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학생의 로봇에 대한 태도: 경기도 중학생을 중심으로

        정민영(Min-young Jung,),이경택(Kyung Taek Lee) 한국실과교육학회 2017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30 No.1

        이 연구는 중학교 학생들이 로봇에 대해 어떠한 태도를 가지고 있는지를 알아보고, 이러한 태도 형성에 관련된 변인들을 분석함으로써 로봇과 이 로봇에 관련된 직업에 대해 긍정적 태도를 함양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에서 제시된 로봇에 대한 태도 검사 척도를 사용하여, 단순무선표집된 경기도 소재 중학교 3학년 학생 630명에 대해 조사연구를 진행하였다. 수집된 로봇에 대한 태도 척도 질문지 482부에 대해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했으며, 변인별로 학생 개인의 로봇에 대한 태도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기 위하여 독립 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기도 소재 중학교 3학년 학생의 로봇에 대한 태도 평균은 3.00으로 중간 수준의 태도를 나타냈으며, 하위 요인별 로봇에 대한 태도는 ‘로봇의 이해’ 요인의 평균 점수(M=3.55)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로봇의 흥미’ 요인의 평균 점수(M=2.53)가 다른 하위 요인에 비해 낮게 조사되었다. 둘째, 성별에 따른 로봇에 대한 태도는 남학생의 평균 점수(M=3.16)가 여학생의 평균 점수 (M=2.83)보다 높으며, 남학생의 로봇에 대한 태도가 여학생보다 더 긍정적이다. 셋째, 학교 소재지에 따른 로봇에 대한 태도는 도시지역 학생과 읍⋅면지역 학생의 평균 점수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고, 도시지역과 읍⋅면지역 학생 모두 중간 수준의 태도를 보였다. 넷째, 로봇 장난감, 로봇 관련 실습 및 동아리 활동, 방과후 프로그램 등, 로봇과 관련된 경험이 있는 학생이 그렇지 않은 학생보다 로봇에 대한 태도 평균이 높으며, 학생들의 로봇관련 활동이 로봇에 대한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다섯째, 로봇 관련 전문 직업을 희망하는 학생의 로봇에 대한 태도 점수가 그렇지 않은 학생 보다 높으며, 학생들의 로봇 관련 진로 희망이 로봇에 대한 긍정적 태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fostering positive minds on robots and occupations related to the robots, by exploring Gyeonggi province middle school students’ attitude towards robots and by analyzing variables related to the formation of this attitude. For the sake of this purpose, an attitude inspection tool obtained in a previous study is used to carry out a research study and 630 persons in middle school third-grade students of Gyeonggi province are randomly sampled. By using results of 482 inspection sheets obtained from the student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is performed to know how the attitude toward robot in subordinate factors of the attitude inspection sheets is positive. Also, an independent sample t-test is performed to search whether the differences in attitudes of students towards robots in all factors are shown or not.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by the followings. 1) It is revealed that the third-grade students in Gyeonggi province middle schools have the positive minds of medium level of 3.0 score. Male students have more positive minds for robots than female students. In order to raise the positive minds in female students, various content is necessary for them. 2) It is required to increase topics or materials on robots in practices, club activities and after-school programs and to induce the students to robot exhibitions and robot-experience programs, because the experience on the robots can give the positive minds to students. 3) The positive minds on robots have an influence on having occupations for robots. Therefore, course education programs including practicing robots, searching occupations with robots are necessary to improve positive minds for robots.

