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 조선족 여성의 가족사를 통해 본 디아스포라 경험과 생활사

        박경용(Gyeong Yong Bak) 한국아시아학회 2014 아시아연구 Vol.17 No.3

        기억(memories)은 주체의 경험이 비가시적인 형태로 생성, 배열, 간직되므로 경험의 저장고에 해당한다. ‘기억의 환기’는 지나가버린 사건이나 삶의 양태 및 인식, 태도, 신념, 믿음, 가치지향 등의 비가시적인 문화 양상들을 현재로 불러내어 살아 생동감 넘치게 만드는 방법중의 하나이다. 코리안 디아스포라 초기 세대일수록 이주와 적응, 생활사에 대한 기록의 가능성은 더 희박하므로 심층 면담에 의한 기억의 환기 방식이 연구 방법론으로서 유효하다. 심층 면담에 의한 구술생애사의 기록과 해석은 코리안 디아스포라 이주와 적응, 생활사를 이해하기 위한 하나의 연구전략이다. 본고에서는 두만강 접경지역 한 조선족 여성 노인의 삶을 세 딸의 도움을 받아 기억의 환기 방식으로 접근함으로써 조선족 디아스포라 경험과 생활사적 함의를 살펴보았다. 구술자의 본가와 시가 선조들은 일제 강점기에 두만강을 건너 중국 연변의 용정과 도문 일대에 각각 정착했다. 그녀는 용정 석정촌에서 태어나 광석촌으로 이주후 결혼해서는 조양천 시가에 살면서 광복 전후 시기의 삶을 경험했다. 1960년대 초에는 북한 이주와 탈북 귀향 후 돈화시로 이주하여 생의 대부분을 보냈다. 구술자의 가족사를 관통해서는 봉건 전통주의와 일제 식민주의, 중국 사회주의의 중첩된 역사적 맥락이 녹아들어 있다. 한국과 마찬가지로 조선족사회도 이제 전통적 생활양식의 급격한 변화를 겪고 있다. 1970년대까지 지속된 문화대혁명과 1980년대 이후의 개혁개방정책 및 한ㆍ중 수교에 따른 조선족 대이주는 이러한 변화를 추동하는 기폭제가 되었다. 집거 형태의 조선족 마을의 공동화는 머잖아 민족문화의 흔적까지 지우고 말 것이다. 초기 이주 세대가 자연 사멸하기 전에 서둘러 이들로부터 디아스포라 경험과 기억을 추수해야 하는 것은 이 때문이다. Memories are the storeroom that people produce, arrange and store their experiences in an invisible form. ‘The recall of memories’ is the way to make the past vivid, in terms of event, life, awareness, attitude and value. For early generations of Korean diaspora, the in-depth interview is the most useful method because their memories about immigration, adaptation, and everyday lives are hard to be recorded. This study explored the family history of a female Korean Chinese living near the Duman River(豆滿江) with ‘the recall of memories’ method. Her forebears went cross the Duman River and settled down in Domun(圖們) and Yongjung(龍井) cities near the Yanbian(延邊) area. She was born in Sukjung(石井) village and moved to Kwangsuk(光石) village. After getting married, she lived in Joyangchon(朝陽川) and experienced turmoils before and after the 8.15 independence. In the late 1960s she moved into North Korea but fled from the country. In the end, she went to Donwha(敦化) city and thus lived there for most of her life. The whole historical contexts of her living were deeply penetrated by feudal traditionalism, Japanese colonialism, and Chinese socialism. Korean-Chinese societies experienced the rapid changing of lifestyles, as Korea did at that time. The Cultural Revolution sustained by the 1970s, the Reform-Opening Policy, and China`s new diplomatic ties with Korea established in the 1980s have all acted as a catalyst for rapid social changes. As Korean-Chinese converged areas are getting emptied of all as a hollow space, ethnic cultures will gradually disappear into thin air. Therefore, diaspora experiences and memories of Korean-Chinese people should be recorded before the early generation fades away.

