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표준한국어의 매체 활용 양상 연구

        김남경(Kim Namgyeong)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11

        이 논의는 보다 현실적이고 실질적인 매체 활용의 관점에서, KSL 교재인 표준한국어 34권을 대상으로, 매체의유형과 활용 양상을 분석한 것이다. 이를 통해 매체 활용의 현황을 밝히고, 매체 활용의 방향을 탐색하고자 한것이다. 또한, 교재에 제시된 매체에 대한 연구가 깊이 있게 진행되고 있는 국어교육에 비해, 교육과정을 함께하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거의 부재하다시피한 한국어교재에서의 매체 활용 논의라는 데 그 의의가 있다. 교재에 나타난 매체 유형은 일방적 매체로 책, CD, 신문, TV, 양방향 매체로 휴대전화와 컴퓨터였으며, 초등학교용에서 103건, 중고등학교용에서 53건의 목록을 추출하였다. 초등학생용에서는 책, 신문 등의 매체는 읽기와 말하기, 쓰기, 어휘 수업으로 활용되었으며, CD-노래는 초등학교용에서만 볼 수 있는 유형으로, 주로 어휘 교육을 위해 활용하고 있었다. TV는 교재에서 적극적으로 드러나지는않았으나 다각적으로 보여지고 있었다. 양방향 매체인 휴대전화와 컴퓨터는 기능을 익히게 하거나 말하기 소재로활용하기도 하였는데, 사용 예절, 사용 제한 등 부정적, 소극적, 교육적 태도를 취하고 있었다. 중고등학생용에서는 책, 신문은 주로 학습도구 교재에서 읽기, 말하기, 쓰기 등의 자료로 제시되고 있으며, 초등학교용에 비해 실제적,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양방향 매체로서 휴대전화와 컴퓨터 역시 기능 학습, 정보 수집과 공유 등으로 빈번히 활용하고 있다. 그러나 매체 각각의 특성을 고려하여 효과적으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어, 문자, 음성, 복합 양식을 고려한 다차원적인 교육적 활용 방안이 요구된다. 또한 매체 텍스트의 내용적인 면뿐 아니라, 감각적인 면의 적절한 활용이 더욱 필요하며, 주된 자료가 아닌, 예문, 예시, 보기, 상징물 등의 부수적인 자료에서도 사고 기능을 비롯한 효과적인 기능 활동으로 활용할 수 있음을 언급하였다. 마지막으로 한국어교육에서 논의되고 있는 다양한 유형의 매체제시와 활용이 뒷받침되어야 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nalyzes the types and usage patterns of media with 34 volumes of ‘Standard Korean’,which is the Korean as a Second Language(KSL) textbook, from the perspective of more realisticand practical media utilization. This allows to reveal the current status of media utilization andto explore the media utilization methods. Compared to Korean language education, which has been conducted an in-depth study intothe media presentend in the textbook, it is significant in the sense that it is a discussion on theuse of media in Korean textbooks, which has little to aim for students who are participating inthe National Curriculum. The media types shown in the textbook were books, CDs, newspapers, TV as one-sided media,and mobile phones and computers as interactive media. As for the media types, 103 cases wereextracted from elementary school textobooks and 53 cases were extracted from middle and highschool textbook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media such as books and newspapers were used for reading,speaking, writing, and vocabulary lessons, and CD-songs, a type that can only be shown forelementary school students, were mainly used for teaching vocabulary. TV is not actively shownin textbooks, but it is shown in various ways. Mobile phones and computers, which areinteractive media, have been used to learn functions or an material for speaking, and they takenegative, passive, educational attitudes such as etiquette and restrictions in using cell phones andcomputers. For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books and newspapers are mainly presented asmaterials for reading, speaking, and writing in learning tool textbooks, and they are used morepractically and more actively than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As interactive media, mobilephones and computers are also frequently used for functional learning, information collection,and sharing. However, it cannot be used effectively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medium, so it isrequired a multi-dimensional educational application plan considering text, voice, and complexforms. In addition, appropriate utilization of the sensuous aspect as well as the content aspect ofthe media text is more necessary. It was mentioned that it can be used as an effectivefunctional activity including thinking skills in supplementary data such as example sentences,examples, alternatives, and symbols that are not the main data. Finally, it is suggested that the presentation and utilization of various types of media discussed in Korean education need to be supported.

