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변혁적 리더십에 대한 리더와 부하의 지각일치 수준이 리더 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이진규(Jin-Kyu Lee),박지환(Ji-Hwan Park) 한국인사관리학회 2006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Vol.30 No.2

          본 연구는 변혁적 리더십에 대한 리더와 부하의 지각일치 수준이 리더 유효성(리더신뢰, 충성도, 리더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본고에서는 Atwater and Yammarino(1997)와 Yammarino and Atwater(1997)의 자기-타인평가 일치 과정 모델을 사용하였다. 총 103개의 리더-부하 쌍의 관계에서 리더의 변혁적 리더십에 대한 리더본인의 지각과 부하지각의 결과차이에 근거하여 지각일치 수준을 4개로 유형화(동일 고평가, 동일 저평가, 과대평가, 과소평가)하였다.<BR>  분석결과, 동일 고평가 유형의 리더는 동일 저평가 유형의 리더에 비해 리더 유효성 변수들 각각에서 더욱 높은 평가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동일 고평가 유형의 리더의 경우 과소평가 유형과의 비교결과에서는 리더 유효성 변수들에서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과대평가 유형의 리더는 과소평가 유형의 리더에 비해 더욱 낮은 수준의 리더 유효성을 나타내었다. 반면 과소평가 유형의 리더는 과대평가 유형이나 동일 저평가 유형의 리더에 비해 부하가 지각한 리더 유효성 변수들에서 더욱 높은 평가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BR>  본 연구결과 가운데 동일 고평가 유형의 리더 유효성에 대한 결과는 주로 부하에 의해 인지된 리더십의 중요성만을 강조했던 기존 연구에서 더 나아가 리더와 부하의 쌍의 관계에서 부하의 지각 뿐만 아니라 리더-부하의 지각일치의 효과를 통해 리더의 자아인식의 중요성을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그리고 과소평가 유형의 리더 유효성은 리더가 부하들로부터 긍정적 평가를 이끌어 내는 데 있어 리더의 겸양 또는 겸손의 태도가 중요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끝으로 본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The present research used Atwater and Yammarino(1997) and Yammarino and Atwater"s(1997) self-other rating agreement process model to examine whether leader-subordinate perception agreement regarding leade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would influence outcome variables such as trust in the leader, loyalty, and satisfaction to the leader. Leaders in 103 leader-subordinate dyads were classified as over-estimators, under-estimators, in-agreement/poor, or in-agreement/good based on the difference between leader"s self-rating and subordinate"s rating of leade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BR>  Results of analysis of one-way MANOVA indicated that subordinates in in-agreement/good reported higher levels of trust in the leader, loyalty, and satisfaction to the leader than in-agreement/poor dyads. However, result of comparison between leaders in in-agreement/good and in under-estimators dyads did not indicat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outcome variables such as trust in the leader, loyalty, and satisfaction to the leader. Subordinates in over-estimators reported lower levels of trust in the leader, loyalty, and satisfaction to the leader than under-estimator dyads. Subordinates in under-estimator dyads reported higher levels of trust in the leader, loyalty, and satisfaction to the leader than in-agreement/poor dyads.<BR>  Results of this study are significant for showing an importance of leader"s self-awareness based on the effect of leader-subordinate perception agreement as well as subordinate"s perception regarding leade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n leader-subordinate dyads. The implications of the study results are discussed, the limitations and future directions of the study are addressed.

