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영상 드론의 운동성과 보기 양식에 관한 소고

        임종수(Jongsoo Lim) 한국언론학회 2017 커뮤니케이션 이론 Vol.13 No.3

        드론은 3차원 입체 공간에서 활동하는 증강현실 기계다. 이 글은 문화기술의 재매개적 논의와 경험적 자료에 입각해 영상 드론을 기계론과 운동론으로 검토하고 이를 영상 드론의 시각적 보기 양식의 관점에서 설명한다. 드론에서 기계성은 드론이 스스로 움직임을 조정해 가는 자동력으로, 운동성은 전통적인 카메라 축(axis)의 제거를 통한 3차원 입체 공간에서의 다양한 공간적 운동으로 정의된다. 따라서 드론은 드론 내 기계적 배치와 대상물과의 공간적 배치를 통해 운용된다. 그렇게 볼 때, 카메라를 단 영상 드론은 이용자로부터 분리되어 입체 공간상의 물리적 운동 과정을 통해 영상을 채취한다. 드론의 물리적 운동은 사물을 다시점적으로 보고자 했던 입체파적 관점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사태를 촘촘하게 들여다봄으로서 현장성과 역동성을 표현하는 힘이다. 이로 인해 영상 드론의 보기는 ‘전방위적 가시성(omni-viewpoint visibility)’이라는 공간적 보기 양식으로 개념화될 수 있다. 전방위적 가시성은 드론 특유의 운동성으로 인해 매끈한 운동성의 영상을 표현한다. 이 영상은 어느 방향에서도 볼 수 있기 때문에 전후좌우, 상하구분이 사라진 운동ᐨ이미지이다. 이 같은 드론 영상에 대한 창의적 제작 활동과 학술적 논의를 통해 드론 미디어학의 지평이 열리기를 기대한다. Drones are augmented reality machines operating in 3-dimensional space. Based on the discussion of remediation in cultural technology and experiential data, this paper examines the visual drones with mechanics and kinetics, then remarked it in terms of the visionary mode of seeing. Mechanism refers to the motility of the drones adjusting its movement, then kinetics refers to the various spatial movement in the aerial space due to the elimination of traditional camera axes. Therefore, drones are operated through the mechanical arrangement within the drone and spatial arrangement with the objects. In that point, visual drones equipped with camera separate from the controller, then gather the image through the physical exercise in 3-dimensional space. Physical movements of drones are a power expressing the vividness and dynamics as seeing the states in detail stepping forward from Cubism trying to see the object with multi-viewing point. As a result, the mode of seeing in visual drone can be conceptualized as spatial seeing called omni-viewpoint visibility. Omni-viewpoint visibility expresses seamless kinetic image due to the drone’s unique mobility. This image can be seen in any direction, so it is movement-image disappeared division of back and forth, left and right, even up and down. We hope that the new horizon of drone medialogy will be opened through the creative production activities and academic discussions on drone images.

      • KCI등재

        드론 영상이 뉴스 수용자의 인식에 미치는 영향 -MBC 뉴스데스크 촛불시위 보도를 중심으로-

        박덕춘(Dugchun, Park) 동국대학교 영상문화콘텐츠연구원 2020 영상문화콘텐츠연구 Vol.20 No.-

        본 연구는 최근 텔레비전 뉴스에 빈번하게 사용되고 있는 드론 영상이 수용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실험 연구이다. 텔레비전 뉴스에서 대규모인파를 촬영한 드론 영상의 유무가 뉴스 수용자의 인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기 위해서, 73명의 대학생으로 구성된 피험자 집단을 드론영상의 유무에 따라 2개의 집단으로 나누어 한 집단에게는 드론으로 대규모 인파를 촬영한 영상이 있는 뉴스에 노출시키고, 다른 한 집단에게는 드론 영상 대신 지상의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으로 편집된 동일한 내용의 뉴스에 노출시킨 후, 이들 피험자들이 느낀 뉴스 기사의 중요도 인식, 기사의 내용 기억 정도, 인파의 규모 인식, 그리고 해당 기사에 대한 완성도 인식등을 설문조사로 측정한 후 이를 변량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드론 영상에 노출된 피험자들이 일반 카메라 영상에 노출된 피험자들에 비해 해당 기사를 더 중요하게 생각하고, 인파의 규모가 더 큰 것으로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드론 영상의 유무가 수용자의 기사 내용 기억과 기사 완성도 인식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is an experimental study that examined the effect of drone images, which are frequently used in television news, on the audience. In this study, to examine the effect of presence of drone images that have recorded large crowd on the perception of news audience, the subjects of 73 university stud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one group was exposed to news article with drone images and the other group without drone image. The survey was conducted to measure awareness of importance of news, memory of news, size of crowd, and completeness of article.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subjects exposed to drone image thought the article more important, the size of crowd larger. However, the existence of the drone image did not affect audience"s memory and awareness of completeness of the article.

