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만다라 중재 관련 국내학술지 연구동향 -유아기부터 청소년기를 중심으로

        최은영,손병문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019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5 No.4

        Studies in Korean domestic journals on mandala intervention from toddler to adolescent suggest that mandala intervention is effective in stabilizing emotions and changing behavior. Thus, in this study, we wanted to identify trends of mandala intervention and provide direction for the application of mandala intervention. 22 texts applied to children from toddler to adolescent were finally selected among the key words of 'Mandala' and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year of publication, subjects, design, and the mandala program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Mandala intervention studies have been steadily published, with slight increases and decreases from 2004 to 2018. Childhood was the common age and more than 11 people were the common numbers of research subjects. Second, pretest-posttest to the experimental-control group design was the common research designs. Quantitative analysis was frequently used to analysis method, and various dependent variables were select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Third, both patterned mandala and free-making mandala applied at the same intervention were frequently used to mandala workings. In case of patterned mandala, the common methods of task presentation to subjects were choosing mandala among the multiple patterns selected by the researchers. In case of free-making mandala, most of programs were providing borders by researchers. The direction of the mandala working was rarely given. Most of intervention was taking place once a week, 40 to 60 minutes and 11 to 20 sessions. The activities of a session were frequently divided into three stages, composed of relaxation, mandala working, and commentaries. Discussions and suggestions are as follows. First, more researches are needed for toddlers. Second, generalization tests should be conducted and the environment for intervention should be structured. Third, it is necessary to be faithful to the theoretical basis for more valid mandala interventions. 만다라 중재 연구에서는 만다라가 유아부터 청소년에게 정서안정 및 행동 변화에 효과적인 것으로 제안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만다라 중재 국내 학술지 연구의 동향을 파악하고, 향후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만다라’를 키워드로 수집한 문헌 중 만다라 중재가 적용된 최종 자료 22편을 발표연도, 연구대상, 연구설계, 만다라 중재 프로그램에 따라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만다라 중재연구는 2004년부터 2018년까지 소폭의 증감을 보이며 꾸준하게 발표되었다. 연구대상의 연령은 아동기, 연구대상의 수는 11명 이상이 가장 많았다. 둘째, 연구설계는 실험통제집단 사전사후검사 설계, 결과분석은 양적분석이 가장 많았으며, 종속변인은 연구대상의 특성에 따라 다양하였다. 셋째, 만다라 중재의 프로그램에서 작업방법은 혼합만다라가 가장 많았고, 과제제시는 문양만다라의 경우 복수의 문양 중 연구대상이 선택한 방법이, 자유만다라의 경우 연구자가 테두리를 제시한 방법이 가장 많았으며, 작업의 방향은 거의 제시되지 않았다. 주로 한 주에 1회, 40∼60분, 11∼20회기의 만다라 중재가 이루어지고 있었다. 한 회기의 활동은 이완, 만다라 작업, 소감나누기의 3단계 중재가 가장 많았다. 논의 및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기를 대상으로 활발한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일반화 검사 실시와 연구대상에 따른 만다라 중재 실시환경에 대한 고려가 필요가 있다. 셋째, 보다 타당성 있는 중재 프로그램을 위해 이론적 근거에 충실할 필요가 있다.

