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최승자 초기 시의 죽음의식 연구―『이 시대의 사랑』을 중심으로

        문혜연 국제언어문학회 2024 國際言語文學 Vol.- No.57

        본고에서는 최승자 첫 시집 『이 시대의 사랑』에 나타나는 죽음의식을 살펴보고자 한다. 폭력적인 시대라는 외부 구조가 가하는 억압이 내면화되며 최승자의 시적 주체는 죽음을 운명으로 인식하게 된다. 삶에 대한 부정으로 죽음을 갈망하던 시적 주체는 죽음이라는 운명이 수행되지 않음을 깨닫게 된다. 폭압의 시대 속에서 실제적 죽음이 아니라 상징적 죽음을 맞이하게 된 최승자의 시적 주체는 두 죽음 사이에 놓이게 되고, 난처한 삶이 지속되면서 삶의 부정으로서의 죽음까지 부정된 시적 주체는 죽음보다 못한 상태에 놓이게 된다. 이런 맥락에서 최승자의 죽음의식이 단순히 삶의 부정이나 삶을 긍정하기 위한 방법적 태도로만 단정 지을 수 없으며, 필멸을 향한 몸짓이 시적 주체를 불멸로 나아가게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프로이트가 말한 유기체가 비유기체의 상태로 나아가기를 바라는 죽음본능보다는 죽지 않는 영원한 삶을 향해 가는 라캉의 죽음충동과 맞닿아 있다. 본고는 최승자의 시적 주체가 극복해야 할 것은 죽음이 아니라 삶이라는 점에 주목해 죽음의식을 살핌으로써 최승자의 시 세계를 통과하고 있는 죽음의식에 대한 해석의 단초를 발견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In this study, we would like to examine the death consciousness that appears in Choi Seung-ja's first poetry collection, "Love in This Age". The oppression exerted by the external structure of the violent era is internalized, and Choi Seung-ja's poetic subject recognizes death as fate. The poetic subject, who longed for death due to denial of life, realizes that the destiny of death cannot be fulfilled. In the era of oppression, Choi Seung-ja's poetic subject, who faced a symbolic death rather than an actual death, is placed between the two deaths, and as the embarrassing life continues, the poetic subject that even the death as a denial of life is denied is placed in a state worse than death. In this context, it can be seen that Choi Seung-ja's consciousness of death cannot be concluded simply by denial of life or a methodical attitude to affirm life, and that the gesture toward annihilation is driving the poetic subject to immortality. This is in line with Lacan's Death Drive toward an eternal life that does not die, rather than Freud's Death Instinct that wants organisms to progress to a non-organic state. This study focuses on the fact that what Seungja Choi's poetic subject must overcome is life, not death, and hopes to discover a clue to the interpretation of the consciousness of death that passes through Seungja Choi's poetic world by examining death consciousness.