      • KCI등재

        경찰장비로서 드론 이용에 따른 개인영상정보 보호방안에 관한 연구

        송가영(Song, Ga Young) 경찰대학 경찰학연구편집위원회 2020 경찰학연구 Vol.20 No.4

        드론은 신기술과 결합하여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 하는 등 드론의 업무 범위는 점차 확대될 전망이다. 경찰 내부에서도 드론이 경찰장비인지에 관하여 「경찰관직무집행법」에서는 명백한 근거를 찾을 수 없지만, 경찰청 훈령에 수색과 구조업무에 드론을 사용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드론을 경찰장비로 간주하는 것으로 보인다. 드론 항공촬영 기술이 국가기관 업무에 활용된다면, 인력·시간·비용 등의 낭비를 줄일 수 있다. 하지만 이를 남용하여 국민의 기본권을 침해하면, 심각한 사회적 문제로 확대될 것이다. 더욱이 드론 항공촬영에 따른 개인정보보호와 관련하여 ‘영상정보처리기기’는 법적으로 배제되어 이를 규제할 명확한 법적 근거가 없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경찰장비로서 드론 이용으로 인한 개인영상정보 보호를 중심으로 인간의 존엄성과 가치 및 사생활의 비밀과 자유를 근거로 보장하는 개인정보자기결정권 등 헌법적 기본권이 실질적 보장될 수 있게 함이 목적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실현하고자 드론 항공촬영의 특징과 개인영상정보 보호의 보호 필요성 등을 검토하여 법률과 명확한 개념의 부재의 한계를 통해 관련 규정의 법률개선을 검토하고자 한다. The scope of the drone"s work is expected to gradually expand, with new technologies combined to create new added value. Even inside the police, there is no clear evidence in Act on the Performance of Duties by Police Officers regarding whether drones are police equipment. However, given that the National Police Agency instruction stipulates that drones can be used for search and rescue operations, it seems to regard drones as police equipment. If drone aerial video shooting technology is used for work at national organizations, waste of manpower, time, and cost can be reduced. However, if it is abused to violate the basic human rights, it will escalate into a serious social problem. Sometimes drones cause physical, property, and mental damage. Furthermore, it creates a problem of invasion of privacy. However, there are insufficient legal regulations on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to solve this problem. "Video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s" are legally excluded in relation to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following drone aerial video shooting. Therefore, there is no clear legal basis to regulate this. As a result, there is no direct regulation for the protection of personal video information.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nsure that basic human rights such as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of personal information, which are guaranteed based on human dignity, value, and privacy, are practically guaranteed, focusing on protecting personal video information through the use of drones. To realize this purpose of research, we will review the characteristics of drone aerial video shooting and the need for protection of personal video information to study the legal improvement of relevant regulations through the limitations of the absence of laws and clear concepts.