      • KCI등재후보

        파독 광부의 디아스포라 노동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색 - 탄광의 막장 안과 밖에서 -

        박경용 ( Bak Gyeong-yong ) 한국다문화 디아스포라학회 2018 다문화와 디아스포라연구 Vol.13 No.-

        본고는 1960년대부터 1970년대에 걸쳐 독일로 파견된 광부들을 대상으로 당시의 탄광 노동 경험과 기억을 심층 면담의 내러티브 방식으로 현재화하여 디아스포라 노동생활사를 재구성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노동현장인 지하 탄광의 ‘막장 안’과 일상생활이 이루어지는 지상의 ‘막장 밖’의 공간으로 나누어 파독광부들의 디아스포라 노동과정과 다문화 경험에 주목하였다. 광부들은 간호사와 마찬가지로 경제적으로 낙후되어 있던 시기 가난으로부터 벗어나기 위한 외화벌이 목적으로 ‘독일 광부’가 되었다. 이들은 파독 후 처음에는 방 하나에 2-4인씩 기숙사에서 합숙생활을 했다. 노동방식은 1일 3교대로 오전, 오후, 야간 등 3개조로 나뉘어 진행되었다. 같은 공간에서 생활하는 사람들 간에도 노동시간이 달라 휴식과 수면 등에서 많은 불편을 겪었다. 그리하여 언어와 현지 사정에 익숙할 즈음에는 민가에 셋방을 얻어 자취생활을 하였다. 광부들은 3년이라는 계약기간 동안 한 푼이라도 더 많은 돈을 벌기 위해 일은 가장 힘들지만 보수가 많은 막장의 채탄(採炭) 작업에 종사하였다. 지하 1,000m의 탄광 내부는 소음과 탄가루, 돌가루 분진으로 가득할 뿐만 아니라, 낙반과 갱도 붕괴 등 안전사고 위험에도 항시 노출되어 있다. 이들은 돈을 많이 벌기 위해 잔업이나 휴일 노동 등 가능한 연장 근무를 희망한다. 파독 광부들은 노동현장과 일상생활 공간에서 다국적 노동자와 현지 독일인들과의 만남을 일상화 한다. 다국적 광부들 사이의 인종적 갈등은 희소한 편이었지만, 때로는 언어와 음식 등의 문화적 차이와 몰이해, 일의 서투름, 규율 위반 등으로 상호 갈등을 유발한다. 광부들이 파독되었던 1960년대에도 독일은 주 5일제 근무를 시행하였다. 광부들은 토·일 휴일에 함께 독일 국내를 비롯한 유럽 여러 나라로 여행을 가거나 생일파티, 쇼핑, 한국 음식 나누기 등을 통해 여가를 보냈다. 일부는 종교생활과 유흥업소 출입 등으로 현지민과의 교류를 통해 다문화 경험도 했다. 광부들의 독일 파견은 개인적 성취에 더하여 국가적으로는 실업난 해소와 국제 관계 향상 및 유럽 한인사회의 기초를 닦고 송금과 차관 도입을 비롯한 외화 유입으로 산업화에도 일조하였다.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reconstruct the everyday lives’ history of diaspora labor by way of in-dept interview about labor experiences, perceptions and memories of Korean coal miners dispatched to Germany in the 1960s and 1970s. For this, I payed attention to diaspora labour processes and multi-cultural experiences which had been practiced in the inner and outer of a blind end in a mine gallery. Beginning, Korean coal miners dispatched to Germany lived in a boarding house, being attached in a coal mine. But they cooked their own meals at a private house from now on because of having interferes with a sleeping and a rest. They labored in the inner of a blind end in a coal mine gallery of 1,000m. So as to earning more money, they labored more hours putting up with their physical fate and danger of accident. Though there were vital a cooperation to foreign laborers in the inner of a blind end in a mine gallery, they had gone through conflicts for various reasons of a different culture(language, food, belief), unskilled operation and contravention of the rules etc. In the outer of a blind end in a mine gallery, they also had multi-cultural experiences through tour to Europe, association with various peoples contacting to church, hiring room, beer drinking, nearby park and stores etc. They achieved not only to their lives but also contributed to economic development, cultural exchange between Korea and Germany, establishing the foundation of Korean society in Europe etc.

