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내부망명자의 고독

        한수영(Han Soo-yeong) 한국문학회 2012 韓國文學論叢 Vol.61 No.-

        말년의 안수길을 지배하고 있던 것은 ‘망명의식’이었다는 것이 이 글의 커다란 전제다. 그는 실제로 망명을 시도한 적도 없었고, 망명을 결행할 만큼 노골적인 핍박을 받은 적도 없지만, 자신이 속해 있는 법적 국민국가인 ‘대한민국’에 대한 환멸과 부정, 혹은 애증(愛憎)의 복잡한 심경을 작품을 통해 암시해 오고 있었다. 그의 ‘망명의식’이 지닌 특징은, ‘망명’에 관한 ‘욕망’을 암시하면서도, 다른 한편으로는 그 ‘욕망’을 억누르는 ‘억압’의 기제를 스스로 제공하고 있다는 데 있다. 그런 점에서, 말년의 가작(佳作)임에도 불구하고 안수길의 작품 계보에서 그다지 주목받아 오지 않았던 단편 〈망명시인〉은, 작가의식의 표층과 심층, 그리고 그 사이의 균열과 단층을 들여다 볼 수 있는 매우 중요한 작품이다. 좀 더 흥미로운 사실은, 〈망명시인〉에서 노출되고 있는 작가의 ‘망명’에 관한 ‘욕망’과 ‘억압’은, 안수길의 작품 세계 안에서 오래 전부터 일정한 계보를 형성해 오고 있었다는 점이다. 그 계보는 전시기(戰時期)에 발표되었던 〈갱생기〉와 〈두 개의 발정(發程)〉에서 시작하여, 후기의 〈IRAQ에서 온 불온문서〉와 〈노부부〉, 〈삼인행〉까지 이어진다. 이 계보를 통해 확인되는 그의 ‘망명의식’은, 전시기나 전쟁 직후에는 주로 대한민국의 절대적인 빈곤이나 열악한 삶의 수준으로부터 벗어나고자 하는 소망과 연결되지만, 후기로 접어들면서, 분단의 고통이나 민주주의의 파탄과 같은 정치적 환경에 대한 비판의식과 더 밀접한 관련을 맺는다. 그의 작품 세계 전체를 가로지르는 ‘망명의식’의 계보를 거꾸로 거슬러 올라가면, 그 초입에서 우리는 작가 안수길의 ‘재만 경험’과 다시 조우하게 된다. 그의 개인사와 작가로서의 삶에 운명처럼 각인되어 있는 ‘이주’와 ‘정주’를 둘러싼 이 길고 힘든 여정이, ‘망명’을 둘러싼 그의 ‘욕망/억압’의 근원적 사건임을 재확인하게 되는 것이다. The premise of this paper is that the sense of emigraion was most important way of thinking in Ahn Su-gil’s late life. He was a kind of ‘inner emigrant’. Actually, he had never ever tried to emigrate to other country, also had not been oppressed to decide to escape from Korea. But, he always dreamed to escape to another country. We need to read carefully his last short story “망명시인An Emigrant Poet” to understand his sense of emigration. We can see the surface and deep structure of writer’s consciouness through that short story. There was a genealogy of desire for emigration in Ahn’s works. “갱생기A Rebirth”, “두 개의 발정 Two Beginning”, “IRAQ에서 온 불온문서Seditious Documents from IRAQ” belong to that genealogy. Ahn Su-gil’s sense of emigration originated in his life in Manchuria. In Manchuria, he had special experience which taught him the ‘outness’ and ‘otherness’. There are many Korean writers who had lived in Manchria in Japanese colonial era and returned after the end of the World War Ⅱ. But Ahn Su-gil is so unique that he showed us new horizon for description of Korean diaspora and settlement during the 20th century.

