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울릉도 화산암류의 분화이력과 분출량에 따른 위험도 분석

        황상구,조인화,Hwang, Sang Koo,Jo, In Hwa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16 자원환경지질 Vol.49 No.3

        울릉도의 화산활동 규모를 파악하고 화산재해를 평가하기 위해 분화이력과 마그마 분출량을 계산하였다. 최근 연대측정 자료에서 최후기에 분출한 말잔등응회암은 $^{14}C$ 연대측정에 따르면 약 19~5.6 ka B.P. 연대를 가지며, 알봉조면안산암은 K-Ar 연대측정에 의하면 0.005 Ma 연대를 나타낸다. 따라서 울릉도는 1만년 이내에 화산활동이 있었음을 보여주며 앞으로의 분화의 가능성을 배재할 수 없는 활화산에 속한다. 그리고 울릉도의 누적 최소 DRE-보정 마그마 분출량은, 총 $40.80km^3$로 계산된다. 특히 사태감응회암은 $3.71km^3$ 이상이며, 말잔등응회암은 울릉도에서만 $0.10km^3$이지만 일본 남서부까지 뻗친 말단부층을 고려한다면 $12.39km^3$의 큰 분출량을 가진다. 분출량을 토대로 추정되는 화성쇄설암의 화산폭발지수는 1~6 범위를 나타낸다. 특히 사태감응회암은 폭발지수가 5이고, 말잔등응회암은 울릉도에만 분포하는 것으로 4이지만 일본에 분포하는 것을 고려한다면 6으로 파국적인 상황을 나타낸다. 그러므로 울릉도는 분화 가능성을 고려하는 적절한 연구가 필요하고 화산재해를 평가하고 대비하는 시스템의 구축이 요구된다. We estimate the eruption history and magmatic eruptive volumes of each rock units to evaluate the volcanic eruption scale and volcanic hazard of the Ulleung Island. Especially, Maljandeung Tuff represents about 19~5.6 ka B.P. from $^{14}C$ dating, and Albong Trachyandesite, about 0.005 Ma from K-Ar dating in recent age dating data. These ages reveal evidences of volcanic activities within the last 10,000 years, indicating that the Ulleung Island can classify as an active volcano with possibility of volcanic eruption near future. Accumulated DRE-corrected eruptive volume is calculated at $40.80km^3$, within only the island. The calculated volumes of each units are $3.71km^3$ in Sataegam Tuff, and $0.10km^3$ in Maljandeung Tuff but $12.39km^3$ in accounting the distal and medial part extended into southwestern Japan. Volcanic explosivity indices range 1 to 6, estimating from the volumes of each pyroclastic deposits. The colossal explosivity indices are 5 in Sataegam Tuff, and 6 in Maljandeung Tuff in accounting the distal and medial part.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appropriate researches regarding possibility of volcanic eruption of the island, and establishment system of the evaluation and preparation for volcanic hazard based on the researches is required.

      • KCI등재

        소백산육괴 서남부의 잔류반상 화강편마암의 암석학적 연구

        이춘희,이상원,옥수석,송용선,Lee, Choon-Hee,Lee, Sang-Won,Ock, Soo-Seck,Song, Young-Sun 한국지구과학회 2001 한국지구과학회지 Vol.22 No.6

