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조선시대 가체머리의 상징성 연구

        김현미(HyunMi Kim),김진숙(JinSook Kim),윤천성(ChunSung Youn) 한국뷰티산업학회 2014 뷰티산업연구 Vol.8 No.2

        머리모양은 시대에 따라 그 사회의 문화현상을 나타내기도 한다. 조선시대에는 머리모양으로 사람의 신분을 구분하기도 하였다. 이 논문은 머리모양의 구분이 사회적 신분을 나타내기도 한 조선시대 가체머리의 상징적 연구 이다. 연구의 체제는 선행논문을 비롯한 고문헌, 고미술 등을 통해 혼인의 상징성, 신분의 상징성, 부의 상징성으로 나누어 검토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분석해보면 조선시대는 가체머리가 주를 이루면서 가체머리로 인한 상징성은 혼인유무, 신분의 차이를 구분하였으며 조선중기에는 병자호란과 임진왜란을 거치 는 동안 신분의 질서가 문란해지면서 ‘부(富)’에 따른 상징적 의미를 나타내기도 하였다. 혼인 여부에 따라서는 처녀의 댕기머리에서 혼례를 올리면서 쪽머리로 바뀌었고, 머리숱에 따라 가체를 덧넣어 쪽을 지었다. 혼례를 올린 후에는 평소 얹은머리 모양을 하고 있었다. 신분에 따라 사대부와 궁에서는 본 두발에 가채를 땋아 얹는 얹은머리 형태인 어여 머리, 거두미, 첩지머리를 하였으며 일반 서민은 본 머리카락에 가체를 덧넣어 땋은 얹은 머리와 쪽머리를 하였으며, 특수 계층인 기녀와 관기는 가체머리를 크고 높게 올렸다. 조선중기에는 가채를 구매할 수 있는 능력이 부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므로, 부를 나타내기 위해 성중에서는 가체머리를 크고 높게 올리기 시작하며 사치풍조가 시작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조선시대의 가체머리는 미적 의식은 물론 신분에 따른 상징적 의미가 많은 부분을 차지하였다고 볼 수 있다. The Hair style is represented social and cultural development depending on the age. In the Joseon Dynasty were also separate identity of the person with hair style. This paper is about the study of symbolic distinction also indicate the social status of the Joseon Dynasty gache hair style recoverable paper. The review of the research system is divided into the preceding paper, including old documents, the symbolism of marriage, identity through the antiques, the symbolism of wealth. Results of the study were divided on whether or not the marriage, symbolic status differences due to the main gache hair style is the Joseon Dynasty. and the symbolic meanings also appear under the rich identity in order to As the disorderly. Depending on whether the marriage turned into a around chignon up a wedding while the hair was usually topped after marriage. According to the identity of the Joseon Dynasty gache hair style. So you can see the head of the Joseon Dynasty gache hair style aesthetic consciousness, as well as take up much of the symbolic meaning according to The Status. Capability to purchase gache hair style is differed depending on the economic. At that time gache hair style start and raise a large increase was found that the trend is to start a luxury. So you can see the head of the Joseon Dynasty gache hair style aesthetic consciousness, as well as take up much of the symbolic meaning according to status.

      • KCI등재

        머리뼈지수와 정중선-바위능선각 측정법을 활용한 한국인 머리뼈 형태의 분류: 시신연구

        김디귿,박광락,조재호,최유진,이미정,권형욱,최윤일,김은주,박정현 대한체질인류학회 2023 해부·생물인류학 (Anat Biol Anthropol) Vol.36 No.3

