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문학공간으로서의 동해

        조규익(Cho, Kyu-Ick) 숭실대학교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14 한국문학과 예술 Vol.14 No.-

        동해는 인간 실존의 경험적 공간이자 상상적 공간, 혹은 치열한 삶의 공간이었다. ‘동해’라는 명칭의 이면에는 오랫동안 이 지역에서 삶을 이어 온 주민들의 의식이 함축되어 있고, 그 집단의식은 이들이 공유해온 각종 설화나 문학에 끊임없이 표출되어 왔다. 본고에서 필자는 동해에 관한 설화 두 편, 가사 두 편, 다수의 현대시들을 분석하여 동해에 대한 지역민들의 인문학적 의식이 어떤 양상으로 전개되어 왔는지 살펴보았다. 설화들[?識丹邱劉郞漂海???대세와 구칠?]에서는 실존 공간의 한계에 대한 인식과 그 대안공간을 모색하고자 하는 욕망이 그려져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제1설화의 주체는 표류하다가 ‘선계’를 만났고, 동해 너머에 자신들이 살고 있는 시공과 다른 세계가 존재한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이 점은 제2설화인 ?대세와 구칠?에서 좀 더 적극적이고 현실적으로 표현된다. ‘더 넓은 세계’를 찾아 떠나간 두 사람의 모험적 개척정신은 근원적으로 동해라는 공간이 있었기에 가능했다. 그런 시기를 지나 중세에 들어오면 동해에 대한 사람들의 의식은 정서적이면서도 현실적이라는, 상반되는 두 측면을 보여주게 된다. 이념을 중시하던 중세의 시대적 특성 상 바다에 대한 정서적 묘사나 해석은 이념을 바탕으로 할 수밖에 없었다. 말하자면 ‘동해의 이념적 패러프레이즈’라 할 수 있을 것이다. ‘가사 속의 동해’는 다른 말로 ‘당위와 존재의 해석적 공간’ 그 자체였다. 이념은 당위의 영역이나 현실은 존재의 영역, 즉 이념에는 그와 다른 모습의 현실이 동반되기 마련이다. 이념으로 덮어버릴 수 없는 현실이 엄연히 존재했는데, 하나의 개념으로 일반화 시킬 수 있는 이념과 달리 현실은 다양하고 구체적이다. 송강의 <관동별곡>에서 그려낸 동해는 송강이 갖고 있던 ‘중세적 정치이념’을 현시하고자 한 도구나 대용물이었다. 말하자면 송강에게 동해는 자신의 이념을 보여주기 위한 보조물일 뿐 ‘절실한 삶의 공간’은 아니었다. 그러나 이와 달리 <정처사술회가>에서의 동해는 절망적 현실에 대한 대안공간이었다. 육지에서 극한상황을 경험한 정처사가 갱생을 위해 찾아간 공간이 바로 동해였다. 그에게 동해는 대안 없는, 유일한 출구였다. 아무리 중세라 해도 이념을 담당하던 상층부 지식인들과 달리 하층부 민초들은 절실한 현실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었음을 확인하게 된다. 현대시에 들어오면, 사람들에게 인식된 동해의 공간성은 보다 다양해진다. 시인들이 동해로부터 다양한 공간성을 해석해낸 것은, 깨달음을 바탕으로 한 결과였다. 동해는 ‘노동의 공간’이자 ‘생태 공간’이었으며, 다양한 개별 세계관을 드러내기 위한 효율적 공간이었다. 예로부터 변함없이 대물림해 오는 ‘노동의 공간’도, 근원적 생명성의 소중함을 노래하는 ‘생태 공간’도, 근원성과 보편성을 함께 언급하는 단순 이미지로서의 동해도, 모두 삶의 본질에 대한 깨달음을 바탕으로 한다는 공통점을 지니고 있음은 물론이다. East Sea was an existential space as well as an imaginative space, or a fierce life space. The name ‘East Sea’ has connotations of people’s consciousness in this area in the past for a long time, and the collective consciousness had been constantly expressed in various tales or literary works. I searched for how the people’s humanistic consciousness has been developed through analysis of two tales, two Kasa works, and several modern poems. I made sure that their wish to describe the limit of existential space and seeking the alternative space are imaged in the tales. Main character of the 1st tale ‘Sikdan’guyurangpyohae’ met an immortal world after drift in the sea. And, he realized that an immortal world is beyond East Sea. The existence of immortal world means that they imagined a new space beyond the actual ‘East Sea’. This is expressed positively and realistically in the 2nd tale ‘Daese and Guchil’. The adventurous pioneer spirit of the two persons, Daese and Guchil was fundamentally possible because of the space ‘East Sea’. People’s consciousness about East Sea in the Middle Age of Korean history became to show an emotional but realistic dimensions. Emotional description or interpretation in the Middle Age when they regarded ideology important could not help being based on ideology. As it were, it can be told as ‘ideological paraphrase of East Sea’. In other words, East Sea in Kasa works was an interpretative space of Sein and Sollen. The East Sea described by Jeong, Cheol in Gwandongbyeolgok was a sort of instrument or substitute that he wished to show his medieval political belief. So to speak, East Sea to Jeong, Cheol was not an urgent life space but an aids to show his own ideology. However, East Sea was an alternative space to a hopeless reality in Jeongcheosasulhoega. In this work, the space that Jeongcheosa confined in a desperate situation searched for new life was just East Sea. To him, East Sea was only an exit without alternative. Even in the Middle Age, people in the lower class could hardly free from the desperate reality. In the step of modern poetry, the spatiality of East Sea recognized to people became more diverse. Poets’ interpretation about the diverse spatiality is from a result based on realization. East Sea was a space of labor, ecology, and effective usage to show poet’s own world view. East Sea as a labor space passing down from ancestors, ecology space describing preciousness of original life, and simply imaginative space are commonly based on understanding about essence of life.