      • KCI등재

        한국 거주 고려인 아동의 디아스포라 장소 경험과 의미

        권혜진 한국국제문화교류학회 2022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Vol.11 No.6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diaspor experiences of Korean children living in Korea. For this purpose, 7 Koryeoin children participating in a special after-school bilingual class for the lower grades of S elementary school in A city, Gyeonggi-do, participated. An in-depth interview and a ‘house drawing activity’ were conducted for the research participants. Collected data were categorized and carried out qualitative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places of diaspora experienced by Koryeoin children were appeared as ‘private and individual places’. They perceived alone time as a place and time for homework, rest, and leisure. Second, the places of diaspora experienced by Koryeoin children were appeared as ‘social places’. They displayed intimacy, attachment, and longing for a home they talked, ate, and shared with their family. They also demonstrated social interactions and relationships with family and friends, and at their dining venues. Third, the places of diaspora experienced by Koryeoin children were appeared as ‘made places’ created for play with their friends and pets. Based on the above results, a discussion was carried out on the meaning of place for Koryoin children living in Korea. 본 연구는 한국 거주 고려인 아동의 디아스포라 장소 경험과 의미를 살펴보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경기도 A 시 S 초등학교 방과 후 이중언어 특별수업에 참여하는7명의 저학년 고려인 아동이 참여하였다. 연구 참여자를 대상으로 심층 면담, ‘집 그리기’ 활동을 하였다. 수집자료는 범주화하여 질적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려인 아동들이 경험하는 디아스포라 장소는 ‘사적이고 개별적인 장소’ 로 나타났다. 아동들은 혼자 있는 시간을 숙제, 휴식, 여가 생활의 장소와 시간으로 인식하였다. 둘째, 고려인 아동들이 경험하는 디아스포라 장소로 ‘사회적 장소’로 나타났다. 고려인 아동들은 가족과 대화하고 식사하며 함께 하는 집과 가족 및 친지, 고향 사람들과 사회적 관계를 맺고 유지하는 집, 음식 장소에 대한 친밀감과 애착, 그리움을 나타내었다. 셋째, 고려인 아동들의 디아스포라 장소로 친구들과의 놀이, 반려동물을 위해 ‘만든 장소’로 나타났다. 고려인 아동들은 친구들과의 놀이 경험을 회상하고 반려동물이 있는 장소를 의미화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한국 거주 고려인 아동의 장소의미에 대해 논의를 하였다.

      • KCI등재

        재일디아스포라 문학에 나타난 언어경험 양상 ―김학영, 이양지, 유미리의 작품을 중심으로―

        엄미옥 ( Mi Ok Eom ) 한민족문화학회 2012 한민족문화연구 Vol.41 No.-

        이 글은 재일 디아스포라 작가의 작품에서 공통적으로 드러나는 언어의 경험양상을 살피는 것을 목표로 한다. 그들의 작품에는 모어인 일본어와 모국어인 한국어 사이의 긴장과 갈등 문제가 지속적으로 그려진다. 먼저 김학영은 재일한국인이라는 처지가 말더듬이 현상을 더욱 심화시키고, 같은 재일한국인 내에서도 성적, 세대적 차이로 인한 위계화 속에서 언어적 소외와 억압이 발생하는 상황을 형상화한다. 이양지는 한국인으로서 정체성을 확립하고자 유학 온 인물들이 모어와 모국어 사이에서 겪는 갈등을 통해 모어와 모국어가 픽션화된 하나의 관념에 불과함을 보여준다. 유미리의 작품은 두 작가의 작품과는 달리 언어에 들러붙은 민족성이나 역사성을 배제하고 글쓰기의 수단으로서 언어의 보편성에 천착하고 있다. 이러한 재일 디아스포라 작가의 작품에 나타난 언어경험 양상은 비단 재일한국인뿐 만 아니라, 디아스포라의 보편적인 언어경험을 증언한다. 요컨대 국어와 민족, 국가가하나의 등식으로 연결되어 다수의 언어 내셔널리스트가 소수의 언어 사용자를 배제하고 억압하는 근대국가에 의문을 제기하고, 국민이라는 공감공동체를 형성하는 국어 이데올로기의 자명성에 균열을 가하는 것이다. This article aims at figuring out the common characteristics of linguistic experiences in the Korean-Japanese Diaspora literature. Those works continually describe the tension and conflict between Japanese as mother tongue and Korean as native language. First of all, Kim Hak Young embodies the situation in which stuttering is deepened and linguistic alienation and oppression in the hierarchy is created due to sexual and generation differences even in Koreans in Japan. Lee Yang Ji argues that mother tongue and native tongue are nothing but a fictional concept through the conflicts between the two which students, who came to establish Korean identity, experienced. Different to the two writers, Yu Mi Ri``s works exclude any national or historic characteristics attached to language and pursue universality of language as a means of writing. Such linguistic experiences in the works of Korean-Japanese Diaspora demonstrate linguistic experiences of general Diaspora as well as Korean-Japanese Diaspora. To sum up, it raises an objection of the modern state in which majority linguistic nationalists exclude and oppress minor language users by linking national language, nation and state as an equation. And it also breaks the solid national language ideology with which sympathetic community as nation people is formed.