      • KCI등재

        디지털 매체(콘텐츠, 미디어)를 활용한한국의 한자, 한문교육 -디지털 媒體를 활용한 중등학교 교수ㆍ학습 자료와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정동운 한국한문교육학회 2022 한문교육논집 Vol.58 No.-

        이 논문은 디지털 매체(콘텐츠, 미디어)의 의미와 이를 활용한 한문 수업의 필요성에 대해서 살펴보고, 필자가 수업 실제에서 영상 매체를 활용한 교수ㆍ학습 자료를 共有하고 이를 적용한 수업 사례들을 소개한다. 이를 통해 디지털 기술(콘텐츠, 미디어)을 활용한 한국 한자, 한문교육 현황의 일부분을 부분적으로나마 파악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하고,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새로운 기술과의 접목으로 보다 한자, 한문교육 방법의 개선에 구체적인 논의와 개발이 활성화되는데 보탬이 되고자 한다. 4차 산업혁명 시대로의 진입 또는 통과 중이라고 여겨지는 현 시점에서 디지털 기술(콘텐츠, 미디어)을 활용한 한국의 한자, 한문교육의 현황과 실태를 파악하는 것은 중요한 의의가 있다. ‘디지털 매체(콘텐츠, 미디어)’란 디지털 자료로 볼 수 있는 주로 대중매체 즉 영화, 드라마, 가요, 웹툰 만화, 광고, 뉴스 기사 등을 말하는데, 내용인 콘텐츠와 매체인 미디어를 포괄하여 ‘디지털 매체’라 하겠다. 디지털 매체를 활용하는 수업 특히 영상 매체를 활용한 수업은 실생활과 연결된 영역에서 한자, 한문 학습이 삶에 유용하다는 점에 공감하게 하고 학생들에게 한자, 한문 학습에 대한 흥미를 유발하여 학습 동기를 부여하는 의의가 있다. 한문 학습 요소(한자, 한자 어휘, 고사성어, 한문 격언 명언, 한시, 한문 고전의 글 등)가 담겨 있는 디지털 매체를 활용하는 한자, 한문 교수ㆍ학습자료와 수업 사례를 매체의 종류별로 나누어 예시로 다음과 같이 제시한다. 1. TV예능 프로그램을 활용한 한자, 한문 학습 자료1) 한자, 한문 학습에 대한 흥미 유발-<놀면 뭐하니?>한자 이름2) 한자 이름에 담긴 뜻-‘펭수’의 이름 뜻3) 한자의 짜임․유래․조자 원리에 대한 이해-<개그콘서트>한자의 달인4) 한자를 응용하여 재미있게 할 수 있는 학습 활동-<놀면 뭐하니?>음식재료 한자 명칭 학습2. 영화/드라마를 활용한 한자, 한문 학습 자료1) 영화 <자산어보>로 배우는 한자어휘ㆍ한문문장ㆍ한시ㆍ문화2) 드라마 <더 킹: 영원의 군주>로 배우는 단어의 짜임3. 만화(웹툰)를 활용한 한자, 한문 학습 자료 - <죽음에 관하여>20화4. 신문기사/방송뉴스/다큐멘터리 등을 활용한 한자, 한문 학습 자료 - 안중근 의사 사진과 일본인의 헌시 / 김구의 한문 친필 사연과 사진5. 노래를 활용한 한자, 한문 학습 자료 - 슈가<대취타>/힙합곡<마법천자문> 6. 광고를 활용한 한자, 한문 학습 자료 -<애착용기>/<치어럽 캠페인> 7. 其他 디지털 매체를 활용한 한자, 한문 학습 자료1) 디지털 기술로 실재화한 한문 고전 학습 자료2) 고전앱/고전 창작동화를 활용한 한자, 한문 학습 자료4차 산업혁명 시대의 새로운 기술과의 접목으로 보다 한자, 한문교육 방법의 개선에 구체적인 논의와 개발이 활성화되는데 보탬이 되길 기대해 본다. 본론에 사례로 제시하고 보고한 자료 이외에 한문수업 적용할 수 있는 다양한 디지털 매체(콘텐츠, 미디어)를 활용한 한자, 한문학습 자료를 목록으로 만들어 부록에 첨부한다. This thesis examines the meaning of digital media (contents, media) and the meaning of Chinese language classes using them, and introduces class cases in which the author possesses teaching/learning materials using video media in class practice and applies them. Through this, we want to help to understand at least a part of the current status of Korean Chinese character/Chinese education using digital technology (contents, media), and improve the Chinese character/Chinese education method by grafting it with new technology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t is intended to contribute to the activation of detailed discussion and development.