      • 금석문에 표기된 동해 명칭

        이상태 한국이사부학회 2013 이사부와 동해 Vol.5 No.-

        우리나라에서 동해(東海)라는 명칭을 처음 사용한 것은 상당히 오래 전인 고구 려 동명왕 건국기사에서 비롯된다. 이때가 B.C. 59년으로 동해라는 명칭은 삼국이 건국되기 이전인 B.C. 59년부터 사용하기 시작하여 지금까지 우리 민족이 2,000 여 년간 사용해 온 매우 오래된 바다 명칭이다. 동해를 우리 민족이 얼마나 오래 전부터 사용해왔는가를 말해주는 다른 사례를 찾아보면 고구려의 장수왕이 부왕의 업적을 기리기 위하여 5세기에 세운 광개토 대왕비를 들 수 있다. 이 비문 중 제3면에 능을 지키기 위하여 동해 해변 가에 사는 주민 3명을 차출한다고 적혀 있다. 이와 같이 오랜 역사를 가진 동해 바다 명칭은 현존하는 금석문에도 많이 등장 하는데 언제, 어떻게, 어떤 금석문에 표기되었는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한국에는 현존하는 금석문은 수천 종인데, 그 중에 동해 명칭이 표기된 금석문 은 122종이다. 이 중에도 공개를 꺼리는 금석문이 있으므로 공개 열람이 가능한 비문은 43종이다. 시대별로 살펴 본 동해 명칭 금석문 5세기에 제작된 광개토대 왕릉비가 있다. 8세기에는 4종의 금석문에서 동해 바다 명칭을 찾을 수 있고, 9세 기에도 3종, 10세기에는 6종의 금석문에서 동해 명칭을 볼 수 있다. 14세기에는 6종의 금석문이, 16세기에는 2종의 금석문이, 17세기에는 6종의 금석문이 18세기에는 7종의 금석문이 19세기에도 7종의 금석문이 20세기에도 1 종의 금석문에서 동해 바다 명칭을 찾을 수 있다. 43종의 금석문을 형태별로 분류하면 사람들의 공덕을 찬양하는 왕릉비가 3종, 왕자비가 1종, 장군비가 2종, 문신비가 11종, 승려비가 8종 등으로 도합 25종인데 금석문의 반을 차지한다. 불교에 관한 금석문 중에는 범종기가 1종인데 성덕대왕신종기 기문이 있으며, 불상을 만들면서 적은 금석문인 감산사 석조 미륵보살입상 기문과 감산사 석조 아미타불입상 기문이 있다. 사원 건축 내력을 적은 백련사 석비, 광법사 사적비, 신흥사 사적비, 숭복사비 등이 있다. 금석문 중에는 성을 건축하고 그 내력을 적은 금석문도 있는데 영변 철옹성의 축성비에서 동해 명칭을 찾을 수 있다. 이외에도 전쟁에서 승전한 사실을 적고 있 는 비문도 있는데 임진왜란 때의 승전을 기록한 조조암실기와 삼충사묘정비가 있다. 동해 바다는 우리민족의 숭배 대상으로 고려 시대부터 동해신을 모신 사당을 짓고 국가에서 제사 지냈다. 양양에는 지금도 동해 신을 모신 사당이 있는데 그 곳에 동해 용왕을 모신 동해 용왕 묘비가 있고, 삼척에는 동해 바다를 찬양하는 동해비가 현존한다. 동해는 우리민족과 매우 밀접하고 깊은 관련을 맺고 있는 바다였으므로 많은 금석문에서 동해 바다 명칭을 찾을 수 있다. The name of the East Sea was first appeared in Korea a long time ago in the historical document on the founding story of King Dongmyeong in Koguryeo in 59 B.C. The name of the East Sea started to be used long before 59 B.C. before the three countries of Koguryeo, Paekjae and Shilla were established and has been used for over 2,000 years by Koreans. Another evidence to show how long Koreans have used the name of the East Sea is in the tombstone of the Great King Gwanggyeto built in the 5th century by his son, King Jangsu of Koguryeo to celebrate his father s achievements. In the third side of the tombstone, it writes that 3 residents living in the coast of the East Sea were recruited to guard the tomb. The East Sea as the name of the sea with such a long history appears in many stone epigraphs that remain until the present time and the details on when, how and which epigraphs are as follows. There are thousands of historical epigraphs on the stone in Korea and 122 stone epigraphs include the name of the East Sea. Among these, excluding the stone epigraphs that are not open to the public, 43 epigraphs are available to the public. Historically, there is the tomb stone of the Great King Gwanggyeto in the 5th century. The name of the East Sea was found in 4 epigraphs of the 8th century, 3 epigraphs of the 9th century and 6 epigraphs of the 10th century. The East Sea appeared in 6 epigraphs of the 14th century, 2 epigraphs of the 16th century, 6 epigraphs of the 17th century, 7 epigraphs of the 18th century, 7 epigraphs of the 19th century and 1 epigraph of the 20th century. When categorizing 43 epigraphs into types, there are 3 tombstones that glorify good deeds of kings, 1 for a wife of a prince, 2 for generals, 11 for civil officials and 8 for Buddhist monks and the total is 25 epigraphs, which are the half of the available epigraphs. The Buddhist epigraphs include one epigraph on the Buddhist bell for Great King Sungduk, and the epigraphs written during the making of Buddhist statues, which were the stone standing Mireuk Bosal in Gamsan Temple and the stone standing Amitabul in Gamsan Temple. There are stone epigraphs on the building history of temples for Baeryeon Temple, Gwangbup Temple, Shinheung Temple, Sungbuk Temple, etc. Some epigraphs are about building a castle and the celebrating stone for building Cheolong Castle in Yeongbeon includes the name of the East Sea. In addition, there are epigraphs to celebrate the victory of wars such as celebrating stones of Jojoamsil and Myojeong in Samchung Temple that recorded the victory of the war against Japanese in the year Imjin. The East Sea has been worshiped by Koreans and from Koryeo Dynasty, temples worshiping the god of the East Sea were built and the national ceremonies were held. In Yangyang, there is still a temple to worship the god of the East Sea which has the tombstone for the dragon king of the East Sea and in Samcheok, there is a stone for the East Sea to glorify the East Sea. Since the East Sea has been deeply related to our people, the name has appeared in many epigraphs.

