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서비스면적이 아파트 가격에 미치는 영향 연구

        최민정 ( Choi Min Jung ),노승한 ( Ro Seung Han ) 한국부동산분석학회 2023 부동산분석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23 No.1

        국내 아파트 시장에서 서비스면적(발코니)은 오랜 기간 소비자들의 선호도를 증가시키는 역할을 담당해왔다. 1970년대 국민주택 규모(전용면적 85㎡ 이하)의 등장 이후, 소비자들은 중소형 규모 주거가 갖는 면적의 한계를 서비스면적을 통해 극복하였다. 2005년 발코니 확장 합법화 이후 서비스면적은 더욱 커지고 다양한 타입으로 등장하였다. 서비스면적은 국내 아파트 시장의 제도 및 산업적 측면을 아우르는 여러 쟁점을 갖고 있으나, 서비스면적을 부동산 가치와 연관 지은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서비스면적이 아파트 가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분석을 진행하였다. 서비스면적비율(서비스면적/전용면적)이 높을수록 수요도가 높은 평면이므로 단위면적당 매매가격이 높을 것이고, 소형 평면일수록 서비스면적비율의 효용이 더 높을 것으로 가정하였다. 또한 강남 3구 지역이 2기 신도시 지역에 서비스면적비율 상승의 효용이 더 높을 것으로 예측하였다. 강남 3구 지역과 2기 신도시의 아파트 12개 단지를 선정하였고, 전용면적 85㎡ 이하 규모의 평면도를 확보한 뒤 Auto CAD 프로그램을 활용해 서비스면적을 산정하였다. 2023년 4월-10월 사이의 거래 사례 790건을 대상으로 헤도닉 가격모형을 활용해 선형회귀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서비스면적비율과 종속변수인 면적당 가격이 정(+)의 관계로 나타났으며, 소형 세대일수록 서비스면적비율의 효용이 더 높음을 확인하였다. 강남 3구 지역의 아파트의 서비스면적비율이 신도시 2기 지역의 아파트에 비해 낮으며, 강남 3구 지역의 아파트가 신도시 2기 지역 아파트에 비해 서비스면적 비율 상승의 효용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서울에 국한되어 있던 기존의 선행연구에서 나아가 강남3구와 2기 신도시 지역을 비교하고, 국민주택 규모인 중소형 세대에 집중하여 연구했으며, 서비스면적을 정확한 근사치로 산출하여 분석에 활용한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그러나 면적 추출 과정에서 일부 자의적인 판단으로 면적을 산정한 부분이 있어 분석자료의 한계가 존재한다. 또한 발코니의 형태적 특성요인 등은 변수에 반영되지 않아, 다양한 영향요인을 포괄한 분석 모형이라고 보기는 어렵다. 향후 자료의 보완을 통해 후속 연구를 희망한다.