      • KCI등재

        독일의 난민 관련법 개정 현황

        이보연 ( Lee Bo-yeon ) 경상대학교 법학연구소 2019 法學硏究 Vol.27 No.2

        최근의 난민위기 가운데 독일은 유럽에서 가장 많은 난민을 받아들였다. 2015년부터 2018년까지 접수된 망명신청은 180만여 건에 이른다. 단기간에 이뤄진 대규모 난민의 수용과 망명절차 진행, 다른 문화권에서 유입된 대규모 이민자들의 사회통합은 독일 사회에 큰 도전이 되고 있다. 대규모 난민 유입과 그로 인한 문제에 대처하기 위해 독일 정부와 의회는 서둘러 입법에 나섰다. 이 글은 최근 독일에서 이뤄진 난민 관련 입법의 구체적인 내용을 살펴본다. 2015년 ‘망명절차 신속화를 위한 법’(망명패키지Ⅰ)을 통해 망명절차법을 망명법으로 바꾸고, 망명심사 절차를 신속히 진행할 수 있는 규정들을 삽입했다. 망명신청이 인정될 가능성이 낮은 자들을 배제하기 위해 안전한 출신국을 확대하고, 망명신청자의 거주제한을 강화했다. 망명신청자에 대한 현물지급원칙을 강화하고, 이들의 사회통합을 촉진하기 위한 규정을 마련했다. 2016년 ‘신속한 망명절차 도입법’(망명패키지Ⅱ) 시행으로 신속한 망명절차를 위한 규정이 더 보강되었다. 추가적인 난민 유입을 막기 위해 보충적 보호 지위를 받은 이들의 가족재결합이 2년간 중단되었다. 이어 ‘사회통합법’은 망명신청자들이 사회통합과정과 직업훈련, 노동시장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회통합을 촉진하는 동시에 이들이 의무를 이행하지 않을 시 불이익을 주는 방안을 마련했다. 2018년에는 가족재결합을 재개하기 위한 ‘가족재결합 재규정 법’이 시행되었으나 입국 가능한 가족구성원 수에 제한을 두었다. 마지막으로, 보호 지위를 인정받은 이들이 지위 철회절차에 협력할 의무를 규정한 ‘망명법 개정을 위한 세 번째 법’이 시행되었다. 독일의 난민 관련 입법은 선제적 대응이기 보다는 사후적 처방의 성격이 강하다. 그러나 여러 차례 법 개정을 통해 난민 관련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체제를 갖췄다고 볼 수도 있다. 이러한 일련의 입법적 대응은 한국이 난민과 관련한 입법과 정책을 마련하는데 참고가 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legislative measures dealing with refugees in Germany. During the European refugee crisis, Germany accepted the largest number of refugees among European countries. More than 1.8 million refugees filed applications for asylum in Germany from 2015 to 2018. The sudden influx of refugees presents a significant challenge for German society; accommodating a flood of refugees, proceeding asylum procedures, and integrating a large number of people from distant cultures into German society. To cope with the inflow of refugees and related problems, German government and Parliament introduced various measures. The Act on the Acceleration of Asylum Procedures 2015 introduced several measures to accelerate asylum procedures and exclude asylum seekers who are unlikely to be protected. The Act on the Introduction of Accelerated Asylum Procedures 2016 was tabled to further speed up asylum procedures and to slow down the inflow of refugees. The Integration Act 2016 intends to facilitate the integration of asylum seekers through easier access to integration courses, vocational training, and labor market. The Family Reunification Renewal Act 2018 resumed the scheme of family reunification, but limited the number of people. The legislation of Germany concerning refugees was not preemptive, but ex-post. However, it seems that Germany has been preparing legal and political measures to deal with the problems. Those preceding measures of Germany will be helpful in preparing refugee policy and legislation in Korea.