      • KCI등재

        환동해 국제관계의 역사와 지정학적 맥락

        배규성 영남대학교 독도연구소 2018 독도연구 Vol.- No.24

        동해의 역사는 지정학 이론과 결합되어 전개되어 왔다. 역사기록에 의하면, 지정학 이전 의 시기인 고대에서 중세까지 동해는 환동해 연안지역 농어민들의 생활(어업과 채집)의 터 전이자 무역 및 문물교류의 ‘열린 바닷길’이었다. 근대기, 일본과 조선의 개항기 동안 동해는 제국주의의 식민지 쟁탈의 바다였다. 미국의 페리제독에 의해 개항된 일본은 청일전쟁(1894-1895)과 러일전쟁(1904-1905)의 승리 를 통해 조선과 동해의 제해권을 장악했고 북방으로 진출했다. 미국과 일본의 환동해를 둘러싼 이러한 제국주의 팽창은 마한의 ‘해양세력론’에 기초해 있다. 1914년 제1차 세계대전이 발발하자 일본은 독일 제국에 대한 전쟁을 선포하고 거의 저항 없이 서태평양에 있는 독일 식민지(북마리아나군도, 캐롤라인군도 및 마샬군도)를 재빨리 장악했다. 전쟁이 끝난 후 국제연맹은 일본에 이들 지역에 대한 위임통치권을 주었지 만, 일본은 인종주의와 문화적 차이 때문에 대동아공영권(大東亞共榮圈, the Greater East Asia Coprosperity Sphere)’을 구축했다. 그러나 결국 일본의 태평양 전쟁 패전으 로 일본이 강점했던 식민지와 점령지가 해방되었다. 이렇게 1차 세계대전에서부터 태평양 전쟁의 시기까지는 주축지역의 세력인 독일과 중국이 안쪽초생달지역과 바깥쪽초생달지역 으로, 즉 해양으로 진출하지 못하도록 안쪽초생달지역인 일본과 바깥쪽초생달지역인 미국 이 협력하였으나, 제1차 세계대전 이후 서구세력의 인종주의적 정책과 문화적 차이에 실망 한 일본이 하우스호퍼의 생활권이론을 도입하여 대동아공영권을 추진하자 미국과 대립했 고, 결국 미국에 패배했다. 이 시기동안 동해는 일본의 제국주의가 지배하는 바다였다. 맥킨더의 심장지역이론과 더불어 스파이크만의 주변지역이론은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소 련 공산주의의 팽창을 막기 위한 미국의 봉쇄정책에 이용되었다. 제2차 세계대전 기간 중 미국은 일본에 의해 림랜드가 통합되는 것을 막기 위해 대륙세력인 소련과 협력하였지만, 2차 대전이 끝난 후, 다시 대륙세력인 소련이 림랜드를 통합하는 것을 막기 위해 패전국인 일본을 해양세력으로서 다시 동맹국으로 끌어들여 대륙세력 소련에 의한 림랜드의 통합을 막았다. 따라서 2차 대전 이후-냉전기 동안 동해는, 특히 냉전의 전환점이 된 한국전쟁 (1950) 이후 남북한이 대치하고 미국과 일본 그리고 소련과 중국이 지원하는 냉전의 바다 가 되었다. G2 중국의 등장으로 탈냉전 이후 오늘날의 지정학은 냉전기 소련의 자리를 중국이 대체 한 형세를 이룬다. 즉, 미국은 대륙세력인 중국이 림랜드를 통합하는 것을 막기 위해 해양세 력으로서 일본과 동맹하여 중국을 포위한다. 이것이 바로 오늘날 동아시아에서의 새로운 미중 신냉전 체제의 핵심이다. 따라서 동해는 북한의 나진항과 두만강 유역 도시 훈춘을 통해 동해로의 출구를 마련한 중국과 미국을 중심으로 남북한과 일본, 러시아가 개입하는 신냉전의 바다가 될 것이다. 해양의 핵심적 의미는 “연결”과 “소통”에 있다. 그러나 동시에 “경쟁과 갈등의 장”, “대 립의 장”, “팽창/침략의 통로”가 될 수도 있다. 오늘날까지도 동해는 역사적으로 동해를 중심으로 펼쳐져 온 환동해 연안국들 간의 지정학적 맥락을 여전히 내포하고 있다. “연결”, “소통”, “협력”보다 “경쟁”, “갈등”, “분쟁”이 동해를 지배하고 있다. The history of the East Sea has been developed in conjunction with geopolitical theories. According to historical records, from ancient times to the Middle Ages(pre-geopolitics), the East Sea was open to trade and cultural exchanges as well as a living space for the people living in the coastal areas of the East Sea Rim. In modern times, during the opening period of Japan and Korea, the East Sea was a sea of imperialist contests for colony. Japan, which was forcibly opened by Admiral Perry of the United States, took control of Chosun and the East Sea through the victories of the Sino-Japanese War(1894-1895) and the Russo-Japanese War(1904-1905), and expanded to the north. The imperialist expansions of Japan and the United States around the East Sea is based on Mahan's theory of Sea Power. When the First World War broke out in 1914, Japan declared war on the German empire and quickly gained control of the German colonies(the Northern Mariana Islands, the Caroline Islands and the Marshall Islands) in the western Pacific with little resistance. After the war, the League of Nations gave Japan mandate over these regions. While from World War I to the Pacific War, the United States in outer crescent area together with Japan in inner crescent area have prevented pivot(continental) forces such as Germany and China from expanding into inner crescent and outer crescent, ie, the ocean,after World War I, Japan disappointed with the racist policies and cultural differences of the Western powers constructed the Greater East Asia Coprosperity Sphere(大東亞共榮圈) by introducing Karl Haushofer's living space theory(Lebensraum), but failed by being defeated in the Pacific war. During this period, the East Sea was dominated by Japanese imperialism. In addition to Mackinder's Heartland theory, Spykman's Rimland theory have been used in the US containment policy to prevent the expansion of Soviet communism after World War II. During World War II, the United States cooperated with the Soviet Union, a continental force, to prevent the unification of the Rimland by Japan, but after the end of World War II, the United States brought back Japan as a sea power to its allies to prevent the integration of rimland by the Soviet Union, a continental force. Therefore, from the end of Second World War to the end of Cold War, the East Sea became a sea of cold war between the United States along with South Korea, Japan and the Soviet Union with North Korea, China. With the advent of China as G2 in the post-Cold War era, today's geopolitics around the East Sea is similar to that of the Cold War era, but with China replacing the Soviet Union. In other words, the United States allied with Japan as a sea power surrounds China in order to prevent China, a continental power from integrating Rimland. This is the essence of the new Cold War system in East Asia today. Thus, the East Sea will become a sea of a new cold war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China with a North Korean sea port Nazin and Tumen river city Hunchun as a exit to East Sea. The core meaning of the sea lies in "Connection" and "Communication". At the same time, however, it may also be a "Field of Competition, Conflict and Confrontation" or "Path of Expansion/Invasion." Up to now, the East Sea still contains the geopolitical context among the East Sea coastal nations, Therefore, "competition", "conflict" and "conflict" rather than "connection","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appear to dominate the East Sea.