      • KCI등재후보

        초ㆍ중ㆍ고등학생들의 로봇에 대한 태도 검사 척도

        이춘식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3 實科敎育硏究 Vol.19 No.2

        이 연구는 우리나라 초, 중, 고등학교 학생들의 로봇에 대한 태도를 측정하기 위한 로봇 태도 척도를 만드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로봇에 대한 태도 척도를 만들기 위하여 초, 중, 고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예비조사와 본검사 조사를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13.0을 이용하였다. 로봇의 태도 검사 척도의 구성요인들을 확인하기 위하여 요인분석을 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의 로봇에 대한 태도 척도는 본검사를 통해서 40개 문항으로 확정되었다. 이 태도 척도를 구성하고 있는 요인은 5개 이다. 둘째, 요인1은 ‘로봇과 흥미’로 명명되었으며, 8개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셋째, 요인2는 ‘로봇의 이해’로 명명 되었으며, 7개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넷째, 요인3은 ‘로봇의 중요성’로 명명 되었으며, 9개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다섯째, 요인4는 ‘로봇과 학습’으로 명명되었으며, 8개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여섯째, 요인5는 ‘로봇과 직업’으로 명명되었으며, 8개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마지막으로, 로봇에 대한 태도 검사지의 문항 내적 일치도의 신뢰도를 얻기 위해 Cronbach Alpha 값을 산출한 결과 α값은 0.90이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scale for Korean students' attitude toward robot.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data was collected from 12 schools from elementary to high school. The questionnaire is consisting of Likert-type scale to assess students' attitude toward robot. The data was analyzed using a factor analysis and 58 items were clustered by six factors. The main survey was carried out for 310 students that the data were analyzed by means of SPSSWin 13.0 Ver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RAS (Robot Attitude Scale) was selected by 40 items through the main survey and the factor consists of five categories. Second, factor 1 was named 'Interest of robot' that consists of 8 items. The value of factor loading was indicated more than 0.5. Third, factor 2 was named 'Understanding of robot' that consists of 7 items. The value of factor loading was indicated more than 0.4. Fourth, factor 3 was named 'Consequences of robot' that consists of 9 items. The value of factor loading was indicated more than 0.4. Fifth, factor 4 was named 'Robot and curriculum' that consists of 8 items. The value of factor loading was indicated more than 0.4. Sixth, factor 5 was named 'Career aspiration of robot' that consists of 8 items. The value of factor loading was showed more than 0.4. Finally, the reliability of the RAS was calculated by Cronbach's Alpha .90.

      • KCI등재

        로봇 프로그래밍이 예비 교사의 로봇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김성원 ( Seong-won Kim ),이영준 ( Youngjun Lee )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16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Vol.19 No.6

        로봇의 중요성이 증가함에 따라서 학교 현장에 로봇 교육이 활발히 도입되고 있지만 예비 교사의 로봇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 때문에 로봇 교육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로봇 프로그래밍 교육을 예비 교사에게 도입하고 로봇에 대한 태도 변화를 분석하였다. 예비교사를 세 집단으로 나누고 각각 다른 내용의 수업을 실시하였으며, 사전, 사후에 로봇에 대한 부정적 태도 척도를 실시하였다. 집단 간의 로봇에 대한 태도를 비교한 결과, 사전에는 집단별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사후에는 집단별로 로봇에 대한 태도가 달랐다. 집단 간의 변화를 관찰한 결과, ICT 교육과 프로그래밍 교육을 받은 예비 교사는 로봇에 대한 태도 변화가 없었지만, 로봇 프로그래밍 교육을 받은 예비 교사는 로봇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으로 변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하여 로봇 프로그래밍 교육이 예비 교사의 로봇에 대한 태도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는데 효과적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In Korea, pre-service teachers` negative attitude toward robots keep them from being applied in schools. To cope with these obstacles, this study examines the change of pre-service teachers` attitude toward robots after adopting robot programming. To prove the program`s effect, pre-service teacher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including each group taking pre-and post-tests. After analyzing the pre-tests, none of the groups showed any difference; however, they did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ost-tests. A paired sample t-test was conducted in each group for investigating the change. Those who took ICT and programming education did not show a change. However, those who took robot programming education did show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 KCI등재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로봇에 대한 태도, 행동특성, 로봇 외양에 대한 인식의 차이