      • KCI등재

        라깡의 ‘두 죽음 사이’와 영화 <곡성>

        강성한 ( Kang Seong-han ) 부산대학교 영화연구소 2018 아시아영화연구 Vol.11 No.1

        고전 할리우드 영화의 속견은 마치 사회적 선(善)에 연결된 심리적 쾌락을 상품화시킴으로써, 즉 영혼의 안락함을 상품화함으로써, 관객을 자신의 무의식으로 접근할 기회를 차단한다. 반면에 영화 <곡성>은 은폐된 장소이며 프로이트가 무의식이라고 명명한 그 곳을 가리킨다. 이 영화는 선의 이데아가 가진 은폐된 환영적 속성을 드러낸다. 그래서 이 영화는 이미지의 관찰자 또는 관객의 고정된 관념을 파괴한다. 새로운 관점의 대립은 관객을 혼동에 빠뜨린다. 상징계에 균열을 도입하는 ‘대상 a’가 작동하기 때문이다. 그것은 실재와의 만남을 예고한다. 외부로부터의 억압과 저항을, 훨씬 더 진보된 철학적인 자기 정체성과 함께 내부의 억압에 중점을 둔 이야기를 시작한다. ‘곡성’이라는 허구적 공간에 출현한 ‘대상 a’는 미끼를 둘러싼 ‘덫’의 ‘섬뜩함’을 연출한다. 그리고 이것은 실재의 흔적을 드러낸다. <곡성>은 두 개의 플롯과 두 개의 주제를 주조해 나간다. 상징계와 실재, 그리고 사랑과 증오이다. 두 축은 대립되면서, ‘공백이라는 유령’을 출현시킨다. 공백은 첫 번째 죽음과 두 번째 죽음 사이에서 들려오는 ‘곡성(哭聲)’의 울림을 소환한다. 곡성이라는 하나의 기표는, 기표의 사슬을 일거에 정지시킴으로서 한계와 가능성의 장소를 보여준다. 등장인물들에게 주어진 언어의 제국은 외부에 대한 상상을 금지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장려하는 방식으로 자신의 유한성을 강화한다. 이 영화에 출현하는 좀비는 주체의 불안과 공포를 극대화시킨다. 상징계의 질서가 흔들리는 곳, 인간과 비인간, 삶과 죽음의 경계 사이가 교란되는 장소로 읽혀진다. 좀비는 오로지 고집스럽게 지속되는 죽음충동의 차원에 머무른다. 그 곳에는 현존하는 지식과 논리의 체계를 벗어난 것이 있으며, 또한 그것은 합리적 언어를 갖지 못한다. 영화 속의 곡성-공동체는 절망이라는 단어가 상상할 수 없었던 역설적 공동체를 구성한다. 이곳은 인간에 대해서 규정된 모든 편견으로부터 마음을 닫는 곳이다. 도래할 규정, 언제나 새롭게 창조되어야 할 인간에 대한 새로운 정의를 욕망하는 장소다. 이 영화는 자신의 주어진 조건들에 대한 사랑이 아닌, 알려지지 않은 가능성에 대한 사랑의 절차를 투영한다. The movie < The Wailing >(2016) is a concealed place. It points to what Freud has called the unconscious. This film reveals the concealed illusory properties of virtuous Idea. Death drive is more prevalent and fundamental than will of virtue. < The Wailing > has a new confrontation that destroys the idea fixed to the audience’s position. And it confuses the audience. This is because ‘object a’ introduces a crack in the symbol system. It predicts a meeting with the real. It starts a story that focuses on resistance to external and internal oppression. What is the ‘object a’ thrown in the fictional space of the movie aimed at? The bait that appears in the movie plays the role of ‘object a’. This is a cinematic fiction, which gives rise to ‘uncanny’. < The Wailing > casts two plots(the symbol and the real) and two themes(love and hatred). The two axes are confronted, and emerge the ‘ghost called blank’. It summons the echo of ‘wailing’, heard between the first and the second deaths. The signifier of wailing stops the chain of signifier at once. And show us the place of limitations and possibilities. The empire of the language given to the characters does not prohibit the imagination of the outside. Rather, it strengthens its finitude in a way that encourages it. The zombie expressed in the movie is a place where the subject’s anxiety and fear are maximized. It is where the order of the symbolic system shakes. It is read as a place that is disturbed between human and nonhuman, the border of life and death. Zombies stay in the dimension of a persistent impulse. Zombies most strongly expose the notion of ‘death impulse’. There is a desire beyond the system of logic. In addition, they do not have a logical language. The ‘wailing community’ in the film constitutes a paradoxical community that the word ‘despair’ can not imagine. It is a community that closes the mind from all the prejudices defined for man. It is a community that desires a new definition of human being, a regulation to come. The film is not a love for the given conditions. It projects a process of love for unknown possibilities.

