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령후기 아동의 건강증진행위와 생활만족도의 관련성

        이성한 ( Sung-han Lee ),배성권 ( Sung-kwon Bae ) 한국영유아아동정신건강학회 2009 영유아아동정신건강연구 Vol.2 No.2

        본 연구는 학령후기 아동의 건강증진행위와 생활만족도의 관련성에 관해 알아본 것으로서 실태, 아동의 배경변인에 따른 건강증진행위 및 생활만족도 차이 및 건강생활이 아동의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대상은 부산지역 공립초등학교 4, 5, 6학년 아동 670명이며, 건강생활과 생활만족도 설문조사 기간은 2008년 6월 말경부터 7월 말까지 약 한달 간이었고, 최종 670부를 분석했다. 건강생활설문지는 김신정(2007)의 연구에서 사용된 것으로서 6개 영역 53개 문항 4점 척도이며, 생활 만족도는 이정미, 이양희(2007)의 한국판 아동용 다면적 생활만족도검사(K-MSLSS)로 5개 영역 34문항 6점 척도였다. t-test, one-way ANOVA, 상관분석 test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학령후기 아동의 건강증진행위와 생활만족도와의 상관관계결과에서 질병예방은 식습관, 정신건강, 사고예방의 세항목과 상관이 있었다. 또한 정신건강은 개인위생, 식습관, 운동과 유의미한 상관이 있었다. 사고예방은 개인위생, 식습관, 운동, 정신건강과 유의미한 상관이 있었고 친구만족도는 정신건강과 상관이, 가족만족도는 정신건강, 질병예방, 사고예방, 학교만족도와 상관이, 환경만족도는 가족만족도와, 자아만족도는 질병예방, 친구만족도, 학교 및 가족만족도와 상관이 있었다. 그리고 중다 회귀분석 결과에서 아동의 정신건강증진행위는 아동의 친구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식습관, 정신건강, 질병예방의 세 항목은 학교만족도에 영향을, 운동, 정신건강, 사고예방의 세 항목은 가족만족도를, 정신건강은 환경만족도와 자아만족도에 매우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쳤다. 결론적으로 운동, 정신건강, 사고예방의 세 항목은 아동의 생활 만족도를 설명하는데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is relationship between the latter school age children's health promotion behavior and life satisfactions, to investigate children's variables which effect the latter school age children's health promotion behavior and the life satisfaction, and to study correlations between these variables. so we could helps children be able to carry on healthy, happy, and satisfied life. This study adopted questionnaire surveys for total 670 children, who are 4, 5, 6th grade at elementary public school age in Busan city, Health promotion behavior questionnaire and K-MSLSS, life satisfaction questionnaire. The following results were founded. First, the rank of health promotion behavior criterion of the children were Diseases Control>Personal Hygiene> Mental Health>Accident Prevention>Eating Habits=Exercise. Second, the rank of life satisfaction of the children were Family Satisfaction=Environment Satisfaction>Self Satisfaction>School Satisfaction. Third, children's health promoting behavior were different depending on children's gender, grades, family member, family traits, residing, father's education, mother's education, father's job, perceived child health state, school record, enrolled private institute number, and family socioeconomic states. Fourth, children's life satisfaction were different depending on children's background traits. Fifth, strong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was founded at the correlation analysis of children's health promotion behavior and life satisfaction. Finally, Regression analysis results indicating statistically strong significant meaning which the health promotion behavior effecting on the children's life satisfaction. Exercise, mental health, and accident prevention were important elements promoting children's life satisfactions.

      • KCI등재

        이웃과의 관계 만족도가 주거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박병훈(Park, Byung Hoon),정의철(Chung, Eui Chul) 한국부동산연구원 2021 부동산연구 Vol.31 No.3