        곽경화(Kyeong-hwa Kwac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14

        목적 본 연구에서는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로봇에 대한 태도, 행동특성 및 로봇 외양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이를 위하여 J도에 위치한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다니는 만 3-5세 유아의 부모 335명을 대상으로 2022년 11월 15일부터 12월 20일까지 로봇에 대한 태도, 행동특성, 로봇 외양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한 설문조사를 시행하고 자료를 수집하여 t검증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결과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로봇에 대한 일반적 태도와 교육적 활용에 대한 태도는 부모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부분이 있었으나 대체로 긍정적인 편으로 나타났다. 로봇의 사용이 자신의 일에 도움이 되리라는 인식이 있었고 로봇 사용이 유용하다고 인식하고 있어 로봇 사용에 대해 수용적이었다. 둘째, 로봇의 행동특성에 대해 부모 간에 차이는 없었으나 부모 모두 예측가능하고 통제가능하며 가족에게 사려 깊게 행동하여야 한다고 확고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로봇 외양에 대한 인식은 부모 간에 차이는 없었으나 겉모양, 동작에서는 인간과 유사하지 않아도 되나 의사소통 능력에서는 인간과 유사하여야 한다는 요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 간의 로봇에 대한 태도와 행동특성, 로봇 외양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알아봄으로써 로봇에 대한 접근성과 수용성을 높이기 위한 기초 자료가 될 수 있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about attitudes and behavioral characteristics and appearance of robots between mothers and fathers with young childrens. Methods For the study, 335 parents of young children aged 3-5 attending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located in J-do were surveyed from November 15, 2022 to December 12.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test. Results The analysis result is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others and fathers' general attitude toward robots and their attitudes toward educational use, but they were generally positive. Second,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mothers and fathers regarding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the robot, but both parents firmly recognized that it was predictable, controllable, and should act with consideration towards the family. Third,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mothers and fathers in the recognition of the similarity in appearance between the robot and the human, but it is not necessary to be similar to a human in appearance and motion, but it was found that the demand to be similar to a human in communication ability was high. Conclusions Through this study, it can serve as basic data to increase accessibility and acceptance of robots by examining differences in attitudes and behavioral characteristics toward robots, and perceptions of robot appearances among parents with young children.

      • KCI등재

        로봇에 대한 예비 교사의 태도: 변인에 따른 차이 분석

        김성원 ( Seong-won Kim ),이영준 ( Youngjun Lee )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18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Vol.21 No.4

        전 세계적으로 4차 산업혁명에 따라 필요한 인재를 양성하기 위하여 로봇을 필두로 한 소프트웨어 교육이 진행되고 있다. 이에 따라 로봇 교육에 대한 수업 전문성이 요구되지만, 선행 연구에서는 로봇에 대한 예비 교사의 태도가 부정적이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변인에 따른 로봇에 대한 예비 교사의 태도 차이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연구 대상은 K 대학에 다니고 있는 309명의 예비 교사이며, 예비 교사의 로봇에 대한 태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로봇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 측정 척도를 검사 도구로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예비 교사는 성별, 로봇의 조작 경험, 로봇 관련 수업의 수강 경험에 따라 로봇에 대한 태도가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여성보다 남성이, 로봇의 조작 경험과 로봇 관련 수업의 수강 경험이 있을수록 로봇에 대한 예비 교사의 태도가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매체를 통한 로봇의 경험은 로봇에 대한 예비 교사의 태도에 영향을 주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As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has progressed globally, computing education is progressing centered on robots. However, pre-service teachers' attitudes toward robots were negative in previous studies.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is study analyzed the difference in the attitude of the pre-service teachers to the robot according to the factor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09 pre-service teachers attending K university. In order to measure the attitude of the pre-service teacher to the robot, the negative attitude measure for the robot was used. And, in order to measure the attitude of the pre-service teachers to the robots, negative attitude measurement scale was used. As a result, pre-service teachers showed different attitudes toward robots according to gender, experience of robot manipulation, and experiences of robot-related lectures. Especially, when the gender was male than female, and the experience of robot manipulation and the experiences of robot-related lectures, the attitude of pre-service teachers to robot was positive.

      • KCI등재

        로봇에 대한 예비 교사의 태도

        김성원(Seong-Won Kim),이영준(Youngjun Lee)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18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Vol.21 No.6

        전 세계적으로 4차 산업혁명에 따라 필요한 인재를 양성하기 위하여 로봇을 필두로 한 소프트웨어 교육이 진행되고 있다. 이에 따라 로봇 교육에 대한 수업 전문성이 요구되지만, 선행 연구에서는 로봇에 대한 예비 교사의 태도가 부정적이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변인에 따른 로봇에 대한 예비 교사의 태도 차이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연구 대상은 K 대학에 다니고 있는 309명의 예비 교사이며, 예비 교사의 로봇에 대한 태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로봇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 측정척도를 검사 도구로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예비 교사는 성별, 로봇의 조작 경험, 로봇 관련 수업의 수강 경험에 따라 로봇에 대한 태도가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여성보다 남성이, 로봇의 조작 경험과 로봇 관련 수업의 수강 경험이 있을수록 로봇에 대한 예비 교사의 태도가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매체를 통한 로봇의 경험은 로봇에 대한 예비 교사의 태도에 영향을 주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As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has progressed globally, computing education is progressing centered on robots. However, pre-service teachers" attitudes toward robots were negative in previous studies.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is study analyzed the difference in the attitude of the pre-service teachers to the robot according to the factor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09 pre-service teachers attending K university. In order to measure the attitude of the pre-service teacher to the robot, the negative attitude measure for the robot was used. And, in order to measure the attitude of the pre-service teachers to the robots, negative attitude measurement scale was used. As a result, pre-service teachers showed different attitudes toward robots according to gender, experience of robot manipulation, and experiences of robot-related lectures. Especially, when the gender was male than female, and the experience of robot manipulation and the experiences of robot-related lectures, the attitude of pre-service teachers to robot was positive.