      • 밀교적 불타관의 형성과 전개

        허일범(Il-beom Heo) 중앙승가대학교 불교학연구원 2009 불교와 사회 Vol.1 No.-

        밀교적 불타관의 형성과 전개는 석가모니불과 같이 역사적 존재가 아닌 초역사적인 존격을 실체화시켜가는 단계로부터 시작된다. 그래서 밀교적 불타관의 원류는 대승불교의 등장에서부터 찾을 수밖에 없다. 대승불교가 흥기하면서 다양한 경론들이 등장했고, 거기서 불타에 대한 표현방식이 다변화하게 되었다. 그 중에서 『화엄경』에서 설하는 삼밀과 법신사상은 초역사적인 불격의 등장을 알리는 전거 경전이 되고 있다. 이어서 시대가 흐름에 따라서 새로운 양상을 띤 밀교의 경전들이 성립되었고, 급기야 새로운 불격이 등장하게 되었다. 다시 말해서 석존을 대신할 수 있는 역사를 초월한 불격의 등장이다. 밀교경전에서도 초기 밀교에 해당하는 경전들에서는 초역사적인 불타의 등장보다는 기존의 세존이라는 명칭을 써서 역사성을 극복하려고 하였다. 그러나 7세기 중반 이후부터 초역사적인 불타가 등장하기 시작한다. 그것은 법신이나 비로자나, 세존이라는 명칭이 아니라 대일여래나 대비로자나 라는 명칭을 가진 새로운 존격의 등장이다. 이것은 기존과는 성격을 달리하는 존격이었으며, 활동하는 불격으로 간주되었다. 역사성을 초월하여 등장한 이 불격은 새로운 방식으로 교설을 전개시켜 나아갔다. 교설은 신구의 삼밀만다라로 나타났고, 그것을 통해서 행자들은 보다 빨리 교설에 접근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받게 되었다. 신밀은 신만다라인 대만다라, 구밀은 구만다라인 법만다라, 의밀은 의만다라인 삼매야만다라를 통해서 불설을 표상화시켰다. 이것은 일반적인 불교경전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획기적인 방식으로 법을 실체화시킨 것이다. 다시 말해서 대일여래라는 불격의 신구의는 신구의만다라로 드러낼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나아가서 불격의 신구의를 실체화함으로써 행자가 가진 신구의와 상응시킬 수 있는 방법도 제시할 수 있었다. 만다라에 등장하는 불격의 신구의를 존형과 종자와 삼매야형을 통해서 표현함으로써 행자는 그 불격의 신구의를 인과진언과 관을 통해서 불격의 삼밀과 상응할 수 있게 되었다. 궁극적으로 밀교의 불타관은 대승불교의 사상을 계승하여 불보살의 세계를 조직화하고, 그 구심점이 되는 존격을 인격화시켜 유상유형의 활동하는 존격공동체로 표상화시켰다. 나아가서 이와 같은 만다라적 불격 공통체의 형성으로부터 불과 행자가 일여되는 삼밀유가의 방법론이 제시되었다.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the view on Buddha of Esoteric Buddhism began at the stage of substantialization of historically transcendental being like Śākyamuni Buddha, not as a historical being. Therefore the origin of the view on Buddha of Esoteric Buddhism has to be seek in the appearance of Mahāyāna Buddhism. As Mahāyāna Buddhism rose, the various Sūtras appeared. And the ways of expressions of Buddha were diversified. Among them the conception of triguhya and Dharmakāya preached in the Gaṇḑavyūha Sūtra functioned as authoritative sutra that announced the appearance of Buddha as a historically transcendental being. Following that as time passed by the Sūtras of Esoteric Buddhism with new aspects were organized, and ultimately the new status of Buddha entered. In other words the historically transcendental status of Buddha that could substitute Śākyamuni appeared. The Sūtras of early Esoteric Buddhism among those Sūtras of Esoteric Buddhism tried to overcome the status of Buddha as a historical being by using the name of already existing Buddha rather than the appearance of Buddha as a historically transcendental being. But since the middle of 7th century Buddha as a historically transcendental being appeared. It is the appearance of new noble status with the mame of Mahāvairocana not with the mame of Dharmakāya or Vairocana or Bhagavat. These names were the noble names that were different from the already existing ones and was considered as acting status of Buddha. This status that rose above the history developed religious teaching in a new manner. The religious teaching was realized in kāya-vāc-citta-triguhya-maṇḑala. And through them the ascetics were provided with the faster way to access to the religious teaching. kāya-guhya symbolized the Buddhist teaching through mahā-maṇḑala which is kāya-maṇḑala. vāc-guhya symbolized the Buddhist teaching through dharama-maṇḑala which is vāc-maṇḑala. citta-maṇḑala symbolized the Buddhist teaching through samaya-maṇḑala which is citta-maṇḑala. And these were realization of the religious teaching in a whole new manner which couldn't be seen in the ordinary sutras of Buddhism. In other words this was the realization that kāya-vac-citta of the status of Buddha which was Mahāvairocana could be symbolized in kāyavac- citta-maṇḑala. Moreover, by realization of kāya-vāc-citta of the status of Buddha, the way that it could be corresponded to kāya-vāc-citta which ascetics had could be presented. By expressing kāya-vac-citta of the status of Buddha which appeared in maṇḑala through Shape, Letter and Symbol the ascetics could correspond kāya-vāc-citta of the status of Buddha to triguhya of the status of Buddha through Mudrā, Mantra and Bhāvanā. Ultimately the view on Buddha of Esoteric Buddhism inherited the conception of Mahayana Buddhism and organized the world of Buddha and Bodhisattva and symbolized into the functioning concrete and visible noble community by impersonating the noble status of Buddha which was the core of it. By formation of this Buddhistic community of maṇḑala the process of triguhya-yoga that Buddha the and ascetics were changed into one was presented.