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and current situation of Korean character/Chinese education using digital technology (contents, media) at the present time, which is considered to be entering or passing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Digital media (contents, media)' refers mainly to mass media that can be viewed as digital materials, such as movies, dramas, songs, webtoons, comics, advertisements, and news articles.' I'll say. Classes that use digital media, especially those that use video media, make them sympathize with the usefulness of learning Chinese characters/ Chinese characters in life in areas connected to real life, and give young students (secondary school learners) interest in learning Chinese characters/ Chinese characters. It is meaningful to motivate learning by inducing it. Chinese characters/Chinese teaching/learning materials and class cases using digital media that contain Chinese characters learning elements (Chinese characters, Chinese vocabulary, ancient idioms, Chinese proverbs, Chinese poetry, classic Chinese texts, etc.) It is presented as follows. 1. Chinese character/Chinese learning materials using TV entertainment programs 1) Arouse interest in learning Chinese characters/Chinese characters - <What do you do when you play?> Chinese name 2) Meaning of Chinese character names - The meaning of the name ‘Pengsoo’ 3) Understanding the weave, origin, and principle of Chinese characters - <Gag Concert> Master of Chinese characters 4) Learning activities that can be fun by applying Chinese characters -<What do you do when you play?> Learning Chinese characters for food ingredients 2. Chinese characters/Chinese learning materials using movies/dramas 1) Learn Chinese vocabulary, Chinese sentences, Korean poetry, and culture through the movie <Janja Eobo> 2) Word structure learned through the drama <The King: Eternal Monarch> 3. Chinese characters/Chinese learning materials using cartoons (webtoons) - <About Death> Episode 20 4. Chinese character/Chinese learning materials using newspaper articles/broadcast news/documentary, etc. - Ahn Jung-geun's photo and Japanese tribute / Kim Gu's handwritten story and photo 5. Chinese characters/Chinese learning materials using songs - Sugar <Daechwita>/ Hip-hop song <Magic Thousand Characters> 6. Chinese characters/Chinese learning materials using advertisements - <Courage of Attachment>/<Cheerup Campaign> 7. 其他 Chinese characters/Chinese learning materials using digital media 1) Classical Chinese learning materials made real with digital technology 2) Chinese characters/Chinese learning materials using classic apps/ classical creative fairy tales It is hoped that the grafting with new technologies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will help to revitalize detailed discussion and development of the improvement of Chinese characters/Chinese education methods. In addition to the materials presented and reported as examples in the main body, Chinese characters/Chinese learning materials using various digital media (contents, media) that can be applied to Chinese language classes are listed and attached to the appendix.