      • KCI등재

        드론 장착 카메라를 이용한 하천의 표면유속측정

        류권규(Yu Kwonkyu),황정근(Hwang Jeong Geun) 한국방재학회 2017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7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드론에 장착된 카메라로 하천 수표면을 촬영하여 하천의 표면유속을 측정하는 방법을 개발하는 것이다. 표면영상유속계를 이용할 때, 폭이 넓은 하천의 경우 하천 양안이나 교량 등에서는 충분한 화각을 확보하기 어렵다. 드론을 이용하면 사람이 접근하기 힘든 지역도 쉽게 촬영이 가능하므로 원하는 하천 표면의 영상을 쉽게 촬영할 수 있다. 다만, 드론에 장착된 비디오 카메라는 야간에는 촬영이 어려우며, 아무리 정지비행을 잘 하더라도 영상에는 다소간의 흔들림이 항상 존재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열영상 카메라를 추가적으로 드론에 장착하고, 흔들린 영상에 대해서는 형태 정합법에 의해 보정을 하였다. 영상 보정 과정은 고정된 표정점을 영상에서 추적한 뒤, 기준 영상의 표정점과 보정 영상의 표정점이 일치하도록 보정하였다. 영상 보정 후 영상 처리와 분석프로그램을 통하여 유속을 도출한다. 실험 하천에 대해 적용한 결과 상당히 만족스런 결과를 얻었다. The present study aims to develop a drone-based surface image velocimeter to measure velocity fields of a river surface. When we measure water surface velocity using a surface image velocimeter, it is difficult to get a proper angle of view from bridges or river banks, especially for wide rivers. If we use a drone to take images of river surface, it is possible to access anywhere and get good angle of view. However, most video cameras installed by default on drones cannot take image in night time. And another problem is in most cases the images taken with a drone camera will have small and large sway due to drone stabilization. To solve the problems, we installed a far-infrared camera on a drone and corrected images using a pattern matching technique. In the image correction process, we tracked some reference points on images, and transformed the images to a reference image so that the locations of ground control points on transformed images match to those of the reference image. After the image correction, a surface image volocimeter software can calculates velocity fields from those images. The analyses showed fairly good results.

      • KCI등재

        드론 영상 기반 시설물 점검 - 기준 영상을 활용한 자동 처리 중심으로

        김휘영(Kim, Hwi Young),최경아(Choi, Kyoung Ah),이임평(Lee, Im Pyeong) 대한공간정보학회 2018 대한공간정보학회지 Vol.26 No.2

        교량, 댐, 도로와 같은 시설물의 노후화와 점검 대상 시설물의 증가로 인해 시설물 점검을 위한 보다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방법이 필요하다. 현재의 시설물 점검은 육안 검사와 같이 사람이 접근하는 방식으로 수행되고 있다. 이는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점검자에 따라 결과에 대한 신뢰도 차이가 발생한다. 본 연구는 육안 검사 기반시설물 점검의 효율성과 객관성을 높이기 위해, 기준 영상을 활용한 자동 처리 중심의 드론 영상 기반 시설물 점검을 제안한다. 시설물 점검 체계의 구성과 방식을 확인하고, 드론 영상 기반 시설물 점검의 활용 방안을 파악한다. 영상을 처리하기 위해 먼저 시설물의 드론 영상을 정밀하게 처리하여 기준 영상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한다. 구축된 기준 영상을 기반으로, 새롭게 취득한 드론 영상을 자동으로 처리하여 시설물의 대상면에 기하보정된 영상을 생성한다. 제시한 드론 영상 자동 처리 방법의 정확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시설물의 영상을 기준 영상을 기반으로 처리하였다. 영상의 외부표정요소의 정확도는 0.6cm, 0.01º이었고, 영상에서 추정한 시설물의 위치 정확도는 7.8cm이었다. 본 연구의 방법을 통해 시설물 점검의 비용 절감과 객관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As many facilities such as bridges, dams and roads become deteriorated and the number of facilities to be inspected is increased, we require more efficient and economic methods for facility inspection. The current facility inspection relies on human intervention such as visual inspection, which is usually time consuming and requires a high cost. As it depends on the inspector, the inspection results may not be reliable and objective. This study thus proposes a drone image-based facility inspection focusing automatic processing using reference images to improve the efficiency and objectivity of a visual inspection-based facility inspection. We checked components and methods of the facility inspection system, identified applications of the drone image-based facility inspection. In order to process the images, first, the reference image database is constructed by precisely processing drone images of the facility. Based on the constructed reference images, the newly acquired drone image is automatically processed to generate ortho-images on the target plane of the facility. In order to verify the accuracy of the proposed method, the image of the facility was processed based on reference images. The accuracy of the exterior orientation parameters of images was 0.6cm and 0.01º, and the positional accuracy of target points of the facility estimated from the image was 7.8cm. It is expected that this method will reduce the cost and improve the objectivity of facility inspection.