      • KCI등재

        한인 디아스포라 목회자들의 실천공동체 ― 두바이목회축제를 중심으로

        김효숙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17 기독교교육논총 Vol.52 No.-

        The role of the Korean Diaspora Church as an agency of God’s mission is growing. A pastor’s missionary vision can be the driving force in transforming the Korean Diaspora Church from a traditional church to a missional one, which can be achieved by the pastor’s greater involvement in missionary activities. This year’s Dubai Ministry Festival was a community of practice and learning, with the goal of rediscovering the calling of Korean Diaspora pasto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Dubai Ministry Festival as a community of practice and analyze and interpret the learning experiences of pastors by applying integrated research methods. According to the survey results (N=74), the Dubai Ministry Festival was most effective for “the group of 10-20 years (ministry period) in the 40s (age)” and showed an interaction effect between the age and the ministry period in learning experiences. There was a very high level of correlation among the four components of learning in a community of practice, and the more effective “learning as doing” was, the more effective the learning of the other components was.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causal chain analysis of factors influencing learning experiences, the factors related to “learning as becoming” mainly promoted learning, while the factors related to “learning as doing” interfered with learning. It is difficult to generalize the results of this study because it is a one-time festival with limited participants. However, it is suggested alternative models of education for pastors at the heart of the church crisis and reform, which could include creating a learning community and designing a platform for church renewal and collaboration. 하나님의 선교의 대행자로서 한인 디아스포라 교회의 역할이 커지고 있다. 한인 디아스포라 교회가 전통적 교회를 넘어 선교적 교회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추동력은 목회자의 선교적 비전이며, 이 비전은 목회자가 선교적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과정에서 형성된다. 올해 개최된 두바이목회축제는 한인 디아스포라 목회자들이 사명을 재발견하도록 준비된 실천공동체요 학습공동체다. 이 연구의 목적은 실천공동체로서 두바이목회축제를 탐색하고, 목회자들의 학습 경험을 통합적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분석・해석하려는 것이다. 조사결과(N=74)에 따르면, 두바이목회축제는 ‘10~20년 간 사역한 40대 집단’에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령 및 목회기간 간에 상호작용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천공동체의 학습 차원들 간에는 매우 높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행함으로서의 학습’이 효과적일수록 다른 차원의 학습 또한 효과적일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습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원인연쇄분석 결과에 따르면, ‘됨으로서의 학습’에 관련된 요소들이 학습을 주로 촉진시켰고, ‘행함으로서의 학습’에 관련된 요소들이 학습을 주로 방해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가 일회적 축제의, 제한된 참여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라는 점에서 연구결과를 일반화하기는 어렵다. 그러나 교회 위기와 개혁의 중심에 위치한 목회자 교육의 대안적 모델을 탐색하고, 한국교회를 넘어 세계교회의 갱신 및 협력을 위한 학습공동체 및 플랫폼 설계에 대해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재일한국인 유미리의 소설 연구 - 경험의 문학교육적 가능성에 관한 시론 : 재일한국인 유미리의 소설 연구