        소백산 육괴 서남부에 분포하는 지리산 지역에는 알칼리장석이 거정으로 산출되는 편마암이 광범위하게 분포한다. 본 연구는 기존의 반상변정질 편마암을 그 기원과 조직 특성에 따라 잔류반상 화강편마암(blastoporphyritic granite gneiss)으로 명명하였다. 화강암질 편마암을 관입하고 있고 포획암을 함유하며 잔류반상 화강편마암과 화강암질 편마암 경계에서 알칼리장석 거정의 유 ${\cdot}$ 무를 뚜렷이 확인할 수 있는 등의 야외 증거는 잔류반상 화강편마암이 멜트 기원임을 밝혀준다. 잔류반상 화강편마암에서 거정으로 나타나는 알칼리장석의 형태는 주로 장방형이며, 타원형 내지 원형을 이루기도 한다. 알칼리장석 거정들의 평균 장경은 2.2에서 6.5cm(평균 4.3cm)이지만, 큰 거정(크기로 상위 30%)들은 7.9cm(평균 5.2cm)에 달한다. 잔류반상 화강편마암의 흑운모 조성은 에스토나이트와 시데로필라이트의 중간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잔류반상 화강편마암에서 산출되는 석류석은 그 성분이 알만딘으로 중심부는 파이로프 성분이 풍부한데 비하여 주변부로 가면서 파이로프 성분이 급격히 감소하고 알만딘 성분이 풍부해지는 전형적인 후퇴변성의 누대구조를 이루고 있다. 알칼리장석 거정의 분석 결과는 결정의 주변부로부터 중심에 이르기까지 그 조성의 변화가 없었다. 알칼리장석 거정에 석영, 흑운모, 사장석, 세립의 미사장석 등이 포유되어 있다. 잔류반상 화강편마암의 사장석은 안데신의 조성을 나타낸다. 주성분 산화물의 변화 경향에서 잔류반상 화강편마암은 체계적인 변화를 보이며, 분화 경향에 의하면 마그마의 결정분화에 의해 생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전암 화학조성에 의하면 잔류반상 화강편마암은 화강섬록암 영역에 도시되며 칼크알칼리 계열의 파알류미나질 S-타입화강암이 기원암이다. The blastoporphyritic granite gneiss (BPGN) including much alkali-feldspar megacrysts occurs in Jiri mountains area, southwestern part of Sobaegsan massif, Korea. The BPGN is formed gneiss complexes with other gneisses in Precambrian. The BPGN was named as porphyroblastic gneiss with porphyroblasts of alkali-feldspar megacrysts by other researchers, but the BPGN includes of euhedral alkali-feldspars (microcline), and the boundary with the granitic gneiss represents sharp contact as intrusive relationship. The BPGN mainly composes of alkali-feldspar megacrysts, quartz, plagioclase, K-feldspar and biotite some almandine and accessary minerals are muscovite, chlorite, apatite, zircon and opaques. The alkali-feldspar is microcline with perthitic texture. An content of plagioclases show 30 to 40. Biotites occur two type, one is Brown biotite which shows compositional ranges of Mg/Fe+Mg ratios from 0.38 to 0.52, the other is Green Bt. which is retrograde product. Camels to be various sizes and shapes have composition of almandine with 73 to 80 mole percent, but represent retrogressive zoning from core (X$_{pyr}$: 15.9${\sim}$20.8) to rim (X$_{pyr}$:13.7${\sim}$15.9) to be evidence of retrograde metamorphism. Megacrysts of alkali-feldspar in the BPGN show rectangular shape of euhedral and some become ellipsoidal or spheroidal in shape and the average size up to 20 cm long. The megacryst includes of biotite, plagioclase and quartz, and rarely euhedral apatite as inclusions. In petrochemistry the BPGN represents granodiorite composition, characteristics of peraluminous S-type granitoid and calc-alkaline features.

      • SCOPUSKCI등재
      • KCI등재
      • KCI우수등재

        하와이, 빅 아일랜드의 푸우오오 용암에 대한 암석학적 연구

        권석범(Suk Bom Kwon),장윤득(Yun Deuk Jang),박병준(Byeong Jun Park),김영규(Yeong Kyoo Kim),김정진(Jung Jin Kim) 한국암석학회 2007 암석학회지 Vol.16 No.4

        푸우오오 용암분출은 1983년에 분출이 시작된 이래 현재까지 활동하고 있으며, 다양한 성분 변화와 (5.6~10.1 wt.% MgO), 지표분출 면적을 가지는(-2 ㎞³) 하와이의 역사적인 분출 중에 하나이다(Garcia et al., 1999). 다년간에 걸쳐 하와이 분출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어 왔으나, 최근 수년 이내에 분출된 푸우오오 용암의 지질학적인 특성에 대한 연구 결과의 부재와 푸우오오 분출 역사를 통한 하와이 마그마 분출과정의 특성을 파악하고자 시공간적으로 채취한 시료를 바탕으로 광물과 암석의 조직과 화학조성연구를 수행하였다. 박편 상에서 단사휘석이나 사장석 반정은 드물고 감람석이 대부분의 반정을 차지한다. 이것은 푸우오오 지역이 마그마 분화 초기단계에 머물러 있다는 것을 지시한다. MgO를 상대로 주원소에 대해 도시해 본 결과 MgO가 증가함에 따라 TiO₂, Al₂O₃, Na₂O, SiO₂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다. 미량원소의 경우 K₂O값에 대한 Zr, Y, Sr 그리고 V 도표에서 P18과 P19시료가 타 용암에 비해 진화가 더 진행된 영역에 도시되고 있다. 2003년에서 2006년 분출년도 간에 높은 Ni 함량이 나타나는데, 이것은 동일 기원마그마의 유업에 의한 결과이다. The Puu Oo eruption in Hawaii since 1983 is one of the largest eruptions on Hawaii's volcanic history with prominent compositional variation (5.6-10.1 wt.% in MgO content). Although intense researches of Hawaiian eruption have been conducted for recent years, there is no up-to-date study on Puu Oo lavas that is erupting hot lavas today. in oder to obtain basic information on the ge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eruption including any noticeable change in its petrological trend and magma dynamics, we applied several geological approaches such as field survey, systematic sampling, petrography, mineralogy, and geochemistry. Clinopyroxene and Plagioclase phenocrysts are rarely observed on the thin section, however Olivine crysts are much more obvious in the study area. It indicates that Puu Oo is early stage of magma differentiation. Variation diagram of whole rock composition shows that the elements such as TiO₂, Al₂O₃, SiO₂ and Na₂O decrease with increasing MgO. In the trace element Sr, Y, Zr and V versus K₂O, P18, P19 samples are plotted in primitive area Variations of the Ni contents during 2003-2006 may suggest a sudden change in magma composition probably caused by new magma injection.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