      • KCI등재

        대학 프로젝트 수업에서 팀 협력방식과 팀 리더 유형이 팀 역량에 미치는 영향

        이영미(YoungMi L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15

        본 연구의 목적은 팀 협력방식과 팀 리더유형이 팀 역량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는 것으로 이를 위해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팀을 구성하고 세 가지 유형의 협력방식집단(계열적, 호혜적, 팀 중심)으로 분류하였다. 각 팀의 과제 수행완료 이후 팀 리더 유형과 팀 역량 검사를 실시하였고 연구문제에 따라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팀 역량에 있어서 팀 협력방식 집단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구체적으로 팀 중심 협력방식이 다른 협력방식 집단에 비해 효과적으로 나타났다. 둘째, 팀 리더 유형이 팀 역량에 있어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고 설득형 리더 유형이 다른 리더유형에 비해 효과적으로 나타났다. 셋째, 팀 협력방식별 팀 리더 유형에 있어서는 세 가지 유형의 팀 협력방식 집단 모두 팀 역량에 있어서 설득형이 팀 과제를 수행하는 가장 효과적인 리더유형으로 나타났다. 협력방식별로 가장 많이 인식하는 리더유형은 상이하였으나 팀 성과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리더유형은 관계지향적이면서 과제지향적인 설득형 리더유형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팀 과제 수행 시 리더와 팀 구성원들이 협력적으로 참여를 하는 팀 중심의 협력방식과 과제지향적이고 관계지향적인 설득형 리더유형이 팀 역량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the team collaboration procedures and team leader types in the team based project learning. Participants in the study were organized into three teams according to the collaboration procedures, consisting of sequential, reciprocal, and team-based procedures. After completing the team work, they were surveyed the team leader types, team-competence.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eam collaboration types in team competence, team-based procedures was positive effect of team competence comparing any other collaboration procedures.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eam leader types in team competence. Selling leader type was positive effect of team competence comparing any other team leader types. Third, selling leader type in sequential, reciprocal, and team-based collaborating procedures was positive effect of team competence. Based on the finding from the study, following conclusion was drawn. To support team based learning effectively, team collaboration procedure and team leader type should be considered. In the aspect of team collaboration procedures, team-based procedure should be used in the team work performance to participate all team members including leader. And the team leader should perform the role of selling leader type in team based learning. Since the selling leaders have both relationship oriented and task oriented characteristics, they can have positive impact on team-based task performance.

      • KCI등재

        웹 기반 토론에서 리더유무와 통제소재가 메시지 유형에 미치는 영향

        엄우용,박인영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003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9 No.4

        본 연구는 웹기반 토론환경에서 집단의 리더유무와 통제소재가 메시지 유형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85명의 여중생이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Henri(1992)의 메시지 분석틀에 근거하여 토론내용이 참여적, 사회적, 상호작용적, 인지적, 그리고 메타인지적 차원으로 분석되었다. 연구결과, 참여적 차원은 리더의 유무에 영향을 받지 않았으나 내적 통제집단이 외적 통제집단보다 높았다. 사회적 차원은 외적 통제집단에서만 리더가 있는 집단이 높았으며, 상호작용적 차원은 내적 통제집단과 리더가 없는 집단이 높게 나타났다. 인지적 차원은 외적 통제집단이 높게 나타났으며, 메타인지적 차원은 내적 통제집단이 높게 나타났다. 즉, 리더가 있는 집단에서는 사회적 차원의 메시지 유형이, 리더가 없는 집단에서는 상호작용적 차원의 메시지 유형이 높게 나타났다. 외적통제집단은 리더가 있을 때, 내적 통제집단은 리더가 없을 때 토론 참여도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내적 통제집단이 외적 통제집단보다 참여적, 상호작용적, 메타인지적 차원의 메시지 유형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웹기반 토론환경에서 리더의 유무는 사회적, 상호작용적 차원의 메시지에 영향을 미치며, 통제소재는 참여적, 상호작용적, 메타인지적 차원의 메시지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ffects of leader's existence and locus of control on the types of message in Web-Based discussion. Eighty-five ninth grade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Participants were allocated into a group of two groups(leader driven group and no leader group). And then they had been allocated into internal locus of control group and external locus of control group. Each group had been consisted of five participants. There's no difference in academic abilities and computer abilities. Participants had been participated in a Web-Based discussion for three weeks, but messages from the last week's discussion have been analyzed by the unit of meaning, based on the five dimensions which were proposed by Henri(1992). Independent variables were leader's existence and locus of control, and dependent variable was message types. Two-way ANOVA had been used to test the difference in the types of message between group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types of message(Social Dimension/ Interactive Dimension) by leader's existence in Web-Based discussion. Secon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types of message(Participative Dimension/ Interactive Dimension/ Metacognitive Dimension) by locus of control in Web-Based discussion. Thir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s in the types of message(Social Dimension/ Interactive Dimension/ Cognitive Dimension) between leader's existence and locus of control in Web-Based discussion. Based on the results, it can be concluded that leader's existence and locus of control significantly affects on the types of message in a Web-Based discussion. Having leadership in external locus of control showed stronger interactive relationship, to the contrary in the internal locus of control, not having leadership showed better interactive relationship. Thus, to better interactive relationship and discussion in students, analyzing each student's character should be preceded before the proper leadership is given to the student.