      • KCI등재

        ‘그려진 만다라’의 완성에 대한 고찰

        이용현(Lee, Yong-Hyun) 한국외국어대학교 인도연구소 2013 남아시아연구 Vol.18 No.3

        본 연구자는 본 논문에서 인도 최후의 불교로 알려진 칼라차크라 전통의 칼라차크라 만다라와 다른 불교 만다라들이 만다라를 성스러운 공간으로 만들기 위한 핵심적인 의례에서 어떤 점이 유사하고 어떤 점이 다른가를 고찰한다. 칼라차크라 만다라는 수백 개에 이르는 모든 불교 만다라들 중에서도 가장 독창적이고 웅대한 만다라의 하나로, 근 수십 년 간 현 달라이 라마 14세에 의해 더욱 유명해졌다고 할 수 있다. 달라이 라마 14세는 세계 평화를 위해 수년에 한 번씩 세계 각지에서, 수만 명의 신도들을 대상으로 칼라차크라 만다라에의 입문의례를 주도해 왔다. 한편 칼라차크라 만다라의 독특한 상징주의는 다른 불교 만다라들이 근거한 일반적인 상징주의와는 상당히 다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만다라 상징주의의 관점에서, 모든 불교 만다라들은 비(非) 칼라차크라 만다라와 칼라차크라 만다라로 구분된다. 단 하나의 칼라차크라 만다라가 수백 개에 이르는 다른 불교 만다라들과 구분될 정도로 인도, 티베트불교에 있어서 전자의 중요성은 그만큼 크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칼라차크라 전통도 만다라의례에 관한 한 이미 확립된 금강승불교(Vajray.na)의 전통을 대부분 따르고 있다. 따라서 탄트라 불교의 다른 전통들에서처럼, 칼라차크라 전통의 만다라의례는 크게 ‘만다라의 제작’, ‘입문의례’, ‘안치의례’의 세 부분으로 나뉜다. 이들 중 ‘만다라의 제작’은 후속의 ‘입문의례’를 위해 만다라를 그리는 일련의 의례들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중 ‘만다라의 윤곽을 그리는 의례’, ‘만다라에 색깔을 입히는 의례’, ‘만다라의 안치의례’는 ‘만다라의 제작’에서 3대 의례들로 알려져 있다. 특히 마지막의 ‘만다라의 안치의례’는 이미 그려진 만다라에 권능을 부여하는 의례로, 이들 중에서도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왜냐하면 이 의례를 거치지 않고는 어떤 만다라도 성스러운 공간의 역할을 수행할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본 논문에서 주로 ‘만다라의 안치의례’에 있어서의 비(非) 칼라차크라 만다라와 칼라차크라 만다라에 대한 의례상의 유사한 점들과 차이점들을 고찰하였다. This paper examines the similarities and dissimilarities between the K?lacakrama??ala and other Buddhist ma??alas in the core ritual, where the ma??ala is made to be a sacred space. K?lacakrama??ala, one of the most creative and complicated Buddhist ma??alas, became more famous thanks to the present 14th Dalai Lama. He has been responsible for the K?lacakra initiations held all over the world several times in the past decades. The unique symbolism of the K?lacakrama??ala is said to be quite different from the conventional symbolism of other Buddhist ma??alas. Thus, from the ma??ala symbolic point of view, the entire Buddhist ma??alas are divided into non-K?lacakrama??ala and K?lacakrama??ala. The K?lacakra tradition, however, follows the convention of later Tantric Buddhism called Vajrayana (the Diamond Vehicle) concerning ma??ala rituals. Thus, as in other traditions of Tantric Buddhism, ma??ala rituals of Kalacakra consist of three parts: the ma??ala construction, the consecration ceremony, the installation ceremony. Among these parts, the ma??ala construction consists of a series of rituals that focus on drawing a ma??ala for the subsequent consecration ceremony. And, among these rituals, the ritual of drawing the outlines of the ma??ala, the ritual of scattering colored powders, the ritual of the installation of the ma??ala are known as the three principal rituals of the ma??ala construction. Particularly, the ritual of the installation of the ma??ala, the ritual of the empowerment on the ma??ala already drawn, is probably the most important, because any ma??ala cannot be a sacred space without this ritual. Therefore, this paper briefly explores the similarities and dissimilarities between non-K?lacakrama??ala and K?lacakrama??ala in the ritual of the installation of the ma??ala, the key ritual of ma??ala rituals.

      • KCI등재

        불교 만다라에 나타난 인간심성개발의 교육모델 연구 - 태장계만다라 중대팔엽원을 중심으로

        정성준 ( Cheong Seong-joon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6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27