      • KCI등재

        2022년 시설현황에 근거한 청소년수련시설의 수용정원 및 시설면적에 따른 규모 분석연구

        황성재 한국청소년시설환경학회 2023 청소년시설환경 Vol.21 No.2

        (연구목적) 2017년 선행연구를 통하여 청소년활동과 관련된 시설의 규모와 면적에 관하여 건립 시에 필요한 연면적, 부지면적, 1인당 면적 등의 자료를 도출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청소년수련시설의 평균면적 또는 동시 이용인원·수용정원 1인에게 소요되는 단위면적에 대한 기본 자료를 제시하였다. 이에 2022년 갱신된 새 자료를 바탕으로 COVID19 이후의 전국 청소년 수련시설의 현황 변화를 살펴보고 지역별, 공공/민간 별로 변화를 추적 연구하여 시사점을 얻고, 최신자료를 도출하고자 함에 있다. (연구방법) 2017년~2022년 청소년수련시설 현황 자료를 토대로 수용정원 및 면적 분석 결과를 도출하였다. 사용된 주요 지표로는 건축물 시설 관련하여 연면적, 부지면적, 수용정원을 이용하였다. 또한 2017~2022년의 매년 시설별 1인당 면적을 산출하여 항목별 증감의 분석 작업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1. 청소년수련관은 비숙박 수용인원 1인당 연면적 10.29㎡에서 10.60㎡으로 0.31㎡증가, 부지면적 42.23㎡에서 34.98㎡로 7.25㎡감소, 2. 청소년문화의 집은 비숙박 수용인원 1인당 연면적 7.35㎡에서 8.71㎡로 1.36㎡증가, 부지면적 44.78㎡에서 28.84㎡로 15.94감소, 3. 청소년수련원은 수용인원 1인당 연면적 15.40㎡에서 66.56㎡로 51.16㎡ 급증, 부지면적 189.60㎡에서 299.31㎡로 109.71㎡ 급증, 4. 청소년야영장은 야영수용인원 1인당 연면적 9.98㎡에서 5.22㎡로 4.76㎡ 감소, 부지면적 133.27㎡에서 149.12㎡로 15.85㎡증가, 5. 유스호스텔은 숙박수용인원 1인당 연면적 14.24㎡에서 19.87㎡로 5.63㎡증가, 부지면적 47.49㎡에서 93.18로 45.69㎡ 급증, 6. 청소년특화시설 수용인원 1인당 연면적 9.36㎡에서 9.39㎡로 0.03㎡ 소폭 증가, 부지면적 82.34㎡에서 79.81㎡로 2.53㎡감소로 나타났다. (결론) 청소년시설 내에서의 전반적인 1인당 면적이 증가하여 청소년들의 공간 이용의 쾌적도는 다소 상승할 것으로 판단된다. 청소년들의 야외활동 장소의 수가 크게 감소하였으나, 시설에서 제공하는 1인당 면적은 증가하여 활동 공간의 크기 면에서는 긍정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공공도서관의 지위별 규모와 지역적 특성에 따른 공간 면적 기준에 관한 연구

        이철재,윤지원,이민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17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Vol.26 No.2

        In order to improve the functions of libraries in each region,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the guideline of area of space size according to size and region.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present the guideline of area of space size of public libraries for the revision of the manual of 2013. The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theoretical and preceding studies have raised a need to present the guidelines on the areas of public libraries nationwide since the guidelines of areas presented in Gyeonggi Province have been derived from the provincial libraries of Gyeonggi only. It is also necessary to analyze and verify the guidelines of areas of public libraries nationwide in Korea based on the guidelines of areas for Gyeonggi Province. Second, I have analyzed the areas of public libraries nationwide. I have conducted comparative analysis and verification in comparison with the areas in Gyeonggi Province through the ±5% error range presented in the existing manual, which has led to the conclusion that the guidelines of areas in Gyeonggi Province are within the error range and thus are applicable to public libraries nationwide. Third, I have presented the five different types of guidelines of areas. This study is expected to facilitate accelerating the decision-making and policy establishment as part of the construction and remodeling plans. In the future, however, more detailed studies on libraries bigger than 5,000㎡ is needed. 지역별 도서관의 기능 개선을 위해 규모별 지역별에 대한 공간규모 면적기준이 필요한 상태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의 목적은 2013년 매뉴얼의 개정을 위해 공공도서관 공간규모의 면적기준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경기도 권에 대한 면적을 바탕으로 전국의 공공도서관에 적용가능성 여부를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론 및 선행 연구결과, 경기도에서 제시한 면적기준은 경기도권 도서관을 중심으로 도출된 결과이므로, 전국의 공공도서관을 대상으로 면적기준 제시가 필요하다. 경기도권에 대한 면적 기준을 바탕으로 전국의 공공도서관의 면적기준을 분석 및 검증이 필요가 있다. 둘째, 전국의 공공도서관을 대상으로 면적을 분석하였다. 기존매뉴얼에서 제시하고 있는 ±5 오차범위를 통해 경기도 권 면적과 비교하여 검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결과값이 경기도의 면적기준이 오차범위내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어 전국의 도서관에 적용가능 하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셋째, 유형5가지의 면적기준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건립 및 리모델링 기획 시 의사 및 정책 결정을 빠르게 처리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추후 5,000㎡이상에 대한 세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 KCI등재