      • KCI등재

        러시아 망명 공동체와 푸슈킨 신화

        김윤영(Kim Yoon Young) 한국노어노문학회 2009 노어노문학 Vol.21 No.2

        푸슈킨 사후 러시아 사회, 문화 속에 지속적으로 존재해 왔던 “푸슈킨 신화” 내지 “푸슈킨 현상”은 1920-30년대 러시아 망명 공동체의 사회- 문화적 컨텍스트 속에서 더욱 풍부한 울림을 가지게 된다. 진정한 러시아의 계승자라는 지위를 놓고 소비에트 정권과 경쟁해 온 러시아 망명 사회가 심혈을 기울여 준비한 1937년 푸슈킨 기념제는 본토의 푸슈킨 기념제를 압도하는 대성공을 거두게 되고 이로써 망명 공동체의 위상과 역사적 문화적 정통성이 대내외적으로 인정받는 쾌거를 이루게 되었다. 한편 푸슈킨과 그의 문학적 유업에 대한 망명 문단 내부의 시각과 평가는 크게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여기서 주목할 점은 그것이 이전 시대부터 형성되어 온 푸슈킨에 대한 평가와 수용들이 “망명”이라는 특수한 상황을 통해 새롭게 조명되고 있다는 것이다. 망명이라는 상황을 일시적인 현상으로 인식했던 초기 망명 작가들은 문화(문학)를 혁명이전의 러시아를 복원할 수 있는 유일한 수단으로 인식했고 이러한 문화의 중심부에 '푸슈킨-예언자(구원자)-''를 세워 분열된 러시아 문화의 단일성을 회복하는 구심점 역할을 부여했다. 구원의 수단으로서 예술에 대한 믿음을 천명했던 망명초기 작가들(구세대)과는 다른 길을 모색했던 “파리노트”의 젊은 작가들은 망명 문단에 자신들의 목소리와 존재를 드러내기 위해 ''푸슈킨''과 그의 문학적 유산에 지극히 부정적인 태도를 취했고, 푸슈킨의 대안 내지 푸슈킨 문학에 대항하는 새로운 문학적 아이콘으로 레르몬토프를 내세웠다.. 푸슈킨에 대한 구세대 작가와 “파리 노트”의 시각과 평가 모두에 비판적인 입장을 취했던 호다세비치(В.Ходасевич)와 나보코프(В.Набоков)는 푸슈킨과 그의 문학을 숭배했지만 시인에게 불필요한 역할들을 부여했던 구세대 작가들을 비롯한 전통적인 푸슈킨 숭배자들과 자신들 사이에 분명한 선을 그었고, 푸슈킨 문학을 폄하한 파리노트 시인들은 강도 높게 비판했다. 특히 호다세비치와 나보꼬프는 푸슈킨에 대한 파리 노트 시인들의 반란을 일종의 ‘문화적 니힐리즘’과 ‘미학적 무지’의 증상으로 진단하면서 논쟁의 내용을 자기 정체성을 상실하고 표류하고 있던 망명 문학 전반에 대한 자기반성과 비판으로 확장시켰다. 이처럼 러시아 망명 문단의 다양하고 문제적인 푸슈킨 담론들은 단순히 푸슈킨 문학에 대한 이해의 차원에 머무르지 않고, 망명 러시아 문학, 나아가 러시아 문학이 나아갈 길을 모색했다는 점에서 문학사적으로 대단히 큰 의미를 가진다.. 본 연구의 목적은 푸슈킨 사후 러시아 사회와 문화 속에 지속적으로 존재해 왔던 "푸슈킨 신화" 현상이 볼셰비키 혁명이후 전 세계 각지로 뿔뿔이 흩어져 거대한 커뮤니티를 형성했던 러시아 망명 공동체에 어떠한 형태로 재탄생되고 있는지를 해명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망명이라는 특수한 상황 속에서 러시아 망명 사회 구성원들이 “푸슈킨”을 통해 어떻게 하나로 규합되어 공동체의 정체성을 정립해 나갔는지 1937년 푸슈킨 서거 100주년 기념제를 통해 살펴보고, 망명 문단 내부의 사상적- 예술적 입장에 따라 푸슈킨에 대한 평가와 수용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규명할 것이다. “Pushkin myth”, formed and developed by numerous Russian writers and critics after death of poet, acquired new meanings and nuances in the historical and cultural context of Russian emigre community in 1920s-1930s'. Russian emigrants had devoted every efforts and energies to prepare “Pushkin Jubilee 1937” in order to prove “Emigre Russia” to be “real” and “legitimate” Russia against Soviet regime. An unprecedented great success of their Pushkin jubille celebrations, overwhelming soviet Pushkin anniversary, was allowed to restore damaged national pride and reunify Russian emigrant communities all over the world. Meanwhile, There are three perspectives on Pushkin and his literary heritage in Russian emigre literature. The older generation of Russian emigre writers considering an “exile” as a temporary situation assured that the only way to restore “pre-revolutionary” Russia is to preserve national culture and literary heritage and they gave a central role to Pushkin/Prophet(“Messiah”) in reunifying divided Russia. Younger generation of writers, particularly poets in “Paris Nots”, who did not accept older writers' aesthetic convictions took an extremely negative position on Pushkin and a phenomenon “idolization of the poet” in Russian literature. They designated Lermontov to be their literary icon as an alternative of Pushukin. V.Khodasevich and V.Nabokov, ardent admirers of the poet, assumed critical attitudes toward views of both generations on Pushkin. They insisted that traditional Pushkin-admirers as well as older emigrant writers gave a poet unnecessary roles and status like prophet, messsiah, philosopher. Accordig to V. Khodasevich, Pushkin is great only as a great poet. They severly criticized poets of “Paris Note” who insulted “The Great Poet” and regarded their revolt against Pushkin as a kind of symptom of ‘cultural nihilism’ and ‘aesthetic ignorance’. Various and disputative discourses on Pushkin in Russian emigrant literature in 1920s-1930s' are very significant in terms of not only “Pushkinian” tradition (“Пушкиниана”), but also Russian literary criticism.