        근대 심리학자 프로이드(G. Freud)로부터 시작된 근대 심리학은 칼융(C.J.Jung)에 이르러 인도종교문화의 만다라를 잠재의식의 분석과 치유과정에 최초 응용하였다. 만다라를 통한 잠재의식의 시험적 접근은 상당한 성공을 거두었으며 현대의 임상심리학이나 이론심리학 모두에 있어 만다라는 인간의 심층의식을 들여다보는 도구로 자리 잡았다. 1970년대 후반부터 서구에 티벳불교가 알려지면서 불교의례 체계를 이루는 조직적인 만다라가 소개되기 시작하였다. 서구심리학계에 알려진 만다라는 도형에 담긴 내면적 의미를 간과하였다. 불교만다라는 도형 속에 정교하고 복잡한 불교사상을 내포하고 있으며 불교만다라를 중심으로 한 의례체계는 7세기 『大日經』의 출현을 계기로 대부분 완성되어 인도에 불교가 사라질 때까지 500여 년 동안 번성하였다. 불교 만다라는 인간의 깨달음이라는 종교적 목표를 지향하지만 그 기초는 인간의 마음을 깨달음으로 이끄는 교육적 도구로 해석된다. 현대 교육학의 변화는 과거 획일적 교육이 피교육자에게 주는 고통과 불안을 인식하고, 인본주적 심리학에 바탕을 둔 교육으로 변화하고 있다. 일례로 홀리스틱 교육(holistic education) 방식은 인간의 내적 상태를 고려하는 인본주의적 교육의 형태를 보여주고 있으며 심지어 인간의 종교적이거나 내적인 체험을 중요시하는 교육방식도 등장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동양의 종교와 명상이 주목받고 있으며 특히 인간의 마음과 인간본성의 불교적 해석은 현대교육의 지향점과 상당히 일치하는 점이 있다. 본 논문은 밀교의 의례체계 가운데 만다라가 지닌 고전적 교육방식에 대해 현대교육과 유사성을 비교해보고, 불교교육의 유용한 도구로서 만다라의 가능성을 살펴보려는 것이다. 논문에서는 홀리스틱 교육과 STEAM교육이념의 두 가지 사례를 전거로 현대 교육계의 새로운 경향과 밀교만다라의 경우 태장계만다라의 의례를 통해 현대와 고전의 교육체계를 비교하려 한다. 만다라의 의례체계는 인간의 심층의식에 대한 시각적 분석과 통찰력, 의식의 변화를 유도할 수 있는 도구로서 종교적 비의라는 경직성을 극복한다면 인간의 심리변화라는 교육적 도구로 가능성을 열어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modern psychology which was begun by G.Freud has been developed enormously for the decades and influenced education, economic, culture of human societies and applied to versatile areas of human`s activities. The discovery of subconsciousness which were drawn from the analysis of psychology aimed at the change of human nature was an opening of new horizon of psychology. As one of the methods to approach to the subconsciousness of human the hypnosis technology was adopted as a subsidiary tool but C.Jung adopted Mandala visualization which comes from the traditional rituals of Indian religion so as to analyze the inspect of subconsciousness and attempting psychical cure. Now a days the Mandala is understood as an observation scheme to look into the subconsciousness of human beings in both of area of theoretical psychological and clinical psychology In the late 1980`s Tibetan Buddhism was introduced to western world especially due to the historic tragedy of Tibet and to His Holiness the Dailai Lama 14th`s win for the Nobel piece prize. The remarkable specialty of Tibetan Buddhism is divided into two parts one of which is Tibetan logic and the other is Esoteric Buddhism that the specialized Buddhist doctrine and practice of Mandala was introduced to western world for the first time. The Buddhist Mandala was more than a tool for just discerning the latent consciousness of human being but for a realization of enlightenment of Buddhism on the foundation of religious purpose. The Buddhist Mandala is a representation of human mind which divide re realm of consciousness into latent and phenomenal one and as a educational expedient to lead the knowledge and mind of sentient beings to enlightenment. The traditional practices of Mahayana Buddhism are composed of reading and memorization of scriptures and practice Buddhist meditation on the basement of keeping religious precepts but by the advent of Esoteric Buddhism in the middle of 7th century the later part of Mahayana Buddhism was overwhelmed by Esoteric Buddhism and Buddhist logics until the disappearance of Buddhism by Muslim in India in 11th century. The educational aspects of Vairocana Sutra is represented in the “Chapter of the Stage of the Mind in Varocana Buddha” which interprets the nature of mind on the foundation of Mind Only Buddhism to make it a point of the emptiness of consciousness, the immediate realization and accomplishment in her or his life time and dependent rising of consciousness, and the foundation of Alaya consciousness. The practice of Mandala visualization is to utilize reciting Mantra, visualization of Mudra and Mandala along with the religious rite of consecration and Homa. But the Mandala of Vairocana Sutra is different from Vajra Peak Tantra in that the Mandala of Vairocana Sutra is a horizontal one to develop the supreme knowledge to outer world but still in the consciousness of practitioner`s consciousness but the Mandala of Vajra Peak Tantra is to activate latent consciousness to phenomenal world of this mundane world.

      • KCI등재

        만다라의 종교교육 화용론

        김용환 한국종교교육학회 2009 宗敎敎育學硏究 Vol.31 No.-

        인간의 심층의식에서 많은 개체들은 상호의존적으로 연결되고 있음을 경험하게 된다. 이에 따라 만다라의 종교교육 화용에서는 ‘부처의 성품이 나의 중심에 있다’ 또는 ‘내 안에 그리스도가 산다.’라는 표현이 상통한다. 동양인이 부처를 명상할 경우처럼, 서양인은 그리스도가 내 안에 산다는 심층의식의 원형이미지로서 상통이 가능하기에 종교 다원성에 대한 이해를 돕게 된다. 특히 별존 만다라를 그리거나 명상함으로써, 종교교육 참여자는 자아 해체의 과정을 반복적으로 경험하고, 마침내 내면에 복귀하여 영성우주와 일체감을 이루고 주객이분이 사라지면서 사물의 ‘공성’(비움)을 깨닫는 쪽으로 영성자유에 접근하게 된다. 이처럼 만다라의 종교교육 화용에서 살펴보면, 종교교육 참여자는 신성과 자신의 소통을 경험하거나 만다라가 표상하는 심층의식의 지향에서 의식변화를 경험하게 됨이 입증되었다. 따라서 만다라의 종교교육에서는 영성 안내자의 역할이 만다라의 가시화 과정에 있어서 필수요건이 되고 있다. 칼 융은 현대인의 무의식적 혼돈에서 원형회복이 중시되면서 만다라의 개성화 과정이 도움이 된다고 말한다. 따라서 종교교육에서 만다라의 가시화는 자신의 비움과 사물의 공성을 깨닫는 데 도움을 주게 된다. 아울러 생명실상에 대한 접근의 방편으로 ‘의식의 전환’(transformation of consciousness)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종교교육 참여자에게 도덕적 상상력의 실현을 가능하게 하는 방안으로 화용될 수 있다. 이처럼 만다라 의례 또는 만다라의 종교교육의 화용은 의식의 전이를 경험하게 함으로써 이미지로서 내면의 본성을 올바로 자각함에 그 목적을 둔다. 외부세계에 둘러싸여 있지만 내면에서 지혜를 깨닫게 됨으로써 우주의 광대함을 만다라 이미지의 섬세함으로 발견하게 되는 교육적 효과를 기대하게 된다. 종교교육의 맥락에서 살펴보면, 심리적, 정신적으로 방향감각을 상실한 경우가 드러난다. 이러한 영성치유의 목적을 위한 실천화용의 방안으로 만다라 명상이나 만다라주제의 그림활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자신의 내면에 접근함으로써 삶의 의미를 회복하거나 중심을 찾도록 한다. 종교교육에서 만다라를 그리거나 활용하기 전에 준비예식을 잘 할수록 효과는 더 크다고 보기에, 준비과정이나 의례를 중시하게 된다. 종교교육에서 만다라 화용방안은 분열된 심층의식의 통합, 생명의 성찰, 자유 실현에 이르는 다양한 방안을 마련하여 영성치료의 역할로 나아감이다. 따라서 만다라는 정서지능과 인격통합의 종교교육 수업뿐만 아니라, 다양한 영성치료 영역에 이르기까지 화용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이 글에서 우리는 만다라의 상징과 의미 분석, 만다라에 나타난 금강승불교, 심층의식 전환의 종교교육 화용에 대하여 살펴보게 된다.