      • KCI등재

        e-Learning 첨단교수매체를 활용하는 교사의 교수수행 및 효과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의 구조적 관계분석

        진성희(陳成姬),성은모(成垠模)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1 아시아교육연구 Vol.12 No.3

        e-Learning 첨단매체의 교육적 활용은 기존 교육현장에서 제한적이었던 다양한 교육활동을 제공함으로써 교육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는 실제 학교현장에서 e-Learning 첨단매체를 활용하는 교사들의 노력과 실천이 무엇보다 중요한 요인이 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e-Learning 첨단매체를 통합적으로 활용하고 있는 교수학습환경에서 교사들의 매체활용 교수수행에 미치는 변인들과 이에 따른 교사들의 교육효과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탐색해 보고, 이 요인들 간의 구조적 인과관계를 분석해 봄으로써 미래 교실환경의 구축 및 교사의 교수수행을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방안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 참여한 교사는 e-Learning 첨단매체가 통합적으로 구비된 학습환경에 있는 교사 189명(초등: 123명, 중등: 66명, 남성: 99명, 여성: 90명)이었다. 교사의 교수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사회적지지, 교사의 매체활용 효능감, 교사의 매체 활용 신념 및 태도, 교사의 매체활용 시간, 그리고 교육효과 인식 등이 문헌분석을 통해 선정되었으며, 이들 간의 구조적 관계 모형을 수립한 후 이를 구조방정식모형을 적용하여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각 변인들에 대한 57개의 설문문항이 개발되어 온라인으로 설문이 진행되었다. 연구결과, 교사의 교수매체활용 효능감에 대한 사회적 지지의 설명력 R²=0.15, 교사의 교수매체활용 신념 및 태도에 대한 사회적 지지와 교사의 매체활용효능감에 대한 설명력 R²=0.44, 교사의 교수매체활용 시간에 대한 사회적 지지와 교사의 매체활용 효능감 그리고 교사의 교수매체활용 신념 및 태도에 대한 설명력 R²=0.30, 교사의 교육효과 인식에 대한 모든 변인들의 설명력 R²=0.70으로 나타났다. 또한 주요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 모형에 대한 모형적합도를 분석한 결과 적합지수들이 모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결과에 대한 논의와 향후 e-Learning 첨단 교수매체를 활용하는 교수학습환경에서 교사의 교수수행을 향상시키기 위한 시사점 및 연구결론을 제시하였다. Educational use of e-Learning cutting edge media is aiming to improve educational quality by upgrading educational environments. Teachers" efforts and practices for using e-Learning cutting edge media in schools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educational quality improvement by new media.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variables affecting on teachers" technology integration and effect perceptions in classrooms established e-Learning cutting edge media. The participants are 189 teachers (elementary: 123, middle: 66; male: 99, female: 90) who work for the model schools that established e-Learning cutting edge media. Independent variables are defined as social support, teacher"s self-efficacy for using media, teacher"s belief and attitude and dependent variables are defined as using media and educational effect perception. 57 survey items were developed and the survey was conducted online. Structural Equation Model (SEM) is used to estimate the hypothesis model among variables. The results of analyzing multiple correlation among variables are as follows: social support"s squared multiple correlation on self-efficacy for media use, R²= 0.15, squared multiple correlation of social support and self-efficacy for media use on teacher"s belief and attitude, R²=0.44, squared multiple correlation of social support, self-efficacy for media use, belief and attitude on teacher"s media use hours, R²=0.30, squared multiple correlation of social support, self-efficacy, belief and attitude, media use hours on teacher"s effect perception, R²=0.70. Implications for improving of teacher"s technology integration are discussed based on research results.