        본 연구에서는 이웃과의 관계 만족도가 주거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이웃과의 관계 만족도 형성 요인을 가구의 생애주기별로 실증 분석하였다. 주거만족도 추정 시 이웃과의 관계 만족도가 내생적 설명변수일 가능성을 통제하기 위해 주거만족도에 대한 순서형 프로빗 모형과 이웃과의 관계 만족도에 대한 프로빗 모형을 축차형 연립방정식 모형으로 추정하였다. 2019년 주거실태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모형을 추정한 결과, 이웃과의 관계 만족도는 주거만족도 추정 시 내생적 설명변수로 나타났으며, 이웃과의 관계 만족도를 외생변수로 가정하였을 때 이웃과의 관계 만족도가 주거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과소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웃과의 관계에 대해 만족한다고 응답한 가구는 그렇지 않은 가구에 비해 주거만족도에 대해 만족한다고 응답할 확률이 평균적으로 8%p 높았다. 이 효과는 생애주기에 따라 달랐으며 가구 확대기와 가구 해체기에 속한 가구에서 상대적으로 높았다. 한편 자가 거주는 이웃과의 관계 만족에 가장 중요한 영향 변수였다. 또한 가구 형성기와 가구 확대기에 속하는 가구의 경우 18세 이하 자녀 수가 이웃과의 관계 만족에 중요한 변수로 분석되었다. This study empirically examines the effect of satisfaction with neighbor relationships on residential satisfaction of Korean households. To control for endogeneity of satisfaction with neighbor relationships to residential satisfaction and to identify factors to influence satisfaction with neighbor relationships, this study recursively estimates an ordered probit model for residential satisfaction with a probit model for satisfaction with neighbor relationships, using the data of Housing Survey in 2019. Estimation results show that the satisfaction with neighbor relationships is endogenous to residential satisfaction. If endogeneity is not considered, estimation results underestimate the effect of satisfaction with neighbor relationships on residential satisfaction. When estimated using a full sample of households of all ages, households who have satisfactory relationships with neighbors have 8 percentage points higher probability of being satisfied with their residence than those who have unsatisfactory neighborhood relationships. The marginal effect is relatively higher for the young group of households whose heads are younger than 38 years. The results also hold for the old group of households, whose heads are older than 75 years. Although homeownership is the most important determinant of satisfied relationships with neighbors, the number of children under 18 years of age appears to be a critical factor to have satisfied neighbor ties in the earlier stages of the life cycle.

      • KCI등재

        내·외부고객만족도와 주식시장반응

        오근혜 한국전문경영인학회 2021 專門經營人硏究 Vol.24 No.3

        본 연구는 외부고객만족도와 내부고객만족도를 고객만족도로 정의하고 고객만족도가 높 은 기업들의 사건일 전후 초과수익률이 나타나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 2012~2020 년까지 KEJI지수와 NCSI지수에 선정된 기업을 대상으로 Event Study를 실시하였다. 외부고객만족도는 NCSI지수와 KEJI지수의 소비자보호를 통해 측정하였으며, 사건일 이 후 대체로 양(+)의 초과수익률이 발생하였다. 또한 내부만족도는 KEJI지수의 직원만족을 통해 측정되었으며 내부고객만족도가 높은 기업과 내․외부고객만족도가 높은 기업에서 사건일 이후 대체로 양(+)의 초과수익률이 발생하였다. 내부고객만족도가 높은 기업, 외부고객만족도가 높은 기업(소비자보호)에서 단기간 음(-)의 누적초과수익률이 발생하 였으나 +40일부터 큰 폭으로 상승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소비자보호 이외에도 다양 한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함으로써 외부고객만족도를 높일 수 있음을 의미하며, 외부 고객만족도 뿐만 아니라 내부고객만족도를 높임으로써 기업가치 향상에 따른 초과수익률 을 얻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결국 기업은 내부고객인 종업원 만족도를 높임으로써 외부고 객만족도 향상을 위한 활동에 더욱 적극적으로 임할 수 있으며, 경영성과가 개선될 뿐만 아니라 고객만족경영 기업으로 주가상승에 따른 기업가치가 높아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tock market response according to internal and external customer satisfaction. Major findings by event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external customer satisfaction was measured through consumer protection of NCSI and KEJI index, and the abnormal return was generally positive(+) after the event date. The cumulative abnormal return of negative(-) for a short period of time occurred in companies with high internal customer satisfaction and companies with high external customer satisfaction (consumer protection), but it increased significantly from +40. These results indicate that various factors in addition to consumer protection can increase external customer satisfaction by acting in combination, and that it can obtain abnormal return due to firm value improvement by increasing internal customer satisfaction as well as external customer satisfaction. Conclusion, it is suggested that companies can actively engage in activities to improve external customer satisfaction by increasing employee satisfaction as internal customers, and that not only improve financial performance but also increase firm value due to rising stock prices as customer satisfaction management companies.