      • KCI등재후보

        상징적 죽음과 아버지의 이름 - <실미도>, <태극기휘날리며>, <왕의 남자>, <괴물>을 중심으로 -

        강성한 ( Kang Seong Han ) 부산대학교 영화연구소 2016 아시아영화연구 Vol.8 No.2

        이 논문은 네 편의 영화 속의 주인공들은 왜 자살에 가까운 죽음을 선택 하는가라는 의문에 답하고자 한다. 그들의 죽음을 재촉하는 것은 바로 상징적 질서를 대리하는 기표인 ‘아버지의 이름’이다. 네 편의 영화에서 주인공들은 아버지의 빈자리를 메우는 ‘아버지의 변형’들과 동일시하는 자들이다. 주인공들이 놓인 삶의 환경들이 척박하면 할수록 더 강력한 권력으로 회귀하는 실재적 아버지를 그들은 닮아간다. 하지만 그들은 영화에 의해 상징적 ‘죽음’과 실재적 ‘죽음’의 경계 지점에 위치지어진다. 영화의 공통된 갈등구조에는 외부에서 전개되는 고통스러운 현실과 대응해서 주인공들은 심리적으로 어떤 내부적 망령과의 시원적 싸움을 실행한다. 그 내부적 망령은 귀환하는 실재적 아버지이다. 그래서 아버지이름의 ‘아바타’인 그들은 퇴행한다. 그리고 모성적 초자아로 고착된다. 그들의 자아이상의 붕괴는 해체적 불안을 통해서 훨씬 더 무자비하고 혹독하게 ‘사회적 실패’를 처벌하는 ‘모성적 초자아’의 통제를 수반한다. 그리고 결핍된 부성적 자아이상은 가학적이고 파괴적인 충동을 부추긴다. 라캉은 모든 충동은 죽음충동이라고 말한다. 그들은 마침내 죽음충동을 통해서 삶충동을 말한다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swer the question of four movies (SILMIDO, TAEGUKGI, King and the Clown, The Host), “Why they choice death close to suicide?” ‘Name-of-the-Father’ is a signifier that instead of the symbolic order. And it hasten their deaths. They are built on the location of a demarcation between symbolic death and real death by the movie. The collapse of their ego-ideal involves the control of ‘maternal superego’ which punish the ‘social failure’ far more ruthlessly through a deconstructive anxiety. And lean paternal ego-ideal encourages self-destructive and sadistic impulses. They finally say life drive through the death drive.

      • KCI등재

        죄의식과 1980년대적 주체의 탄생

        서영채(Seo, Young-Chae)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4 인문과학연구 Vol.0 No.42

