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소외 학생들이 경험한 학교에서의 삶-또래관계 소외 속 살아냄을 중심으로-

        김윤영,박종률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22 敎員敎育 Vol.38 No.2

        Purpose: This study is an experiential study with the purpose of phenomenologically analyzing thelife experienced by students who are marginalized in peer relationships at school, revealing in detailhow to live in alienation, and comprehensively understanding the phenomenon of alienation. Methods: The study participants were selected from among the 3rd grade students of B high schoolin A city, Gyeonggi-do, after nomadic sampling and validation. The experience of alienation of thestudy participants was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participant memoirs, and movie reviewsrelated to alienation, and categorization was made in the order of central meaning, revealed themes,and essential themes using an inductive thematic analysis method. The derived themes were arrangedin the dimensions of physicality, temporality, spatiality, and relationality, which are the four fundamentalexistentials suggested by Max van Manen, to phenomenologically grasp the lives of students alienatedfrom peer relationships. Results: A total of 53 central meanings and 20 revealed themes were found as a result of analyzingthe lives of students living in peer-relationship marginalized schools. Finally, 9 essential themes werederived by categorizing them. In terms of physicality, students who are alienated from peer relationshipsare ‘experienced hell in this life’, ‘limited situations’, and forced to walk a tightrope. In terms oftemporality, ‘Moebius of hardship’, ‘time of lost life’, and spatial dimension ‘in a familiar land’ Hewas living the life of ‘exile’, ‘a cliff with nowhere to go’, ‘broken chain’ in terms of relationship,and ‘solitude in the crowd’. Peer-related alienation was largely occurring in the regular curriculum,such as peer culture and class scenes in the potential curriculum.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teachers' interests and roles were discussed, andit was concluded that teachers should make continuous efforts focusing on prevention as well as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alienation. Lastly, teachers' efforts to prevent alienation were presented,and follow-up studies related to alienation were suggested. 연구목적 본 연구는 또래관계 소외 학생들이 경험한 학교에서의 삶을 현상학적으로 분석하여 소외 속살아냄을 구체적으로 드러내고 소외 현상을 종합적으로 이해하는 데에 목적을 둔 체험연구이다. 연구방법 연구 참여자는 경기도 A시 B고등학교 3학년 재학생 중 유목적 표집과 타당성 검증을 거쳐8명을 선정하였다. 심층면담, 참여자 회고록, 소외 관련 영화 감상문을 통해 연구 참여자의 소외 경험을수집하였고 귀납적 주제 분석법을 이용하여 중심의미, 드러난 주제, 본질적 주제의 순서로 범주화가 이루어졌다. 도출된 주제는 Max van Manen이 제시한 4개의 근본적 실존체(four fundamental existentials)인신체성, 시간성, 공간성, 관계성의 차원으로 배열하여 또래관계 소외 학생의 삶을 현상학적으로 파악하였다. 연구결과 또래관계 소외 학생들이 살아내는 학교에서의 삶을 분석한 결과 총 53개의 중심의미와 20개의드러난 주제가 발견되었으며, 이를 범주화하여 최종적으로 9개의 본질적 주제를 도출하였다. 또래관계소외 학생들은 신체성 차원에서 ‘이승에서 체험한 지옥’, ‘한계상황 봉착’, ‘내몰린 외줄타기’, 시간성 차원에서 ‘고난의 뫼비우스’, ‘잃어버린 삶의 시간’, 공간성 차원에서 ‘친숙한 땅에서의 유배’, ‘갈 곳 없는낭떠러지’, 관계성 차원에서 ‘끊어진 체인’, ‘군중 속 고독’의 삶을 살아내고 있었다. 또래관계 소외는 크게잠재적 교육과정 속 또래문화와 수업 장면과 같은 정규교육과정에서 일어나고 있었다. 결론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교사의 관심과 역할에 관해 논의하였으며, 교사는 소외에 대한 종합적인 이해와더불어 예방에 중점을 두고 지속적으로 노력해야 한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소외를 예방할수 있는 교사의 노력 방안을 제시하였고, 소외 관련 후속 연구를 제언하였다.