      • KCI등재

        현대 러시아 재외 문학의 흐름

        권기배(Kwon Ki Bae) 한국노어노문학회 2009 노어노문학 Vol.21 No.4

        본 논문은 러시아 재외 문학/망명문학의 최근의 경향 및 특징을 러시아 3차 망명 물결의 작가들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있다. 1917년에 일어났던 혁명과 내전으로 인해 발생한 망명문학은 최근 망명문학에 대한 학술대회와 망명 작가들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의 시작과 더불어 러시아내에서 새롭게 조명되고 있다. 우선, 1990년대 이전만 하더라도 ‘망명’(эмиграция)이나 ‘추방’(изгнание)의 용어를 사용하여 러시아 문학사에서 따로 떼어내어서 ‘망명문학’, ‘추방문학 (Русскаялитература в изгнании)’ 이라고 불렸던 것을 현재 ‘단절 보다는 통합’ 의 의미가 내포되어 있는 ‘러시아 재외 문학(Литература русского зарубежья)’이라 명명하면서 긍정적인 시각으로 바라보고 있다. 둘째, 과거 분열된 러시아 문학의 ‘통합’의 과정에 3차 망명물결 작가들이 주도하고 있는 망명학술지들의 러시아內 출판이 주목 받고 있다. 이러한 3차 망명 물결 작가들에 의해 개방 이후 러시아내에서 발간되기 시작한 대표적인 망명 학술지는 바로 『시간과 우리들』,『대륙』, 『친위병』그리고 『경계』가 있다. 셋째, 러시아 망명사회의 냉대와 무관심을 겪은 ‘신세대’ 작가들에 대한 재평가 작업이 이루어지고 있다. 과거 ‘신세대’에게는 ‘불쌍한 세대’, ‘정체성이 없는 세대’, ‘주목받지 못한 세대’ 라는 부정적인 평가가 내려졌다. 그러나 현재 러시아 문학 전통을 자신의 작품형성의 주된 요소로 사용하면서 혁신적이고 아방가르드 문학 및 초현실주의를 근간으로 하는 창조적인 형태로 자신들의 새로운 길을 모색한 세대, 러시아어와 다른 언어로 문학 활동을 하면서 끈질긴 생명력을 유지하면서 문학성과 예술적 완성도에 있어서 예술적 성취를 이루어 낸 세대로서 재평가 되고 있다. 넷째, 1990년대 초반부터 시작된 3차 망명물결 작가들의 러시아의 귀환이 새롭게 조명되고 있다. 그 이유는 망명 작가들의 조국으로의 귀환이 끝없는 방황에서 돌아와 아버지의 품에 안기는 아들처럼 이해와 통합의 주요한 전제 조건이기 때문이다. 다섯째, 러시아 문학의 ‘통합’의 측면에서 ‘4차 망명 물결 세대 규정에 대한 연구’가 진행 중에 있다. 자본주의 경제로 전환한 새로운 러시아에 대한 적응의 실패 등 지극히 개인적인이유로 러시아를 떠나고 있는 문학가들의 ‘탈출’을 집단적으로 망명이 이루어 졌던 1차, 2차, 3차 망명 물결의 전통성을 이어가는 물결로 규정하는 것은 매우 민감한 문제이기 때문에 현재 깊은 성찰의 과정에 있다.

      • KCI등재

        間島地域 亡命者들의 文集現況과 特徵 - 을사늑약에서 3・1운동 직후를 중심으로 -

        이은영(Lee, Eun-young) 대동한문학회 2016 大東漢文學 Vol.49 No.-

        본 논문은 일제강점기 초 간도지역으로 망명을 떠난 망명자들의 문집현 황과 그들 문집 대부분이 공통적으로 갖는 특징에 대해 살펴본 것이다. 간도지역으로 망명을 떠난 망명자들은 당대 지식인들이었던 만큼 그들은 망명지에서도 평생 익힌 한문으로 많은 글들을 남겼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간도지역 망명자들의 숫자가 적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현재 망명자로 확인된 인물들은 그리 많지 않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아울러 세상에 공개된 그들의 문집은 현시점 기준으로 55개 문집에 불과하다는 사실이 파악되었 다. 이는 그들 문집이 희귀본임을 뜻한다. 그리고 간도지역 망명자 중 한 사람인 大訥 盧相益이 남긴 많은 문집들이 그동안 간행되지 않은 채 후손이소장하고 있어 세상에 대부분 미공개 상태로 있었음이 확인되었다. 이를 통해 공개되지 않은 문집도 적지 않을 것임을 미루어 알 수 있다. 이는 학계에서 적극적으로 망명자 문집 발굴에 나설 동기를 부여할 것이다. 또 간도지역 망명자들 문집 대부분이 공통적으로 갖고 있는 특징을 살펴 보았다. 그 결과 외면적 특징은 영호남 등 다른 지역 문집 현황과 중복 집계 된다는 사실을 비롯해 남겨진 문집의 저자가 대부분 독립유공자들이라는점 등 다섯 가지가 드러났다. 내용상 특징은 흥성했던 조선의 典章文物이나 疆域 및 가문에 대한 내용이 많다는 사실을 비롯해 학파와 당파를 넘어선 교유가 이루어진 점 등 아홉 가지가 드러났다. 이처럼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간도지역 망명자들의 문집현황과 특징은 간도 망명자들 개개인에 대한 연구 지평은 물론, 간도 전 지역을 아우르는 망명 문학의 연구 지평으로 확대될 기초 자료를 확립해주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This paper is about the common characters and the current state of books written by refugees who left to Gando at the early time of Japanese colonial period. There would be many sentences and books left written with Chinese characters as the refugees are considered as intellectual at that time. Among the many refugees gone to Gando, there are not many confirmed refugees now. Furthermore, only 54 books are left to be known as their legacy which makes them rare. One of the refugees to Gando, Dae-nool Noh, Sang-ik left his books to descendents made them unreleased state. This suggests that other many unknown books should be exist and make Academia find other books written by refugees actively. The common characters of almost every books written by refugees to Gadno are also studied. About their appearances, 5 points including that their writers are almost separatists and that they are counted duplicating the number of them with the books already counted in other places like Youngnam, Ho-nam are revealed. 9 points about their inner characters including that their freindship over schools or factions and that they treated many families and the cultural literatures are revealed.As this paper studied about the characters and current state of books of refugees to Gando, it has own meaning that it established the base data about the refuge of culture to amplify the study to refugees personal life and refuge culture of every place of Gando.