      • KCI등재후보

        금강계만다라의 심성개발 응용 시론(試論)

        정성준 ( Seong Joon Cheong ) 사단법인 한국교수불자연합회 2012 한국교수불자연합학회지 Vol.18 No.1

        만다라에는 회화적인 도상 이상의 의미가 담겨 있다. 『대일경』에서 만다라는``진리의 본성을 함축해놓은 것``이라고 설해져 있다. 또한 8세기 인도의 붓다구히야는 만다라를``깨달음을 성취한 경지``라고 해석하였다. 요컨대 만다라는 회화적인 도상에 깨달음의 경지라는 형이상학적 요소를 가지고 있다. 이처럼 불교의 만다라는 인간심리의 내면세계에 잠재된 불성을 응집시키고 그에 대한 역동적 발현과정을 나타내기 위해 보다 정교한 시각적, 심리학적 도구이다. 초기의 만다라는 종교적인 의식대상으로서 도상학적인 의미가 강했지만, 7세기 중엽 이후 성립된『대일경』과『금강정경』의 만다라에는 불교가 지닌 초기 및 대승불교교학을 조직화하고, 만다라에 표현된 불교의 교학을 인간의 내면에서 완성하려는 인간 심성개발의 취지가 강조되고 있다. 불교의 만다라는 12세기 중엽까지 출현하여 방대한 수의 만다라를 남기고 있어 후기 대승불교 시대에는 만다라가 불교수행의 근간으로서 중요시 되었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밀교경전과 부속의궤에는 관정과 호마를 비롯한 만다라의 수행법이 설해진다. 만다라의 관상은 만다라의 도상과 기하학적인 문양과 더불어 수인(手印)과 진언(眞言)을 결합하여 수행자가 도달해야할 의식세계를 정교하게 표현하고,이를 효과적으로 구현하는데 그 중점을 두고 있다.만다라의 이론과 실천적 수행은 근본적으로 인간의 의식적 교육과 심성개발이라는 교육적 의미에 근간을 두고 있기 때문에 인간정신의 개발과 치유의 도구로 응용될 수 있는 가능성이 존재한다. 만다라가 지닌 효과와 능률은 인도대승불교가 사라질 때까지 인도불교수행의 가장 성공적인 모델로 번성한 사실에서 드러난다. 본 연구는 금강계만다라를 중심으로 만다라에 나타난 유가행의 실천체계를 현대교육의 심성개발과 치료에 응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한 것이다. The modern application of Mandalas were firstly adopted to cure humans subconscious by visualizing Mandalas by C.Jung and were widely pervaded to western society which are developed to provide sources to meditational skill to cure mind and emotional problems. But those adoption of Mandalas do not consider structured process in visualizing Mandalas or backgrounds of doctrines concerning consciousness of human beings shown in Buddhism. The Vajra-dhatu Mandala in Vajra Peak Tantra were appeared in 7th century are based on Yogacarya theory of Mahayana Buddhism and it has realized the practice of Yogacarya by adapt the practice system to Mantras, Mudras and Mandalas. The structure of Vajra-dhatu Mandala consists of nine space which motive comes from practice of Sakyamuni Buddha who visualized dependent rising system by process of both retorgress and progress. Moreover there are Constructing Enlightened Mind Space(成身會) which consists of 37 deities of Buddhas and Bodhisattvas which displays the Mantras and Mudras, and those signs of 37 deities actually express the process of 37 steps of Buddhas realization. The qualification of the practitioners in visualizing Vajra-dhatu Mandala are very particular which are defined in Tantric Cannons but if those Mandala practice are adopted to lay people`s meditation for the educational purpose those step of 37 visualization can contribute to develop and cure practitioners mind. In present day religious meaning of Mandalas are frequently used for the educational tools so that the practice system of Vajra-dhatu Mandalas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and cure of emotional and consciousness problems of human beings.