      • KCI등재후보

        아동이 지각한 부모갈등 및 또래관계가 소외감에 미치는 영향

        황지연 ( Ji Yeon Hwang ),이영애 ( Young Ae Lee ) 한국놀이치료학회 2009 한국놀이치료학회지(놀이치료연구) Vol.12 No.3

        본 연구에서는 아동이 지각한 부모갈등 및 또래관계가 소외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였다. 연구 대상은 경기지역의 초등학교 5, 6학년 452명이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이 지각한 부모갈등이 소외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에 따라 살펴본 결과, 남·여아 모두 부모갈등이 소외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성별에 따른 양상의 차이는 보고되지 않았다. 둘째, 아동의 또래관계의 하위 요인 중 정서적 지지와 공동활동이 소외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에 따라 살펴본 결과, 다른 양상을 보였다. 남아의 경우, 정서적 지지와 공동 활동이 소외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여아의 경우는 정서적 지지만이 소외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아동이 지각한 부모갈등 및 또래관계가 소외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부모갈등변인을 통제한 후 살펴본 결과, 또래관계의 하위요인 중 정서적 지지와 교환 활동이 소외감에 독립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에 따라 살펴본 결과, 다른 양상을 보였다. 남아의 경우, 또래관계의 하위요인 중 정서적 지지와 공동 활동이 소외감에 독립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여아의 경우, 또래관계의 하위요인 중 정서적 지지가 소외감에 독립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hildren`s perceived marital conflict and peer relationship on children`s aliena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52 children of 5th or 6th graders in Gyeonggi-do. The results of study are as follows: First, children`s perceived marital conflict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children`s alienation. However, gender difference had not been observed. Second, there were gender differences in the connection between the peer relationships and the alienation. In boy`s cases, the emotional support and common activities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children`s alienation; in girl`s cases, however, the emotional support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children`s alienation. Third, in research of the effects of children`s perceived marital conflict and peer relationship on children`s alienation, the emotional support and common activities without children`s perceived marital conflict relation showed independent effects on boys. And the emotional support without children`s perceived marital conflict relation showed independent effects on girls.

      • 피학대경험이 아동의 비행과 또래관계 소외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오연희 ( Yeon Hee Oh ) 서울여자대학교 사회복지연구센터 2012 사회복지실천 Vol.11 No.-