        머리뼈의 형태는 체질인류학 측면에서 인종에 대한 특성을 가장 잘 나타내는 요소 중 하나이며, 환경적 요인에 영향을 적게 받으며 유전적 요인에 더 많은 영향을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인 시신을 대상으로 머리뼈 형태를 분류하기 위하여 머리뼈지수와 정중선-바위능선각 측정법을 적용하여, 각각의 방법에 따른 성별, 인종 등과 같은 개인식별자료를 분석함으로써, 한국인에 대한 법의학적, 해부학적 특성을 파악하고 그에 대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기 위함이다. 이 연구는 국내 의과대학 해부학교실에 교육 및 연구의 목적으로 기증된 한국인 시신 31구 (남성16, 여성15)를 이용하였으며, 사망 당시 평균 나이는 76.0±13.6세 (38~99세)였다. 머리뼈지수 (Cranial index, CI)는 머리뼈최대길이와 머리뼈최대너비의 비에 100을 곱하여 산정하였으며, 정중선-바위능선각(Petrous ridge-midline angle, PMA)은 정중선과 바위능선이 이루는 각도를 측정하였다. CI 머리뼈 형태분류에서 짧은머리형이 22명 (71.0%)으로 가장 높은 빈도를 보였으며, 중간머리형은 8명 (25.8%), 긴머리형은 1명 (3.2%)의 빈도를 보였다. PMA 머리뼈 형태분류에서는 중간머리형이 19명 (61.3%)으로 가장 높은 빈도를 보였으며, 짧은머리형이 8명(25.8%), 긴머리형이 4명 (12.9%)의 빈도를 보였다. 성별에 대한 CI, PMA측정값과 오른쪽·왼쪽에 대한 PMA의 측정결과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적으로, CI에서 짧은머리형이면서 PMA에서 중간머리형인 경우가 가장 높은 빈도를 보였으며, 이는 임상뿐만 아니라 개인식별을 위한 법의인류학적으로 활용 가능한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The shape of the cranial bone is one of the elements that best represent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race in physical anthropology. It is known to be less influenced by environmental factors and more influenced by genetic facto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by applying the cranial index and the petrous ridgemidline angle method to classify the cranial shape of the Korean population. This analysis is to identify the forensic and anatomical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population in terms of gender and race, and to secure basic data. This study dissected 31 cadavers (16 males, 15 females) of the Korean population donated for educational and research purposes at the department of anatomy of a medical school in Korea. The mean age at death was 76.0±13.6 years (range 38~99 years). The cranial index (CI) was calculated by multiplying the ratio of the maximum cranial length to the maximum cranial width by 100. The petrous ridge-midline angle (PMA) measured the angle between the midline and the petrous ridge. In the CI measurement method, Brachycranic showed the highest frequency with 22 (71.0%) cases. In addition, mesocranic showed the frequency of 8 cases (25.8%), and Dolicocranic showed 1 case (3.2%). In the PMA cranial morphology classification, mesocranic showed the highest frequency with 19 cases (61.3%), brachycranic with 8 cases (25.8%), and dolicocranic with 4 cases (12.9%).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easurement results of CI and PMA by gender and PMA by body side. In conclusion, the case of brachycranic in CI and mesocranic in PMA showed the highest frequency, and this will be a basic data that can be used for forensic anthropology for individual estimation as well as clinically.

      • KCI등재

        한국인의 머리뼈지수와 바위능선-정중선각을 이용한 머리뼈 형태의 분류: 사후컴퓨터단층촬영 영상을 기반으로

        박광락,조재호,김디귿,권형욱,최유진,이미정,이수경,최인석,박정현 대한체질인류학회 2022 해부·생물인류학 (Anat Biol Anthropol) Vol.35 No.3