      • KCI등재

        일제강점기 만주망명가사의 정서 표출 양상

        신송(Shin, Song) 전남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 2015 전남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 학술지 어문논총 Vol.- No.28

        일제강점기(1910~1945)에 만주에서 독립 투쟁을 배경으로 창작되었던 가사문학을 ‘만주망명가사’ 또는 ‘만주망명지 가사문학’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본 논문은 일제강점기에 만주로 망명한 사람들이 지은 7편의 가사 작품을 대상으로 작품에 나타난 정서 표출 양상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조선은 1910년 한일병합에 의해 일본의 식민지로 전락하게 되었다. 국내에서의 항일 투쟁은 일제의 대대적인 탄압으로 인해 활동을 지속하기 어려웠고, 그로 인해 일부 운동가들은 국외에서 독립 투쟁을 도모하였다. 1911년 11월, 경의선 철로가 중국의 안동(安東)까지 연결되면서 만주에 쉽게 접근할 수 있게 되었는데 간도를 비롯한 만주 지역 일대는 한민족의 활동 영역에 포함되어 있었다. 따라서 지식인들은 일제의 탄압을 피하기 위한 새로운 항일 투쟁지로 만주를 선택하였고 이때 만주를 중심으로 한 망명지문학이 형성되었다. 만주망명가사의 작가들은 일제강점기에 독립 운동에 가담함으로써 극적인 삶의 변화를 겪게 되었으며, 그것을 가사로 표현했다. 이들이 쓴 가사에는 고국을 떠날 수밖에 없었던 처참한 심정, 고국에 남겨진 부모와 형제를 그리워하는 마음, 나라를 빼앗긴 울분 등이 서술되어 있음을 확인해 볼 수 있었다. 그리하여 본고는 일제강점기에 만주에서 독립 투쟁을 배경으로 창작되었던 가사 작품을 ‘만주망명가사’라고 정의하였다. 더불어 만주망명가사를 망명지문학의 하위 유형으로 범주화하여 논의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본고에서 살펴 본 만주망명가사는 전통 시가 양식인 가사에 만주 망명경험이나, 만주에서 겪게 된 생활 및 그에 따른 근대적 체험과 사고 등을 담아내고 있다. 이처럼 만주망명가사는 일제강점기라는 역사적 격변기를 관통하면서 전통과 근대가 공존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으며, 독립 투쟁을 위해 만주로 망명한 사람들에 의해 제작, 향유되었다는 점에서 문학사적 가치가 있다고 판단된다. Gasa literature that was written to describe the struggle for independence at Manchuria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1910~1945) can be defined as ‘Gasa at Manchuria exile’ or ‘Gasa literature of the place of exil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argeting seven Gasa works written by those exiled to Manchuria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to examine the emotional expression appearing in the works. Korea was reduced to a colony of Japan by the Korea-Japan Annexation Treaty in 1910. Anti-Japanese struggle of Korean independence fighters became difficult in Korean soil due to all-out suppression of imperial Japan and some of the fighters tried to launch fights for independence in foreign lands. From November 1911, with the Gyeongyi Railway connected up to Andong (安東), China, Manchuria which came to be included in the areas of activities for Koreans easily accessible. Thus, intellectuals chose Manchuria as a new place of anti-Japanese fights to avoid suppression of Japanese imperial forces in Korean soil, which leads to the formation of exile literature centering on Manchuria. Writers of Gasa in Manchurian exile came to experience dramatic changes in their lives by joining independence movements during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expressed them with Gasa. The Gasa works show the exiled people’s sadness that they had to leave their homeland, longing for their parents and siblings, and anger that they lost their own country. Thus, this study defined Gasa works created in the background of independence struggle in Manchuria during Japanese colonial period as ‘Gasa in Manchurian Exile’ and intended to lay the ground to discuss ‘Gasa in Manchurian Exile’ by classifying it as sub-categories of literature in exile. Gasa at Manchuria exile examined in this study has the form of traditional poetry containing the experience and life at Manchuria and related modern experience and thought. Gasa at Manchuria exile has the value of literature history in that it shows the co-existence of tradition and modernity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and was described by those exiled to Manchuria for struggle for independence.