      • KCI등재

        한국인의 대중매체활용과 정치문화에 관한 연구

        신승배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2005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 Vol.3 No.-

        현대인들은 대중매체의 발달로 다양한 정보의 범람 속에서 살아가고 있다. 이들 정보의 대다수는 TV, 라디오, 신문, 인터넷 등과 같은 대중매체를 통해서 제공된다. 이중 전파매체의 대표주자인 TV와 인쇄매체의 대표주자인 신문은 전통적인 대중매체이다. 이 글에서는 전통적 대중매체인 TV와 신문에 노출된 개인들이 자신들의 정치적 정향을 나타내는데 대중매체의 활용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실증적・경험적으로 분석하고자 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치성향 및 투표행위에 있어 대중매체활용의 영향을 살펴보면, 정치성향은 신문의 영향이 TV보다 더 유의미하였고 투표행위에 서는 신문이 유의미한 영향력을 보여주었다. 둘째, 대북통일문제 및 국가거리감에 있어서는 먼저, 남북통일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TV나 신문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반면 북한에 대한 태도에는 대중매체활용이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북한에 대한 거리감에서는 오히려 TV 매체가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에 대한 거리감은 또한 TV나 신문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정치산출에 대한 태도를 분석한 결과, 정치 상황 만족도에 있어서는 신문을 보는 빈도가 영향을 미치고 있으나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한국인으로서의 자부심은 신문이 상대적으로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유아교육에서의 교수매체의 역사와 활용에 대한 논의

        유윤영(Yoo, Yoon-Yung)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12 어린이미디어연구 Vol.11 No.2

        본 연구는 매체 적용의 문제와 교수매체의 효율적 활용을 도모하고자 유아교육에서의 교수매체의 역사와 활용을 관련 문헌의 고찰을 통해 알아보았다. 그 결과, 첫째 유아교육은 교수매체의 활용이 활발한 분야로, 매체의 제작에서 매체의 활용으로 교수매체의 양상은 유아교육의 교육사적인 흐름과 더불어 변화하고 있으며, 둘째, 다원화 시대를 맞이하여 교수매체 분야에도 다양한 견해가 존재하며, 이러한 견해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교수매체나 교수-학습방법 측면을 넘어 교육철학적인 차원에서 이해 되어야 하며, 셋째, 교수매체가 효율적으로 활용되기 위해서 매체는 교육과정 속에서 유의미하게 통합되어야 하며, 마지막으로 컴퓨터를 활용할 경우 경험을 공유한 환경이 마련되어야 한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아울러 현장에서 교수매체 활용에 대한 정보를 얻기 위해 교수매체 활용에 대한 실증적인 연구가 필요함을 제언할 수 있다. This study was to discusses on the history and use of instrumental medium for solve problems of medium application and efficient practical use of instrumental medium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Early childhood education is an active field use of instructional medium and use of instrumental medium was influenced by change of education history. Second, various opinions about using of instrumental medium should be understood from philosophical viewpoint which teaching-learning viewpoint is not. Third, use of instrumental medium should be made meaningful integration of technology in curriculum. Fourth, after children"s use computer it should be able to share offering an opportunity that do interaction with peers.