      • KCI등재

        드론으로 촬영한 영상물의 증거능력 확보방안

        김용진(Yong Jin Kim),송재근(Jae Keun Song),이규안(Gyu An Lee) 한국전자통신학회 2018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Vol.13 No.1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도래와 함께 드론(Drone)의 활용이 다양한 분야에서 급속도로 진보하며 진행되고 있다. 이제 수사(搜査)의 영역에서도 드론이 광범위하게 활용될 것이다. 그동안의 형사사진이 2차원적 디지털 영상에 머물렀다면 드론을 활용할 경우 3차원 영상의 촬영뿐 아니라 그러한 영상물을 3D 프린터로 인쇄할 경우 사건현장의 재현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일차적으로 수사기관이 드론을 이용하여 촬영하는 영상물은 디지털 영상증거로써 증거능력 확보를 위한 요건은 디지털 증거의 증거능력을 갖추기 위한 조건과 다르지 않다. 다만 드론이 과학수사의 새로운 영역으로 자리하게 될 때 드론으로 촬영한 영상물의 진정성을 확보하고 증거로써 활용할 수 있도록 시스템화 하는 것이 긴요한 바 본 논문에서는 드론으로 촬영한 디지털 영상물의 증거능력 확보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With the advent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the use of drone has been progressing rapidly in various fields. Now the drones will be used extensively in the area of investigation. Until now the criminal photographs stayed in 2D digital images, it would be possible to reproduce not only 3D images but also make a crime scene with 3D printer. Firstly, the video images taken by the investigation agency using the drones are digital image evidence, and the requirements for securing the evidence capability are not different from the conditions for obtaining the proof of digital evidence. However, when the drones become a new area of scientific investigation, it is essential to systematize the authenticity of the images taken by the drones so that they can be used as evidence. In this paper, I propose a method to secure the evidence capability of digital images taken by drone.

      • KCI등재

        선형과 특징점을 이용한 연속적인 드론영상의 자동기하보정

        최한승,김의명 한국측량학회 2019 한국측량학회지 Vol.37 No.1

        Images captured by drone have the advantage of quickly constructing spatial information in small areas and are applied to fields that require quick decision making. If an image registration technique that can automatically register the drone image on the ortho-image with the ground coordinate system is applied, it can be used for various analyses. In this study, a methodology for geo-referencing of a single image and sequential images using drones was proposed even if they differ in spatio-temporal resolution using linear features and distinct points. Through the method using linear features, projective transformation parameters for the initial geo-referencing between images were determined, and then finally the geo-referencing of the image was performed through the template matching for distinct points that can be extracted from the images.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the accuracy of the geo-referencing was high in an area where relief displacement of the terrain was not large. On the other hand, there were some errors in the quantitative aspect of the area where the change of the terrain was large. However, it was considered that the results of geo-referencing of the sequential images could be fully utilized for the qualitative analysis. 드론영상은 소규모 지역의 공간정보를 신속하게 구축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어 빠른 의사결정이 필요한 분야에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드론영상을 지상좌표계가 설정되어 있는 정사영상에 자동으로 영상등록할 수 있는 기하보정 기법이 적용된다면 다양한 분석에 활용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선형정보와 특징점 정보를 이용하여 시·공간해상도에 차이가 있더라도 드론을 이용하여 촬영된 단일 영상 및 연속영상을 기하보정할 수 있는 방법론을 제안하였다. 선형정보를 이용하는 방법을 통해서 영상간의 초기 기하보정을 위한 투영변환 매개변수를 결정한 후 영상에서 다수 추출할 수 있는 특징점에 대한 템플릿 정합을 통해서 최종적으로 영상의 기하보정을 수행하였다. 실험을 통하여 지형의 기복이 많이 있지 않은 지역에서는 기하보정의 정확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에 반해 지형의 변화가 많은 지역에서는 정량적인 측면에서 다소 오차가 크게 나타났으나 정성적인 분석에는 연속영상의 기하보정 결과를 충분히 활용가능한 것으로 판단된다.