      • 만다라 명상 미술치료에 담긴 치유 요소 연구 – 메타인지적 관점에서

        임시연(Si-Yeon Lim) 한국불교상담학회 2024 한국불교상담학회 학술대회지 Vol.21 No.-

        본 연구에서는 만다라 명상 미술치료의 과정을 이론과 사례로 분석하고 체험의 구조와 치유 요소를 메타인지적 관점으로 해석하고자 한다. 만다라에는 불국토의 세계와 깨달음의 과정이 시각적 이미지로 담겨있으며, 만다라의 원 상징을 응용한 심리치료도 활발하게 행해지고 있다. 본 연구는 만다라 명상과 만다라 미술치료가 효과적인 치료법이라는 것을 이론적 배경과 선행연구로 먼저 고찰하고, 만다라 미술치료와 명상이 접목된 심리치료 프로그램을 체험한 참여자 1명의 사례를 기반으로 만다라 명상 미술치료의 치유 요소를 분석하였다. 특히 통찰명상과 연관되는 메타인지적 관점은 만다라 명상 미술치료의 치유적 효과를 인지심리학적인 영역에서의 가치를 증명할수 있도록 도와줄 것이다. 만다라 명상 미술치료 체험 과정에서는 ‘만다라라는 안전한 공간’, ‘관 명상의 과정’, ‘심상 이미지의 대면’, ‘수용과 인정의 태도’, ‘인식의 전환과 통찰’이라는 치유 요소가 드러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안전한 공간은 거리두기 마음챙김의 조건으로, 관 명상은 거리두기 마음챙김의 과정으로, 심상 이미지는 부정적, 긍정적 신념 점검, 수용과 인정의 태도는 사고에 대한 관점 보기, 인식의 전환과 통찰은 신념의 수정과 반응의 조절로 설명할 수 있다. 만다라 명상 미술치료의 치유는 불법의 자각과 법의 체득에 기반한 통찰에 이르는 것이다. 만다라에 대한 메타인지적 관점으로의 해석은 만다라 명상에 담긴 통찰의 의미를 구체적으로 확립하기 위한 과정임을 밝힌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process of mandala meditation art therapy as theories a nd examples, and to interpret the structure of experience and healing elements from a m etacognitive perspective. In mandala, the world of Buddha-land and the process of enligh tenment are contained in visual images, and psychological therapy applying the original s ymbols of mandala is also actively conducted. This study first considered the theoretical b ackground and previous studies that mandala meditation and mandala art therapy are eff ective treatments. The healing elements of mandala meditation art therapy were analyzed based on the case of one participant who experienced a psychotherapy program in whic h mandala art therapy and meditation are combined. In particular, the metacognitive pers pective associated with insight meditation will help prove the healing effect of mandala meditation art therapy in the cognitive psychological domain. It was analyzed that the he aling elements such as 'a safe space called mandala', 'the process of contemplation', 'the face-to-face of mental images', 'attitude of acceptance and recognition', and 'transformati on and insight of perception' were revealed in the process of experiencing mandala medi tation art therapy. Safe spaces can be explained as conditions for distancing mindfulness, tube meditation as a process of distancing mindfulness, image images can be explained a s negative and positive belief checks, acceptance and recognition attitudes can be explain ed as perspectives on thinking, and perception shifts and insights can be explained as m odifications of beliefs and control of responses. The healing of mandala meditation art therapy leads to insights based on awareness of illegality and the acquisition of law. It is revealed that the interpretation of mandala from a metacognitive perspective is a process to establish the meaning of insights contained in mandala meditation in detail.

      • KCI등재

        『만다라』에 나타난 `성과 속` 연구

        박종훈(朴鐘勳)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16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68 No.-