        사람의 머리뼈 형태는 매우 복잡하고 다양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인종에 따라 그 형태학적인 특성의 차이가 뚜렷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사후컴퓨터단층촬영 (PMCT) 영상을 활용한 한국인의 머리뼈 형태를 분류하기 위해 두 가지 분류방법을 복합적으로 분석하고, 각 분류방법에 대한 성별, 연령별 특성을 비교함으로써 한국인의 해부학적, 체질인류학적 기초자료를 확보하기 위함이다. 국립과학수사연구원에서 PMCT로 촬영된 단면영상 146장 (남72, 여 74)을 분석하였으며, 평균나이는 54.7±18.8세였다. 최대머리뼈길이를 최대머리뼈너비로 나누고 100을 곱하여 머리뼈지수 (Cranial index, CI)를 산정하였고, 바위능선-정중선각 (Petrous ridge-midline angle, PMA)은 바위능선과 정중선이 이루는 각도를 측정하였다. CI의 머리뼈 형태 분류에서 짧은머리형이 129명 (88.4%), 중간머리형이 17명 (11.6%)으로 짧은머리형이 가장 높은 빈도를 보였으며, 성별과 연령별 머리뼈 형태의 빈도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PMA의 머리뼈 형태 분류에서 짧은머리형이 86명 (58.9%), 중간머리형이 57명 (39.0%), 긴머리형이 3명 (2.1%)으로 짧은머리형이 가장 높은 빈도를 보였으며, 성별에 따른 빈도분석에서 남자의 짧은머리형이 여자보다 높은 빈도를 보였으며 (p=0.010), 연령별 빈도분석에서도 중장년층과 고령층의 짧은머리형이 청년층보다 높은 빈도를 보였다(p=0.047). 결론적으로, CI와 PMA의 머리뼈 형태 분류 모두에서 짧은머리형이 가장 높은 빈도를 보였으며, 이는 임상 및 법의인류학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유용한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머리자세와 목폄근들의 근경직에 상관관계 분석

        김정자(Jeong-Ja Kim),왕중산(Joong-San Wang)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1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26 No.6

        이 연구의 목적은 머리자세와 목폄근육들의 근긴장도 및 근경직 사이에 상관관계를 검증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연구대상자는 20대 성인 80명으로 시상면에서 평소 머리자세와 목폄근육들에 근긴장도와 근경직을 측정하였다. 측정된 머리자세는 Image J를 사용하여 머리척추각, 머리회전각, 앞쪽어깨각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머리척추각이 감소할수록 위등세모근의 근긴장도 및 근경직이 유의하게 증가하고, 머리회전각이 증가할수록 위등세모근의 근긴장도 및 근경직과 유의하게 증가하는 상관관계가 있었다(p<.05). 그리고 연구대상자의 머리척추각을 기준으로 정상머리자세와 앞쪽머리자세로 재분류하여 비교한 결과, 앞쪽머리자세는 정상머리자세보다 위등세모근의 근긴장도 및 근경직이 유의하게 높은 특징을 확인하였다(p<.05). 이 연구결과는 임상에서 앞쪽머리자세의 평가 및 자세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길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of the head posture with the tone and stiffness of the cervical extensor muscles. Eighty adults in their twenties were chosen as subjects, and the tone and stiffness of the cervical extensor muscles were measured, with their usual head posture in the sagittal plane. For the measured head posture, the craniovertebral angle (CVA), craniorotation angle (CRA), and forward shoulder angle (FSA) were analyzed using Image J. It was observed that the tone and stiffness of the upper trapezius muscle increased significantly with a decrease in the CVA as well as with an increase in the CRA (p < 0.05). As a result of further classification into the normal and forward head postures based on the CVA of the subjects, the forward head posture was characterized by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tone and stiffness of the upper trapezius muscle (p<.05).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evaluation of the forward head posture and posture education in clinical practice.