      • KCI등재

        중국과 러시아의 북한 북동부 진출과 동해의 지정학적 의미

        이영형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국제지역연구원 2013 아태연구 Vol.20 No.3

        This aims to interpret the conflict structure of the East Sea in a geopolitical standpoint. The Chinese-eastward and the Russian-southward advance policies are to set their benefit lines in the northeastern part of North Korea and the East Sea and to control and manage the East Sea through North Korean ports. Against the movement of continental powers, countermeasures of marine powers are strongly implemented. It has been pointed out that American and Japanese geopolitical strategies are implemented to react to North Korean political actions. However, they are, in fact, blockade policies of marine powers against the expansion of political actions of continental powers. American support for Japan to secure the right for self-defense collectively is acknowledged as a geopolitical strategy with which marine powers jointly react to the expansion of influence of continental powers. China and Russia are competing with the issue of controlling the northeastern part of North Korea and ports along the East Sea. China advances to the northeastern part of North Korea in order to secure the exit to the East Sea. China intends to use the East Sea of North Korea as their inland sea. As Russia is threatened by this, they actively started the railway connection to North Korea and repair work of the Najin port. Russia intends to use Najin port as their logistics base. The relationship between South Korea and Japan, which are marine powers, turn the East Sea into a stage of conflict. The conflict structure arising from the place name of the East Sea, the dominium of Dokdo, and the Japanese execution of collective self-defense right may change the geopolitical characteristics of the East Sea. The geopolitical characteristics of the East Sea have been changing. The geopolitical strategies of continental powers and marine powers are dividing the East Sea into two and the divided marine spaces may be divided again. In the upper part of the divided space, the competition between China and Russia on rights may make the geopolitical characteristics of the East Sea complex. Also, in the southern part of the East Sea, the conflict relationship between South Korea and Japan may change characteristics of the East Sea. Thus, it is required to build the East Sea rim security consultative group with the leading participation of South Korea. 본 글은 지정학적 관점에서 동해의 갈등구조를 해석하는 데 목적을 둔다. 중국과 러시아의 동진 및 남진정책은 북한의 북동부 및 동해에 자신들의 이익선을 설정하고, 북한의 항구를 통해 동해를 안정적으로 통제 및 관리하는 데 있다. 대륙세력의 이러한 움직임에 맞서 해양세력의 대응전략이 강력하게 추진되고 있다. 미국과 일본의 지정학적 전략이 북한의 정치행위에 대한 대응전략 차원에서 추진된다고 지적되지만, 그 내면의 모습은 대륙세력의 영향력 확장에 대한 해양세력의 봉쇄정책이다. 미국이 일본의 집단적 자위권 확보 움직임을 지지하는 현상 역시 대륙세력의 영향력 확장에 해양세력이 공동으로 대응하는 지정전략으로 인식된다. 중국과 러시아가 북한의 북동부 및 동해 항구의 관할권 문제를 놓고 경쟁하고 있다. 중국의 북한 북동부 진출은 동해로의 출구를 확보하기 위함이다. 중국은 북한의 동해를 자신의 내해로 사용하려 한다. 이러한 현실에 위협을 느낀 러시아가 북한과의 철도 연결 및 나진항 보수 공사에 적극적으로 나섰다. 러시아는 나진항을 자신의 물류기지로 이용하려 한다. 해양세력인 한국과 일본관계 역시 동해를 갈등의 무대로 만들어 가고 있다. 동해에 대한 지명표기, 독도 영유권, 그리고 일본의 집단적 자위권 행사 문제 등을 놓고 발생되는 갈등구조가 동해의 지정학적 성격을 변화시킬 수 있게 되었다. 동해의 지정학적 성격이 변화되고 있다. 대륙세력과 해양세력의 지정학적 전략이 동해를 상하로 양분시키고, 양분된 해양 공간 각각이 또 다시 분열될 수 있는 상황으로 나아가고 있다. 양분된 상부지역에서는 중국과 러시아의 이권경쟁이 동해의 지정학적 성격을 복잡하게 만들 수 있고, 동해의 남부지역에서는 한국과 일본을 중심으로 하는 갈등관계가 동해의 성격을 변화시킬 수 있게 되었다. 따라서 한국이 주도적으로 참여하는 환동해 안보협의체 구성 노력이 필요해 보인다.