        본 연구는 아동학대의 심각성을 인지하고 비행과 또래관계 소외의 예방 및 치료를 강화하며 사회적 지지의 역할을 모색하고 다양화하는 계기를 마련하여 개입 방안에 대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의 목적을 이루기 위해 총 네 개의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아동의 피학대경험이 비행행동에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아동의 피학대경험이 또래관계소외에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아동의 피학대경험은 비행에 미치는 영향이 사회적 지지에 의해 조절되는가? 넷째, 아동의 피학대경험은 또래관계로부터의 소외에 미치는 영향이 사회적 지지에 의해 조절되는가?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분석 자료로서 서울아동패널 3차년도 자료를 이용하였다. 종속변수는 비행과 또래 관계 소외이며, 독립변수는 신체적 학대, 정서적 학대, 방임으로 구성되었다. 조절변수인 사회적 지지는 부모 유대감, 또래지지, 참여활동 및 서비스로 설정하였고 인구사회학적 요인(성별, 빈곤, 자아존중감, 부모의 학력, 가족 구성형태)을 통제변수로 보았다. 연구문제 및 가설을 감정을 검증하기 위해서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 하였다. 인구사회학적 요인을 통제하였을 때, 첫 번째 연구문제에서는 정서적 학대가 비행을 유의미한 수준에서 설명 하였다. 두 번째 연구문제 분석결과에 따르면 또래관계소외를 유의미한 수준에서 설명하는 독립변수는 없었다. 세 번째 연구문제 분석결과, 조절효과를 보기 위해 학대경험과 사회적 지지의 상호작용변수를 추가하였지만 유의미하게 비행을 설명하는 변수는 없었다. 네 번째 연구문제에서는 상호작용을 투입하였을 때, 조절변수인 부모 유대감이 유의미하게 또래소외를 설명했는데 이는 신체적 학대경험이 높은 아동의 부모유대감이 높을수록 또래 소외정도가 높아짐을 말한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도출해 볼 수 있는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의 피학대경험에 대한 비행과 또래 관계 소외라는 문제를 동시에 다뤘다는 부분에 의의를 갖는다. 둘째,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보았는데 여기서 사회적 지지가 받고 있는 서비스 및 참여활동을 포함하여 보다 거시적 맥락의 사회적 지지를 다루었다는데 의의를 갖는다. 셋째, 본 연구의 분석결과, 신체적 학대뿐만 아니라 정서적 학대와 같은 비가시적인 학대유형도 사회문제로 인식하고 예방하는 제도화가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hat people recognize the severity of child abuse, intensify prevention and treatment of delinquency and peer rejection, and offer useful information about intervention strategy by exploring role of social support and making various opportunity. The author sets four study questions to make an object of this study. First, does child abuse affect to their delinquency? Second, does child abuse affect to their peer rejection? Third, the impact of child abuse in delinquency is controlled by social support? Fourth, the impact of child abuse in peer rejection is controlled by social support? The author used Seoul Panel Study of Children(SPSC)`s third data as analyzing data to solve these study questions. In this study, a dependent variable is consist of delinquency and peer rejection, and a dependent variable is consist of physical abuse, emotional abuse, and neglect. Social support which is a moderating variable is set by parent-child bond, peer support, and service. Then, demographic factors(sex, poverty, self-esteem, parents` education level, and family form)are regarded as control variables. To verify study questions and hypothesis`, the author use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hen demographic factors are controlled, emotional abuse which is one of child abuse is significant at delinquency in first question result. In second study question result, There is no independent variable which is significant at peer rejection. In third study question result, there is no variable which is significant at delinquency despite of adding interacting variables about experienced abuse and social support to observe moderating effect. In fourth study question result, parents`bonding which is moderating variable is significant at peer rejection. It means that if parents` bonding is low, peer rejection will be high. There are some implications based on above results. First, this study handles the impact of child abuse in delinquency and peer rejection at the same time. Second, a meaning for this study to include social service. Third, it shows that people should recognize not only physical abuse but also emotional abuse as one of social problem, and need a system to prevent these problems.

      • KCI등재

        또래관계 소외 학생들의 체육수업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Max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

        김윤영(Yunyoung Kim),박종률(Jonglyoul Park)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021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Vol.28 No.1