      • KCI등재

        초·중·고 학생의 학교만족도 변화

        이성주(Lee Seong ju)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5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5 No.2

        본 연구는 학교만족도를 ‘학교생활과 관련된 영역의 만족으로 인해 느끼는 긍정 적인 심리상태’로 규정하고, 현장교사들과 학생들을 통해 학교만족도 중요요인을 추 출하였다. 추출된 학교만족도 중요요인을 기반으로 하여 학교만족도 측정도구를 개 발 한 후, 초·중·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학교만족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통 해 현장교사들과 학생들이 생각하는 학교만족도 중요요인은 무엇인지, 초·중·고 학생들의 학교만족도는 어떻게 변화하는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 교 사와 학생들이 생각하는 학교만족도 중요요인은 크게 다섯 가지로 심리상태, 교수학 습, 교사행동, 생활지도, 학교시설 요인이었다. 초·중·고 학생들의 학교만족도는 학년이 올라갈수록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급별로 학교만족도 차이를 살펴 보면 초등학생의 만족도가 중·고등학생보다 의의 있게 높았다. This study defined school satisfaction as follows: a positive mental state satisfied with some parts of school life, and it extracted several influential factors from school teachers and schoolers. After developing students’ school satisfaction scale on the basis of the factors, the satisfaction research was conducted using the scale. The aims of this study were both to inspect what factors teachers and schoolers regard as important, and to examine how school satisfaction changes through primary, middle and high school.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teachers and schoolers put stress on five factors: mental state, teaching & learning, teacher’s behavior, life guidance, and school facilities. School satisfaction decreased as the schoolers move to higher grades. In other words, the school satisfaction of primary schooler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middle or high schoolers.

      • 노인의 주거와 삶의 만족도

        박성복 ( ) 한국행정학회 2011 한국행정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11 No.-

        본 연구는 노인의 생활세계를 구성하고 있는 다양한 생활영역들 중 특히 주거 및 주 거관련 요인들에 대한 만족도가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대하여 어떠한 구조적인 영향 관계를 갖는지를 파악해 보는 데 그 연구목적이 있다.즉,주거 및 주거관련 요인들에 대한 주관적 만족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를 문제 삼되,주거만족도 및 여타 주거관련 환경요인들에 대한 만족이 삶의 만족도와 어떠한 영향관계 구조를 갖는가 하는 것을 분석한다.이를 위해 7개로 선정한 주거환경 만족도 요인들을 독립변수 군에,주거만 족도를 매개변수로,그리고 삶의 만족도를 종속변수로 설정하여 구조방정식 경로모형 에 의거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건강생활만족도,가족관계만족도,경제생활만족도,근린생활만족도,여가생 활만족도,사회관계만족도,공적보장만족도 등 주거환경 만족도의 일곱 영역 모두는 주거만족도와 삶의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그리고 주거만 족도 역시 삶의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나아가 그러한 주거환경 만족도들은 주거만족도를 매개로 삶의 만족도에 간접영향을 미치는 것도 밝 혀졌다.따라서 주거환경 만족과 주거만족도에 관한 7개의 연구가설들과,주거환경 만족과 삶의 만족도에 관한 7개의 연구가설들,주거만족도와 삶의 만족도에 관한 1개 연구가설,그리고 주거만족도를 매개변수로 한 주거환경 만족도와 삶의 만족도에 관한 7개의 연구가설들 모두 채택되었다.

      • KCI등재후보

        직장기혼여성의 부부갈등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송진영(Song, Jin-Yeong),황치정(Hwang, Chi-Jeong)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2013 비판사회정책 Vol.- No.40

        본 연구는 직장기혼여성이 가정에서 겪는 남편과의 갈등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남편의 가사분담에 대한 만족도가 이들 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2011년 여성가족패널 3차 조사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SPSS 20.0을 이용하여 이들 변수 간의 영향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부부갈등은 직무만족도에 부(-)적인 영향관계를 나타냄에 따라, 부부갈등이 심할수록 직무만족도가 낮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가사노동분담만족도는 부부갈등과 직무만족도 간을 정(+)적으로 조절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토대로 직장생활을 하는 기혼여성들이 가정에서 남편과의 갈등을 더 많이 경험할수록 직무만족도가 낮게 나타나는 상황에서 남편의 가사노동분담을 높임으로써 그들의 직무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몇 가지 제언을 하였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household labor division satisfac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artial conflict and job satisfaction against married women with job. To achieve the goal,?2011 Woman Family Panel Survey Data?was utilized for analysis. SPSS were applied in technical statistics, and th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Martial conflict had negative influences on job satisfaction. (2) Household labor division satisfaction presented as a positively moderator between martial conflict and job satisfaction. Based on these findings, I got the information as follows. The more the married woman with job has experienced a conflict with a husband in home, the less job satisfaction appears. The confirmation that household labor division satisfaction are an excreted that raises job satisfaction as a moderator between martial conflict and job satisfaction is very significant. At this situation, I proposed some plans to improve job satisfaction through household labor division satisfaction elevations.