      • KCI등재

        間島地域 亡命者들의 文集現況과 特徵 - 을사늑약에서 3・1운동 직후를 중심으로 -

        이은영 대동한문학회 (구.교남한문학회) 2016 大東漢文學 Vol.49 No.-

        This paper is about the common characters and the current state of books written by refugees who left to Gando at the early time of Japanese colonial period. There would be many sentences and books left written with Chinese characters as the refugees are considered as intellectual at that time. Among the many refugees gone to Gando, there are not many confirmed refugees now. Furthermore, only 54 books are left to be known as their legacy which makes them rare. One of the refugees to Gando, Dae-nool Noh, Sang-ik left his books to descendents made them unreleased state. This suggests that other many unknown books should be exist and make Academia find other books written by refugees actively. The common characters of almost every books written by refugees to Gadno are also studied. About their appearances, 5 points including that their writers are almost separatists and that they are counted duplicating the number of them with the books already counted in other places like Young- nam, Ho-nam are revealed. 9 points about their inner characters including that their freindship over schools or factions and that they treated many families and the cultural literatures are revealed. As this paper studied about the characters and current state of books of refugees to Gando, it has own meaning that it established the base data about the refuge of culture to amplify the study to refugees' personal life and refuge culture of every place of Gando. 본 논문은 일제강점기 초 간도지역으로 망명을 떠난 망명자들의 문집현황과 그들 문집 대부분이 공통적으로 갖는 특징에 대해 살펴본 것이다. 간도지역으로 망명을 떠난 망명자들은 당대 지식인들이었던 만큼 그들은 망명지에서도 평생 익힌 한문으로 많은 글들을 남겼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간도지역 망명자들의 숫자가 적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현재 망명자로 확인된 인물들은 그리 많지 않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아울러 세상에 공개된 그들의 문집은 현시점 기준으로 55개 문집에 불과하다는 사실이 파악되었다. 이는 그들 문집이 희귀본임을 뜻한다. 그리고 간도지역 망명자 중 한 사람인 大訥 盧相益이 남긴 많은 문집들이 그동안 간행되지 않은 채 후손이 소장하고 있어 세상에 대부분 미공개 상태로 있었음이 확인되었다. 이를 통해 공개되지 않은 문집도 적지 않을 것임을 미루어 알 수 있다. 이는 학계에서 적극적으로 망명자 문집 발굴에 나설 동기를 부여할 것이다. 또 간도지역 망명자들 문집 대부분이 공통적으로 갖고 있는 특징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외면적 특징은 영호남 등 다른 지역 문집 현황과 중복 집계 된다는 사실을 비롯해 남겨진 문집의 저자가 대부분 독립유공자들이라는 점 등 다섯 가지가 드러났다. 내용상 특징은 흥성했던 조선의 典章文物이나 疆域 및 가문에 대한 내용이 많다는 사실을 비롯해 학파와 당파를 넘어선 교유가 이루어진 점 등 아홉 가지가 드러났다. 이처럼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간도지역 망명자들의 문집현황과 특징은 간도 망명자들 개개인에 대한 연구 지평은 물론, 간도 전 지역을 아우르는 망명 문학의 연구 지평으로 확대될 기초 자료를 확립해주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 김우락 가사 고찰

        한경희 한국지역문학회 2022 한국지역문학연구 Vol.11 No.1

        김우락(1854∼1933)은 임시정부 초대 국무령을 지낸 석주 이상룡의 부인으로, 만주 망명시기 창작한 가사가 전해온다. 부군의 망명에 따른 동반망명을 했던 사람의 처지가 잘 드러나는 이별의 슬픔과 그리움을 가사로 썼다. 그러나 가사의 내용이 슬픔과 그리움만으로 이어지는 것은 아니며 미래를 향한 희망적인 의지를 잊지 않고 기록하고 있어서 망명가사로 분류한다. 모든 망명자가 정치적인 박해를 해결하고 고국으로 돌아가는 것에 목적이 있듯이 망명문학 역시 망명의 현실을 작품에 담지만 결국 망명문학은 귀향 의지와 그것의 실현을 목표로 한다. 김우락 가사에서도 가족이나 친척과의 이별의 아픔을 크게 부각시켰지만 복국하여 귀향하는 일에 강조점을 두었다. 김우락 가사 4편은 망명 전 평온했던 일상을 돌아보고, 망명의 노정과 여성의식을 드러낸다. 망명지 만주에서 창작된 것으로 보이는 김우락의 가사에는 망명에 대한 깊은 이해와 저항의식이 담겨 있다. 망명 초기 갑작스러운 망명 결정에 당황하고 부담스러워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그렇지만 부군이 결정한 망명의 의도를 알고 있기에 스스로 받아들이고 식민지가 된 고국을 되찾아 귀향해야 한다는 의식이 강하게 형성된다. 망명 초기와는 달리 망명지에서 생활은 남성들의 독립운동을 내조하는 역할과 복국에 대한 희망을 키워나간다. 김우락 가사에서 드러나는 이별의 슬픔, 그리움의 정서는 단순히 자신의 탄식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나라를 일제에 빼앗기고 고국을 떠나야 하는 망명객의 심정을 대변한다. 김우락 가사 역시 슬픔과 그리움을 솔직하게 드러냈으나, 여성가사 작가들이 대표적으로 표현한 탄식과는 달리 그 감정에 빠지지 않고 미래세대에 대한 기대와 복국에 대한 염원이 가사의 중심에 놓여 있다. 또한 김우락은 전통적인 여성의식을 간직하고 있었으나, 가부장문화와 남녀차별의 구도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있었다. 그럼에도 기존 질서인 삼종지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주체적인 여성의식을 소유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Kim Woo-rak(1854∼1933) is the wife of Seok-ju Lee Sang-ryong, who served as the first decree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and the lyrics were written during exile in Manju. The lyrics are about the sadness and longing for parting that clearly reveals the plight of a person who had been exiled with her husband following her husband’s exile. However, the lyrics do not lead only to sadness and longing, and they are classified as exile because they do not forget their hopeful will for the future. Just as all asylum seekers have the goal of resolving political persecution and returning to their homeland, exile-literature also includes the reality of exile in its works, but in the end, exile-literature aims to achieve the will to return home and realize it. Kim Woo-rak’s lyrics also emphasized the pain of separation from family and relatives, but emphasized returning home. The 4 lyrics of Kim Woo-Rak look back on the peaceful daily life before exile, revealing the path of exile and the female consciousness. Kim Woo-rak’s lyrics, which seem to have been created in Manju, a place of exile, contain a deep understanding of exile and a sense of resistance. It can be seen that he is embarrassed and burdened by the sudden decision to asylum in the early stages of exile. However, knowing the purpose of the exile decided by the father-in-law, there is a strong sense that he must accept himself and return to his colonized homeland. Unlike the early days of exile, living in exile develops the role of supporting men’s independence movement and hopes for restoration. The sadness of parting and the emotion of longing revealed in the lyrics of Kim Woo-rak do not stop with lamenting themselves, but represent the feelings of exiles who have to leave their homeland after their country was taken over by the Japanese. Kim Woo-rak’s lyrics also express their sadness and longing frankly, but unlike the lamentations typically expressed by female lyric writers, they do not fall into that emotion, and expectations for future generations and longing for national prosperity are at the center of the lyrics. In addition, Kim Woo-rak retained the traditional femininity, but accurately grasped the patriarchal culture and the composition of gender discrimination. Nevertheless,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at she possessed a subjective sense of femininity without departing from the existing three man of order.