      • KCI등재

        지역연구 대상으로서 환동해 지역의 설정

        권세은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국제지역연구원 2010 아태연구 Vol.17 No.2

        This paper reviews the East-Sea rim as a research region in the field of area studies based on the level of normative and epistemological perspective. When a area specialist investigates regional problems, he/she needs to answer a few of questions relates to normative and epistemological perspective, for instance, why do I need to study about a certain region? How do I conduct the research with this specific region?The concept of East-Sea rim as a research agenda has not been seriously recognized in scholarly field and seems to be used as an abstract terminology in social and natural science. However, the existential meaning of the East-Sea rim region tends to arouse researchers' interest and have become a generalized concept from the last decade. Therefore, the concept of East-Sea rim is regarded as a specialized research agenda which includes the necessity of systematized study. The purpose of East-sea rim research, as a whole, is to investigate and understand the regional mechanism which could be revealed in terms of the very existence of regional reality. I regard East-sea rim region as one of regions implying ‘complex adaptive system’ at the primary category, and presume the unit level of this region which cannot be reducible to the level of element. I also assume that the whole system of the region is not the same as a sum of independent parts. In sum, I emphasize, the East-Sea rim region needs to be recognized as a composite of multi-layered properties. In other words, it shouldn't be understood as a strictly hierarchical system organized in mechanistic manner, rather, it can be better represented as a form of ‘complex adaptive system.’ Such a system in which the behavior of the whole system cannot be predictable by focusing on the analysis of its components' behaviors, and each property of the whole system tends to emerge from the initial level into the next level - these multi-leveled analysis can be overlapped in the process of investigating. 이 논문의 목적은 환동해 지역연구의 기초적 단계로서 환동해 지역을 규범적 차원과 인식론적 차원에서 고찰하는 것이다. 지역연구는 특정 지역을 왜 연구하는가라는 규범적 차원의 질문에서 출발한다. 그리고 사회적 실재를 어떻게 접근할 것인가의 문제인 인식론적 차원의 논의가 중요한 과제로 등장하게 된다. 환동해권에 대한 관심은 아직 사회적으로나 학문적으로 확대되지 못하고, 환동해 용어가 추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하더라도 지금은 환동해 지역의 존재가 사회적으로 점차 통념화 되어가고 있다. 따라서 환동해라는 개념은 그 현실성을 부여받음으로써 환동해라는 지역단위는 연구의 실천적 의미를 부여받게 되었다. 환동해라는 지역은 다양한 요소들이 상호작용하고 구성되는 세계이다. 이 지역은 단순한 공간이 아닌 능동적인 주체가 환경과 상호 교류하며 역동적으로 형성되고, 자기조직화되는 장(場)이다. 이러한 지역은 특정 요소로 환원하는 방법을 통해 특정 부분을 이해할 수 있지만, 한편으로 그것만으로 설명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다. 복잡적응체계로서 환동해 지역은 존재론적으로 창발되기 때문에 그 복잡한 현상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 중층구조를 가정하고, 근본적으로 세계는 층화되어 있다는 인식을 전제해야 한다. 환동해 지역은 정체성 및 그 유지양식, 메커니즘에 따라 타 체계와 구분되는 체계로 볼 수 있다. 이런 공간은 ‘개념’, ‘메커니즘’을 통해 우리가 인식할 수 있다. 결국 복잡한 현상을 궁극적인 차원으로 설명하는 환원주의를 벗어나 현상을 존재론적 층위에 따라 구분하고, 각각의 층위를 고유한 분석수준으로 삼아 고유의 메커니즘을 밝히는 방법을 모색해야 한다.

      • KCI등재

        동해 지명의 의미‘들’과 영역‘들’의 변화

        김순배(Sun-Bae Kim)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13 문화 역사 지리 Vol.25 No.3