      • KCI등재

        부하에게 지각된 리더유형, 임파워먼트, 직무스트레스, 과업수행간의 구조적 관계

        김희철,송병식,강문실 한국상업교육학회 2009 상업교육연구 Vol.23 No.2

        본 연구는 선행변수로 리더유형(변화/관계지향 리더, 과업지향리더), 매개변수로 임파워먼트, 결과변수로 직무스트레스, 과업수행을 선정하여 이들 변수간의 최적구조모형을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은 공분산구조분석을 이용하여 단계적 χ2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모형과 연구모형보다 미지수를 많게 설정한 1개의 완화모형, 미지수를 적게 설정한 3개의 제약모형을 비교분석한 결과 제약모형1이 가장 우수한 모형으로 판명되었다. 제약모형1에서 변화/관계지향리더유형은 결과변수(직무스트레스, 과업수행)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임파워먼트를 매개로 간접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과업지향적 리더유형은 결과변수(직무스트레스, 과업수행)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지 않고, 임파워먼트를 매개로 결과변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가 제시하는 시사점으로 리더의 행동범주를 3차원으로 간명화함으로써 실무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 과업지향적 리더유형도 통제적 행동만을 제외하면 부하의 정서적 반응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발견하였으며, 변화/관계지향적 리더유형이 과업수행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감소시키기 위해 리더십 유형이 임파워먼트와 같은 부하의 정서적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모니터링 할 필요성이 있음을 제기하였다. This study endeavors to find out the best model in the constructional relationship between several factors. The constructional relationship composed of the three types of leadership styles (i.e., change-oriented leadership, relations-oriented leadership and task-oriented leadership)and empowerment, job stress, task performance Based on the five competitive models, several Chi-square difference tests on each model are implemented. As a result, this study shows the following optimal model; change-oriented and relations-oriented leadership styles give the indirect impact on the job stress and task performance through the empowerment. Task-riented leadership style give not direct impact on the job stress and task performance but task-riented leadership style give the indirect impact on the job stress and task performance through the empowerment. The fitness of the model is found to be χ2=584.422, df=259, p<.001, GFI=0.937, NFI=.946, CFI=0.969, RMSEA=0.043. The main points of this study are; first, the two factors are selected for the study. Of the three factors, the former is the task performance through which the important efficiency in the leadership measurement is measured. The latter is the empowerment emotional responses of subordinates and job stress. Finally, this paper provides the useful information for the application toward the real world by categorizing the leader behaviors as the three types through the previous literature survey.

      • KCI등재후보

        고교 태권도 지도자의 리더십 유형과 리더신뢰 및 지도효율성의 관계

        최태호 ( Tae Ho Choi ),김지태 ( Ji Tae Kim ),박종문 ( Jeong Moon Park ) 대한무도학회 2010 대한무도학회지 Vol.12 No.2