      • KCI등재

        20세기 초 만주 망명 지식인의 풍속 체험

        이은영(Lee, Eun-young)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21 동양한문학연구 Vol.60 No.-

        본 논문은 20세기 초 일제강점기 때 만주로 망명을 떠난 지식인들이 망명지에서 겪은 풍속 체험에 대해 살펴본 것이다. 만주 망명 지식인들은 자신들이 할 수 있는 역할을 찾기 위해 망명을 떠나왔으나 조국의 독립을 위해 할 수 있는 일을 찾기보다 생존에 먼저 힘써야 했다. 평생 책만 읽던 그들은 망명지에서 의식주를 비롯해 결혼문화와 장례문화 등 다양한 풍속을 체험을 했다. 그러나 그들은 망명 생활에 적응하기 위해 태어나서 처음으로 직접 농사도 짓고 땔감도 하고, 추위와 비적 떼의 습격 등에서 벗어나기 위해 노력했다. 이에 더해 중국어를 익히는 등 끊임없이 적응하고자 노력했고, 자신들은 물론 한인들의 생활규범을 단속함과 동시에 조국 독립이라는 목표 앞에서 학파와 계파를 떠나 화합에 힘썼다. 만주 망명 지식인들이 힘겨운 망명지 풍속에 적응하고 망명 생활에 적응하며 버틸 수 있던 저력은 바로 평생 익힌 학문에서 나온 것이다. 고국에서 일제에 빌붙어 잇속을 챙긴 친일 지식인들과 달리 만주 망명 지식인들은 참된 지식인들이었기 때문에 그들은 온갖 고생을 하면서도 그것을 전혀 고달프게 생각하지 않았다. 오히려 나라가 망했는데 죽지 않고 살아있는 것에 대한 죄책감으로 망명지에서 겪는 고생을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였다. 그들의 망명 생활이 성공을 거둔 사실은 망명 지식인들 가운데 많은 인물이 독립유공자로 지정된 사실을 통해서 확인된다. 우리는 만주 망명 지식인들의 풍속 체험과 그들이 이를 극복하기 위해 노력하는 모습을 통해 해외에서 항일 투쟁에 힘쓰던 독립운동가들의 일상을 일부 엿볼 수 있다. 이에 더해 만주 망명 지식인들이 다져놓은 만주 망명지는 후에 만주로 망명을 떠나온 또 다른 지식인들과 독립운동가들의 터전이 되었다는 점에서 가치를 더한다는 점에서 주목받아 마땅하다. This paper is about the customs what the intellectuals had experienced who exiled to Manchuria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y had to put striving for living before than seeking their roles as intellectuals which is they exiled for at the first place. They encountered various customs such as food, clothing and shelter, marriage, and funeral culture in Manchuria. For the first time in their bookworm life, in order to adapt to life in exile they farmed, cut firewood, and tried to escape from the cold and attacks of swarms. In addition, they constantly tried to adapt, such as learning Chinese, and while cracking down on the rules of life of Koreans as well as themselves, they worked hard to achieve harmony by leaving schools and factions in front of the goal of national independence. The power that made the them survive while adapting to the difficult customs and lifestyles of exile came from the studies they learned throughout their lives. Unlike the pro-Japanese intellectuals who took advantage of the Japanese occupation in their home country, the intellectuals in Manchuria didn t feel tired with all sorts of hardships as true intellectuals. Rather, they took for granted the suffering in exile because of the guilt of living and not dying even though their own country had collapsed. The success of their exile life is confirmed by the fact that many of the exiled intellectuals were designated as independence fighters. Through the experiences of the intellectuals in exile in Manchuria and their efforts to overcome them, we can get a glimpse into the daily life of independence activists who worked hard in the anti-Japanese struggle abroad. In addition, the Manchuria built by the exiled intellectuals deserves attention as exile site in that it adds value in that it later became the home of other intellectuals and independence activists who fled to Manchuria.