      • KCI우수등재

        폴리스캠ㆍ드론 활용에 따른 공공부문 개인영상정보 규율체계 방향

        박주희 법조협회 2020 法曹 Vol.69 No.2

        공공부문에서 폴리스캠과 드론의 사용이 활성화됨에 따라 개인영상정보의 보호가 시급하다. 현행 개인정보보호법은 이동형 영상촬영기기에 의한 개인영상정보를 별도로 규정하고 있지 않아, 일반적인 개인정보 수집ㆍ이용 규정인 제15조에 규율된다. 그러다보니 폴리스캠과 드론의 사용범위가 ‘공공기관이 법령 등에서 정하는 소관 업무 수행’이라는 매우 넓은 해석이 적용되어, 국가의 국민감시사회나 규범명확성 및 목적구속원칙 위배성의 문제를 초래하고 있다. 더군다나 폴리스캠과 드론에 대한 운용 규칙이 경찰청 내부훈령으로 있지만 법률상 그 사용의 근거가 없어, 개인정보자기결정권 제한의 법률유보 원칙이 지켜지지 않고 있다. 또한 정보주체는 갑자기 출현한 이동형 영상촬영기기에 언제 자신의 영상정보가 수집되는지를 알지 못해 수집ㆍ이용의 투명성이 확보되지 못하고, 특히 개인영상정보의 원본유지와 엄격한 보관시스템이 요구되지만 공공부문 현장이 이를 제대로 이행할 환경이 되는지도 우려된다. 본 논문은 이러한 공공부문 이동기기 개인영상정보 규율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보호체계 및 법제 개선방안을 논의하였다. 먼저, 개인정보 보호원칙에 개인영상정보 ‘촬영사실의 인식용이성’과 ‘원본성’을 추가 명시해야 한다. 둘째, 개인영상정보에 대한 규율은 ‘개인정보보호법’에 규정을 추가하여 ‘일원화’된 개인정보 보호체계로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개인정보보호법에 ‘개인영상정보 개념’을 명확히 규정하고 영상촬영기기를 고정형과 이동형으로 분류해 각각 개인영상정보 수집 규정을 별도로 두어야 한다. 넷째, 개인정보보호법령에서 이동형 영상촬영기기 사용범위를 범죄의 예방・진압 및 수사, 국민의 생명・신체 보호 등으로 명시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공공부문에서 사용되는 이동형 영상촬영기기에 대하여 개인정보 영향평가를 의무적으로 거치도록 해야 한다. With the use of police cams and drones in the public sector, the protection of personal video information is urgent. The current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does not separately regulate personal video information by mobile video recording devices. It is regulated in Article 15, which is a general provision of personal information collection and use. So, a very broad interpretation is applied that the scope of use of police cams and drones is that ‘public agencies perform jurisdiction prescribed by laws and regulations.’ For this reason, the nation's national surveillance society is concerned, or it leads to a problem that violates the principles of clarity and purpose. Moreover, the rules of operation for police cams and drones are only internally ordered by the National Police Agency, and there is no basis for their use in law. The principle of retention of laws regarding the limitation of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of personal information is not observed. In addition, the information subject does not know when his video information is collected on the suddenly appearing photographing device, and thus the transparency of collection and use is not secured. In particular, it is required to maintain the original video information and a strict storage system. It is also a concern that the field of the public sector will be an environment to properly implement this. This study discussed regulatory system and legislative measure to improve the problems of personal video information regulation in mobile devices in the public sector. First, as a principle of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when processing personal video information, it is necessary to additionally specify ‘easiness of recognition of the recording facts’ and ‘video originality’. Second, the regulations for personal video information must be made into a ‘unified’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system by adding regulations to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Third,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clearly defines the ‘concept of personal video information’ and separates video recording devices into fixed and mobile types, and sets personal video information collection rules. Fourth, in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the scope of use of mobile recording devices should be specified as prevention and suppression and investigation of crime, and protection of people's life and body. Lastly, it is necessary to undergo a personal information impact assessment for mobile video imaging devices used in the public sector.

      • 위성/드론영상 기반 농업가뭄관리를 위한 모니터링 및 자료체계 정립

        남원호 ( Won-ho Nam ),윤동현 ( Dong-hyun Yoon ),장민원 ( Min-won Jang ),김원균 ( Won-kyun Kim ),김희문 ( Hi-mun Kim ),김대의 ( Dae-eui Kim ) 한국농공학회 2018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8 No.-