        변화영(Byun Hwa-Yeong) 한국문학회 2007 韓國文學論叢 Vol.45 No.-

        This study is intended to analyze every novels published by Yu Miri, especially, categorizing the first person novel, the third person novel and Diaspora novel in detail. Yu Miri wrote her experiences in her first person novels, 〈Fish swimming around the rock〉, 〈Full house〉, 〈Bean Sprout〉, 〈Family Cinema〉 and others on family affairs. Through one of the general features of first person description, she exposed herself as stigmatic self. In her third person novels, such as 〈Tile〉, 〈Gold Rush〉, 〈A Girl Student"s Friend〉 〈Rouge〉 and etc, she focused on the estranged people from the main stream of a society, showing her situation; actually, as a Korean resident in Japan, Yu Miri, herself had to experience of a marginal being. The above works, both first person novels and third person novels telling a collapse of family and the existence of a marginal man, evidence the identity of Yu Miri, as a Korean resident in Japan. Yu Miri, since she published two works; 〈A Man〉 and 〈Life〉, tried to find her roots. One of her works, 〈The Other Side of August〉 is an autobiographical novel in which a maternal grandfather, Yang Imdeuk is hero. While writing 4 generations of family history and turbulent modern history, Yu Miri confirms the diasporatic identify of herself. The work, 〈The Other Side of August〉 is valuable as a diaspora novel from the fact that she uses real names so that the past, present and future of Korea and Japan is plainly revealed from the viewpoint of a Korean resident in Japan and through her identity.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이주의 정주 사이에서 "집" 찾기: 로렌스의 장소론으로 나이폴의 『도착의 신비』 읽기

        오은영 ( Eun Young Oh ) 한국로렌스학회 2016 D.H. 로렌스 연구 Vol.24 No.1

        V. S. Naipaul’s novels have been usually discussed in the context of the diaspora discourse. Many theorists of diaspora have exposed one-sided emphases of migrancy and hybridity to call into question the essentialized and fixed origin of home. This tendency, however, results in ignoring the significanc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and place. Avtar Brah and Sara Ahmed among diaspora theorists quite uniquely argue for the sensuous and geographical nature that home embodies. Interestingly enough, Brah’s and Ahmed’s attempt to foreground home as “the lived experience of a locality” dovetails with Lawrence’s emphasis of “the spirit of place.” In the wide spread of the diaspora discourse, this paper tries to read V. S. Naipaul’s The Enigma of Arrival in the light of D. H. Lawrence’s sense of place. The Enigma of Arrival, written after about 30 years since Naipaul moved from Trinidad to England, records long lists of details of rooting a foreign place, Wiltshire. It is quite surprising to consider that the narrator/author represses and submerges Trinidad as a place below the narrative in his early age famous novel A House for Mr Biswas. The huge gap between his two novels in the sense of place indicates some changes in Naipaul’s sense of place, which show a good example of “a homing desire” of exile; home is not necessarily considered as an essentialized and fixed origin, rather any place can be a home for an exile. A homing desire of exile is no other than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and place that Lawrence emphasized. And yet, Lawrence’s sense of place based on his idea of “blood consciousness” reveals that the narrator’s ‘sensuous’ relationship with place in The Enigma of Arrival is still under the influence of his colonialist taste and ideology to idealize the rural England.

      • KCI등재

        수단 여성의 미니스커트에서 히잡으로: 레일라 아부렐라의 『사원의 첨탑』

        차희정(Hee jung Cha) 한국영미어문학회 2018 영미어문학 Vol.- No.130

        This paper explores Minaret (2005) written by a muslim writer, Leila Aboulela, from a feminist perspective. This thought-provoking and disturbing novel revolves around the transforming process of a muslim woman from innocence to maturity along with her movement from Khartoum, Sudan to London, UK. The paper discusses the physical and spiritual journey of the narrator in relation to diaspora movement and cultural experience of in- betweenness. Aboulela brilliantly illustrates the religious conversion of the westernized modern woman who struggles with male characters such as her executed father, drug-addicted brother, egoistic socialist boyfriend, and immature fundamentalist lover and comes to gain religious spirituality as a redemptive power with the help of a transnational group of muslim women. In doing so, she endeavors to resist anti-Islam stereotyping and to represent a different, if not positive, portrayal of a muslim woman who is not merely victimized but independent, educated, and articulat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