      • KCI등재

        전통학습과 또래학습에 의한 태권도 수련생의 교육만족도에 관한 연구

        정영훈(Jeong, Young Hoon),조성균(Cho, Sung Kyung) 한국무예학회 2008 무예연구 Vol.2 No.1

        본 연구에서는 일선 태권도장에서 또래학습을 이용한 수련생의 교육만족도에 관한 효과를 측정하고자 설문지법을 통해 또래학습을 이용한 교육과 전통적인 교육의 만족도를 비교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에 의해 다음과 같은 결론은 얻었다. 첫째, 태권도 교육의 만족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효율만족도는 지속성 요인에 대한 만족도(4.33±.947)가 가장 높았음을 알 수 있으며, 반복성 요인의 만족도 (3.50±1.353)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만족도는 전체적으로 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몰입도 요인에 대한 만족도(3.84±1.228)가 가장 높았으며, 복습유무 요인의 만족도(3.16±1.337)가 상대적으로 가장 낮은 것을 알 수 있다. 성취만족도는 수련강도에 대한 만족도(9.96±.961)가 가장 높았고, 난이도에 대한 만족도(3.46±1.026)가 상대적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둘째, 또래학습과 관련된 요인들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전반적으로 상관계수가 .487에서 .576으로 비교적 상관관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효율만족도와 학습만족도 간에는 가장 높은 상관관계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육방식에 따라 난이도, 수련강도, 체력향상 요인 모두가 유의수준 .05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는데, 난이도는 또래 학습방식의 만족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련강도에 있어서는 전통 수련방식의 만족수준이 높게 나타났으며, 체력향상에 있어서는 또래 학습의 만족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또래학습량과 또래학습수용태도가 만족도(효율만족도, 학습만족도, 성취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중선형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또래학습량이 증가할수록 율만족도가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으나 설명력이 5.2%로 상당히 낮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또래 학습에 대한 수용태도가 높을수록 성취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utility and effect of the education using peer tutoring on Taekwondo hall. A research model was developed based on earlier studies. To make this clear, first of all, I divided Taekwondo hall into two groups - one group that were taken the peer tutoring gym and the other group that were not taken the hall. It’s specifically intended to find out how the educational satisfaction at Taekwondo drill hall using peer tutoring was affected by trainee’s gender, their educational background, the period of their child’s getting training, and parents’ job(father or mother), etc.To accomplish this study, Taekwondo halls in the province of Gyeongsang-do were picked randomly. Kids from 4th grade to 6th grade on those halls were selected for the survey. Among them, total of 282 survey sheets(151 from Taekwondo halls using peer tutoring and 131 from another) were collected. And materials among returned questionnaires that were considered as untrustworthy and groundless were excluded from the analysis.The measurement method used in this study was based on earlier studies. In addition, the survey sheet for the study was revised and modified to add the accuracy to this study. The survey sheet has a total of 29 questions made up 9 on trainees, 2 on the educational attitude of peer tutoring, and 18 on the satisfaction of education.The encoded materials suitable for analysis were analyzed the use of SPSS/PC for WINDOWS 13.0. This study used various of statistical methods such as frequency, independent samples t-test, factor analysis, multiple linear regression, one-way ANOVA, and Scheffe method for post-hoc comparison. And the reliability on the survey sheet, the measurement method for this study, was between .693 and .876.Through this kind of study method and process, we got the results on the educational effect of peer tutoring on Taekwondo halls. They are stated below. First, 3st Poom reply was higher than that of 1st Poom on satisfaction of efficiency. And 3rd Poom reply was higher than that of 1st Poom on satisfaction of accomplishment.S econd, education using peer tutoring was higher than that of the traditional education on learning satisfaction. Finally, the satisfaction of efficiency was affected by the amount of education using peer tutoring and the attitude of learning.