        본 연구는 동해 지명에 간직된 다양한 의미‘들’을 유형화하고 각 지명이 지칭하는 영역‘들’의 변화를 조사한 것이다. 동해 지명의 의미들에는 네 가지 층위, 즉 보통명사로서의 동해, 국명, 해명, 민족 해명이라는 유형들로 구분되며, 시대별, 유형별로 각 지명 의미들이 지칭하는 지명 영역이 하나로 고정되지 않고 꾸준히 변천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대체로 보통명사로서의 동해는 삼국시대, 고려시대, 조선시대를 거쳐 꾸준히 나타나다가 구한말 시기에 크게 증가한 후 해방이후 현대에서는 찾아볼 수 없다. 국명으로서의 동해 지명은 삼국시대 이래 조선시대까지 꾸준히 기록되다가 구한말 시기에 이르러 보이지 않고 있다. 해명으로서의 동해 지명은 가장 일반적인 유형으로 전 시기에 걸쳐 다수의 형태로 존속하였다. 민족 해명의 경우는 조선시대까지 발견되지 않다가 구한말에 등장하기 시작하여 일제강점기에 명맥을 유지하다 해방 이후 현대에 크게 증가하였다. 네 가지 지명 의미들은 시대를 거치면서 각기 다양한 지명 영역을 가지고 있었다. 보통명사로서의 동해는 그것이 쓰인 용례에 따라 신라의 동쪽 바다, 조선 울진현의 동쪽 바다, 또는 구한말에는 아프리카의 동쪽 바다 등으로 각기 다른 지리적 범위를 지칭하였다. 국명으로서의 동해 영역은 시대에 따라 신라국 강역을 지칭하기도 하였고, 이후 고려국 혹은 조선국 영토를 가리키기도 하였다. 해명으로서의 동해 영역은 삼국시대 이래 현대로 오면서 다양한 영역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대체로 현대로 오면서 점차 영역의 크기가 확대되었다. 특히 심국시대 초기 고구려의 동해 영역은 두만강 하구 혹은 함경도 해안이었으며, 신라의 경우 대종천 하구의 ‘동해구’, 즉 경북 경주시 양북면-감포읍 해안을 ‘동해’라 지칭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민족 해명으로서의 동해 지명 영역은 일반적으로 당대의 해명이 지칭하는 물리적인 영역과 일치하며 그 영역에 일정한 민족 정체성의 의미가 부여된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classify the types of meanings of the Name East Sea (Dong-hae) and analyse the each toponymic territories of the meanings of East Sea. Consequently, the meanings of East Sea are divided into four layers, such as common noun, the name of a country, sea name, and sea name with national identity. I identify that the toponymic territories designated by each its meanings have been constantly changed so far. In general, the record 'dong-hae'(東海) as a common noun had been steadily found in the old literatures, ancient documents, and old maps throughout the period of the Three Kingdoms, Goryeo Dynasty (918-1392), and Joseon Dynasty (1392-1897), and then shown on the largest rise at the Late Period of Korean Empire (1897-1910). After the Liberation from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1945), its record has been disappeared in the present-day. The Name East Sea as country's name had not been shown in the Late Period of Korean Empire after constantly recording throughout Joseon Dynasty since the period of the Three Kingdoms. The Name East Sea as sea name is the most general type, it has been recorded and called throughout all historical periods. In particular, The Name East Sea as a reflection of national identity had not been discovered to Joseon Dynasty, and then started to used and recorded in the Late Period of Korean Empire, and barely remained in existence in Japanese colonial period, finally it has largely increased nowadays since the National Liberation. The four meanings of East Sea have had the each diverse toponymic territories throughout historical periods. Especially, the territory of the Name East Sea as sea name has diversely shown us since the period of the Three Kingdoms, in general, its territory has been gradually enlarged until now. Particularly, The East Sea territory of Goguryeo Kingdom in the early Three Kingdom Period corresponded to the mouth of Duman River or the seashore of Hamgyeong-do province, and early Silla Kingdom's East Sea territory corresponded to the mouth of Daejong Stream, 'Donghae-gu' (the mouth of East Sea, 東海口) located on the boundary between today's Yangbuk-myeon and Gampo-eup. Since then, according to the whole territory's change of two Kingdoms, the sea area named as East Sea had gradually expanded to southward or northward.

      • KCI등재후보

        역사를 통해 본 한국인들 생활 속의 東海

        李迎春(Lee Young-Choon) 역사실학회 2011 역사와실학 Vol.45 No.-

        The name of the sea East Sea(東海 Donghae) has been used by Koreans and Chinese since the first century B.C. Furthermore this name represented Korea as people said East Sea meaning Korea. Coins issued in Korea in the 13th century bore the inscription of this very name. In the examples shown above East Sea had a great influence on Korean lives. In history books people have learnt many interesting stories and historical facts from the East Sea. In the Three Kingdom era Buyeo kingdom moved its capital to the east coast there is also a record that Goguryo kingdom claimed its territory to the East Sea. There are many records about whales which were representative of the East Sea. A king of Shilla wanted to be buried in the rock of the East Sea so that he could become a mighty dragon of the East Sea. When a diplomat was detained in an enemy kingdom using a fable of the East Sea the rabbit and the turtle he was able to escape from the enemy country. The East Sea was regarded as a God and a mighty being due to its vastness power imposing and mystical appearance and as a result religious rituals were carried out at a national level twice a year for 1500 years. Many shrines and altars for rituals were built in different regions. Sometimes there were struggles between regions for the rights to the rituals. Due to natural topography there was little difference in the water level between high and low tides on the east coast as a result many Korean researchers and scholars took interest in this phenomena resulting in many scholars taking their study themes from this fact. Withstanding that their theory were more focused on Confucian metaphysical philosophy and less scientific however this showed many Korean scholars and (researchers) were very interested in the natural phenomena of the East Sea and searched for an explanation. The East Sea with beautiful scenery and startling natural phenomena gave much inspiration and ideas to writers and poets who left many impressive works. All in all the ideals expressed in these work were loyalty to their mother country wishing for harmony and love of humanity for all nations in the world. The name of East Sea has been very familiar to Korean people and has been used by Korean people for many thousands of years. We hope this name is permanently used not only by Korean people but also by all humanity in the world.

      • KCI등재

        동해안 지역의 초중등학교 교가에 나오는 동해 지명과 인재상

        심정보(Jeongbo Shim)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20 문화 역사 지리 Vol.32 No.3

        한일 간에 동해와 일본해 표기를 둘러싼 논쟁이 지속되는 가운데, 연구자들은 고문헌, 고지도, 지리 교과서 등을 중심으로 한반도와 일본열도 사이의 바다 명칭을 연구해 왔다. 그러나 노래 가사에 나오는 동해 지명을 분석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런 관점에서 본 연구의 목적은 동해안에 위치한 초·중등학교 교가에 나오는 동해 지명과 기대하는 인재상이 무엇인가를 밝히는 것이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는 동해 바다와 같이 맑고 푸르고 넓은 마음의 인간, 둘째는 동해 일출을 맞이하는 부지런한 역군, 셋째는 동해의 거센 파도와 같은 역경을 극복하는 한국인, 넷째는 동해의 아름다움을 바탕으로 한 애교심의 육성이다. 이처럼 교가에 나오는 동해 지명에는 오랫동안 학교 현장에서 불려 한국인의 정서가 녹아 있다. 한국인의 정체성이 담겨 있는 동해 지명은 우리의 문화유산으로 보존해야 할 대상이다. While debates over the names of the East Sea and the Sea of Japan continue between Korea and Japan, researchers have studied the geographical names of the seas between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Japanese islands, focusing on old documents, old maps, and geography textbooks. However, no research has has analyzed the geographical names of the East Sea in the lyrics of school songs. From this perspective,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clarify the geographical name of the East Sea and the expected concepts of talent in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songs in the east coast region of Korea. The results of the study include: first, a human being with a clear, blue and wide mind like the East Sea, second, a hard worker who greets the sunrise on the East Sea, third, Koreans who overcome a fierce wave of the East Sea and fourth, fostering school spirit based on the beautiful scenery of the East Sea. In this way, the East Sea geographical name has been used in the school songs for a long time, and Korean sentiment is melted in it. The geographical name of the East Sea which contains Korean identity should be preserved as a cultural heritage.