      • KCI등재후보

        다시 생각해 본 敎授媒體의 效果性 論爭 -媒體와 學習과의 關係 理解와 媒體 活用 敎育에 주는 示唆點-

        임정훈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08 漢字 漢文敎育 Vol.20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flect the issues related to the effectiveness of instructional media, research as to the main characteristics of modern media, and identify implication to instruction using modern advanced technologies. In the controversy on the effectiveness of instructional media, Kozma advocated the importance of the interaction between information and processes in the mind and those in the environment as a framework to examine the potential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and media. He also stated that media theories and research must reflect both the capabilities of media and the complexities of the social situations which they are used. In the other hand, Clark claimed that media and their attributes have important influences on the cost or speed of learning but only the use of adequate instructional methods or strategies will influence learning. The main characteristics of modern media were identified as mobility, ubiquity, sensibility, convergence, networking, web 2.0-based technology. For the instruction using advanced technologies based on these characteristics, 5 implications were suggested: 1) development of teaching and learning model and strategies based upon mobile technology, 2) education for affective domain with modern media, 3) application of blended learning, 4) facilitating learning activities using multi-sensory information, 5) cooperative and collaborative learning, and 6) the use of media focused on the role as a knowledge producer or knowledge creator. 이 연구의 목적은 교수매체의 효과성 논쟁이라 일컬어지는 Kozma와 Clark의 매체와 학습과의 관련성 논쟁에 관해 성찰해 보고, 현대 사회의 첨단 교수학습 매체가 학교 현장에서의 매체 활용 교육에 주는 시사점이 무엇인가를 탐색해 보고자 하는 것이었다.1990년대 중반에 시도된 교수매체의 효과성에 관해 논쟁에서 Kozma는 매체와 교육, 학습간의 관계를 긍정적으로 재개념화해야 할 필요성을 강조하면서 매체가 학습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조건이나 환경을 적극 탐색하여야 하며, 그러기 위해 지식이 구성되는 인지적, 사회적 과정에서 매체가 갖고 있는 가능성과 매체 활용 방법을 적극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강조하였다. 반면에, Clark은 교수매체와 교수방법을 명확히 구분해야 하며, 교수매체의 효과는 교수매체 자체에 의한 것이 아니라 교수매체를 활용하는 방법이나 교수매체 안에 함께 내재해 있는 교수전략이나 방법이라고 주장하였다. 이들의 논쟁은 교수매체의 효과성 향상을 위해서는 교수매체를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전략이나 방법을 어떻게 고안하느냐가 중요하다는 것을 일깨움과 동시에, 현대사회와 같이 매체의 영향력이 강해질 경우 교수매체가 학습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속성이나 조건, 환경 등을 적극적으로 탐색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해 주고 있다.현대사회에서는 이동성과 편재성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 감성적 매체, 융합매체, 네트워크 기반 매체, 웹 2.0 기반 매체 등 다양한 특성의 매체들이 새롭게 등장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특성을 지닌 매체들을 학교 현장에서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이동성 매체를 위한 교수학습 전략과 모형의 개발, 매체를 활용한 정의적 특성 형성 교육, Blended Learning을 활용한 교수학습 활동, 상호작용 및 협동협력학습 강화, 지식생산자 및 창조자로서의 학습자 역할을 강조하는 매체의 활용과 같은 노력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유아교사의 다중매체 활용능력, 이야기 들려주기를 위한 다중매체 활용에 대한 인식과 활용도 간의 관계

        장보영,최나야 한국보육지원학회 2014 한국보육지원학회지 Vol.10 No.6

        이 연구는 유아 교사들의 다중매체 활용능력과 이야기 들려주기를 위해 다중매체를 활용하는 것에 대한 인식 및 실제 활용도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서울, 경기, 인천의 유아반 교사 225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양한 교사 변인과 기관 변인에 따라 교사의 다중매체 활용능력, 이야기 들려주기를 위한 다중매체 사용에 대한 인식, 그리고 실제 활용도에 차이가 있었다. 둘째, 교사의 다중매체 활용능력, 이야기 들려주기를 위한 다중매체 활용에 대한 인식과 활용도 간에 모두 높은 수준의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셋째, 교사가 이야기 들려주기를 위해 다중매체를 활용하는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은 다중매체 활용의 중요성 인식, 학력, 멀티미디어 활용능력, 학급 규모, 다중매체 관련 수강 경험 순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교수를 계획하고 실행하는 교사의 인식이 갖는 의미와 실무능력의 중요성, 이를 향상시키기 위한 교사 교육 및 기관 지원의 필요성을 보여주었다.