        가뭄은 다른 재난에 비해 영향면적이 넓고 장기간에 걸쳐 느린 속도로 진행되므로 광역에 걸쳐 전반적인 정보를 획득 할 수 있는 위성영상 모니터링 기술 개발이 필요하다. 신속한 농업재해 대응 의사결정지원을 위한 농업가뭄 모니터링 및 예측 기술이 필요하며, 농업가뭄에 대한 과학적, 체계적, 종합적, 장기적 대응체계 기반 구축을 위해 전국적으로 분포한 농업 분야의 특성상 위성영상 기반의 원격탐사기술의 도입이 대두되고 있다. 원격탐사기술의 발전에 따라 인공 위성과 드론을 위한 실시간 모니터링 기술이 실용화되고 있고, 향후 취득 가능한 위성영상의 해상도는 더욱 높아질 것을 고려하면 위성영상 기반 농업가뭄 모니터링 기술 확보가 요구되며, 국내의 농업·농촌용수 및 농업재해 관리에 있어서 위성영상을 활용한 농업가뭄 판단에 앞서 농업분야에 활용 가능한 위성영상 자료 수집, 분류, 체계화 및 표준화 연구 기반 정립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농업가뭄 모니터링을 위한 위성영상 기반의 농업가뭄자료 분류 및 체계화 정립, 위성영상기반 농업가뭄 모니터링 모델 개발, 드론영상 및 위성영상 연계를 통한 농업가뭄 모니터링 방안 등의 세부 연구내용으로 위성영상과 드론의 통합적인 가뭄 모니터링과 예경보 시스템을 구축하여, 농업재해의 신속한 피해 현황을 파악하여 선제적 대응이 가능하도록 맞춤지능형 의사결정의 지원 및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 KCI등재

        안면인식 드론의 물리보안 활용 한계 및 개선방안 연구

        최연준,김주혜 한국경찰연구학회 2022 한국경찰연구 Vol.21 No.1

        드론은 4차 산업혁명의 핵심기술로써 다양한 기술과 접목할 수 있어 활용범위가 매 우 넓다. 카메라를 장착한 드론의 비행능력을활용하여 기존의 영상감시시스템의한계 인 사각지대를 극복할 수 있다. 또한, 코로나19 장기화로 인해 비대면이 활성화됨에 따 라 계속해서 발전하고 있는 AI를 활용한 안면인식 기술을 드론과 융합하여 영상감시시 스템으로 활용한다면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매우 유용한 물리보안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이처럼 물리보안 시스템을 구축하는 데 있어 드론의 활용도가 매우 높음에도 불 구하고 관련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안면인식 기술을 적용 한 드론의 물리보안 활용방안과 한계 및 문제점을 살펴보고, 이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 시하였다. 드론을 물리보안 산업에 활용하기 위해서는 드론의 배터리 문제, 안전성 문 제 등 기술적인 한계를 보완해야 하며, 드론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 할 수있도록 법적근거마련이필요하다. 또한, 안면인식 기술이 탑재된 드론을활용하기 위해서는 안면인식 기술의 편향성 및 불완전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적 개선 이 필요하며, 민감정보로 분류되는 안면인식 정보를 영상감시시스템에 활용하기 위한 법적 근거 마련이 필요하다. 이와 같은 드론과 안면인식 기술의 기술적 한계와 법적인 문제점들이 개선된다면 드론의 비행 능력과 안면인식 기술의 자동화 처리를 융합한 영 상감시시스템을 활용하여 더욱 효율적인 물리보안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Drones can be integrated with various technologies as the core technology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range of utilization is very wide. It is possible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existing video surveillance system by using the flight capability of a drone equipped with a camera. In addition, if facial recognition technology using AI, which continues to develop due to the prolonged COVID-19, is used as a video surveillance system by converging it with drones, a very useful physical security system can be established in the post-Corona era. Despite the very high utilization of drones in building physical security systems, related research is insufficient. Accordingly, in this study, the physical security utilization, limitations, and problems of drones to which facial recognition technology is applied were examined, and improvement measures were suggested. In order to use drones in the physical security industry, technical limitations such as battery problems and safety problems of drones must be supplemented, and legal grounds must be prepared to create an environment where drones can be actively used. In addition, in order to utilize drones equipped with facial recognition technology, technical improvement is needed to solve the problem of bias and incompleteness of facial recognition technology, and legal basis for using facial recognition information classified as sensitive information in video surveillance systems is needed. If such technical limitations and legal problems of drone and facial recognition technology are improved, a more efficient physical security system can be established by utilizing a video surveillance system that combines drone flight capabilities and automated processing of facial recognition technolog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