      • KCI등재

        대구시 공원녹지에 대한 시민 만족도의 경시적 변화 분석

        엄붕훈,한성미,Eom, Boong-Hoon,Han, Sung-Mi 한국조경학회 2011 韓國造景學會誌 Vol.39 No.6

        본 연구는 대구광역시의 공원녹지를 대상으로 시민들의 공원녹지에 대한 만족도의 변화를 동일한 측정도구를 활용한 결과인 1986년도와 2001년도 및 2010년도 조사 자료들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그 경시적인 변화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장 최근 조사인 2010년의 만족도 평균치들이 전반적으로 보통(4.0)수준을 상회하며 가장 높았고, 전반적으로 약간 불만족(3.0)에 가까운 수준이었던 1986년도에 비해 현저하고 지속적인 만족도 개선이 나타났으며, 3개 조사 시기 공히 시 전역 공원녹지에 대한 만족도가 거주지 주변 공원녹지에 대한 만족도보다 약간 높게 나타났음을 볼 수 있었다. 둘째, 지표별로는 녹지의 다양성 지표에 대한 만족도 향상이 가장 두드러진 반면 녹지공간의 시설물의 관리 상태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부진하게 나타났다. 셋째, 요인분석 결과, 만족도 평가인자는 기능별 만족도와 물리적 조건이 하나의 인자로 나타났고, 지표별 만족도 변수들이 하나의 인자로 묶여 전체적으로 2개의 인자 집단으로 분류되었으며, 회귀모델에서는 전만적인 만족도를 결정짓는 주요 변수들로 녹지의 다양성, 수림의 관리상태, 녹지공간의 양적 수준, 정적 레크리에이션 기능, 시설물 관리상태, 배치의 체계성, 녹지공간의 질적 수준, 녹지공간의 규모, 크기 등의 순서로 채택되었으며, 이들 8개 변수들의 결정계수($R^2$)는 0.468이었다. 넷째, 녹지 유형별 만족도는 가로변 녹지(가로수)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현저하게 개선되었고, 공업단지 등 공장지역의 녹지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불량하게 평가되었다. 섯째, 녹지유형들에 대한 요인분석 결과, 도시공원계 녹지, 시설계 녹지, 지구(district)계 녹지 등의 3개 인자 집단으로 분류되었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citizen satisfaction with parks and green spaces in Daegu. Three surveys were conducted using the same measurement tools in 1986, 2001, and 2010. Major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overall satisfaction level with parks and green spaces increased remarkably over the last25years. Satisfaction levels with city spaces overall were higher than that of nearby surrounding areas. 2. Diversity of green spaces was the most distinguished indicator in increasing level of satisfaction while the management level of green space facilities showed the lowest improvement. 3. The factor analysis for individual variables for satisfaction resulted in two factors: functions and physical conditions were categorized as one factor, and indicators for the planning of green spaces were the other. Using a regression model, the major variables found for satisfaction were diversity, management level of woods, quantitative level, function of static recreation, and management level of facilities, respectively. 4. Regarding satisfaction level by the type of green spaces, green spaces by streets showed a remarkable increase while green spaces in industrial areas showed the lowest improvement. A factor analysis for each type of green space resulted in 3 factors: green spaces of urban parks, green spaces of urban recreational facilities, and green spaces of each district including residential areas and industrial areas.