      • KCI등재

        여성 예비교사의 로봇에 대한 태도

        정하연(Hayeon Chung),이정민(Jeongmin L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2

        본 연구는 여성 예비교사의 로봇에 대한 태도와 이를 구성하는 로봇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탐색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서울 소재 A여대에 재학중인 예비교사 중 인터뷰 참여의사를 보인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로봇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 척도를 실시하였다. 설문결과는 점수가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을 분류하여 편향된 의견수집을 지양하기 위하여 사용되었다. 이후 최종적으로 인터뷰 참여의사를 보인 예비교사 9명을 대상으로 반구조적인 질문형식을 사용하여 심층면담을 진행하였으며, 이를 통해 수집한 자료는 근거이론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여성 예비교사는 교육에 있어 로봇은 대체적으로 긍정적인 역할을 할 것이라고 기대하였으나 일상생활에서 로봇과 상호작용하는 상황이나 사회적인 영향에 있어서나 주로 로봇의 부정적인 측면에 초점을 맞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로봇과 감정적인 교류를 하는 것에 대해 불가능하거나 부정적인 의견을 나타내기도 하였다. 이는 여성 예비교사의 로봇에 대한 인식을 이해하고 추후 로봇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줄이는 교육설계의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ttitudes towards robots of female pre-service teachers and their perceptions on robots related to the attitudes. Using semi-structured in-depth interviews of nine female pre-service teachers were conducted. Data collected from these interviews were analyzed using grounding theory framework. As a result, female pre-service teachers’ attitudes on robots using in education were quite positive. However, when they imagine robots in real life like situations in which they have to interact with robots and robots in society, female pre-service teachers tended to focus on more negative aspects of robots. In addition, emotional interactions with robots were impossible and some of them showed negative reactions for robots having emotions. Research results are expected to help better understanding of female pre-service teachers’ attitudes towards robots.

      • KCI등재

        로봇 활용 SW 교육에서 보조 교사 유무에 따른 컴퓨팅사고력, 로봇에 대한 태도의 차이

        노지예,Noh, Jiyae 한국정보교육학회 2018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22 No.3

        본 연구는 초등학교에서 로봇 활용 SW 교육을 실시하여 학생들의 CT, 로봇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 보조 교사 유무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의 A 청소년수련관의 로봇 활용 SW 교육에 참여한 초등학생 29명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고, 로봇 활용 SW 교육을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대응 표본 t검정, 공분산분석을 통해 평균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로봇 활용 SW 교육을 실시한 후 학생들의 CT와 로봇에 대한 태도가 유의하게 향상되었으나, 통제집단의 CT는 유의하게 향상되지 않았다. 또한 보조 교사 유무에 따른 사후 CT의 차이는 유의하였으며, 로봇에 대한 태도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로봇 활용 SW 교육의 효과를 검증하고, 보조 교사 유무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규명하여 로봇 활용 SW 교육에 대한 이해를 확장시켰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In this study, we conduct SW education using robot in elementary school, to examine the effects of SW education using robot and identify differences dependeing on the presence of assistance teacher.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SW education using robot was conducted to 29 students. After collecting data, we examined mean difference using matched pair t-test and ANCOVA. Our results show that SW education using robot significantly improved CT and attitudes toward robots. CT, however, was not significantly improved in control group. Further, although improvement in attitudes toward robots was not associated with presence of assistance teacher, presence of assistance teacher did play a role in improvement of CT. This study was investigated effects of the SW education using robot and identify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presence of assistant teacher, and expanded the understanding of the SW education using robot.