        이 연구는 고교 태권도 지도자의 리더십 유형과 리더신뢰 및 지도효율성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인천과 경기도에 소재하고 있는 고등학교 태권도 선수를 모집단으로 선정하였고, 표본추출방법은 편의추출법(convenience sampling)을 사용하여 366명을 최종 연구대상으로 사용하였다. 조사도구는 리더십 유형과 리더신뢰 및 지도효율성에 관한 기존의 설문지를 각각 수정 및 보완하여 사용하였으며, 문항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탐색적 요인분석과 Cronbach`s α 분석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설문자료는 SPSS/PC+15.0 version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관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태권도 지도자의 리더십 유형은 리더신뢰에 영향을 미쳤다. 즉, 훈련지시 행동유형은 계산적 신뢰, 지식적 신뢰, 동일화 신뢰에 영향을 미쳤고, 민주적 행동유형은 지식적 신뢰, 동일화 신뢰에 영향을 미쳤으며, 긍정적 보상 행동유형은 계산적 신뢰, 동일화 신뢰에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사회적지지 행동유형은 지식적 신뢰와 동일화 신뢰에 영향을 미쳤다. 둘째, 태권도 지도자의 리더십 유형은 지도효율성에 영향을 미쳤다. 즉, 훈련지시 행동유형과 민주적 행동유형은 인지된 경기력과 운동생활성과에 영향을 미쳤고, 전제적 행동유형은 인지된 경기력에 영향을 미쳤다. 셋째, 태권도 선수의 리더신뢰는 지도효율성에 영향을 미쳤다. 즉, 계산적 신뢰, 지식적 신뢰, 동일화 신뢰는 인지된 경기력과 운동생활성과에 영향을 미쳤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the coaches` leadership style, leader trust, and coaching effectiveness of Taekwondo players in high school.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Taekwondo players of high school in Incheon and Kyonggi-do. Samples of 366 questionnaires by convenience sampling were used as final research materials. The statistical techniques, which were used for the analysis of this study, were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y using SPSS 15.0. Through these procedure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elicited. First, the leadership styles toward Taekwondo player`s coaches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leader trust. That is, instructional behavior during training affected calculated trust, informational trust, and identification trust. Positive reinforcement behavior affected calculated trust and identification trust. Socially supportive behavior affected informational trust and identification trust. Second, the leadership style toward Taekwondo player`s coache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coaching effectiveness. Taekwondo coaches` leadership style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coaching effectiveness. Instructional behavior during training and democratic behavior affected perceived levels of athletic performance and athletic progress, and authoritarian behavior affected the perceived level of athletic performance. Third, leader trust with regard to Taekwondo coaches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coaching effectiveness. That is, calculated trust, informational trust, and identification trust affected perceived levels of athletic performance and athletic progress.

      • KCI등재

        중소기업 학습리더의 경청 유형에 관한 연구

        한국은,원상봉 한국직업교육학회 2009 職業 敎育 硏究 Vol.28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e leader′s listening style in the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learning organization. The population of the study was all participants as learning leader in the training course operated by Human Resources Development Services of Korea during April, 2009. Using the purposeful sampling technique, 317 leaders of 201 companies were sampled for this study. A survey questionnaire was developed by research to collect the information needed for the study, which consisted of structural element scale, learning leader′s listening style.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study, the structural elements of listening style had a significant aspect in four listening styles. People-oriented listening style and content-oriented listening style had a higher score by leaders in the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learning organization. Especially, it is meaningful findings that according to sex and age, leaders had a different perception of their listening style. People-oriented listening style has been differently perceived by leaders, especially female leaders has been higher people-oriented in their listening styles than male leaders. According to age, time-oriented listening style has been perceived differently. The analysis of learning leader’s listening style in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has a meaning in enhancing his/her company better learning organization. 이 연구의 목적은 중소기업의 학습리더 스스로가 인식하는 경청 유형은 어떠한 것인가를 알아보고, 학습리더의 경청 유형이 성별, 연령, 학력, 현재 직장 근속년수, 현재 직급, 현재 직급에서의 근속년수 및 학습리더로서의 근속년수에 따라 다르게 느끼는지를 알아보고자 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경청 관련 국내외 문헌조사 및 중소기업 학습조직화 사업 학습리더 교육에 참가한 인원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나타난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 중소기업 학습리더들은 스스로를 사람지향적인 경청을 하고 있다고 생각하고 있다. 이러한 것은 학습리더들의 개인적인 특성의 성향도 있으나 남을 배려하는 우리나라의 문화적인 요인과 소그룹 학습 활동이 활발한 중소기업의 조직문화적인 요인으로부터도 영향을 받는다고 할 수 있다. 둘째, 중소기업 학습리더들은 성별과 연령에 따라 경청 유형을 다르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의 경우 여성이 남성보다 남을 더 배려하는 사람지향이라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에 대해서는 시간지향에서만 다르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 나타난 시사점은, 중소기업에서의 학습리더는 현장 직원들을 학습활동을 통하여 변화시켜야 하는 입장에서 말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잘 들어야 한다는 것과 들을 경우 어떤 경청 행동을 하여야 하는 가를 인식하게 해주었다는 데에 이 연구의 의미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이 연구에서는 중소기업 학습리더를 업종별, 직무별로 구분하여 연구를 할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그리고 이 연구는 학습리더 스스로 인식하는 데에 따른 제한점을 제기하고 앞으로는 학습조원들의 입장에서 학습리더의 경청 행동 및 유형을 인식하는 양방향적인 분석을 통하여 학습리더의 경청 유형에 대한 일반화를 가져오기 위한 노력을 하여야 한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 리더유형과 직무스트레스, 맥락수행간 구조적 관계