      • KCI등재

        공공부문 조직과 민간기업 조직의 직무만족도 비교분석 : 한국노동패널연구(KLIPS)자료를 중심으로

        정광호,김태일 한국정책학회 2003 韓國政策學會報 Vol.12 No.3

        그동안 국내에서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는 사회과학 여러 분야에서 이루어져 왔지만 공공부문과 민간부문사이의 직무만족도가 다를 것이라는 가설은 체계적으로 연구되지 못했다. 특히 대부분의 연구들은 횡단면 자료(cross-sectional data)를 가지고 분석했기 때문에 지난 1997년 경제위기 이후 직무만족도의 종단면적 추이를 분석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기존의 연구와 달리 지난 1998년 이후 매년 조사되고 있는 한국노동패털자료(Korea Labor and Income Panel Study)를 이용하여 공공 및 민간부문간의 직무만족도의 차이에 대한 패널분석을 시도하고 있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 지난 1998년부터 2001년까지 정부기관에 종사자들의 직무만족도가 민간기업종사다들보다 높음을 보여준다. 특히 취업안정성 만족도에서 가장 큰 차이가 발견되었다. 한편 보수만족도의 경우 지난 1998년부터 2000년까지는 양 부문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지만 2001년의 경우 민간부문에 비하여 공공부문의 보수만족도가 높아지고 있다. 추가로 본 연구는 교육변수와 성별변수에 따라 양 부문간의 직무만족도의 차이를 분석하고 있다. 특히 보수만족도와 복지후생만족도의 경우 공공부문의 고졸집단 만족도가 공공부문 및 민간부문의 대졸집단 만족도보다 높았다. 또한 직업 안정성, 직무내용, 그리고 복지후생 만족도의 경우 공공부문의 남성집단 만족도가 민간부문 여성집단의 만족도보다 높았다. 이 연구결과는 일반적으로 대졸집단이 고졸집단보다 그리고 여성이 남성보다 높은 직무만족도를 보인다는 사실과 상반된 것이다. 이것은 아마도 민간조직과 달리 공공조직이 가진 독특한 특성과 관련이 있어 보인다. Pervious studies have tended to neglect a hypothesis of differences in job satisfaction between public and private organization. Because they examined the hypothesis with a cross-sectional data, they have not showed a trend of job satisfaction since the 1997 economic crisis in South Korea. Unlike prior research, this study explores the longitudinal differences in job satisfaction between these two types of organizations with the Korean Labor & Income Study dat. This study shows that the level of job satisfaction in public organizations was higher difference in the level of satisfaction of job stability in the same period. While there was little difference of wage satisfaction between them between 1998 and 2000, the level of wage satisfaction in public organizations was higher than that in private organizations in 2001. In addition, this study examines differences in job satisfaction in terms of education and gender. In public organization, those with high school degree have a higher level of satisfaction in wage and welfare than those with college degree. In the case of job stability, job contents and occupational welfare, male group in public organizations has a higher level of satisfaction than female group in private organizations These results contrast with the following two facts: (1) in general, the level of job satisfaction for those with college degree is higher than that for those with high school degree or no high school degree; and (2) the level of job satisfaction for female group is higher than that for male group. It appears to be related to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public organizations.

      • KCI등재

        성취만족도에 대한 탐색적 연구 : 코로나19 전후, 주거점유 형태, 교육 정도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기은광,조민식 한국사회적질학회 2021 사회적질연구 Vol.5 No.4

        본 연구는 ‘인생에서 사회경제적으로 성취한 것에 대한 만족도’를 의미하는 사회적․경제적 성취만족도(협의의 성취만족도)를 다루고 있다. ‘성취동기’는 성취를 이끌어 내는 데에 초점을 두고 있는데 비해, ‘성취만족도’는 성취에 대한 개인적인 평가와 의미에 초점을 두는 개념이다. 성취만족도는 성취와 성취동기의 상호작용에 있어서 연결고리의 역할을 하며 성취와 성취동기에 대한 입체적 분석을 가능케 한다. 또한, 성취만족도는 사회인구학적 변수들(소득, 재산, 학력 등)이 생활만족도나 성평등 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할 때에도 매개적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되는 변수이다. 이런 효용에도 불구하고 아직 성취만족도에 대한 학술적 차원의 연구가 많지 않은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성취만족도를 실증적으로 탐색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통계청에서 진행한 2018~2020 년 사회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만 19세 이상의 성인 35,33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기술적 분석과 t-test, ANOVA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 성취만족도는 성별·연 령집단 내에서 코로나19 전후로 차이를 보였고, 주거점유 형태에 따라서도 차이를 보였으며, 또한 교육정도에 따라서도 차이를 보였다. The achievement satisfaction discussed in this study is the achievement satisfaction of consultation and social and economic achievement satisfaction. The achievement satisfaction is expected to serve as a link between achievements, achievement motivation, and life satisfaction.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explore the concept of achievement satisfaction. This study utilized the data from the 2018, 2019 and 2020 social surveys conducted by the Statistics Korea and targeted 35,331 adults aged 19 or older. For the data analysis, technical analysis, t-test, and ANOVA were used.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The analysis reveale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achievement satisfaction within the gender age group among the data from 2018, 2019 and 2020. The study examined whether there were differences according to genders in achievement satisfaction and found that differences were mainly noticeable in the elderly. It also examined whether types of occupancy affected achievement satisfaction and found differences in achievement satisfaction by types of occupancy among men in the 25-29 years old group to 65 years old or older group, and women in the 30-34 years old group to 65 years old or older group. There was a clear difference in achievement satisfaction between groups depending on the levels of education. There was a consistent difference in achievement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levels of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