      • KCI등재

        耕齋 李建昇의 만주 망명의 여정과 내면 - 海耕堂收草 소재 「西來偶存」을 중심으로-

        김남이 동방한문학회 2024 東方漢文學 Vol.- No.99

        耕齋 李建昇(1858~1924)이 만주 망명 시기에 쓴 시문은 海耕堂收草 에 수록된 「西來偶存」․「興道收草」․「接梨收草」, 이렇게 세 개의 「詩稿」로 전한다. 이 「시고」들은 조선 왕실의 후손이자, 가족의 어른, 그리고 한문학을 기반으로 하는 전통 지식인 耕齋가 망명의 日常을 紙筆로 삼아 ‘시로 쓴 自述書’라 할 만하다. 耕齋가 망국의 문사로서 피맺힌 망명길에 오르기까지 결단과 결행의 심리적 과정, 망명의 여정과 망명에 대한 생각이 모두 담겨 있다. 본고에서는 耕齋가 만주 망명을 시작한 시기, 곧 ‘西來期’의 작품을 분석하였다. 2장에서는 「西來偶存」에 수록된 시를 순차적으로 살폈는데, 망명 초기 여정의 주요 공간인 강화․개성․의주․구련성을 중심으로 耕齋의 감정과 논리를 세밀하게 추적해 보았다. 망명은 가장 비일상적 사건이지만 그 낯선 시공간 속에서 茶飯事와 같은 규칙적이면서 소소한 행위들이 여전히 반복되는 한편, 개인․공동체․국가의 현실이 작동하는 치열한 공간으로서 다층적 의미를 갖는다. 따라서 일상 혹은 생활사 관점에서의 망명에 대한 고찰은 망국의 시대에 직면한 지식인으로서 책임을 다하고자 분투했던 지식인 耕齋와 그가 딛고 살았던 망명지 현실 그 자체에 대한 考證이기도 하다. 또한, 본고는 국권침탈과 亡國이라는 우리 역사의 특수-특정한 국면에서 발생한 ‘망명자 문학’을 한문학사로 수렴하고, 역시 망명을 계기로 창작된 국문가사와 국문일기 등 국문문학의 성과를 포괄하여 우리문학사에서 ‘망명문학’의 성격과 의미를 명확히 해야 한다는 점을 제기하였다. The writings of Gyeongjae Lee Geon-seung(1858~1924) during his exile in Manchuria are preserved in the Haegyeongdangsocho , encompassing three poetry manuscripts: 「Seoraeujeon」, 「Heungdosucho」 and 「Jeopsucho」. These manuscripts serve as autobiographical poems, reflecting the daily life of Gyeongjae, a descendant of the Joseon royal family, a family patriarch, and a traditional intellectual rooted in Classical Chinese literature. They encapsulate his psychological journey of determination and action leading up to his exile as a loyalist scholar of the fallen Joseon Dynasty, as well as his experiences and reflections during his journey of exile. This study analyzes Gyeongjae's works from the early period of his Manchurian exile, particularly focusing on the 「Seoraeujeon」. In the second chapter, a sequential analysis of the poems in 「Seoraeujeon」 is conducted, tracing Gyeongjae's emotions and logic as he navigates through significant locations of his early exile journey, such as Ganghwa, Gaeseong, Uiju, and Guryeseong. Exile, although the most extraordinary event, is depicted through the repetition of routine, mundane actions within unfamiliar times and spaces, imbued with multifaceted significance as a fierce space where the realities of the individual, community, and nation intersect. Thus, examining exile from the perspective of daily life or social history not only corroborates the reality of exile experienced by the intellectual Gyeongjae, who strove to fulfill his responsibilities in the face of national ruin, but also elucidates the very reality of the exile sites he inhabited. Furthermore, this study argues that ‘exile literature’, which emerged during the unique and specific historical context of national subjugation and the fall of our nation, should be integrated into the history of Classical Chinese literature. The study also underscores the need to clarify the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of ‘exile literature’ within the broader context of Korean literary history by encompassing the achievements of Korean literature, such as vernacular prose and diaries, which were also created as a result of exi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