        이 논문은 임철우의 장편소설 백년여관을 통해 1980년대적인 정신의 구체적인 모습을 규명하고자 하는 의도에서 씌어졌다. 그 핵심에 놓여 있는 것은 광주항쟁과 연관된 죄의식으로서, 이 논문에서 그것은 다음 세 가지 요점에서 고찰되었다. 첫째, 1980년대 정신 속에 새겨져 있는 죄의식의 의미, 둘째, 죄의식이 주체화 과정으로 연결되는 양상, 셋째, 죄의식을 통한 주체화가 20세기 한국의 정신사에서 갖는 의미. 요약하자면, 죄의식의 어두운 터널을 통과하는 순간 정신은 주체가 된다. 그렇게 탄생한 주체는 자기 책임의 영역을 찾는다는 점에서 일차적으로 윤리적 주체이며, 또한 책임의 연대를 발견한다는 점에서 공동체적 주체이기도 하다. 임철우의 백년여관은 이런 주체 탄생의 드라마를 내장하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한 텍스트이다. 이 소설에서 임철우는 죄의식의 빈자리를 메워줄 수 있는 매우 구체적인 내용을 확보했다. 그것은 이광수에서 최인훈을 거쳐 오는 동안, ‘죄 없는 책임’이라는 매우 특이한 주체 형성의 드라마가 찾아 헤맸던 것이며, 이것이 확보되었다는 것은 20세기를 관통하며 한국의 근대화 과정과 함께 형성되어온 주체의 서사가 1980년대에 들어서 비로소 하나의 확실한 고정점을 찾았다는 것을 의미한다. 1987년 6월 항쟁으로 구체화되는 민주화라는 단어가 그것이다. 1980년대적인 정신은 ‘두 죽음 사이의 윤리’가 행위의 영역으로 옮겨감으로써 만들어지는 것이며, 거기에서 죄의식은 책임의 영역으로 옮겨감으로써 주체의 서사를 완성한다. 백년여관은 이런 주체화의 드라마를 포착해내고 있다. This paper was written to figure out the spirit of 1980s in South Korea through analysing Yim Chulwoo"s novel, A Hundred Years Inn(백년여관). What lays in the core of it is the sense of guilt related with Kwangju movement; it is looked into on the three points: first, the meaning of the guilt inscribed in the spirit of 1980s; second, the guilt"s becoming to subjectification; third, the meaning of the subjectification made complete through the sense of guilt in the history of thoughts in 20th century Korea. In brief, a spirit is born to be a subject by getting through the dark tunnel of the guilt. Such a subject is at first an ethical subject in that it wants to get to its own place of responsibility; it is a subject of community in that it finds out the chains of communal responsibility. A Hundred Years Inn is a noticeable text in that it harbored a drama of the birth of such a subject; there it showed the subject obtained a certain and concrete content filling out the blank place of guilt, which have been chased by the very odd story of Yi Kwangsu"s and Choi Inhun"s "responsibility without violation". It means that the scenario of subjectification which have been made through 20th century Korea finds out a distinct anchoring point in 1980s; it is the democratization movement which perfectly figure itself out at the June movement in 1987. The spirit of 1980s is built by transforming the energy of "ethics between two deaths" into the act; there the sense of guilt can complete its own story by getting to the realm of ethic of responsibility. A Hundreds Inn incarnated its drama.