        이 연구의 목적은 또래관계 소외 학생들의 체육수업 경험을 현상학적으로 분석하여 체육수업 참여 과정에서 나타난 삶의 변화와 체육수업의 본질적 의미를 탐구하는 것이다. 연구 참여자는 경기도 A시에 위치한 B고등학교 3학년 재학생 중 또래관계 소외 경험이 있는 8명을 선정하였다. 심층면담, 회고록, 영화감상문 등을 통해 수집된 체험 자료는 귀납적 주제 분석법을 이용하여 중심의미, 드러난 주제, 본질적 주제로 구성하였다. 도출된 주제는 Max van Manen이 제시한 4개의 근본적 실존체(four fundamental existentials)-신체성, 시간성, 공간성, 관계성-의 범주로 해석 및 재구성하여 체육수업 경험을 현상학적으로 파악하였다. 체육수업을 통한 삶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 총 61개의 중심의미와 29개의 드러난 주제, 12개의 본질적 주제를 도출하였다. 학생들은 체육수업에서 소외해소의 가능성을 발견하고 그 안에서 소외를 벗어나기 위해 노력하여 변화된 삶을 맞이하였다. 학생들이 경험한 체육수업의 본질적 의미를 분석한 결과 총 25개의 중심의미와 12개의 드러난 주제, 4개의 본질적 주제를 도출하였다. 학생들은 체육수업을 ‘삶의 활력소’, ‘소외 해소의 기점’, ‘만남과 소통의 장’, ‘관계 개선의 열쇠’로 의미화하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체육수업과 소외현상, 체육수업의 본질에 관해 논의하였고, 또래관계 소외 연구 분야의 이론적 확장을 위한 후속 연구를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life and the essential meaning of physical education classes in the course of physical education participation by phenomenologically analyzing the physical education experiences of students in peer relationships. Participants in the study were selected from eight B-grade high school students located in A-city, Gyeonggi-do, who had alienated peer relationships. Experience data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memoirs, and movie appreciation were composed of central meaning, revealed themes, and essential themes using inductive thematic analysis. The derived subjects were analyzed and reconstructed into the categories of four fundamental existentials proposed by Max van Manen-physicality, temporality, spatiality, and relationality-to grasp phenomenological experiences in physical educa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changes in life through physical education classes, a total of 61 core meanings, 29 revealed topics, and 12 essential topics were derived. Students discovered the possibility of resolving alienation in the physical education class, and tried to escape alienation in it, and met a changed life.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ssential meaning of physical education classes experienced by students, a total of 25 central meanings, 12 revealed topics, and 4 essential topics were derived. Students meant physical education classes as “the vitality of life”, “the starting point of resolving alienation”, “the place of meeting and communication”, and “the key to relationship improvement”.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e nature of the physical education class, alienation phenomenon, and physical education class were discussed, and further studies were proposed for the theoretical expansion of peer-related alienation research.

      • KCI등재

        어머니의 애착이 여자청소년의 또래관계 소외에 미치는 영향 : 어머니의 사회성, 여자청소년의 애착 및 사회성을 매개를 중심으로

        원수경(Won Su-kyung),손보영(Son Bo-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20

        본 연구는 애착의 세대 간 전이 모델을 바탕으로 어머니의 원가족 애착이 여자청소년의 애착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여자청소년의 또래관계 소외 경험에 있어 어머니의 애착과 사회성, 여자청소년의 애착과 사회성 간의 구조적 관계를 확인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04년 8월~9월에 걸쳐 중·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여자청소년과 어머니 312쌍 자료를 수집하여 구조방정식모형(Structural Equation Model : SEM) 분석을 하였으며, 분석을 통해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애착은 여자청소년의 애착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어머니의 사회성은 여자청소년의 사회성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3개의 완전매개효과가 확인되었는데, 어머니의 애착이 여자청소년의 애착, 사회성을 거쳐 또래관계 소외에 이르는 경로와 어머니의 애착이 어머니의 사회성과 여자청소년의 사회성을 거쳐 여자청소년의 또래관계소외에 이르는 경로, 어머니의 애착이 여자청소년의 애착을 거쳐 또래관계소외로 이르는 경로 모두 정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 그리고 추후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mother’s sociality, female youth’s attachment, female youth’s sociality in the relationship of mother s original family attachment between female youth’s peer rejection based on the intergenerational transition model of attachment. A total of 312 pairs of data from female youths and mother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SEM). The study found that first, mother’s attachment has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female youth’s attachment and mother’s sociality also has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female youth’s sociality. Second, the effect of mother’s attachment on female youth’s peer rejection is fully mediated by female youth’s attachment, female youth’s sociality and is fully mediated by mother’s sociality, female youth’s sociality. The final mediating effect was confirmed in the path from mother’s attachment to female youth’s attchment to female youth’s peer rejec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 KCI등재