        한반도의 역사지진 평가를 위한 진도-규모 관계 분석

        김현화,경재복 한국지구과학회 2015 한국지구과학회지 Vol.36 No.7

        Equations that could estimate the local magnitude of historical earthquakes, being difficult to calculate, in Sino-Korea craton was obtained using instrumental earthquake data for 22 Korean and 46 northeastern Chinese events. The obtained equations from intensity I0 is ML = 1.7 + 0.57 × I0. The equation from felt area FA for the Korean Peninsula is ML = 4.29 - 1.34 × log(FA) + 0.28 × log2(FA). When the information on earthquake damage, effects, and felt area is all recorded at the same time, the former equation of intensity is more feasible than that of felt area due to uncertainty in earthquake felt area. 한반도의 22개 지진과, 북중국의 46개 지진자료를 활용하여 직접적으로 지진규모 평가가 어려운 우리나라 역사지진의 규모 평가 방법을 도출코자 하였다. 한반도를 포함한 Sino-Korea craton에서 지진효과, 피해 등으로부터 구한 최대 진도(I0)와 지역규모(ML)와의 관계식은 ML = 1.7 + 0.57 × I0 이다. 감진면적만 추정이 가능한 역사지진의 경우, 한반도에서 적용 가능한 지역규모-감진면적(FA) 식은 ML = 4.29 - 1.34 × log(FA) + 0.28 × log2(FA) 이다. 그러나 역사지진에서 감진면적에 대한 불확실성으로 인해 지진효과, 피해 기록과 감진 면적이 동시에 기록된 경우 최대진도-규모 관계식을 통해 규모를 평가하는 것이 더 타당하다고 본다.

      • KCI등재

        면적규모 및 공간해상도가 CA-Markov 기법에 의한 미래 토지이용 예측결과에 미치는 영향

        김성준 ( Seong Joon Kim ),이용준 ( Yong Jun Lee ) 한국지리정보학회 2007 한국지리정보학회지 Vol.10 No.2

        본 연구의 목적은 Landsat 시계열 영상으로 CA-Markov 기법에 의한 토지이용의 예측시 면적규모 및 공간해상도가 예측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미래의 토지이용 변화를 예측하는데 있다. 분석지역의 면적규모를 31.26km2부터 84.48km2까지 달리하면서 기법을 적용한 결과, 적용면적의 규모는 전체정확도에서 약 11% 차이를 보이면서 예측결과에 영향을 주었다. 공간해상도는 10m, 30m, 50m, 100m, 150m의 해상도에 대하여 비교한 결과, 30m의 공간해상도가 예측한 도심지의 총 면적과 도심지의 공간적인 분포 측면에서 가장 좋은 결과를 얻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1996년과 2001년의 토지피복도를 이용하여 CA-Markov기법으로 예측한 2004년의 토지피복결과와 2004년의 영상으로 최대우도법에 의한 토지피복결과를 비교하여 그 적용성을 평가한 후, 2030년, 2060년, 2090년에 대한 미래의 토지이용변화를 예측하였다. 현재를 기준으로 미래(2030, 2060, 2090)의 토지이용 면적변화는 도심지의 경우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산림의 경우는 크게 감소하는 일반적인 경향을 보이면서 예측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dict future land use using Landsat images through assessing the effect of spatial scale and resolution in applying CA (Cellular Automata)-Markov technique. The scale for areas ranging from 31.26km2 to 84.48km2 showed about 11% difference of overall accuracies. Among the five spatial resolutions (10m, 30m, 50m, 100m, 150m), 30m resolution showed the best result in the prediction of area and spatial distribution of urban areas. Based on the results, the 2004 land use by CA-Markov was predicted using 1996 and 2001 land use data and compared with the 2004 land use by maximum likelihood classification. After that, future land uses of 2030, 2060 and 2090 were predicted and the results showed a tendency of gradual increase in urban area and high decrease in forest area.