      • KCI등재

        북극해 항로의 동해루트가 독도문제 등에 미치는영향 연구 -안보・군사 등 지정학적 측면을 중심으로-

        박성황 한일군사문화학회 2021 한일군사문화연구 Vol.31 No.-

        중국의 부상에 따라 미중 패권경쟁이 가시화되고 있는 현실에서 미국・일본・인도・호주가 주도하는 <인도-태평양 전략>과 중국이 주도하는 <일대일로 비전>이 각각 새로운 해양질서를 구축하고자 한다. 이같은 새로운 해양질서 충돌의 시행착오 무대는 세계 도처의 해양지역이다. 이런 와중에서 한국은 3면이 바다인 점에서 새로운 양대 해양전략의 충돌에서 예외적으로 존재할 수 없는 상황이다. 특히 동해바다는 미국과 가장 강력한 동맹국인 일본의 서해안 전지역과 연결되어 있어 일본으로서는 해양안보상 급소와 같은 중요성을 지닌 지역이다. 한편, 바람직하지 않는 지구온난화 현상으로 인해 ‘북극해의 역설’이 성립되어 냉대와 불모의 지대로 인식되었던 북극지방이 활기를 띠게 되고 북극해 항로가 각광을 받는 이변이 진행되고 있다. 기상학적 이변과 기존 물류수송의 제반 문제점들로 인해 북극해 항로의 필요성이 더욱 제기되고 있는데 남방항로에 비해 북극해 항로는 항행거리가 국가와 도시에 따라서는 60%까지 단축될 수 있다. 또한 말라카해협과 수에즈운하를 경유하는 남방항로가 해적출몰과 주변국들의 분쟁 등 잦은 해상사고로 인해 오래전부터 대체항로가 필요한 상황이었다. 이러한 이유로 물류수송의 원활화에 전력을 경주하고 있는 상당수의 국가들은 북극해 항로에 관심을 갖고 있음은 물론, 북극해 개발 등에도 적극 참여하고자 하는 것이 현실이다. 그중에서도 중국은 북극해에 접해 있지도 않고, 북극에서 무려 3,000km나 떨어져 있지만, 스스로를 ‘근북극국가(近北極國家)’로 규정하면서 북극 문제의 중요한 이해당사자(Stakeholder)로서 북극에 개입할 권리가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같은 상황에서 개설되는 북극해 항로중 독도 인근을 통과하는 동해루트는 한・중・일 삼국은 물론 유럽국가들과 북극연안국가들도 이용하는 국제적 해로로 이용될 가능성이 크다. 이중 동해 루트를 가장 많이 이용할 것으로 예상되는 중국이 동 항로 본격 운항을 계기로 동해에서의 해양세력을 확대할 가능성이 높고 미국과 일본이 이를 견제할 가능성이 크다. 이러한 과정에서 독도를 한 가운데 두고 있는 동해루트에는 제반 위험요소가 산재해 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이러한 강대국들의 해양전략 충돌과 북극해 항로 개설시 예상되는 동해루트 주변의 제반 위험요소를 공격적 현실주의 입장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동지나해와 남지나해, 센카쿠열도 등에서 미국・일본・동남아국가들과 해양 세력갈등을 진행중인 중국이 최근들어 동해에 대해서도 해양세력을 확대하려는 움직임과 중・러의 군용기 합동훈련 등 일련의 위험요소 들의 배경과 의미를 조명해 보고 이같은 움직임이 북국해 항로 동해루트에 미치는 영향을 점검해 본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독도영유권 문제 부상, 미・일 대(對) 중국의 해양세력 갈등 그리고 한・미・일 대(對) 중・북・러 대립구도에서 오는 마찰 등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이에 대한 우리 정부의 대책으로는 첫째, 북극해 항로 개설이 현실화되기 이전에 정부차원에서 울릉도와 독도 근해를 항행하는 외국선박에 대한 종합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둘째, 북극해 항로중 동해루트 운항부분에 대해서는 적어도 한국이 주도권을 확보할 수 있어야 한다. 우리가 창의적이고 선제적인 방법으로 주변국을 리드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 With the rise of China, competition for supremacy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Chnia is becoming visible, and the Indo-Pacific Strategy led by the United States, Japan, India, and Australia and the One-to-One Road Vision, led by Chnia, each seek to establish a new maritime order. The trial and error stage of this new ocean order conflict is in maritime regions all over the world. In the midst of this, Korea cannot be exceptionally present in the conflict between the two new maritime strategies as the three sides are sea. In particular, the East Sea is connected to the entire west coast of Japan, the most powerful alliance with the United States, so it is an area of equal importance to Japan for maritime security. Meanwhile, due to the undesirable global warming phenomenon, the “paradox of the Arctic Ocean” has been established, and the Arctic region, which was recognized as a cold and barren region, is invigorated, and The Arctic Ocean Route is in the limelight. The East Sea Route, which passes near Dokdo, among the Arctic Sea routes opened by such changes in the global environment, is highly likely to be used as an international sea route used by European countries and Arctic coastal countries as well as Korea, China and Japan. Of these, China, which is expected to use the East Sea route the most, is highly likely to expand maritime power in the East Sea with full-scale operations on the East Sea route. There is also a concern that the East Sea region will turn into a sharp confrontation between Korea, the United States, Japan and China, Russia, and North Korea. Therefore, this paper aims to geopolitically examine the propulsion trends of neighboring countries on the Arctic Ocean route and the confrontation of maritime forces in Northeast Asia, as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collision dynamics of the East Sea route brought about by the East Sea route in advance. In particular, China, which is in conflict with the US, Japan, and Southeast Asian countries in the East China Sea, the South China Sea, and the Senkaku Islands, has recently moved to expand its maritime power in the East Sea as well as the background of a series of risk factors such as joint training of military aircraft between China and Russia. Let’s shed light on the meaning and examine the effect of this movement on the East Sea route of the Northern Sea route. As a countermeasure by the Korea government, first, before the opening of the Artic Ocean route becomes a reality, the government should prepare comprehensive countermeasures for foreign ships navigating near Ulleungdo and Dokdo. second, Korea should be able to secure at least the initiative in the East Sea route operation part of the Artic Ocean route. It is necessary for us to lead the neighboring countries in a creative and proactive way. Third, cooperation with South Korea, Japan, North Korea, and Russia, which actually have terrtorial sovereignty on the East Sea, is important. This paper pointed out the need to strengthen Korea’s status by developing a cooperative channel for the East Sea countries, including the need for cooperation between Korea and Russia. In the East Sea route of the Arctic Ocean, Dokdo is located in the middle of the East Sea regionally, and if we deal with it well, it can be located at the center of international exchanges and mutual interests. But if we don’t deal with it properly, it can be positioned at the center of international friction and conflict.