      • KCI등재

        한국인 머리뼈모형 제작

        윤관현(Kwan-Hyun Youn),허경석(Kyung-Seok Hu),송우철(Wu-Chul Song),고기석(Ki-Seok Koh),김희진(Hee-Jin Kim) 대한체질인류학회 2010 해부·생물인류학 (Anat Biol Anthropol) Vol.23 No.4

        머리뼈모형을 이용한 해부학 교육은 아주 오래 전부터 행해져 왔으며, 이는 실제 뼈를 이용하는 것보다 편의성과 경제성에서 많은 도움이 된다. 하지만 국내에서 사용되는 머리뼈모형은 대부분 서양인을 대상으로 제작된 것으로 실제 한국인 머리뼈와 많은 차이를 보인다. 이에 보존상태가 양호하고 골절이나 질병에 의한 변형이 없으며, 비교적 한국인 특징이 잘 드러난 머리뼈(남성, 50세)를 바탕으로 머리뼈모형을 제작하였다. 먼저 입방체 모양의 틀을 제작한 다음 실제 머리뼈를 넣고 실리콘을 부어서 경화시켰다. 실리콘을 절개한 후 실리콘틀에서 실제 뼈를 꺼낸 다음 그 자리에 레진을 부어 탈포와 경화과정을 거쳐 원형을 복제하였다. 실제 뼈에서 잘 드러나지 않았던 구조와 복제하는 과정에서 생긴 결함들을 수정 및 보완하였다. 실제 뼈에서 훼손되었거나 일반적인 형태가 아니었던 구조는 코선반뼈, 치아와 이틀활, 목정맥구멍, 날개갈고리, 침대돌기 등으로 깎거나 덧붙여서 보완하였다. 복제하는 과정에서 생긴 결함은 주로 작은 구멍들과 절개선 사이에 생긴 흠집들이었으며 이를 바로 잡았다. 또한 붓돌기는 파손을 최소화하기 위해 실제보다 길이를 더 짧게 하였다. 개선된 머리뼈모형을 원형복제와 동일한 방법으로 새로 복제하였다. 모형용 도료를 색칠하여 뼈의 느낌을 주었으며 이때 봉합선의 색깔을 약간 강조하여 관찰이 쉽게 하였다. 이렇게 완성된 한국인 머리뼈모형과 서양인 머리뼈모형을 10개 항목에 걸쳐서 계측하였으며 9개 항목의 지수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머리길이너비지수(length-breadth index), 머리길이높이지수(length-height index), 이마광대지수(frontozygomatic index), 코지수(nasal index) 등에서 서양인 머리뼈모형과 큰 차이를 보였으며 기존에 연구된 한국인 머리뼈 평균에 가까웠다. 이처럼 실제 한국인 머리뼈를 이용한 모형은 서양인 모형에 비해 비교적 한국인 머리뼈의 특징이 잘 드러나 있으며, 이는 해부학 교육용 모형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Anatomy education using skull models has been widely performed for a long time and known that it is actually much convenient and economical. However, until now, most of skull models used in anatomy class are imported from the United State or Europe. Therefore, the models showed characteristics of Caucasian skulls, and had several differences from skulls of Koreans. Hence, we made a specific replica model of skull which have various Korean characteristics. We used Korean male skull (aged 50 years) without defect due to diseases or fractures. The silicon was poured over the skull in the cubic frame and hardened. We took out the skull from the silicon frame and poured the resin into the frame to duplicate the original skull. After defoamation and hardening the resin, the skull model was taken out of frame. And we modified defects which occurred during duplicated process and made detailed structures which unrevealed in real skull. After completion of the skull model, we measured ten items of anthrop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and American skull models and compared 9 categories of index. As a resul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length-breadth index, length-height index, frontozygomatic index, nasal index between the Korean and American skull models; As aforementioned, the skull model, compared to Caucasian skull models, had numerous distinctive Korean skull features and this model can be used for anatomy education in South Korea.