      • KCI등재

        초등학교 로봇 활용 교육에서 좌우뇌선호에 따른 컴퓨팅사고력, 로봇에 대한 태도의 차이

        노지예 한국정보교육학회 2020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24 No.4

        본 연구는 로봇 활용 교육이 컴퓨팅사고력, 로봇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고, 좌, 우뇌 선호에 따 른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소재 A 청소년수련관 방학 특강에 참여한 초등학생 17명을 대상 으로 로봇 활용 교육을 실시하고, 대응 표본 t검정, 맨-휘트니 유 검정을 통해 평균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로봇 활용 교육을 실시한 후 컴퓨팅사고력 점수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나, 로봇에 대한 태도 점 수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더불어, 좌우뇌선호에 따른 컴퓨팅사고력, 로봇에 대한 태도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는 로봇 활용 교육의 효과를 검증하고, 좌우뇌선호에 따른 차이를 분석하여, 로봇 활용 교육에 대한 이해를 확장시켰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is study intends to examine the effects of education using robot on computational thinking and attitudes according to left and right brain preference. To execute the study, 17 elementary students at A youth training center in Seoul were selected to participate in the education. And the mean difference was analyzed using matched pair t-test and Mann-Whitey U test. As a result, after participating in the education, there was some statistical significance found in the scores to test student’s computational thinking, but not statistical significance on the attitudes. Furthermore, there was no significance found in computational thinking or attitude according to the left and right brain prefer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can be found in that it expands the understanding of education using robot by verifying the efficacy and analyzing differences according to left and right brain preference.

      • KCI등재후보

        방과후학교 로봇교육 프로그램이 아동의 로봇에 대한 태도와 기술적 사고성향에 미치는 영향

        백성희,금지헌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4 實科敎育硏究 Vol.20 No.2

        이 연구의 목적은 방과후학교 로봇교육 프로그램이 아동의 로봇에 대한 태도와 기술적 사고성향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데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C 초등학교 방과후학교 로봇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는 아동 26명을 대상으로 프로그램 적용 전․후에 로봇에 대한 태도와 기술적 사고 성향을 조사하여 그 결과를 비교하였다. 로봇교육 프로그램의 내용은 ‘Soccer Bot으로 드리블하기, 배틀무기를 이용한 Spike Bot으로 배틀게임하기, 주사위를 던져주는 Dice Bot으로 보드게임하기, 고속으로 씽씽 달리는 Scooter Bot으로 경주하기, Formula Bot으로 포뮬러 경기하기, Sweep Bot으로 주변 청소하기, 불꽃모양의 배틀무기를 이용한 Blaze Bot으로 배틀게임하기, Bug Bot으로 걸음을 옮겨 장애물 피하기’이며 8주간 적용하였다.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방과후학교 로봇교육 프로그램은 아동의 로봇에 대한 태도의 함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특히, 로봇과 흥미, 로봇의 중요성 요소의 함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방과후학교 로봇교육 프로그램은 아동의 기술적 사고성향의 함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특히, 기술적 호기심, 기술적 분석, 기술적 문제 파악 및 해결, 기술적 조작, 기술적 계획 및 성찰 요소의 함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로봇은 초등학교 방과후학교 프로그램으로 적합한 소재로 아동의 만족도가 높았고, 방과후학교는 실과 교과의 로봇 영역을 보완할 효과적인 방법이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after school robot program on attitudes toward robot, technological thinking disposition of children. The subjects included 26 from first graders to second graders in two after school classes in C elementary school. Over eight weeks, they participated in after school robot program. The content of the after school robot program was organized with “making a soccer bot, spike bot, dice bot, scooter bot, formula bot, sweep bot, blaze bot, bug bot.” The changes to attitudes toward robot, technological thinking disposition of the subjects were measured to test the effects of after school robot program. The study also analyzed mean, standard deviation, and paired-sample t-tests for a comparison of the pre- and post-test results.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s and discussions, the study reached the following conclusions:First, the after school robot program positively affected attitudes toward robot of children, especially with respect to improving their interest of robot, consequences of robot. Second, the after school robot program were effective in enhancing the technological thinking disposition of children, especially in the areas of technological curiosity disposition, technological analyze disposition, technological problem identifying and resolving disposition, technological operating disposition, technological planning and reflecting disposition. Finally, the robot was a topic appropriate for after school program in elementary schools and children’s satisfaction was hig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