      • KCI등재

        환동해 해양쓰레기와 해양환경 협력체제 구축

        최영진(Choi, Young-Jin) 한국해양대학교 국제해양문제연구소 2021 해항도시문화교섭학 Vol.- No.25

        본 연구는 환동해 국가에서 배출하는 쓰레기가 어떻게 동해로 흘러 들어오는지, 얼마나 되는지 그리고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고찰한다. 동시에, 동해 수역에 발생하는 해양쓰레기는 주로 무엇이며 그리고 해결 방안은 무엇인지를 살펴본다. 부유 쓰레기가 조류와 파도를 통해 중국 동해안에서 한국 남동해안으로, 북한 동해안에서 한국의 동해안으로, 그리고 중국과 한국의 동해안과 극동 러시아에서 일본 서안으로 흘러들어오는 이동 경로를 보여준다. 동북아 해양환경을 위한 북서 태평양 해양 및 연안 환경의 보전, 관리, 개발에 실천 계획(NOWPAP)과 동아시아 해양조정기구(COWBSEA)가 있지만, 북유럽이나 서유럽과 같이 해양환경 제도가 신자유주의적 제도주의 이론이 말하는 자기 완결적 체제를 아직 구축하지 못한 것으로 평가된다. 이들 기구는 느슨한 국제협력 레짐으로서 국가주의적 해양환경관리의 성격이 여전히 강하다고 볼 수 있다. 환동해 국가의 중앙정부, 지방자치단체, 시민단체, 기업체 등이 해양환경관리에 있어서 오염자부담원칙 준수, 해양폐기물 처리 기술 수준, 그리고 이해당사자 간의 유기적이고 중층적 협력체계가 여전히 취약한 것으로 평가된다. 한편으로, 환경보호에 관한 시민의식을 고양시킬 뿐만 아니라 중앙정부의 다양한 부처의 관련 업무를 통합 및 조정하는 국내 ‘협력체제(governance) 정비와 확대’ 개편이 요구된다. 다른 한편으로, 역사문제, 북한 변수 등으로 인해 환동해 해양환경협력체제의 통합적 작동은 현실적 어려움이 있어 현 상황은 제한된 지구적 관리체제 접근법에 불과하다. 그럼에도 불고하고 기존의 다소 느슨한 북태평양 행동계획(NOWPAP), 동아시아 해양조정기구(COBSEA) 등과는 차별되는 강력한 통합적 실천기구인 동아시아 해양환경협력을 위한 제도적 기구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wastes produced from countries of East Sea flows into the other side of East Sea, how much they are and how they affect. We simultaneously take a look at what kind of marine litters are significant and how we can solve the problems. The floating litters are flowing from the eastern China to the southeastern coast of South Korea, from the east coast of North Korea to South Korea and from the coast of Russia Far East and the east coast of South Korea to the west coast of Japan through the currents and waves in East Sea. Although there are the Northeast and Western Pacific Action Plan(NOWPAP) and Coordinating Body on the Seas of East Asia (COBSEA) for the maritime environment in East Asia, it is evaluated that the marine environment system has yet to establish a self-completing entity, as the neoliberal institutional theory suggests. The nature of nationalistic maritime environment management is still strong in East Sea as the loose international regimes. On one hand, besides the technological level of the marine waste disposal, the multi-layered maritime governance among central government, local governments, civic groups, and enterprises in East Sea Rim are assessed to be relatively weak compared to the subregion of the European Union (EU) such as the Baltic Sea region and the North Sea region, On one hand, a reorganization for the maintenance and expansion of ‘governance system’ that integrates and coordinates the related affairs of various ministries, as well as the enhancement of civic awareness on environmental protection, is required. The current situation is merely a limited global governance approach due to the historical matter, the North Korea fact and so forth. Even so, it is necessary to exchange information and knowledge on marine debris among local governments in the East Sea Rim. In addition, it is also necessary to establish an institutional mechanism for East Asian marine environment cooperation, which is a strong integrated action apparatus that is differentiated from the existing somewhat loose North Pacific Action Plan(NOWPAP) and Coordinating Body on the Seas of East Asia(COBS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