      • KCI등재

        머리와 몸, 그리고 사랑의 문제 - 토마스 만의 『뒤바뀐 머리들』과 샤를로테 케르너의『걸작 인간』을 중심으로

        천현순 한국브레히트학회 2023 브레히트와 현대연극 Vol.- No.49

        Der Schwerpunkt der vorliegenden Arbeit liegt darin, die Beziehung zwischen Kopf und Körper in Thomas Manns Die vertauschten Köpfe (1940) und Charlotte Kerners Kopflos (2008) miteinander zu vergleichen. Bis jetzt hat die Transplantation des Kopfes eines Menschen auf den Körper eines anderen noch nicht umgesetzt werden können. Vor diesem Hintergrund wird sichtbar, dass die Darstellungsproblematik der Verbindung des Kopfes eines Menschen mit dem Körper eines anderen bei Thomas Mann und Charlotte Kerner als literarisches Gedankenspiel zu betrachten ist. Was ist der Maßstab für die Identität des Mischwesens, wenn der Kopf mit dem Körper des anderen verbunden ist? Beeinflusst der Kopf in diesem Fall den Körper oder der Körper den Kopf? Wie kommt die Liebe des Mischwesens zur Erscheinung? Die Arbeit nähert sich diesen Fragen insbesondere aus drei Perspektiven: Zum ersten betrachtet die Arbeit die Darstellungsproblematik der Identität des aus Kopf und Körper zusammengesetzten Mischwesens. In Thomas Manns Roman liegt der Maßstab der Identität des Mischwesens spezifisch im Kopf, im Vergleich dazu befindet sich dieser Maßstab in Kerners Roman sowohl in Kopf als auch Körper. Zum zweiten untersucht die Arbeit die Beziehung zwischen Kopf und Körper beim Mischwesen. Bei Thomas Mann beeinflusst der Kopf den Körper, im Vergleich dazu interagieren bei Kerner Kopf und Körper. Zum dritten und letzten betrachtet die Arbeit die Liebesproblematik des Mischwesens. Bei Thomas Mann endet die Liebe des Mischwesens, also die Liebe zwischen Schridaman, Nanda und Sita tragisch, im Vergleich dazu endet diese Liebe, also hier die Liebe zwischen dem Neuen und Lena-Maria Kraft bei Kerner glücklich. 본 논문에서 살펴볼 토마스 만의 『뒤바뀐 머리들』(1940)과 샤를로테 케르너의 『걸작 인간』(2008)은 모두 공통적으로 한 사람의 머리와 다른 사람의 몸이 결합될 경우 나타나는 머리와 몸의 문제를 다룬다. 지금까지 우리 사회에서 인간을 대상으로 한 머리 이식 수술이 실제로 실현된 경우는 없다. 이러한 맥락에서 토마스 만과 샤를로테 케르너의 소설에 나타난 머리와 몸의 문제는 문학적 상상력을 통한 일종의 사유 실험이라 할 수 있다. 여기서 이들 사유 실험의 다른 점은, 토마스 만의 경우에는 형이상학적인 관점에서 머리와 몸의 문제를 다루고 있는 데 반해, 케르너의 경우에는 이를 좀 더 과학적인 관점에서 다루고 있다는 점이다. 한 사람의 머리와 다른 사람의 몸이 결합될 경우 자아동일성의 기준은 머리인가, 몸인가? 이 경우 머리가 몸에 영향을 미치는가, 몸이 머리에 영향을 미치는가? 또한 이 경우 머리-몸 합성인간을 둘러싼 사랑의 문제는 어떻게 나타날까? 이러한 물음들을 중심으로 본 논문은 작품 내재적으로 두 작품에 나타난 자아동일성 문제, 머리와 몸의 관계, 그리고 이와 연관된 사랑의 문제를 심층적으로 비교 분석해 보고자 한다.

      • KCI등재

        머리 각도가 목뿔위근육의 근활성에 미치는 영향

        우희순,장기연,천승철 대한작업치료학회 2009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17 No.4