      • KCI등재

        유주현 소설의 ‘상처(喪妻)’에의 대응 연구 -「人生을 불사르는 사람들」을 중심으로-

        이지상 ( Lee Jisang ) 한국언어문화학회 2023 한국언어문화 Vol.- No.82

        본 논문은 유주현의 단편 「人生을 불사르는 사람들」에 나타난 남편의 ‘상처(喪妻)’에의 비인간적인 대응을 살핀다. 역사소설가, 상업소설가로 호명되는 유주현은 그의 통상적 평가와 달리, 초기 단편들에서 극한을 이겨내기 위해 분투하는 인간을 다채롭게 그린다. 「人生을 불사르는 사람들」은 그러한 정식화를 벗어나는 저작으로 평가되는데, 그 중심에는 인물이 보여주는 극단적 비인간성이 있다. 본 논문은 정신분석적 개념인 ‘무지’를 경유할 때, 이 역시 유주현의 초기 문학성과 결부되어 재해석될 여지가 있음을 제시하고자 한다. ‘무지’는 삶을 무너뜨리는 실재의 지식을 회피하려는 행동으로, ‘상처’를 겪는 인물의 비인간성을 설명하는 데 핵심적이다. 아내의 죽음을 온전히 언어화할 수 없는 인물은 인간적 정동을 드러내지 않고, 비인간적 ‘기계 되기’를 통해서만 상황에 대응할 수 있다. 본 논문은 ‘무지’의 한 양태인 ‘기계 되기’가 화장장의 죽음 공인 의례에 예속됨으로써 일어남에 주목한다. 화장장은 ‘안죽은’ 망자와 ‘산죽은’ 화부가 주체성의 문제가 부상하는 공간이다. 그러한 문제의 대응인 의례는 완수를 위해 공식적인 절차 이외의 초과적 대상을 필요로 한다. 초과적 대상에 집착함으로써 인물의 비인간성은 더욱 고조되는 것으로 보인다. 본 논문에서는 이를 ‘무지’의 전략으로 파악하고 인물이 보여주는 비인간성이야말로 아내를 향한 순수한 사랑이라는 해석을 제시한다. 이 같은 분석은 작가의 인간성을 향한 섬세한 관점을 읽어낼 수 있다. 이로써, 미완의 상태인 유주현 초기 소설 연구의 기틀이 제공되기를 기대한다. This paper examines the husband’s inhumane response to ‘bereavement of his wife’ in Yoo Ju-hyun's short story The People Who Burn the Lives. Contrary to the general assessment, Yoo Ju-hyun, who has been interpellated a historical and a commercial novelist, colorfully depicts human beings struggling to overcome limitations in his early short stories. The People Who Burn the Lives is considered to be a work that is not cut out for such formulation, with the inhumanity of the character at its center. This paper aims to suggest that, through the psychoanalytic concept of ‘ignorance,’ this also can be reinterpreted in relation to Yoo Ju-hyun’s literary features of early ages. ‘Ignorance’ is the action for avoiding knowledge of the Real of life and is key to explaining the inhumanity of a character going through a ‘bereavement of wife’ in the novel. A character who cannot fully verbalize his wife’s death can respond to the situation only through inhumane ‘becoming a machine’ without revealing human affection. This paper focuses on the fact that ‘becoming a machine,’ an aspect of ‘ignorance,’ occurs by being subordinated to the ritual of death certification in a crematorium. The crematorium is a space where the question of the subjectivity of the ‘undead’ dead and the ‘living dead’ stokers emerges. Rituals, as a response to such problems, require excessive objects beyond the formal process for their fulfillment. It seems that the inhumanity of the character is further heightened by clinging to the excessive objects. This paper identifies this as a strategy of ‘ignorance’ and proposes an interpretation that the inhumanity shown by the character is the love for his wife. This analysis can reveal the writer’s delicate perspective on humanity. As a result, It is expected that this analysis will provide a basis for research on early novels in Yoo Ju-hyun, which is in an incomplete state.

      • 소설 「증묘」에 나타난 두 번째 죽음

        조미희(Jo Mi-Hee) 한양대학교 수행인문학연구소 2010 수행인문학 Vol.40 No.2

        The purpose of this essay is to analyze the concept of ‘the second death’ in the contents of novel 「Jeungmyo」. The fundamental concept of ‘the second death’ that the apparently all-inclusive whole of life and death are supplemented, by both a living death and a deathly life, points to the way in which we can die not just once, but twice. This is death in the real, involving the obliteration of our material selves. But he also suffers a symbolic death. This does not involve the annihilation of his actual bodies, rather it entails the destruction of our symbolic universe and the extermination of our subject positions. The gap between the two deaths can be filled either by manifestations of the monstrous or the beautiful. In Shakespeare’s Hamlet for example, Hamlet’s father is dead in the Real, however, he persists as a terifying and monstrous apparition because he was murdered and thereby cheated of the chance to settle his symbolic debts. But, in Sophocles’ Antigone, the heroine suffers a symbolic death before her real death when she is excluded from the community for the purpose of burying his traitorous brother. This destruction of her social identity instils her character with a sublime beauty. Main character of 「Jeungmyo」who lived within sense of guilt and agonizing symptoms being left in symbolic community realizes work that own position and own must do by repeated Jeungmyo’s action. It is own completion of discontinued death justly. But, this death must become death of redemption and it is self-sacrifice for another person justly that satisfies this condition although it must satisfies repay the debt. This self-sacrificing death can finish enervated and painful life of course leading own in eternity that saves other people. Tragic death been seized in circulation endlessly repeats enemy within sense of guilt and pain is discontinued perfectly and he can die in peace. Therefore, sacrificing gestures of a person who feels guilty can be released the gap between the two deaths and complete second death that is the ultimate annihilation. This corresponds to new creative force being ultimate extinction that second death pres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