        본고는 김성동의『 만다라』의 ‘구도서사 과정’과 이 과정에서 나타나는 ‘성과속’의 변증법을 고찰하였다.『 만다라』는 ‘법운’과 ‘지산’이라는 문제적 승려가 수행을 통해 깨달음을 향해 나아가는 구도소설이다. 그 구도의 서사과정과 입사의식에서 중요한 것은 성과 속, 즉 신과 인간, 금욕과 초월, 이상과 현실, 극락과 지옥이라는 이분법적 세계의 대립과 해체, 화해이다. 법운은 성을 추구하며 속의 영역인 욕망을 강하게 부정하는 인물이다. 하지만 욕망을 부정할수록 그것은 해소되지 않고 오히려 더 커지는 결과를 초래하며 욕망과 금욕, 금욕과 초월 사이에서 방황하는 인물로 그려지고 있다. 지산은 ‘속’과 ‘욕망’속의 인간을 적극적으로 긍정하며 방황과 타락을 통한 수행으로 나아간다. 지산의 무애행은 깨달은 자의 완성된 형태로서의 행위가 아니라 깨달은 자의 경계없는 삶을 모방하고 그것을 수행으로 삼아 깨달음에 다가가기 위한 노력인 것이다.『만다라』의 서사구조에서 가장 중요한 소재는 법운과 지산이 출가를 할 때 받은 두 개의 화두이다. 법운의 화두는 병 속의 새를 병을 깨지도 않고 새를 다치게도 않으면서 어떻게 꺼내야 하는가라는 화두이다.『 만다라』의 서사구조 속에서 새는 마음이다. 법운의 마음은 불교라는 안전하고 투명한 병으로 씌워졌다. 이러한 법운의 화두에 종지부를 찍는 사건은 지산의 죽음이다. 법운은 이제껏 회피하기만 한 노사와 어머니를 만나고 이제껏 자신이 가두고 있던 욕망을 직접 대면하고 확인을 해야 한다는 사실을 깨닫는다. 지산의 화두는 ‘구자무불성(狗子無佛性)’인데 ‘무자화두’라고도 한다. 지산은 불성을 향한 의도적인 하강을 선택하고 스스로 자멸의 역사를 만들어 간다. 지산의 의도적인 하강은 상승을 만들어내지는 못하였어도 마지막에 극적인 초월을 만들어 낸다.『만다라』에서 흥미로운 점은 작품의 결말이 2001년 개정판에 바뀌었는데 2015년 개정판에서 다시 1979년『 만다라』의 결말로 돌아갔다는 것이다. 필자는 1979년『만다라』의 결말과 2015년『 만다라』의 결말이 같은 내용이지만 전혀 다르다고 생각한다. 작품 전반의 내용에서 법운과 지산이 추구하는 것(부처가 되고자 하는 것)은 불교와 속세의 구분이 아니라 그 마음에 있음을 설파하지만 1979년의『만다라』와 2001년의 개정판『 만다라』에서는 여전히 그 구분이 남아 있었다. 하지만 2015년에 작가 김성동은 이미 문학에 있어서나 개인적 구도에 있어서나 그 무르익은 깊이가 더 이상 피안과 차안의 구분이 무의미함을 인지한 것이다.『 만다라』의 법운, 지산은 각각 대립되는 방식으로 일종의 ‘만다라’(진리)의 길, 성(聖)에 도달한다.『 만다라』의 결말 개작 또한 법운과 지산의 진리의 깨달음과 같은 의미로, 김성동 작가 자신의 삶과 세상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보여주는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This manuscript contemplates the process of seeking enlightenment and the resulting dialectic of the Sacred-Profane in Mandara by Kim Sungdong. Mandara is a novel dealing with seeking enlightenment where Bubwoon and Jisan, the two problematic monks proceed to find enlightenment. And this novel has characteristics of a bildungsroman where the characters accept the basic problems of their lives and go towards another dimension. The important things in this process of seeking enlightenment and the ceremony of becoming a Buddhist monk are conflict, dissolution and reconciliation of sanctity-profanity which is god and mortals, abstinence-transcendence, ideal-reality, and heaven-hell. Bubwoon has a dichotomous and fixed notion about the sacred-profane and seeks holiness to reach it and practices sacred behaviors in the area of sanctity. And he strongly denies desires in the mundane world. However, the more he denies the desires in the mundane world, the stronger they become instead of being resolved. He is portrayed as wandering between desire-abstinence, and abstinence-transcendence. Jisan accepts the man living in ‘profanity’ and ‘desire’ and proceeds to practice asceticism through corruption and wandering. He seems to practice desire and behaves freely but he is always frustrated, is often distraught with nihilism and torments himself because he has not been fully enlightened yet. This unobstructed actions of Jisan was not an action in the complete form of the enlightened but was rather an effort to be close to the enlightenment by imitating and practicing the boundless lives of the enlightened. The most important subject of this narrative structure in Mandara is two critical assignments or hwadus that Bubwoon and Jisan received when they left home. Bubhoon‘s assignment was to find out how to take out a bird in the bottle out of the bottle without breaking the bottle or hurting the creature. The bird symbolizes the mind in Mandara. He is disillusioned with the world and tries to escape it because of his father’s death and his mother’s remarriage. His mind is in a safe and clear bottle representing Buddhism. His assignment reaches its conclusion by the death of Jisan. He realizes that he should meet his old teacher and his mother whom he has avoided meeting and that he should face the desires suppressed by himself. The most critical phrase or hwadu in buddhism to Jisan is “Dog has no Buddha-nature (one of the most popular hwadus in Buddhism)” called a "true-word of no-word”. The corruption of Jisan is to revolt against the Buddhist system and history. He makes self-destructive history by deliberately choosing to retrogress the nature of Buddha. His deliberate retrogression does not make a progress but a dramatic transcendence in the end. The interesting thing is that the end of this story is revised in 2001 and returns back to the conclusion of Mandara of 1979 in 2015. I think that while the endings of 1979 and 2015 seem the same, they are absolutely different. What Bubwoon and Jisan pursue (that is to become Budda) throughout the story is not the division between the Buddhist and Mundane world but spiritual enlightenment. However, the division remains in both Mandara of 1979 and a revised version of 2001. However, in 2015 the author Kim Sungdong recognizes the meaninglessness of the distinction between this shore: Samsara, or the world of birth-death and afflictions and Pian or the other shore, or Nirvana. Bubwoon and Jisan reaches the truth or Mandara in conflicting ways. The revised conclusion is also part of showing the author’s new notion about the world and his own life.

      • KCI등재

        금강계만다라 애니메이션을 위한 상징성 분석

        김경덕(Kyungdeok Kim),김영덕(Youngduk Kim) 한국콘텐츠학회 2014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4 No.12

        본 논문에서는 금강계만다라 애니메이션 제작을 위한 금강계만다라의 상징성 분석에 대하여 기술한다. 금강계만다라는 여타의 만다라와 비교하여 자체로서 특별한 의미와 심미적 요소로 인하여 불교 문화원형으로서 높은 가치를 가진다. 지금까지 불교 문화원형 콘텐츠에 대한 대부분의 연구가 문화자산의 복원과 콘텐츠 산업화에 대한 추상적인 논의가 주를 이루고 있으나, 불교 경전의 의미를 소재로 하여 이를 직접전달하기 위한 콘텐츠 개발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편이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원론적인 개발당위성에서 좀 더 나아가 본격적으로 금강계만다라에 내포된 개념과 등장 요소의 상징적인 의미를 분석하고, 만다라 애니메이션의 프로토타입을 구현한다. 인류의 지적 유산인 무형문화를 구현한 애니메이션의 응용 분야로는 불교 교리의 교육, 불교문화에 대한 용이한 접근성을 통한 문화 서비스 등에 활용할 수 있다. In this paper, we describe a symbolization analysis of a Diamond World Mandala animation. The mandala means the basic idea of the esoteric Buddhism. The Diamond World Mandala has a very high value as cultural archetype due to have better specific meaning and aesthetic quality than other mandalas. Most researches of Buddhist cultural contents have focused on cultural assets restoration and abstract discussion on contents industrialization until now. However researches on contents directly delivering Buddhism scriptures’ meanings are insufficient. Therefore, in this paper, we analyze concept of mandala and symbolical meaning of appeared elements in mandala rather than theoretical development appropriateness of mandalas’ contents, then implement a prototype of a mandala animation. The animation is made of intangible culture such as an intellectual legacy of mankind, and its applications are as follows; education service for Buddhist doctrines, and cultural services through easy accessibility of Buddhist culture, etc

