its source, and also different from the cases of Korea or Japan. But, if the fact that symbolism has some correlation with modernism is true, it needs to be regarded as a phenomenon that reveals more clearly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chinese modernism. In this case, however, it is believed that the progress of the advanced debate in modernity of chinese symbolism should be supplemented. Intellectualism is closely related to modernism in Korea and Japan. In Korea, this term was understood to have a literary characteristics and familiarity with anglo-american modernism which respects order and intellect. On the other hand, in Japan, intellectualism includes not only anglo-american modernism but also the avant-garde of the continent, especially the French surreal. It is japanese origin that the term intellectualism began to be used to modernism literature. So, we can suppose that the concept of this term was misunderstood in korean modern literature under the influence of Japanese one at the time. But if the concept of intellectualism has been used in Korea in this way until now, we can accept that it is korean style understanding of this term.

      • KCI등재후보

        우리 모더니즘 소설의 통시적 의미 고찰 : '일상성, 동일성, 욕망'을 중심으로

        강운석 배달말학회 2003 배달말 Vol.32 No.-

        1930년대부터 60년대까지의 다양한 작가들의 모더니즘 소설들을 통시적으로 분석하면서, 모더니즘 소설을 일관되게 유지시키는 가능태로서 '현대성(現代性)modernity'을 상정하여 분석의 핵으로 삼았다. 기존의 모더니즘 소설 연구가 주로 기법적 측면 혹은 영미 모더니즘의 수용 양상에 집중되었다면, 본논문은 '현대성'을 구현하는 기본 특질로서 '일상성(日常性)' '동일성(同一性)' '욕망(慾望)'의 세 층위에 의거 각 시대별로 현대성을 드러내는 방식과 의미를 점검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인 분석 결과 1930년대 모더니즘 소설(이상과 박태원)에서는 압제받는 현실을 왜곡시키는 억압구조에 대한 미학적 저항의식을 표출하고 있으며, 새로운 문명의 유입에 의한 일상의 변모에 따른 충격과 물질과 성에 대한 욕망이 서사의 핵심 축을 형성하고, 그리고 이러한 일상과 욕망의 괴리가 주체의 소외의식을 야기하며 자아의 동일성 문제가 대두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1950년대 모더니즘 소설(손창섭과 장용학)들은 전쟁에 의해 폐허가 된 일상에서 낙관적 근대의 전망과 합리성을 상실한 가운데 동일성이 실존의 차원에서 탐구되고 있으며, 사회는 합리적 의사소통이 불가능한 상태에서 욕망의 주체와 객체들간의 대립과 굴종만이 지배적 양상으로 드러나는 왜곡된 모습으로 그려지고 있고, 이를 통한 자아의 내적 성찰이 강조되며 동일성의 문제를 집요하게 탐색하고 있음을 밝혀낼 수 있었다. 1960년대 모더니즘 소설(김승옥과 이청준)에서는 산업화와 도시화에 따른 현대적 일상성이 작품에 구체화되며, 파편화 된 개인의 모습과 주체의 위기의식에서 비롯된 소외의 양상이 심화되고, 타자의 욕망에서 벗어나 진정한 이상의 실현될 수 있는 영역으로 탈주하고자하는 욕망이 심화되고 있음을 밝혀내었다. 따라서 한국 모더니즘 소설들은 주체의 소외에서 비롯되었으며 정형화된 일상에서 탈주하고 싶은 예술적 욕망의 결과물이며, 그 지향점은 자아의 동일성에 있다'는 통합된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This study was to analyze modernism novels of several authors from 1930s to 1960s by trend of the time, with 'modernity' as a possible core that gives modernism novels consistency. Distinctively from existing studies of modernism novels which have focused on technical side or reflection of English modernism, this study was to reveal the way of professing modernity based on three keys - routine, identity, and desire. In modernism novels of 1930s, Lee Sang's and Park Taewon's, aesthetic resistance to the repression which distorts the reality appears. The authors give weight to the impact of culture shock and sexual desire and point the gap between routine and desire as the cause of alienation and unstable self-identity one step forward. Modernism novels in 1950s, Son Changseop's and Chang Yonghak's, explore identity on existential level, having lost positive prospect for modern age and rationality in routine ruins of war. Society is described as distorted one where conflict and submission is dominant while rational communication is impossible. Authors emphasizes self-examination and issue identity problem persistently. In modernism novels of 1960s, Kim Seungok's and Lee Cheongjoon's, authors tell concretely about routines as the necessary consequence of modern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emphasize the broken image of individual and alienation as the result of awareness of crisis and the growing desire for escape to the place where one could be out of others' desire and make one's ideal come true. In conclusion, Korean modernism novels start from the alienation of self and the artistic desire for escape from routine, and seek for the identity of self.