        강문실(Moon-Sil Kang),송병식(Byeong-Sik Song) 한국인사관리학회 2009 한국인사관리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Vol.2009 No.3

        본 연구는 선행 연구들 통해 리더 행동 변수를 과업지향적 리더행동, 관계지향적 리더행동, 변화지향적 리더행동 등 세 가지 범주로 분류한 다음, 세 가지 리더 행동변수들과 직무스트레스, 맥락수행으로 이어지는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고, 또한 사회적 지원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는 것이다. 변수들 간의 구조적 관계를 요약하면 첫째, 과업지향적 리더유형은 직무스트레스에 정(+)의 영향을 미치지 않고, 관계 및 변화지향적 리더유형은 직무스트레스에 부(-)의 영향을 미치고 있다. 둘째, 과업지향적 리더유형과 관계 및 변화지향적 리더유형은 맥락수행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다. 셋째, 사회적 지원은 조절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가 제시하는 시사점으로 리더의 행동범주를 3차원으로 단순화함으로써 실무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 직무 스트레스를 느끼는 부하의 심리상태를 인식하고 직무스트레스의 강도를 줄일 수 있는 방향으로 상사의 리더십이 발휘된다면 직무스트레스의 저감뿐만 아니라 맥락수행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칠것이다.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are threefold. The first one is to classify leader behavior variables into three categories: task-oriented leader behavior, relationship-oriented leader behavior, and change-oriented leader behavior. The second one is to make clear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of those three leader behavior variables that influence the variables of job stress to contextual performance. The third one is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the variable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task-oriented leader type does not cause a positive (+) effect on job stress, whereas the relationship-oriented and change-oriented leader types produce a negative (-) effect on job stress. Second, the task-oriented and change-oriented leader types makes a positive (+) influence on contextual performance. Finally, social support does not carry any moderating effect. These results provide us useful information in practical business by simplifying the leader’s behavioral categories into a three dimension. Further, they suggest that a strategic approach to strengthening leader types is necessary to increase positive influences of the task-oriented, relationship-oriented, and change-oriented leader types on contextual performance.

      • KCI등재

        구조방정식을 활용한 중앙.지방행정기관의 리더십, 리더 감성지능 및 혁신행동간의 관계분석

        류은영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2010 政策分析評價學會報 Vol.20 No.4

        본 연구는 구조방정식을 활용하여 중앙.지방행정기관의 리더십 행동유형, 리더 감성지능 및 부하의 혁신행동에 미치는 구조적 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들 간의 구조적 인과관계에서 특히 리더의 성별 차이에 초점을 두어 구조방정식 상에서 다중집단분석을 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리더십 행동유형과 혁신행동간의 직접적인 관계를 보면, 남성리더기관은 카리스마에서, 여성리더기관은 지적자극에 한해서면 유의하였다. 둘째, 남성리더기관은 리더십, 감성지능 및 혁신행동 간에서 감성지능의 매개효과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여성리더기관은 카리스마, 상황적 보상과 혁신행동간에 직접적인 영향은 없지만, 리더감성지능을 통해서는 부하의 혁신행동을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분석결과는 종래 남성의 전유물로 여겨온 카리스마 행동유형이 리더감성지능을 통하면 여성리더에게서도 발휘될 수 있다는 가능성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후보