      • KCI등재

        원격대학 학습자의 교육매체 활용방식에 관한 연구

        성지훈 ( Ji Hoon Sung ),최효선 ( Hyo Seon Choi ),안효경 ( Hyo Kyung Ahn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009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15 No.1

        이 연구는 원격대학 학생들의 교육매체 활용 및 비활용 이유와 활용 방식을 탐색하고, 학습자 관점에서 교육매체 활용을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개념적 구성 틀을 개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질적 연구방법론인 근거이론을 사용하였으며, A 원격대학의 5학기 이상 등록한 학생 12명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근거이론에서 제시하는 개방코딩, 축코딩, 선택코딩 방식에 따라 자료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학생들의 교육매체 활용·비활용 여부 결정에는 교육매체에 담긴 내용적 특성(내용의 유용성, 평가에 대한 영향력, 매력성, 난이도), 기기적 특성(시간 유연성, 공간유연성, 사용편리성), 개인적 특성(학업에 대한 우선순위, 학습에 대한 접근방식, 매체활용환경 및 활용능력)이 고려되고 있으며, 원격대학 성인학습자들은 효율적인 시간 활용이라는 커다란 테두리 내에서 교육매체에 담긴 내용적 속성, 교육매체의 기기적 속성, 개인의 학습 태도 및 환경을 고려하면서 자신에게 맞는 학습 방식을 창출해 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원격대학의 성인학생에게 학교에서 제공한 모든 교육매체를 진도에 맞추어 학습하기를 강요하기보다, 학생들이 자신의 필요와 상황에 따라 교육매체를 검토, 선택, 조정하는 전략적인 활용을 지원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것을 제안하였으며, 학생들이 교육매체 활용 시 중요하게 고려하는 사항들이 교육매체 개발자 및 제공자에게 시사 하는 바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students` use of educational media in a distance university focusing on why students use(or disuse) it and how they use it by employing grounded theory. To collect data, the researchers did semi-structured interviews with 12 students selected based on their experience in a distance university, grade, study area, and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the study. The data analysis was conducted through open coding, axial coding, and selective coding. This study found that as adults with various roles, the students think efficient time management is critical for their study and develop their own ways of studying with educational media. They review and select the contents of the educational media, and adjust their use of the educational media to their lives rather than studying with all the provided educational media step by step as the developers planned. They adjust their study period and time, and use two ways of studying with the educational media complementarily. In deciding what and how to use the educational media, students consider various factors including the features of the contents and technology, and their individual environment and ability. In terms of contents, students emphasize the usefulness, the effect on the evaluation, and the attractiveness of the contents. Regarding the features of the technology, students propose that time flexibility, space flexibility and functions for convenient usage of the technology are important. In addition, students` priority of study in their various roles, their approaches to learning, and their life situation to access each media, and their ability to use them affect students` use of the educational media.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suggest that the developers should help students create their own ways to use the educational media rather than insisting students follow the developers` plan.

      • KCI등재

        초등 국어과 표현 영역에서 매체 활용 교육의 방향 - 프레젠테이션 교육을 중심으로 -

        김희동,엄해영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16 한국초등국어교육 Vol.61 No.-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seek for the direction of media usage education in the expression of Korean language. Diachronically reviewing the meaning of media usage shown in the expression of Korean language curriculum, it discussed the direction of media usage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in two aspects such as essence of expression and changes in media environment. In this process, an issue like the main agent of expression was rising. To get new implications of relations between main agent and media, the direction of media usage education was discussed by examining theories such as posthumanism and embodimentism theories. Then, the possibility of practicing media usage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was discussed focusing on presentation education. Examining the concept, educational value, and characteristics of presentation, the education of expression mainly combined with main agent's cognition, speaking, writing, and diverse media was understood as the characteristics/direction of presentation education. The preparation and performance process of presentation were suggested based on elements of embodimentism and substantialization. 본 연구는 국어과 표현 영역에서 국어과 매체 활용 교육의 방향을 모색하는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국어과 교육과정 표현 영역에 나타난 매체 활용의의미를 통시적으로 검토하였으며, 여기에서 드러난 국어과 매체 활용 교육의 문제점을 바탕으로 표현의 본질과 매체 환경의 변화라는 두 가지 측면에서 국어과매체 활용 교육의 지향을 논의하였다. 이 과정에서 주체와 매체의 문제가 대두되었으며 주체와 매체의 관계에 대한 새로운 시사점을 얻기 위해 포스트휴머니즘과체화주의 이론들을 살펴 매체 활용 교육의 지향을 논의하였다. 이어서 국어과 매체 활용 교육의 실천 가능성을 프레젠테이션 교육을 중심으로논의하였다. 프레젠테이션의 개념, 교육적 가치, 특징을 살피고 말하기와 쓰기, 다양한 매체가 주체의 인지를 중심으로 융합된 표현 교육을 프레젠테이션 교육의특성이자 지향점으로 파악하였다. 프레젠테이션 교육의 방향을 주체와 매체의 관계를 중심으로 인지적 네트워크, 자아의 확장 측면에서 논의하고, 체화된 인지와경험의 측면에서 프레젠테이션 교육 방법을 제안하였다. 추가로 프레젠테이션 수행의 과정을 수행과 수행 전으로 나누고 실체화되는 요소를 중심으로 세분하여제시하였다.