      • 불교 탄트라에 있어서 만다라의 기능 : 아바야카라굽타를 중심으로

        이용현 원광대학교 동양학연구소 2006 東洋學硏究 Vol.2 No.

        현대의 학자들은 만다라의 의미가 마치 그 상징주의에 대한 해석을 통해 걸러낸 침전물인양 해석하는 경향이 있다. 한 예로 현 달라이 라마에 의해 유명해진 칼라차크라 만다라를 보자. 어째서 그 중심원에 있는 네 부처님들은 색채, 배우자들, 방향 등에 있어서 다른 불교 만다라들과 전혀 다른가? 이 변칙적인 요소들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그러나 아쉽게도 칼라차크라 텍스트들은 이 의미에 대해 침묵을 지키기 때문에, 우리는 가정할 수 밖에 없는지도 모른다. 주목할 점은 그러한 변칙적 요소들이 원저자들의 입장에서 얼마든지 설명될 수 있지만, 결코 시도되지 않았다는 데에 있다. 이처럼 다양한 불교 만다라들에서 보이는 단순한 이론적 해석의 부재는 의례를 만다라의 뼈대로 하는 탄트라 수행자들의 신념을 드러낸다. 불교 탄트라 의례의 본질적 요소인 만다라는 의례적인 문맥을 벗어나서는 그 의미를 상실하고 만다. 인도불교의 최후를 장식하는 위대한 학승 아바야카라굽타는 서기 11세기 후반부터 12세기 초반에 걸쳐서 생존한 것으로 추정된다. 바즈라발리는 그의 주저들 중에서도 다양한 탄트라의 전통을 집대성했다는 점에서 가장 중요한 저서라고 할 수 있다. 그는 이 의례집에서 그의 시대의 모든 불교 탄트라에 적용할 수 있는 웅대한 의례 시스템을 창조했다. 니쉬파나요가발리는 바즈라발리와 더불어 불교 만다라를 탐구하는 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저서의 하나이다. 아바야카라굽타는 이 저서에서 그의 시대의 가장 대표적인 만다라들을 어떻게 마음 속에 그리는가를 치밀한 정확성을 가지고 기술한다. 그는 이 저서에서 '그려진 만다라'와 '상상된 만다라'라는 만다라의 두 측면에 대해 언급 한다. 아바야카라굽타는 바즈라발리에서 이차원적인 그려진 만다라를 어떻게 그리는 가를 설명하는 대신에, 니쉬파나요가발리에서 그 정신적인 대응물로서 삼차원적인 만다라를 어떻게 마음 속에 상상하는가를 기술한다. 니쉬파나요가발리는 바즈라발리와 함께 만다라의 단순한 이론적 해석으로 향한 우리의 잘못된 시선을 그 의례적인 문맥으로 올바로 돌리게끔 한다. We have a tendency to construe a man.d.ala as if the meaning of a man.d.ala were the precipitate filtered through interpretations of man.d.ala symbolism. It is noted, however, that, such interpretations are not espoused by tantric texts. Lack of such interpretations makes mere theoretical ones gaseous and reveals the conviction of tantrics about rituals as a central frame work, only in which ritual elements can make sense. The man.d.ala, which is one of the essential ritual elements, is meaningless, if separated from its ritual contexts. The meaning of a man.d.ala is seen as an "overview" of the man.d.ala-in-use in ritual contexts. Abhayākaragupta, one of the key religious figures in the last phase of Indian Buddhism, lived in the period from the latter half of the eleventh century to the early half of the twelfth century C. E. Among Abhayākaragupta's major works, the Vajrāvalī(VA) is particularly significant due to its grand synthesis of diverse tantric traditions. The VA is indeed his magnum opus, which has established Abhayākaragupta's reputation as one of the greatest ritual theorists on Buddhist tantra. In this ritual manual, he aspired to synthesize a liturgical heritage to which he was heir and created his own grand liturgical system, which is applicable to all Buddhist man.d.alas of his time. As with the VA, the Nis.pannayogāvalī(NPY)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works for exploring Buddhist man.d.ala, because visualization of the most representative man.d.alas of his time are described with great precision. Since the basis of all Buddist tantras is the man.d.ala, its contextual understanding is indispensible to studies of the Buddhist tantric heritage. In the NPY, Abhaya mentions two aspects of the man.d.ala: the drawn man.d.ala and the visualized man.d.ala. Abhayākaragupta prescribes in the VA how to draw the two-dimensional drawn man.d.alas, whereas in the NPY he describes the three-dimensional visualized man.d.alas as their mental conterparts. The NPY, along with the VA, brings us from theoretical interpretations of the man.d.ala back to its ritual contex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