        또래관계에서의 소외가 사이버비행에 미치는 영향 : 일반긴장이론과 비행기회이론을 통하여

        최진실,장현석 대한범죄학회 2017 한국범죄학 Vol.11 No.3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alienation from the peer-relations on the cyber-delinquency based on general strain theory and delinquent opportunity theory. Specifically, the influences of the alienation from the peer-relations on the juvenile aggression as well as the computer-using time were examined. Also, we investigated whether the aggression and computer-using time played as mediation factors. Using KCYPS Middle 1 dataset wave 3(2012) data, this study examined the research questions with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method. Independent variable, the alienation from the peer-relations, was not directly related to the cyber-delinquency. Through the mediation factor, aggression, the alienation from the peer-relations gave influences on the cyber-delinquency. When the aggression led to the cyber-delinquency, the opportunity factor, computer-using time, played as a mediation factor. Overall, the alienation created the strain(aggression) among juveniles and aggression directly led to the increase of cyber-delinquency. At the same time, the strain also led to the increase of computer-using time and it led to the cyber-delinquency. 본 연구의 목적은 일반긴장이론과 비행기회이론을 통해, 또래관계에서의 소외가 사이버비행에 미치는 영 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또래관계의 소외가 긴장요인인 공격성, 기회요인인 컴퓨터 사용시간과 어떠한 관계를 보이는지 그리고 이 두 매개요인이 사이버 비행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청소년 패널조사 중1자료 3차년도(2012) 데이터를 이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으 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또래관계에서의 소외가 사이버비행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는 않았지만, 매개변 인인 공격성을 완전매개로 하여 사이버비행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공격성이 사이버비 행으로 연결될 때, 컴퓨터 사용시간이 매개역할을 하면서 사이버비행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외 를 통해 유발된 심리적 긴장요인인 공격성이 직접적으로 사이버비행을 증가시키면서 동시에 컴퓨터 사용시 간을 증가시켜서 비행의 기회를 증가하게 되고 결국 사이버비행이 더 증가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 KCI등재

        아동의 자아존중감 영향변인 분석: 사회ㆍ인구학적 특성, 건강상태, 방임ㆍ학대, 또래 의사소통ㆍ소외, 교사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손병덕,허계형 한국청소년학회 2016 청소년학연구 Vol.23 No.10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socio-demographic variables related to child’s self-esteem, and to investigate how to selected variables such as health status, neglect·abuse, peer communication·isolation, and relationship with teachers have impacts on child’s self-esteem. This study used the data of 5th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tudy (2015). The subject comprised 2,110 5th graders in elementary schools. Using SPSS 21 version, frequency, Cronbach α value, t-test,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results were displayed. First,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ree were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s among child’s health status, neglect, and abuse experiences. Second, statistical analysis showed that school location, gender, and academic achievement differentiated child’s self-esteem. Third, the results further indicated that child’s health status, neglect, peer communication, and relationship with teachers, controling of socio-demographic variables, affected child’s self-esteem. Based on study results, implication suggestions for policy and program increasing child’s self-esteem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아동의 자아존중감에 관련된 사회인구학적 변인들을 파악하고, 아동의 건강상태, 방임·학대, 또래 의사소통·소외, 교사와의 관계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기를 시도하였다. 연구대상자는 한국 아동·청소년 패널조사(Korean Child and Youth Panel Survey: KCYPS) 자료 중에서 초등학교 1학년 패널 제5차 년도(2015) 데이터(2,110명)를 사용하였으며, 연구목적에 따라 사회·인구학적 특성을 살펴보기 위해 빈도 및 백분율 산출, 사용 척도의 신뢰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Cronbach α계수 산출,건강상태, 방임, 학대, 또래 의사소통, 또래 소외경험, 교사와의 관계, 자아 존중감의 남녀 차이를 살펴보기 위하여 t-test, 그리고 선택한 변인들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학대, 방임, 건강상태에 있어 남녀 간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사회·인구학적 변인들 중 아동이 재학하는 학교지역, 성별, 학업성취수준이 아동의 자아존중감에 영향력을 보였다. 셋째, 사회인구학적 변인들 가운데 성별, 학업성취와 함께 아동의 건강상태, 방임·학대, 또래 의사소통·소외, 교사와의 관계가 아동의 자아존중감에 추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아동의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및 정책 개발 적용해야할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연구의 한계, 후속연구에 대하여 추가적으로 논의하였다.