      • KCI등재후보

        영상 매체를 활용한 융복합 무용교육

        백현순 한국무용연구학회 2013 한국무용연구 Vol.31 No.3

        본 연구는 아날로그에서 디지털로 변한 환경 속에서 융복합학으로서의 무용교과를 어떻게 구성하여야 창의성을 목표로 하는 교육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가에 초점을 두었다. 즉 영상매체를 활용하여 융복합학으로서의 무용교과와의 관계를 살펴본 뒤 융복합학으로서의 무용교육의 방법이 어떻게 변화하여야 하는지, 그리고 영상매체와 무용교육과의 융복합 과제가 무엇인지 추론하고자 한 것이다. 그 결과 무용교육의 융복합은 기존의 틀을 벗어난 새로운 총체성과 타 장르간의 통합을 통해 더 새로운 것을 요구하게 되었는데 본 연구자는 이것을 영상매체를 활용한 교육방법으로 제안한 것이다. 영상매체를 포함한 매체는 영상과 무용 등 서로 간에 넘나들며 융합하는 현상을 보이고 있으며 이러한 새로운 매체 환경을 무용교육과 융복합하여 학습시킨다고 했을 때 영상매체는 무용 교육의 새로운 방법이 될 수 있다. 즉 영상을 활용한 인터넷 강의의 활성화, 영상을 통한 무용감상과 비평영역을 확대, 무용작품을 비디오로 찍어 제작하는 비디오 무용의 제작, 영상매체로 만든 무용작품을 ucc를 통하여 유통하는 것 등영상매체를 적극 활용함으로써 무용에 대한 창의적인 콘텐츠를 구축할 수 있다고 보는 것이다. 영상매체와 무용교육과의 융복합 과제로는 영상매체의 특성과 속성에 대한 지식관련 교육이나 영상매체의 도구적 활용 및 영상매체 자체의 교육적 대상화, 그리고 무용과 관련된 영상매체의 언어적 텍스트 관련 교육내용 등을 어떻게 교육시키느냐가 과제이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what constitution of dance curriculum, as convergence studies, can contribute to the achievement of the educational goal, creativity, in today's digital age; it intend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dance curriculum, as convergence studies, and visual media, then discuss how dance education should be changed and infer what the challenges derived from visual media and dance education are. As a result, the convergence of dance education is shown to require unique totality and new paradigm by dint of the integration among different genres. The media, including image one, tend to combine one another beyond the boundaries; in case the convergence learning of new media area and dance education is carried out, visual media can be an innovative way to dance education. The active utilization of visual media, such as the revitalization of Internet courses by image, the expansion of dance appreciation and criticism domain through image, the production of video dance and the ucc-based distribution of dance work created by visual media, is believed to generate a number of creative dance contents. The challenges to be solved between visual media and dance education include further knowledge instruction of the features of visual media, the utilization of visual media, its educational objectification and the learning of linguistic text of th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