        리더 행동유형 비교를 통한 베트남-한국 대학생의 차이 연구

        이인선 ( In Sun Yi ),나은영 ( Eun Young Na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6 인문사회 21 Vol.7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상대적으로 비교 연구가 부족한 베트남과 한국을 중심으로 선호하는 리더 행동 유형의 개별적인 차이점과 연관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한국 대학생의 리더로서의 행동유형을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베트남과 한국 대학생은 경로-목표 리더 행동 유형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베트남 대학생의 평균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베트남과 한국 대학생은 조화주도형 행동유형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베트남 대학생의 평균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베트남 대학생의 개인특성은 도전적인 특성인 경우만 경로-목표 리더행동유형에 영향을 주었다. 넷째, 베트남 대학생의 개인특성은 수용적인 특성을 제외하고 모두 조화주도형 행동유형에 영향을 주었다. 특히 개인특성이 신중적인 경우는 리더선호 성향과 함께 조화주도형 행동유형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를 통해 상황에 따른 리더의 역할을 이해하고, 인식차이에 따른 영향력을 기반으로 베트남과 한국의 교류에 발전적 방향을 제시하였다 The study aims to analyze difference and correlation of leader behavior pattern individually preferring between Vietnamese and Korean students in University. It was also compared behavior patterns as a leader of Korean university student. The conclusions was the following.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on path-goal behavior pattern. The average scores of Vietnamese university students were higher than those of Korean university students. Second, Vietnamese and Korean university students have significant difference on harmony-driven behavior pattern. It showed higher than the average scores of Vietnamese university students. Third, Challenge traits of Vietnamese university students had an impact on path-goal behavior pattern. Fourth, Personal traits of Vietnamese university students had an effect on harmony-driven behavior patterns except acceptant traits. Especially a considerate trait among personal traits had a influence on harmony-driven behavior patterns with leader preference propensity. The study is to understand the leaderrole depending on situations and to suggest developmental direction of the exchange between two countries based on awareness

      • 자유선택활동 시간에 나타나는 유아리더의 특성과 유형

        홍수영,원계선 한국발도르프영유아교육학회 2013 발도르프교육연구 Vol.5 No.1

        본 연구는 유아 리더십 지도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목적으로 자유선택활동 시 나타나는 유아리더의 특성을 알아보았다. 자료는 2013년 10월 7일부터 2013년 11월 7일까지 유아들을 관찰한 기록지와 담임 교사 면담, 학급 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질적 연구방법으 로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문서로 만들고 반복읽기를 통해 의미 있는 단어를 찾아내고 유목화하는 작업을 통해 유아리더의 특성을 정리하였다. 연구결과, 담임교사와 또래들이 선택한 N반의 리더는 총 세 명이었다. 유아리더는 주도하고 제안하는 리더, 주도하고 통제하는 리더, 주도하고 수용하는 리더로 구분할 수 있으며, 세 명의 리더 모두 ‘주도’하는 모습이 공통으로 나타났지만 서로 다른 성향의 모습 도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나타난 수용하는 리더는 선행연구에 나타나지 않은 리더의 특성으로 이에 대해 논의를 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the characteristics of child leader in free choice activit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a good basic data for instruction leadership of children. The data were collected by field note, interview of teachers and children from October 10th to November 7th in 2013.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ased on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he Reachers translated all the collected data to documents, read them repeatedly, tried to find meaningful words and categorized those words. Trough this process, the characteristics of a child leader were describ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re were three child leaders who were selected by teacher and classmates. The child leader were classified as three types a lead /suggestion type, a lead/control type and a lead/acceptance type. Three types have lead as a common characteristic, but have also different characteristics. Especially, one kind of characteristics did not found in the preceding researches. An acceptance leader of this study was not found in the preceding researches, and further discussion was conduc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