      • KCI등재

        우리나라 공공도서관의 규모에 관한 연구

        김영석,Kim, Young-Seok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13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44 No.2

        대규모 도서관을 몇 개 건립하는 것보다 소규모 도서관을 많이 건립하는 것이 단기간에 공공도서관 인프라를 확충하는 데 효율적이다. 우리나라의 공공도서관은 선진국들과 비교해서 큰 규모로 건립되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공공도서관의 대부분이 중 대규모로 건립된 원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1년 12월 기준 우리나라 전체 791개 공공도서관의 연면적을 조사하였다. 우리나라 공공도서관의 평균 연면적은 $2,495m^2$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도서관의 규모 측면에서 공공도서관의 효율적인 인프라 확충을 위해 고려해야할 도서관 건립 정책은 무엇인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In terms of expanding the infrastructure of public libraries, building many small-size libraries is more efficiency than building a small number of big size libraries. Korean public libraries have been built in big-size in compare to the public libraries in the developed countries. This study aims to analyse why the majority of the Korean public libraries have been built in middle and large size and the floor space of 791 public libraries were examined. It was revealed that the average floor space of 791 public libraries is $2,495m^2$. The study aims to find what policy on library building should be considered to expand effectively the infrastructure of public libraries.

      • KCI등재

        조선후기 대전 지역 제언의 입지적 특성

        권선정(Seonjeong Kwon)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12 문화 역사 지리 Vol.24 No.3

        제언은 산곡을 가로막아 계곡물을 이용하는 전통사회의 대표적인 수리시설이다. 본 연구에서는 조선후기 현 대전 관내에 있었던 제언을 대상으로 그 현황을 정리해 보고, 미시적 차원에서 그것의 구체적 위치를 비정하여 제언의 입지적 특성 및 규모 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조선휘기 대전 지역에는 문헌상 회덕현 17개ㆍ공주목 관할 16개 중 10개ㆍ진잠현 9개 등 총 36개 제언이 있었던 것으로 확인되는데, 1900년대 초에는 상당수가 사용되지 않게 된 것으로 나타난다. 이들 제언 중 30개 사례의 입지를 비정해 보았는데, 대부분 주변 산지와 마을 앞에 펼쳐져 있던 들판이 만나는 경사변환점에 축조되었던 것으로 드러났다. 자연적인 지형 상황을 이용해 구배를 확보함으로써 관개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환경적응적 조치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언의 입지적 특성은 그 규모 및 몽리면적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데, 대부분의 제언이 충청도 평균치보다 작은 것으로 나타났고, 제언 규모가 커질수록 상대적으로 규모-몽리면적 간 비율이 감소하는 경향성을 보이고 있었다. 향후 본 연구와 같은 미시적 수준의 사례 연구, 보(천방)를 포함한 수리시설 전반에 대한 후속 연구 등을 통해 근대이행기 지역의 변화를 보다 구체적으로 엿볼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Jeeon(堤堰) was one of the important irrigation facilities to dam up for providing paddy fields with mountain streams in the traditional society. This study tried to explore the locational characteristics of Jeeon in the late Joseon Dynasty by assuming the concrete location of Jeeons which had been kept in Daejeon for a long time. For the assumption of the location of Jeeon, I made use of not only old geographical records and old maps, but also place-name records and geomorphological maps which were published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with the current referential materials. Along with these investigations, I carried out lots of field studies for the micro-experiential examinations. In conclusion, almost all of Jeeons in Daejeon assumed to have been constructed on the knickpoint where the mountain valley was bordered by paddy field in front of village. Such locational characteristics of Jeeon is closely related to the size of Jeeon and the area to benefit from Jeeon. Most of Jeeons in Daejeon were a little smaller than the mean size of other Jeeons in Chungcheong Province at that time. And the relation between the size of Jeeon and the beneficial area showed very interesting tendency: the larger the size of Jeeon increased, the smaller a ratio of the size of Jeeon to the beneficial area became.