      • KCI등재

        모더니즘과 도시

        박성창(Park, Sung Chang) 구보학회 2010 구보학보 Vol.5 No.-

        박태원 문학을 거론할 때 〈박태원=모더니즘 작가, 모더니즘=근대적 대도시〉라는 공식이 일종의 상식으로 굳어져 있다. 이런 측면에서 박태원의 소설, 특히 그 중에서도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에 나타난 산책자(flâneur) 모티브는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즉 모더니즘=도시 체험이 일종의 대전제라면, 모더니즘 소설의 한 전형으로서 산책자 모티브는 이를 뒷받침해주는 소전제의 구실을 한다. 우리는 서구 모더니즘 문학에서 모더니즘과 도시를 매개하는 중개자 역할을 하는 산책자 모티브가 과연 박태원의 소설, 그 가운데에서도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에도 동일한 의미를 갖고 비슷한 양상을 드러내는지, 그리고 산책자 모티브를 통해 이 작품을 당대 경성이라는 도시 공간에 대한 탐색으로 읽어내려는 기존의 독법이 어느 정도 타당한 것인가를 살펴보고자 한다. 〈모더니즘=도시=산책자〉라는 등식의 유효성을 검토함에 있어, 비교의 기준을 벤야민의 논의나 벤야민이 본 보들레르라는 기존의 틀에서 벗어나 새로운 비교의 등식을 성립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이를 위해 산책자 모티브가 드러난 서구 소설 가운데 발자크의 Ferragus를 선택하여 이를 박태원의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과 대비시켜 비교문학적 고찰을 수행하고자 한다. 결론으로 〈소설가의 자의식〉이라는 이 작품의 돌출된 특성을 중심으로 더이상 이 작품을 산책자의 모티브를 통한 도시성에 대한 탐색으로 간주하지 말아야 한다는 점과, 이를 박태원 작품의 특수성을 규명할 수 있는 새로운 해석의 지점을 향한 출발점을 삼을 필요가 있음을 제시하고자 한다. Previous research has shown that modernism and urbanity constitute main themes in Park Tae-Won’s work. It is widely recognized that he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igures in Korean Modernism and that his work is largely based on various aspects of modern urban life. It is said that his main works, more specifically, One day of a Novelist, Mr. Gubo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 and Streamside Scenery (『천변풍경』), describe urban landscape of ‘Kyungsung’ in 1930s. Moreover, One day of a Novelist, Mr. Gubo has occupied a distinctive position in the novels of Park Tae-Won to the extent that Gubo as a novelist explore the urban space of ‘Kyungsung’ in walking through the street of the city. In this regard, the motif of flâneur’ plays an important role to link modernism with urban aspects of life.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validity of the equation 〈Modernism=Urban City=Motif of ‘Flâneur’〉 through the comparative study of two novels, One day of a Novelist, Mr. Gubo and Ferragus (1833), one of the novels written by Balzac to describe rapidly changing aspects of Paris as modern city. New model of comparative study could be determined beyond the existing framework of the comparaison between Walter Benjamin (Baudelaire examined by Benjamin) and Park Tae-Won. We will examine whether the motif of flâneur has the same meaning in these works and reveals a similar pattern. The main focus will be laid on whether it is relevant to read this novel as the exploration of modern urban space.

      • KCI등재

        통치성의 계기로서 텍토닉: 모더니즘과 파시즘 건축의 교집합에 관하여

        전진성 한국미학예술학회 2022 美學·藝術學硏究 Vol.66 No.-

        Tektonics is a basic principle that guarantees the autonomy of architecture. It has provided a theoretical and performative foundation for architecture since the establishment of the German neoclassical and historicist traditions in the 19th century through modernism and postmodernism in the 20th century. Judging from the outside of the architecture, the holistic matrix of time and space unique to modernity is inherent in tektonics. As tectonics of time, history in the modern sense is the very total control of time, as expressed most vividly in the philosophy of history by Hegel. In fact, it was an essential part of the omnipresent governmentality of the modern state. While historicist architecture tried to tectonically transcend the gap between aesthetic traditions and new industrial functions, modernist architecture, which claimed to be a political avant-garde, attempted to accelerate the progress of history and thereby get out of that track. Modernist architecture namely maximized the autonomy of architecture through the modernization of tectonics but was captured by the government's governmentality and therefore suffered from the self-contradiction of pure autonomy and political instrumentation. This dark side of modernism is no other than fascism, the reactionary modernism that ridiculed naïve utopianism, longed for eternity like death, and tried to eliminate politics with the power of art. The inevitable intersection of modernist and fascist architecture was most clearly revealed in the colonial spaces where the state’s tectonic rule/intervention was undisguisedly maximized. This is why we need a new architecture to be a suitable dwelling for human life and death, free from tectonics as a momentum of governmentality, more broadly, free from modernity. 텍토닉은 건축의 자율성을 보증하는 기초 원리로, 19세기 독일의 신고전주의·역사주의 전통에서 발원하여 20세기 모더니즘 및 포스트모더니즘 건축에 이르기까지 이론적·수행적 토대를 마련해주었다. 건축 외부의 시각에서 볼 때, 텍토닉에는 모더니티 특유의 일방적인 시공간의 매트릭스가 내재해 있는바 그것은 실은 시간마저 전일적 통제 아래 두려는 근대 국가 고유의 통치성의 구현이었다. 역사주의 건축이 미의 전통과 새로운 산업적 기능의 괴리를 텍토닉적으로 극복하려했던 반면, 정치적 아방가르드를 자처하던 모더니즘 건축은 역사 진행의 속도를 더욱 끌어올려서 아예 그 궤도를 벗어나고자했다. 텍토닉의 현대화를 통해 건축의 자율성을 극대화한 모더니즘 건축은 현실에 너무 의욕적으로 개입하는 와중에 국가의 통치성에 포획되어 현실의 초극과 조소, 변화에 대한 찬미와 영원성에 대한 동경, 창조적 상상력과 도덕적 요구, 순수한 자율성과 정치적 도구화의 자기모순을 겪게 된다. 이러한 모더니즘의 어두운 뒷면이 바로 파시즘으로, 그것은 냉혹한 현실을 조소하면서 죽음과도 같은 영원성을 동경하고 예술의 힘으로 정치를 삭제하고자 한 반동적 모더니즘이었다. 모더니즘 건축과 파시즘 건축의 필수적 교집합은 국가의 텍토닉적 통치/개입이 극대화되는 식민지 공간에서 가장 완연히 드러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