      • KCI등재

        사회성증진 프로그램이 정신과 병동에 입원한 소아ㆍ청소년의 또래관계, 소외감에 미치는 효과

        김정림,하양숙 대한간호학회정신간호학회 2001 정신간호학회지 Vol.10 No.1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ic inpatients have social skill deficits and problems in peer relations. Helping them develop social skills can be undertaken as a nursing interven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 of a sociability promotion program on children's and adolescents' peer relation and loneliness in a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ic unit. Data were collected from March 1, 1999, to September 30, 1999. The 28 subject were selected from the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ic unit of a university hospital, 14 patient were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14 were assigned to the control group. The study had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post design. For 8 weeks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Sociability Promotion Program that met weekly for one hour. The control group received no treatment. The tools used in this study were sociability promotion program that the researcher designed, Index of Peer Relations(IPR), and Children's Loneliness Questionnaire(CLQ). The control group data were collected first during the first admission week and again after 8 weeks. After the control group data collected, the experimental group data were collected.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the sociability promotion program after their preliminary data were collected. The sociability promotion program were consist of 8 sessions and the program was conducted by one researcher and one nurse.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AS computer program : t-test were used to test the homogeneity of the variables for the two groups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The analysis indicated that the improvement in the experimental group's mean score on peer relation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t was due in part to the sample size of 14. Otherwise, the improvement in the experimental group's mean score on children's lonelines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the improvement in peer relation and children's loneliness mean scores changes among depressed patient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in mean score peer relations and loneliness scores were higher for children than for adolescents, but the difference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us, the sociability promotion program increased children's and adolescents' loneliness in a psychiatric unit. But the study should be replicated with the appropriate sample size and more intensive program.

      • KCI등재

        사회성증진프로그램이 소아 청소년 정신과 입원 환자들의 또래관계와 소외감에 미치는 효과

        김정림,임숙빈,박성희,황보영,신윤실,장난주,서미혜,강정화 대한간호학회정신간호학회 1998 정신간호학회지 Vol.7 No.1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effects of Sociability Promotion Program on the peer relation and loneliness of child-psychiatric inpati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9 inpatients at child-psychiatry unit in S university hospital, 2 schoolers and 7 adolescents. The interventional activity consisted of playful seession structured to have intensive social interactions, such as introduction, relaxation, cooperation, assertive skills, physical contact, and evaluation. Data were collected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by using self-report questionnaire for peer relation and loneliness and direct observation and audio-taping method for activity evaluation. The data were analyzed with Wilcoxon signed Rank Test and Content Analysis.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score on peer relation(p<.05) and loneliness(p<.10) of the subjects through the program. After the program, the peer relation of the subjects became more positive than before and the score of the loneliness decreased. Although it showed positive change, the mean score was still a problematic level. And they were different individualiy, the half of the subjects changed positively, whereas the other half did not. Especially the subjects who had serious problems in peer relation changed much more. However, there were two cases with negative progress, due to changes in medication and his competitive characters. Even the subjects who had no changes statistically became more relaxed and more responsive. Also they became more assertive, more expressive, and appropriately defensive. Before the program, they could not complete sentences, pay attention and give positive feedback to others. But in the group process their voices have turned out louder and their interrupting behaviors have been less frequent. The subjects evaluated that they acquainted with their peer, joyful experience, chances to express themselves, became assertive, sociable and cooperative with others through this program. But they evaluated it was rather difficult to deal with uncomfortable physical environment, speedy procedure, unfamiliar contents of activity, physical contacts, etc. It needs some modifications on this program are required to be applied for the inpatients. In conclusion, Sociability Promotion Program was effective to promote peer relation, social behaviors, and decreasing loneliness. Thus with some modifications on this program can be recommended as a nursing intervention for inpatients with social proble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