      • KCI등재
      • KCI등재

        수원 유역의 변동성 규모를 기반으로 한 설마천 시험유역의 분기 특성 해석

        김주철,정관수 한국수자원학회 2021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54 No.5

        This study analyzes bifurcation characteristics of the Seolmacheon experimental catchment by extracting the shape variation of channel network due to variable scale of source basin or threshold area. As the area of source basin decreases, a bifurcation process of channel network occurs within the basin of interest, resulting in the elongation of channel network (increase of total channel length) as well as the expansion of channel network (increase of the source number). In the former case, the elongation of channel reaches overwhelms the generation of sources, whereas, in the latter case, the drainage path network tends to fulfill the inner space of the basin of interest reflecting the opposite trend. Therefore, scale invariance of natural channel network could be expressed to be a balanced geomorphologic feature between the elongation of channel network and the expansion of channel network due to decrease of source basin scale. The bifurcation structure of the Seolmacheon experimental catchment can be characterized by the coexistence of the elongation and scale invariance of channel network, and thus a further study is required to find out which factor is more crucial to rainfall transformation into runoff. 본 연구에서는 수원 유역 혹은 한계지지면적의 변동성 규모에 따른 하천망의 형상 변화를 추출하여 설마천 시험유역의 분기 특성에 대한 해석을 수행하였다. 수원 유역의 면적이 감소함에 따라 대상 유역의 내부에는 하천망의 분기 현상이 발생하며, 그 결과로서 하천망의 신장(총 하천 길이의 증가)과 함께 하천망의 확장(수원의 개수 증가)이 동시에 나타남을 볼 수 있었다. 하천망이 신장되는 경우 하천 구간의 길이가 증가하는 경향이 새로운 수원이 생성되는 경향보다 우세하게 나타나는 반면, 하천망이 확장되는 경우 반대 거동에 따라 배수망이 유역 내부의 공간을 채워가는 과정으로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로부터 자연 유역의 하천망들이 가지는 규모 불변성은 수원 유역의 규모가 감소함에 따라 나타나는 하천망의 신장 특성과 하천망의 확장 특성이 상호 균형을 이루면서 발현되는 지형학적 특성으로 기술될 수 있었다. 설마천 시험유역의 분기 구조는 하천망의 신장 특성과 규모 불변성이 공존하는 형태로 판단되며 강우로 인한 유출 현상에 보다 지배적인 역할을 하는 요인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재가노인 복지시설의 실별 면적규모 산출에 대한 조사연구

        최재욱(Choi Jae-Uk),김동일(Kim Dong-Il),이상홍(Lee Sang-Hong) 대한건축학회 2012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2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a basic information for the future elderly welfare facilities by analyzing elderly welfare facilities, investigating manger and user satisfaction on room area ratio. For this study, the theoretical basis like the concept, criteria and a condition of the elderly welfare facilities was referred. The present condition analysis was conducted about the elderly welfare facilities constructed and managed by the K-water. The manager and user satisfaction was researched for each room area ratio.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optimal and satisfied room size was (1) of the public area 2.455㎡ for manager, 2.507㎡ for user, (2) of the adult day care 3.238㎡ for manager, 3.140㎡ for user, (3) of the welfare program facilities 1.946㎡ for manager, 1.872㎡ for user, (4) of the adult educational facilities 1.98㎡ for manager, 2.797㎡ for user, (5) of the management facilities 7.603㎡. The findings were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average users per day are 140.5 for the public facilities, 62.875 for the adult day care, 140.5 for the welfare program facilities, 58.75 for the adult educational facilities, and 10.625 for the management facilities. The more case study is needed to get the high R², find the optimal and satisfied room size because this study was so limited. Further research is required about the correlation between various factors like height, finishing materials, lighting and the manager and user satisfa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