        목적 : 본 연구는 머리 각도에 따른 목뿔위근육의 활성 정도를 확인하여 임상에서 삼킴 기능 증진을 위한 치료적 적용시 목뿔위근육들이 보다 활성화 되는 자세를 확인하고 이를 치료에 적용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연구 방법 : 대전광역시 OO대학교에 재학중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험참가 대상자들을 모집하여, 지원자 중 무작위로 39명의 학생(남 24명, 여 15명)들을 선정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프랑크포트 수평면이 지면과 수평이 되는 각도를 기준으로 머리각도 중립 자세(head flexion 0°)를 설정하였으며, 방사선 촬영을 통하여 머리각도 15°하방, 머리각도 15°상방 상태를 확인한 후, 각각의 상태(머리 중립 0°, 머리 굴곡 15°, 머리 신전 15°)에서 3회씩(1회 삼킴 후 10초 휴식) 마른 삼킴과 젖은 삼킴을 시도하였다. 결과 : 마른 삼킴과 젖은 삼킴 모두에서 중립시보다 머리 각도를 15°굴곡하였을 경우 목뿔위근육들이 보다 활성화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반하여 머리 각도를 15°신전하여 삼킴을 시도하였을 경우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할만한 결과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 머리를 굴곡시킨 자세에서 삼킴을 유도하는 것이 좀더 목뿔위근육을 활성화시키고 목뿔의 가동성을 높여, 보다 안전한 식이를 위한 방법으로 제안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기하학적 형태계측학을 이용한 조선시대 머리뼈 형태의 변이 양상 연구

        정현우(Hyunwoo Jung),우은진(EunJin Woo),박순영(Sunyoung Pak) 대한체질인류학회 2015 해부·생물인류학 (Anat Biol Anthropol) Vol.28 No.1

        전통적인 형태계측학에서는 머리뼈지수, 위얼굴지수와 같은 측정치들의 비율을 이용하여 머리뼈의 형태를 분석한다. 그런데 이러한 비율들은 좌표 정보가 아니기 때문에 이 정보들만으로는 3차원 공간에서 전체의 형태를 구현할 수 없다. 이러한 맥락에서 전통적인 형태계측학으로는 머리뼈를 구성하는 각 부위의 형태들이 갖는 유기적인 관계들을 종합적으로 파악하는 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전통적인 형태계측학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기하학적 형태계측학을 이용하여, 조선시대 집단의 머리뼈 형태에서 나타나는 변이의 양상들을 분석하고 그 특징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는 15세기에서 20세기 초반에 해당하는 서울·경기 지역의 고고학 유적들에서 출토된 조선시대 사람뼈 57개체를 대상으로 하였다. 머리뼈 형태에 대한 좌표는 MicroScribe G2X (Immersion Corporation, USA)를 이용하여 수집하였으며 주성분 분석을 실시하여 머리뼈 부위의 형태 변화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여성은 머리뼈 너비 및 길이, 정수리점 위치, 머리뼈뒤면 형태, 얼굴뼈 길이에서, 남성은 머리뼈 길이, 너비, 높이, 꼭지돌기 크기, 얼굴뼈 길이에서 집단 내 변이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그리고 집단 전체의 머리뼈 길이가 짧아지는 동시에 너비는 넓어졌다. 하지만 이러한 변화와 함께 발생하는 머리뼈 높이와 얼굴뼈 길이의 변화 양상 및 상대성장과의 유사성은 성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이 연구에서 제시된 조선시대 머리뼈 형태에 변이를 일으키는 주요 부위들과 그에 따른 변이 패턴은 향후 한국인의 머리뼈 형태 연구를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raditional morphometrics uses ratios between measured values such as the cranial index and the upper facial index. However, with these ratios alone, it is impossible to represent the shape of the entire cranium in a three-dimensional space because ratio does not express coordinate data. This methodological limitation of traditional morphometrics makes it difficult to evaluate relations between cranial parts. However, it is important to assess relations between cranial parts because cranial parts change their shapes in an integrated way. Therefore, this study adopted geometric morphometrics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raditional morphometrics and provide a more enhanced visual analysis of the cranial shape. Using geometric morphometrics, this study focused on variations of cranial shapes in a population from Joseon Dynasty to obtain their specific characteristics. This study investigated variations of cranial shapes in 57 individuals from Seoul·Gyeonggi province who lived in the 15th to the early 20<SUP>th</SUP> centuries. The coordinates of the crania were collected by MicroScribe G2X (Immersion Corporation, USA) and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variations in cranial shapes of females were reflected mostly in width, length of cranium, position of bregma, shape of posterior part of cranium, and length of facial bone. The cranial shapes of the males varied mostly in length, width, height of cranium, size of mastoid process, and length of facial bones. The cranial length became shorter when the cranial width became broader in both sexes. However, cranial height and facial length showed different variations between the two sexes. In addition, the variation in females only showed evidence of static allometry.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provide basic information about cranial shapes in a population from Joseon Dynasty and will be useful in future studies such as analysis on between-group differences. By identifying within-group variations first, researchers focusing on between-group differences will likely avoid erroneous conclusions.

      • KCI등재

        제주지역거주민 머리뼈의 체질인류학적 특징

        허동진(Dong-Jin Hur),김흥업(Heung-Up Kim),강현욱(Hyun-Wook Kang) 대한체질인류학회 2008 해부·생물인류학 (Anat Biol Anthropol) Vol.21 No.3

        제주지역거주민 머리뼈의 형태학적 특징을 파악하고, 한국 및 동북아시아 인접국가와 비교분석하여 체질 인류학적 차이를 알아보고자 한다. 제주지역거주민으로 2005년 7월부터 2007년 8월까지 뇌혈관조영 및 머리뼈 부위를 대학병원에서 다중검출전산화단층촬영기로 촬영된 20세 이상 정상성인 200명의 3차원 영상을 대상으로 하였다. 머리뼈 계측항목에서 아래턱뼈가지 최소너비와 바닥점-위이틀앞점을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여자보다 남자의 평균값이 더 컸다(p<0.05) 최대머리뼈길이, 최대머리뼈너비, 최대머리뼈높이, 얼굴너비, 위얼굴높이, 코높이, 코너비, 코지수, 머리뼈길이너비지수, 머리뼈걸이높이지수, 머리뼈너비높이지수의 11항목을 이용하여 비교항목이 유사성을 기초로 비슷한 것끼리 그룹으로 분할하는 군집분석한 결과 3개의 그룹(중국인과 일본인 그룹, 한국인과 제주지역거주민 그룹, 몽골인 그룹)으로 분류하였다(p<0.05). 머리뼈길이너비지수를 이용하여 제주지역거주민의 머리모양 분포는 긴머리형 (1.0%), 중간머리형 (13.5%), 짧은머리형 (42.0%), 아주짧은머리형 (43.5%)의 결과로 나타났고 남녀의 빈도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머리뼈의 크기는 인구집단 및 개인에 따라 차이가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고, 제주지역거주민의 체질인류학적 특징은 한국인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grasp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Jeju population's skulls and investigate the differences of the anthropological characteristics in comparison with those of several samples from the Northeast Asia and Korea. Data analysis has been carried out on the skull and angiographic of two hundred normal adults that had been taken with the multidetector-row computed tomography at Jeju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between July, 2005 and August, 2007. The results were as follows. Out of the 30 criteria of the skull metric traits, 28 show measurement differential between male and female. The mean of man was greater than that of woman (p<0.05). The groups were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Chinese and Japanese group, Korean and Jeju population group, Mongol group as the result of the group analysis using eleven data (maximum cranial length, maximum cranial breadth, maximum cranial height, facial width, upper facial height, nasal height, nasal breadth, nasal index, cranial length breadth index, cranial length height index, and cranial breadth height index). There were four types dolichocrany (1.0%), mesocrany (13.5%), brachycrany (42.0%), hyperbrachycrany (43.5%) of skull in Jeju populations using the cranial length breadth index (p<0.05) and sex of skull types were not significant. We confirmed the difference in the size of the skull according to the human community by race, nationality, region and sex. There was close correlation between Korean and Jeju population of anthropological characteristic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